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448A - 최종 충전 조립체 및 무결성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최종 충전 조립체 및 무결성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448A
KR20230088448A KR1020237016410A KR20237016410A KR20230088448A KR 20230088448 A KR20230088448 A KR 20230088448A KR 1020237016410 A KR1020237016410 A KR 1020237016410A KR 20237016410 A KR20237016410 A KR 20237016410A KR 20230088448 A KR20230088448 A KR 20230088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edundant
final
assembly
filtra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산토쉬 라한
찰스 레이
안 손 레옹
Original Assignee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8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01D61/146Ultrafiltration comprising multiple ultrafiltration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2Detection of leaks 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9Testing of membrane fouling or clogging, e.g. amount or affin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2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 G01N15/0826Investigating permeability by forcing a fluid through a sample and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permeation rate or pressure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9Specific flow restri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84Testing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다목적 벤트 포트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고, 중복 여과 조립체는 구성요소의 양과 조립체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켜, 제품 손실의 최소화를 촉진한다. 사용 전 멸균 후 무결성 테스트(PUPSIT)를 수행하는 방법(들)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최종 충전 조립체 및 무결성 테스트 방법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20년 11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3/115,83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개시 분야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생물학적 유체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바이오처리에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무결성 테스트에 관한 것이다.
제조업자가 생산 일정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세정을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며 가요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생물학적 제품의 제조 전반에 걸쳐 일회용 조립체가 점점 더 많이 구현되고 있다. 사전 멸균된 일회용 조립체는 멸균성을 유지하는 것이 환자를 위한 생물학적 제제 및 약물 안전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최종 여과 및 충전 작업에 이점을 제공한다. 최종 생물학적 제품의 여과 비용이 높기 때문에, 과거의 전통적인 종래 기술 조립체는 최종 여과가 임의의 오류 없이 발생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1차 필터에 추가하여 중복 필터의 사용을 수반한다. 일회용 중복 여과 조립체는 SURF 조립체라고 지칭된다.
제조 프로세스가 발전됨에 따라, 필터 캡슐의 설계도 발전하였다. 예를 들어, 과거의 캡슐 필터에는 전통적인 필터 벤트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외부 환경의 미생물이 무균 유로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증된 특수 포트로 대체되었다. 이 특수 포트는 환기, 샘플링 및 공기 라인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 전, 멸균 후, 무결성 테스트(pre-use, post sterilization, integrity testing)(PUPSIT)를 단순화한다. 전통적인 필터 벤트와 달리, 무균 다목적 포트(aseptic multi-purpose port)(달리 "AMPP"라고 공지됨)는 필터 무결성 테스트에 필요한 고압을 견디면서 무균 연결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여과 시스템에서 제품을 회수하기 위해 처리 후 무균 다목적 포트를 통해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소량 처리 시에 또는 고부가가치 약물 제품이 처리되는 경우에, 이 회수 단계는 상당한 경제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전반적으로, SURF 조립체의 설계는 여과 작업 중에 발생하는 제품 손실을 최소화하고 조립체에서 제품을 회수하는 능력을 목표로 한다. 이는 SURF 조립체의 전체 정체 체적을 감소시키거나 여과 후 여러 회수 단계를 도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수 단계는 조립체의 멸균성을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 그러나, 과거의 SURF 조립체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 및 장벽 필터의 사용을 필요로 하였다. 과거의 일부 SURF 조립체에는 하나의 장벽 필터 대신에 2개의 별개의 필터가 포함되었을 수 있고, 이에 의해 하나의 필터는 가스의 출구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액체의 출구 역할을 한다.
정체 체적이 감소되며 여과 작업 동안 제품 손실을 최소화하는, 보다 적은 장벽 필터 및/또는 가스 필터 및/또는 액체 필터를 갖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는, 본 기술 분야에서 진보를 나타낼 것이다. 더 적은 장벽 필터 및/또는 가스 필터 및/또는 액체 필터를 갖는 사용 전 멸균 후 무결성 테스트도 본 기술 분야에서 진보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몇몇 실시예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를 포함하고, 이 조립체는: 생물학적 제품을 전달하기 위한 주 도관을 포함하고, 주 도관은 주 도관 내에 배치된 1차 최종 충전 필터; 주 도관의 말단 단부에 있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클램프가 제1 커넥터의 하류에서 주 도관 내에 배치되며; 중복 최종 충전 필터가 주 도관 내에 배치되고; 중복 최종 충전 필터와 유체 연통하는 공기 라인이 주 도관에 결합되며, 공기 라인은 원위 단부에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벤트가 공기 라인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벤트 백이 중복 최종 충전 필터와 유체 연통하고; 2개의 클램프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하류에 배치되며, 핀칭 클램프가 2개의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벤트 백, 공기 라인, 및 임의적인 클램프 및 가스 필터가 1차 필터와 유체 연통하며; 클램프가 1차 필터의 하류에서 주 도관에 배치되며; 2차 도관이 주 도관에 결합되고; 2차 도관은 장벽 필터를 더 포함하고, 장벽 필터 및 2차 도관은 주 도관과 결합되며, 핀칭 클램프가 주 도관 상에 배치되고, 주 도관은 제2 커넥터에서 종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의 하류에 있는 가스 필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2개의 벤트 백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샘플링 백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2개의 벤트 백 사이의 공기 라인 상에 배치된 클램프 또는 밸브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벤트는 무균 다목적 포트(AMPP)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도관의 제1 단부에서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에 연결된 도관을 갖는 연동 펌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하나 초과의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도관의 제1 단부와 상이한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에 연결된 도관의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재순환 용기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일회용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스테인리스강 및 일회용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몇몇 실시예는 중복 여과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최종 충전 필터를 통해 습윤 액체를 유동시키는 단계; 원위 단부에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라인을 통해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 내로 가압 공기를 도입하는 단계; 습윤 액체의 조립체를 배수하는 단계; 출구를 통해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를 빠져나가기 전에 공기 입구 상의 가스 필터를 통해 그리고 벤트와 최종 충전 필터를 통해 가압 공기를 통과시키는 단계; 및 기포 지점 테스트, 확산 테스트, 수류 테스트, 및 압력 유지 테스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6항의 방법에서, 벤트는 무균 다목적 포트(AMPP) 벤트 포트이다. 제16항 또는 제17항의 방법에서, 1차 필터와 중복 필터 사이에 클램프를 배치함으로써, 중복 필터의 하류측과 1차 필터용 공기 입구 사이의 유체 연통을 회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배수 단계는 중력 배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배수 단계는 블로우 다운(blow-down)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최종 충전 필터는 1차 최종 충전 필터이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최종 충전 필터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1차 필터 상의 AMPP 벤트 포트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장벽 필터는 가압 공기의 최종 출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1차 필터 상의 AMPP 벤트 포트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AMPP 벤트 포트는 가압 공기의 최종 출구이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 공기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용 공기 입구 및 중복 최종 충전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여과 조립체를 빠져나간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 공기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공기 입구를 통해 중복 최종 충전 필터로 순차적으로 나아가고 1차 최종 충전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여과 조립체를 빠져나간다. 방법의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 공기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공기 입구를 통해 중복 최종 충전 필터로 순차적으로 나아가고 1차 최종 충전 필터의 공기 입구를 통해 중복 여과 조립체를 빠져나간다.
