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261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261A
KR20230086261A KR1020210174723A KR20210174723A KR20230086261A KR 20230086261 A KR20230086261 A KR 20230086261A KR 1020210174723 A KR1020210174723 A KR 1020210174723A KR 20210174723 A KR20210174723 A KR 20210174723A KR 20230086261 A KR20230086261 A KR 2023008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clothes
drum
sen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화
김재현
서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261A/ko
Priority to PCT/KR2022/018293 priority patent/WO2023106685A1/ko
Priority to EP22904518.2A priority patent/EP4428285A1/en
Publication of KR2023008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2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0Temperature of washing liquids; Heat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1감지단계; 터브에 기 설정된 포량 별 기준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후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2감지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상기 탈수단계 후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3감지단계; 상기 제2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를 통해, 두께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 및 상기 제3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를 통해, 함수율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등을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 등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장치의 총칭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처리대상(세탁 대상물,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드럼에 투입된 처리대상의 종류를 구분하고, 처리대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나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 상기 급수단계 후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 중 모터에 공급된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전류량에 따라 의류의 종류를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특허공개번호 10-2001-0105608).
상술한 과정을 거쳐 의류의 종류를 구분하는 제어방법은 터브에 물을 공급한 뒤 드럼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의류가 물을 흡수하는 정도에 따라 드럼의 회전을 위해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이 달라진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의류의 종류를 구분하는 제어방법은 의류를 흡수율이 높은 의류와 흡수율이 낮은 의류로 구분하는 방법에 불과할 뿐, 의류가 부드러운 소재의 의류인지, 뻣뻣한 소재의 의류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웠다.
본 출원은 두께, 함수율, 및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의류의 소재를 구분하는 알고리즘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두께, 함수율, 및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라 구분되는 의류의 재질에 따라 의류의 처리과정을 달리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터브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1감지단계; 상기 터브에 기 설정된 포량 별 기준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후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2감지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상기 탈수단계 후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3감지단계; 상기 제2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를 통해, 두께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 및 상기 제3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를 통해, 함수율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가 기 설정된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1판단단계는 의류가 두꺼운 재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가 상기 제1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판단단계는 의류가 얇은 재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3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가 기 설정된 제2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판단단계는 의류가 함수율이 높은 재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3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가 상기 제2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판단단계는 의류가 함수율이 낮은 재질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탈수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 및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 폭이 기 설정된 진동 기준값보다 크면, 폴리에스테르 함량이 50% 미만인 재질의 의류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 폭이 상기 진동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3판단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함량이 50% 이상인 재질의 의류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판단단계, 상기 제2판단단계, 및 상기 제3판단단계를 통해 확인된 두께 및 재질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감지단계, 상기 제2감지단계, 상기 제3감지단계, 및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감지단계가 진행되는 동한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측정단계; 및 상기 진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폭, 및 상기 급수단계를 통해 급수된 물의 양을 통해 의류의 두께, 함수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 및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재질을 예측하는 예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측단계는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확인된 포량에 설정된 설정 급수량과 상기 급수단계를 통해 공급된 물의 양의 차를 기 설정된 제1예측 기준값과 비교하여 의류의 두께 및 함수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측하고, 상기 진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진동폭을 기 설정된 제2예측 기준값과 비교하여,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단계의 개시 전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를 사진 또는 영상으로 촬영하는 촬영단계; 및 상기 촬영단계를 통해 촬영된 정보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의류의 재질을 상기 제1판단단계, 상기 제2판단단계, 및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재질과 비교하는 인식율 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한 재질과 상기 각 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재질 사이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인식율보다 낮으면, 상기 제1예측 기준값 및 상기 제2예측 기준값을 변경하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는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재질에 근거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수,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 변경 주기, 및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의 실행을 위한 물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두께, 함수율, 및 폴리에스테르 함량(부드러운 소재의 의류인지 뻣뻣한 소재의 의류)에 따른 의류의 소재를 구분하는 알고리즘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두께, 함수율, 및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라 구분되는 의류의 재질에 따라 의류의 처리과정을 달리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1)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11)에는 상기 캐비닛(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12)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2)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터브 지지부(22)가 스프링(터브 바디의 상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 및 댐퍼(터브 바디의 하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 바디(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2)를 향하는 면에는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캐비닛의 투입구(12)와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1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터브 바디(21)에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213)는 상기 터브 투입구(211)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급수부(23)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5)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한 펌프(252), 상기 터브 바디(21)와 펌프(252)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251), 상기 