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164A -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164A
KR20230086164A KR1020210174536A KR20210174536A KR20230086164A KR 20230086164 A KR20230086164 A KR 20230086164A KR 1020210174536 A KR1020210174536 A KR 1020210174536A KR 20210174536 A KR20210174536 A KR 20210174536A KR 20230086164 A KR20230086164 A KR 2023008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imethal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giogenesis
cells
male gen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권화
임화선
박하현
함지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164A/ko
Publication of KR2023008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6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having th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benzeneam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정상적으로 증식된 정소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혈관 형성을 매개하는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바, 정소 세포주의 비정상적 증식에 의한 남성 생식기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 기능성 식품과 관련된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혈관신생 억제제 및 과도한 혈관형성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giogenesis and preventing or treating male reproductive disease comprising pendimethalin}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환염, 음낭수종, 고환암 등의 남성 생식기관 질환은 정소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 과도한 염증반응으로 인해 발병하는 질병이다. 정소 세포인 라이디히 세포(Leydig cell)와 세르톨리 세포 (Sertoli cell)는 남성 호르몬을 만들어 내고 정자를 생산하는 핵심 세포로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생식 세포의 사멸, 세포 주기 조절 단백질 감소, 세포내 활성 산소 증가에 따른 불임이 야기될 수 있다 (Rindone, G.M., et al., Reproduction, 2018. 156(2): p. 93-101. / Kirk, D. and U. Mittwoch, Humangenetik, 1975. 26(2): p. 105-11. / Pan, B., et al., Cancer Med, 2016. 5(11): p. 3214-3222).
상기 남성 생식기관 질환 중 고환암은 국내 10만명당 0.45명이 발병하는 드문 암이고 병기가 낮은 경우 90%이상의 완치율을 보이지만, 20-40세 사이의 청장년층에서 발병률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상 남성보다 불임을 일으킬 확률이 세배 이상 높으며 (Scott M., et al. , Urologic Clinics of North America, 2015. 42(3): p.269-275), 고환암 환자는 통증이 없기 때문에 진행된 병기에서 발견하는 경우가 많고, 림프절을 따라 전이가 쉽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Mariotto A.B., et al., CA Cancer J Clin 2014; 64: pp. 252-271).
한편, 혈관신생(angiogenesis)은 기존의 혈관으로부터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과정을 말하며, 상처치유와 염증반응과 같은 정상적인 인체 방어 및 생리적 현상과 초기 발생과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혈관신생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혈관 기저막의 분해, 혈관벽을 형성하는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증식 및 혈관내피세포 분화에 의한 맥관의 형성으로 혈관이 재구성되어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순차적인 단계를 통해 일어난다.
또한 혈관이 신생되는 과정은 다양한 음성 및 양성 조절인자들에 의해 엄격히 조절되고 있는데(Folkman and Cotran, Int Rev Exp Patho, 16, 207~248, 1976), 이러한 혈관신생이 정상적으로 조절되지 못하면 암, 류마티스성 관절염, 당뇨병성 망막증 등 여러 가지 질환들이 야기된다. 특히, 비정상적인 혈관신생은 종양의 성장과 전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첫째로는 종양의 성장과 증식에 필요한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둘째로는 종양까지 침투한 신생 모세혈관들은 전이하는 암세포가 혈액순환계로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암세포가 온 몸에 퍼져 전이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혈관신생의 기전에 대한 연구 및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은 암을 포함하는 여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물의 암 모델과 인간의 임상실험에서 종양의 혈관신생 저해는 종양의 성장과 발달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고 환자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면서 혈관신생 억제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혈관신생 억제제는 항암 치료법에 있어서 특히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는 첫째, 혈관신생 억제제는 모든 고형성 종양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둘째, 기존의 항암 화학요법은 암 세포가 빠르게 성장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치료하기 때문에 비교적 세포주기가 빠른 골수세포 및 위장관계 세포에 독성 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혈관신생 억제제는 장기 투여하여도 비교적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고, 셋째, 하나의 혈관세포는 수백 개의 암세포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하나의 혈관세포 억제를 통해 많은 암세포를 억제할 수 있으며, 넷째, 기존의 항암 요법의 경우에는 항암제가 혈관 밖으로 유출되어 암세포에 영향을 나타내는 반면, 혈관신생 억제제는 직접적으로 혈관내피세포에 접촉하여 작용함으로써 약물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현재까지 개발된 혈관신생 억제제로는 약 200 여종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러한 혈관신생 억제제로는 특정 혈관 형성촉진인자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기전, 혈관내피세포의 성장억제 또는 고사를 유도하는 기전, 혈관형성 촉진인자나 내피세포 생존인자를 조절하는 간접인자들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전 및 체내에 존재하는 혈관신생 억제제들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기전에 역할을 하는 4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고, 특히 안지오스타틴(angiostatin), 엔도스타틴(endostatin), PK5, 프로트롬빈 크링글 2(prothrombin kringle 2)과 같은 혈관형성 억제제들이 잘알려져 있다(O'Relly, MS 등 Cell, 79, 315~328, 1994; Lee TH, Biol Che, 273, 28805~28812, 1998).