청구범위에 보다 완전하게 기재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도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및/또는 설명된 무균 다목적 벤트 포트(AMPP)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중복 여과 조립체는 구성요소의 개수와 조립체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켜, 제품 손실의 최소화를 촉진한다. 사용 전 멸균 후 무결성 테스트(PUPSIT)를 수행하는 방법(들)이 또한 개발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이점, 양태, 신규하고 독창적인 특징, 뿐만 아니라 그 예시적인 실시예의 세부 사항은 다음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중복 및 1차 필터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전통적인 종래 기술 조립체에서 최종 필터를 통해 이동하여 각각의 장벽 필터로부터 외향으로 이동할 때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정체 체적을 감소시키고 여과 작업 동안 제품 손실을 최소화하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중복 여과 조립체를 사용하여 회수 또는 제품 손실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 설정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간소화된 조립체와 종래 기술 조립체의 정체 체적을 비교하고 간소화된 조립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작은 크기로 인해 상당히 더 적은 정체 체적을 가짐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중복 여과 조립체와 도 3의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 대한 제품 손실 사이의 차이를, 회수 단계로서 중력 배수가 모두에 대해 채용된 후에 비교한다.
도 7은 상이한 점도를 갖는 상이한 액체에 대한 회수 방법의 함수로서 회수되지 않은 액체의 체적을 비교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중복 여과 조립체와 도 3의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제품 손실 정도에 대한 조립 각도의 영향을 비교한다.
도 9a 및 도 9b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를 위한 1차 및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중복 최종 충전 필터를 무결성 테스트할 때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1차 및 중복 필터의 상류에 있는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시간의 함수로서 압력 전개를 도시한다.
도 11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2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변형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3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서 1차 및 중복 필터의 상류에 있는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시간의 함수로서 압력 전개를 도시한다.
도 14는 중복 여과 조립체의 변형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5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6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변형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8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9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 위에서 간단히 요약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보다 특정한 설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첨부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만을 예시하고 따라서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가 다른 동등하게 효과적인 실시예를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나의 실시예의 요소 및 특징은 추가 언급 없이 다른 실시예에서 발견될 수 있고, 동일한 참조 번호가 때때로 도면에 공통인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장벽 필터"는 소수성 및 친수성 성분을 모두 가지므로, 하나는 가스에 대해 친수성이고 다른 하나는 소수성인 2개의 필터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심층 필터(depth filter)"는 필터 재료의 깊이 내에서 여과를 달성하는 필터이다. 심층 필터에서의 입자 분리는 필터 재료를 포함하는 섬유 및 필터 보조제 매트릭스에 의한 포획 또는 흡착으로 인해 초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멸균" 및 "멸균된"은 오염물이 없는 상태, 특히 바이오처리 산업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균, 및 다른 미생물과 같은 병원체가 없는 상태로서 정의된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바이오버든-감소(bioburden-reduced)" 및 "바이오버든 감소"(예를 들어, 감마의 비살균 선량 또는 25 kGy 미만의 X-선 방사선에 의한)는 멸균 주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정 실시예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상류"는, 미생물/세포, mAb, ADC, 치료 단백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바이러스 벡터 등과 같은 생물학적 재료의 처리에서, 특정 유형의 생물학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제어된 조건 하에 세포 배양 배지 내의 생물반응기에서 성장 또는 접종되는 제1 단계 프로세스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하류"는 생물반응기 내에서 성장 및 증식 후에 생물학적 제품이 수확, 테스트, 정제, 농축 및 포장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정화"는 하류 프로세스로서 정의되며, 전체 세포, 세포 파편, 가용성 불순물(HCP 및/또는 DNA), 부유 입자, 및/또는 혼탁도는 원심 분리 및/또는 심층 여과를 사용하여 세포 배양 공급 스트림으로부터 감소 및/또는 제거된다. 용어 "정화하다", "정화", "정화 단계" 및 "수확"은 일반적으로 생체 분자의 정제에서 초기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지칭한다. 정화 단계는 일반적으로 생물반응기로부터 수확 작업 동안 전체 세포 및/또는 세포 파편의 제거를 포함하지만, 다른 민감한 여과 단계, 예를 들어 바이러스 여과를 보호하기 위해 하류 프로세스 중간체 또는 사전 필터에 대한 혼탁도 감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정제"는 하류 프로세스로서 정의되며, 숙주 세포 단백질, DNA 및 프로세스 잔류물을 포함하는 벌크 오염물 및 불순물이 제품 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된다.
