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296A - Holecup for golf trainig - Google Patents

Holecup for golf traini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296A
KR20230085296A KR1020210173332A KR20210173332A KR20230085296A KR 20230085296 A KR20230085296 A KR 20230085296A KR 1020210173332 A KR1020210173332 A KR 1020210173332A KR 20210173332 A KR20210173332 A KR 20210173332A KR 20230085296 A KR20230085296 A KR 20230085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golf ball
hole cup
hol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2210B1 (en
Inventor
황기룡
Original Assignee
황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룡 filed Critical 황기룡
Priority to KR1020210173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210B1/en
Publication of KR2023008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 스킬을 향상시키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평바닥판, 상기 평바닥판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평바닥판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 상기 평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마찰돌기 및 상기 평바닥판의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로 둘러쌓인 공간 안의 골프공이 밖으로 나가도록 열린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홀컵부 및 상기 제1홀컵부의 상기 평바닥판 상면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마찰돌기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상기 배출구 쪽으로 몰리도록 한쪽은 높고 다른 쪽은 낮게 형성된 경사바닥판을 포함하는 제2홀컵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to improve putting skill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sole plate that generates frictional force on the contact surface when a golf ball rolls, has a certain curvature and height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lat sole plate, and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flat sole plate as it goes upward. Golf Inclined walls that generate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resiliently deformed by elasticity against kinetic energy applied when the ball rolls and contacts, formed by densely arranging at regular intervals on a part of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and when the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that generate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applied kinetic energy,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and opened so that golf balls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s can go out. A first hole cup portion and an inclined bottom plat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of the first hole cup portion and formed with one side high and the other side low so that the golf ball rolls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 and is driven toward the discharge port when a hole is made. Disclosed is a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that includes a second hole cup portion.

Description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HOLECUP FOR GOLF TRAINIG}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HOLECUP FOR GOLF TRAINIG}

본 발명은 퍼팅 스킬을 향상시키기 위한 골프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퍼가 홀과의 거리에 맞는 스트로크와 퍼팅강도(거리감) 조절 및 방향성을 정확하게 숙달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과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고, 아울러 골프공이 홀인이 되면 관성력 및 중력의 영향에 따라 글라이드(glide) 운동을 일으켜 자동으로 돌아나가게 해주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utting exerciser for improving putting skills,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golfers to accurately master the stroke and putting strength (distance) adjustment and direction suitable for the distance to the hole, so as to play on the actual putting green. It relates to a golf putting practice hole cup that can effectively learn the sense of practice and the sense of putting at various distances, and also causes a glide motion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inertia and gravity when a golf ball is holed to automatically return.

일반적으로 골프게임을 잘하기 위해서는 골프공과 홀컵의 거리 및 골프공의 위치와 상태를 정확히 판단해야 함은 물론이고,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과 거리가 일관성 있도록 클럽을 두 손으로 쥐고 일정한 궤도에 따라 스윙하는 임팩트 동작, 골프공의 타격점 및 타격강도와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어프로치샷(피치샷, 칩샷, 로브샷, 런닝샷)을 비롯하여 벙커샷, 퍼팅 등 그린까지 거리가 짧은 지점에서 핀을 향해 골프공을 쳐올리는 이른바 쇼트게임(short game)의 섬세한 타법도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습득해야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play a good golf gam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and the position and condition of the golf ball, as well as the impact of holding the club with both hands and swinging along a certain trajectory so that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golf ball are consistent. Various types of approach shots (pitch shot, chip shot, lob shot, running shot) as well as motion, hitting point and strength of the golf ball, as well as bunker shots and putting, etc. Olli's so-called short game's delicate strokes must also be learned through repetitive practice.

특히 퍼팅은 골프공을 홀컵에 넣는 최종 단계로, 신중하고 안정된 자세를 바탕으로 올바른 방향과 정확한 거리측정 및 헤드업 동작 없이 일관성 있는 스트로크, 정교한 퍼팅강도의 조절을 통한 거리감의 숙달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putting is the final stage of putting the golf ball into the hole cup. Based on a careful and stable posture, it is necessary to master the sense of distance through correct direction and accurate distance measurement, consistent stroke without head-up motion, and precise control of putting strength.

오늘날 골프의 대중화로 골프를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실내 등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쉽게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퍼팅연습기가 각광받고 있다.With the popularization of golf today,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golf is rapidly increasing, and putting practice machines that can easily practice putting even in relatively small places such as indoors are in the spotlight.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대판(1)의 상면에 탄성 재질로 고리형 경사벽(3)을 일체로 형성하여 홀(2)이 형성되고, 그 경사벽(3)의 일부를 절제하여 홀(2) 내부로 골프공이 들어가도록 개구(3a)가 형성되고, 또한 홀(2)의 중심부에는 방울(5)이 코일스프링(5a)과 지지구(5b)에 의해 경사벽(3)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골프연습용 음향성 홀컵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1, a hole 2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n annular inclined wall 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a circular base plate 1, and the inclined wall 3 An opening 3a is formed to allow the golf ball to enter the hole 2 by cutting a part of the hole 2, and the droplet 5 is tilted at the center of the hole 2 by the coil spring 5a and the support 5b. Disclosed is an acoustic hole cup for golf practice provided to protrude upward from a wall (3).

다른 예로, 특허문헌 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컵(1)의 상부에 유입공(7)이 형성되고, 그 홀컵(1)의 내부에 소리를 발산하는 울림통(4)이 마련되고, 그 울림통(4)에는 소리를 내는 울림판(5)이 구비된 퍼팅연습용 홀컵이 개시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in Patent Document 2, as shown in FIG. 2, an inlet hole 7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le cup 1, and a resonator 4 for emitting sound is provided inside the hole cup 1, A hole cup for putting practice equipped with a sounding board 5 that makes a sound is disclosed in the sound box 4.

