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426B1 -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426B1
KR102322426B1 KR1020200037513A KR20200037513A KR102322426B1 KR 102322426 B1 KR102322426 B1 KR 102322426B1 KR 1020200037513 A KR1020200037513 A KR 1020200037513A KR 20200037513 A KR20200037513 A KR 20200037513A KR 102322426 B1 KR102322426 B1 KR 102322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larm
signal
rescu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관
정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비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비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비드림
Priority to KR102020003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426B1/ko
Priority to KR1020200037513D priority patent/KR2021012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이 개시된다. 구조 대원의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경보기; 상기 경보기에서 송신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 대원을 확인하고 위치를 추적하는 대원 위치 추적기를 구성한다. 상술한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에 의하면, 구조 대원이 착용한 경보기에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대원 위치 추적기를 이용하여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대원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험에 처한 구조 대원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LIFESAVING ALARM SYSTEM USING CREW LOCATION TRACKER AND ALARM}
본 발명은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명 구조 대원은 화재 현장이나 지진 현장과 같은 재해 현장의 구조 중에 오히려 위험에 빠져 의식을 잃거나 거동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인명 구조 대원을 구조하기 위해서는 위험에 빠지는지 여부와 그 위치를 파악해야 하는데,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인명 구조 대원의 위험 여부를 알기 어렵고 탐색하기도 어렵다.
이에, 인명 구조 대원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특히, 재해 현장에서는 전파 수신 환경이 달라져 전파 수신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많아 전파 수신을 위한 특별한 수단이 강구된다.
등록특허공보 10-1194035 등록특허공보 10-1674048
본 발명의 목적은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은, 구조 대원의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경보기; 상기 경보기에서 송신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 대원을 확인하고 위치를 추적하는 대원 위치 추적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로부터 상기 구조 요청 신호에 기반한 수신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콘트롤 센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보기는, 상기 구조 대원의 버튼 입력에 의해 구조 요청을 개시하는 버튼 입력 모듈; 상기 구조 대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 상기 버튼 입력에 의해 구조 요청이 개시되거나 상기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조 대원의 구조 요청을 위한 경보 모드를 실행하는 경보 모드 실행 모듈; 상기 구조 대원의 구조 대원 ID가 미리 저장되는 구조 대원 ID 저장 모듈; 상기 경보 모드 실행 모듈에서 경보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구조 대원 ID 저장 모듈에 미리 저장된 구조 대원 ID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 모듈; 상기 신호 송신 모듈에서 송신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주파수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변경하는 주파수 자동 변경 모듈; 상기 신호 송신 모듈에서 송신한 구조 요청 신호에 대한 ACK(Acknowledgement code) 신호를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로부터 수신하는 ACK 신호 수신 모듈; 상기 ACK 신호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ACK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송신 모듈이 송신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주파수를 고정하는 주파수 고정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는, 상기 경보기의 신호 송신 모듈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모듈; 상기 신호 수신 모듈이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구조 요청 신호를 자동 스캔하도록 하는 주파수 자동 스캔 모듈; 상기 신호 수신 모듈에서 수신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신호 강도 측정 모듈; 상기 신호 강도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를 표시하는 신호 강도 표시 모듈; 상기 신호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구조 대원 ID를 확인하는 구조 대원 ID 확인 모듈; 탐색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 모듈; 상기 버튼 입력 모듈의 버튼 입력을 받는 경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경보기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구조 요청 신호의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주파수를 파악하는 경보기 선택 모듈; 상기 경보기의 구조 요청 신호 중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주파수를 캐리어(Carrier) 주파수로 하여 ACK 신호를 상기 경보기 선택 모듈에서 선택된 경보기로 송신하는 ACK 신호 송신 모듈; 상기 버튼 입력 모듈의 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경보기 선택 모듈에서 경보기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모드로 변경하거나 대기 모드로 변경하는 모드 변경 모듈; 상기 모드 변경 모듈에서 탐색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신호 수신 모듈의 수신 주파수를 상기 경보기의 주파수로 고정하는 주파수 고정 모듈; 현재 위치에 관한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구조 대원 ID 확인 모듈에서 확인된 구조 대원 ID, 상기 신호 강도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입력받은 현재 위치에 관한 음성을 포함하는 수신 신호 정보를 상기 콘트롤 센터로 공유하는 수신 신호 정보 공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트롤 센터는,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의 상기 수신 신호 정보 공유 모듈로부터 수신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수신 신호 정보 수집 모듈; 상기 수신 신호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수신 신호 정보에 포함된 구조 대원 ID, 신호 강도 