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051A -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051A
KR20230088051A KR1020210176878A KR20210176878A KR20230088051A KR 20230088051 A KR20230088051 A KR 20230088051A KR 1020210176878 A KR1020210176878 A KR 1020210176878A KR 20210176878 A KR20210176878 A KR 20210176878A KR 20230088051 A KR20230088051 A KR 20230088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s
unit
contro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귀
Original Assignee
이환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귀 filed Critical 이환귀
Priority to KR102021017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051A/ko
Publication of KR2023008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3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when the main path fails, e.g. transformers,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8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e.g.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 4선의 입력 전원의 전원을 4개의 배선으로 수전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4개의 배선 중 일부 배선을 선택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전원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전원 입력부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선택 배선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가 전달하는 전원을 상기 제어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Supporting Device of Power performing remote control and method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지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 설비의 전원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이상 발생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에 있어서, 22.9kv-y 배전방식은 3상 4선식 배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부터 공장이나 빌딩과 같은 큰 규모의 수용가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거나, 2차 변압기를 통해 소규모 공장이나 일반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3상 4선식 배전 계통은, Y결선, 델타 결선, 와이 델타결선 등의 방법으로 중성선(N)과 전력선(A상, B상, C상)을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해주게 된다. 여기서 연결시 하나의 전력선과 다른 전력선을 연결하면 380V가 되고, 하나의 전력선(예를 들어, A상)과 중성선(N)을 연결하면 220V가 되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해주게 된다.
상술한 3상 4선식 배전 계통은 원격 제어를 위한 자동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3상 4선의 전원을 수전받고 이 중 하나의 전원을 사용하여 통신 장치, 제어 장치(PLC), CCTV 등의 전원을 공급하는 대용량 부하 제어 방식으로 운영된다.
그런데, 휴즈가 나가거나, 중성선(N상)의 접속 불량이 발생할 경우, 제어 전원이 없어 시스템의 상태를 알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들 예컨대, 본 발명은 수전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살아 있는 전원을 선택하고, 안정적인 제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어 장치(PLC)로 하여금 전원 문제 발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전원과 제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지원 장치는 3상 4선의 입력 전원의 전원을 4개의 배선으로 수전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4개의 배선 중 일부 배선을 선택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전원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전원 입력부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선택 배선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가 전달하는 전원을 상기 제어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지원 장치는 상기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 유기되는 서지를 차단하는 서지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의 4개의 배선 각각에 대한 전원 공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전원 지원 장치는 상기 제어부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변환 상태에 따른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배선들 중 현재 전원 출력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배선들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된 사항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배선들 중 현재 전원 출력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배선 이외의 배선들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전원 변환 상태가 이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변환부의 선택 배선 변환시 소정 시간 지연 후에 변환된 전원을 상기 전원 출력부로 전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전원과 제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은,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4개의 배선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4개의 배선들 중 상기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2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2개 배선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을 다른 배선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2개 배선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지 않으면, 다른 2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2개 배선의 상기 제어 장치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2개 배선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2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 변경에 따른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지정된 주기로 상기 4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른 알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알림 정보를 주기적으로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4개의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다른 배선으로 전환되는 단계 후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소정 시간 지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인 원격 제어되는 설비에 수전 전력을 모니터링 및 제어함으로써, 제어 장치(PLC)나 CCTV, 통신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전원 제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설비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지원 장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 전원 공급 상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설비 환경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설비 환경(10)은 입력 전원(20), 제1 부하(300), 제2 부하(200) 및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전원(20)은 3상 4선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 전원(20)은 A, B, C 상을 가지며, R, S, T, N 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하(300)는 상기 입력 전원(20)의 4선 중 적어도 2개의 선과 연결되어, 입력 전원(20)의 전력을 이용할 수 있는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부하(300)는 유압 밸브, 외부 장치 등 다양한 전력 소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하(200)는 상기 입력 전원(20)에 대하여 제1 부하(30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하(200)는 전원 지원 장치(100)를 통해 상기 입력 