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294A - 투명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294A
KR20230089294A KR1020210177812A KR20210177812A KR20230089294A KR 20230089294 A KR20230089294 A KR 20230089294A KR 1020210177812 A KR1020210177812 A KR 1020210177812A KR 20210177812 A KR20210177812 A KR 20210177812A KR 20230089294 A KR20230089294 A KR 20230089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reproduction
playback
area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래
윤정민
이승범
유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294A/ko
Priority to CN202211168034.2A priority patent/CN116263547A/zh
Priority to US17/984,142 priority patent/US20230189604A1/en
Publication of KR2023008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외광에 대한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명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기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재생판을 포함하고, 재생판은 투과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복수의 재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표시 장치{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투명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퀀텀닷발광표시장치(QLED)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투과해 반대편에 위치한 사물 또는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투명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투명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표시 영역은 외부 광(또는 외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과 영역과 발광 영역을 갖는 비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투명 표시 장치의 전면에 위치된 사용자는 투명 표시 장치의 발광 영역에서 발광되는 광을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투명 표시 장치의 배면에서 전면으로 외부 광이 비출 경우, 투과 영역을 통해 외부 광이 투과되므로 전면에 위치된 사용자는 외부 광으로 인해 영상에 대한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투명 표시 장치 쪽으로 외부 광이 입사되지 못하도록 암막을 펼치는 등의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나, 외부 광 차단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외부 광을 100% 차단하지 못하므로 영상의 시인성 개선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는 휘도를 향상시켜 외광에 대한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명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기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재생판을 포함하고, 재생판은 투과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복수의 재생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발광영역에서 발광하여 투과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재생판을 포함하고, 재생판은 투과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적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 투과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녹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투과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청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3 재생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재생부재,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복수의 제3 재생부재는 교번하여 배치된다.
본 명세서는 투과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재생판이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외부 광이 재생판에 가려져 투과 영역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영상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투과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재생부가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투과 영역을 통해 배면(또는 재생판) 쪽으로 출사되는 광을 전면(또는 발광 영역)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영상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판의 배면에 재생판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투과 모드와 비투과 모드 간의 전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판의 배면에 재생판이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전기적으로 투과 영역을 블랙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수의 재생부를 나타내는 평면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1 재생부재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재생판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1 재생부재가 갖는 제1 서브 재생부재, 제2 서브 재생부재, 및 제3 서브 재생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제3 재생영역과 제4 재생영역에 배치된 재생부재에 의한 회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제1 재생영역과 제4 재생영역의 광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선 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2 재생부재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선 Ⅲ-Ⅲ'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3 재생부재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수의 재생부를 나타내는 평면 사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1 재생부재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재생판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1 재생부재가 갖는 제1 서브 재생부재, 제2 서브 재생부재, 및 제3 서브 재생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제3 재생영역과 제4 재생영역에 배치된 재생부재에 의한 회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제1 재생영역과 제4 재생영역의 광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가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퀀텀닷발광표시장치 (Quantum dot Lighting Emitting Diode)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sis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게이트 구동부(GD)와 투과 영역(TA)을 갖는 표시패널,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120), 연성필름(130), 회로보드(140), 타이밍 제어부(150), 및 표시패널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재생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서로 합착된 기판(110)과 대향 기판(110',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하부 기판, 또는 제 1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은 투명 글라스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투명 글라스 기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판(110)을 제1 기판이라 정의한다.
대향 기판(110')은 제1 기판(110)과 대향 합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향 기판(110')은 제1 기판(1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제1 기판(110)의 패드부(P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대향 합착될 수 있다. 대향 기판(110')은 상부 기판, 제 2 기판, 또는 봉지 기판일 수 있다. 대향 기판(110')은 접착 부재(또는 투명 접착제)를 매개로 하는 기판 합착 공정에 의해 제1 기판(110)의 제 1 면과 합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향 기판(110')을 제2 기판이라 정의한다.
일 예에 따른 제1 기판(110)은 표시부(AA) 및 비표시부(I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AA)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화소 어레이 영역, 활성 영역, 화소 어레이부, 표시부, 또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AA)는 표시 패널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표시부(AA)는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화소 구동 전원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 각각은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광을 발광하는 발광 영역(EA)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SP), 및 복수의 서브 화소(SP)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투과 영역(TA)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표시 패널의 전면과 배면을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 영역이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전면 쪽에 위치된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표시 패널의 배면 쪽에 위치된 이미지나 배경 등을 볼 수 있다.