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개발된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의 경우, 혈관신생 억제효과가 미비한 문제점과, 항혈관신생-생장인자 관련 억제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는 혈관신생 적응증에서는 효과가 없어, 새로운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펜디메탈린(pendimethalin)은 니트로아닐린계 제초제 성분으로 곡물이나 콩과 식물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펜디메탈린의 남성 생식기 질환 치료 효과 및 혈관신생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남성 생식기 질환 치료 및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갖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펜디메탈린이 비정상적으로 증식된 정소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효과를 유도하며, vegfc, nos2a, flt4, kdrl과 같은 혈관생성에 관여하는 인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혈관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정소 세포주의 증식 능력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정소 세포주의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정소 세포주의 증식 능력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정소 세포주의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정상적으로 증식된 정소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혈관 형성을 매개하는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바, 정소 세포주의 비정상적 증식에 의한 남성 생식기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 기능성 식품과 관련된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혈관신생 억제제 및 과도한 혈관형성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펜디메탈린이 정소 세포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펜디메탈린에 의한 정소 세포주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 유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펜디메탈린에 의한 소포체 스트레스 신호전달 기전 관련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펜디메탈린과 2-APB 처리에 따른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펜디메탈린과 2-APB 처리에 따른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펜디메탈린에 의한 마우스 정소 세포주 내 세포사멸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펜디메탈린 처리에 따른 제브라 피쉬 내 혈관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펜디메탈린에 의한 제브라 피쉬의 배아 내 대사 표현형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펜디메탈린의 정소 세포주 내 작용 기전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펜디메탈린에 의한, 비정상적으로 증식된 정소 세포주의 증식 억제 및 세포 사멸 기전을 밝혔다(도 9).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펜디메탈린에 의한, 혈관생성에 관여하는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한 혈관 생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산물뿐만 아니라, 특정 성분의 배합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만들어지는 임의의 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남성 생식기 질환 또는 혈관신생 관련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남성 생식기 질환 또는 혈관신생 관련 질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이온 교환 수지,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완충 물질, 물, 염, 전해질,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구강, 심장내, 골수내, 경막내, 경피, 장관, 피하, 설하 또는 국부 투여용으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완충제, 항균성 보존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긴장성 조정제, 방부제, 증점제 및 점도 개질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kg 당 100 내지 5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2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과립제, 정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껌, 차, 젤리, 각종 음료수,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인체를 비롯한 동물 신체에 투여하기 적합한 임의의 생약 형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에 통상적인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사료, 식품 또는 사료의 첨가제 및 보조제, 강화된 식품 또는 사료, 정제, 환제, 과립, 캡슐 및 발포 배합물 등과 같은 고체 형태 또는 용액, 현탁액, 유화액, 음료, 페이스트 등과 같은 액체형태 일 수 있고,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감미제, 착색제, 유기산, 방부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이 정소 세포주의 증식과 관련된 PI3K/AKT 및 MAPK 신호전달기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이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칼슘 