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760A -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 Google Patents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760A
KR20230085760A KR1020210174243A KR20210174243A KR20230085760A KR 20230085760 A KR20230085760 A KR 20230085760A KR 1020210174243 A KR1020210174243 A KR 1020210174243A KR 20210174243 A KR20210174243 A KR 20210174243A KR 20230085760 A KR20230085760 A KR 2023008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ocation
firefighting
distan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준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21017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760A/ko
Publication of KR2023008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3System arrangements with pre-alarms, e.g. when a first distance is excee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47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은 NFC 모듈, 무선 LAN, RFID 태그, 블루투스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출력 모듈, 및 NFC 모듈, 무선 LAN, RFID 태그, 블루투스 모듈, UWB 모듈 및 출력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NFC 모듈을 이용하여 인접한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통신을 개시하고, 무선 LAN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Wi-Fi 메쉬를 형성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각각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하고, UWB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각각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1 거리 및 UWB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2 거리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TERMINAL FOR ALERTING BASED ON POSITION FOR FIRE FIGHTING}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화재 진압 현장에서 소방 대원의 안전을 위해 대원들의 위치 기반으로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화재 진압 현장에서 소방 대원은 통상적으로 3인 1조로 현장에 진입하게 된다. 다양한 변수로 인해 위험성이 높은 화재 진압 현장에서는 소방 대원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상호 간의 위치를 확인하여 낙오하는 대원이 없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화재 진압 현장에서는 밀폐된 공간에서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검은 연기로 인해 소방 대원의 가시 거리가 매우 좁아질 수 있다. 실제로 현장에서 소방관이 고립되어 순직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소방 대원이 서로의 위치 및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수단은 실질적으로 무전기가 유일하나, 무전기는 동시 소통이 어렵고 위치 전달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소방 대원의 위치를 추적하여 고립을 방지할 수 있는 단말이 요구될 수 있다.
위치 추적을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GPS 및 기지국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은 오차 범위가 커서 통상적으로 건물 내부에서 활동하는 소방 대원의 위치를 파악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화재 진압 활동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위치 추적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건물 내부에서 다수의 소방 대원 사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소방 대원의 낙오 내지 고립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 기반의 경보 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은 NFC 모듈, 무선 LAN, RFID 태그, 블루투스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출력 모듈, 및 NFC 모듈, 무선 LAN, RFID 태그, 블루투스 모듈, UWB 모듈 및 출력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NFC 모듈을 이용하여 인접한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통신을 개시하고, 무선 LAN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Wi-Fi 메쉬를 형성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각각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하고, UWB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각각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1 거리 및 UWB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2 거리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출입 관리 게이트를 통과할 때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를 출입 관리 게이트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블루투스 모듈에서 측정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제1 거리를 산출하고, UWB 모듈에서 측정된 ToF(time of flight)에 기초하여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모듈은 스피커, 램프 및 진동 모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모션 센서에 의해 지정된 시간 이상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무선 LAN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을 통해 중앙 단말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전부가 지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 양자 모두 지정된 거리 범위보다 먼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LAN을 이용하여 Wi-Fi 메쉬를 형성하고 블루투스 모듈 및 UWB 모듈을 함께 이용하여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대원이 지정된 범위 외부로 이탈 시 경보를 출력함으로써, 대원의 낙오 또는 고립을 알리는 경보를 진압 활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높은 정확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에서 사용되는 경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110)은 복수의 다른 단말(120)과 통신할 수 있다.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110)은 복수의 다른 단말(120)과 Wi-Fi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Wi-Fi 메쉬를 형성함으로써 통신 연결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110)은 직접 또는 다른 단말(120)을 통해 중앙 단말(10)과 통신할 수 있고, 중앙 단말(10)로 자신의 위치 정보 및 다른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110)은 통신을 통해 다른 단말(120)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110)은 상호 보완적인 2가지 방식(예: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및 ToF(time of flight))을 이용하여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로써 거리 산출의 신뢰도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110)은 다른 단말(120) 전부와 지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청각적, 시각적 및/또는 촉각적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소방 대원의 이탈, 낙오 또는 고립 등을 스스로 인지하거나 다른 소방 대원에게 인지시킬 수 있고, 가시 거리가 제한되는 화재 진압 현장에서 소방 대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20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210), 무선 LAN(220)(local area network),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230), 블루투스 모듈(240), UWB(ultra wideband) 모듈(250), 모션 센서(260), 출력 모듈(270) 및 제어 회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200)은 소방 대원 각자에 의해 소지될 수 있고, 현장에서 각각 하나의 노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NFC 모듈(210)은 다른 소방 대원에 의해 사용되는 외부 단말(21) 및 중앙 단말(22)과의 NFC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NFC 모듈(210)은, 예를 들어, 약 10cm 거리 이내로 인접한 외부 단말(21)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LAN(220)은 외부 단말(21) 및 중앙 단말(22)과의 Wi-Fi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LAN(220)은 Wi-Fi 방식으로 중앙 단말(22)과 통신할 수 있고, Wi-Fi Direct 방식으로 외부 단말(21)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LAN(220)은 외부 단말(21)과 Wi-Fi 메쉬를 형성할 수 있고, 중앙 단말(22)로 위치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예: 센서에 의해 수집된 호흡량, 근육 움직임, 패닉 상태 여부 등)를 전송할 수 있다.