이와 같은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퍼터(putter)로 골프공을 홀컵 방향으로 타격하면, 골프공이 구르는 회전력에 의해 경사진 고리형 벽면을 타고 넘어가서 홀인이 되는 특성상 홀컵의 정중앙부, 즉 임팩트 순간에 경사진 고리형 벽면과 골프공이 스퀘어 상태일 때 홀인되는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In the conventional hole cup for practicing putting, when a golf ball is hit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with a putter, the golf ball rides over the inclined annular wall surface due to the rolling rotational force, resulting in a hole-in. The probability of hole-in is highest when the inclined annular wall and the golf ball are in a square state.

그런데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경사진 고리형 벽면의 형태적 특성상 타격된 골프공이 고리형 벽면의 중심부에서 약간만 벗어나기만 해도 경사진 고리형 벽면을 타고 방향이 바뀌면서 홀인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실전 감각을 익히기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le cup for practicing putting,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clined annular wall, even if the golf ball is slightly out of the center of the annular wall, it changes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annular wall and does not become a hole-in, so it is difficult to learn a practical sense. There are bound to be significant limitations.

즉, 실제 그린의 홀컵은 그 언저리와 그린이 평면 상태이므로 골프공이 홀컵의 중심부를 약간 벗어나더라도 홀인이 되지만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이러한 실제 홀컵의 특성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어서 실전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edge and the green of the actual hole cup are in a flat state, even if the golf ball slightly deviate from the center of the hole cup, it can be holed in. There is a problem I can't.

또한, 실제 그린에서는 퍼팅 시 골프공이 홀컵을 지나갈 정도로 스트로크 하여 과감하게 구르지 않으면 홀컵 앞에서 정지하여 홀인이 될 수 없으므로 적절한 퍼팅강도(거리감)는 골프공이 홀컵의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되도록 퍼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수 있는데,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성형하는 물리·기계적 특성상 골프공이 홀인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홀컵의 탄성력 및 반발력에 대응하는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더 가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그린과 큰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필드의 실전 감각을 정확하게 익히기에는 효용성과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 있다.In addition, on the actual green, if the golf ball does not roll boldly after making a stroke enough to pass the hole cup during putting, it cannot stop in front of the hole cup and make a hole-in. It may be the most ideal to putt so that it stops within the range. Conventional hole cups for practicing putting are molded of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or silicon. Since more impact must be applied with strength, there is a big difference from the actual green, and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are significantly lowered to accurately learn the field sense.

더욱이 골퍼가 여러 개의 골프공으로 연속적인 퍼팅 동작을 연습할 때 골프공의 타격 강도가 약하여 홀컵(1) 속에 서너 개 정도의 골프공이 들어가면 다른 골프공이 들어갈 여유 공간이 없어지므로 계속적인 퍼팅을 위해서는 반드시 홀컵(1) 안에 있는 골프공을 골퍼가 일일이 회수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다.Moreover, when a golfer practices continuous putting motion with several golf balls, the impact strength of the golf balls is weak, so if three or four golf balls enter the hole cup 1, there is no room for other golf balls to enter. (1) It is inconvenient and cumbersome for the golfer to retrieve the golf balls inside.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The background art or prior art described above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is revealed that it does not mean widely known technology in the field, and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irrelevant to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KR 10-0903733 B1(2009.06.19)KR 10-0903733 B1(2009.06.19) KR 20-0264457 Y1(2002.02.19)KR 20-0264457 Y1(2002.02.19) KR 10-1364197 B1(2014.02.11)KR 10-1364197 B1(2014.02.11) KR 10-2013-0135453 A(2013.12.11)KR 10-2013-0135453 A(2013.12.11) KR 10-2020-0075172 A(2020.06.26)KR 10-2020-0075172 A(2020.06.26) KR 10-2011-0034086 A(2011.04.05)KR 10-2011-0034086 A(2011.04.05) KR 10-107156 B1(2011.10.10)KR 10-107156 B1(2011.10.10) KR 10-2012-0135780 A(2012.12.17)KR 10-2012-0135780 A(2012.12.17) KR 20-0197038 Y1(2000.09.15)KR 20-0197038 Y1(2000.09.15) KR 20-0376835 Y1(2005.03.11)KR 20-0376835 Y1(2005.03.11) KR 20-0475553 Y1(2014.12.03)KR 20-0475553 Y1(2014.12.03) KR 10-0903733 B1(2009.06.11)KR 10-0903733 B1(2009.06.1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골퍼가 홀과의 거리에 맞춰 퍼팅 스트로크 및 임팩트 동작을 연습 시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이 홀의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스트로크와 퍼팅강도(거리감) 조절 및 방향성을 정확하게 숙달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은 물론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충분히 익히고 퍼팅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골프공이 홀인이 되면 자연스럽게 돌아나가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solves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golf putting practice hole cup, when a golfer practices the putting stroke and impact mo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hole, the actual putting Just like on the green, the golf ball accurately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hole and stops in the range of about 30 to 50 cm (17 inches), which is the most ideal stroke, putt strength (distance) control, and directness precisely mastered to give you a sense of practice as if you were playing on a real putting green. Of course, you can fully learn the sense of putting at various distances and improve your putting skills, and put your best effort into developing a golf putting practice hole cup with a new structure that allows the golf ball to return naturally when it is holed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that enables accurate and effective learning of putting strength and directional control ability suitable for the distance to the ho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골프공이 관성력과 중력 작용에 의해 돌아나갈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that allows a golf ball to return by the action of inertia and gravity.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are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ose who have it will be able to clearly understan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평바닥판, 상기 평바닥판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평바닥판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 상기 평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리형(반원형)으로 촘촘하게 배열하여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마찰돌기 및 상기 평바닥판의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로 둘러쌓인 공간 안의 골프공이 밖으로 나가도록 열린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홀컵부 및 상기 제1홀컵부의 상기 평바닥판 상면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마찰돌기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상기 배출구 쪽으로 몰리도록 한쪽은 높고 다른 쪽은 낮게 형성된 경사바닥판을 포함하는 제2홀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object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frictional force at the contact surface when a golf ball rolls The flat sole plate on which this occurs has a certain curvature and height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lat sole plate, is formed by gradually til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lat sole plate as it goes upward, and is elastic against kinetic energy applied when a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An inclined wal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d generates frictional resistance, formed by densely arranging a ring shape (semi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on a part of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and the kinetic energy applied when the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A first hole cup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that generate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and opened so that the golf ball can go out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s; and The second hole cup part including an inclined bottom plat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of the first hole cup part and formed with one side high and the other side low so that the golf ball rolls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 and is driven toward the outlet when the ball rolls into the hole. Suggests a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이로써 본 발명은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고, 골프공이 홀인이 되면 관성력과 중력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돌아나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ffectively learn the ability to control the putting strength and direction suitable for the distance from the hole, and when the golf ball is hol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utomatically returning due to the inertial force and the action of gravit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제2홀컵부는, 상기 경사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진행을 방해 및 상기 배출구 쪽으로 유도하는 호형의 유도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실제 홀컵의 느낌과 비슷하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어 스트로크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le cup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and prevents the golf ball from rolling into a hole when the golf ball rolls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 By further including an arc-shaped guide wall leading toward the outlet,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roke stable by giving a psychological sense of stability similar to the feeling of an actual hole cup.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평바닥판, 상기 평바닥판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평바닥판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을 포함하는 제1홀컵부 및 상기 경사벽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벽을 타고 넘은 골프공이 굴러서 진입하도록 열려 있는 공입구, 상기 공입구와 다른 방향을 향하여 나고, 홀인된 골프공이 밖으로 나가도록 열려 있는 공출구, 상기 평바닥판의 상면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공입구를 통해 골프공이 홀인 시 상기 공출구 쪽으로 몰리도록 한쪽은 높고 다른 쪽은 낮게 형성된 경사바닥판, 상기 경사바닥판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진행을 방해 및 상기 공출구 쪽으로 굴러 나가도록 유도하는 유도벽을 포함하는 제2홀컵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시한다.In addition, a 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t sole plate that generates frictional force on the contact surface when a golf ball rolls, has a constant curvature and height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lat sole plate, and goes to the top of the flat sole plate. A first hole cup portion including an inclined wall that is formed gradually obliquely toward the central part and generates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kinetic energy applied when the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and the inclined wall. A ball inlet formed at the part where the golf ball passes over the inclined wall rolls and enters, a ball outlet that comes out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ball inlet and opens so that the holed golf ball goes out, and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An inclined bottom plate, one side of which is high and the other side low, so that when a golf ball is holed through the ball inlet, the inclined bottom plate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art of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and when the golf ball rolls into a hole A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le cup portion including an induction wall that hinders progress and induces rolling toward the ball outlet.