다만, 표시 패널의 배면 쪽에서 외광이 비출 경우, 외광이 투과 영역을 통해 표시 패널의 전면 쪽으로 투과될 수 있으므로, 표시 패널의 전면 쪽에 위치된 사용자는 표시부(AA)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또는 기판(110))의 배면에 재생판(200)이 더 구비됨으로써, 표시 패널의 배면에서 전면으로 입사되는 외광을 차단할 수 있어서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재생판(200)은 투과 영역(TA)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복수의 재생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은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는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는 발광 영역(EA)에서 발광하여 투과 영역(TA)을 통해 제1 경로(예를 들어, RL1)로 입사되는 광을 제1 경로(RL1)와 반대되는 제2 경로(예를 들어, RL1-1)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재생부(210), 복수의 재생부(210)와 인접하게 위치된 베이스 기판(220), 및 베이스 기판(220)과 복수의 재생부(210)를 덮는 커버층(230) 간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과 영역(TA)을 통해 복수의 재생부(210)로 입사되는 광은 인접하게 배치된 재생부(210)들에 의해 회절됨으로써, 보강 간섭과 소멸을 통해 반사되는 광의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재생부(210)는 베이스 기판(220) 및 커버층(230)과의 굴절률 차이, 및 회절에 의해 발생되는 보강 간섭과 소멸을 통해 발광 영역(EA)에서 발광하여 투과 영역(TA)을 통해 제1 경로로 입사되는 영상 광을 광이 발광한 위치로 제2 경로를 통해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복수의 서브 화소(SP) 각각은 실제 빛이 발광되는 최소 단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 화소(SP)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3개의 서브 화소 또는 데이터 라인(또는 게이트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3개의 서브 화소(SP), 및 1개의 투과 영역(TA)은 하나의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하나의 단위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서브화소, 적어도 하나의 녹색 서브화소, 적어도 하나의 청색 서브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투과 영역(TA)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3개의 서브 화소(SP) 각각은 1개의 투과 영역(T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 화소(SP)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4개의 서브 화소 또는 데이터 라인(또는 게이트 라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4개의 서브 화소, 및 1개의 투과 영역(TA)은 하나의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하나의 단위 화소는 적색 서브화소, 녹색 서브화소, 청색 서브화소, 백색 서브화소, 및 투과 영역(TA)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4개의 서브 화소(SP) 각각은 1개의 투과 영역(T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SP)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 소자층(또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SP) 각각에 배치된 발광 소자층은 각기 다른 컬러 광을 개별적으로 방출하거나 백색 광을 공통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 화소(SP) 각각의 발광 소자층이 백색 광을 공통적으로 방출하는 경우, 적색 서브화소와 녹색 서브화소 및 청색 서브화소 각각은 백색 광을 각기 다른 컬러 광으로 변환하는 각기 컬러 필터(또는 파장 변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예에 따른 백색 서브화소는 컬러 필터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백색 서브화소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적색 서브화소와 녹색 서브화소 및 청색 서브화소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화소(SP)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소자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서브 화소들 각각의 발광부는 소정의 전류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각 서브 화소에서 광이 발광하는 부분이 발광 영역(EA)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서브 화소의 발광 영역(E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화소(SP)들 각각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비표시부(IA)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주변 회로 영역, 신호 공급 영역, 비활성 영역, 또는 베젤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부(IA)는 표시부(AA)의 주변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비표시부(IA)는 표시부(A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부(IA)는 표시부(AA)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P)와 연결되는 복수의 패드부(PP)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패드부(PP)는 제1 축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패드부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패드, 적어도 하나의 화소 구동 전원 패드, 및 복수의 공통 전원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D)는 타이밍 제어부(15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GD)는 표시패널의 표시부(AA)의 일측 또는 도 1과 같이, 표시부(AA)의 양측 바깥쪽의 비표시부(IA)에 GIP(gate driver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게이트 구동부(GD)는 구동 칩으로 제작되어 연성필름에 실장되고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표시패널의 표시부(AA)의 일측 또는 양측 바깥쪽의 비표시부(IA)에 부착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GD)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회로(또는 GIP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120)는 타이밍 제어부(15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소스 제어신호를 입력 받는다. 소스 드라이브 IC(120)는 소스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소스 드라이브 IC(120)가 구동 칩으로 제작되는 경우, COF(chip on film) 또는 COP(chip on plastic) 방식으로 연성필름(130)에 실장될 수 있다.
표시패널의 비표시부(IA)에는 데이터 패드들과 같은 패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130)에는 패드들과 소스 드라이브 IC(120)를 연결하는 배선들, 패드들과 회로보드(140)의 배선들을 연결하는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13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tisotropic conducting film)을 이용하여 패드들 상에 부착되며, 이로 인해 패드들과 연성필름(130)의 배선들이 연결될 수 있다.
회로보드(140)는 연성필름(130)들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보드(140)는 구동 칩들로 구현된 다수의 회로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보드(140)에는 타이밍 제어부(150)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보드(140)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회로보드(140)의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시스템 보드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GD)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와 소스 드라이브 IC(120)들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게이트 구동부(GD)에 공급하고, 소스 제어신호를 소스 드라이브 IC(120)들에 공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투과 영역(TA)은 복수의 서브 화소(SP)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화소(P)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부(AA)에는 복수의 화소(P)가 구비되므로, 투과 영역(TA)은 표시부(AA)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AA)는 투과 영역(TA) 및 투과 영역(TA)을 제외한 비투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대부분을 통과시키는 영역이고, 비투과 영역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대부분을 투과시키기 않는 영역이다. 일 예로, 투과 영역(TA)은 광 투과율이 α%, 예컨대, 90% 보다 큰 영역이고, 비투과 영역은 광 투과율이 β%, 예컨대, 50% 보다 작은 영역일 수 있다. 이때, α 는 β 보다 큰 값이다. 표시 패널은 투과 영역(TA)들로 인해 표시 패널의 배면(背面)에 위치한 사물 또는 배경을 볼 수 있다. 도 1과 같이, 투과 영역(TA)은 표시 패널의 배면(背面)에 위치한 사물 또는 배경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탄화층(113)과 뱅크(115)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서브 화소(SP)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소자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서브 화소(SP) 각각의 발광부는 소정의 전류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은 버퍼층(BL)의 상면에 구비되며 게이트 절연막(111a), 층간 절연층(111b), 패시베이션층(111c), 및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포함하는 회로 소자층(111), 회로 소자층(111) 상에 구비되는 평탄화층(113), 평탄화층(113) 상에 구비된 화소 전극(114), 뱅크(115), 유기발광층(116), 공통 전극(117), 및 봉지층(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14), 유기발광층(116), 및 공통 전극(117)은 발광 소자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버퍼층(BL)은 기판(110) 상에 구비되며 박막 트랜지스터(112)에 대한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버퍼층(BL)은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보호하기 위해 기판(110)과 회로 소자층(111)(또는 게이트 절연막(11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L)은 기판(110)의 일면(또는 앞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L)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 중 고온 공정시 기판(110)에 함유된 물질이 트랜지스터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회로 소자층(111)은 게이트 절연막(111a), 층간 절연층(111b), 패시베이션층(111c), 및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1a), 층간 절연층(111b), 및 패시베이션층(111c)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112)는 액티브층(112a), 게이트 전극(112b), 소스 전극(112c), 및 드레인 전극(112d)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12a)은 화소(P)의 회로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 영역에 형성된 채널 영역과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영역과 소스 영역은 채널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액티브층(112a)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산화물(oxide) 및 유기물(organic material)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1a)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게이트 절연막(111a)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 상에만 섬 형태로 형성되거나 액티브층(112a)을 포함하는 기판(110) 또는 버퍼층(BL)의 전면(前面)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12b)은 액티브층(112a)의 채널 영역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111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11b)은 게이트 전극(112b)과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11b)은 회로 영역 및 