전원(20)이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부하(200)는 조작 전원, CCTV, 히터 팬, 유량계, 수위계, PLC 전원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지원 장치(100)는 상기 입력 전원(20)과 상기 제2 부하(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지원 장치(100)는 입력 전원(20)의 4개의 선 중 이상이 발생한 선을 배제하고 전원이 공급되는 선을 선택하여 제2 부하(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지원 장치(100)는 대용량 부하 장치에 해당하는 통신 장치, 제어 장치(PLC), CCTV 등의 상시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지원 장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지원 장치(100)는 전원 입력부(110), 서지 보호부(120), 전원 감지부(130), 전원 변환부(140), 제어부(150), 전원 출력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110)는 3상 4선 전원을 수전하여 전원 감지부(130)에 전원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전원 입력부(110)는 3상 4선의 배선들과 연결되는 입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지 보호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유기되는 서지로부터 전원 지원 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전원(20)으로부터 지정된 크기 이상의 전압을 가지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전원 지원 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감지부(13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받은 전원 상태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 감지부(130)는 4개의 선들 중 현재 살아 있는 상태의 선들 또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의 선들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감지부(130)는 전원 입력부(110)가 전원 변환부(140)에 전달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검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입력 전원(20)을 변환하여 전원 출력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 변환부(140)는 R, S, T, N 선들 중 2개의 선들과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스위치 및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변환부(140)는 4개의 입력 배선을 가지는 입력단과, 상기 제4개의 입력 배선 중 2개의 입력 배선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들, 상기 스위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출력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원 감지부(130)가 전달한 값을 통하여 어떠한 배선을 선택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결정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원 변환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50)는 4개의 입력 배선 중 현재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선과 출력 배선을 연결하도록 스위치들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출력부(160)는 상기 전원 변환부(140)의 출력 배선과 연결되어, 전원 출력부(160)가 제공하는 전원을 제2 부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출력부(160)는 앞서 설명한 제2 부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0)는 상기 제어부(15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0)는 제어부(150) 제어에 대응하여 현재 입력 전원(20)의 상태, 전원 변환부(140)의 스위치 제어 상태 등에 대한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0)는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관리자 장치(예: 메시지 수신 및 출력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부(170)는 무선 통신 모듈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관리자 장치에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예컨대, 일정 주기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림 정보는 4선의 전원 상태가 이전과 다르게 변경되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지원 장치(100)는 저장부(180)와 GPS 수신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원 지원 장치(100)의 실시간 운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통신부(170)에 고장이 발생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저장부(180)에 저장되었던 실시간 운영 데이터를 통신부(170)의 복구 후 관리자 장치의 요청에 의해 전달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GPS 수신부(190)는 본 발명의 전원 지원 장치(100)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설비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이다. 무인으로 운영되는 원격 제어 설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설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고, 특히 설비의 관리자가 변경된 경우에는 설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GPS 수신부(190)를 통해 GPS 데이터와 연계하여 원격 제어 설비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전환 변환부(140)의 선택 배선 변환시 소정 시간 지연 후에 변환된 전원을 전원 출력부(160)로 전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된 상을 바로 제어 장치로 공급하는 경우, 예를 들어 R상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어 장치로 공급하는 전원의 상을 S상으로 바로 변환하는 경우 등에는 위상의 차이에 의해 부하 설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 변환되는 과정에서 소정 시간의 지연회로를 가짐으로써 상의 급작스런 변화에 따른 부하 설비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 전원 공급 상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입력 전원(20)의 R, S, T, N이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일 때, 일반적인 R상 제어의 경우, 4가지 정상 운전 상태(RSTN이 모두 정상인 상태, S는 비정상 상태이고 RTN이 모두 정상인 상태, T는 비정상 상태이고 RSN이 모두 정상인 상태, ST가 비정상 상태이고, RN이 정상인 상태)만을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원 지원 장치(100)가 적용되는 경우, RST가 비정상 상태이거나, RSN, RTN 또는 STN이 비정상 상태이거나, RSTN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를 제외하고 11가지 정상 운전 상태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비정상 상태 운용에서도,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을 위해서 UPS를 마련하여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전원 지원 장치(100)는 401 단계에서 전원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원 지원 장치(100)에 포함된 전원 감지부(130)는 전원 입력부(110)가 전원 변환부(140)로 전달하는 배선들에 대한 전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전원 입력부(110)와 전원 변환부(140)는 각각 4개의 배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감지부(130)는 4개의 배선들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감지부(130)는 4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지원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403 단계에서, 이상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전원 입력부(110)에서 전원 변환부(140)로 공급하는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50)는 전원 변환부(140)에 연결된 전원 출력부(160)를 통해 전원이 제2 부하(200)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정전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50)는 전원 변환부(140)가 현재 연결하고 있는 배선들의 전원 공급 상태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전원 지원 장치(100)는 405 단계에서, 전원 변환 및 알림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 지원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전원 변환부(140)의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전원 공급이 살아있는 배선이 전원 출력부(160)의 배선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전원 