이로써 본 발명은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고, 골프공이 홀인이 되면 관성력과 중력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돌아나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ffectively learn the ability to control the putting strength and direction suitable for the distance from the hole, and when the golf ball is hol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utomatically returning due to the inertial force and the action of gravit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경사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청명하고 경쾌한 금속성의 공명음을 발생하는 공명구멍이 다수 뚫려 있어 마치 필드에서 공이 홀에 떨어졌을 때와 흡사한 소리를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습하는 동안에도 짜릿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컵을 바라보지 않아도 소리만으로써 퍼팅 성공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업(head up)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sonance holes are drilled at the edg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at regular intervals to generate a clear and light metallic resonance when a golf ball rolls into a hole, so that the ball is holed in the field. It causes a sound similar to when it falls on the hole, so you can feel thrilling pleasure even during practice, and you can confirm the success of your putting just by sound without looking at the hole cup, which prevents heads up.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경사벽의 높이는 상기 마찰돌기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마찰돌기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굵기가 0.5 내지 2mm, 높이가 7 내지 12mm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실제 그린에서 퍼팅 시 골프공이 홀컵에 떨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어 연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inclined wall is formed higher than the friction protrusion, and the friction protrusion has a truncated cone shape with a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upper end, with a thickness of 0.5 to 2 mm and a height of 7 to 12mm,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ractice effect by giving the same feeling as a golf ball falling into a hole cup when putting on an actual green.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을 가장 이상적인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여 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타격해야만 홀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과의 거리에 맞는 정교한 퍼팅 스트로크는 물론 퍼팅강도(거리감)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숙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which a unique solution is ba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golfer applies an impact to a golf ball with the most ideal putting strength as in an actual putting green to the hole. Since it is possible to hole-in only when you hit accurately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you can accurately and effectively master the putting strength (distance) and direction control ability as well as the precise putting stroke that matches the distance from the hole on the actual putting green.

따라서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올바른 실전 감각을 확실하게 익힐 수 있어 퍼팅의 정확도와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퍼팅 그린에서 과감하게 홀을 지나치게 스트로크 하기 위한 심리적인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Therefore, golfers can surely learn the correct sense of practice as if playing on the actual putting green,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and success rate of putting, as well as inspiring psychological confidence to boldly overstroke the hole on the actual putting green. can

또한,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 설정에 따라 홀에 정확하게 홀인시킬 수 있는 퍼팅 스트로크(Putting Stroke)나 속도가 달라지는 범용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learn the feeling of putting at various distances due to the general-purpose characteristics of the putting stroke or speed that can be accurately holed in a hol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golf ball.

