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087A -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087A
KR20230084087A KR1020220168069A KR20220168069A KR20230084087A KR 20230084087 A KR20230084087 A KR 20230084087A KR 1020220168069 A KR1020220168069 A KR 1020220168069A KR 20220168069 A KR20220168069 A KR 20220168069A KR 20230084087 A KR20230084087 A KR 2023008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ation
host
information
us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석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지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지인
Priority to PCT/KR2022/0196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01545A1/ko
Publication of KR2023008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플랫폼을 통해 충전 공유를 희망하는 유저와 충전 공유를 제공하는 호스트 간의 충전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CHARGE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플랫폼을 통해 충전 공유를 희망하는 유저와 충전 공유를 제공하는 호스트 간의 충전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 특히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다수의 국가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대한 기후 변화 협약을 이행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논의에서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이산화탄소 발생의 증가이며,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자동차에서 배출하는 배출가스가 주범으로 지적된 바가 있다.
탄소배출 규제 정책에 따라 자동차 업계에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는 연료 효율을 높이고 탄소 배출 감소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최근 화석 연료를 대체하는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는 화석 연료와 전기를 모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전기만을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등이 개발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배터리에 충전한 후,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으로 구동휠과 결합된 구동모터를 통해 기계적 에너지인 동력을 얻어 주행하는 자동차를 나타낸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통해 자동차를 운행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에 전기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은 완속, 중속, 급속으로 나누어지며, 차종마다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완속의 경우에는 완충 시 소요되는 시간은 6시간 이상, 중속의 경우에는 2~3시간, 급속의 경우에는 대략 1시간 내외로 소요된다. 이렇게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 보완을 위한 해결방안으로 전력을 공유 및 거래하는 형태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개인간 또는 개인과 다수 간의 거래에 있어 시간상,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3213호(등록일: 2021.11.25), 상기 문헌에는 배터리 전력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유경제 기반으로 개인 소유의 충전기를 공유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저 단말인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충전을 공유하는 호스트 단말인 제2 디바이스 간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서비스를 중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는 중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증 정보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호스트 인증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입력에 따른 희망 충전장소,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요청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호스트가 소지하고 있는 충전기의 모델, 통신상태, 설치장소, 충전제공량, 충전요금을 포함하는 충전기 정보를 설정하는 공유 정보 설정부, 상기 충전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기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공유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충전요청 정보 중 충전시간과 상기 충전기 정보 중 충전요금을 기초로 하여 예상 충전요금 및 실제발생 충전요금을 관리하는 요금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모뎀 기반에 따른 인터넷망 사용료 지불 없이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인해 통신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완속 충전기 신규 설치 비용 대비 충전 공유화 전환의 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개인용 충전기 설치 보조금 효과 또한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한 충전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고, 충전기 설치장소의 제약 없이 다수의 충전 대상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일대일 또는 일대다 기반의 충전 매매 서비스 대비 충전 공유 플랫폼을 활용한 서비스의 관리를 통해 안전 관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사용의 확산 유도 및 그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 친환경 모빌리티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코인 결제를 활용하여 분산원장(DID) 및 메인넷 구축을 통한 사용자 정보 및 결제 대금 정보 암호화, 오류 발생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 또는 호스트의 회원가입을 위한 양식이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UI이다.
도 4는 호스트의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가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UI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공유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저 단말인 제1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충전을 공유하는 호스트 단말인 제2 디바이스 간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서비스를 중개하기 위한 중개서버를 활용하게 된다.
중개서버는 각 디바이스에게 충전 공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외국어 버전 포함)을 공급할 수 있다.