화소(P)에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층(111b)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전극(112c)은 액티브층(112a)의 소스 영역과 중첩되는 층간 절연층(111b)에 마련된 소스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12a)의 소스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12d)은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과 중첩되는 층간 절연층(111b)에 마련된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12a)의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각각은 동일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각각은 게이트 전극과 동일하거나 다른 단일 금속층, 합금의 단일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로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함께 배치된 제 1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11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화소(P)의 회로 영역 상에 마련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패시터(미도시)는 층간 절연층(111b)을 사이에 두고 서로 중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게이트 전극(112b)과 소스 전극(112c) 사이의 중첩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화소 영역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는 광에 의해 문턱 전압이 쉬프트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또는 제 1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112), 제 1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층(112a)의 아래에 마련된 차광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은 기판(110)과 액티브층(112a) 사이에 마련되어 기판(110)을 통해서 액티브층(112a) 쪽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광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11c)은 화소(P)가 배치되는 화소 영역을 덮도록 기판(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11c)은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드레인 전극(112d)과 소스 전극(112c) 및 층간 절연층(111b)을 덮는다. 패시베이션층(111c)은 회로 영역 및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113)은 패시베이션층(111c)을 덮도록 기판(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평탄화층(113)은 회로 영역 및 발광 영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평탄화층(113)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표시부(AA) 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113)은 포토 아크릴(photo acryl),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폴리 이미드(polyimide), 및 불소 수지 등과 같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평탄화층(113)은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 및 투과 영역(TA)을 제외한 회로 소자층(111)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111)의 패시베이션층(111c)은 평탄화층(113)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투과 영역(TA)에는 평탄화층(113)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은 평탄화층(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발광 소자층은 화소 전극(114), 유기발광층(116), 및 공통 전극(117)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은 유기발광층(116)의 애노드 전극, 반사 전극, 하부전극, 또는 제 1 전극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화소 전극(114)은 각 화소 영역(PA)의 발광 영역(EA)과 중첩되는 평탄화층(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은 섬 형태로 패터닝되어 각 화소 영역(PA) 내에 배치되며, 해당하는 화소 회로의 박막 트랜지스터(또는 구동 TFT)(112)의 소스 / 드레인 전극(112c, 112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의 일측은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소스 / 드레인 전극(112c, 112d) 상으로 연장되고, 평탄화층(113)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해서 박막 트랜지스터(112)의 소스 / 드레인 전극(112c, 112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소 전극(114)은 일함수가 낮고 반사 효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투명 표시 장치(100)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화소 전극(114)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과 투명한 금속물질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화소 전극(114)은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은 평탄부(113)와 상부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 전극보다 평탄부와의 결합력이 더 클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부 전극은 평탄부(113)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MoTi와 ITO의 적층 구조(ITO/MoTi/ITO)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전극은 하부 전극의 상면(또는 상측). 즉, 하부 전극과 유기발광층(116) 사이에 배치되며 Ag와 ITO의 적층 구조(ITO/Ag/ITO)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전극은 하부 전극보다 유기발광층(116)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율이 더 높을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14)이 표시부(AA)에 구비되므로, 상기 평탄화층(113)은 표시부(AA)에서 화소 전극(114)의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113)은 유기발광층(116)을 발광시키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112)를 덮도록 소정의 두께로 구비됨으로써, 상면이 평탄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평탄화층(113) 상에 구비되는 화소 전극(114) 역시 평탄화층(113) 상면의 프로파일을 따라 평탄하게 구비될 수 있다.
뱅크(115)는 광이 발광되지 않는 비발광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서브 화소들 각각이 갖는 발광 영역(EA)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뱅크(115)는 발광 영역(EA)들 각각을 구획(또는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뱅크(115)는 화소 전극(114)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서브 화소들 각각이 갖는 발광 영역(EA)들을 구획(또는 정의)할 수 있다.
뱅크(115)는 서브 화소들 각각이 갖는 화소 전극(114)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고 화소 전극(114)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뱅크(115)는 화소 전극(114)의 가장자리에서 화소 전극(114)과 공통 전극(117)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뱅크(115)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화소 전극(114)의 노출 부분이 발광 영역(EA)일 수 있다.
뱅크(115)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발광층(116)은 화소 전극(114)과 뱅크(115) 상에 형성된다. 유기발광층(116)은 화소 전극(114)과 공통 전극(117)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유기발광층(116)으로 이동하게 되며, 유기발광층(116)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유기발광층(116)은 복수의 서브 화소(SP)와 뱅크(115) 상에 구비되는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발광층(116)은 복수의 발광층 예컨대, 황녹색 발광층과 청색 발광층이 적층되는 텐덤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화소 전극(114)과 공통 전극(117)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면 백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는 해당하는 서브 화소의 색에 부합되는 컬러 필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서브 화소에는 적색 컬러필터가 구비되고, 녹색 서브 화소에는 녹색 컬러 필터가 구비되며, 청색 서브 화소에는 청색 컬러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백색 서브 화소에는 유기발광층(116)이 백색 광을 발광하므로 컬러 필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공통 전극(117)은 유기발광층(116) 상에 형성된다. 공통 전극(117)은 제 2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공통 전극(117)은 서브 화소들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117)은 투명한 금속물질, 반투과 금속물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100)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통 전극(117)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117) 상에는 봉지층(118)이 형성된다. 봉지층(118)은 유기발광층(116)과 공통 전극(117)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118)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봉지층(118)은 표시부(AA)의 공통 전극(117) 상에 구비된 제 1 무기막(118a), 제1 무기막(118a) 상에 구비된 유기막(118b), 및 유기막(118b) 상에 구비된 제2 무기막(118c)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118b)은 유기발광층(116)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형성 시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particle)과 같은 이물질(미도시)을 커버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유기막(118b)은 표시부(AA) 뿐만 아니라, 비표시부(IA)에 구비된 댐(미도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무기막(118a)과 제2 무기막(118c)은 표시부(AA)에서부터 비표시부(IA)까지 연장되어 구비된 공통 전극(117), 및 비표시부(IA)에 구비된 댐을 덮도록 기판(110)의 끝단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재생판(200)은 기판(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재생판(200)은 기판(110)의 두께 방향. 