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206A - 라이저 앵커 및 설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라이저 앵커 및 설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206A
KR20230085206A KR1020237016744A KR20237016744A KR20230085206A KR 20230085206 A KR20230085206 A KR 20230085206A KR 1020237016744 A KR1020237016744 A KR 1020237016744A KR 20237016744 A KR20237016744 A KR 20237016744A KR 20230085206 A KR20230085206 A KR 20230085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late
floor
installation structure
co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콩 선
Original Assignee
빅톨릭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톨릭 컴패니 filed Critical 빅톨릭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23008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라이저 파이프용 앵커 조립체는, 라이저(riser)가 위치되는 건축물과 같은 구조체의 바닥을 관통하는 스터브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판 및 슬리브를 사용한다. 판 및 슬리브로부터 연장되는 스터드들은 바닥과 결합하고 바닥의 국부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킨다. 판과 체결되는 브래킷은 슬리브 내에 스터브 파이프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라이저 파이프 요소들은 스터브 파이프의 단부에 부착된다. 화재 절연 재료는 스터브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라이저 앵커 및 설치 구조물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 2020 년 11 월 5 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3/110,082 호에 기초하며 그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적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흔히 "라이저(risers)"로 지칭되는 수직 배관 설비들은 건물들 및 다른 구조체들 전체에 걸쳐 물 및 다른 유체들의 분배에 필수적이다. 라이저 지지 구조체는 많은 설계 요건들, 특히, 열 부하 및 열 팽창과 같은 구조적 요구, 추력 하중, 예측된 지역 지진 하중뿐만 아니라 라이저 자체의 자량(dead weight)에 의해 부과되는 종종 상당한 정적 부하를 충족해야 한다. 또한, 라이저 지지 구조체는 라이저가 설치되는 빌딩의 국부적인 구조적 완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러한 설계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전통적인 라이저 설계들은 바닥에 라이저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사용하고, 이를 인접한 전단 벽에 고정하기 위해 브래킷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들은 라이저의 반복된 열 팽창 사이클로 인해 마찰에 의존하는 라이저 클램프들이 덜 효과적이게 되고, 전단 벽들이 라이저 위치에 대해 항상 편리하게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단점들을 겪는다. 라이저 지지 설치 설계를 개선할 기회가 명확하게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바닥 구조에 라이저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앵커 조립체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상면 및 하면을 갖는 판을 포함한다. 판은 그를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슬리브가 판에 부착된다. 슬리브는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판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보어(bore)를 형성한다. 슬리브는 판의 상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상부(sleeve top)를 갖는 상부 슬리브 부분 및 판의 하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저부(sleeve bottom)를 갖는 하부 슬리브 부분을 갖는다. 복수의 칼라가 판을 통과한다. 각각의 칼라는 내부 스크류 나사산을 갖는다. 복수의 칼라들은 각각 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상부 칼라 표면 및 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부 칼라 표면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판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스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단 키들이 또한 슬리브에 부착되고 보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단 키들은 슬리브의 하부 슬리브 부분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터브 파이프는 보어를 통해 연장된다. 브래킷(bracket)이 스터브 파이프에 부착된다. 브래킷은 판의 상면 위에 놓인다. 복수의 나사형 파스너가 브래킷을 판에 부착한다. 각각의 파스너는 복수의 칼라의 각각의 칼라와 결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킷은 스터브 파이프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아암을 포함한다. 슬리브의 상부 슬리브 부분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상부 슬리브 부분은 내부에 복수의 노치를 형성한다. 각각의 아암은 노치들 중 각각의 노치 내에 수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스터브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에 위치된 화재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라이저 파이프에 대한 설치 구조물(installation)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치 구조물은 반대로 배치된 상면 및 하면을 갖는 타설 바닥을 포함한다. 앵커 조립체는 부어진 바닥에 매립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앵커 조립체는 대향하여 배치된 상면 및 하면을 갖는 판을 포함한다. 판은 개구(aperture)와 정렬되어 관통되는 구멍(opening)을 형성한다. 슬리브가 판에 부착된다. 슬리브는 개구 및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판 및 바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보어(bore)를 형성한다. 슬리브는 판의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상부를 갖는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슬리브는 판의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저부를 갖는 하부 부분을 더 갖는다. 복수의 칼라가 부착되어 판을 통과한다. 각각의 칼라는 내부 스크류 나사산을 갖는다. 또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스터드들이 판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스터드는 바닥 내에 매립된다. 또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전단 키가 하부 슬리브 부분에 부착되고 보어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전단 키들은 판의 하면 아래에 놓이고 바닥 내에 매립된다.또한 예로서, 복수의 칼라들 각각은 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상부 칼라 표면 및 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부 칼라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설치 구조물은 보어를 통해 연장되는 스터브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bracket)이 스터브 파이프에 부착된다. 