용어 "연마"는 하류 프로세스로서 정의되며,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이 제품과 매우 유사한 미량의 오염물 또는 불순물이 정제된 제품 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불순물" 또는 "오염물"은 DNA, RNA, 하나 이상의 숙주 세포 단백질, 내독소, 지질, 응집 폴리머, 계면활성제, 소포 첨가제(들),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외래 또는 불리한 분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분리되는 표적 분자를 함유하는 샘플에 존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같은 생물학적 거대분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외래 또는 불리한 분자를 지칭한다. 추가로, 이러한 불순물은 본 발명의 방법 이전에 발생할 수 있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시약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은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정체 체적"은 사용 중 중복 여과 조립체 내의 이동 상의 체적을 지칭한다.
조립체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중복 및 1차 필터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종래 기술의 중복 여과 조립체를 도시하며, 필터는 Millipak® 최종 충전 필터 또는 임의의 다른 멸균 필터일 수 있다. 대부분의 다른 멸균 필터의 경우, 무결성 테스트를 위한 공기 라인이 필터의 벤트에 직접 연결될 수 없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결성 테스트를 위한 추가 입구가 요구된다. 또한, 무결성 테스트 전에, 특정 압력 및 유량에서 습윤 유체를 사용하여 필터를 습윤시켜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 습윤 유체는 각각의 필터를 통과하고 다른 연결부를 사용하여 조립체를 빠져나와야 한다. 이 연결부는 임의의 멸균 필터 또는 사전 멸균된 백, 또는 친수성/혐기성 필터(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결성 테스트에 사용되는 가압 공기도 각각의 필터를 통과하고 연결부를 사용하여 조립체를 빠져나와야 한다. 이 연결부는 가스 필터 또는 친수성/혐기성 필터(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요약하면, 각각의 필터를 통과한 후 조립체를 빠져나가는 액체 및 가스에 대한 연결부는 친수성/혐기성 필터 또는 별개의 가스 및 액체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개략도의 경우, 습윤 프로세스 중에, 습윤 유체는 각각의 최종 충전 필터 하류인 Millipak® 장벽 필터를 통해 조립체를 빠져나가고, 그에 의해 Millipak® 장벽 필터는 친수성/소수성 필터이다.
장벽 필터에 추가하여, 조립체는 습윤 프로세스 중에 또는 여과 단계 전에 조립체의 적절한 환기를 보장하기 위해 여러 개의 벤트 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벤트 백은 사전 멸균되어 있으며 최종 충전 필터의 벤트 포트에 연결된다. 중복 여과 조립체로 도입된 가압 공기가 멸균 상태이고 작동 중 조립체의 멸균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무결성 테스트를 위한 공기 라인에 추가 소수성 가스 필터가 있을 수 있다. 최종 충전 작업의 다양한 단계 동안 압력을 추적하기 위해 최종 충전 필터 각각의 상류에 추가 압력 센서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무결성 테스트를 위한 종래 기술 방법에서 전통적인 최종 충전 조립체의 최종 필터를 통해 각각의 장벽 필터로부터 외향으로 이동할 때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각각의 최종 충전 필터는 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입구 연결부를 갖는다. 장벽 필터는 임의의 적절한 가스 필터로 대체될 수 있다. PUPSIT 작업의 일부로서 조립체에 있는 2개의 필터의 사용 전 무결성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한 번에 하나씩 수행된다. 예를 들어, 1차 필터는 조립체의 중복 필터 부분이 클램핑된 상태에서 먼저 무결성 테스트된다. 예를 들어, 이 클램프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하류에 있는 장벽 필터용 연결부와 1차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를 위한 공기 입구용 연결부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무결성 테스트가 완료된 후, 최종 여과 작업을 위해 이 클램프가 제거될 수 있다. 유동 방향(F1, F2, F3, F4 및 F5)이 도시되어 있다.
간소화된 중복 여과 최종 충전 조립체 설계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는 제품에 대한 정체 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잠재적인 제품 손실을 최소화하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 및 또한 조립체 상의 필터를 무결성 테스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는 2개 이상의 필터, 즉, 중복 필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는 최소 2개의 최종 충전 필터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적은 장벽 필터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정체 체적을 감소시키고 여과 작업 동안 제품 손실을 최소화하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체에 비교하여 더 적은 총 부품으로 구성된다. 도 3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100)는 제품, 즉, 생물학적 제품이 유동하는 주 도관(44)을 포함한다. 주 도관(44)은 주 도관(44) 상의 말단 단부에 있는 제1 커넥터(48) 및 제2 커넥터(48)를 포함한다. 핀칭 클램프(20)가 제1 커넥터(48)의 하류에서 주 도관(44) 내에 배치된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벌링턴 소재의 EMD Millipore Corporation에 의해 판매되는 Millipak® 최종 충전 필터와 같은 중복 최종 충전 필터(30)가 주 도관(44) 내에 배치된다. 공기 라인(62)이 중복 최종 충전 필터(30)와 유체 연통한다. 공기 라인(62)은 무결성 테스트를 위해 공기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는 무결성 테스트 커넥터(10)를 원위 단부에 포함한다. 무결성 테스트 커넥터(10)의 하류에 가스 필터(12)가 임의로 제공된다. 무결성 테스트 커넥터(10) 후에, 2개의 벤트 백(16)이 중복 최종 충전 필터(30)와 유체 연통된다. 클램프 또는 밸브(14)는 벤트 백(16) 사이의 공기 라인(62)에 임의로 배치된다. 위생 피팅을 연결하기 위한 3중 클램프와 같은 2개의 클램프(46)가 중복 최종 충전 필터(30)의 하류에 배치되고, 핀칭 클램프는 2개의 클램프(46) 사이에 배치된다. 최종 충전 필터(30)와 같은 1차 필터(30)는 주 도관(44) 내에 배치된다. 2개의 벤트 백(16), 또는 벤트 백(16) 및 샘플링 백(19), 공기 라인(62), 및 임의적인 클램프(14) 및 가스 필터(12)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1차 필터(30)와 유체 연통한다. 클램프(46)는 1차 필터(30)의 하류에서 주 도관(44)에 배치된다. 2차 도관(34)이 주 도관(44)에 결합된다. 2차 도관(34)은 Millipak® 장벽 필터와 같은 장벽 필터(40)를 포함한다. 장벽 필터(40) 후에, 2차 도관(34)은 주 도관(44)에 결합된다. 그 후, 핀칭 클램프가 주 도관(44) 상에 배치되며, 주 도관은 제2 커넥터(48)에서 종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3중 클램프(46) 및 각각의 위생 피팅은 적절한 호스 클램프와 조합한 호스-미늘 피팅을 사용하여 교체될 수 있다.