즉, 제3 축방향(Z)으로 중첩되도록 기판(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판(200)은 발광 영역(EA)에서 발광한 광이 유기막(118b)과 제2 무기막(118c)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투과 영역(TA)을 통해 기판(110)의 배면 쪽으로 출사되는 광을 투과 영역(TA)으로 다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재생판(200)은 투과 영역(TA)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복수의 재생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EA)에서 발광한 광은 제2 무기막(118c)과 제2 기판(110') 사이의 경계면, 또는 제2 기판(110')과 외부의 에어(Air) 사이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투과 영역(TA) 쪽으로 출사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재생부(210)는 기판(110)의 배면에 배치되어서 투과 영역(TA) 쪽으로 출사되는 발광 영역(EA)의 광. 즉, 영상 광을 입사되는 광 경로와 반대되는 광 경로로 반사시켜서 기판(110)의 전면 쪽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재생부(210)는 투과 영역(TA)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재생부(210) 중 일부는 투과 영역(TA)에 중첩될 수 있고, 복수의 재생부(210)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서브 화소(SP) 및 비발광 영역에 위치한 뱅크(115)에 제3 축방향(Z)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재생부(210)의 나머지는 발광 영역(EA)에 중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재생부(210) 전체는 투과 영역(TA)에만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축방향(Y)은 제1 축방향(X) 및 제3 축방향(Z) 각각에 수직한 방향으로 표시패널의 세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는 원 및/또는 서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재생부(2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원 및 서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원은 투과 영역(TA)의 중심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서클은 원보다 직경이 더 큰 원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생영역(RA1)은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재생부재(211)들은 원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재생영역(RA2)은 제1 재생영역(RA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서클(또는 원 궤도)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재생부재(212)들과 제3 재생부재(213)들은 제2 재생영역(RA2)의 서클(또는 원 궤도)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재생영역(RA3)은 제2 재생영역(RA2)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서클(또는 원 궤도)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재생부재(211)들과 제2 재생부재(212)들과 제3 재생부재(213)들은 제3 재생영역(RA3)의 서클(또는 원 궤도)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재생영역(RA1), 상기 제2 재생영역(RA2), 및 상기 제3 재생영역(RA3)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동심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재생부(210)가 원 및/또는 서클(또는 원 궤도)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되어 입사되는 광을 발광된 위치로 포커싱하여 반사시킬 수 있다. 이는, 오목 거울에 광을 비추었을 때, 오목 거울의 초점거리에 광이 집광되는 것과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오목 거울은 곡률을 갖는 반사면이 구비되어 광을 반사시키는 반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재생부(210)는 도 3과 같이 평탄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직경과 간격을 조절하여 광의 회절과 굴절 특성을 이용해 광을 반사시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재생부(210)가 서로 다른 직경과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원 및/또는 서클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되어 입사되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도 4와 같이 발광된 위치로 포커싱하여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투과 영역을 통해 배면(또는 재생판) 쪽으로 출사되는 광을 전면(또는 발광 영역)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영상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투과 영역(TA)은 중심부분인 제1 투과영역(TA1), 가장자리 부분인 제3 투과영역(TA3), 및 제1 투과영역(TA1)과 제3 투과영역(TA3) 사이의 제2 투과영역(TA2)을 포함할 수 있다. 재생판(200)은 제1 투과영역(TA1)에 제3 축방향(Z)으로 중첩되는 제1 재생영역(RA1), 제2 투과영역(TA2)에 제3 축방향(Z)으로 중첩되는 제2 재생영역(RA2), 및 제3 투과영역(TA3)에 제3 축방향(Z)으로 중첩되는 제3 재생영역(RA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는 적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 녹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및 청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재생영역(RA1)에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의 일부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재생영역(RA2)에는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와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 각각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재생영역(RA3)에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및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 각각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우측 확대도와 같이, 제1 투과영역(TA1)에 대응되는 원(또는 제1 재생영역(RA1))에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가 갖는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211a)가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재생영역(RA1)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 형태의 제1 재생부재(211)들이 소정 간격을 갖는 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재생영역(RA2)에는 제1 재생부재(211)와 다른 직경을 갖는 원통 형태의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재생부재(212)들은 제1 재생부재(211)들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 재생부재(211)들을 둘러싸는(또는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와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는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및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적색 광을 반사시키는 제1 재생부재(211)들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녹색 광을 반사시키는 제2 재생부재(212)들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고, 청색 광을 반사시키는 제3 재생부재(213)들을 소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반사되는 광의 경로(또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재생영역(RA1)에 제1 재생부재(211)만이 배치되는 이유는, 적색 광의 휘도가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휘도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의 입사량이 가장 큰 투과 영역(TA)의 중심 부분에 중첩되게(또는 대응되게) 배치된 제1 재생영역(RA1)에 제1 재생부재(211)를 배치함으로써, 기판(110)의 전면으로 출사되는 적색 광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 재생 영역(RA1)에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의 일부가 제1 재생영역(RA1)인 원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적색 광의 휘도가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휘도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투과 영역(TA)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3 재생영역(RA1, RA2, RA3)에 배치되는 제1 재생부재(211)의 비율이 제2 및 제3 재생부재(212, 213)의 비율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및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의 비율은 37.4:33.3:29.3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은 복수의 재생부(210)와 인접한 베이스 기판(220) 및 커버층(230)과의 굴절률 차이 및 인접한 재생부(210)들의 회절에 의해, 투과 영역(TA)을 통해 제1 경로(RL1)로 입사되는 발광 영역(EA)의 광을 제1 경로(RL1)와 반대되는 제2 경로(RL1-1)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재생부(210)는 발광 영역(EA)에서 광이 발광한 위치로 포커싱하여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은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원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재생부재(211), 제2 재생부재(212), 및 제3 재생부재(213)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높이(H)는 최대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가시광선 파장 범위는 380 nm 에서 780 nm이므로, 최대 가시광선 파장대는 780 nm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높이(H)는 1 ㎛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재생부(210)의 높이가 1 ㎛ 미만일 경우 가시광선 파장 범위에 속할 수 있고, 이 경우, 수직 방향의 회절 간섭 현상이 심화되어 제2 경로(RL1-1)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재생부(210)의 높이가 1 ㎛ 미만이면, 가시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두께가 되지 못하기 때문에, 가시광선이 재생부(210)에 의해 반사되지 못하고 투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높이가 최대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제2 경로(RL1-1)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재생부(210)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높이(H)는 반사시키는 광의 경로를 결정하는 인자일 수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및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및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 각각은 최대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직경(
Figure pat00001
)은
Figure pat00002
와 같은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a는 간섭 상수이고, e는 지수함수이고, π는 원주율이고, h는 플랑크 상수이고, c는 빛의 속도이고, ne는 유효굴절률이며, λT는 파장을 의미한다. a, e, π, h, c, ne는 상수이기 때문에,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직경(
Figure pat00003