더구나 골프공이 홀인이 되면 관성력과 중력의 영향에 따라 글라이드(glide) 운동을 일으켜 유도벽과 경사바닥판을 따라 자연스럽게 굴려서 공출구와 배출구를 통해 돌아나오기 때문에 골퍼가 수시로 타격한 골프공을 회수하거나 매번 홀인된 골프공을 일일이 빼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Moreover, when a golf ball is holed in, it causes a glide motion under the influence of inertia and gravity, and rolls naturally along the guide wall and the inclined bottom plate and returns through the ball outlet and outlet, so that golfers can recover the golf ball hit frequently or every time. I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having to take out the holed golf ball one by one.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경사바닥판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elements constituting a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clined bottom plate among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a golf putting practice hol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pecifies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used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in part for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not that each component on the drawing exactly matches the actual size and shape. reveal that it is not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 / 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described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described,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is particularly the opposite description. As long as there is no ,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more than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or 'hav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ean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operating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top, bottom,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an upper part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n upper part, a lower part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lower part, a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front-back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at i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ly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은 크게 제1홀컵부(10)와 제2홀컵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3 to 7 , the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first hole cup part 10 and a second hole cup part 20 .

제1홀컵부(10)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하여 실제 그린의 홀컵을 구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평바닥판(11), 경사벽(12), 마찰돌기(13) 및 배출구(14)를 포함하고 있다.The first hole cup part 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to realize a hole cup of a real green, and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it are a flat bottom plate 11, an inclined wall 12, and a friction protrusion 13 ) and an outlet 14.

평바닥판(11)은 지면이나 건물의 바닥 등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그 위로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일정한 넓이를 갖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lat bottom plate 11 can be stably adhered to the ground or the floor of a building, and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certain width so that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when a golf ball rolls thereon.

그리고 평바닥판(11)의 테두리는 골퍼의 퍼팅 동작에 따라 골프공이 굴러서 부딪칠 때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지나가도록 그 가장자리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 또는 유연한 곡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n inclined surface or a flexible curve that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edge so that the golf ball naturally passes without resistance when the golf ball rolls and collides with the golfer's putting motion.

또한, 평바닥판(11)의 한쪽, 즉 경사벽(12)이 있는 상면 가장자리에는 골프공의 퍼팅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모양의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arrow-shaped display unit indicating the putting direction of the golf bal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that is, 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where the inclined wall 12 is located.

여기서 평바닥판(11)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행거 등에 간편하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멍을 뚫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a hole may be drilled at on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hung on a hanger or the like.

경사벽(12)은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고, 아울러 부정확한 퍼팅강도 및 방향으로 골프공을 퍼팅 시에는 홀인이 되지 않게 유도하기 위해 평바닥판(11) 상면의 한쪽 가장자리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평바닥판(11)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진 부채꼴의 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inclined wall 12 is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kinetic energy applied when the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generating frictional resistance, and also inaccurate putting strength and direction. In order to do this, it has a certain curvature and height at on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an-shaped arc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flat bottom plate 11 toward the top.

즉, 경사벽(12)은 평바닥판(11)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반대쪽을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호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평바닥판(11)의 상면 가장자리 안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inclined wall 12 is inclined from on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to the other side and has an arc-shaped plate shape having a certain curvature, and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여기서 경사벽(12)의 높이는 골프공의 지름(약 4.2cm)보다 약간 작고, 평면상에서 볼 때의 원주각은 90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inclined wall 12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olf ball (about 4.2 cm), and the circumferential angle when viewed on a plane is smaller than 90 degrees.

또한, 경사벽(12)의 높이는 실제 그린에서 퍼팅 시 골프공이 홀컵에 떨어지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마찰돌기(13)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inclined wall 12 is preferably formed higher than that of the friction protrusion 13 so as to give a feeling of a golf ball falling into a hole cup during putting on an actual green.

마찰돌기(13)는 골퍼의 퍼팅 동작에 따라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기 위해 평바닥판(11)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리형 또는 반원형으로 촘촘하게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friction protrusion 13 is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kinetic energy applied when the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according to the golfer's putting motion, and is formed at a constant interval on a part of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sole plate 11 to generate frictional resistance. It is formed by closely arranging them in a ring or semicircle shape.

즉, 마찰돌기(13)는 평바닥판(11)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마치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 주위에 아주 짧게 깎고 잘 다듬은 잔디처럼 여러 개가 동일한 높이로 빽빽하게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friction protrusions 13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sole plate 11 in a form in which several of them are densely and vertically erected at the same height, like very short and well-trimmed grass around the hole in an actual putting green.

아울러 마찰돌기(13)는 경사벽(12)을 통해 굴러들어오는 골프공이 방해 없이 평바닥판(11) 위로 굴러가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iction protrusion 13 is formed so that the golf ball rolling in through the inclined wall 12 rolls on the flat bottom plate 11 without hindrance.

이러한 마찰돌기(13)는 실제 퍼팅 그린에서의 홀컵과 매우 흡사한 조건을 이루는 사용환경을 제공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을 퍼팅하거나 적절한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더라도 부드럽게 눕는 형태로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골프공이 자연스럽게 경사벽(12)과 마찰돌기(13) 안쪽의 공간에 홀인 되도록 작용함으로써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퍼팅하는 것처럼 실전 감각을 훨씬 확실하고 수월하게 익힐 수 있다.These friction protrusions 13 provide a use environment that is very similar to a hole cup on an actual putting green, so that even if you put a golf ball or apply an impact with an appropriate putting strength, you can lie down flexibly as in a real putting green. While being deformed, the golf ball naturally acts to be holed in the space inside the inclined wall 12 and the friction protrusion 13, so that golfers can learn the actual game much more reliably and easily, as if putting on a real putting green.

여기서 마찰돌기(13)는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한층 더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함은 물론 골프공이 홀인 또는 통과되어 외력 등의 간섭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대로 신속하게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그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하여 굵기가 0.5 내지 2mm, 높이가 7 내지 12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riction protrusion 13 not only allows the golf ball to be elastically deformed more naturally and flexibly when it rolls and contacts, but also stabilize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quickly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golf ball is holed or passed through and interference such as external force is removed. In order to implement it, it is preferable to form a truncated con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op, with a thickness of 0.5 to 2 mm and a height of 7 to 12 mm.