항상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이 스테로이드 생합성, 세포주기, 호르몬 수용체 및 정자형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남성 생식기 질환은 라이디히(Leydig) 세포 또는 세르톨리(Sertoli) 세포의 과증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남성 생식기 질환은 라이디히 세포 종양, 세르톨리 세포 종양, 고환염, 부고환염, 고환암, 음낭수종, 전립선 비대증 및 전립선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은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그 수용체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VEGF는 vegfc일 수 있고, 수용체는 nos2a, flt4 또는 kdrl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혈관신생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대상 질병인 "혈관신생 관련 질환" 또는 “혈관신생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신생혈관 형성이 비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야기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혈관신생 관련 질환”과 “혈관신생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상호 호환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신생 억제용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혈관신생 관련 질환은 암, 당뇨병성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신생혈관 녹내장, 홍색증, 증식성 망막증, 습식 황반변성, 건선, 혈우병성 관절,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 내에서의 모세혈관 증식, 켈로이드, 상처과립화, 혈관 접착,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씨병, 재발협착증, 아테롬성 동맥경화, 캣스크래치 질환, 궤양,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증, 악성 신경화증, 혈전성 미소혈관증 및 신사구체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정소 세포주의 증식 능력을 억제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정소 세포주의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험 방법>
실험 재료
후보 조성물질인 펜디메탈린은 Sigma-Aldrich, Inc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DMSO에 20 mM의 농도로 제조되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2-APB도 Sigma-Aldrich, Inc로부터 구매하였다. 신호전달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Bip, Chop, Tuba에 대한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사에서 구매하였으며, Ire1a, p-Ulk1, t-Ulk1, p-p62, t-p62 및 LC3B에 대한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onology사로부터 구매하였다.
세포배양
라이디히 세포주 TM3(immature mouse leydig cell), 세르톨리 세포주 TM4 (immature mouse sertoli cell)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 (KCLB)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세포의 단층배양을 위해서 high glucose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에 10%의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 및 세포 증식 능력 분석
트립판 블루 염색을 통해,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구별하여 라이디히 및 세르톨리 세포의 생존 능력을 측정하였다. 60-mm 배양접시에 1.5×105 cells/ml로 분주하고, FBS 기아 조건에서 24시간, 펜디베탈린을 처리한 배지에서 24시간 배양 후, 상층액과 부착세포 모두 회수하여 트립판 블루로 염색하였다. 트립판 블루에 염색된 살아있는 세포와 전체 세포의 비율을 계산하여 퍼센트 비율로 나타내었다. 또한, 마우스 정소 세포주의 증식 능력에 펜디메탈린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FBS 기아 조건으로 배양한 5×103개의 세포와 배지 100 ㎕를 96 well에 분주하고 펜디메탈린을 용량의존적으로 (0, 5, 10, 20 μM)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BrdU 키트 (Cat No: 1167229001, Roche)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48시간 인큐베이션 후, 10 μM BrdU를 각 well에 추가적으로 넣어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라이디히 세포와 세르톨리 세포에 BrdU를 labeling 하고 세포를 고정하여 anti-BrdU-POD 용액을 상온에서 90분 인큐베이션 시킨 이후 3차례 씻어주었다. 마지막으로 100 μl의 3,3’,5,5’-tetramethylbenzidine substrate으로 세포를 반응시키고, ELISA 리더기를 사용하여 370 nm, 492 nm 내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 능력을 분석하였다.
스페로이드 형성 분석
스페로이드 형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TM3와 TM4 세포를 10% FBS-DMEM 배지에 2.4×105 cells/ml 농도로 희석하여, 비히클(DMSO) 또는 펜디메탈린을 20 μM 처리하였다. 배양 접시의 뚜껑에 25 μl씩 drop을 분주하고, 뒤집어 PBS를 채운 dish에 덮어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7일까지 배양하였다. 분석을 위해 적어도 3개의 다른 스페로이드 이미지를 Leica DM2500으로 촬영하였으며, Image J software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Fluo -4 AM 염색을 통한 세포질 내 칼슘농도 변화 측정
세포질 내 칼슘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Fluo-4 A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105 개의 라이디히 및 세르톨리 세포를 6 well에 배양하고 60% 배양 접시에 세포가 찼을 때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펜디메탈린을 용량의존적으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서 떼어 원심분리 하여 세포 pellet을 얻었다. 세포는 Fluo-4 staining solution에 풀어준 후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 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염색된 세포는 다시 원심분리하여 PBS로 워싱한 후 다시 원심분리로 세포 pellet을 얻었다.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였다.