및 현재 위치에 관한 음성을 분석하여 해당 구조 대원의 위치를 추적하는 대원 위치 추적 모듈; 상기 대원 위치 추적 모듈에서 추적한 구조 대원의 위치를 TTS(text-to-speech) 변환하여 구조 대원 위치 음성 정보로 출력하는 TTS 자동 변환 모듈; 상기 TTS 자동 변환 모듈에서 출력된 구조 대원 위치 음성 정보를 공유하는 대원 위치 공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트롤 센터의 대원 위치 공유 모듈로부터 공유되는 구조 대원 위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음성 출력하는 구조 대원 무전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보기는 방향 감지 센싱 모듈과 이동 거리 감지 센싱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기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탐지 및 저장하고 저장된 경보기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무선 통신을 통해 대원 위치 추적기로 전송하는 착용자 이동 경로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기는 상기 착용자 이동 경로 감지 모듈로부터 전송된 경보기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대원 위치 추적기로 전송하며,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는 경보기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콘트롤 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콘트롤 센터는 경보기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경보기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현장 내 각 구조 대원 무전기로 전송한다.
상술한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에 의하면, 구조 대원이 착용한 경보기에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대원 위치 추적기를 이용하여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대원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험에 처한 구조 대원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은 경보기(100), 대원 위치 추적기(200), 콘트롤 센터(control center)(300), 구조 대원 무전기(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보기(100)는 구조 대원의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조 요청 신호는 RF 신호가 될 수 있다.
경보기(100)는 버튼 입력 모듈(101),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102), 경보 모드 실행 모듈(103), 구조 대원 ID 저장 모듈(104), 신호 송신 모듈(105), 주파수 자동 변경 모듈(106), ACK 신호 수신 모듈(107), 주파수 고정 모듈(10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버튼 입력 모듈(101)은 구조 대원의 버튼 입력에 의해 구조 요청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 입력 모듈(101)은 위험에 처한 구조 대원이 수동으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102)은 구조 대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102)은 3D 가속도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경보 모드 실행 모듈(103)은 버튼 입력에 의해 구조 요청이 개시되거나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1012)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구조 대원의 구조 요청을 위한 경보 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 간 구조 대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의식을 잃고 쓰러지거나 위험에 처한 것으로 간주하고 경보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구조 대원 ID 저장 모듈(104)에는 구조 대원의 구조 대원 ID가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송신 모듈(105)은 경보 모드 실행 모듈(103)에서 경보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구조 대원 ID 저장 모듈(104)에 미리 저장된 구조 대원 ID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자동 변경 모듈(106)은 신호 송신 모듈(105)에서 송신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주파수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주파수 범위 내에서 주파수를 자동으로 변경하면서 송신하는 경우, 저주파에서는 신호의 회절성이 강해 건물이 부서져 복잡한 구조가 된 재해 현장에서 더 멀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고주파에서는 신호의 직진성이 강하고 많은 정보를 실어 보낼 수 있다.
주파수 자동 변경 모듈(106)은 주파수를 변경해 가면서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여 대원 위치 추적기(200)가 구조 요청 신호의 수신을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CK 신호 수신 모듈(107)은 신호 송신 모듈(105)에서 송신한 구조 요청 신호에 대한 ACK 신호를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원 위치 추적기(200)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 수신을 알리는 ACK 신호를 회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의 주파수 정보를 ACK 신호에 포함시켜 회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고정 모듈(108)은 ACK 신호 수신 모듈(107)에서 수신된 ACK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신호 송신 모듈(105)이 송신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주파수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고정 모듈(108)은 대원 위치 추적기(200)가 수신한 구조 요청 신호의 주파수로 고정하여 송신하도록 하여 대원 위치 추적기(200)가 지속적인 신호 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대원 위치 추적기(200)는 경보기(100)에서 송신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 대원을 확인하고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원 위치 추적기(200)는 구조 대원을 구조하기 위한 다른 구조 대원이 휴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
대원 위치 추적기(200)는 신호 수신 모듈(201), 주파수 자동 스캔 모듈(202), 신호 강도 측정 모듈(203), 신호 강도 표시 모듈(204), 구조 대원 ID 확인 모듈(205), 버튼 입력 모듈(206), 경보기 선택 모듈(207), ACK 신호 송신 모듈(208), 모드 변경 모듈(209), 주파수 고정 모듈(210), 마이크로폰(211), 수신 신호 정보 공유 모듈(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신호 수신 모듈(201)은 경보기(100)의 신호 송신 모듈(105)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자동 스캔 모듈(202)은 신호 수신 모듈(201)이 미리 정해진 주파수 범위 내에서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구조 요청 신호를 자동 스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 강도 측정 모듈(203)은 신호 수신 모듈(201)에서 수신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 강도 표시 모듈(204)은 신호 강도 측정 모듈(203)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조 대원은 신호 강도를 보면서 추적이 가능하다.
