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50U - Holecup for golf trainig - Google Patents

Holecup for golf traini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50U
KR20220000350U KR2020200002799U KR20200002799U KR20220000350U KR 20220000350 U KR20220000350 U KR 20220000350U KR 2020200002799 U KR2020200002799 U KR 2020200002799U KR 20200002799 U KR20200002799 U KR 20200002799U KR 20220000350 U KR20220000350 U KR 202200003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olf ball
golf
putt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7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기룡
Original Assignee
황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룡 filed Critical 황기룡
Priority to KR2020200002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350U/en
Publication of KR20220000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5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에서의 퍼팅 연습 시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을 익힐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골프공의 홀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홀인공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홀인공간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마찰돌기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개시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that allows you to learn the real sense of playing on the actual putting green during putting practice indoor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plate in which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a contact surface when a golf ball is rolled, a hole-in space formed to allow a hole-in of a golf ball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n edge portion of the hole-in space am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Disclosed is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which is clos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es friction protrusions that generate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with respect to kinetic energy applied when a golf ball rolls in contact.

Description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HOLECUP FOR GOLF TRAINIG}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HOLECUP FOR GOLF TRAINIG}

본 고안은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퍼가 실내에서의 퍼팅 연습 시 홀컵과의 거리에 맞는 스트로크와 퍼팅강도(거리감) 조절 및 방향성을 정확하게 숙달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을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nd more specifically, to play on the actual putting green by accurately mastering the stroke and putting intensity (feeling of distance) control and direction that fit the distance from the hole cup when golfers practice putting indoors indoors. It is about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that can effectively learn the same practical feeling.

일반적으로 골프게임을 잘하기 위해서는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 및 골프공의 위치와 상태를 정확히 판단해야 함은 물론이고, 골프공이 날아가는 방향과 거리가 일관성 있도록 클럽을 두 손으로 쥐고 일정한 궤도에 따라 스윙하는 임팩트 동작, 골프공의 타격점 및 타격강도와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어프로치샷(피치샷, 칩샷, 로브샷, 런닝샷)을 비롯하여 벙커샷, 퍼팅 등 그린까지 거리가 짧은 지점에서 핀을 향해 골프공을 쳐올리는 이른바 쇼트게임(short game)의 섬세한 타법도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습득해야 한다.In general, in order to play a golf game well,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and the position and condition of the golf ball. In addition to impact action, golf ball hitting point and strength, as well as various kinds of approach shots (pitch shot, chip shot, lob shot, running shot), bunker shot, putting, etc. The delicate hitting method of the so-called short game of hitting must also be learned through repeated practice.

특히 퍼팅은 골프공을 홀컵에 넣는 최종 단계로, 신중하고 안정된 자세를 바탕으로 올바른 방향과 정확한 거리측정 및 헤드업 동작 없이 일관성 있는 스트로크, 정교한 퍼팅강도의 조절을 통한 거리감의 숙달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putting is the final stage of putting the golf ball into the hole cup. Based on a careful and stable posture, it is necessary to master the right direction, accurate distance measurement, consistent stroke without head-up motion, and mastery of distance through precise adjustment of putting intensity.

최근에는 골프의 대중화와 골프 산업이 성황을 이루면서 실내 등 비교적 좁은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퍼팅연습기가 각광받고 있다.Recently, with the popularization of golf and the booming of the golf industry, a putting practice machine that can practice putting easily even in a relatively narrow place, such as indoors, is in the spotlight.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대판(1)의 상면에 탄성 재질로 고리형 경사벽(3)을 일체로 형성하여 홀(2)이 형성되고, 그 경사벽(3)의 일부를 절제하여 홀(2) 내부로 골프공이 들어가도록 개구(3a)가 형성되고, 또한 홀(2)의 중심부에는 방울(5)이 코일스프링(5a)과 지지구(5b)에 의해 경사벽(3)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골프연습용 음향성 홀컵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1 , a hole 2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n annular inclined wall 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r base 1, and the inclined wall 3 An opening 3a is formed so that a golf ball enters the hole 2 by excising a portion of the hole 2, and in the center of the hole 2, a drop 5 is inclined by the coil spring 5a and the support member 5b. An acoustic hole cup for golf practice provided to protrude upward of the wall (3) is disclosed.