JC -1 염색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측정
JC-1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MMP) 변화는 mitochondria staining kit (Cat No: CS0390, Sigma-Aldric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105개의 정소 세포를 6 well에 배양하고 60% 배양 접시에 세포가 찼을 때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펜디메탈린을 용량의존적으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서 떼어 원심분리 하여 세포 pellet을 얻었다. 세포는 JC-1 staining solution에 풀어준 후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20분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다시 원심분리하여 1x JC-1 staining buffer로 워싱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였다.
단백질 발현 분석 ( 웨스턴블롯 )
마우스 정소 세포에 펜디메탈린 단독 (0, 5, 10, 20 μM) 또는 2-APB (1 μM)와 병용처리 처리한 다음 정소 세포주로부터 전체 단백질을 추출하여 Bradford protein assay (Bio-Rad, Hercules, CA, USA)로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이후, 추출한 단백질을 95℃에서 5분간 변성하였으며 10% SDS/PAGE 젤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수행한 뒤,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옮겨주고, 1차 항체와 2차 항체를 차례로 인큐베이션 시킨 다음 chemiluminescence detection (SuperSignal West Pico, Pierce, Rockford, IL, USA) 시약을 사용하여 ChemiDoc EQ system과 Quantity One software (Bio-Rad) 기기를 사용하여 타겟 단백질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Propidium iodide (PI)를 이용한 세포주기 분석
펜디메탈린의 마우스 정소 세포주의 세포주기의 정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D Biosicences사의 Propidium iodide (PI) 시약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5×105 세포를 6 well에 배양하고 60% 배양 접시에 세포가 찼을 때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펜디메탈린을 용량의존적으로 (0, 5, 10, 20 μM)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서 떼어 PBS로 2번 워싱을 진행하고 70%의 에탄올로 고정시켜 4℃에 하루 동안 보관하였다. 다음으로 PBS로 2번 워싱을 진행하고 10 mg/ml의 RNase A 5 μL, 50 mg/ml PI 5 μL을 PBS에 함께 혼합하여 실온에 30분동안 빛을 차단한 채 염색하였다. 이후, PBS를 400 μL 추가하여 5 mL FACS 튜브에 염색된 용액을 옮겨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여 세포주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Annexin V와 propidium iodide 염색을 통한 세포사멸 분석
펜디메탈린에 의한 정소 세포의 사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ITC Annexin V 세포 사멸 진단 키트 I (BD Biosciences)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5×105 세포를 6 well에 배양하고 60% 배양 접시에 세포가 찼을 때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 배양하였다. 이후, 펜디메탈린을 용량의존적으로 (0, 5, 10, 20 μM)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트립신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서 떼어 PBS로 워싱을 진행하고 1 mL의 1× binding buffer를 사용하여 세포를 천천히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 pellet을 얻었다. 다음으로 200 μL의 1× binding buffer으로 세포현탁 배양하여 브라운 1.5 mL 튜브에 100 μL 넣고 Annexin V 5 μL, PI 5 μL를 함께 혼합하여 세포를 15분 동안 실온에 두어 염색하였다. 이후 1× binding buffer를 400 μL 추가하여 5 mL FACS 튜브에 염색된 용액을 옮겨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분석하여 사멸된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TUNEL 반응을 통한 세포사멸 분석
3×104개의 마우스 정소 세포를 10% FBS가 포함된 배지 300 μl와 함께 confocal dish (catalog number: 100350, SPL Life Science, Republic of Korea)에 분주하여 배양한 뒤, 24시간 FBS 기아상태로 추가로 배양하여 펜디메탈린 20 μM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에어드라이 시키고 4% paraformaldehyde로 상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하여 세포를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PBS로 한번 헹궈내고 0.1% sodium citrate에 0.1% Triton X-100가 함유된 용액을 사용하여 아이스 위에서 2분간 인큐베이션 시켰다. 다음으로 In Situ Cell Death Detection Kit, TMR red (Roche) 에 포함된 TUNEL staining mixture를 사용하여 37℃/5%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PBS로 헹구고 DAPI를 염색한 이후, LSM710 (Carl Zeiss, Thornwood, NY, USA)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를 관찰 및 촬영하였다.