)은 파장(λT)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재생부재(211)들, 제2 재생부재(212)들, 및 제3 재생부재(213)들 각각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재생부재(212)들 각각의 직경(
Figure pat00004
2)은 제1 재생부재(211)들 각각의 직경(
Figure pat00005
1)보다 작고, 제3 재생부재(213)들 각각의 직경(
Figure pat00006
3)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학식에 의해 제1 재생부재(211)들은 적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제2 재생부재(212)들은 녹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제3 재생부재(213)들은 청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직경(
Figure pat00007
)은 반사시키는 광의 색상(또는 파장대)를 결정하는 인자일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간격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은 원 또는 서클 각각에 배치되는 복수의 재생부(210)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간격은 도 6에서 제1 재생영역(RA1)에 배치된 제1 재생부재(211)들 간의 내부 거리(RID)를 의미할 수 있다.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는 380 nm이므로, 복수의 재생부(10) 간의 내부 거리는 380 n1 재생부재(211)) 간의 내부 거리(RID)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되는 이유는, 해당하는 가시광선의 색(또는 파장)을 반사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재생부 간의 내부 거리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를 초과하여 구비되면, 재생부는 가시광선 파장대가 아닌 자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재생부(210) 간의 내부 거리(RID)는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재생부(210)들 간의 내부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적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재생부(210) 간의 내부 거리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되되, 적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재생부재(212)들 간의 간격(또는 내부 거리)(GID, 도 9에 도시됨)은 제1 재생부재(211)들 간의 간격(또는 내부 거리)(RID)보다 크고 제3 재생부재(213)들 간의 간격(또는 내부 거리)(BID, 도 10에 도시됨)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재생부재(211)들은 적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제2 재생부재(212)들은 녹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제3 재생부재(213)들은 청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생부재(211)들 간의 내부 거리(RID)는 95 nm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재생부재(212)들 간의 내부 거리(GID)는 100 nm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재생부재(213)들 간의 내부 거리(BID)는 115 nm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직경과 내부 거리는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 중 어느 하나를 반사시키기 위한 결정 인자일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가 갖는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211a),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211b), 및 복수의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211a)는 적색 광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제1 재생영역(RA1)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는 제2 재생영역(RA2)과 인접한 제3 재생영역(RA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재생부재(211)는 투과 영역(TA)의 중심부분에 대응되는 제1 재생영역(RA1)에 배치되므로, 제1 재생영역(RA1)에 인접한 제2 재생영역(RA2)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는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211a)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211a)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는 내부 거리(RID)보다 큰 외부 거리(RED)로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거리(RID)는 복수의 재생부(210)가 반사시키는 광의 파장대 즉, 색을 결정하는 인자이다. 반면, 외부 거리(RED)는 복수의 재생부(210)가 반사시키는 광의 방향을 결정하는 인자이다. 예컨대,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는 재생영역의 중심부분 즉, 제1 재생영역(RA1)에 위치된 제1 서브 재생부재(211a)와 보강 간섭을 통해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된 위치로 적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외부 거리(RED)는 최대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거리(RED)는 1 ㎛를 초과하여 구비될 수 있다. 외부 거리가 1 ㎛ 이하이면 인접한 제1 재생부재(211)들과의 보강 간섭이 너무 커져서 반사되는 광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외부 거리가 너무 크면 인접한 제1 재생부재(211)들과의 보강 간섭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발광된 위치로 광이 반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영상 광이 입사되는 제1 경로와 반대되는 제2 경로로 영상 광이 반사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복수의 재생부(210)의 외부 거리가 최대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재생판(200)은 투과 영역(TA)과 비중첩되는 제4 재생영역(RA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재생영역(RA4)에는 제1 재생부재(211)들, 제2 재생부재(212)들, 및 제3 재생부재(213)들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재생영역(RA4)에 배치된 제1 재생부재(211)들, 제2 재생부재(212)들, 및 제3 재생부재(213)들은 비발광 영역에 배치된 평탄화층(113) 및/또는 뱅크(115)에 제3 축 방향(Z)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는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는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를 둘러싸도록 제4 재생영역(RA4)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는 내부 거리(RID)보다 큰 외부 거리(RED)로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는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211a)와 제1 외부 거리(RED1)로 이격될 수 있고, 복수의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는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211b)와 제2 외부 거리(RED2)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외부 거리(RED2)는 제1 외부 거리(RED1)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재생영역(RA1)에서 제4 재생 영역(RA4)으로 갈수록 재생부재(210)들의 개수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4 재생영역(RA4)으로 입사되는 광은 재생부재(210)들에 의해 반사되지 못하고 기판(110) 상에서 재생부재(210)들에 의해 웨이브 가이드되어 소멸될 수 있다. 그러나, 제4 재생영역(RA4)에 배치된 제1 재생부재(211)들, 제2 재생부재(212)들, 및 제3 재생부재(213)들은 제1 내지 제3 재생영역(RA1, RA2, RA3)에 배치된 제1 재생부재(211)들, 제2 재생부재(212)들, 및 제3 재생부재(213)들이 반사시키는 광 경로 형성에 회절(보강 간섭 또는 소멸)을 통해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영역(EA)에서 발광하여 투과 영역(TA)을 통해 제1 서브 재생부재(211a)들을 향해 제1 경로(RL1)로 입사되는 광은 제1 경로(RL1)와 반대되는 제2 경로(RL1-1)로 반사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영역(EA)에서 발광하여 투과 영역(TA)을 통해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들을 향해 제1 경로(RL2)로 입사되는 광은 제1 경로(RL2)와 반대되는 제2 경로(RL2-1)로 반사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영역(EA)에서 발광하여 투과 영역(TA)을 통해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들을 향해 제1 경로(RL3)로 입사되는 광은 웨이브 가이드되어 소멸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재생부(210)에 의한 회절(또는 보강 간섭과 소멸)을 설명하기 위해, 제3 재생영역(RA3)과 제4 재생영역(RA4) 각각에 배치된 제2 서브 재생부재(211b)와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투과 영역(TA)에서 제3 재생영역(RA3)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2 서브 재생부재(211b)들에 의해 반사되어 파동 형태로 회절될 수 있다. 그리고, 투과 영역(TA)에서 제4 재생영역(RA4)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들에 의해 반사되어 파동 형태로 회절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제2 서브 재생부재(211b)와 제3 서브 재생부재(211c) 각각에서 회절된 파동은 서로 중첩될 수 있고, 중첩되는 부분에서 보강 간섭이 일어나 도 7과 같이 대각선 경로(VL)를 갖는 광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각선 경로(VL)의 광은 제3 재생영역(RA3)에도 영향을 미쳐서 결과적으로 제2 경로(RL2-1)가 형성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재생부재(211b)와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는 제2 외부 거리(RED2)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외부 거리(RED2) 내에는 적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서브 재생부재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회절이 발생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중첩되는 파동의 개수(또는 양)가 적다. 따라서, 제2 서브 재생부재(211b)와 제3 서브 재생부재(211c) 사이에서는 보강 간섭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수직 경로(EL)를 갖는 광이 소멸되므로 광 경로 변경에 기여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광의 회절 특성인 보강 간섭과 소멸의 영향을 받아 재생부(210)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최종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재생영역(RA1)에 배치된 제1 서브 재생부재(211a) 및 제4 서브 재생영역(RA4)에 배치된 제3 서브 재생부재(211c)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4 재생영역(RA4) 쪽으로 입사되는 광(RL3)은 제3 서브 재생부재(211c)가 반사시킬 수 있는 임계각을 초과하는 경로로 입사되므로, 도 8과 같이 제3 서브 재생부재(211c)에 의해 반사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재생영역(RA4)을 향해 제3 경로(RL3)로 입사되는 광은 제3 서브 재생부재(211c)의 상면과 베이스 기판(220)의 상면에 웨이브 가이드되어 소멸될 수 있다.