구조 대원 ID 확인 모듈(205)은 신호 수신 모듈(201)에서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구조 대원 ID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 입력 모듈(206)은 탐색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탐색 모드는 특정 경보기를 추적하기 위한 모드이고, 대기 모드는 불특정의 경보기의 구조 요청 신호를 스캔하는 모드이다. 엔터(enter) 버튼을 입력받으면 탐색 모드로 설정되고, 스크롤(scroll) 버튼을 입력받으면 대기 모드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보기 선택 모듈(207)은 버튼 입력 모듈(206)의 엔터(enter) 버튼 입력을 받는 경우 구조 요청 신호의 경보기(100)를 탐색하기 위해 구조 요청 신호의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주파수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K 신호 송신 모듈(208)은 경보기(100)의 구조 요청 신호 중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주파수를 캐리어(Carrier) 주파수로 하여 ACK 신호를 경보기 선택 모듈(207)에서 선택된 경보기(1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드 변경 모듈(209)은 버튼 입력 모듈(206)의 버튼 입력에 따라 경보기 선택 모듈(207)에서 경보기(100)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모드로 변경하거나 대기 모드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고정 모듈(210)은 모드 변경 모듈(209)에서 탐색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신호 수신 모듈(201)의 수신 주파수를 경보기(100)의 주파수로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당 경보기(100)의 구조 요청 신호가 가장 잘 수신되는 주파수로 고정하여 지속적으로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211)은 현재 위치에 관한 음성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조 대원은 이동 중에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수신 신호 정보 공유 모듈(212)은 구조 대원 ID 확인 모듈(205)에서 확인된 구조 대원 ID, 신호 강도 측정 모듈(203)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및 마이크로폰(211)에서 입력받은 현재 위치에 관한 음성을 포함하는 수신 신호 정보를 콘트롤 센터(300)로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트롤 센터(300)는 여러 구조 대원의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에 기반한 수신 신호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특정 경보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트롤 센터(300)는 수신 신호 정보 수집 모듈(301), 대원 위치 추적 모듈(302), TTS 자동 변환 모듈(303), 대원 위치 공유 모듈(30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 신호 정보 수집 모듈(301)은 여러 대원 위치 추적기(200)의 수신 신호 정보 공유 모듈(212)로부터 수신 신호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원 위치 추적 모듈(302)은 수신 신호 정보 수집 모듈(301)에서 수집된 수신 신호 정보에 포함된 구조 대원 ID, 신호 강도 및 현재 위치에 관한 음성을 분석하여 해당 구조 대원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원 위치 추적 모듈(302)은 동일한 구조 대원 ID에 대하여 신호 강도를 각각 파악하고, 해당 구조 대원을 추적하는 다른 구조 대원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구조하고자 하는 구조 대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다른 구조 대원들의 위치를 신호 강도로 파악하고 그 구조 대원의 현재 위치로부터 구조하고자 하는 구조 대원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TTS 자동 변환 모듈(303)은 대원 위치 추적 모듈(302)에서 추적한 구조 대원의 위치를 자동으로 TTS(text-to-speech) 변환하여 구조 대원 위치 음성 정보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원 위치 공유 모듈(304)은 TTS 자동 변환 모듈(303)에서 출력된 구조 대원 위치 음성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조 대원을 구조하기 위한 여러 다른 구조 대원들의 위치를 구조 대원 무전기(400)로 지속적으로 자동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 대원들의 위치를 실시간 인지하고 구조 작업을 펼치거나 서로 협업을 할 수 있다.