제브라 피쉬 및 배아 관리
Zebrafish Organogenesis Mutant Bank (ZOMB)에서 야생형 (AB) 및 형질전환 제브라 피쉬 (Olig2;dsRed, fli1:eGFP)을 구입하였으며, UV로 필터링한 물 (pH 6.9-7.5)에 28.5℃로 유지하였다. 먹이는 brine shrimp alternatives로 하루 두 번 공급하였으며, 광주기는 14h/10h (light/dark)로 유지하였다. 배아를 얻기 위해서 breeding tank에서 암컷과 수컷을 1:1로 짝지었으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수정된 배아들은 그 즉시 페트리 접시로 옮겨 medium으로 3번 washing을 진행하였으며, 부차적인 실험이 수행되기 전까지 배아용 medium에 28.5℃로 유지시켰다.
신경생성 및 혈관생성 분석
혈관 구성요소인 fli1 유전자에 GFP 형광이 태그된 fli1:eGFP 제브라 피쉬를 혈관생성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신경 마커인 oilgo2 에 dsRed 형광을 태그한 olig2:dsRed 제브라 피쉬는 신경생성분석에 사용하였다. 각기 형질전환된 제브라 피쉬의 배아들은 펜디메탈린을 농도의존적으로 96h 처리하였으며, 이후 실험을 위해 PBS로 한번 세척하였다. 또한 tricaine methanesulfonate로 5분간 마취시켰으며,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3% methylcellulose로 고정하였다. 형광 이미지는 GFP와 RFP 형광필터가 달린 직립형광 현미경(Zeiss Axio Imager)으로 촬영하였으며, Image J software를 통해 형광 강도를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bioenergetics 분석
Seahorse assay (Agilent Technologies)를 사용하여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배아들은 펜디메탈린이 포함된 배지에 28℃에 배양하였으며, 9.4 μM oligomycin, 8μM FCCP, 2.5 μM rotenone 및 antimycin A가 특정 시간에 차례로 주입하였다. Oligomycin은 ATP 합성 저해제로 복합체Ⅴ의 양성자 채널 (proton channel)를 막으며, FCCP는 미토콘드리아 산화적 인산화의 짝풀림제로 사용되었다. Rotenone과 antimycin A는 각각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Ⅲ, Ⅴ에 대한 저해재로 사용되었다.
