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934A -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3934A KR20230083934A KR1020210172419A KR20210172419A KR20230083934A KR 20230083934 A KR20230083934 A KR 20230083934A KR 1020210172419 A KR1020210172419 A KR 1020210172419A KR 20210172419 A KR20210172419 A KR 20210172419A KR 20230083934 A KR20230083934 A KR 202300839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harging
- voltage
- current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4 caus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2—Balancing the charge of battery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는 충전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위칭부, 해당 거치대에 위치하고, 해당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각 배터리에 연결되어 연결된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및 상기 전압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단하고,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오름 차순으로 정리하여 각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순위 중에서 최우선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과 전기 자동차의 상용화로 인해, 충전이 가능한 고성능 2차 전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또한,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기기와 충전 방법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충전용 배터리는 여러 개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을 일체로 연결한 배터리 팩(battery pack)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때, 배터리 팩에 구비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충전용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을 충전할 때, 충전 속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배터리 팩을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의 경우, 좀 더 효율적이고 신속하고 연결된 복수 개의 배터리 팩을 충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복수 개의 배터리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는 충전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위칭부, 해당 거치대에 위치하고, 해당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각 배터리에 연결되어 연결된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및 상기 전압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단하고,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오름 차순으로 정리하여 각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순위 중에서 최우선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할 경우,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이 상기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까지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이 상기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까지 충전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오름차순으로 정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의 충전 순위를 다시 정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에 배터리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각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거치대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최우선 배터리는 판단된 현재 충전 전압 중에서 가장 낮은 충전 전압을 갖는 배터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충전 제어부는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는 판단된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오름 차순으로 정리하여 각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부는 결정된 충전 순위 중에서 최우선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충전 제어부가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면, 상기 최우선 배터리에 연결된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부는 판단된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과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이 상기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과 동일할 때까지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충전 제어부가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이 상기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과 동일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오름차순으로 정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다시 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충전 제어부가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충전 제어부가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각 배터리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현재 전압이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동일하면, 현재 전압과 출력전압이 동일한 해당 배터리에 연결된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충전 제어부가 거치대에 위치하는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거치대에 배터리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거치대에 위치하고 있는 배터리의 충전 순서를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정하고, 가장 낮은 전압이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를 최우선 배터리로 정하여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까지 순차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든 배터리의 충전 전압 상태가 동일해지면, 그때 비로소 모든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의 충전 속도가 임계 시점을 중심으로 서로 상이한 특성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충전 속도를 갖는 시기에 모든 배터리에 대한 충전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모든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배터리 충전 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 충전 장치는 배터리 팩이 착탈 가능하게 위치하는 복수 개의 거치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거치대는 정해진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팩이 거치될 수 있으므로, 각 거치대는 정해진 전압을 출력하는 배터리 팩 전용 거치대(예, 60V 전용 거치대, 100V 전용 거치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는 팩 형태로 이루어진 배터리 팩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배터리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을 원하는 배터리(예, 배터리 팩)를 비어 있는 거치대에 삽입하여 해당 배터리의 충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전원 공급부(10), 전원 공급부(10)의 각 출력 단자에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위칭부(21-2n), 각 거치대에 위치할 수 있고, 각 스위치부의 출력 단자에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31-3n), 각 거치대에 위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41-4n), 각 배터리 팩(31-3n)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압 감지부(51-5n), 각 전압 감지부(51-5n)에 입력되어 있고 각 스위칭부(21-2n)의 제어 단자에 해당 상태(예, 고레벨 상태)의 제어 신호(CS1-CSn)를 출력하는 충전 제어부(60), 그리고 충전 제어부(60)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0)는 해당 배터리 팩(31-3n)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연결된 배터리 팩(31-3n)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0)는 외부로부터 교류(AC)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한 후 연결된 배터리 팩(31-3n)으로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부(1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 공급부(10)의 동작은 충전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어, 충전 제어부(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위칭부(21-2n)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충전 제어부(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CS1-CSn)의 상태에 따라 턴온(turn-on)되거나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스위칭부(21-2n)가 턴온 상태일 때, 전원 공급부(10)의 출력 단자와 이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해당 배터리 팩(31-3n)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배터리 팩(31-3n)의 충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스위칭부(21-2n)가 턴오프 상태일 때, 전원 공급부(10)의 출력 단자와 이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해당 배터리 팩(31-3n) 사이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이 차단되어, 전원 공급부(10)의 해당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은 해당 배터리 팩(31-3n)으로 인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해당 배터리 팩(31-3n)의 충전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스위칭부(21-2n)는 코일과 스위치를 구비하고 충전 제어부(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CS1-CSn)에 따라 변하는 코일의 자화 여부에 따라 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릴레이(relay)일 수 있다.