브래킷은 판의 상면 위에 놓인다. 복수의 나사형 파스너가 브래킷을 판에 부착한다. 각각의 파스너는 복수의 칼라의 각각의 칼라와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브래킷은 스터브 파이프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슬리브 부분은 내부에 복수의 노치를 형성한다. 각각의 아암은 노치들 중 각각의 노치 내에 수용된다. 또한 실시예로서, 화재 절연층은 스터브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판의 상면은 바닥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슬리브 저부는 바닥의 하면과 같은 높이에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닥은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콘크리트 슬래브 아래에 배열된 금속 데크(metal deck)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앵커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앵커 조립체의 입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앵커 조립체의 입면도이며, 도 2 에 도시된 도면에 대해 45도 회전되어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앵커 조립체의 상세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앵커 조립체의 대안적인 상세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앵커 조립체의 대안적인 상세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 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앵커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 에 도시된 앵커 조립체의 입면도이다.
도 9는 도 4 에 도시된 앵커 조립체의 입면도이며, 도 5 에 도시된 도면에 대해 45 도 회전되어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설치 구조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설치 구조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설치 구조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바닥 구조(도 10 내지 도 12 참조)에 라이저 파이프(도 10 내지 도 12 참조)를 고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앵커 조립체(1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앵커 조립체(1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상면(14)및 하면(16)을 갖는 판(12)을 포함하며, 판(12)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개구(18)를 형성한다. 슬리브(20)는 판(12)에 부착된다. 슬리브는 개구(18)를 통해 연장되고 판(12)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보어(22)를 형성한다 슬리브(20)는 판(12)의 상면(14)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상부(26)를 갖는 상부 슬리브 부분(24)를 포함한다. 슬리브(20)는 판(12)의 하면(16)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저부(30)를 갖는 하부 슬리브 부분(28)를 더 포함한다. 슬리브(20)의 상부 슬리브 부분(24)이 판(12)의 상면(14)으로부터 돌출하여 물막이(water dam)으로서 작용하고 조립체(10)가 설치될 때 바닥들 간의 물 잠김 (flooding)을 방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앵커 조립체(10)는 판(12)의 하면(16)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스터드(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터드(32)는 판(12)에 용접되고, 확대된 헤드(34)를 갖는다. 조립체(10)가 콘크리트와 같은 타설 바닥에 설치될 때, 스터드(32)는 콘크리트 타설 및 후속 경화 동안 조립체의 배향 및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바닥과 복합 구조를 형성한다. 스터드(32)는 또한 펀칭 전단 파괴 및 슬래브 파괴 불량에 대해 국부적으로 콘크리트 바닥을 강화한다. 스터드(32)는 앵커 조립체(10)와 바닥 사이의 체결 영역을 증가시키고(도 10 내지 도 12 참조), 이는 조립체 및 바닥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을 증가시킨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칼라(36)가 판(12)에 부착되고 이를 통해 연장된다. 각각의 칼라(36)는 판(12)에 부착점을 설정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나사식 파스너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스크류 나사산(38)을 갖는다. 복수의 칼라(36) 각각은 상부 칼라 표면(40)및 하부 칼라 표면(42)을 갖는다. 복수의 칼라(36)가 판(12)에 장착될 때, 상부 칼라 표면(40)은 판(12)의 상면(14)에 동일 평면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건축 도중 및 후에 손상을 방지한다. 일 예에서, 복수의 칼라(36)가 판(12)에 장착될 때, 하부 칼라 표면(42)은 하면(16)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다. 하면(16)에 위치될 때, 칼라(36)는 콘크리트 주입 동안 콘크리트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파스너(64)를 수용할 준비가 되도록 보호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는 타설 바닥(예를 들어, 콘크리트)의 침입으로 칼라(36)가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타설 차단 요소(44)를 이용한다. 도 4 는 실리콘 커버(46)를 포함하는 타설 차단 요소(44)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 는 타설 차단 요소(44)로서 타설 바닥이 고형화되면 제거될 수 있는 임시 플라스틱 파스너(48)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타설 차단 요소(44)가 플라스틱 플러그(50)를 포함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다양한 타설 차단 요소(44)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0 및 도 11 은 슬리브(20)의 보어(22)를 통해 연장되는 스터브 파이프(52)를 포함하는 앵커 조립체(10)의 추가 양태를 도시한다. 스터브 파이프(52)는 앵커 조립체(10)에 대한 라이저 파이프 요소(54)의 부착을 허용하며, 따라서 그 외부 표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원주방향 홈(56)을 가질 수 있다. 홈(56)은 기계적 커플링이 라이저 파이프 요소(54)를 스터브 파이프(52)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때 존재하고 따라서 스터브 파이프(52)의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브래킷(58)은 스터브 파이프(52)에 부착되고 스터브 파이프(52)를 판(12)에 부착한다. 하나의 예에서, 브래킷(58)은 스터브 파이프(52)에 횡방향으로 부착되고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아암 (60, 6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58)은 판(12)의 상면(14)위에 놓이고 복수의 나사형 파스너(64)를 통해 판에 부착된다. 각각의 파스너는 각각의 칼라(36)와 맞물린다. 브래킷(58)이 판(12)과 직접 접촉하여 가능한 한 큰 면적으로 하방으로 힘을 분배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슬리브(20)의 상부 슬리브 부분(24)에는 복수의 노치, 이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노치(66, 68)가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아암(60, 62)은 제 1 및 제 2 노치(66, 68)내에 수용되어 아암과 판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허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칼라(36)는 복수의 노치(66,68)와 정렬되어 판(12)상에 위치된다. 물론, 브래킷(58)은 추가의 아암(60,62)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의 칼라(36)가 또한 특정 설계의 지시사항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절연층(70)은 스터브 파이프(52)와 슬리브(20)사이에 위치된다. 앵커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요소(화재 절연층을 제외)는 강철로 형성될 수 있고, 용접을 통한 다양한 구성요소의 부착은 실용적으로 고려된다.