다음, 제1 재생영역(RA1) 쪽으로 제1 경로(RL1)로 입사되는 광은 베이스 기판(220)의 굴절률(n1), 제1 서브 재생부재(211a)의 굴절률(n2), 및 커버층(230)의 굴절률(n3) 차이에 의해, 제1 서브 재생부재(211a)의 내부에서 반사되어 제2 경로(RL1-1)로 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는 파동이 하나의 매질에서 다른 종류의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의 사인 값과 굴절각의 사인 값의 비가 항상 일정하다는 스넬의 법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베이스 기판(220)의 굴절률(n1)은 커버층(230)의 굴절률(n3)보다 크고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굴절률(n2)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220)의 굴절률(n1)은 1.7~1.8일 수 있고, 커버층(230)의 굴절률(n3)은 1.4~1.5일 수 있고,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의 굴절률(n2)은 2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재생판(200)이 갖는 베이스 기판(220), 커버층(230), 및 복수의 재생부(210) 간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도 8과 같이 투과 영역(TA)에서 제1 경로(RL1)로 입사되는 영상 광을 제1 경로(RL1)와 반대되는 제2 경로(RL1-1)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경로(RL1-1)는 인접한 재생부(210)들과의 보강 간섭과 소멸이 합쳐진 최종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해당하는 색상을 반사시키기 위해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복수의 재생부(210), 복수의 재생부(210) 간의 간격을 통한 회귀 반사 경로가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회귀 반사 경로는 베이스 기판(220), 커버층(230), 및 복수의 재생부(210) 간의 굴절률 차이, 및 복수의 재생부(210)에 의해 회절된 광의 보강 간섭과 소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은 기판(110)의 전면으로 출사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어 전면으로 출사되는 광과 합쳐져서 영상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으므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커버층(230)의 높이(CH)는 복수의 재생부(210)의 높이(H)의 1.5배 이상 2배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층(230)은 평탄화층(113)과 유사한 유기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물질은 흡광계수를 갖기 때문에, 두께가 1.5배 미만으로 너무 얇으면 광 흡수율이 낮아져서 보강 간섭이 커질 수 있다. 보강 간섭이 커지면 반사되는 광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반대로, 커버층(230)의 두께가 2배를 초과하여 너무 두꺼우면 광 흡수율이 커져서 반사되는 광량이 감소되어 상이 흐리게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커버층230)의 높이(CH)가 복수의 재생부(210)의 높이(H)의 1.5배 이상 2배 이하로 구비됨으로써, 입사되는 광 경로와 반대되는 광 경로로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상이 흐리게 보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재생판(200)이 기판(110)으로부터 소정 거리(D)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재생판(200)은 영상 광에 대한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 즉, 외광이 투과되지 않는 비투과 모드에서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외광이 표시 패널을 투과하는 투과 모드에서는 재생판(200)이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재생판(200)은 비투과 모드와 투과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기판(110)의 배면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재생판(200)은 기판(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재생판(200)의 이동 시 기판(110)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 방지를 위해 소정 거리(D)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재생판(200)은 기판(110)의 배면으로부터 10 ㎛ 이하로 배치될 수 있다. 재생판(200)이 기판(110)의 배면으로부터 10 ㎛ 를 초과하여 배치되면, 기판(110)의 배면과 복수의 재생부(210) 간의 거리가 멀어져서 재생부(210)들에 의한 반사율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재생부(210)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재생판(200)과 기판(110)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생판(200)이 기판(110)의 배면으로부터 10 ㎛ 이하로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재생부(210)들에 의한 반사율 저하 및 반사되는 광의 경로가 달라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비투과 모드 시 기판(110)의 배면에 중첩되도록 재생판(200)이 이동될 수 있고, 투과 모드 시 기판(110)의 배면에 비중첩되도록 재생판(200)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암막을 치는 등의 행위가 생략될 수 있어서 투과 모드와 비투과 모드 간의 전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비투과 모드 시 기판(110)의 배면에 재생판(200)이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표시 패널 내부에서 투과 영역을 불투명하게 전환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재생판(200)이 갖는 복수의 재생부(210) 각각은 제2 경로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베이스 기판(220) 및 커버층(230) 각각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재생부(210)들 각각은 TiX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광이 입사되는 제1 경로와 반대되는 제2 경로로 영상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면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수의 재생부(210)를 지지하는 베이스 기판(220)은 투과 영역(TA)을 통해 외광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 투과율이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베이스 기판(220)은 블랙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10)의 배면 쪽으로 입사되는 외광은 블랙 물질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220)에 가려져서 기판(110)의 투과 영역(TA)으로 입사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투과 영역(TA)을 통한 외광 입사를 방지하면서 기판(110)의 전면으로 출사되는 영상 광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영상 광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선 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2 재생부재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는 제2 재생영역(RA2), 제3 재생 영역(RA3), 및 제4 재생영역(RA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재생영역(RA2, RA3, RA4) 각각에 배치된 제2 재생부재(212)들은 소정의 내부 거리(GID)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재생부재(212)들의 내부 거리(GID)는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녹색(또는 녹색 파장)을 반사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재생부재(212)들 간의 내부 거리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를 초과하여 구비되면, 제2 재생부재(212)들은 가시광선 파장대가 아닌 자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간의 내부 거리(RID)는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재생부재(212)들 간의 내부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적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들 간의 내부 거리(GID)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되되, 적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내지 제4 재생영역(RA2, RA3, RA4) 각각에 배치된 제2 재생부재(212)들은 소정의 외부 거리(GED)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부 거리(GED)는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가 반사시키는 광의 방향을 결정하는 인자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제3 재생영역(RA3)에 배치된 제2 재생부재(212)들은 제2 재생영역(RA2)에 위치된 제2 재생부재(212)와 보강 간섭을 통해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된 위치 쪽으로 회귀되도록 녹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투과 영역(TA)에서 제2 재생부재(212)들을 향해 제1 경로(GL1, GL2)로 입사되는 광은 제1 경로(GL1, GL2)와 반대되는 제2 경로(GL1-1, GL2-1)로 반사될 수 있다. 