KR20230090177A -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177A
KR20230090177A KR1020210179203A KR20210179203A KR20230090177A KR 20230090177 A KR20230090177 A KR 20230090177A KR 1020210179203 A KR1020210179203 A KR 1020210179203A KR 20210179203 A KR20210179203 A KR 20210179203A KR 20230090177 A KR20230090177 A KR 2023009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strate
disposed
camera
camera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다힌
한상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177A/ko
Publication of KR2023009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배치되는 AR층 및 IR 컷오프층,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AF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Camera window and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테이프, 및 기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가 피로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거나, 장시간 운전을 할 경우 운전자는 무의식적으로 졸음운전을 하게 됨으로써,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운전 중 졸음을 경고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졸음운전 방지 시스템(DSM, Driven State Monitoring)은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의 동공, 표정 등을 인식하고, 사고 위험 행동 시 경보음을 울려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으로 운전자의 운전습관 개선을 유도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다.
DSM 카메라는 얼굴 전체 윤곽과 눈, 코, 입을 포함한 83개 좌표를 기준으로 얼굴의 측면까지 감지할 수 있으며 졸음, 전방미주시, 휴대폰 사용, 흡연 등 사고 위험 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근적외선 카메라로 야간 운전, 터널 안 등 어두운 환경에서도 원활한 인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운전자의 졸음감지, 전방 미 주시, 얼굴이탈 등의 상황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울릴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터, 테이프, 및 기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배치되는 AR층 및 IR 컷오프층;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AF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코팅되고,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코팅되며, 상기 AF층은 상기 AR층 상에 코팅되어 상기 기판, 상기 AR층, 상기 IR 컷오프층, 및 상기 AF층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의 제2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마스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LED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되, 상기 마스킹층은,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빛이 수광되는 영역과 상기 LED 모듈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영역을 구분하도록 배치되는 제1마스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층은, 상기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의 방출각도에 따라 상기 제1마스킹부의 너비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 또는 글래스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AR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AR층은 상기 IR 컷오프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AR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AR층은 상기 IR 컷오프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LED 모듈; 및 상기 홈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배치되는 AR층 및 IR 컷오프층; 및 상기 기판의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AF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빛이 수광되는 영역과 상기 LED 모듈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영역을 구분하도록 상기 기판의 제2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마스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기판,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필터, 테이프 등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윈도우를 일체로 형성하여 원가 절감, 광 특성 개선, 설계 시간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층을 통해 각 부품 간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하우징의 내부 디자인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기존 카메라 커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기존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SM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은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각 홀에는 렌즈 모듈 및 복수의 LED 모듈이 배치된다. 복수의 LED 모듈이 배치되는 홀에 대응되도록 그 상부에는 High Pass Filter가 배치되고, 하우징의 상면에는 Double Side Tape, IR Filter Window, IR Filter Protector Tape가 차례로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DSM 카메라는 어두운 환경에서 적외선 LED 전원이 켜져 광이 출력되고, 출력된 광이 피사체에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이미지를 인식한다. 이때, High Pass Filter는 LED 전원에서 출력된 빛의 가시광 파장대의 빛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운전에 방해가 되는 눈부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IR Filter Window는 적외선에 민감한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보호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가 적외선에 노출되면 영상이 찌그러지거나 흐려지기 때문에 적외선 영역을 미리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윈도우에는 다양한 기능을 위한 부품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복수의 부품들이 개별 공정을 통해 카메라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되는 경우 공수가 증가하고, 공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는 기존의 카메라 윈도우, 테이프, 필터 등으로 각각 나누어져 있던 부품을 일체의 카메라 윈도우로 형성하여 조립 공정 및 부품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는 기판(110), 기판(110)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배치되는 AR층(120) 및 IR 컷오프층(140), 및 기판(110)의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AF층(130)를 포함하고, 기판(110)의 제2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마스킹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10)의 제1면 및 제2면은 일면 및 타면을 의미할 수 있고, 상면 및 하면을 의미할 수 있고, 하면 및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기판(110)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은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또는 글래스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u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R층(Anti Refelection, 120)은 내부 난반사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윈도우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프레넬 반사에 따르면 빛이 공기 중에서 코팅되지 않은 기판을 통과할 때 각 경계면에서 전체 빛의 약 4 %가 반사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넬 반사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AR층(120)을 기판(110) 상에 배치하면 내부 반사에 따른 고스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AR층은 빛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저조도 시스템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AF층(Anti Fingerprint, 130)은 기판(110)의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AF층(130)은 사용자의 지문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AF층(130)은 표면강화를 하여 전체적인 카메라 윈도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R 컷오프층(Infrared Ray Cut-0ff, 140)은 적외선에 민감한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를 보호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가 적외선에 노출되면 영상이 찌그러지거나 흐려지기 때문에 적외선 영역을 미리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IR 컷오프층(140)을 통해 이미지 센서에서 얻는 이미지가 인간이 인식한 화상에 가까워질 수 있다.