RFID 태그(230)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게이트(23)의 RF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RFID 태그(230)는 출입 관리 게이트(23)를 통과할 때 출입 관리 게이트(23)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40)은 외부 단말(21)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40)은 외부 단말(21)과의 거리 산출을 위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UWB 모듈(250)은 외부 단말(21)과의 UWB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UWB 모듈(250)은 외부 단말(21)과의 거리 산출을 위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모션 센서(260)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200)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션 센서(260)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단말의 움직임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출력 모듈(270)은 감각 기관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모듈(270)은, 예를 들어, 스피커, 램프 및 진동 모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NFC 모듈(210), 무선 LAN(220), RFID 태그(230), 블루투스 모듈(240), UWB 모듈(250), 모션 센서(260) 및 출력 모듈(2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연결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어 회로(280)가 단일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구성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 회로(28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내지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80)는 NFC 모듈(210)을 이용하여 인접한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21)과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화재 진압 현장 진입 전 구조 대장과 구조 대원의 단말(또는 복수의 구조 대원의 단말)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근접한 외부 단말(21)과의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80)는 무선 LAN(220)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21)과 Wi-Fi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NFC 모듈(210)을 통해 통신된 외부 단말(21)과 Wi-Fi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외부 단말(21)과 Wi-Fi Direct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고, 중앙 단말(22)과 Wi-Fi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80)는 출입 관리 게이트(23)를 통과할 때 RFID 태그(230)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를 출입 관리 게이트(23)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RFID 태그(230)를 이용하여 재난 현장 출입 정보를 출입 관리 게이트(23)에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시간 정보 및 단말의 식별 정보를 출입 관리 게이트(23)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80)는 블루투스 모듈(240)을 이용하여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200)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21) 각각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280)는 블루투스 모듈(240)에서 측정된 RSSI에 기초하여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40)은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1 거리는 끊김 없이 산출될 수 있다. 다만, 블루투스 모듈(240)은 건물 내부의 구조물 및 가구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해 거리 측정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하와 같이 UWB 모듈(250)을 이용함으로써 상호 보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80)는 UWB 모듈(250)을 이용하여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200)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21) 각각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280)는 UWB 모듈(250)에서 측정된 ToF에 기초하여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UWB 모듈(250)은 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하므로 장애물에 의한 전파 간섭이 적고, ToF 방식을 활용하여 산출된 거리의 정확도가 높고 외부 단말(21)의 방향 정보도 획득될 수 있다. 다만, UWB 모듈(250)은 통신 접속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술한 것과 같이 블루투스 모듈(240)을 이용함으로써 상호 보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80)는 블루투스 모듈(240)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1 거리 및 UWB 모듈(250)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2 거리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출력 모듈(270)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280)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 양자 모두 지정된 거리 범위보다 먼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거리 및 제2 거리 양자를 고려함으로써, 경보의 신뢰도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21) 전부가 지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 대원이 다른 모든 대원과 지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낙오 내지 고립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 한해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200)이 다른 외부 단말(21)과 5m 이상 떨어진 경우, 스피커를 이용하여 95dB 이상의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주변 대원들을 호출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램프 및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시각적, 촉각적 경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80)는 모션 센서(260)에 의해 지정된 시간 이상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출력 모듈(270)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280)는 30초 이상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소방 대원이 위험한 상황에 빠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280)는 무선 LAN(220)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21)을 통해 중앙 단말(22)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회로(280)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200) 및 다른 외부 단말(21)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중앙 단말(22)로 전송할 수 있고, 전달된 위치 정보는 지휘대에 전달되어 효과적인 소방 전술을 펼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의 전달을 위해 추가적으로 Wi-Fi 익스텐더 등과 같은 장비가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300)은 하우징(310), 전원 버튼(320), 상면 램프(330), 측방 램프(340), 스피커(350), 진동 모터(360), 통신 모듈(370), 클립(380) 및 배터리(39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300)은 현장 활동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와 무게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3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원형 또는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원 버튼(320)은 하우징(310)의 일 측면(예: 우측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전원 버튼(320)에 대한 입력에 의해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300)이 구동될 수 있다.