제2 재생부재(212)들에 의해 제2 경로(GL1-1, GL2-1)로 반사(또는 회귀)되는 광 중 일부는 제2 기판(110')을 통해 출사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봉지층(118)의 경계면 또는 제2 기판(110')의 하면에 반사되어 화소 전극(114) 쪽으로 반사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으로 입사되는 광은 화소 전극(114)에 의해 반사되어 제2 기판(110')으로 출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재생부재(212)들에 의해 반사된 광은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어 제2 기판(110')으로 바로 출사되는 광과 합쳐져서 영상 광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와 같이, 제4 재생영역(RA4)을 향해 제3 경로(GL3)로 입사되는 광은 제2 재생부재(212)들이 반사시킬 수 있는 임계각을 초과하여 입사되므로, 제2 재생부재(212)들에 의해 반사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재생영역(RA4)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2 재생부재(212)들의 상면과 베이스 기판(220)의 상면에 웨이브 가이드되어 소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투과 영역(TA)에서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들로 입사되는 녹색 광은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간의 간격을 통한 회귀 반사 경로가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회귀 반사 경로는 베이스 기판(220), 커버층(230), 및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간의 굴절률 차이, 및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에 의해 회절된 광의 보강 간섭과 소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재생부재(212), 베이스 기판(220), 및 커버층(230)의 굴절률 차이, 및 광의 회절에 의한 보강 간섭과 소멸은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선 Ⅲ-Ⅲ'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제3 재생부재의 광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는 제2 재생영역(RA2), 제3 재생 영역(RA3), 및 제4 재생영역(RA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재생영역(RA2, RA3, RA4) 각각에 배치된 제3 재생부재(213)들은 소정의 내부 거리(BID)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3 재생부재(213)들의 내부 거리(BID)는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청색(또는 청색 파장)을 반사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3 재생부재(213)들 간의 내부 거리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를 초과하여 구비되면, 제3 재생부재(213)들은 가시광선 파장대가 아닌 자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 간의 내부 거리(BID)는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3 재생부재(213)들 간의 내부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적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들 간의 내부 거리(BID)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게 구비되되, 적외선 파장대를 반사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내지 제4 재생영역(RA2, RA3, RA4) 각각에 배치된 제3 재생부재(213)들은 소정의 외부 거리(BED)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부 거리(BED)는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가 반사시키는 광의 방향을 결정하는 인자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제3 재생영역(RA3)에 배치된 제3 재생부재(213)들은 제2 재생영역(RA2)에 위치된 제3 재생부재(213)와 보강 간섭을 통해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된 위치 쪽으로 회귀되도록 청색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투과 영역(TA)에서 제3 재생부재(213)들을 향해 제1 경로(BL1, BL2)로 입사되는 광은 제1 경로(BL1, BL2)와 반대되는 제2 경로(BL1-1, BL2-1)로 반사될 수 있다. 제3 재생부재(213)들에 의해 제2 경로(BL1-1, BL2-1)로 반사(또는 회귀)되는 광 중 일부는 제2 기판(110')을 통해 출사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봉지층(118)의 경계면 또는 제2 기판(110')의 하면에 반사되어 화소 전극(114) 쪽으로 반사될 수 있다. 화소 전극(114)으로 입사되는 광은 화소 전극(114)에 의해 반사되어 제2 기판(110')으로 출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3 재생부재(213)들에 의해 반사된 광은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어 제2 기판(110')으로 바로 출사되는 광과 합쳐져서 영상 광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제4 재생영역(RA4)을 향해 제3 경로(BL3)로 입사되는 광은 제3 재생부재(213)들이 반사시킬 수 있는 임계각을 초과하여 입사되므로, 제3 재생부재(213)들에 의해 반사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재생영역(RA4)으로 입사되는 광은 제3 재생부재(213)들의 상면과 베이스 기판(220)의 상면에 웨이브 가이드되어 소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투과 영역(TA)에서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들로 입사되는 청색 광은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 간의 간격을 통한 회귀 반사 경로가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회귀 반사 경로는 베이스 기판(220), 커버층(230), 및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 간의 굴절률 차이, 및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에 의해 회절된 광의 보강 간섭과 소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제3 재생부재(213), 베이스 기판(220), 및 커버층(230)의 굴절률 차이, 및 광의 회절에 의한 보강 간섭과 소멸은 복수의 제1 재생부재(2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유기발광층(116)이 복수의 서브 화소(SP)에 공통적으로 구비되어 백색 광을 발광하는 구조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서브 화소(SP) 각각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SP)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경우, 투과 영역(TA)에 중첩되는 재생판(200)에는 해당하는 색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복수의 재생부(210)만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서브 화소(SP)에 인접하는 투과 영역(TA)에 중첩되는 재생판(200)에는 제1 재생부재(211)들만이 배치될 수 있고, 녹색 서브 화소(SP)에 인접하는 투과 영역(TA)에 중첩되는 재생판(200)에는 제2 재생부재(212)들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청색 서브 화소(SP)에 인접하는 투과 영역(TA)에 중첩되는 재생판(200)에는 제3 재생부재(213)들만이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조의 간소화를 위해 적색, 녹색, 청색 서브 화소(SP) 각각에 인접하는 투과 영역(TA)에 중첩되는 재생판(200)에는 동일한 형태의 제1 내지 제3 재생부재(211, 212, 213)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투명 표시 장치
110: 제1 기판 111: 회로 소자층
111a: 게이트 절연막 111b: 층간 절연막
111c: 보호층 112: 박막 트랜지스터
113: 평탄화층 114: 화소 전극
115: 뱅크 116: 유기발광층
117: 제 2 전극 118: 봉지층
110': 제2 기판 120: 소스 드라이브 IC
130: 연성 필름 140: 회로 보드
150: 타이밍 제어부 EA: 발광 영역
TA: 투과 영역 200: 재생판
210: 재생부 220: 베이스 기판
230: 커버층 211: 제1 재생부재
212: 제2 재생부재 213: 제3 재생부재

Claims (26)

  1.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재생판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판은 상기 투과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복수의 재생부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부는 상기 발광 영역에서 발광하여 상기 투과 영역을 통해 제1 경로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1 경로와 반대되는 제2 경로로 반사시키는 투명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부 각각의 높이는 최대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큰 투명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부 각각의 간격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은 투명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부 각각의 직경은
    Figure pat00008
    를 만족하고,
    상기 a는 간섭 상수이고, 상기 e는 지수함수이고, 상기 π는 원주율이고, 상기 h는 플랑크 상수이고, 상기 c는 빛의 속도이고, 상기 ne는 유효굴절률이며, 상기 λT는 파장인 투명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부는,
    적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