또한, 마찰돌기(13)들의 영역이 이루는 최외곽의 지름은 실제 퍼팅 그린에 뚫려 있는 홀의 지름과 동일 또는 비슷한 108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most diameter formed by the region of the friction protrusions 13 is 108 mm, which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hole drilled in the actual putting green.

배출구(14)는 마찰돌기(13)로 둘러쌓인 공간 안의 골프공이 밖으로 나가도록 열린 형태로 평바닥판(11)의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The outlet 14 is formed at on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in an open form so that the golf ball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 13 goes out.

즉, 배출구(14)는 마찰돌기(13)가 없는 형태로 평바닥판(11)의 한쪽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That is, the outlet 14 is provided at on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in a form without the friction protrusion 13.

여기서 배출구(14)는 골프공이 홀인 시 곧바로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경사벽(12)을 기준으로 평바닥판의 좌우 중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let 14 is preferably formed at one edg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at bottom plate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wall 12 so that the golf ball does not immediately escape out of the hole.

이러한 제1홀컵부(10)는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가열해도 탄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열경화성 플라스틱(thermosetting plastic)이나 합성수지를 금형 내에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The first hole cup portion 10 is made of thermosetting plastic or synthetic resin such as unsaturated polyester resin, epoxy resin, phenol resin, silicone resin, polyurethane resin, etc. can be integrally molded by injecting into a mold.

제2홀컵부(20)는 골프공이 부딪힐 때 청명한 소리가 나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이나 ABS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하여 실제 그린의 홀컵을 구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경사바닥판(21)과 유도벽(22)을 포함하고 있다.The second hole cup part 20 is made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BS, which makes a clear sound when a golf ball hits it, and is formed to realize a hole cup of an actual green, and the main element constituting it is an inclined bottom plate ( 21) and an induction wall 22.

경사바닥판(21)은 마찰돌기(13)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중력 작용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출구(14) 쪽으로 몰리도록 하기 위해 평바닥판(11)의 상면 안쪽에 장착되어 있다.The inclined bottom plate 21 is a space surrounded by friction protrusions 13 an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so that the golf ball is naturally driven toward the outlet 14 according to the action of gravity when the golf ball is rolled and holed.

즉, 경사바닥판(21)의 공입구(25)를 통해 골프공이 홀인 시 공출구(26) 쪽으로 몰려 배출구(14)로 빠져나가도록 한쪽은 높고 다른 쪽은 낮게 또는 상면이 약 5도 정도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다.That is, through the ball inlet 25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the golf ball is driven toward the ball outlet 26 during a hole and exits through the outlet 14 so that one side is high and the other side is low, or the upper surface is slanted at about 5 degrees. It is tilted.

그리고 경사바닥판(21)의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경쾌한 금속성의 공명음을 발생하는 공명구멍(23)이 다수 뚫려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sonant holes 23 are drilled at the edg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at regular intervals to generate a light metallic resonant sound when a golf ball rolls into a hole.

즉, 골프공이 홀인 시 발생하는 소리가 공명구멍(23)을 통해 부드럽고 연속적으로 흘러 청명하고 경쾌하게 울리면서 마치 필드에서 공이 홀에 떨어졌을 때와 흡사한 소리를 유발할 수 있다.That is,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golf ball is holed flows smoothly and continuously through the resonating hole 23 and sounds clearly and lightly, causing a sound similar to when a ball lands in a hole in the field.

유도벽(22)은 마찰돌기(13)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진행을 방해 및 배출구(14) 쪽으로 유도하기 위해 경사바닥판(21)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wall 22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s 13 and is integrally formed on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to prevent the golf ball from rolling and guide it toward the outlet 14 when the golf ball rolls into the hole.

즉, 유도벽(22)은 공입구(25)를 통해 골프공이 굴러들어와 홀인 시 부딪혔다가 공출구(26)와 배출구(14)로 굴러 나가도록 마찰돌기(13)로 둘러 쌓인 공간 안쪽에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induction wall 22 is formed in an arc inside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s 13 so that the golf ball rolls in through the ball inlet 25, hits the hole, and then rolls out to the ball outlet 26 and the outlet 14. is formed

여기서 유도벽(22)의 영역을 이루는 호형의 지름은 골프공이 정확한 위치를 지날 때만 홀인이 되도록 골프공의 지름(약 4.2cm)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거나 골프공이 일정한 범위 내를 지날 때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골프공의 지름(약 4.2cm)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iameter of the arc constituting the area of the induction wall 22 is formed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olf ball (about 4.2 cm) so that the golf ball is holed only when it passes through the correct position, or the golf ball is naturally entered when passing within a certain range. It can be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ll (about 4.2 cm).

예를 들어, 유도벽(22)이 이루는 영역의 지름은 3 내지 5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area formed by the guide wall 22 is preferably formed to be 3 to 5 cm.

공입구(25)는 유도벽(22) 중 경사벽(12)과 마주하는 부분에 나 있다.The ball inlet 25 is located in a portion of the induction wall 22 facing the inclined wall 12 .

즉, 공입구(25)는 경사벽(12)을 타고 넘은 골프공이 굴러서 진입하도록 열려 있다.That is, the ball inlet 25 is open so that the golf ball that has passed over the inclined wall 12 rolls and enters.

공출구(26)는 유도벽(22) 중 공입구(25)와 다른 방향을 향하여 나 있다.The outlet 26 is direct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nlet 25 of the guide wall 22 .

즉, 공출구(26)는 홀인된 골프공이 밖으로 굴러 나가도록 열려 있다.That is, the ball outlet 26 is open so that the holed golf ball rolls out.

이러한 제2홀컵부(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실제 홀컵의 느낌과 비슷하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어 스트로크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The second hole cup part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provides a psychological sense of stability similar to the feeling of an actual hole cup to make the stroke stable.