중개서버는 충전 공유 서비스를 중개하기 위한 공유 정보 설정부, 공유 서비스 제공부 및 요금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유 정보 설정부는 제1 디바이스의 유저 인증 정보와 및 제2 디바이스의 호스트 인증 정보를 설정하고, 제1 디바이스의 입력에 따른 희망 충전장소, 충전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요청 정보를 설정하고, 제2 디바이스의 호스트가 소지하고 있는 충전기의 모델, 통신상태, 설치장소, 충전제공량, 충전요금을 포함하는 충전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공유 서비스 제공부는 충전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충전기 정보를 제1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요금 관리부는 충전요청 정보 중 충전시간과 충전기 정보 중 충전요금을 기초로 하여 예상 충전요금 및 실제발생 충전요금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디바이스 관점에서 충전 공유 서비스가 수행되는 충전 공유 시스템의 동작과 제2 디바이스 관점에서 충전 공유 서비스가 수행되는 충전 공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 제1 디바이스 관점에서의 충전 공유 시스템 동작 시나리오
① 호스트 계정 생성 및 회원가입(도 3 참조)
② 호스트 소유 충전기 정보 등록 (모델명, 개괄 사양 등)
③ 호스트 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동의서 및 이용약관 동의
④ 호스트 소유 충전기 → 공유화 충전기로 서비스등록(사진, 위치, 이메일, 개인연락처, 동의서)
● 개인 소유 충전기를 공유화 충전기로 전환하는 방법: 휴대 디바이스와 통신(앱 연동) 가능한 EVZ 모듈을 충전기에 장착
⑤ 호스트 인증 등록 및 확인 승인절차 대기
⑥ 호스트 등록 및 개인 소유 충전기 공유화 설정(요금, 시간, 요일)
⑦ 충전기 설치장소 및 등록 정보 오류 여부 검토 및 확인
⑧ 유저 사용 대기, 예약 문의 확인 및 필요 시 응대(채팅 또는 유선)
⑨ 호스트용 앱 푸시 알림 확인 → 공유화 호스트 지위 유지 위한 한 달(OR 분기별) 간격 유지보수 레포트 및 운영 현황 사진 업로드
⑩ 유지보수 적합 판정 승인 → 한 달(OR 분기별) 단위 호스트 권환 획득 및 운영
⑪ 한 달(OR 분기별) 단위 유저 정산 요금 리포트 및 관련 통계자료 발행, 호스트 열람가능(충전 관련 고급 정보 공유) / 유저 ID 별 플러그 접속 정보, 과금 정보, 충전 진행 정보 등 데이터 분석결과 열람 가능
● 한편, 고급모델 사용 희망 호스트에 한해, 모바일 오더와 같이 충전소 근처 접근 시 블루투스를 포함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자동 팝업 알림 및 자동 앱 실행되며, 대기없이 혜택확인 및 선택메뉴 안내 받을 수 있음.
● 구체적으로, 충전시간 설정 및 충전요금에 관한 팝업창이 제공될 수 있고, 충전기명, 이용가능시간, 충전요금, 각종 이벤트에 관한 혜택 등의 상세정보를 열 람할 수 있음.
● 또한, 기존에 등록된 결제수단을 활용한 결제 간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포인트 제도를 활용하여 충전종료 후 잔여 포인트를 자동으로 환불받을 수 있음.