특허문헌 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컵(1)의 상부에 유입공(7)이 형성되고, 그 홀컵(1)의 내부에 소리를 발산하는 울림통(4)이 마련되고, 그 울림통(4)에는 소리를 내는 울림판(5)이 구비된 퍼팅연습용 홀컵이 개시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2, as shown in FIG. 2, an inlet hole 7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e cup 1, and an echo tube 4 that emits a sound is provided inside the hole cup 1, and the ring tube ( 4) discloses a hole cup for putting practice provided with a sounding soundboard (5).

이와 같은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퍼터(putter)로 골프공을 홀컵 방향으로 타격하면, 골프공이 구르는 회전력에 의해 경사진 고리형 벽면을 타고 넘어가서 홀인되는 특성상 홀컵의 정중앙부, 즉 임팩트 순간에 경사진 고리형 벽면과 골프공이 스퀘어 상태일 때 홀인되는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In such a conventional hole cup for putting practice, when a golf ball is hit in the direction of the hole cup with a putter, the golf ball passes over the inclined annular wall due to the rolling rotational force and enters the hole. The probability of hole-in is highest when the ring wall and the golf ball are square.

그런데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경사진 고리형 벽면의 형태적 특성상 타격된 골프공이 고리형 벽면의 중심부에서 약간만 벗어나기만 해도 경사진 고리형 벽면을 타고 방향이 바뀌면서 홀인되지 않기 때문에 실전 감각을 익히기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le cup for putting practice,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clined annular wall, the golf ball does not go into a hole as the direction changes along the inclined annular wall even if the golf ball only slightly deviates from the center of the annular wall. There are bound to be limits.

즉, 실제 그린의 홀컵은 그 언저리와 그린이 평면 상태이므로 골프공이 홀컵의 중심부를 약간 벗어나더라도 홀인이 되지만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이러한 실제 홀컵의 특성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어서 실전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periphery and green of the actual hole cup on the green are flat, a hole can be made even if the golf ball slightly deviates from the center of the hole cup. There is a problem that I cannot.

또한, 실제 그린에서는 퍼팅 시 골프공이 홀컵을 지나갈 정도로 구르지 않으면 홀인될 수 없으므로 적절한 퍼팅강도(거리감)는 골프공이 홀컵의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되도록 퍼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수 있는데, 종래의 퍼팅연습용 홀컵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성형하는 물리·기계적 특성상 골프공이 홀인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홀컵의 탄성력 및 반발력에 대응하는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더 가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그린과 큰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필드의 실전 감각을 정확하게 익히기에는 효용성과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 있다.Also, on the actual green, a hole cannot be made unless the golf ball rolls past the hole cup when putting, so it is most ideal to putt so that the golf ball passes exactly through the center of the hole cup and stops within the range of 30-50 cm (17 inches) for proper putting strength (feeling of distance). Because the conventional hole cup for putting practic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due to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lf ball, it is necessary to apply more impact with the putting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force and repulsive force of the hole cup in order to make the golf ball hole in. There is a big difference from the actual green,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ty and practicality are significantly lowered to accurately learn the actual feeling of the field.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고안자가 보유하거나 본 고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출원 전에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고안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The background art or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revealed that it does not mean a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field, and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independent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KR 10-0903733 B1(2009.06.19)KR 10-0903733 B1 (2009.06.19) KR 20-0264457 Y1(2002.02.19)KR 20-0264457 Y1 (2002.02.19) KR 10-1364197 B1(2014.02.11)KR 10-1364197 B1 (2014.02.11) KR 10-2013-0135453 A(2013.12.11)KR 10-2013-0135453 A (2013.12.11) KR 10-2020-0075172 A(2020.06.26)KR 10-2020-0075172 A (2020.06.26) KR 10-2011-0034086 A(2011.04.05)KR 10-2011-0034086 A (2011.04.05) KR 10-107156 B1(2011.10.10)KR 10-107156 B1 (2011.10.10) KR 10-2012-0135780 A(2012.12.17)KR 10-2012-0135780 A (2012.12.17) KR 20-0197038 Y1(2000.09.15)KR 20-0197038 Y1 (2000.09.15) KR 20-0376835 Y1(2005.03.11)KR 20-0376835 Y1 (2005.03.11) KR 20-0475553 Y1(2014.12.03)KR 20-0475553 Y1 (2014.12.03) KR 10-0903733 B1(2009.06.11)KR 10-0903733 B1 (2009.06.11)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골퍼가 홀과의 거리에 맞춰 퍼팅 스트로크 및 임팩트 동작을 연습 시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이 홀의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스트로크와 퍼팅강도(거리감) 조절 및 방향성을 정확하게 숙달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을 충분히 익히고 극대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퍼팅 연습용 홀컵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예의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고안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hole cup technology for golf putting practice, when the golfer practices the putting stroke and impact mo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hole, Just like on the putting green, the most ideal stroke that the golf ball can pass exactly through the center of the hole and stop within a range of about 30 to 50 cm (17 inches), as well as accurately mastering the control and direction of putting intensity (sense of distance), and playing on the actual putting green. As a result, this design was created as a result of diligent research to develop a new hole cup for putting practice that can fully master the senses and maximize the effect.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골프공과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that allows you to accurately and effectively acquire putting strength and directionality control ability suitable for the distance between a golf ball and a hole.