특히 제2홀컵부(20)에 골프공이 부딪힐 때 나는 청명한 소리는 마치 필드에서 공이 홀에 떨어졌을 때의 짜릿한 소리와 흡사하여 연습하는 동안에도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컵을 바라보지 않아도 소리만으로써 퍼팅 성공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헤드업(head up)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lear sound generated when a golf ball hits the second hole cup part 20 is similar to the thrilling sound when a ball lands on a hole in the field, so you can feel pleasure even during practice and only hear the sound without looking at the hole cup. As you can feel the success of putting, you can get the effect of preventing heads up.

예를 들어, 제2홀컵부(20)는 비금속 또는 무기질 재료(세라믹스 분말)를 성형한 후 고온처리를 하는 분말 성형법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이 홀인 시 청명하고 경쾌한 소리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hole cup part 20 is manufactured by a powder molding method in which a non-metal or inorganic material (ceramic powder) is molded and then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 treatment, or a metal plate having a certain thickness is processed and formed, so that the golf ball is clear when holed. It can effectively implement a light soun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홀컵부(20)는 경사바닥판(21)이 배출구(14)를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 즉 평바닥판(11)의 상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제1홀컵부(10)에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면의 한쪽 테두리 부분에 받침다리(24)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hole cup portion 20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is inclined at an angle to the outlet 14,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Of course, the support leg 24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on one edge of the lower surface in order to stably maintain the support and to facilitate installation on the first hole cup portion 10.

즉, 받침다리(24)에 의해 제2홀컵부(20)가 비스듬히 기울어진 채로 제1홀컵부(10)와 결합되고, 이로 인해 골프공이 자중에 의해 경사바닥판(21)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내려 가서 유도벽(22)의 개구된 공간과 배출구(14)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hole cup part 20 is engaged with the first hole cup part 10 while tilted obliquely by the support leg 24, and as a result, the golf ball roll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by its own weight. It can go down and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pace of the guide wall 22 and the outlet 14.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은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퍼팅 위치에서 경사벽(12)과 마찰돌기(13) 및 유도벽(22)으로 둘러쌓인 공간까지 거리에 맞춰 골프공을 적절한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타격 시에만 홀인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golf putting practice hole c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from the putting position 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inclined wall 12, the friction protrusion 13, and the guide wall 22, as in the actual putting green, is increased. A hole-in may be possible only when the golf ball is hit in a direction approaching by applying an impact with an appropriate putting strength.

즉, 골프공이 실제 그린의 홀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되는 가장 이상적인 퍼팅강도와 임팩트 및 스트로크로 퍼팅 시에만 경사벽(12)이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마찰돌기(13)에 둘러쌓인 공간으로 진입하여 홀인이 될 수 있다.That is, the inclined wall 12 is flexibly deformed only when putting with the most ideal putting strength, impact, and stroke where the golf ball passes exactly through the center of the hole of the actual green and stops in the range of about 30 to 50 cm (17 inch), and the friction protrusion 13 You can become a hole-in by entering the space surrounded by .

한편, 제1홀컵부(10)로만 퍼팅을 연습 시에는 평바닥판(11)의 상면에 마치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 주위에 아주 짧게 깎고 잘 다듬은 잔디처럼 여러 개가 동일한 높이로 빽빽하게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마찰돌기(13)들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구르는 골프공이 벗어나지 않게 순차적, 단계적으로 마찰저항을 일으켜 세우고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racticing putting only with the first hole cup part 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there are several friction protrusions densely and vertically erected at the same height, like very short mowed and well-trimmed grass around the hole in an actual putting green. As the (13) are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they can raise frictional resistance sequentially and step by step so that the rolling golf ball does not escape and stably hold it.

따라서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이 골프공과 홀의 거리에 맞는 정교한 퍼팅 스트로크는 물론 퍼팅강도(거리감)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숙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퍼팅 시 사용되는 근육들의 근력을 발달시켜 미세한 움직임을 기억 및 제어 가능하여 실전 감각을 확실하게 익힐 수 있다.Therefore, golfers can accurately and effectively master putting strength (distance) and directional control as well as precise putting strokes that match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just like playing on the actual putting green, as well as develop the muscle strength of the muscles used during putting. It is possible to memorize and control fine movements, so that you can surely learn the sense of actual combat.

게다가 골퍼가 경사벽(12)을 정면으로 대해 놓고, 이를 향해 골프공을 퍼팅할 때와, 반대쪽의 마찰돌기(13)를 정면으로 대해 놓고, 이를 향해 골프공을 퍼팅할 때, 즉 골프공이 굴러가는 방향 설정에 따라 홀에 정확하게 홀인시킬 수 있는 퍼팅 스트로크(Putting Stroke)나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거리의 퍼팅 감각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olfer faces the inclined wall 12 in front and puts a golf ball toward it, and when the opposite friction protrusion 13 faces front and puts a golf ball toward it, that is, the golf ball rolls Depending on the setting of the going direction, the putting stroke or speed that can be accurately holed in the hole changes, so you can learn the putting sense of various distances more effectively.

또한, 마찰돌기(13)를 정면으로 대해 놓고 퍼팅 시 골프공이 경사벽(12)의 간섭 및 저항을 받아 곧바로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골프공의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putting the friction protrusion 13 face to face and putt, the golf ball does not immediately escape outside due to the interference and resistance of the inclined wall 12, so the golf ball can be easily retrieved.