펌프(252)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3)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과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급수관(231), 상기 급수관(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233)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세제공급부(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2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드로워 하우징(241), 상기 드로워 하우징을 터브 바디(21)에 연결하는 공급관(242), 및 상기 프론트 패널(11)에 구비된 드로워 투입구를 통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43)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245), 상기 챔버 내부의 세제를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2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47)는 상기 챔버(245)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는 워터트랩(water trap, 사이펀 유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24)가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부(23)는 상기 챔버(245)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2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232)은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231)은 상기 노즐(232)과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 및 상기 드럼 바디(21)를 상기 터브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동부(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터브 투입구(211)를 향하는 면에는 드럼 투입구(3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의류는 상기 투입구(12), 터브 투입구(211), 및 드럼 투입구(31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에는 드럼 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1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관통홀(312)은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면) 및 후방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바디(21) 내부로 공급된 물이나 세제는 상기 드럼 관통홀(31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321),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2),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31)와 로터(322)를 연결하는 회전축(3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322)에는 다수의 영구자석이 고정되는데, 다수의 영구자석들은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로터(3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의 양은 수위감지부(4)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부(4)는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수위감지부(4)가 상기 제1배수관(251)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연통하는 연결관(41), 상기 연결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2)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42)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를 판단 가능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 바디(31)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따라 상기 터브 바디(21)로 공급하는 물의 양을 달리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포량의 의류가 상기 드럼 바디(31)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제1포량에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터브 바디(2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포량의 의류가 상기 드럼 바디(31)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는 제2포량에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가지 상기 터브 바디(2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 전 확인된 포량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수위(포량 별 기준수위)는 실험을 통해 기 설정된 값이고, 의류의 재질에 따라 의류가 흡수하는 물의 양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급수 전 확인된 포량은 동일하더라도 상기 포량 별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터브 바디(21)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드럼 바디(31)의 회전각도, 회전속도 등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부(5)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회전감지부(5)가 상기 로터(322)에 고정된 영구자석의 자력의 크기, 또는 자극의 변경(N극과 S극의 변경 주기) 등을 감지 가능한 홀센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전감지부(5)가 홀센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 바디의 회전속도 편차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드럼 바디(31)의 진동여부, 및 진동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감지부(5)는 상기 드럼 바디(31)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에 투입된 의류의 양이 많아질수록 상기 구동부(32)의 부하는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바디(31)를 기 설정된 회전각도까지 회전시키거나, 상기 드럼 바디(31)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까지 가속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321)에 공급된 전력량을 포량에 따라 구분된 전력량과 비교하면, 드럼 바디에 투입된 포량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에는 상기 터브 바디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부(6)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드럼 바디(31)의 진동여부, 및 진동의 크기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 바디(31)를 회전시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1감지단계(S10),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확인된 포량에 따라 기 설정된 양의 물을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급수단계(S20), 상기 드럼 바디(31)을 회전시켜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이물질 제거단계(S30),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감지단계(S10)는 물에 젖지 않은 의류의 양(건포량)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감지단계(S10)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처짐을 감지함으로써 건포량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감지부(5)가 측정하는 데이터를 통해 건포량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감지부(5)를 통해 건포량을 감지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감지단계(S10)는 상기 드럼 바디(31)를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거나 기 설정된 회전수까지 가속하는 단계,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스테이터(321)에 공급된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전력을 건포량에 따라 측정된 실험 값과 비교하여 포량을 추정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단계(S20)는 제어부가 상기 급수밸브(233)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 바디(21)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된 포량 별 기준수위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급수단계(S20)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수위가 상기 제1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된 건포량에 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30)는 상기 드럼 바디(31)를 회전시켜 의류와 물의 마찰, 의류와 드럼 바디(31)를 마찰시킴으로써 의류에 있는 오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30)는 상기 드럼 바디(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 바디(3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 바디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30)는 상기 히터(213)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드럼 바디(31)를 회전시키는 단계들은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때 개시될 수도 있고, 상기 히터의 작동과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단계(S40)는 상기 펌프(252)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단계(S40)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2감지단계(S41)를 진행한다. 상기 제2감지단계(S41)는 물에 젖은 의류의 양(제1습포량, 탈수 전 습포량)을 감지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1감지단계(S10)의 진행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감지단계(S41)는 상기 드럼 바디(31)를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거나 기 설정된 회전수까지 가속하는 단계,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스테이터(321)에 공급된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전력을 탈수 전 습포량에 따라 측정된 실험 값과 비교하여 포량을 추정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단계(S41)의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 바디(31)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탈수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3감지단계(S52)를 진행한다.