여기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골프공의 홀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홀인공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홀인공간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마찰돌기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iction force on the contact surface when the golf ball rolls is The generated base plate, the hole-in space formed so that a hole-in of a golf ball is possible in the middle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edge part of the hole-in space am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re clos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golf ball rolls into contact It provides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riction protrusion that generates frictional resistance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kinetic energy applied when it is applied.

이로써 본 고안은 골프공과 홀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체득하여 골퍼의 퍼팅 연습 시간을 단축하고,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putting practice time of golfers by accurately and effectively acquiring the ability to adjust the putting strength and direction appropriat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and maximize the practical sense of playing on the actual putting gree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마찰돌기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중 상기 홀인공간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되고, 골프공의 홀인에 따른 접촉 시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부착력이 작용하여 골프공의 진행을 방해하는 안착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실제 퍼팅 그린에서의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체득할 수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pect) is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iction protrusion, and is clos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le-in sp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kinetic energy applied when the golf bal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le-in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ating protrusion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and prevents the progress of the golf ball by acting as an adhesive force, so that the putting strength and directionality control ability suitable for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on the actual putting green is more accurate. and can be acquired effectivel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홀인공간(12)은, 지름이 3 내지 5cm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13)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2 내지 3cm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14)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0.2 내지 0.5cm로 형성됨으로써 실제 퍼팅 그린에서의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에 맞는 퍼팅강도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한층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체득하여 실전 감각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in space 12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3 to 5 cm, and the friction protrusion 13 has a truncated cone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top, and has a maximum thickness of 0.5 to 2 mm, the maximum height is formed to be 2-3 cm, and the seating projection 14 is a truncated cone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top, and has a maximum thickness of 0.5 to 2 mm and a maximum height of 0.2 to 0.5 cm. You can maximize the sense of practice by acquiring the ability to control putting strength and direction more accurately and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cup on the putting green.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을 가장 이상적인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여 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타격해야만 홀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골프공과 홀과의 거리에 맞는 정교한 퍼팅 스트로크는 물론 퍼팅강도(거리감)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숙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 golfer applies an impact to the golf ball with the most ideal putting strength as in the actual putting green to hit the hole. Because a hole-in is possible only by hitting it accurately in the clos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ffectively master not only the precise putting stroke that matches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but also the ability to accurately and effectively control the putting strength (sense of distance) and directionality.

따라서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실전 감각을 확실하게 체득할 수 있어 골퍼의 퍼팅 능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심리적으로 자신감을 고취시켜 실제 퍼팅 그린에서 과감하게 홀을 지나치게 스트로크하여 성공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golfer can definitely acquire the actual feeling of playing on the actual putting green, thereby improving the golfer's putting ability, as well as instilling confidence psychologically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by boldly striking the hole on the actual putting green. can be raised

여기서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dicate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part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is a description that is specifically opposite Unless there is,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it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those.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or upper, lower, upper, lower,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part in the drawing may be named and referred to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s the lower part.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10)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하여 실제 그린의 홀컵과 동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베이스 플레이트(11), 홀인공간(12), 마찰돌기(13) 및 안착돌기(14)를 포함하고 있다.3 to 5, the hole cup 10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has the same size as the hole cup of the actual green, and the The main components include a base plate 11 , a hole-in space 12 , a friction protrusion 13 , and a seating protrusion 14 .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지면이나 건물의 바닥 등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일정한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base plate 11 is formed in a disk shape so as to be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or the floor of a building,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when the golf ball is rolled.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테두리 부분은 골퍼의 퍼팅 동작에 따라 골프공이 굴러서 부딪칠 때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지나가도록 그 가장자리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 또는 유연한 곡선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dge of the base plate 11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n inclined surface or a flexible curv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thickness toward the edge of the base plate 11 so that the golf ball passes naturally without resistance when it rolls and collides according to the putting operation of the golfer. .