한편, 제1홀컵부(10)의 상면 안쪽에 제2홀컵부(20)를 올려놓은 상태로 퍼팅을 연습할 경우 타격된 골프공은 경사벽(12)을 타고 넘어 반작용에 따른 운동에너지의 상실 없이 유도벽(22)을 타고 공출구(26) 및 배출구(14) 쪽으로 구르거나 경사바닥판(21)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굴러내려 공출구(26)와 배출구(14)를 통해 자동으로 돌아나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practicing putting with the second hole cup part 20 plac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le cup part 10, the hit golf ball rides over the inclined wall 12 and loses kinetic energy due to the reaction. It rolls down the induction wall 22 toward the outlet 26 and outlet 14 or naturally rolls dow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to automatically return through the outlet 26 and outlet 14. can

즉, 골프공이 홀인이 되면 관성력과 중력의 영향에 따라 글라이드(glide) 운동을 일으켜 유도벽(22)과 경사바닥판(21)의 유도에 따라 자연스럽게 굴려서 공출구(26)와 배출구(14)를 통해 돌아나오기 때문에 골퍼가 수시로 타격한 골프공을 회수하거나 홀인된 골프공을 일일이 빼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golf ball is holed, it causes a glide motion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inertia and gravity, and naturally rolls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wall 22 and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to open the ball outlet 26 and the outlet 14. Since the golfer returns through the hol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and hassle of having to retrieve the golf ball frequently hit or take out the golf ball that has been holed in one by one.

게다가 제2홀컵부(20) 속으로 골프공이 홀인이 되면 청명하고 경쾌한 소리가 울리면서 마치 필드에서 공이 홀에 떨어졌을 때와 흡사한 소리를 유발하여 퍼팅 연습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컵을 바라보지 않아도 소리만으로 퍼팅 성공을 느낄 수 있어 헤드업(head up)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golf ball is holed into the second hole cup part 20, a clear and cheerful sound is heard, and a sound similar to that of a ball falling into a hole in the field is generated, which not only doubles the pleasure of putting practice, but also improves the hole cup. Even without looking at it, you can feel the success of your putting with just the sound, so you can get the effect of preventing heads up.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components can be widely applied by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changes to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홀컵부 11: 평바닥판
12: 경사벽 13: 마찰돌기
14: 배출구 20: 제2홀컵부
21: 경사바닥판 22: 유도벽
23: 공명구멍 24: 받침다리
25: 공입구 26: 공출구
10: first hole cup portion 11: flat bottom plate
12: inclined wall 13: friction protrusion
14: outlet 20: second hole cup part
21: inclined bottom plate 22: guide wall
23: resonance hole 24: support leg
25: ball inlet 26: ball outlet

Claims (5)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평바닥판(11);
상기 평바닥판(11)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평바닥판(11)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12):
상기 평바닥판(11)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마찰돌기(13);
상기 평바닥판(11)의 한쪽 가장자리에 나고, 상기 마찰돌기(13)로 둘러쌓인 공간 안의 골프공이 밖으로 나가도록 열려 있는 배출구(1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A flat bottom plate 11 generating frictional force on the contact surface when a golf ball rolls;
It has a certain curvature and height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and is formed by gradually til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lat bottom plate 11 toward the top, and is elastic against kinetic energy applied when a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Inclined wall 12 generating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 13);
an outlet 14 that is formed on on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and is open so that a golf ball can go out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 13;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평바닥판(11);
상기 평바닥판(11)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평바닥판(11)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12):
상기 평바닥판(11)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하여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다수의 마찰돌기(13);
상기 평바닥판(11)의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13)로 둘러쌓인 공간 안의 골프공이 밖으로 나가도록 열려 있는 배출구(14);
를 포함하는 제1홀컵부(10); 및
상기 제1홀컵부(10)의 상기 평바닥판(11) 상면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마찰돌기(13)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상기 배출구(14) 쪽으로 몰리도록 한쪽은 높고 다른 쪽은 낮게 형성된 경사바닥판(21);
을 포함하는 제2홀컵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A flat bottom plate 11 generating frictional force on the contact surface when a golf ball rolls;
It has a certain curvature and height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and is formed by gradually til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lat bottom plate 11 toward the top, and is elastic against kinetic energy applied when a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Inclined wall 12 generating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A plurality of friction protrusions ( 13);
an outlet 14 formed at one edg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and open so that a golf ball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 13 goes out;
A first hole cup portion 10 including; and
It is mount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of the first hole cup part 10, and one side is high and the other side is high so that the golf ball rolls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 13 and is driven toward the outlet 14 when making a hole.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is formed low;
a second hole cup portion 20 including;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컵부(20)는,
상기 경사바닥판(21)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13)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진행을 방해 및 상기 배출구(14) 쪽으로 굴러 나가도록 유도하는 유도벽(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hole cup part 20,
An induction wall integrally formed on a part of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and preventing the golf ball from rolling into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riction protrusion 13 and inducing it to roll toward the outlet 14 when the golf ball rolls into a hole. (22);
Hole cup for practicing golf pu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평바닥판(11);
상기 평바닥판(11)의 한쪽 상면에 일정한 곡률과 높이를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평바닥판(11)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비스듬히 기울어져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경사벽(12):
을 포함하는 제1홀컵부(10); 및
상기 경사벽(12)과 마주하는 부분에 나고, 상기 경사벽(12)을 타고 넘은 골프공이 굴러서 진입하도록 열려 있는 공입구(25);
상기 공입구(25)와 다른 방향을 향하여 나고, 홀인된 골프공이 밖으로 굴러 나가도록 열려 있는 공출구(26);
상기 평바닥판(11)의 상면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공입구(25)를 통해 골프공이 홀인 시 상기 공출구(26) 쪽으로 몰리도록 한쪽은 높고 다른 쪽은 낮게 형성된 경사바닥판(21);
상기 경사바닥판(21)의 상면 가장자리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진행을 방해 및 상기 공출구(26) 쪽으로 굴러 나가도록 유도하는 유도벽(22);
을 포함하는 제2홀컵부(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A flat bottom plate 11 generating frictional force on the contact surface when a golf ball rolls;
It has a certain curvature and height on on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and is formed by gradually til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lat bottom plate 11 toward the top, and is elastic against kinetic energy applied when a golf ball rolls and contacts Inclined wall 12 generating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A first hole cup portion 10 including; and
a ball inlet 25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inclined wall 12 and open so that a golf ball passing over the inclined wall 12 rolls and enters;
a ball outlet 26 that comes ou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all inlet 25 and is open so that the holed golf ball rolls out;
An inclined bottom plate 21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bottom plate 11 and formed with one side high and the other side low so that the golf ball is driven toward the ball outlet 26 when a hole is made through the ball inlet 25;
An induction wall 22 integrally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edg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preventing the golf ball from rolling and inducing it to roll toward the ball outlet 26 when the ball rolls into a hole;
a second hole cup portion 20 including;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바닥판(21)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골프공이 굴러서 홀인 시 금속성 공명음을 발생하는 공명구멍(23)이 다수 뚫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According to claim 2 or 4,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sonant holes 23 are drilled at the edge of the inclined bottom plate 21 at regular intervals to generate a metallic resonant sound when a golf ball rolls into a hole.
KR1020210173332A 2021-12-07 2021-12-07 Holecup for golf trainig KR1026422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332A KR102642210B1 (en) 2021-12-07 2021-12-07 Holecup for golf traini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332A KR102642210B1 (en) 2021-12-07 2021-12-07 Holecup for golf traini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296A true KR20230085296A (en) 2023-06-14
KR102642210B1 KR102642210B1 (en) 2024-02-28