상기 제3감지단계(S52)는 탈수가 완료된 의류의 양(제2습포량, 탈수 후 습포량)을 감지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2감지단계(S41)의 진행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감지단계(S52)는 상기 드럼 바디(31)를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거나 기 설정된 회전수까지 가속하는 단계,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스테이터(321)에 공급된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전력을 탈수 후 습포량에 따라 측정된 실험 값과 비교하여 포량을 추정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감지단계(S52)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두께에 근거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S60), 및 함수율에 근거한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S7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판단단계(S60)는 상기 제2감지단계(S41)에서 측정된 제1습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S10)에서 측정된 건포량의 차를 기 설정된 제1기준값과 비교(S61)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습포량에서 건포량을 뺀 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1판단단계(S60)는 의류가 두꺼운 재질이라고 판단(S62)하고, 상기 제1습포량에서 건포량을 뺀 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판단단계(S60)는 의류가 얇은 재질이라고 판단(S63)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두꺼운 의류일수록 제1습포량과 건포량의 차이는 커지는 경향을 보이므로, 상술한 제1판단단계(S60)가 구비된 제어방법은 의류의 두께를 판단 가능하다.
상기 제2판단단계(S70)는 상기 제3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제2습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건포량의 차를 기 설정된 제2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71, S73)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습포량에서 상기 건포량을 뺀 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판단단계(S70)는 의류가 함수율이 높은 재질이라고 판단(S711, S731)하고, 상기 제2습포량에서 상기 건포량을 뺀 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판단단계(S70)는 의류가 함수율이 낮은 재질이라고 판단(S712, S732)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함수율이 높은 의류일수록 제2습포량과 건포량의 차이는 커지는 경향을 보이므로, 상술한 제2판단단계(S70)가 구비된 제어방법은 함수율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판단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방법은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구분하는 제3판단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판단단계(S80)는 상기 탈수단계(S50)의 진행 중 측정된 드럼 바디(31)의 진동을 기 설정된 진동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판단단계(S80)의 실행을 위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탈수단계(S50)의 진행 중 상기 드럼 바디(31)의 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S51)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S51)는 상기 진동감지부(6)와 회전감지부(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게 제공하는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드럼 바디(31)의 진동을 추정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판단단계(S80)는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S51)에서 측정된 드럼 바디(31)의 진동 폭(진동의 범위)이 기 설정된 진동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81, S82)로 구비될 수 있다.
부드러운 재질의 의류(폴리에스테르 함량이 50% 이상인 소재의 의류, 제2소재)는 비교적 가볍기 때문에, 상기 탈수단계(S50)의 진행 시 드럼 바디(31)에 발생하는 진동 폭이 작은 경향이 있고, 뻣뻣한 재질의 의류(폴리에스테르 함량이 50% 미만인 소재의 의류, 제1소재)는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탈수단계(S50)의 진행 시 드럼 바디(31)에 발생하는 진동 폭이 큰 경향이 있다.
따라서, 측정된 드럼의 진동 폭이 상기 진동 기준값보다 작으면(S81, S82), 상기 제어방법은 의류의 소재가 부드러운 재질인 것으로 판단(S812, S822, 제2소재로 판단)하고, 측정된 드럼의 진동 폭이 상기 진동 기준값보다 크면(S81, S82), 상기 제어방법은 의류의 소재가 뻣뻣한 재질인 것으로 판단(S811, S821, 제1소재로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판단단계(S80)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저장단계(S90)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단계(S90)는 상기 제1판단단계(S60), 상기 제2판단단계(S70), 및 상기 제3판단단계(S80)를 통해 확인된 소재에 관한 정보(두께, 함수율, 및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라 구분된 재질의 정보)를 상기 제1감지단계(S10), 상기 제2감지단계(S41), 상기 제3감지단계(S52), 및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S51)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중 확인된 정보를 통해 의류의 재질을 8가지로 구분하여 인식 가능하다.