각 배터리 팩(31-3n)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은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팩(31-3n)이 거치대에 장착되면, 배터리 팩(31-3n)의 충전 단자는 대응하는 스위칭부(21-2n)의 출력단자와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해당 스위칭부(21-2n)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배터리 팩(31-3n)으로 충전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41-4n)는 각 거치대에 하나씩 장착되어 해당 거치대에 배터리 팩(31-3n)이 장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해당 거치대에 배터리 팩(31-3n)의 장착 여부에 따라 해당 장착 감지부(41-4n)의 동작 상태가 변하여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 역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감지부(41-4n)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해당 거치대에 배터리 팩(31-3n)이 장착될 때 장착되는 배터리 팩(31-3n)에 의해 스위칭 상태가 온 상태로 변환되는 스위치이거나 발광 다이오드와 이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빛의 수광 여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포토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포토 센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전압 감지부(51-5n)는 해당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는 대응되는 배터리 팩(31-3n)의 현재 충전 전압, 즉 현재 잔량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전압 감지 신호를 충전 제어부(6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각 장착 감지부(41-4n)와 각 전압 감지부(51-5n)에는 별도의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저장부(70)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충전 제어부(60)는 어떤 거치대에 위치하고 있는 장착 감지부(41-4n)와 전압 감지부(51-5n)에서 출력되는 신호인지를 인지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60)는 각 장착 감지부(41-4n)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각 거치대에 대한 배터리 팩(31-3n)의 장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충전 제어부(60)는 배터리 팩이 현재 장착되어 있는 해당 거치대(배터리 팩이 현재 장착되어 있는 거치대를 '유효 거치대'라 칭함)의 위치를 판정하여, 판정된 유효 거치대에 대응하는 해당 전압 감지부(51-5n)로부터 인가되는 충전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각 유효 거치대에 위치하고 있는 배터리 팩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정할 수 있다.
다음, 충전 제어부(60)는 판정된 배터리 팩의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유효 거치대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에 대한 충전 순위를 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제어부(60)는 판정된 현재 충전 전압이 가장 낮은 배터리 팩(이하, 현재 충전 전압이 가장 낮은 배터리 팩을 '최우선 배터리 팩'이라 칭함)(예, 최우선 배터리)의 충전 순서를 최우선으로 정한 후 충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제어부(60)는 최우선 배터리 팩에 대한 충전 동작은 최우선 배터리 팩의 바로 다음 충전 순서를 갖는 배터리 팩(이하, 최우선 배터리 팩의 바로 다음 충전 순서를 갖는 배터리 팩을 '차순위 배터리 팩'이라 칭함)(예, 차순위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동일해 질때까지 행해질 수 있다.
충전 제어부(60)는 이런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최순위 배터리 팩에 대한 충전 동작을 적어도 한번 제어하여 모든 배터리 팩의 현재 충전 전압을 동일하게 맞춘 후, 현재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배터리 팩의 충전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여 모든 배터리 팩에 대한 만충전, 즉 완전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충전 제어부(60)는 집적 회로(IC)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저장부(70)는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동작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예의 저장부(70)는 각 거치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거치대에 거치되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저장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충전 제어부(60)는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거치대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31-3n)의 전압(즉, 출력 전압)을 알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를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충전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배터리 팩 충전 제어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면(S10), 충전 제어부(60)는 먼저, 복수의 장착 감지부(41-4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1) 각 거치대에 충전을 위해 배터리 팩(31-3n)이 장착되어 있는 유효 거치대의 위치를 판정하여 저장부(70)에 저장할 수 있다(S12).