먼저, 무결성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공기 라인은 공기 라인 전용 연결 대신에 무균 다목적 포트(AMPP)라고 지칭되는 벤트에 연결된다. 이는 여러 튜브 및 연결부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중복 필터의 하류에 있는 장벽 필터는 도 1의 조립체와 비교하여 제거되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벽 필터 대신에 사용되는 가스 및 액체 필터의 조합은 또한 1차 최종 충전 필터의 하류에서만 장벽 필터 대신에 가스 및 액체 필터의 조합을 필요로 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를 간소화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 도 3에 표시된 중복 여과 조립체는 도 1에 표시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 비교하여 더 작고 더 적은 연결부를 포함한다. 더 적은 연결부는 또한 연결부를 통한 멸균성 손상의 위험을 완화시킨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2개의 조립체를 회수 분석을 수행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각각의 조립체는 점도가 상이한 3개의 용액, 즉, 다양한 약물 제품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물과 약 25 및 50 센티푸아즈(cP)의 점도를 각각 갖는 15% 및 18%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20,000의 용액으로 테스트되었다. 물과 고점도 용액의 경우, 체적이 용액 밀도에 대해 보정되었다. 연구는 수평 위치와 45도 각도 모두에서 주 유로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도 3에 표시된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로부터 회수할 수 없는 제품도 65도 및 90도 각도의 유로로 결정되었다. 회수 분석은 다양한 회수 방법에 대해 비교된다. 회수 방법은 회수 없음, 중력 배수 및 다양한 압력에서의 블로우 다운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중복 여과 조립체를 사용하여 회수 또는 제품 손실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 설정을 도시한다. 설정은 특정 회수 단계 후에 손실된 제품의 질량(및 체적)을 측정하기 위해 재순환 용기와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포함한다. 순환 탱크로부터 조립체를 통해 액체를 순환시키기 위해 연동 펌프가 사용된다. 테스트 전에, 빈 재순환 용기와 테스트 유체가 채워진 용기를 계량하였다. 시스템에 유지된 액체의 체적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 처리 조건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조립체를 테스트 유체로 습윤시켰다. 입구, 출구 및 벤트 백에 대한 라인은 액체를 도입하기 전에 개방되었고, 샘플링 백에 대한 라인, 장벽 필터 및 공기 라인은 클램프로 폐쇄되었다. 물의 경우 ~2.7 mL/min(10 psi) 그리고 PEG 용액의 경우 ~200 mL/min(30 psi)에서 연동 펌프를 사용하여 유체를 조립체를 통해 푸시하였다. 필터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고 벤트 백에 수집하였다. 환기 후, 모든 벤트를 폐쇄하였다. 조립체 습윤 전후에 재순환 용기의 중량 차이를 사용하여 조립체의 회수되지 않은 액체 또는 정체 체적을 계산하였다. 도 4a는 도 1의 중복 여과 조립체(50)에 대한 실험 설정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3의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100)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실험 설정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의 실험 설정은 모두 무결성 테스트 커넥터(48) 및 재순환 용기(80)에 연결된 도관(72)을 갖는 연동 펌프(60) 및 저울과 같은 데이터 취득 시스템(70)을 포함한다. 도관(72)의 제2 단부는 재순환 용기(80)의 유체 내의 매체를 통해 이동한 후에 제2 무결성 테스트 커넥터(48)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간소화된 조립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작은 크기로 인해 정체 체적이 상당히 더 적다. 회수가 시도되지 않은 경우,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서의 약 270 mL 이하와 비교하여 전통적인 조립체에서 약 325 mL의 제품이 손실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품의 고부가가치로 인해, 프로세스에서 다량의 절감이 고려될 수 있다.
