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323A -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323A
KR20230085323A KR1020210173380A KR20210173380A KR20230085323A KR 20230085323 A KR20230085323 A KR 20230085323A KR 1020210173380 A KR1020210173380 A KR 1020210173380A KR 20210173380 A KR20210173380 A KR 20210173380A KR 20230085323 A KR20230085323 A KR 20230085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treatment
request
hospital
pat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국
조인식
윤경용
Original Assignee
김성국
조인식
윤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국, 조인식, 윤경용 filed Critical 김성국
Priority to KR102021017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323A/ko
Publication of KR20230085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3User authentication using a call-back technique via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Abstract

본 발명은 진료의뢰서를 공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환자가 내원한 병원측에 설치되며, 환자에 의해 정보 공유 동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진료의뢰서 제공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병원측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요청측 병원 단말기와, 상기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환자의 정보 공유 동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제공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공측 병원 단말기에 접속하여 진료의뢰서 작성을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의뢰서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한 진료의뢰서를 상기 병원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를 포함하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MEDICAL REQUEST FORM IN NON-FACE-TO-FACE ENVIRONMENT}
본 발명은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정보 시스템은 진료행정 관련 분야와 진료정보 제공 관련 분야로 나누어지며, 최근 진료 지원 기술 중심으로 기술 혁신이 변해가는 추세이다.
대형 종합병원들은 지속적인 병원의 디지털화에 활발히 힘쓰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처방전달 시스템(OCS, Ordering Communication System) 및 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등의 병원 및 약국에 적용 가능한 진료 지원 관련 디지털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의 일반적 병원 운영 시스템은 환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모든 서비스를 신청하여야 한다. 전화를 통한 예약이 가능하나, 전화 대기고객이 많은 경우 불편함이 있고, 인터넷을 통한 예약도 가능하나, 컴퓨터가 있는 곳에서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병원의 경우 환자의 의료 기록 및/또는 상담 이력 등의 정보를 기록해 놓아야 하는데, 환자는 자신의 의료 기록을 복사하여 다른 병원에 제출하여 이를 이용할 수는 있으나 매우 번거롭고, 고혈압, 당뇨 등과 같은 오랜 치료가 필요한 질환, 암과 같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질환, 또는 외과적 시술/수술이 필요한 질환의 경우 진료 병원을 변경하는 경우 환자 의료 정보의 공유는 매우 필수적이나 병원 변경시마다 의료 기록을 복사해서 제출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긴급한 처치가 필요한 경우 근거리에 있고 해당 진료과인 병원을 신속히 검색하여 환자가 갈 수 있도록 해야 하나, 기존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병원-환자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이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그밖에도, 정기적 검진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암 수술 환자의 경과 관찰,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 검사, 시력 교정술 환자의 시력 변화 경과 관찰과 같은 경우에 있어,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시기를 놓쳐 질환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어, 맞춤식 의료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82600호(2013.07.22. 공개)
본 발명은 진료 또는 진료 중 의사의 판단 또는 환자의 자의에 의해 다른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 연장이 필요한 경우 발행되는 병원간에 진료의뢰서를 자동으로 공유할 수 있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환자가 내원한 병원측에 설치되며, 환자에 의해 정보 공유 동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진료의뢰서 제공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병원측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요청측 병원 단말기와, 상기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환자의 정보 공유 동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제공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공측 병원 단말기에 접속하여 진료의뢰서 작성을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의뢰서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한 진료의뢰서를 상기 병원측 기기에 전송하는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와의 ARS 접속을 통해 상기 정보 공유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청측 병원 단말기는 상기 환자 단말기 내 식별용 코드의 판독에 따라 환자의 정보 공유 동의 요청을 수신함과 더불어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청측 병원 단말기는 상기 식별용 코드의 판독에 따라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환자 단말기에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에 상기 랜덤 코드를 포함시켜 상기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와 접속하여 랜덤 코드의 입력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랜덤 코드와 상기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랜덤 코드간의 비교를 통해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요청측 병원 단말기에서 환자에 의해 정보 공유 동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진료의뢰서 제공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 및 요청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통신망으로 연결된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에 전송하여 진료의뢰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에서 상기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환자의 정보 공유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보 공유 동의 여부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제공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공측 병원 단말기에 접속하여 진료의뢰서 작성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의뢰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진료의뢰서를 상기 요청측 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공유 동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기와의 ARS 접속을 통해 상기 정보 공유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료의뢰서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기 내 식별용 코드의 판독에 따라 환자의 정보 공유 동의 요청을 수신함과 더불어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식별용 코드의 판독에 따라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랜덤 코드를 포함시켜 상기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에 전송하여 진료의뢰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기와 접속하여 랜덤 코드의 입력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랜덤 코드와 상기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랜덤 코드간의 비교를 통해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료 또는 진료 중 의사의 판단 또는 환자의 자의에 의해 다른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 연장이 필요한 경우 발행되는 병원간에 진료의뢰서를 환자의 정보 공유 동의에 따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비대면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환경을 통한 진료의뢰서 공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환경을 통한 진료 의뢰서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환경을 통한 진료의뢰서 공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의뢰서 공유 시스템은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 환자 단말기(110),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 의뢰서 공유 시스템은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 환자 단말기(110),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 등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 및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한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환자 단말기(110)는 개인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를 위한 식별용 코드(110a)를 구비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로서, 그 예로서 환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일 수 있다. 