홀인공간(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 중 가운데 부분에 골프공의 홀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hole-in space 1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to allow a hole-in of a golf ball.

여기서 홀인공간(12)의 영역을 이루는 지름은 골프공이 정확한 위치를 지날 때만 홀인이 되도록 골프공의 지름(약 4.2cm)보다 약간 작게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diameter constituting the region of the hole-in space 12 may be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golf ball (about 4.2 cm) so that the hole-in occurs only when the golf ball passes through the correct position.

또한, 홀인공간(12)의 영역을 이루는 지름은 골프공이 일정한 범위 내를 지날 때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골프공의 지름(약 4.2cm)보다 약간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ameter constituting the area of the hole-in space 12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golf ball (about 4.2 cm) so that the golf ball enters naturally when it passes within a certain range.

예를 들면, 홀인공간(12)의 영역을 이루는 지름은 3 내지 5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diameter constituting the area of the hole-in space 12 is preferably formed to be 3 to 5 cm.

마찰돌기(13)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 중 홀인공간(12)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The friction protrusions 13 are closely arranged in a circle shap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dge of the hole-in space 12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base plate 11 .

즉, 마찰돌기(13)는 골퍼의 퍼팅 동작에 따라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마치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 주위에 아주 짧게 깎고 잘 다듬은 잔디처럼 여러 개가 동일한 높이로 빽빽하게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friction protrusion 13 is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kinetic energy applied when the golf ball rolls in contact with the golfer according to the putting motion of the golfer and generates frictional resistan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as if it were an actual putting green. Around the hole in the hall, several are formed densely and vertically at the same height, like a very short cut and manicured lawn.

이러한 마찰돌기(13)는 실제 퍼팅 그린에서의 홀컵과 매우 흡사한 조건을 이루는 사용환경을 제공하여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골프공을 홀인공간(1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퍼팅하거나 적절한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더라도 부드럽게 눕는 형태로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골프공이 자연스럽게 홀인공간(12) 속에 홀인되도록 유도 및 안내한다.These friction protrusions 13 provide a use environment that achieves conditions very similar to the hole cup on the actual putting green, and puts the golf ball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hole-in space 12 as in the actual putting green or with an appropriate putting strength.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he golf ball is naturally induced and guided so that the golf ball enters the hole in the hole-in space 12 while flexibly deforming into a soft lying shape.

따라서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퍼팅하는 것처럼 실전 감각을 훨씬 확실하고 수월하게 익힐 수 있다.As a result, golfers can learn practical skills much more clearly and easily just like putting on the actual putting green.

여기서 마찰돌기(13)는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한층 더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함은 물론 골프공이 홀인 또는 통과되어 외력 등의 간섭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대로 신속하게 복귀하는 탄성 복원력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그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하여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2 내지 3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riction protrusion 13 not only allows the golf ball to be elastically deformed more naturally and flexibly when the golf ball rolls in contact, but also stabilize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quickly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golf ball is holed in or passed and interference such as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truncated cone with a maximum thickness of 0.5 to 2 mm and a maximum height of 2 to 3 cm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op.

또한, 마찰돌기(13)들의 영역이 이루는 최외곽의 지름은 실제 퍼팅 그린에 뚫려 있는 홀의 지름과 동일 또는 비슷한 108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most diameter formed by the area of the friction protrusions 13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hole drilled in the actual putting green of 108 mm.

안착돌기(14)는 마찰돌기(1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 중 홀인공간(12) 내 바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다.The seating protrusions 14 are clos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hole-in space 1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iction protrusions 13 .