통계분석
본 실험결과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를 계산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펜디메탈린의 2D, 3D 배양 조건의 라이디히 세포와 세르톨리 세포에 대한 증 식 억제 효과
펜디메탈린의 용량의존적 처리 (0, 5, 10, 20 μM)에 따른 마우스 라이디히 세포(TM3)와 세르톨리 세포 (TM4)의 세포생존률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94-96%)에 비해 각각 67%와 58%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A-B). TM3의 세포증식 능력은 10-20 μM의 펜디메탈린 처리에 따라 대조군 대비 46%, 48% 가까이 감소하였으며 (도 1C), TM4 역시 10 μM의 펜디메탈린에 의해 54%, 20 μM의 경우에는 38%까지 감소하였다 (도 1D). 추가적으로 3D 환경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스페로이드 형성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스페로이드 배양 7일차에는 TM3와 TM4 세포 모두에서 펜디메탈린 처리 그룹 (10 μM, 20 μM)이 대조군보다 낮은 밀도와 상대적 면적이 10-20% 가량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E-G). 이러한 결과를 통해, 펜디메탈린은 2D 및 3D 배양 조건의 TM3와 TM4 세포 내 세포 생존 및 증식 능력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펜디메탈린의 마우스 정소 세포주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 유발 효과 분석
Fluo-4 AM 및 JC-1 dye를 이용하여, 마우스 정소 세포주 내 세포질 내 칼슘 이온 농도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탈분극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펜디메탈린의 용량의존적 처리에 의해, TM3 세포 내 칼슘 이온의 농도는 1.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M4세포에서는 10 μM, 20 μM 농도의 펜디메탈린에 의해 유의적으로 칼슘이온농도가 6.9배, 12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2A-B). 또한, 10-20 μM의 펜디메탈린 처리에 의해, TM3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각각 5,1배, 32배 무너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TM4세포에서도 각각 3.2배, 10배까지 탈분극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도 2C-D). Ionomycin은 세포질 내 칼슘이온 농도, valinomycin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의 탈분극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각각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펜디메탈린은 마우스 라이디히 및 세르톨리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펜디메탈린의 소포체 스트레스 및 자가포식 세포신호전달 경로의 발현양상 조절 분석
칼슘조절과 미토콘드리아 기능은 소포체와 매우 관련이 높은바, 웨스턴 블랏을 통해 마우스 정소 세포주 내 펜디메탈린에 의한 소포체 스트레스 신호전달 기전과 관련된 단백질들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3A). 그 결과, UPR에 관여하는 Bip 단백질의 발현이 펜디메탈린의 용량의존적 (0, 5, 10, 20 μM) 처리에 따라 정소세포주 내에서 최대 1.7 ~ 1.8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3B), Ire1a 및 하위 조절인자인 Chop 단백질의 발현 역시 20 μM의 펜디메탈린이 처리된 TM3 및 TM4 세포 내에서 2-3배 가량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C-D). 다음으로, 정소 세포주 내 자가포식작용이 활성화와 관련된 Ulk1, P62의 인산화 및 LC3B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도 3E-H). TM3 세포에서 Ulk1의 인산화는 농도의존적 처리에 따라 2.4배까지 증가하였으며, TM4 세포에서는 10 μM과 20 μM의 농도에서 모두 2배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3F). p62의 인산화도 두 세포주 모두에서 펜디메탈린 처리에 따라 최대 2.6배, 2.3배까지 증가하였으며, LC3B 역시 두 세포주 모두에서 대조군 대비 2.4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3G-H).
펜디메탈린과 2- APB와의 병용 처리에 의한 소포체 스트레스 및 자가포식 작용 관련 단백질 발현양상 분석
세포질 내 칼슘 이온농도의 증가와 소포체 스트레스 활성화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IP3 수용체를 막는 2-APB를 펜디메탈린과 병용처리 하였다. 그 결과, TM3, TM4 두 세포주 모두에서 20 μM의 펜디메탈린에 의해 3.4배 및 2배 증가한 Bip의 발현이 1 μM의 2-APB에 의해 대조군 대비 각 2.3배 및 1.1배 수준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4A-C). Chop 단백질 역시 펜디메탈린에 의해 2배 내지는 2.5배까지 증가하였지만, 2-APB와의 병용처리에 따라 각각 TM3세포에서는 1.3배, TM4세포에서는 1.6배 수준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4E). 하지만, Ire1a 단백질의 경우에는 펜디메탈린 단독처리와 2-APB와의 병용처리 간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도 4A-B, D). 자가포식작용과 관련된 단백질인 Ulk1과 P62의 인산화는 TM3세포에서 펜디메탈린 (20 μM) 처리에 대조군 대비 3배 및 2.3배가량 증가했지만, 1 μM의 2-APB 병용 처리에 의해 대조군 대비 각 1.4배 및 1.3배 수준으로 유의적으로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 5A, C, D). TM4세포에서도 펜디메탈린에 의해 2.3배 및 2.6배까지 증가한 Ulk1과 p62의 인산화 수준이 2-APB와의 병용처리로 약 마찬가지로 약1.3배 및 1.8배 수준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면 5B, C, D). 하지만, 두 세포주에서 펜디메탈린에 의해 증가한 LC3B 단백질의 발현은 2-APB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띄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도 5A-B, E). 이처럼, 소포체 유래 칼슘 방출을 2-APB로 막았을 때 펜디메탈린에 의한 소포체 스트레스 및 자가포식 작용 신호전달기전이 완화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펜디메탈린이 TM3 및 TM4 세포주에서 소포체 내 칼슘 방출을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펜디메탈린의 마우스 정소 세포주 내 세포 사멸유도 효과 분석