즉, 환자 단말기(110)는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병원 단말기(100)에 의해 판독 가능하도록 식별용 코드(110a)를 디스플레이(미도시됨)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용 코드(110a)에는 환자의 식별 정보, 예컨대 환자 단말기(110)의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식별용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등을 예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환자의 정보 공유 동의를 위해 환자 단말기(110)에 저장된 식별용 코드(110a)를 판독하여 환자의 식별 정보, 예컨대 환자 단말기(110)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며, 추출한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진료의료서 공유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는 환자의 식별 정보, 요청측 병원 고유 식별자, 제공측 병원 고유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국민건강보험공단측으로부터 인증된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환자 단말기(110)와의 연동을 정보 공유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의거하여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에 진료의뢰서 작성을 요청하여 수신하며,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로부터 수신한 진료의뢰서를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공유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에서 발급된 랜덤 코드를 이용하거나, 환자 단말기(110)와의 자동 통화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랜덤 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은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환자 단말기(110)에 표시된 식별용 코드(110a)의 판독에 따라 소정의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이를 환자 단말기(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환자 단말기(11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에 랜덤 코드를 포함시켜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정보 공유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한 메시지, 예컨대 랜덤 코드 입력 요청을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환자 단말기(110)에 전송하여 랜덤 코드 입력을 요청하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랜덤 코드와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랜덤 코드간의 일치 여부를 통해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환자 단말기(110)와의 자동 통화 연경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환자 단말기(110)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환자 단말기(110)와 ARS 통화로 연결되며, ARS 통화를 통해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진료의뢰서 작성을 위한 서식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식 데이터는 환자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 환자 진료 기록을 기입할 수 있는 메모란, 요청 병원 정보 및 진료의뢰서 환자 동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식 데이터를 수신한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는 서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입력 가능한 형태로 표시한 후 메모란에 진료 기록이 기입됨에 따라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코드를 포함시킨 진료의뢰서를 생성한 후 이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증 코드는 해당 병원에서 발급된 진료의뢰서임을 증명하기 위한 병원의 식별 정보를 갖는 바코드, QR 코드 등을 들 수 있다.
인증 코드를 포함한 진료의뢰서를 수신한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인증 코드와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제공측 병원 고유 식별자간의 비교를 통해 진료의뢰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후 진료의뢰서를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료의뢰서 요청하는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병원 내 설치된 키오스크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키오스크 장치는 진료 서비스를 예약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약 시 환자 단말기(110) 내 저장된 식별용 코드(110a)를 판독하고, 식별용 코드(110a)의 판독에 따라 진료의뢰서를 제공하기 위한 병원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식별용 코드(110a)의 판독에 따라 획득한 환자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병원의 식별 정보 등을 이용하여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진료의료서 공유 서버(130)에 전송하여 진료의뢰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장치는 수신한 진료의뢰서를 예약 시 입력 또는 지정된 의사측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키오스크 장치는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랜덤 코드를 생성하여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예약 시 입력 또는 지정된 의사와 통신으로 연결이 가능한 정보(예컨대, 의사측 단말기(102)의 맥주소, IP 주소, 의사의 이메일 주소 등)를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예약 시 입력 또는 지정된 의사와 통신으로 연결이 가능한 정보(예컨대, 의사측 단말기(102)의 맥주소, IP 주소, 의사의 이메일 주소 등)가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경우,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로부터 수신한 진료의뢰서를 예약 시 입력 또는 지정된 의사와 통신으로 연결이 가능한 정보를 이용하여 의사측 단말기(102)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요청측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기 위해 환자가 정보 공유에 동의하는 경우, 환자는 환자 단말기(110) 내 식별용 코드(110a)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S200).
이에 따라,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식별용 코드(110a)의 판독을 통해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S202), 제공측 병원 고유 식별자 및 요청측 병원 고유 식별자, 획득한 환자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에 전송한다(S204).
이에 따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단말기(100)와의 연동을 통해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S206).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는 환자 단말기(100)에 ARS 통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정보 공유 진위 여부 확인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에 진료의뢰서 작성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의뢰서를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로부터 수신한다(S208). 이때, 진료의뢰서에는 제공측 병원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코드, 예컨대 병원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진료의료서 공유 서버(130)는 인증 코드와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제공측 병원 고유 식별자간의 비교를 통해 진료의뢰서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한 후 이를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1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요청측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기 위해 환자가 정보 공유에 동의하는 경우, 환자는 환자 단말기(110) 내 식별용 코드(110a)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S300).
이에 따라,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식별용 코드(110a)의 판독을 통해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S302),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이를 환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304).
그런 다음,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제공측 병원 고유 식별자 및 요청측 병원 고유 식별자, 획득한 환자의 식별 정보 및 랜덤 코드 등을 포함한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에 전송한다(S306).
이에 따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단말기(100)에 접속하여 랜덤 코드 입력을 요청하며(S308),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랜덤 코드와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랜덤 코간의 비교를 통해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S310).
그런 다음, 정보 공유 진위 여부 확인됨에 따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에 진료의뢰서 작성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의뢰서를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로부터 수신한다(S312). 이때, 진료의뢰서에는 제공측 병원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코드, 예컨대 병원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진료의료서 공유 서버(130)는 인증 코드와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제공측 병원 고유 식별자간의 비교를 통해 진료의뢰서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한 후 이를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14).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의뢰서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4의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진료 예약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요청측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 예약을 위해 키오스크 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키오스크 장치는 환자 단말기(110)에 저장된 식별용 코드(110a)의 판독을 통해 환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S400), 랜덤 코드를 생성한 후 이를 환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402).
그런 다음, 요청측 병원 단말기(100)는 제공측 병원 고유 식별자 및 요청측 병원 고유 식별자, 획득한 환자의 식별 정보, 진료 예약 시 입력 또는 자동 설정된 의사의 정보 및 랜덤 코드 등을 포함한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에 전송한다(S404).
이에 따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단말기(100)에 접속하여 랜덤 코드 입력을 요청하며(S406),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랜덤 코드와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랜덤 코간의 비교를 통해 정보 공유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S408).
그런 다음, 정보 공유 진위 여부 확인됨에 따라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130)는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에 진료의뢰서 작성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의뢰서를 제공측 병원 단말기(105)로부터 수신한다(S410). 이때, 진료의뢰서에는 제공측 병원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코드, 예컨대 병원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진료의료서 공유 서버(130)는 인증 코드와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제공측 병원 고유 식별자간의 비교를 통해 진료의뢰서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S412).
진위 여부가 확인됨에 따라, 진료의료서 공유 서버(130)는 의사의 정보를 이용하여 진료의뢰서를 의사측 단말기(102)에 전송한다(S414).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요청측 병원 단말기
102 : 의사측 단말기
105 : 제공측 병원 단말기
110 : 환자 단말기
130 :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