구조 대원 무전기(400)는 콘트롤 센터(300)의 대원 위치 공유 모듈(304)로부터 공유되는 구조 대원 위치 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음성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보기(100)는 방향 감지 센싱 모듈과 이동 거리 감지 센싱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탐지 및 저장하고 저장된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무선 통신을 통해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 전송하는 착용자 이동 경로 감지 모듈(109)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보기(100)는 상기 착용자 이동 경로 감지 모듈(109)로부터 전송된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 전송하며,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200)는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콘트롤 센터(300)로 전송하며, 상기 콘트롤 센터(300)는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현장 내 각 구조 대원 무전기(400)로 전송한다.
상기 방향 감지 센싱 모듈은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방향을 센싱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이동 거리 감지 센싱 모듈은 경보기(100) 착용자의 걸음걸이를 감지할 수 있는 진동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용자 이동 경로 감지 모듈(109)은 진동 센서를 통해 입력된 신호 세기가 상기 착용자 이동 경로 감지 모듈(109)에 설정된 소정 임계(Threshold) 값을 넘어섰을 때 경보기(100) 착용자의 한쪽 발이 지면을 디뎠음을 감지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경보기 101: 버튼 입력 모듈
102: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 103: 경보 모드 실행 모듈
104: 구조 대원 ID 저장 모듈 105: 신호 송신 모듈
106: 주파수 자동 변경 모듈 107: ACK 신호 수신 모듈
108: 주파수 고정 모듈 200: 대원 위치 추적기
201: 신호 수신 모듈 202: 주파수 자동 스캔 모듈
203: 신호 강도 측정 모듈 204: 신호 강도 표시 모듈
205: 구조 대원 ID 확인 모듈 206: 버튼 입력 모듈
207: 경보기 선택 모듈 208: ACK 신호 송신 모듈
209: 모드 변경 모듈 210: 주파수 고정 모듈
211: 마이크로폰 212: 수신 신호 정보 공유 모듈
300: 콘트롤 센서 301: 수신 신호 정보 수집 모듈
302: 대원 위치 추적 모듈 303: TTS 자동 변환 모듈
304: 대원 위치 공유 모듈 400: 구조 대원 무전기

Claims (5)

  1. 구조 대원의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경보기(100);
    상기 경보기(100)에서 송신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조 대원을 확인하고 위치를 추적하는 대원 위치 추적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부터 상기 구조 요청 신호에 기반한 수신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경보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콘트롤 센터(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100)는,
    상기 구조 대원의 버튼 입력에 의해 구조 요청을 개시하는 버튼 입력 모듈(101),
    상기 구조 대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102),
    상기 버튼 입력에 의해 구조 요청이 개시되거나 상기 착용자 움직임 감지 모듈(1012)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조 대원의 구조 요청을 위한 경보 모드를 실행하는 경보 모드 실행 모듈(103),
    상기 구조 대원의 구조 대원 ID가 미리 저장되는 구조 대원 ID 저장 모듈(104),
    상기 경보 모드 실행 모듈(103)에서 경보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구조 대원 ID 저장 모듈(104)에 미리 저장된 구조 대원 ID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 모듈(105),
    상기 신호 송신 모듈(105)에서 송신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주파수를 미리 정해진 주파수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변경하는 주파수 자동 변경 모듈(106),
    상기 신호 송신 모듈(105)에서 송신한 구조 요청 신호에 대한 ACK(Acknowledgement code) 신호를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부터 수신하는 ACK 신호 수신 모듈(107),
    상기 ACK 신호 수신 모듈(107)에서 수신된 ACK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송신 모듈(105)이 송신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주파수를 고정하는 주파수 고정 모듈(108)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기(100)는 방향 감지 센싱 모듈과 이동 거리 감지 센싱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탐지 및 저장하고 저장된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무선 통신을 통해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 전송하는 착용자 이동 경로 감지 모듈(109)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기(100)는 상기 착용자 이동 경로 감지 모듈(109)로부터 전송된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대원 위치 추적기(200)로 전송하며,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200)는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콘트롤 센터(300)로 전송하며,
    상기 콘트롤 센터(300)는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경보기(100) 착용자의 이동 경로를 현장 내 각 구조 대원 무전기(4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원 위치 추적기(200)는,
    상기 경보기(100)의 신호 송신 모듈(105)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모듈(201);
    상기 신호 수신 모듈(201)이 수신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구조 요청 신호를 자동 스캔하도록 하는 주파수 자동 스캔 모듈(202);
    상기 신호 수신 모듈(201)에서 수신되는 구조 요청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신호 강도 측정 모듈(203);
    상기 신호 강도 측정 모듈(203)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를 표시하는 신호 강도 표시 모듈(204);