도 10 및 도 11 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설비 구조물(72)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설비 구조물(72)은 타설 바닥(74),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에 설치된 앵커 조립체(10)를 포함한다. 판(12)의 상면(14)이 부어진 콘크리트 바닥(74)의 상부 바닥 표면(76)과 동일 평면 상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슬리브(20)의 슬리브 저부(30)는 부어진 콘크리트 바닥(74)의 하부 바닥 표면(78)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동일 평면 상의 슬리브(20) 배열은 앵커 조립체(10)가 콘크리트 주입 동안 임의의 콘크리트 거푸집 작업에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 10 및 도 11 은 2 개의 예시적인 설치 구조물(7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 은 스터드(32)가 부어진 콘크리트 바닥(74)을 보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복합 금속 데크(80) 및 타설 콘크리트 바닥(74)을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실시예를 도시한다. 앵커 조립체(10)와 바닥 구조체 사이의 추가적인 체결은 슬리브(20)의 하부 슬리브 부분(28)에 부착된 복수의 전단 키(shear key, 82)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전단 키(82)는 슬리브(20)의 보어(2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금속 데크(80)와 결합한다. 전단 키(82)는 조립되는 동안 금속 데크(80)에 슬리브(20)를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돕고 또한 콘크리트 주입 동안 슬리브(20)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전단 키(82)는 슬리브(20)의 하부 슬리브 부분(28)에 용접된 개별 탭 (discrete tab)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2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브래킷(58)은 라이저 파이프(84)에 직접 부착된다. 본 예시적인 설비 구조물(72)에서, 재차 앵커 조립체(10)는 부어진 바닥(74),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에 설치된다. 판(12)의 상면(14)은 부어진 콘크리트 바닥(74)의 상부 바닥 표면(76)과 동일 평면 상에 설치된다. 또한, 슬리브(20)의 슬리브 저부(30)는 부어진 콘크리트 바닥(74)의 하부 바닥 표면(78)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브래킷(58)은 라이저 파이프(84)에 직접 부착되고 라이저 파이프(84)를 판(12)에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 브래킷(58)은 라이저 파이프(84)에 횡방향으로 부착되고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아암(60, 6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58)은 판(12)의 상면(14) 위에 놓이고,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복수의 칼라(36)와 맞물리는 복수의 나사형 파스너(64)를 통해 판(12)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조립체(10)는 슬래브(slab) 관통 지점에서 라이저 파이프를 직접 지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콘크리트 바닥 및 콘크리트 복합 금속 데크의 국부 하중 지지 용량을 향상시키는 설계를 제공한다. 조립(10)는 전통적인 라이저 시스템과 비교하여 요구되는 고정 지지체의 총 개수를 상당히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의해 라이저가 고정 지지부 상의 더 낮은 응력으로 더 큰 열 팽창 및 수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열적 록 포인트(thermal lock points)" 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본 개시는 상세한 설명, 실시예, 도면, 및 청구항, 및 이들의 이전 및 다음에 대한 참조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이 개시되고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개시된 특정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론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30)

  1. 바닥 구조체에 라이저 (riser)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앵커 조립체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면 및 하면을 가지고,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판;
    상기 판에 부착된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판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보어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상부를 갖는 상부 슬리브 부분 및 상기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저부를 갖는 하부 슬리브 하부를 포함하는, 상기 슬리브;
    상기 판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각각이 내부 스크류 나사산들을 갖는 복수의 칼라들을 포함하는, 앵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칼라의 각각은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상부 칼라 표면 및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부 칼라 표면을 갖는, 앵커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스터드를 더 포함하는, 앵커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터드의 각각은 확대된 헤드를 포함하는, 앵커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리브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보어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전단 키를 더 포함하는, 앵커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를 통해 연장되는 스터브 파이프;
    상기 스터브 파이프에 부착되고, 상기 판의 상기 상면 위에 놓이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상기 판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나사식 파스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식 파스너는 상기 복수의 칼라들의 각각의 칼라와 맞물리는, 앵커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 파이프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위치된 화재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앵커 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부 슬리브 부분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칼라들은 상기 복수의 노치들과 정렬되어 상기 판에 위치되는, 앵커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스터브 파이프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아암 각각은 상기 노치들 중 각각의 노치 내에 수용되는, 앵커 조립체.