변환 발생에 따른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사전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입력 전원(20)의 4개의 배선들의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현재 전원 출력부(160)를 통하여 제2 부하(200)에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상태라면, 전원 변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전원 변환부(140)를 거쳐 전원 출력부(160)에 연결된 배선이 정상 상태의 RN 배선인 경우, 제어부(150)는 S, T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전원 변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50)는 4개의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들 중 현재 전원 출력부(160)를 통해 전원을 제2 부하(200)(또는 제어 장치)에 공급하는 2개의 배선에 관한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만, 이전 전원 배선들의 이상 상태 발생 및 전원 변환된 배선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별도의 전원 변환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입력 전원의 4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그에 따른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50)는 별도의 입력 전원(20)의 전원 공급 상태 변경이 없더라도, 일정 주기로 입력 전원(20)의 전원 공급 상태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은,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을 다른 배선으로 전환하는 단계 후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제어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소정 시간 지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했던 바와 같이, 변환된 상을 바로 제어 장치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위상의 차이에 의해 부하 설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소정 시간 지연하여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원격 제어 설비 환경
20: 입력 전원
100: 전원 지원 장치
110: 전원 입력부
120: 서지 보호부
130: 전원 감지부
140: 전원 변환부
150: 제어부
160: 전원 출력부
170: 통신부
200, 300: 부하

Claims (12)

  1. 입력 전원과 제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지원 장치는
    3상 4선의 입력 전원의 전원을 4개의 배선으로 수전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4개의 배선 중 일부 배선을 선택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감지부;
    상기 전원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전원 입력부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선택 배선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변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변환부가 전달하는 전원을 상기 제어 장치에 공급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 유기되는 서지를 차단하는 서지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의 4개의 배선 각각에 대한 전원 공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변환 상태에 따른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배선들 중 현재 전원 출력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배선들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된 사항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4개의 배선들 중 현재 전원 출력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배선 이외의 배선들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전원 변환 상태가 이전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변환부의 선택 배선 변환시 소정 시간 지연 후에 변환된 전원을 상기 전원 출력부로 전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8. 입력 전원과 제어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4개의 배선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4개의 배선들 중 상기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2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2개 배선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을 다른 배선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 배선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지 않으면, 다른 2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2개 배선의 상기 제어 장치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 배선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2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 변경에 따른 알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지정된 주기로 상기 4개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른 알림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알림 정보를 주기적으로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4개의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의 전원 공급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배선으로 전환되는 단계 후에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소정 시간 지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의 운용 방법.
KR1020210176878A 2021-12-10 2021-12-10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230088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78A KR20230088051A (ko) 2021-12-10 2021-12-10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78A KR20230088051A (ko) 2021-12-10 2021-12-10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51A true KR20230088051A (ko) 2023-06-19

Family

ID=8698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878A KR20230088051A (ko) 2021-12-10 2021-12-10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0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2375C (en) Voltage and current source selection system for use in the protection, automation and control of an electric power system
JP4937826B2 (ja) 配電システム
US201003124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and load shedding
JP2014110649A (ja) 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230082007A (ko) 분전반 모니터링 장치
JPH0549169A (ja) 電力制御装置
EP1020000B1 (en) A distribution automation remote terminal unit
KR20230088051A (ko)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전원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0944537B1 (ko) 변압기 오엘티씨 제어 시스템
JP2006115577A (ja) 待機電流遮断装置、及び待機電流遮断システム
US10951026B2 (en)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KR100951445B1 (ko) 전원 자동절체 시스템 및 절체 제어방법
KR102369890B1 (ko) 복전 보호 모드를 지원하는 독립 및 계통연계 호환형 인버터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JP2005261152A (ja) 配電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系統監視機能付電力量計
JP5205654B2 (ja) 分散直流電源制御回路
KR20190106508A (ko) 배전반 제어 시스템
KR101605389B1 (ko) 과전류 계전기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JP5388346B2 (ja) 集合住宅幹線電流制御システム
JP7088702B2 (ja) 電源供給回路および電源供給方法
JP2020137299A (ja) 電力系統安定化システム
KR100653284B1 (ko) 3상 디지털 유피에스 시스템
JP4170939B2 (ja) 電源供給システム
CN112952779B (zh) 一种三相负荷不平衡保护控制装置及方法
KR101120055B1 (ko) 지능형 커패시터 감시시스템
JP2020182259A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遠隔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