정체 체적을 분석한 후, 출구 및 공기 라인 상의 클램프가 전통적인 조립체와 간소화된 조립체 모두에서 개방되고; 간소화된 조립체에서는, AMPP도 개방된다. 조립체는 재순환 용기로 20분 동안 배수된다. 습윤 후 순환 용기의 체적과 중력 배수의 차이는 중력 배수 단계를 사용하여 회수를 획득하기 위해 계산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중복 여과 조립체와 도 3의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 대한 제품 손실 사이의 차이를, 회수 단계로서 중력 배수가 모두에 대해 채용된 후에 도시한다. 도 6은 중력 배수가 회수 단계로서 수행되고 물이 액체로서 사용될 때 회수되지 않은 액체 또는 제품 손실이 2개의 중복 여과 조립체에 대해 유사하다는 것을 도시하고, 간소화된 조립체는 점성 액체에 대해 더 낮은 제품 손실을 도시한다. 이러한 개선은 간소화된 조립체의 정체 체적이 낮기 때문이며, 새로운 설계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조립체를 중력 배수한 후, 조립체에 유지된 나머지 액체는 가압 공기의 도움으로 블로우 다운에 의해 회수된다. 공기 공급원은 2개의 조립체의 2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조립체에 연결되기 때문에, 블로우 다운 프로토콜은 각각의 경우에 약간 상이하다. 전통적인 종래 기술의 중복 여과 조립체의 경우, 필터 입구를 통해 70 PSI(pounds per square inch)의 블로우 다운이 수행되었다. 2차 필터 상류의 주 유로를 폐쇄하고 해당 필터에 대한 공기 공급원을 공기 라인에 연결하였다. 공기 라인은 개방되고, 2차 필터를 70 PSI로 가압하여 배수된 액체를 수집하였다. 공기 공급원은 1차 필터 공기 라인으로 이동되고, 2차 필터는 2개의 필터 사이의 클램핑에 의해 분리되었으며, 1차 필터는 블로우 다운된다.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경우, 블로우 다운이 10 PSI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된 다음 AMPP를 통해 70 PSI에서 수행된다. 벤트와 샘플 백을 공기 라인에 연결하는 튜브는 밸브를 이용하여 폐쇄된다. 공기 공급원은 AMPP를 통해 2차 필터에 연결되고 1차 필터 상의 AMPP가 폐쇄된다. 공기 라인은 개방되어, 2차 필터를 10 psi로 가압하고 배수된 액체가 수집된다. 공기 공급원은 AMPP를 통해 연결된 1차 필터 공기 라인으로 이동되고, 2차 필터는 2개의 필터 사이의 클램핑에 의해 분리되었으며 1차 필터는 10 PSI에서 블로우 다운된다. 10 PSI 테스트 후, 70 PSI의 가압 공기로 절차가 반복된다.
도 7은 약물 제품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다양한 점도를 갖는 다양한 액체에 대한 회수 방법의 함수로서 회수되지 않은 액체를 도시한다. 도 7은, 블로우 다운을 사용하여, 제품 손실을 정체 체적에 비교하여 거의 매우 작은 양으로 최소화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그러나, 블로우 다운이 시도되는 경우, 여과되는 약물 제품과의 공기-물 계면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공기-물 계면은 제품 품질에 유해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발포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우 다운 절차는 제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제품 품질 고려 사항도 중요하다.
도 8은 조립 각도가 제품 손실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다. 중력을 사용하여 조립체로부터 액체를 회수하는 것은 제품 유로의 주축이 수평 위치가 아닌 1차 필터에 비교하여 더 높은 레벨에서 중복 필터와 각도를 이루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조립체 배향에 대한 이러한 수정은, 조립체 내 액체의 적어도 70%가 추가 회수 단계 없이 중력을 사용하여 회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간소화된 조립체의 주 유로 각도를 45도로부터 65도 또는 90도로 증가시키면 체적 회수율이 약간 더 높아져, 고부가가치 제품에 고려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이 90도에 있는 경우, 시스템에 더 많은 공기가 존재하고 더 적은 양의 액체가 존재함에 따라 필터를 환기하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무결성 테스트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진 자동화된 무결성 테스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무결성 테스터 중 적어도 하나는 EMD Millipore Corporation에 의해 판매되는 Integritest® 5 무결성 테스터이다. Integritest® 5 무결성 테스터는 확산, 기포 지점, HydroCORR™, 및 압력 유지 테스트와 같은 전통적인 테스트를 지원한다. 기포 지점 테스트는 필터의 무결성 프로파일을 맵핑하기 위해 상이한 인가된 압력에서 압력 감소 측정을 행하는 탄젠트 방법을 사용한다.
무결성 테스트의 합격/불합격은 필터의 기포 지점 측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기포 지점은 벌크 가스 유동이 필터를 통해 관찰되는 압력으로서 정의된다. 특정 기포 지점보다 더 높은 기포 지점 결과는 무결성 테스트를 합격한 것으로 고려되고 특정 기포 지점보다 더 낮은 결과는 무결성 테스트를 불합격한 것으로 정의된다. 자동화된 무결성 테스터는 이상 가스 유동 원리(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 = 체적, n = 분자 수, R = 가스 상수, T = 온도)에 의존한다. 통상적으로, 필터에 압력을 인가하고 가스 유동을 측정한다. 벌크 가스 유동 이전에, 습윤된 필터를 통과하는 유동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는 확산 가스 유동이라고 지칭된다. 기포 지점보다 더 높은 압력을 넘어서면, 가스가 필터 공극을 통해 유동할 수 있으므로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들 2개의 곡선 사이의 교차점이 기포 지점이라고 지칭된다.
자동화된 무결성 테스터는 기포 지점을 결정하는 데 몇 가지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테스터는, 벌크 유동을 획득하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벌크 유동을 획득하는 데 너무 짧은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 "무효"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Millipak®최종 충전 필터는 50 PSI의 특정 기포 지점을 갖는다. 자동화된 무결성 테스터로 테스트할 때, 테스터는 자동으로 필터를 특정 기포 지점의 최대 80%까지 가압하고 가스 유동의 측정을 시작한다. 이 압력이 안정화되면, 벌크 가스 유동이 필터를 통해 달성될 때까지 반복할 때마다 압력이 자동으로 1-2 PSI씩 증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통적인 종래 기술의 중복 여과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결성에 대해 테스트될 수 있으며, 여기서 조립체 상의 각각의 필터는 테스트에 사용되는 가압 공기용 출구로서 사용되는 장벽 필터(또는 유사한 가스 필터)와 별개로 무결성 테스트된다.