  10. 라이저 파이프(riser pipe)를 위한 설치 구조물에 있어서,
    타설 바닥으로서, 대향 배치된 상부 바닥 표면 및 하부 바닥 표면을 갖는, 상기 타설 바닥;
    상기 바닥에 매립된 앵커 조립체로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면 및 하면을 가지고,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판;
    상기 판에 부착된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판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보어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상부를 갖는 상부 슬리브 부분 및 상기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저부를 갖는 하부 슬리브 하부를 포함하는,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판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각각이 내부 스크류 나사산들을 갖는 복수의 칼라들을 포함하는, 상기 앵커 조립체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칼라의 각각은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상부 칼라 표면 및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부 칼라 표면을 갖는, 설치 구조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스터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는 상기 바닥 내에 매립되고, 상기 복수의 스터드의 각각은 확대된 헤드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리브 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보어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전단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 키들은 상기 바닥 내에 매립되는, 설치 구조물.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상기 상면은 상기 상부 바닥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설치 구조물.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리브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노치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를 통해 연장되는 스터브 파이프;
    상기 스터브 파이프에 부착된 브래킷으로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판의 상기 상면 위에 놓이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스터브 파이프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아암을 포함하는, 상기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아암을 상기 판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나사식 파스너로서, 상기 나사식 파스너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칼라들 중 하나의 칼라의 각각의 칼라와 맞물리는, 상기 나사식 파스너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 파이프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위치된 화재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18. 제 10 항에 있어서, 복수의 타설 차단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타설 차단 요소 각각은 상기 복수의 칼라 중 하나의 하부 칼라 표면에 부착되는, 설치 구조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설 차단 요소는 복수의 실리콘 커버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설 차단 요소는 복수의 임시 플라스틱 파스너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설 차단 요소는 복수의 플라스틱 캡 (cap)을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22. 라이저 파이프를 위한 설치 구조물에 있어서,
    대향 배치된 상부 바닥 표면 및 하부 바닥 표면을 갖는 타설 바닥(floor);
    상기 바닥 내에 상기 라이저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바닥에 매립된 앵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 조립체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면 및 하면을 가지고,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판 (plate);
    상기 판에 부착된 슬리브로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판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보어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상부를 갖는 상부 슬리브 부분 및 상기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리브 저부를 갖는 하부 슬리브 하부를 포함하는, 상기 슬리브; 및
    상기 판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각각이 내부 스크류 나사산들을 갖는 복수의 칼라들(collar)로서, 상기 복수의 칼라들 각각은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 상의 상부 칼라 표면 및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부 칼라 표면을 갖는, 상기 칼라들을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기 상부 바닥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상기 슬리브 저부는 상기 하부 바닥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설치 구조물.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리브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노치;
    상기 판의 상기 상면 위에 놓이고, 상기 라이저 파이프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아암을 포함하는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아암을 상기 판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나사식 파스너로서, 상기 나사식 파스너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칼라들 중 하나의 칼라의 각각의 칼라와 맞물리는, 설치 구조물.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라이저 파이프에 부착되는, 설치 구조물.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 파이프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위치된 화재 절연층을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를 통해 연장되는 스터브 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스터브 파이프에 부착되는, 설치 구조물.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 파이프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위치된 화재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 바닥은 콘크리트 바닥을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 바닥은 금속 데크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 바닥을 포함하는, 설치 구조물.