다음, 충전 제어부(60)는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정된 유효 거치대의 위치를 이용해 유효 거치대에 대응되는(예를 들어, 장착되어 있는) 전압 감지부(51-5n)를 판정해 판정된 해당 전압 감지부(51-5n)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S13), 유효 거치대에 현재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 팩(31-3n)의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판정하여 저장부(70)에 저장할 수 있다(S14).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효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는 각 배터리 팩(31-3n)에 대한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가 판정되면, 충전 제어부(60)는 판정된 충전 전압의 크기를 오름차순, 즉 가장 낮은 충전 전압에서부터 가장 큰 충전 전압의 순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31-3n)에 대한 충전 순위를 결정하여 저장부(70)에 저장할 수 있다(S15).
대안적인 예에서, 판정된 현재 충전 전압은 저장부(70)에 저장할 필요없이 현재 충전 전압을 이용한 동작이 실시간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때, 충전 제어부(60)는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가 동일한 배터리 팩(31-3n)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동일한 충전 전압의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배터리 팩(31-3n)의 충전 순서를 서로 동일하게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효 거치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31-3n)의 충전 순위가 정해지면, 충전 제어부(60)는 최우선 배터리 팩(31-3n), 즉 가장 낮은 현재 충전 전압을 갖는 배터리 팩(31-3n)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스위칭부(21-2n)로 구동 상태(예, 고레벨 상태)의 제어 신호(CS1-CSn)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내지 제5 거치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5 배터리 팩(31-35)이 존재하고, 제1 배터리 팩(31)의 현재 충전 전압은 5V이고, 제2 배터리 팩(32)의 현재 충전 전압은 10V이고, 제3 배터리 팩(33)의 현재 충전 전압은 20V이고, 제4 배터리 팩(34)의 현재 충전 전압은 15V이며, 제5 배터리 팩(35)의 현재 충전 전압은 10V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런 경우, 충전 제어부(60)는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오름차순으로 정리하여 제1 내지 제5 배터리 팩(31-35)의 충전 순위를 정할 수 있고, 정해진 충전 순위는 제1 배터리 팩(31)-> 제2 배터리 팩(32) 및 제5 배터리 팩(35)-> 제4 배터리 팩(34)-> 제3 배터리 팩(33)의 순서가 될 수 있다.
즉, 가장 낮은 현재 충전 전압(5V)을 갖고 있는 제1 배터리 팩(31-3n)이 최우선 순위를 갖고, 5V 다음으로 큰 10V의 현재 충전 전압을 갖는 제2 배터리 팩(31-3n)과 제5 배터리 팩(31-3n)이 바로 다음 우선 순서인 차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31-35)에 대한 충전 순위가 정해지면, 충전 제어부(60)는 최우선 배터리 팩(31)의 바로 다음 순서인 차순위 배터리 팩(32, 35)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6). 즉, 충전 제어부(60)는 배터리 팩의 개수가 복수 개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된 배터리 팩 중에서 차순위 배터리 팩이 존재하면(S16), 충전 제어부(60)는 판단된 배터리 팩(31-35) 중에서 가장 낮은 현재 충전 전압을 갖고 있는 최우선 배터리 팩(31)에 대한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7).
따라서, 충전 제어부(60)는 최우선 배터리 팩(31)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스위칭부[예, 제1 스위칭부(21)]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CS1)를 출력하여 해당 제1 스위칭부(21)를 도통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위칭부(21)의 도통 동작을 통해, 전원 공급부(1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압은 제1 스위칭부(21)에 연결된 배터리 팩(31)으로 인가되므로, 제1 배터리 팩(31)의 충전 동작이 시작되어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CS1)의 출력에 의해 최우선 배터리 팩(31)의 충전 동작이 시작되면, 충전 제어부(60)는 현재 충전 중인 최우선 배터리 팩(31)에 연결된 해당 전압 감지부(예, 제1 전압 감지부(51))에서 출력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충전 중인 최우선 배터리 팩(31)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단할 수 있다(S18).
다음, 충전 제어부(60)는 현재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최우선 배터리 팩(31)의 현재 충전 전압과 차순위 배터리 팩(32, 35)의 현재 충전 전압(예, 10V)을 비교하여, 최우선 배터리 팩(31)의 충전 전압이 차순 배터리 팩(32, 35)의 현재 충전 전압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9).
현재 충전 중인 최우선 배터리 팩(31)의 현재 충전 전압이 차순위 배터리 팩인 제2 및 제5 배터리 팩(32, 35)의 현재 충전 전압에 도달하면(S19), 충전 제어부(60)는 단계(S15)로 넘어가 현재 충전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 팩(31-35)에 대한 충전 순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S15).