도 9a 및 도 9b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1차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중복 여과 조립체(100)와 같은 간소화된 조립체 상의 필터에 대한 무결성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조립체의 두 필터를 통해 습윤 액체를 유동시킴으로써 필터를 습윤시킨다. 습윤 후, 1차 필터는 먼저 무결성 테스트된다. 무결성 테스트를 위해, 가압 공기는 도 9의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체에 도입된다. 무결성 테스트 이전에, 1차 필터와 중복 필터 사이에 클램프가 배치되어 1차 필터용 공기 입구로부터 중복 필터의 하류측으로의 공기를 회피하도록 한다. 또한, 조립체는 중력 배수된다. 조립체가 수평이고 중력 배수가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 매우 낮은 압력(기포 지점보다 상당히 낮은 압력)에서 블로우 다운이 수행되어 조립체의 액체를 배수할 수 있다. 클램프의 위치와 1차 필터의 하류측에 있는 장벽 필터의 가용성으로 인해, 무결성 테스트 중에, 가압 공기는 공기 입구의 가스 필터를 통해, 그리고 AMPP 벤트 포트를 거쳐 1차 필터를 통과하고 장벽 필터를 통해 조립체를 빠져나간다. 도 9a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100)의 1차 필터(30)를 통한 유동 방향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최종 충전 필터(30), 제2 최종 충전 필터(30) 및 장벽 필터(40)를 통한 가압 공기의 유동이 도 9a에 도시되어 있다. 도 9b는 중복 여과 간소화된 조립체(100)의 중복 필터(30)를 통한 유동 방향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최종 충전 필터(30) 및 장벽 필터(40)를 통한 유동이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테스트에 따르면, 기포 지점이 특정 기포 지점보다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모든 테스트는 무결성 테스트를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ct00001
장벽 필터를 가압 공기용 출구로서 사용하여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서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전통적인 조립체와 비교할 때,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는 중복 필터의 하류에 있는 장벽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 공기의 직접적인 출구가 없다. 결과적으로,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에 대해 상이한 출구를 선택해야 한다. 도 9a 및 도 9b는 중복 필터에 대한 무결성 테스트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하고, 여기서 장벽 필터 하류 필터는 공기의 최종 출구로서 사용된다. 무결성 테스트 전에, 1차 필터와 중복 필터 사이에 배치된 클램프가 제거되고 1차 필터 상의 AMPP 벤트 포트가 폐쇄된다. 또한, 조립체의 나머지는 중력 배수된다. 조립체가 수평이고 중력 배수가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 매우 낮은 압력(기포 지점보다 상당히 낮은 압력)에서 블로우 다운이 수행되어 조립체의 액체를 배수할 수 있다. 이 설정의 결과로서, 가압 공기는 중복 필터의 입구를 통해 이동한 다음,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필터로 나아간다. 공기는 중복 필터를 빠져나와 조립체를 빠져나가기 전에 1차 필터와 장벽 필터를 통해 이동한다.
표 2는 가압 공기의 이동 방향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다. 자동화된 테스터는 제한으로 인해 결과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1차 필터와 중복 필터 모두의 상류에서의 압력 전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도 10은 중복 여과 조립체의 1차 필터와 중복 필터의 상류에 있는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시간의 함수로서 압력 전개를 도시한다.
Figure pct00002
도 10은 조립체 상의 두 필터의 상류에서 압력 트레이스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된 테스터는 특정 기포 지점을 지나는 중복 필터의 기포 지점을 식별하지 못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복 필터 상류의 70 PSI 압력에서도 기포 지점이 측정되지 않았다(청색 트레이스). 이는 1차 필터가 가압 공기에 대한 또 다른 제한 역할을 하고 중복 필터와 1차 필터 사이의 압력이 중복 필터에 대해 예상되는 기포 지점(50 PSI)을 넘어서도 계속 상승하는 것에 기인한다. 이 결과는 예상치 못한 것이며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의 이동 방향으로 무결성 테스트를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1차 필터의 벤트를 출구로서 사용하여 간소화된 조립체에서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전통적인 종래 기술의 조립체와 비교할 때,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는 중복 필터의 하류에 있는 장벽 필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 공기의 직접적인 출구가 없다. 결과적으로,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에 대해 상이한 출구를 선택해야 한다. 표 2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필터의 하류에 있는 장벽 필터를 사용하면 성공적인 테스트가 초래되지 못한다.
도 11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1은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하고, 여기서 1차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는 공기의 최종 출구로서 사용된다. 1차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후, 1차 필터와 중복 필터 사이에 배치된 클램프가 제거된다. 또한, 조립체의 나머지는 1차 필터를 통해 중력 배수된다. 조립체가 수평이고 중력 배수가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 매우 낮은 압력(기포 지점보다 상당히 낮은 압력)에서 블로우 다운이 수행되어 조립체의 액체를 배수할 수 있다. 조립체로부터 임의의 습윤 액체를 배수한 후, 1차 필터의 AMPP 벤트 포트가 개방된다. 이 설정의 결과로서, 가압 공기는 주로 중복 필터의 입구를 통해 이동한 다음,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필터로 나아간다. 공기는 중복 필터를 빠져나와 조립체를 빠져나가기 전에 1차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이동한다.
Figure pct00003
표 3은 가압 공기의 이동 방향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다. 자동화된 테스터는 50 PSI의 특정 기포 지점보다 더 높은 기포 지점 측정으로 예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무결성 테스트를 합격하였다.
도 12는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1차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는 공기의 최종 출구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조립체와 비교하여, 도 12의 조립체는 공기가 조립체를 빠져나가기 위한 추가적인 포트 및 가스 필터를 포함한다.