● 전력 공급 과잉 발생의 경우, 중개서버가 전력거래소로부터 알림 수신 및 호스트 앱에 푸시 알림(긴급 퀘스트 느낌-특별 프로모션) → 지정 시간 내 타인에게 공유화한 호스트에 특별 수요반응형 인센티브 지급 OR 호스트 소유의 자차 충전에 대한 일정 인센티브 지급
- 제2 디바이스 관점에서의 충전 공유 시스템 동작 시나리오
① 유저 계정 생성 및 회원가입
② 개인 회원 정보 등록 및 가입(도 3 참조)
③ 유저 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동의서 및 이용약관 동의
④ 결제수단 등록(EVP(공유플랫폼 내 화폐) 선 구매 형태, 계좌이체,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⑤ EVP 선 구매 시, 사용상의 이익 제공(5% 추가 적립 등)
⑥ 앱 구동 → 앱 내 지도에서 충전소 찾기(도 4 참조) → 충전기 클릭 → 호스트 설정 요금, 타 사용자 피드백(별점 형태) 확인 → 충전기 사용 예약(날짜 및 요일 선정)
⑦ 사용 예약일에 맞춰 충전기 근처 접근 → 블루투스 통신 → 충전기와 디바이스 연결(페어링) → 충전 시작 및 종료 시각 설정 → 예상 충전 요금 확인 → 요금 지불 완료 / 충전 전력량 요청 값과 동일한 경우 충전 개시
● 요금 지불 시, 핀테크 기술을 결합하여 QR 결제, 전화결제 등 활용 가능
⑧ 충전 시작 → 메신저(SMS, 카카오톡 등)로 충전기 위치, 예상 충전량 및 충전요금 알림 수신(충전 종료 전 알림 가능)
⑨ 서버로부터 충전 전력량 이상 없이 동작되는지 메인 서버로 로그 값 실시간 수신 → 유저는 디바이스를 통한 정상 충전 여부 모니터링 가능
● 충전 이상 발생 시, 간편 비밀번호, 간편 본인인증(QR) 등의 중간 인증 수행
⑩ 예약 시각보다 충전기 사용 종료가 일찍 끝난 경우, 중개서버에 등록된 충전기 정보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유저에게 차액(EVP로) 환급
⑪ 한 달(OR 분기별) 단위 호스트로부터 평가 결과 알림 → 앱 내에서 유저 레벨이나 경험치 정도 파악 가능하도록 해서 레벨 업 → 우수 유저 및 악성 유저 구분
● 우수 유저 및 악성 유저 구분 척도: 충전기 사용 후 원상복귀 여부, 충전기 파손 발생 여부, 케이블 정리 여부 → 악성 유저는 내부 규정에 의해 공유 서비스 사용 별도 제재 조치
● 우수 유저의 경우, 앱 내 별도 생성된 유지보수 신고 REPORT 기능 탭을 적용하여 REPORT에 따라 별도 인센티브 제공(전기 사용에 대한 안전 확보 및 사용 기기의 고장 방지 기능 마련을 통한 전기자동차 충전 공유 생태계 구축에 일조하기 위함)
● 전력 공급 과잉 발생의 경우, 중개서버가 전력거래소로부터 알림 수신 및 호스트 앱에 푸시 알림(긴급 퀘스트 느낌-특별 프로모션) → 지정 시간 내 공유화 충전기 사용한 유저에 특별 수요반응형 인센티브 지급
한편, 충전 공유 시스템의 핵심기술 및 그에 따른 기능을 요약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핵심기술 요소 개요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 - 위치기반 공유형 충전 인프라 조회 서비스- 위치기반 조회 서비스 연동, 사용현황 조회 서비스
[충전 인프라 사용편의 기술] -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UI/UX 개발 및 지속 개선- 충전 사용 예약 서비스 및 구현 알고리즘
- 사용 및 정산에 따른 카카오톡 알림 서비스
- 충전량 및 충전 소요 시간 알림
- 충전 예약 정보 조회 기능 서비스
[충전 인프라 관리 기술] - 충전기 기본정보, 소유자, 사용자 관리 및 조회 기술- 충전기 소유자 및 사용자 개인정보보호
- 충전 인프라 관리자 Web & App 서비스
- 충전기 기초 정보, 운영상태 관리 서비스
- 충전기 운영정보 모니터링 및 관리 서비스
- 충전 단가 설정 및 정보 관리 서비스
[충전 인프라 정산 기술] - 소유자 대상 충전료 정산 및 정보 관리- 분산원장 활용 정산(결제) 데이터 정보 보호 기술
[충전 인프라 모니터링 기술] - 공유 충전 인프라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공유 충전기 이용 정보 관리 서비스
- 충전 인프라 모니터링 Web 서비스
추가로, 충전 공유 시스템 구현을 위한 충전기 내 필요한 기능으로 변압기능, 계량기능, SoC 표기기능, 충전상태 안내기능, 경고음 / 경고등 기능, 전기자동차 식별 인식기능(코드셋 부분), 통신기능(식별정보 전송, 충전기 위치 전송 등), 디스플레이 기능(충전 시작 및 종료, 전력의 이동 방향 알림 등), 디스플레이 기능(충전 시작 및 종료, 전력의 이동 방향 알림 등), 카메라 기능(번호판 인지, 불법 주차차량, 수배차량 등), QR 기능(결제 또는 사용 예약 등), 광고판 기능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10)은 유저 단말(100),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 및 호스트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단말(100), 서버(200) 및 호스트 단말(300)은 상호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10)에서, 유저(110)는 유저 소유 전기차(12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호스트(310)의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를 이용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10)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소 중개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저 단말(100), 서버(200) 및 호스트 단말(300)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충전소 중개 서비스의 구현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는 메모리(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범용적인 구성들이 서버(2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버(200)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10)에 의해 제공되는 충전소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서버(200)는 충전소 중개 서비스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데스크탑 