그런 다음, 충전 제어부(60)는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는 경우(S16), 즉 모든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가 동일한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S17)로 넘어가 현재 가장 낮은 충전 전압을 갖고 있는 가장 빠른 충전 순서를 갖는 최우선 배터리 팩(31, 32, 35)에 대한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상태의 복수 개의 배터리 팩(31-35) 중에서 가장 낮은 충전 전압을 갖고 있는 최우선 배터리 팩인 제1, 제2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5)이므로, 충전 제어부(60)는 이들 배터리 팩(31, 32, 35)에 연결되어 있는 각 스위칭부인 제1, 제2 및 제5 스위칭부(21, 22, 25)에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CS1, SC2, CS5)를 각각 인가하여, 제1, 제2 및 제5 스위칭부(21, 22, 25)를 도통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5 스위칭부(21, 22, 25)에 연결된 해당 제1, 제2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5)은 도통된 해당 스위칭부(21, 22, 25)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 전압에 의해 차순위 배터리 팩의 현재 전압까지 충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최우선 배터리 팩(31)의 충전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 나머지 배터리 팩(31-35)에 대한 충전 동작을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 제어부(60)는 최우선 배터리 팩(31)에 대응하는 스위칭부(21)로만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CS1)를 출력하고 나머지 배터리 팩(32-35)에 대응하는 스위칭부(22-25)로의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CS2-CS5)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이들 제1, 제2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5)의 충전 동작은 차순위 배터리 팩인 제4 배터리 팩(34)의 현재 충전 전압인 제15V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5)이 바로 다음 충전 순서를 갖는 차순위 배터리 팩인 제4 충전 댁 배터리 팩(34)의 현재 충전 전압과 동일해지면, 판단된 배터리 팩(31-35)의 현재 충전 전압 중에서 제1, 제2, 제4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5)의 현재 충전 전압이 가장 낮은 전압이 된다.
이로 인해, 이들 제1, 제2, 제4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5)은 모두 최우선 배터리 팩이 되고, 차순위 배터리 팩은 제3 배터리 팩(33)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충전 제어부(60)는 다시 최우선 순서를 갖는 이들 제1, 제2, 제4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4, 35)에 각각 연결된 해당 스위칭부인 제1, 제2, 제4 및 제5 스위칭부(21, 22, 25)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 (CS1, CS2, CS4, CS5)를 출력해 제1, 제2, 제4 및 제5 스위칭부(21, 22, 25)를 도통 상태로 만들어, 제1, 제2, 제4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4, 35)이 차순위 배터리 팩인 제3 배터리 팩(33)의 현재 충전 전압(예, 20V)까지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6-S19).
이처럼, 배터리 팩(31-35) 중에서 제1, 제2, 제4 및 제5 배터리 팩(31, 32, 34, 35)의 충전이 바로 다음 크기의 현재 충전 전압까지 충전이 완료되면, 모든 배터리 팩(31-35)의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는 모두 동일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든 배터리 팩(31-3n)의 충전 전압은 모두 동일하고, 이에 따라 모든 배터리 팩(31-35)은 모두 동일한 충전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즉, 모든 배터리 팩(31-3n)의 충전 전압은 모두 동일하면, 차순위 배터리 팩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도 2a에서, 배터리 팩의 충전 순위의 결정 단계(S15) 이후, 차순위 배터리 팩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S16)에 따라 해당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졌지만(S17), 이와는 달리, 배터리 팩의 충전 순위가 결정된 후(S15), 최우선 배터리 팩의 충전을 위한 제어 신호가 출력된 다음(S17), 차순위 배터리 팩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
이와 같이, 모든 배터리 팩(31-3n)의 현재 충전 전압이 동일하여 차순위 배터리 팩이 존재하지 않으면(S16), 충전 제어부(60)는 모든 배터리 팩인 제1 내지 제5 배터리 팩(31-35)에 연결된 해당 스위칭부(21-25)로 해당 제어 신호(CS1-CS5)로 출력하여 제1 내지 제5 배터리 팩(31-35) 각각에 대한 나머지 충전 동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S111).
하나의 배터리 팩은 임의의 시점(예, 임계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충전 속도를 나타내게 되며, 임계 시점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충전 속도가 임계 시점을 넘어선 후의 충전 속도보다 빠르다.