Claims (1)

  1. 환자가 내원한 병원측에 설치되며, 환자에 의해 정보 공유 동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진료의뢰서 제공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 및 상기 병원측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요청측 병원 단말기와,
    상기 진료의뢰서 요청 메시지 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와 접속되어 환자의 정보 공유 동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제공측 병원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공측 병원 단말기에 접속하여 진료의뢰서 작성을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진료의뢰서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수신한 진료의뢰서를 상기 병원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진료의뢰서 공유 서버를 포함하는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73380A 2021-12-07 2021-12-07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5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380A KR20230085323A (ko) 2021-12-07 2021-12-07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380A KR20230085323A (ko) 2021-12-07 2021-12-07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323A true KR20230085323A (ko) 2023-06-14

Family

ID=8674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380A KR20230085323A (ko) 2021-12-07 2021-12-07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3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600A (ko) 2011-12-09 2013-07-22 박민호 환자 및 병원의 정보 공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600A (ko) 2011-12-09 2013-07-22 박민호 환자 및 병원의 정보 공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4919B (zh) 用于通过使用治疗管理系统管理医疗保健服务的方法
US11106818B2 (en) Patient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3926778B2 (ja) 医療情報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967408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情報取得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1243690A (zh) 分享电子医疗健康记录的方法与系统
CN106663145B (zh) 用于个人健康记录系统的通用存取智能卡
KR101234805B1 (ko)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62873A1 (en)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10246231A1 (en) Accessing patient information
US7885826B2 (en) Medical service support system, medical service support server, and medical service support terminal for supporting medical service
US20160180048A1 (en) Cloud-based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system thereof
JP2007052815A (ja) 医療情報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26977B1 (ko)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0026899A (ja) 医療情報システム
US20200118656A1 (en) Systems for validating healthcare transactions
KR100375430B1 (ko) 조제 및 의료보험 웹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KR20230085323A (ko) 비대면 환경에서의 진료의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200690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edical or consulting services
JP6530896B2 (ja) 診療記録転送システム及び診療記録転送方法
JP6202152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523227B1 (ko) 의료진 중심의 환자 관리를 위한 환자 포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JP7484732B2 (ja) 問診情報取得システム、問診情報取得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001274A (ko) 약국과 환자 간의 복약이력 전달이 가능한 모바일 복약 방법 및 시스템
CA2335399C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edical or consulting services
JP2002334152A (ja) 予約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