    상기 신호 수신 모듈(201)에서 수신된 구조 요청 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구조 대원 ID를 확인하는 구조 대원 ID 확인 모듈(205);
    탐색 모드 또는 대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입력을 받는 버튼 입력 모듈(206);
    상기 버튼 입력 모듈(206)의 버튼 입력을 받는 경우 구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경보기(100)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구조 요청 신호의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주파수를 파악하는 경보기 선택 모듈(207);
    상기 경보기(100)의 구조 요청 신호 중 신호 강도가 가장 강한 주파수를 캐리어(Carrier) 주파수로 하여 ACK 신호를 상기 경보기 선택 모듈(207)에서 선택된 경보기(100)로 송신하는 ACK 신호 송신 모듈(208);
    상기 버튼 입력 모듈(206)의 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경보기 선택 모듈(207)에서 경보기(100)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모드로 변경하거나 대기 모드로 변경하는 모드 변경 모듈(209);
    상기 모드 변경 모듈(209)에서 탐색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신호 수신 모듈(201)의 수신 주파수를 상기 경보기(100)의 주파수로 고정하는 주파수 고정 모듈(210);
    현재 위치에 관한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microphone)(211);
    상기 구조 대원 ID 확인 모듈(205)에서 확인된 구조 대원 ID, 상기 신호 강도 측정 모듈(203)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및 상기 마이크로폰(211)에서 입력받은 현재 위치에 관한 음성을 포함하는 수신 신호 정보를 상기 콘트롤 센터(300)로 공유하는 수신 신호 정보 공유 모듈(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5. 삭제
KR1020200037513A 2020-03-27 2020-03-27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KR102322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13A KR102322426B1 (ko) 2020-03-27 2020-03-27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KR1020200037513D KR20210121353A (ko) 2020-03-27 2020-03-27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513A KR102322426B1 (ko) 2020-03-27 2020-03-27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426B1 true KR102322426B1 (ko) 2021-11-08

Family

ID=784971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13A KR102322426B1 (ko) 2020-03-27 2020-03-27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KR1020200037513D KR20210121353A (ko) 2020-03-27 2020-03-27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513D KR20210121353A (ko) 2020-03-27 2020-03-27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24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84B1 (ko) * 2018-01-24 2018-07-06 주식회사 포비드림 소방관 위급 상황 경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84B1 (ko) * 2018-01-24 2018-07-06 주식회사 포비드림 소방관 위급 상황 경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353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510B1 (ko) 소방관 팀의 자동화된 감지
US87605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onitoring personnel and equipment
US8599011B2 (en) Firefighter location and rescue equipment employing path comparison of mobile tags
US4494119A (en) Distress radiolo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80068267A1 (en) Cost effectiv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r location sensing
WO2016142967A1 (ja) 探索レスキューシステム
EP1779772B1 (en) System for analysing a person's activity and for automatic fall detection
CA3050639C (en) Tracking and accountability device and system
KR101099745B1 (ko)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535686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he near locating of a terrestrial object, and method of locating such an object
US20080122696A1 (en) Low cost fire fighter tracking system
CN109275097A (zh) 基于uwb的室内定位与监测系统
KR101965158B1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0931137B1 (ko) 소방관용 생체인식 위치추적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328940A1 (en) Method for sensing emergency in response to physical and mental shock and apparatus for sensing emergency using the method
KR20180110321A (ko) 옥내용 이동통신 양방향 무선증폭기를 이용한 건물붕괴 및 매몰자 파악 시스템
KR102322426B1 (ko) 대원 위치 추적기와 경보기를 이용한 인명 구조 경보 시스템
JP2005337872A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システム
KR101164712B1 (ko) 미아추적시스템 및 그의 방법
US20050046577A1 (en) Detection system,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computer program product
US9858791B1 (en) Tracking and accountability device and system
KR101712499B1 (ko) 선박의 승객 및 승무원 관제시스템
CN204272385U (zh) 基于toa测距的消防应急救援系统
KR20210137636A (ko) 반려동물 위치 검색 시스템
US10546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field wor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