상면 램프(330)는 하우징(310)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면 램프(330)는 착용자를 향할 수 있고, 착용자가 스스로 다른 대원과의 거리가 멀어진 것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측방 램프(340)는 하우징(310)의 일 측면(예: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측방 램프(340)는 다른 대원을 향할 수 있고, 다른 대원이 착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스피커(350)는 하우징(310)의 일 측면(예: 전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스피커(350)는 경보음의 출력을 통해 착용자와 다른 대원에게 착용자의 이탈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진동 모터(360)는 하우징(3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진동 모터(360)는 진동의 출력을 통해 착용자가 스스로 이탈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 모듈(370)은 하우징(3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통신 모듈(370)은, 예를 들어, NFC 모듈, 무선 LAN, RFID 태그, 블루투스 모듈 및 UWB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380)은 하우징(310)의 일 측면(예: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클립(380)에 의해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300)이 방화복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클립(380) 외에도 고리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이 방화복 부착을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배터리(390)는 하우징(3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배터리(390)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300)의 동작을 위해 다른 구성요소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에서 사용되는 경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단말은 NFC 모듈을 이용하여 인접한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단말은 무선 LAN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Wi-Fi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단말은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각각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단말은 UWB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각각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단말은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1 거리 및 UWB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2 거리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에 있어서,
    NFC 모듈;
    무선 LAN;
    RFID 태그;
    블루투스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출력 모듈; 및
    상기 NFC 모듈, 상기 무선 LAN, 상기 RFID 태그, 상기 블루투스 모듈, UWB 모듈 및 상기 출력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인접한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통신을 개시하고,
    상기 무선 LAN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과 Wi-Fi 메쉬를 형성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각각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UWB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각각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1 거리 및 상기 UWB 모듈을 이용하여 산출한 제2 거리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출입 관리 게이트를 통과할 때 상기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를 상기 출입 관리 게이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서 측정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UWB 모듈에서 측정된 ToF(time of flight)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스피커, 램프 및 진동 모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모션 센서에 의해 지정된 시간 이상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출력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LAN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을 통해 중앙 단말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 전부가 지정된 거리 범위 내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양자 모두 지정된 거리 범위보다 먼 경우, 상기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KR1020210174243A 2021-12-07 2021-12-07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KR20230085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243A KR20230085760A (ko) 2021-12-07 2021-12-07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243A KR20230085760A (ko) 2021-12-07 2021-12-07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760A true KR20230085760A (ko) 2023-06-14

Family

ID=8674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243A KR20230085760A (ko) 2021-12-07 2021-12-07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7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7295B2 (en) Personnel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protective gear including a personnel electronic monitor device
CA2999256C (en) System and method for fault tolerant roadway worker safety system
KR102142510B1 (ko) 소방관 팀의 자동화된 감지
CN109275097B (zh) 基于uwb的室内定位与监测系统
US8618931B2 (en) Position-monitoring device for persons in a tunnel system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US20080068267A1 (en) Cost effectiv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r location sensing
KR10175553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65158B1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US2007022935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mobile personnel
CN108294389A (zh) 一种安全帽
CN107737429A (zh) 一种智能消防系统
CN207833650U (zh) 一种基于人员定位的室内火灾报警系统
KR101404717B1 (ko) 유아 안전관리 시스템 및 유아 안전관리 방법
JP6936546B2 (ja) 安全帯フックかけ忘れ防止監視システム
TWI738484B (zh) 室內定位系統
KR20230085760A (ko) 소방용 위치 기반 경보 단말
KR101352945B1 (ko) 작업자 위치 추적 및 동작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US20170110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fighters imminent warning
CN204272385U (zh) 基于toa测距的消防应急救援系统
CN114283555A (zh) 消防应急精确疏散系统和方法
US2007004074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cating people
TWI774404B (zh) 火場逃生導引及搜救輔助系統、以及基於提高火場存活率的資訊應用方法
KR102322426B1 (ko)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KR20070077758A (ko) 지그비를 이용한 비상 송수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