즉, 안착돌기(14)는 골프공의 홀인에 따른 접촉 시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부착력이 작용하여 골프공의 진행을 방해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여러 개가 동일한 높이로 빽빽하게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seating protrusion 14 is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kinetic energy applied upon contact according to the hole-in of the golf ball, and the adhesive force acts o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to prevent the progress of the golf ball. Several are formed densely and vertically at the same height.

여기서 안착돌기(14)는 골프공이 홀인공간(12)에 홀인되면서 접촉할 때 한층 더 안정적인 부착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그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0.2 내지 0.5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ating protrusion 14 has a truncated cone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top so that a more stable adhesive force acts when the golf ball contacts the hole-in space 12 while making a hole-in space 12, the maximum thickness is 0.5 to 2 mm, and the maximum height is 0.5 to 2 mm. It is preferable to form 0.2 to 0.5 cm.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10)은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와 같이 퍼팅 위치에서 홀인공간(12)까지 거리에 맞춰 골프공을 적절한 퍼팅강도로 임팩트를 가하여 홀인공간(1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타격 시에만 홀인이 가능할 수 있다.The hole cup 10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pplies an impact to the golf ball with an appropriate putt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putting position to the hole-in space 12 as in the actual putting green. A hole-in may be possible only when hitting in the direction close to (12).

즉, 골프공이 홀의 중앙을 정확히 지나서 약 30~50cm(17inch) 범위에서 정지되는 가장 이상적인 퍼팅강도와 임팩트 및 스트로크로 퍼팅 시에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마치 실제 퍼팅 그린에서 홀 주위에 아주 짧게 깎고 잘 다듬은 잔디처럼 여러 개가 동일한 높이로 빽빽하게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마찰돌기(13)들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구르는 골프공이 벗어나지 않게 순차적, 단계적으로 마찰저항을 일으켜 세우고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That is, only when putting with the most ideal putting strength and impact and stroke, where the golf ball passes exactly through the center of the hole and stops in the range of about 30-50 cm (17 inch),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appears as if it were a very short area around the hole on the actual putting green. Friction protrusions 13, which are densely erected vertically at the same height, like mowed and well-groomed grass, are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to generate frictional resistance sequentially and step by step so that the rolling golf ball does not deviate, and can be held stably.

따라서 골퍼가 실제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이 골프공과 홀과의 거리에 맞는 정교한 퍼팅 스트로크는 물론 퍼팅강도(거리감) 및 방향성 조절능력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숙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전 감각을 확실하게 체득할 수 있다.Therefore, just like playing on the actual putting green, golfers can accurately and effectively master the precise putting stroke that matches the distance between the golf ball and the hole, as well as the ability to adjust the putting strength (sense of distance) and directionality accurately and effectively. can do.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10)은 열안정성이 우수하여 가열해도 탄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열경화성 플라스틱(thermosetting plastic), 합성수지를 금형 내에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e cup 10 for golf putting pract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is made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epoxy resin, phenol resin, silicone resin, polyurethane resin, etc. It can be integrally molded by injecting thermosetting plastic or synthetic resin into the mold.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he substitution of component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홀컵 11: 베이스 플레이트
12: 홀인공간 13: 마찰돌기
14: 안착돌기
10: hole cup 11: base plate
12: hole-in space 13: friction protrusion
14: seating projection

Claims (3)

골프공이 구를 때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골프공의 홀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홀인공간(12);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 중 상기 홀인공간(12)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되고, 골프공이 굴러서 접촉할 때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마찰저항을 발생하는 마찰돌기(13);
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When the golf ball rolls,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a hole-in space 12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to allow a hole-in of a golf ball; and
It is clos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dge of the hole-in space 12 am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a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kinetic energy applied when the golf ball rolls and comes into contact, thereby generating frictional resistance. a friction protrusion (13);
Including,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1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 중 상기 홀인공간(12)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촘촘하게 배열되고, 골프공의 홀인에 따른 접촉 시 가해지는 운동 에너지에 대하여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부착력이 작용하여 골프공의 진행을 방해하는 안착돌기(14);
를 더 포함하는,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The method of claim 1,
With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riction protrusion 13 and clos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le-in space 1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the kinetic energy applied during contact according to the hole-in of the golf ball The seating projection 14,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by elasticity and acts as an adhesive force to hinder the progress of the golf ball;
Further comprising,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인공간(12)은, 지름이 3 내지 5cm로 형성되고,
상기 마찰돌기(13)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2 내지 3cm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14)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원뿔대 모양으로 최대 굵기가 0.5 내지 2mm, 최대 높이가 0.2 내지 0.5cm로 형성된, 골프 퍼팅 연습용 홀컵.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le-in space 12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3 to 5 cm,
The friction protrusion 1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op, with a maximum thickness of 0.5 to 2 mm and a maximum height of 2 to 3 cm,
The seating protrusion 14 is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top, with a maximum thickness of 0.5 to 2 mm and a maximum height of 0.2 to 0.5 cm, a hole cup for golf putting practice.