도 13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서 1차 및 중복 필터의 상류에 있는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시간의 함수로서 압력 전개를 도시한다. 도 13은 조립체 상의 두 필터의 상류에서 압력 트레이스를 도시한다. 가압 공기는 조립체 상의 1차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를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1차 필터는 공기에 대한 제한을 생성하지 않으며 무결성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된다. 예상된 바와 같이, 50 PSI보다 높은 기포 지점이 측정되어 테스트 합격을 초래하였다. 압력 트레이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필터의 상류 압력은 약 0 PSI를 유지하고 중복 필터의 상류 압력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포 지점보다 훨씬 더 높지 않다. 예상외로, 이 무결성 테스트 방법은 중복 필터의 하류에 장벽 필터 또는 가스 필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작동한다. 이 방법은 전통적인 조립체의 상이한 실시예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를 입구로서 사용하고 1차 필터의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를 출구로서 사용하여 전통적인 조립체에서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도 14는 전통적인 중복 여과 조립체의 변형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하고, 여기서 1차 필터의 공기 입구는 공기의 최종 출구로서 사용된다. 이 구성의 결과로서, 가압 공기는 중복 필터의 입구를 통해 이동한 다음,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필터로 나아간다. 공기는 중복 필터를 빠져나와 1차 필터의 공기용 입구를 통해 이동한다. 이 유로는 중복 필터의 하류에서 장벽 필터를 제거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를 입구로서 사용하고 1차 필터의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를 출구로서 사용하여 간소화된 조립체에서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도 15는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5는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하고, 여기서 공기는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로부터 가스 필터를 통해 그리고 중복 필터를 통해 이동하여 1차 필터의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를 빠져나간다. 이 구성의 결과로서, 가압 공기는 중복 필터의 입구를 통해 이동한 다음,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필터로 나아간다. 공기는 중복 필터를 빠져나와 1차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를 거쳐 1차 필터의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용 입구를 통해 이동한다.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를 입구로서 사용하고 1차 필터의 AMPP에 대한 추가 가스 필터 연결부를 출구로서 사용하여 간소화된 조립체에서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도 16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에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16은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하고, 여기서 공기는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터 연결부로부터 가스 필터를 통해 그리고 중복 필터를 통해 이동하여 AMPP를 통해 1차 필터에 연결된 추가 가스 필터를 빠져나간다. 이 구성의 결과로서, 가압 공기는 중복 필터의 입구를 통해 이동한 다음,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필터로 나아간다. 공기는 중복 필터를 빠져나와 1차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제공되는 추가 가스 필터를 통해 이동한다.
공기 공급원용 제품 입구와 1차 필터 상의 벤트를 출구로서 사용하여 간소화된 조립체에서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도 17은 중복 필터를 테스트하는 방법에 대한 몇몇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공기는 필터의 입구를 통해 진입하고, 필터를 통해 이동하며, 1차 필터 상의 벤트를 빠져나간다. 도 17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공기 공급원용 제품 입구와 1차 필터 상의 벤트를 출구로서 사용하여 간소화된 조립체에서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도 18은 중복 필터를 테스트하는 방법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공기는 필터의 입구를 통해 진입하고, 필터를 통해 이동하며, 1차 필터 상의 벤트를 빠져나간다. 도 18은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공기 공급원용 제품 입구와 1차 필터 상의 벤트를 출구로서 사용하여 전통적인 조립체에서 중복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도 19는 중복 필터를 테스트하는 방법의 몇몇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공기는 필터의 입구를 통해 진입하고, 필터를 통해 이동하며, 1차 필터의 공기 입구를 통해 조립체를 빠져나간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중복 여과 조립체의 몇몇 실시예에 대한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동안 가압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용기는, 그 내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용기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액체, 가스 및/또는 고체를 혼합, 분산, 균질화 및/또는 순환시키기 위한 임펠러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제형에 대한 모든 범위는 그 사이의 범위를 포함하고 종점을 포함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임의로 포함된 범위는 그 사이의 정수 값(또는 하나의 원래 종점 포함)으로부터, 인용된 크기 순서 또는 다음으로 작은 크기 순서로 있다. 예를 들어, 더 낮은 범위 값이 0.2이면, 임의로 포함된 종점은 0.3, 0.4, ... 1.1, 1.2 등, 뿐만 아니라 1, 2, 3 등일 수 있고; 더 높은 범위가 8이면, 임의로 포함된 종점은 7, 6 등, 뿐만 아니라 7.9, 7.8 등일 수 있다. 3 이상과 같은 한쪽 경계는 인용된 크기 또는 하나 낮은 순서의 정수 값에서 시작하는 일관된 경계(또는 범위)를 유사하게 포함한다. 예를 들어, 3 이상은 4, 또는 3.1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특정 실시예", "하나 이상의 실시예", "몇몇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특정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몇몇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와 같은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가 앞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현예 및 용례도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다. 본 명세서는 몇몇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내용 내에서 설명된 기술의 원리 및 용례를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수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개시내용에 따른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배열 및 패턴이 안출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실시예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특허, 특허 출원 및 기타 비특허 참고 문헌의 간행물은, 각각의 개별 간행물 또는 참고 문헌이 완전히 기재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표시된 것처럼 인용된 전체 부분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모든 특허 출원은 또한 간행물 및 참고 문헌에 대해 전술한 방식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29)

  1.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이며,
    생물학적 제품을 전달하기 위한 주 도관을 포함하고, 주 도관은:
    주 도관 내에 배치된 1차 최종 충전 필터;
    주 도관의 말단 단부에 있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클램프가 제1 커넥터의 하류에서 주 도관 내에 배치되며;
    중복 최종 충전 필터가 주 도관 내에 배치되고;
    중복 최종 충전 필터와 유체 연통하는 공기 라인이 주 도관에 결합되며, 공기 라인은 원위 단부에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벤트가 공기 라인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벤트 백이 중복 최종 충전 필터와 유체 연통하고;
    2개의 클램프가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하류에 배치되며, 핀칭 클램프가 2개의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벤트 백, 공기 라인, 및 임의적인 클램프 및 가스 필터가 1차 필터와 유체 연통하며;