마스킹층(150) 기판(110)의 제2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가 배치된 층일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블랙 마스킹층일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빛 이외에 노이즈가 되는 빛을 흡수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LED 모듈에서 출력된 빛이 카메라 윈도우(100)의 각 계면에서 내부 반사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광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렌즈 모듈에서 빛이 수광되는 영역과 LED 모듈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영역을 구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렌즈 모듈의 시야각과 LED 모듈의 지향각에 따라 너비가 설정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의 방출 각도에 따라 제1마스킹부의 너비가 설정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렌즈 모듈의 시야각에 따라 제1마스킹부의 너비가 설정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제1마스킹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2마스킹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마스킹부는 기판(110)의 최외곽 테두리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킹층(150)이 구분하는 영역은 사각형일 수 있고, 원형일 수 있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실제 빛이 방출되는 영역 및 빛이 수광되는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마스킹층(150)은 렌즈 모듈과 LED 모듈이 실사용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0)에 배치되는 AR층(120), IR 컷오프층(140), AF층(130), 마스킹층(150)은 각각 배치되는 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기판(110)에 배치되는 AR층(120), IR 컷오프층(140), AF층(130), 마스킹층(150)은 각각 배치되는 면 상에 증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110), AR층(120), IR 컷오프층(140), AF층(130), 마스킹층(15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의 경우, AR층(120)은 기판(110)의 제1면에 코팅되고, IR 컷오프층(140)은 기판(110)의 제2면에 코팅되고, AF층(130)는 AR층(120) 상에 코팅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0)에 배치되는 AR층(120), IR 컷오프층(140), AF층(130), 마스킹층(150)은 각각 1개씩 개별의 코팅 공정을 통해 코팅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복수의 층은 단일의 코팅 공정을 통해 코팅될 수도 있다. 코팅 이외의 다양한 증착 기술을 통해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는 기판(110)의 제1면 방향에 AR층(120), IR 컷오프층(140) 및 AF층(130)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기판(110)의 제1면 방향에 배치되는 AR층(120), IR 컷오프층(140) 및 AF층(130)은 각각 1개씩 별도의 코팅 공정을 통해 코팅될 수 있다. 또는, 기판(110)의 제1면 방향에 배치되는 AR층(120), IR 컷오프층(140) 및 AF층(130)은 혼합된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단일의 코팅 공정을 통해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카메라 하우징의 하나의 홈에 결합되므로 조립 공정 및 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하우징(210),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모듈(230)과 적어도 하나의 LED 모듈(220, 240), 및 홈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존 DSM 카메라 모듈의 경우 하우징에 LED 모듈, 렌즈 모듈이 배치되는 홈이 미리 설계되어 고정되며, 설계 이후에는 내부 부품의 설계 및 배치 변경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210)은 하나의 홈을 포함하며, 카메라 윈도우(100)에 배치되는 마스킹층(150)에 의해 내부 부품의 영역이 구분되므로 각 부품들의 설계 및 배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2(b)와 같이,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하우징(210) 내부에 하나의 렌즈 모듈(230)과 그 양쪽에 제1LED 모듈(220) 및 제2LED모듈(24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30)과 2개의 LED 모듈(220, 240)의 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각 기능과 용도에 따라 배치되는 부품의 개수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고, 기타 부품들이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를 설명한다.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적층 순서는 상이하나,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는 기판(110)의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AF층(130)이 배치되고, 기판(110)의 제2면 방향의 최외곽에 마스킹층(150)이 배치되는 것은 동일하며, 기판(110), AR층(120), IR 컷오프층(140)의 배치 구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기판(110)의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AF층(130)이 배치됨으로써 표면 강화와 카메라 윈도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기판(110)의 제2면 방향의 최외곽에 마스킹층(150)이 배치됨으로써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에 의한 광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는 기판(110)의 제1면에는 AF층(130)이 배치되고, 기판(110)의 제2면에는 AR층(120)이 배치되고, AR층(120) 상에는 IR 컷오프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IR 컷오프층(140) 상에는 마스킹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는 기판(110)의 제1면에는 AF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0)의 제2면에는 IR 컷오프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IR 컷오프층(140) 상에는 AR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AR층(120) 상에는 마스킹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는 기판(110)의 제1면에 AR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AR층(120) 상에는 IR 컷오프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IR 컷오프층(140) 상에는 AF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0)의 제2면에는 마스킹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는 기판(110)의 제1면에 IR 컷오프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IR 컷오프층(140) 상에는 AR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AR층(120) 상에는 AF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0)의 제2면에는 마스킹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윈도우(100)는 기판(110)의 제1면에 IR 컷오프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IR 컷오프층(140) 상에는 AF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0)의 제2면에는 AR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AR층(120) 상에는 마스킹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기판,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필터, 테이프 등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윈도우를 일체로 형성하여 원가 절감, 광 특성 개선, 설계 시간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마스킹층을 통해 각 부품 간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하우징의 내부 디자인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카메라 윈도우 110: 기판