KR2020200002799U 2020-07-31 2020-07-31 Holecup for golf trainig KR2022000035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99U KR20220000350U (en) 2020-07-31 2020-07-31 Holecup for golf traini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99U KR20220000350U (en) 2020-07-31 2020-07-31 Holecup for golf traini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50U true KR20220000350U (en) 2022-02-08

Family

ID=8025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99U KR20220000350U (en) 2020-07-31 2020-07-31 Holecup for golf traini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350U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038Y1 (en) 2000-03-24 2000-09-15 윤태혁 A sunding hole cup for training colf
KR200264457Y1 (en) 2001-11-22 2002-02-19 김종성 Hole cup for putting training
KR200376835Y1 (en) 2004-04-07 2005-03-11 정태인 Rubber Hole Cup
KR100903733B1 (en) 2007-11-11 2009-06-19 김진우 Putting training for linehole of golf
KR20110034086A (en) 2009-09-28 2011-04-05 윤태균 Hole-ring for putting exercise
KR20120135780A (en) 2011-06-07 2012-12-17 길근택 A hall-cup for golf putting training
KR20130135453A (en)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Hole cup with a detection function and it's used exercise equipment
KR200475553Y1 (en) 2013-03-18 2014-12-10 김홍일 Pile putting hole cup
KR20200075172A (en) 2018-12-17 2020-06-2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Square type rubber hole cup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038Y1 (en) 2000-03-24 2000-09-15 윤태혁 A sunding hole cup for training colf
KR200264457Y1 (en) 2001-11-22 2002-02-19 김종성 Hole cup for putting training
KR200376835Y1 (en) 2004-04-07 2005-03-11 정태인 Rubber Hole Cup
KR100903733B1 (en) 2007-11-11 2009-06-19 김진우 Putting training for linehole of golf
KR20110034086A (en) 2009-09-28 2011-04-05 윤태균 Hole-ring for putting exercise
KR20120135780A (en) 2011-06-07 2012-12-17 길근택 A hall-cup for golf putting training
KR101364197B1 (en) 2011-06-07 2014-02-19 길근택 A hall-cup for golf putting training
KR20130135453A (en)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포디존 Hole cup with a detection function and it's used exercise equipment
KR200475553Y1 (en) 2013-03-18 2014-12-10 김홍일 Pile putting hole cup
KR20200075172A (en) 2018-12-17 2020-06-2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Square type rubber hole c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6006A (en) Practice golf device
US20100179003A1 (en) Golf tee
US5492323A (en) Ball support specially designed for golf practice
US7458906B2 (en) Flexible golf tee for driving range
US8403776B1 (en) Unbreakable golf tee with flexible shaft
KR19980703375A (en) Golf practice device
US3473812A (en) Golf tee for imparting preselected spin to a ball
US4925191A (en) Putting target
KR20220000350U (en) Holecup for golf trainig
US5354064A (en) Golf ball striking mat
US20140057740A1 (en) Golf tee
JP2008504093A (en) Ball trap
KR200346286Y1 (en) tee for supporting golf ball
AU2017100264B4 (en) Golf tee
US6296249B1 (en) Disc tossing/target receiving game with surface features
US20090264225A1 (en) Golf tee
KR200496983Y1 (en) Holecup for golf trainig
US20230105620A1 (en) Golf Club Head With Sole Compliance Zone
WO2013191751A1 (en) A training golf ball
US5377988A (en) Golf ball practice device
US10471321B2 (en) Aids for croquet: practice training aids and “on-mallet” playing aids
KR102642210B1 (en) Holecup for golf trainig
KR200339017Y1 (en) Golf tee of magnetic
KR200197038Y1 (en) A sunding hole cup for training colf
US20050059511A1 (en) Flexible golf t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