    클램프가 1차 필터의 하류에서 주 도관에 배치되며;
    2차 도관이 주 도관에 결합되고; 2차 도관은 장벽 필터를 더 포함하고, 장벽 필터 및 2차 도관은 주 도관과 결합되며, 핀칭 클램프가 주 도관 상에 배치되고, 주 도관은 제2 커넥터에서 종결되는, 중복 여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는 공기 공급원에 연결되는, 중복 여과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스 필터는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의 하류에 있는, 중복 여과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벤트 백이 있는, 중복 여과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링 백을 더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2개의 벤트 백 사이의 공기 라인 상에 배치되는 클램프 또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트는 무균 다목적 포트(AMPP)인, 중복 여과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의 제1 단부에서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에 연결된 도관을 갖는 연동 펌프를 더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초과의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의 제2 단부는 도관의 제1 단부와 상이한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에 연결되는, 중복 여과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순환 용기를 더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복 여과 조립체는 일회용인, 중복 여과 조립체.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복 여과 시스템은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중복 여과 시스템은 스테인리스강 및 일회용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중복 여과 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중복 여과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최종 충전 필터의 무결성 테스트 방법이며,
    a. 최종 충전 필터를 통해 습윤 액체를 유동시키는 단계;
    b. 원위 단부에 무결성 테스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라인을 통해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 내로 가압 공기를 도입하는 단계;
    c. 습윤 액체의 조립체를 배수하는 단계;
    d. 출구를 통해 간소화된 중복 여과 조립체를 빠져나가기 전에 공기 입구 상의 가스 필터를 통해 그리고 벤트와 최종 충전 필터를 통해 가압 공기를 통과시키는 단계; 및
    e. 기포 지점 테스트, 확산 테스트, 수류 테스트, 및 압력 유지 테스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벤트는 무균 다목적 포트(AMPP) 벤트 포트인,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1차 필터와 중복 필터 사이에 클램프를 배치함으로써, 중복 필터의 하류측과 1차 필터용 공기 입구 사이의 유체 연통을 회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 단계는 중력 배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 단계는 블로우 다운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충전 필터는 1차 최종 충전 필터인, 방법.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충전 필터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인, 방법.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차 필터 상의 AMPP 벤트 포트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장벽 필터는 가압 공기의 최종 출구인, 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차 필터 상의 AMPP 벤트 포트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MPP 벤트 포트는 가압 공기의 최종 출구인, 방법.
  27. 제16항 내지 제22항 및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공기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용 공기 입구 및 중복 최종 충전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여과 조립체를 빠져나가는, 방법.
  28.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공기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공기 입구를 통해 중복 최종 충전 필터로 순차적으로 나아가고 1차 최종 충전 필터의 AMPP 벤트 포트를 통해 중복 여과 조립체를 빠져나가는, 방법.
  29.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공기는 중복 최종 충전 필터의 공기 입구를 통해 중복 최종 충전 필터로 순차적으로 나아가고 1차 최종 충전 필터의 공기 입구를 통해 중복 여과 조립체를 빠져나가는, 방법.
KR1020237016410A 2020-11-19 2021-11-18 최종 충전 조립체 및 무결성 테스트 방법 KR20230088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15838P 2020-11-19 2020-11-19
US63/115,838 2020-11-19
PCT/US2021/059907 WO2022109145A1 (en) 2020-11-19 2021-11-18 Final fill assembly and method of integrity tes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448A true KR20230088448A (ko) 2023-06-19

Family

ID=7902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410A KR20230088448A (ko) 2020-11-19 2021-11-18 최종 충전 조립체 및 무결성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09601A1 (ko)
EP (1) EP4247523A1 (ko)
JP (1) JP2023552089A (ko)
KR (1) KR20230088448A (ko)
CN (1) CN116528912A (ko)
CA (1) CA3201275A1 (ko)
WO (1) WO20221091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396B1 (ko) 2024-01-03 2024-04-24 에이피이(주) 이동형 무균 필터 테스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4073A1 (de) * 1978-10-10 1980-04-24 Sartorius Gmbh Einrichtung zur vermeidung einer sekundaer-kontamination bei der pruefung von sterilfiltern und partikelfiltern
US9694304B2 (en) * 2012-12-03 2017-07-04 Emd Millipore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used for redundant sterile filtration
BR112017011365B1 (pt) * 2014-12-30 2021-12-28 Emd Millipore Corporation Cápsula de filtro que suporta o teste de integridade direto de um elemento de filtro interno, sistema para teste de integridade e método para realizar um teste de integrida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396B1 (ko) 2024-01-03 2024-04-24 에이피이(주) 이동형 무균 필터 테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47523A1 (en) 2023-09-27
WO2022109145A1 (en) 2022-05-27
JP2023552089A (ja) 2023-12-14
CN116528912A (zh) 2023-08-01
US20240009601A1 (en) 2024-01-11
CA3201275A1 (en)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176B1 (ko) 단백질 용액으로부터의 연속식 완충제 또는 배지 교환을 위한 한외여과 장치
US10207225B2 (en) Single-pass filtration systems and processes
JP6862000B2 (ja) Cff/tff使い捨て流路における再循環ループ
JP2013513406A (ja) 複合生体物質を処理するための使い捨て型流体経路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30088448A (ko) 최종 충전 조립체 및 무결성 테스트 방법
US20200038778A1 (en) Degassing in methods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a healthcare product
EP38421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fluid
EP3842116B1 (en) Method for recovering fluid
EP38421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fluid
US114980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fluid
EP3363517A1 (en) Degassing in method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healthcare product
EP4144434B1 (en) Single-pass filtration systems and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