Family

ID=8674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332A KR102642210B1 (en) 2021-12-07 2021-12-07 Holecup for golf traini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210B1 (en)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5191A (en) * 1989-09-06 1990-05-15 Ogilvie Garry J Putting target
KR920014492A (en) * 1991-01-10 1992-08-25 김경호 Carpet combination simple golf practice mat
KR200197038Y1 (en) 2000-03-24 2000-09-15 윤태혁 A sunding hole cup for training colf
KR200264457Y1 (en) 2001-11-22 2002-02-19 김종성 Hole cup for putting training
KR200376835Y1 (en) 2004-04-07 2005-03-11 정태인 Rubber Hole Cup
KR200411432Y1 (en) * 2005-11-17 2006-03-14 김용한 Golf putting hole cup
KR100903733B1 (en) 2007-11-11 2009-06-19 김진우 Putting training for linehole of golf
JP3157372U (en) * 2009-09-02 2010-02-18 株式会社 エイ・エヌ・シーロジスティック Golf hole cup for practice
JP3159088U (en) * 2010-02-18 2010-05-06 株式会社ミック Putting practice cup
KR20110034086A (en) 2009-09-28 2011-04-05 윤태균 Hole-ring for putting exercise
KR20120135780A (en) 2011-06-07 2012-12-17 길근택 A hall-cup for golf putting training
KR20130135453A (en)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Hole cup with a detection function and it's used exercise equipment
KR200475553Y1 (en) 2013-03-18 2014-12-10 김홍일 Pile putting hole cup
KR20200075172A (en) 2018-12-17 2020-06-2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Square type rubber hole cup
KR102263971B1 (en) * 2019-12-13 2021-06-11 주식회사 유티디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372B2 (en) * 1993-11-29 2001-04-16 三洋電機株式会社 filter
JP3159088B2 (en) * 1996-10-31 2001-04-2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Radiation fin fastener for LSI package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5191A (en) * 1989-09-06 1990-05-15 Ogilvie Garry J Putting target
KR920014492A (en) * 1991-01-10 1992-08-25 김경호 Carpet combination simple golf practice mat
KR200197038Y1 (en) 2000-03-24 2000-09-15 윤태혁 A sunding hole cup for training colf
KR200264457Y1 (en) 2001-11-22 2002-02-19 김종성 Hole cup for putting training
KR200376835Y1 (en) 2004-04-07 2005-03-11 정태인 Rubber Hole Cup
KR200411432Y1 (en) * 2005-11-17 2006-03-14 김용한 Golf putting hole cup
KR100903733B1 (en) 2007-11-11 2009-06-19 김진우 Putting training for linehole of golf
JP3157372U (en) * 2009-09-02 2010-02-18 株式会社 エイ・エヌ・シーロジスティック Golf hole cup for practice
KR20110034086A (en) 2009-09-28 2011-04-05 윤태균 Hole-ring for putting exercise
JP3159088U (en) * 2010-02-18 2010-05-06 株式会社ミック Putting practice cup
KR20120135780A (en) 2011-06-07 2012-12-17 길근택 A hall-cup for golf putting training
KR101364197B1 (en) 2011-06-07 2014-02-19 길근택 A hall-cup for golf putting training
KR20130135453A (en)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Hole cup with a detection function and it's used exercise equipment
KR200475553Y1 (en) 2013-03-18 2014-12-10 김홍일 Pile putting hole cup
KR20200075172A (en) 2018-12-17 2020-06-2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Square type rubber hole cup
KR102263971B1 (en) * 2019-12-13 2021-06-11 주식회사 유티디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210B1 (en)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6871B1 (en) Golf putting game apparatus
US6955610B1 (en) Sports training apparatus
US6860817B2 (en) Golf club
US7614961B2 (en) Golf putting teaching device and method
US5613684A (en) Game platform for magnetic dart game
KR20230085296A (en) Holecup for golf trainig
US10828546B2 (en) Golf swing practice mat for strengthening swing and increasing club head speed
KR200496983Y1 (en) Holecup for golf trainig
AU671898B2 (en) Game launching mechanism
US2888266A (en) Swing practicing device
US6663495B2 (en) Golf practice device
US3464699A (en) Adjustable and removable targets on a game board
US4183532A (en) Flipper game with adjustable detainer
KR200486832Y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1153342B1 (en) Putting training apparatus
US10112092B2 (en) Pivoting soccer goal and game
JP4922543B2 (en) Golf club
KR20180040259A (en) Using a golf game and how to play golf putting trainer putting practice putting gaming devices
AU2017317004B2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and practicing skills for sports
JP2005305058A (en) Scattering preventive tool of golf tee
Jowdy Bowling execution
WO1994009863A1 (en) Practice ball
KR101517997B1 (en) System of ball game
KR20220000350U (en) Holecup for golf trainig
KR820000663B1 (en) Apparatus for manual dexterity percussion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