펜디메탈린이 TM3 및 TM4 세포 내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주기 진행 분석, 세포자멸사 유도 여부 및 DNA 분절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세포주기 진행 분석에서 세포 사멸이 일어난 세포 수가 펜디메탈린 처리에 따라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G0/G1기 세포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6A-B). 또한, Annexin V와 PI 염색을 통해, 펜디메탈린에 의해 TM3 세포의 초기 세포자멸사가 약 2.5배가량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M4 세포에서는 초기 및 후기 세포자멸사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C-D). 또한, 세포자멸사의 특징인 DNA분절화 (붉은색 형광)를 TUNEL 반응을 통해 검출할 수 있었다 (도 6E). 이러한 결과를 통해, 펜디메탈린이 TM3와 TM4 세포에서 세포주기 정지 및 세포자멸사를 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펜디메탈린의 혈관형성, 신경생성, 세포자멸사 및 여러 기능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 분석
펜디메탈린의 배아발생과정 중 혈관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fil1이 발현되는 혈관에 eGFP 형광을 태그한 형질전환 제브라 피쉬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혈관생성의 지표로서 사용되는 등측 대동맥 (dorsal aorta, DA), 분절 간 혈관 (Intersegmental vessels, ISVs), 등측 종방향 혐기성 혈관(dorsal longitudinal anasto motic vessel, DLAV) 및 후측 기정맥 (Posterior cardinal vein, PCV)의 형성이 펜디메탈린 (20 μM) 노출시 정상군에 비해 퇴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도 7A). 또한, 혈관 발달 인자들인 nos2a , flt4 , kdrl , flt1 kdr의 발현이 펜디메탈린에 의해 그 균형이 붕괴됨을 알 수 있었다 (도 7B).
다음으로, 올리고 수상돌기 아교세포에 흔히 발현되는 olig2에 형광을 달아, 신경분화의 척도를 쉽게 판별할 수 있는 Olig2;dsRed 제브라 피쉬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펜디메탈린의 처리에 따라, 제브라 피쉬의 운동 뉴런(a)과 축삭돌기관(b)에서 oligo2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C). 운동 뉴런의 길이는 펜디메탈린 처리에 의해 약 32% 가량 감소하였으며, 축삭돌기관 역시 대조군에 비해 약 38%가량 감소하였다 (도 7C). 이와 유사하게 주요 신경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인 mbp , sox2 , islet1 , pax6b , sox10gfap의 발현도 펜디메탈린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D).
펜디메탈린의 제브라 피쉬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에 의한 대사 표현형 변화 분석
펜디메탈린을 처리한 배아의 미토콘드리아의 bioenergetics를 분석하기 위해 seahorse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펜디메탈린이 처리된 제브라 피쉬의 배아에서는 기저 호흡 (basal respiration)이 46%, 최대 호흡 (maximal respiration)이 44%, ATP 생산 (ATP production)이 53.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8A-B). 또한, 펜디메탈린 처리에 따라 대사 표현형이 역동기 (Energetic)에서 휴식기(Quiescent)로 이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8C). 또한, 전자전달계를 구성하는 미토콘드리아 복합체별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도 9A), 특히 미토콘드리아 복합체Ⅰ (도 9B)와 복합체Ⅴ (도 9C)의 발현이 두드러지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이 PI3K/AKT 및 MAPK 신호전달기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이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칼슘 항상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남성 생식기 질환은 라이디히(Leydig) 세포 또는 세르톨리(Sertoli) 세포의 과증식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남성 생식기 질환은 라이디히 세포 종양, 세르톨리 세포 종양, 고환염, 부고환염, 고환암, 음낭수종, 전립선 비대증 및 전립선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관신생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암, 당뇨병성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신생혈관 녹내장, 홍색증, 증식성 망막증, 습식 황반변성, 건선, 혈우병성 관절, 아테롬성 동맥경화 플라크 내에서의 모세혈관 증식, 켈로이드, 상처과립화, 혈관 접착,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크론씨병, 재발협착증, 아테롬성 동맥경화, 캣스크래치 질환, 궤양,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증, 악성 신경화증, 혈전성 미소혈관증 및 신사구체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은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그 수용체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10.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펜디메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정소 세포주의 증식 능력을 억제시키는 방법.