    녹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청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3 재생부재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에 대한 상기 복수의 제1 재생부재의 비율은 상기 복수의 제2 재생부재의 비율, 및 상기 복수의 제3 재생부재의 비율 각각보다 큰 투명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부재들 각각의 직경은 상기 제1 재생부재들 각각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3 재생부재들 각각의 직경보다 큰 투명 표시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부재들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재생부재들 간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3 재생부재들 간의 간격보다 작은 투명 표시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재생부재의 일부는 상기 투과 영역의 중심부분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영역은 중심 부분인 제1 투과영역, 가장자리 부분인 제3 투과영역, 및 제1 투과영역과 제3 투과영역 사이의 제2 투과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판은 상기 제1 투과영역에 중첩되는 제1 재생영역, 상기 제2 투과영역에 중첩되는 제2 재생영역, 및 상기 제3 투과영역에 중첩되는 제3 재생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재생부재들은 상기 제1 재생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 및 상기 제3 재생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를 둘러싸는 투명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 각각은 내부 거리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재생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는 상기 내부 거리보다 큰 제1 외부 거리로 이격된 투명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판은 상기 투과 영역과 비중첩되는 제4 재생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재생부재들은 상기 제4 재생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를 둘러싸는 복수의 제3 서브 재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재생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재생부재와 제2 외부 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외부 거리는 상기 제2 외부 거리보다 큰 투명 표시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판은 상기 투과 영역과 비중첩되는 제4 재생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재생영역에는 상기 제1 재생부재들, 상기 제2 재생부재들, 및 상기 제3 재생부재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판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10 ㎛ 이하로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판은,
    상기 복수의 재생부가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복수의 재생부를 덮는 커버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굴절률은 커버층의 굴절률보다 크고 복수의 재생부 각각의 굴절률보다 작은 투명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의 높이는 상기 복수의 재생부의 높이의 1.5배 이상 2배 이하인 투명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부는 원 및/또는 서클 형태로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19.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 각각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발광영역에서 발광하여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재생판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판은,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적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1 재생부재;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녹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상기 투과영역을 통해 입사되는 청색 광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3 재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재생부재, 상기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3 재생부재는 교번하여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재생부재, 상기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3 재생부재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에서 발광하여 상기 투과 영역을 통해 제1 경로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1 경로와 반대되는 제2 경로로 반사시키는 투명 표시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재생부재, 상기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3 재생부재 각각의 높이는 최대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큰 투명 표시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부재들 각각의 직경은 상기 제1 재생부재들 각각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3 재생부재들 각각의 직경보다 큰 투명 표시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재생부재, 상기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3 재생부재 각각의 간격은 최소 가시광선 파장대보다 작은 투명 표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부재들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재생부재들 간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제3 재생부재들 간의 간격보다 작은 투명 표시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재생부재의 일부는 상기 투과 영역의 중심부분에 중첩되도록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재생부재, 상기 복수의 제2 재생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3 재생부재는 원 및/또는 서클 형태로 배치된 투명 표시 장치.
KR1020210177812A 2021-12-13 2021-12-13 투명 표시 장치 KR20230089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812A KR20230089294A (ko) 2021-12-13 2021-12-13 투명 표시 장치
CN202211168034.2A CN116263547A (zh) 2021-12-13 2022-09-23 透明显示设备
US17/984,142 US20230189604A1 (en) 2021-12-13 2022-11-09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812A KR20230089294A (ko) 2021-12-13 2021-12-13 투명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94A true KR20230089294A (ko) 2023-06-20

Family

ID=8669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812A KR20230089294A (ko) 2021-12-13 2021-12-13 투명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89604A1 (ko)
KR (1) KR20230089294A (ko)
CN (1) CN116263547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6688A (ja) * 2000-12-25 2002-07-12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JP3675427B2 (ja) * 2001-09-25 2005-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透過・反射型液晶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219042B1 (ko) * 2005-12-06 2013-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TW200844548A (en) * 2007-05-01 2008-11-16 Au Optronics Corp Display
CN102789101A (zh) * 2012-07-27 2012-1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蓝相液晶面板和显示装置
US20160327853A1 (en) * 2015-05-08 2016-11-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ransparent active window display
KR20210075441A (ko) * 2019-12-13 2021-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 장치
TWI743680B (zh) * 2020-02-13 2021-10-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偏光基板及其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63547A (zh) 2023-06-16
US20230189604A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330B1 (ko) 표시 장치
US1031994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7477357B2 (ja) 表示装置
JP6487898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JP2017016822A (ja) 有機el装置、有機el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60027337A (ko) 디스플레이
US11276838B2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21008160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476446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675176B1 (en) Display device
US11063245B2 (en) Display apparatus
US20230189556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20230066878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30089294A (ko) 투명 표시 장치
KR20200075597A (ko) 표시장치
CN105549255A (zh) 显示装置
CN114497129A (zh) 有机发光设备、显示设备、光电转换设备、电子器件、照明设备和移动物体
KR102658429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2009531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US2023015706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WO2024116029A1 (ja) 光学機器および電子機器
US20220199680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TWI711335B (zh) 發光裝置
KR20200073980A (ko) 표시 장치
KR20230100153A (ko) 투명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