상기 저장단계(S90)를 통해 저장된 정보는 의류처리장치 내부 또는 의류처리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 등에 설치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학습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이 도 3의 실시예와 구별되는 차이점 중 하나는 진동측정단계(S12) 및 예측단계(S21)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상기 진동측정단계(S12)는 상기 제1감지단계(S10)를 위해 상기 드럼 바디(31)가 회전할 때 상기 드럼 바디(31)의 진동을 측정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측정단계(S12)는 상기 진동감지부(6)와 회전감지부(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드럼 바디(31)의 진동을 추정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예측단계(S21)는 상기 진동측정단계(S11)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 바디(31)의 진동 폭, 및 상기 급수단계(S20)를 통해 급수된 물의 양을 통해 의류의 두께, 함수량, 및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재질을 예측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예측단계(S21)는 상기 급수단계(S20)를 통해 상기 터브에 공급된 물의 양(터브의 수위가 포량 별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공급된 물의 양)과 상기 제1감지단계(S10)에서 확인된 건포량에 따라 설정된 설정 급수량을 비교함으로써 의류의 두께 및 함수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두껍고 함수량이 큰 재질의 의류일수록 상기 포량 별 기준수위에 도달하는데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야 할 것이므로, 상기 급수단계(S20)를 통해 급수된 물의 양과 건포량에 근거하여 설정된 급수량의 차이는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예측단계(S21)는 두께 및 함수율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측단계(S21)는 상기 진동측정단계(S11)에서 측정된 진동 폭을 기 설정된 제2예측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예측단계(S2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측단계(S21)는 상기 제1감지단계(S10)에서 확인된 건포량에 설정된 설정 급수량과 상기 급수단계(S20)를 통해 공급된 물의 양의 차를 기 설정된 제1예측 기준값과 비교하여 의류의 두께 및 함수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측하고, 상기 진동측정단계(S11)에서 측정된 진동 폭을 기 설정된 제2예측 기준값과 비교하여,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판단(제1소재의 의류인지 제2소재의 의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실험을 통해 준비된 재질 별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서 진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방법에는 상기 드럼 바디(31)의 회전 중 상기 드럼 바디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S12)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단계(S12)를 실행하는 카메라는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를 촬영 가능한 공간에 장착되어야 하며, 상기 투입구(12)를 개폐하는 도어(13)가 상기 카메라의 장착 위치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예측단계(S21)의 진행 중, 또는 상기 예측단계(S21)의 완료 후,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이물질 제거단계(S30)를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이물질 제거단계(S30)는 상기 예측단계(S21)에서 예측된 의류의 재질에 근거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수,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 변경 주기, 및 물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꺼운 의류일수록 드럼의 회전속도는 높이고, 드럼의 회전방향 변경주기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함수율이 높이 의류일수록 탈수단계(S50)의 회전속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재질일수록 물의 온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30)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배수단계(S40), 제2감지단계(S41), 탈수단계(S50), 탈수진동 측정단계(S51), 제3감지단계(S52), 제1판단단계(S60), 제2판단단계(S70), 및 제3판단단계(S80)를 진행한다. 각 단계의 구체적 실행과정은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3판단단계(S80)가 완료되면, 도 4의 제어방법은 인식율 확인단계(S83)를 진행한다. 상기 인식율 확인단계(S83)는 상기 예측단계(S21)에서 예측된 의류의 재질을 상기 제1판단단계(S60), 상기 제2판단단계(S70), 및 상기 제3판단단계(S80)에서 확인된 재질과 비교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예측단계(S21)에서 예측한 재질과 상기 각 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재질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인식율보다 낮으면(S83),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예측 기준값 및 상기 제2예측 기준값을 변경하는 보정단계(S84)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보정단계(S84)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율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예측 기준값 및 제2예측 기준값을 수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식율이 기준인식율보다 낮은 상황이 기준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판단단계(S60), 제2판단단계(S70), 및 제3판단단계(S80)의 기준이 되는 값(제1기준값, 제2기준값, 진동 기준값)을 변경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법은 실시예에 관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2: 터브 3: 드럼
4: 수위감지부 5: 회전감지부
6: 진동감지부

Claims (13)

  1.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터브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1감지단계;
    상기 터브에 기 설정된 포량 별 기준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상기 배수단계 후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2감지단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상기 탈수단계 후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제3감지단계;
    상기 제2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를 통해, 두께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 및