  13.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유래 정소 세포주의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
KR1020210174536A 2021-12-08 2021-12-08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86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36A KR20230086164A (ko) 2021-12-08 2021-12-08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36A KR20230086164A (ko) 2021-12-08 2021-12-08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164A true KR20230086164A (ko) 2023-06-15

Family

ID=8676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536A KR20230086164A (ko) 2021-12-08 2021-12-08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61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Purple sweet potato color attenuates domoic acid-induced cognitive deficits by promoting estrogen receptor-α-mediated mitochondrial biogenesis signaling in mice
Teerds et 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male reproduction: from humans to animal models
EP3372613A1 (en) Peptide having neuronal loss prevention and regeneration effects,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Tan et al. LNK promotes granulosa cell apoptosis in PCOS via negatively regulating insulin-stimulated AKT-FOXO3 pathway
Choi et al. Carbon monoxide stimulates astrocytic mitochondrial biogenesis via L-type Ca2+ channel-mediated PGC-1α/ERRα activation
An et al. Glucagon-like peptide-1 regulates mitochondrial biogenesis and tau phosphorylation against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induced neuronal insult: Studies in vivo and in vitro
Yang et al. Alpha-synuclein overexpression increases phospho-protein phosphatase 2A levels via formation of calmodulin/Src complex
TWI235659B (en) Methods and compositions that affect melanogenesis
WO2003026576A2 (en) Induction of brown adipocytes by transcription factor nfe2l2
Wei et al. Homer1a attenuate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induced mitochondrial stress after ischemic reperfusion injury by inhibiting the PERK pathway
Zhong et al. Energy stress modulation of AMPK/FoxO3 signaling inhibits mitochondria-associated ferroptosis
Taheri et al. The protective effect of sulforaphane against oxidative stress in granulosa cells of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through activation of AMPK/AKT/NRF2 signaling pathway
Bo et al. The Roles of FGF21 and ALCAT1 in Aerobic Exercise‐Induced Cardioprotection of Postmyocardial Infarction Mice
Zhang et al. Exercise‐induced peptide EIP‐22 protect myocardial from ischaemia/reperfusion injury via activating JAK2/STAT3 signalling pathway
Kim Intranasal delivery of mitochondrial protein humanin rescues cell death and promotes mitochondrial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Zhang et al. The alleviative effect of thyroid hormone on cold stress-induced apotosis via HSP70 and mitochondrial apoptosis signal pathway in bovine Sertoli cells
Alimujiang et al. Survivin is essential for thermogenic program and metabolic homeostasis in mice
Sun F-box and WD repeat domain-containing 7 (FBXW7) mediates the hypoxia inducible factor-1α (HIF-1α)/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signaling pathway to affect hypoxic-ischemic brain damage in neonatal rats
KR20180082084A (ko) Ae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6164A (ko)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억제 및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08689A (ko) 펜벤다졸, 옥시벤다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 세포 또는 영양막 세포의 비정상적 증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98800B1 (ko) 크리소파놀을 포함하는 난소암 또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Zheng et al. Islet transplantation ameliorates diabetes-induced testicular interstitial fibrosis and i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TGF-β1/Smad2 pathway in a rat model of type 1 diabetes
Inoue-Yanagimachi et al. Changes in glial cells and neurotrophic factors due to rotenone-induced oxidative stress in Nrf2 knockout mice
KR102434351B1 (ko)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