PC, 서버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 장치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210)는 서버(2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10)는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PRAM, MRAM, RRAM, F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DRAM, SRAM, SDRAM, PRAM, RRAM, Fe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HDD, SSD, SD, Micro-SD 등의 형태, 또는 이들에 관한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서버(200)의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처리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서버(200) 내부의 각종 연산들을 처리하기 위한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 또는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및 AP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200)에서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유저 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유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유저 회원 정보 및 유저 전기차 정보를 플랫폼 DB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저 등록 요청은 유저(110)의 회원가입 정보 및 충전 요금 결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유저 전기차 정보는 유저(110)가 소유하거나 이용하는 전기차의 모델 정보, 배터리 정보, 호환 충전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등록 요청의 각종 정보는 서버(200)에 의해 운영되는 플랫폼 DB에 등록될 수 있다.
서버(200)에서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호스트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호스트 회원 정보 및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의 호스트 충전소 정보를 플랫폼 DB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 등록 요청은 호스트(310)의 회원가입 정보, 충전 요금을 정산받을 계좌 또는 암호화폐 월렛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호스트 충전소 정보는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의 충전소 모델 사양, 호스트(310)에 의해 설정되는 충전 요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충전소 정보 및 호스트 회원 정보가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호스트 소유 충전소를 공유 충전소로 플랫폼 DB에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록 기준은 부적합한 충전소를 필터링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충전소 정보와 관련하여 사용 승인이 되지 않은 종류의 비인가 충전소 또는 안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충전소는 공유 충전소로 등록되지 못할 수 있고, 호스트 회원 정보와 관련하여 시스템(10)에서 관리되는 호스트(310)의 등급이 기준 미만인 경우 공유 충전소 등록이 불가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충전소 정보의 운영 조건이 유저 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예약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호스트 충전소 정보를 유저 단말(1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저(110)는 자신이 원하는 충전소를 확인하기 위해 유저 단말(100)을 통해 예약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약 조건은 충전소 위치, 충전 요금, 충전 시간대, 충전 속도, 충전소 사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랫폼 DB에 등록되어 있는 공유 충전소들 중 유저(110)가 설정한 예약 조건을 만족하는 충전소들만이 유저 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가 예약 조건을 만족한다면 호스트 충전소 정보가 유저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서버(200)에서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유저 단말(100)을 통해 제공되는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대한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유저 회원 정보의 결제 수단을 통한 충전소 예약 선결제를 수행하면서 예약 확정 정보를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대해 유저(110)의 예약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담보하기 위한 충전소 예약 선결제가 수행되어 선결제 요금이 지불될 수 있다. 충전소 예약 선결제 요금은 예약 요청을 구성하는 예약 충전량, 예약 시간대, 예약 요일 등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예상 요금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예약 충전량, 예약 시간대, 예약 요일 등을 명시하는 예약 확정 정보가 발행되어 유저 단말(100) 및 호스트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다.