KR1020237016744A 2020-11-05 2021-11-04 라이저 앵커 및 설치 구조물 KR202300852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10082P 2020-11-05 2020-11-05
US63/110,082 2020-11-05
PCT/US2021/058084 WO2022098889A1 (en) 2020-11-05 2021-11-04 Riser anchor and instal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206A true KR20230085206A (ko) 2023-06-13

Family

ID=8138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744A KR20230085206A (ko) 2020-11-05 2021-11-04 라이저 앵커 및 설치 구조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136622A1 (ko)
EP (1) EP4241002A1 (ko)
JP (1) JP2023548465A (ko)
KR (1) KR20230085206A (ko)
CN (1) CN116783419A (ko)
AU (1) AU2021372970A1 (ko)
CA (1) CA3195202A1 (ko)
IL (1) IL302431A (ko)
MX (1) MX2023005308A (ko)
PE (1) PE20231063A1 (ko)
TW (2) TWI809554B (ko)
WO (1) WO20220988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688A (en) * 1989-03-03 1994-05-10 Paul Robertson Concrete slab penetration unit for pipes
US6336297B1 (en) * 1999-08-05 2002-01-08 Kenneth R. Cornwall Self sealing firestop coupling assembly
DE102004035853B4 (de) * 2004-07-23 2008-01-03 Airbus Deutschland Gmbh Adapter zum Kuppeln von Verbindungsleitungen in einem Verkehrsflugzeug
GB2575977A (en) * 2018-07-30 2020-02-05 Airbus Operations Ltd Support member
CN110761406B (zh) * 2019-11-22 2024-05-10 山东大学 一种全螺栓连接的方钢管柱内部加强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231063A1 (es) 2023-07-12
MX2023005308A (es) 2023-05-25
IL302431A (en) 2023-06-01
AU2021372970A1 (en) 2023-06-15
JP2023548465A (ja) 2023-11-17
WO2022098889A1 (en) 2022-05-12
CA3195202A1 (en) 2022-05-12
TWI809554B (zh) 2023-07-21
TW202219412A (zh) 2022-05-16
TW202338243A (zh) 2023-10-01
CN116783419A (zh) 2023-09-19
EP4241002A1 (en) 2023-09-13
US20220136622A1 (en)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9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walls with retaining ties
US8336267B2 (en) Construction frame shear lug
KR102181972B1 (ko) 선매립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점검시설
US10697173B2 (en) Specialized connection devices and method of use
US20220381025A1 (en) Specialized connection devices and method of use
WO2014148686A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
KR100659470B1 (ko) 낙교방지를 위한 교량 교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보수보강방법
KR20230085206A (ko) 라이저 앵커 및 설치 구조물
JP4776569B2 (ja) マンホール設置安定化構造
JPS639622Y2 (ko)
KR102157577B1 (ko) 전단보강앵커소켓을 이용한 탄성받침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05251A (ko) 앵커볼트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JP5282721B2 (ja) 剛床構造および剛床工法
CN110984488A (zh) 一种内嵌式管道支架及其施工方法
KR102349674B1 (ko) 측면 지지체를 갖는 앵커 채널
KR200337016Y1 (ko) 갱폼측 폼타이
KR200298097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970043630A (ko) 조립식 옹벽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209760771U (zh) 一种爬架附着装置的安装节点
KR200183468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193191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구
KR20240083478A (ko) Pc 하프 벽체를 이용한 리모델링 벽체의 증타 방법 및 증타 구조
KR19990012019A (ko) 고강도 콘크리트 p.c블럭을 이용한 주각의 기초구조공법
GB2148969A (en) Bolt system for suspending clad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