    상기 제3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를 통해, 함수율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가 기 설정된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1판단단계는 의류가 두꺼운 재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가 상기 제1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판단단계는 의류가 얇은 재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가 기 설정된 제2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제2판단단계는 의류가 함수율이 높은 재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과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의 차가 상기 제2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판단단계는 의류가 함수율이 낮은 재질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 및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 폭이 기 설정된 진동 기준값보다 크면, 폴리에스테르 함량이 50% 미만인 재질의 의류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 폭이 상기 진동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3판단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함량이 50% 이상인 재질의 의류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단계, 상기 제2판단단계, 및 상기 제3판단단계를 통해 확인된 두께 및 재질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감지단계, 상기 제2감지단계, 상기 제3감지단계, 및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단계가 진행되는 동한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측정단계; 및
    상기 진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폭, 및 상기 급수단계를 통해 급수된 물의 양을 통해 의류의 두께, 함수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 및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재질을 예측하는 예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단계는
    상기 제1감지단계에서 확인된 포량에 설정된 설정 급수량과 상기 급수단계를 통해 공급된 물의 양의 차를 기 설정된 제1예측 기준값과 비교하여 의류의 두께 및 함수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측하고,
    상기 진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진동폭을 기 설정된 제2예측 기준값과 비교하여, 폴리에스테르 함량에 따른 의류의 재질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의류의 재질을 상기 제1판단단계, 상기 제2판단단계, 및 상기 제3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재질과 비교하는 인식율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한 재질과 상기 각 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재질 사이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인식율보다 낮으면, 상기 제1예측 기준값 및 상기 제2예측 기준값을 변경하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는 상기 예측단계에서 예측된 재질에 근거하여, 상기 드럼의 회전수,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 변경 주기, 및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의 실행을 위한 물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74723A 2021-12-08 2021-12-0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08626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23A KR20230086261A (ko) 2021-12-08 2021-12-0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2/018293 WO2023106685A1 (ko) 2021-12-08 2022-11-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2904518.2A EP4428285A1 (en) 2021-12-08 2022-11-18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723A KR20230086261A (ko) 2021-12-08 2021-12-0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261A true KR20230086261A (ko) 2023-06-15

Family

ID=8673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723A KR20230086261A (ko) 2021-12-08 2021-12-0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428285A1 (ko)
KR (1) KR20230086261A (ko)
WO (1) WO20231066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011A (ko) * 1998-10-07 2000-05-06 전주범 세탁기의 탈수시간 제어방법
KR100346271B1 (ko) 2000-05-16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수위 주파수를 이용한 세탁기의 포질 감지방법
JP5501091B2 (ja) * 2010-05-14 2014-05-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2013180161A (ja) * 2012-03-05 2013-09-12 Panasonic Corp 洗濯機
KR102216407B1 (ko) * 2014-06-10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6158745A (ja) * 2015-02-27 2016-09-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685A1 (ko) 2023-06-15
EP4428285A1 (en) 202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0690B2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752895B1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1249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process with diagonal unbalance considered in spin-dryer or washing machine, and spin-dryer or washing machine controlling spin-drying process with the same
US11326297B2 (en) Washing machine with heater and multiple tub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5114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operation of washing apparatus
JP2005152593A (ja) 洗濯機の脱水運転制御方法
WO2015036336A1 (en) Foam-reducing procedure in a washing machine during a spinning cycle
WO2015036337A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KR20100094889A (ko) 세탁기의 탈수 행정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91974B1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086261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0380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0906629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7307236A (ja) 洗濯乾燥機
KR20160061696A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11088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952699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80819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4045818A (ja) 洗濯機
JP3026650B2 (ja) 洗濯機
US11959215B2 (en) Wash article entrapment detection for laundry washing machines
KR100701166B1 (ko)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80057709A (ko) 드럼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방법
KR20240092839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4074595B2 (ja) 洗濯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