서버(200)에서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예약 확정 정보 및 유저 전기차 정보에 따라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서 전기차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을 수행하면서 충전소 이용 레포트를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약 확정 정보에 따른 예약 일시에 유저 전기차 정보에 따른 유저 소유 전기차(120)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서 배터리 충전을 완료하면, 실제 충전한 충전량, 충전 속도, 충전소 점유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실제 요금이 계산될 수 있다. 실제 요금에서 충전소 예약 선결제 요금을 제외한 차액이 정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차액이 음수인 경우 해당 금액의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저 소유 전기차(120)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를 실제로 이용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충전소 이용 레포트가 생성될 수 있고, 이는 다시 유저 단말(100) 및 호스트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다. 충전소 이용 레포트는 유저(110)와 호스트(310)의 등급 조정 및 충전소 예약 수요 패턴의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호스트(310)는 자신 소유의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를 공유하여 타인에게 빌려줄 수 있고, 그에 따른 요금을 정산받을 수 있으며, 유저(110)는 타인의 충전소를 예약하여 자신이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전기차 충전을 받을 수 있으므로, 유저(110) 및 호스트(310)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공유 생태계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등록 기준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서버(200), 유저 단말(100) 및 호스트 단말(300)과 무선 통신하고 유저 소유 전기차(120)를 인식하는 충전소 모듈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충전소 모듈을 통해 유저 소유 전기차(120)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접근한 것이 인식되는 경우, 서버(200)는 예약 확정 정보 및 충전 요금 차액 정산에 관한 알림을 유저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가 공유 충전소로 등록되는 경우,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충전소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충전소 모듈은 번호판 인식 등의 방식으로 유저 소유 전기차(120)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푸시 알림 등의 방식으로 예약 확정 정보 및 충전 요금 차액 정산에 관한 알림이 유저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림을 통해 유저(110)는 자신이 설정했던 예약 정보 및 충전이 완료될 경우 차액을 추가 결제할 결제창 또는 환불받을 예상 차액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소 예약 선결제 및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은 선구매 형태로 충전되는 공유 플랫폼 포인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충전소 예약 선결제 및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을 포함하는 총요금은 호스트 충전소 정보에 따른 충전 속도별 단위 충전량당 요금, 실제 전기차 충전량, 충전 속도 및 점유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공유 플랫폼 포인트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10)에서 이용되는 화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110)는 현금이나 카드 결제를 통해 공유 플랫폼 포인트를 선구매할 수 있으며, 이 때 선구매 추가 적립이 제공될 수 있다. 적립된 공유 플랫폼 포인트를 통해 예약 선결제 및 차액 결제가 수행될 수 있고, 차액 정산시 환불될 잔액이 있는 경우 잔액은 공유 플랫폼 포인트로 반환될 수 있다. 호스트(310) 또한 충전소를 공유해줌에 따른 정산액을 공유 플랫폼 포인트로 정산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소 예약 선결제 및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을 포함하는 총요금은 1 kWh당 요금, 실제로 몇 kWh를 충전했는지, 충전 속도가 급속인지 또는 완속인지, 유저 소유 전기차(120)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실제로 얼마나 주차되어 있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위 충전량당 요금은 호스트(310)가 호스트 등록 요청을 할 때 충전 시간대 및 충전 요일 등을 고려하여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공유 플랫폼 포인트는 공유 플랫폼 암호화폐 코인을 통해 유저에 의해 구매되고 호스트에게 정산될 수 있고, 유저 회원 정보, 유저 전기차 정보, 호스트 회원 정보 및 호스트 충전소 정보는 탈중앙화 분산 원장(DID)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플랫폼 DB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 플랫폼 포인트를 선구매하여 충전할 때, 현금 결제나 카드 결제 대신 공유 플랫폼 암호화폐 코인이 이용될 수 있다. 