120: AR층 130: AF층
140: IR 컷오프층 150: 마스킹층
210: 카메라 하우징 220: 제1LED 모듈
230: 렌즈 모듈 240: 제2LED 모듈

Claims (15)

  1. 기판;
    상기 기판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배치되는 AR층 및 IR 컷오프층;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AF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코팅되고,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코팅되며, 상기 AF층은 상기 AR층 상에 코팅되어 상기 기판, 상기 AR층, 상기 IR 컷오프층, 및 상기 AF층은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제2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마스킹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윈도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LED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되되,
    상기 마스킹층은,
    상기 렌즈 모듈에서 빛이 수광되는 영역과 상기 LED 모듈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영역을 구분하도록 배치되는 제1마스킹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윈도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층은,
    상기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의 방출각도에 따라 상기 제1마스킹부의 너비가 설정되는 카메라 윈도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명 기판인 카메라 윈도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 또는 글래스 기판인 카메라 윈도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AR층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되고,
    상기 AR층은 상기 IR 컷오프층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AR층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AR층은 상기 IR 컷오프층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 컷오프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에 배치되고,
    상기 AR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제2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
  14.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LED 모듈; 및
    상기 홈에 배치되는 카메라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윈도우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면 또는 제2면에 배치되는 AR층 및 IR 컷오프층; 및
    상기 기판의 제1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AF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에서 빛이 수광되는 영역과 상기 LED 모듈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영역을 구분하도록 상기 기판의 제2면 방향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마스킹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179203A 2021-12-14 2021-12-14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 KR20230090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203A KR20230090177A (ko) 2021-12-14 2021-12-14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203A KR20230090177A (ko) 2021-12-14 2021-12-14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177A true KR20230090177A (ko) 2023-06-21

Family

ID=8698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203A KR20230090177A (ko) 2021-12-14 2021-12-14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2706B (zh) 指紋辨識裝置
US11846525B2 (en) Optical proximity sensor integrated into a camera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200234024A1 (en) Under-screen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liquid crystal display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1308308B2 (en)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recogni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08564023B (zh) 指纹识别装置和显示设备
CN113156742B (zh) 结构光投射器及其控制方法、深度相机和电子装置
WO2017139172A1 (en) Optical cross talk mitigation for optical device
CN111487708B (zh) 一种侧入式背光模组、液晶显示装置
US5677526A (en) Rear light detection device for an automatic antiglare mirror
CN111028670A (zh) 显示装置的盖窗
US10811545B2 (en) Sensing module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KR20230090177A (ko) 카메라 윈도우 및 카메라 모듈
CN113878953A (zh) 夹层玻璃及抬头显示系统
CN113858730A (zh) 夹层玻璃及抬头显示系统
EP3690599A1 (en) Screen frame, display screen module and terminal
TWM558941U (zh) 取像裝置
CN210776721U (zh) 纯化指纹影像的屏下指纹辨识系统
US11430248B2 (en)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542872B1 (ko) 지문 센싱 모듈 및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JP2003016432A (ja) 指紋照合装置およびそのプリズム
CN109324412B (zh) 消杂光器件和车载平视型显示器及其防尘盖
US20230378405A1 (en) Systems With External Displays
CN113156557B (zh) 一种光学面罩及光学系统
CN111295302A (zh) 成像装置
CN211426843U (zh) 取像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