공유 플랫폼 암호화폐 코인이 이용되는 경우 카드 결제 등과 대비할 때 낮은 수수료, 신속한 결제 및 블록체인 분산 기록을 통한 높은 보안성의 장점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저(110)와 호스트(310)의 각종 정보들이 탈중앙화 분산 원장(DID) 방식으로 암호화되는 경우 공유 플랫폼 암호화폐 코인의 이용과 함께 보다 높은 개인정보/결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의 공유 충전소로의 등록은 유효 기간을 가질 수 있고, 유효 기간이 도과하면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 및 호스트 회원 정보가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가 다시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가 공유 충전소로 등록되는 것은 1개월, 3개월 등의 주기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각 유효 기간이 끝날 때마다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가 새로 판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등록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불량 충전소가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10)에서 공유 충전소로 유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트 회원 정보는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대한 유지 보수 현황, 운영 현황 및 유저 후기 평점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호스트 등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호스트 등급 정보가 기준값 미만이 되는 경우 유효 기간이 도과한 이후 등록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호스트(310)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대한 유지 보수 및 운영을 부적절하게 수행하는 경우, 또는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대한 유저 후기 평점들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 호스트(310)의 호스트 등급 정보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호스트 등급 정보가 기준값 미만이 된다면, 주기적인 등록 갱신때 유효 기간이 도과한 경우 등록 기준 불충족으로 공유 충전소로 유지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 등급 정보가 특정값 이상으로 높은 경우, 호스트(310)에게 충전 요금 정산 등의 측면에서 인센티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호스트(310)는 유저 후기 평점들에 응답하여 각 유저 후기 평점을 준 유저에 대해 충전소 이용 에티켓 평점을 부여할 수 있고, 유저 회원 정보는 충전소 이용 에티켓 평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유저 등급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유저 등급 정보가 우수 유저 기준값을 초과하는 유저에게는 추가 기능이 제공되고, 유저 등급 정보가 악성 유저 기준값 미만이 되는 유저에게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10)의 기능들 중 일부가 제한될 수 있다.
유저(110)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를 평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호스트(310) 또한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를 이용한 유저(110)를 평가하여 에티켓 평점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약 시간 준수, 충전소 시설 사용 상태 등을 고려하여 에티켓 평점이 자동으로 부여될 수도 있다. 이에 기초하여 유저 등급 정보가 결정될 수 있으며, 과도하게 낮은 등급의 유저에게는 피크 타임 충전소 예약이나 할인 쿠폰 사용 등이 제한될 수 있고, 등급이 높은 유저에게는 충전소에 대한 신고 레포트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거래소로부터 전력 공급 과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시구간이 설정될 수 있고, 이벤트 시구간 동안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서 유저 소유 전기차(120)의 전기차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소 예약 선결제 및 충전 요금 차액 정산에 할인이 적용되고, 호스트 등급 정보 및 유저 등급 정보에 가점이 적용될 수 있다.
전력 공급 과잉 이벤트의 발생시 최대한 많은 전력을 전기차 충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이를 유도하기 위해 이벤트 시구간 내에 충전소를 이용하는 유저(110) 및 그 호스트(310)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가 운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110)는 충전 요금의 측면에서, 유저(110) 및 호스트(310)는 등급의 측면에서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 과잉 공급된 전력을 유용하게 활용할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소 모듈은 유저 소유 전기차(120) 및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 간의 전력 이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는, 전기차 충전 모드에서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로부터 유저 소유 전기차(120)로 이동하는 전력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고, V2G 모드(vehicle to grid mode)에서 유저 소유 전기차(120)로부터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로 공급되는 전력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전력이 충전소에서 전기차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반대로 전기차가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소를 충전하는 V2G 모드(vehicle to grid mode) 또한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별하기 위해,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는 V2G 모드 또는 전기차 충전 모드의 현재 전력의 이동 방향 및 충전 속도와 잔여 시간, 예상 요금과 같은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20)는,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공유 충전소들에 대해 발행되는 충전소 이용 레포트의 누적 기록에 기초하여 충전소 예약 수요 패턴을 분석하고, 충전소 예약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에 대해 계절별 및 시간대별로 충전 요금 및 운영 시간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발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310)가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를 등록한지 얼마되지 않은 저경험자인 경우, 시간대별 및 요일별로 충전 요금을 얼마로 설정해야 할지를 잘 알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200)는 호스트 소유 충전소(320)의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충전소들의 충전소 이용 레포트의 누적 기록을 참조하여 해당 지역/장소의 충전소 예약 수요 패턴을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그에 기초하여 충전 요금이나 운영 시간에 대한 추천 정보를 호스트(3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700)은 단계(710) 내지 단계(7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범용적인 단계들이 방법(7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700)은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되는 내용이라 할지라도 이상에서 서버(200)에 대해 설명되는 내용은 방법(70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700)은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710)에서,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는,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유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유저 회원 정보 및 유저 전기차 정보를 플랫폼 DB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는, 호스트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호스트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호스트 회원 정보 및 호스트 소유 충전소의 호스트 충전소 정보를 플랫폼 DB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는, 호스트 충전소 정보 및 호스트 회원 정보가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호스트 소유 충전소를 공유 충전소로 플랫폼 DB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740)에서,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는, 호스트 충전소 정보의 운영 조건이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예약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호스트 충전소 정보를 유저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750)에서,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는,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 대한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유저 회원 정보의 결제 수단을 통한 충전소 예약 선결제를 수행하면서 예약 확정 정보를 발행할 수 있다.
단계(760)에서,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200)는, 예약 확정 정보 및 유저 전기차 정보에 따라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서 전기차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을 수행하면서 충전소 이용 레포트를 발행할 수 있다.
한편,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700)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700)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 및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에 있어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유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유저 회원 정보 및 유저 전기차 정보를 플랫폼 DB에 등록하고,
    호스트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호스트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호스트 회원 정보 및 호스트 소유 충전소의 호스트 충전소 정보를 상기 플랫폼 DB에 등록하고,
    상기 호스트 충전소 정보 및 상기 호스트 회원 정보가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를 공유 충전소로 상기 플랫폼 DB에 등록하고,
    상기 호스트 충전소 정보의 운영 조건이 상기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예약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충전소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 대한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유저 회원 정보의 결제 수단을 통한 충전소 예약 선결제를 수행하면서 예약 확정 정보를 발행하고,
    상기 예약 확정 정보 및 상기 유저 전기차 정보에 따라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서 전기차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을 수행하면서 충전소 이용 레포트를 발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기준은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 상기 서버, 상기 유저 단말 및 상기 호스트 단말과 무선 통신하고 유저 소유 전기차를 인식하는 충전소 모듈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소 모듈을 통해 상기 유저 소유 전기차가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 접근한 것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예약 확정 정보 및 상기 충전 요금 차액 정산에 관한 알림을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예약 선결제 및 상기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은 선구매 형태로 충전되는 공유 플랫폼 포인트를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소 예약 선결제 및 상기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을 포함하는 총요금은 상기 호스트 충전소 정보에 따른 충전 속도별 단위 충전량당 요금, 실제 전기차 충전량, 충전 속도 및 점유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플랫폼 포인트는 공유 플랫폼 암호화폐 코인을 통해 유저에 의해 구매되고 호스트에게 정산되고,
    상기 유저 회원 정보, 상기 유저 전기차 정보, 상기 호스트 회원 정보 및 상기 호스트 충전소 정보는 탈중앙화 분산 원장(DID)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상기 플랫폼 DB에 저장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의 상기 공유 충전소로의 등록은 유효 기간을 갖고,
    상기 유효 기간이 도과하면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 및 상기 호스트 회원 정보가 상기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가 다시 판정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회원 정보는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 대한 유지 보수 현황, 운영 현황 및 유저 후기 평점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호스트 등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등급 정보가 기준값 미만이 되는 경우 상기 유효 기간이 도과한 이후 상기 등록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호스트는 상기 유저 후기 평점들에 응답하여 각 유저 후기 평점을 준 유저에 대해 충전소 이용 에티켓 평점을 부여하고,
    상기 유저 회원 정보는 상기 충전소 이용 에티켓 평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유저 등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 등급 정보가 우수 유저 기준값을 초과하는 유저에게는 추가 기능이 제공되고, 상기 유저 등급 정보가 악성 유저 기준값 미만이 되는 유저에게는 상기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의 기능들 중 일부가 제한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전력거래소로부터 전력 공급 과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벤트 시구간이 설정되고,
    상기 이벤트 시구간 동안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서 상기 유저 소유 전기차의 전기차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 예약 선결제 및 상기 충전 요금 차액 정산에 할인이 적용되고, 상기 호스트 등급 정보 및 상기 유저 등급 정보에 가점이 적용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모듈은 상기 유저 소유 전기차 및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 간의 전력 이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기차 충전 모드에서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로부터 상기 유저 소유 전기차로 이동하는 전력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고, V2G 모드(vehicle to grid mode)에서 상기 유저 소유 전기차로부터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로 공급되는 전력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공유 충전소들에 대해 발행되는 상기 충전소 이용 레포트의 누적 기록에 기초하여 충전소 예약 수요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충전소 예약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 대해 계절별 및 시간대별로 충전 요금 및 운영 시간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발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
  1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유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유저 회원 정보 및 유저 전기차 정보를 플랫폼 DB에 등록하는 단계;
    호스트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호스트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호스트 회원 정보 및 호스트 소유 충전소의 호스트 충전소 정보를 상기 플랫폼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충전소 정보 및 상기 호스트 회원 정보가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를 공유 충전소로 상기 플랫폼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충전소 정보의 운영 조건이 상기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예약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충전소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저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 대한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유저 회원 정보의 결제 수단을 통한 충전소 예약 선결제를 수행하면서 예약 확정 정보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예약 확정 정보 및 상기 유저 전기차 정보에 따라 상기 호스트 소유 충전소에서 전기차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요금 차액 정산을 수행하면서 충전소 이용 레포트를 발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소 공유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KR1020220168069A 2021-12-03 2022-12-05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84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9649 WO2023101545A1 (ko) 2021-12-03 2022-12-05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71504 2021-12-03
KR1020210171504 2021-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087A true KR20230084087A (ko) 2023-06-12

Family

ID=8677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069A KR20230084087A (ko) 2021-12-03 2022-12-05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40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213B1 (ko) 2019-11-05 2021-11-30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배터리 전력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213B1 (ko) 2019-11-05 2021-11-30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배터리 전력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84348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ost definable pricing
US116030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billing using a wireless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US9396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illing for electric vehicles
US8531162B2 (en) Network based energy preference service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preferences
US8836281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transaction interface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transactions
US90301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energy to an electric vehicle with parking fee collection
US201001613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ithin a parking area
US20090312903A1 (en) Maintaining Energy Principal Preferences in a Vehicle
US201202967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ctioning Charging Times for Electric Vehicles
US201300544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making financial transactions when charging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US20130046660A1 (en) Taxable Fringe Benefit Accounting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US20120116955A1 (en) Charging purchases to utility accounts
US20130218755A1 (en) Renewable resource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WO2023101545A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2136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marketplace platfor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20230084087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TWI687889B (zh) 基於區塊鏈的電動車共享充電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