따라서, 본 예의 배터리 팩 충전 제어 장치는 충전이 필요한 모든 배터리 팩(31-35) 중에서 현재 충전 전압이 가장 낮아 나머지 다른 배터리 팩의 충전 속도보다 좀 더 빠르게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선별하고, 선택된 배터리 팩의 충전 동작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다른 배터리 팩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충전 속도를 갖는 배터리 팩이 우선적으로 신속하게 충전이 이루어진 다음, 최종적으로 거의 균일한 충전 속도를 갖는 모든 배터리 팩을 동시에 충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각 배터리 팩의 충전 동작을 하나씩 개별적으로 행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또는 모든 배터리 팩의 충전 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에 비해, 본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충전 속도는 좀 더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배터리 팩(31-35)의 충전을 위해 해당 스위칭부인 제1 내지 제5 스위칭부(21-25)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CS1-CS5)를 출력한 후(S111), 충전 제어부(60)는 제1 내지 제5 스위칭부(21-25)에 연결된 제1 내지 제5 전압 감지부(51-55)에서 각각 인가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각 배터리 팩(31-35)의 현재 충전 전압을 이용하여 각 배터리 팩(31-35)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 즉 만충전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12, S113).
본 예에서, 배터리 팩(31-35)의 만충전 상태는 각 배터리 팩(31-35)의 전체 충전 용량 중 약 80%에 해당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충전 제어부(60)는 저장부(7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배터리 팩(31-35)의 출력 전압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현재 감지된 현재 충전 전압과 해당 배터리 팩(31-35)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해당 배터리 팩(31-35)이 만충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31-35) 중에서 만충전이 완료된 배터리 팩(예, 31)이 존재하면, 충전 제어부(60)는 해당 스위칭부(예, 21)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예, CS1)의 출력을 중지하여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 팩(31)으로 불필요한 충전 전압의 인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S114).
이때, 충전 제어부(60)는 만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다른 배터리 팩(32-35)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CS2-CS5)를 계속 출력하므로, 해당 배터리 팩(32-35)이 만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S116).
이처럼, 충전 제어부(60)는 모든 배터리 팩(31)의 전압 상태를 체크하여 만충전이 행해지는 배터리 팩으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출력은 중지하고, 그렇지 않은 배터리 팩에 대한 충전을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전원 공급부
21-2n: 스위칭부
31-3n: 배터리 팩 41-4n: 장착 감지부
51-5n: 전압 감지부 60: 충전 제어부
70: 저장부
31-3n: 배터리 팩 41-4n: 장착 감지부
51-5n: 전압 감지부 60: 충전 제어부
70: 저장부
Claims (12)
- 충전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위칭부;
해당 거치대에 위치하고, 해당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각 배터리에 연결되어 연결된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및
상기 전압 감지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인가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단하고,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오름 차순으로 정리하여 각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순위 중에서 최우선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할 경우,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이 상기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까지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이 상기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까지 충전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오름차순으로 정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의 충전 순위를 다시 정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에 배터리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각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거치대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판단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최우선 배터리는 판단된 현재 충전 전압 중에서 가장 낮은 충전 전압을 갖는 배터리인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 충전 제어부는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거치대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는 판단된 현재 충전 전압의 크기를 오름 차순으로 정리하여 각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부는 결정된 충전 순위 중에서 최우선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면, 상기 최우선 배터리에 연결된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제어부는 판단된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과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이 상기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과 동일할 때까지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최우선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이 상기 차순위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과 동일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을 오름차순으로 정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충전 순위를 다시 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차순위 배터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든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각 배터리의 현재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현재 전압이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동일한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출력 전압과 동일하면, 현재 전압과 출력전압이 동일한 해당 배터리에 연결된 스위칭부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거치대에 위치하는 장착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거치대에 배터리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2419A KR102688085B1 (ko) | 2021-12-03 | 2021-12-03 |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2419A KR102688085B1 (ko) | 2021-12-03 | 2021-12-03 |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3934A true KR20230083934A (ko) | 2023-06-12 |
KR102688085B1 KR102688085B1 (ko) | 2024-07-24 |
Family
ID=8677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2419A KR102688085B1 (ko) | 2021-12-03 | 2021-12-03 |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8085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7018A (ko) * | 2004-10-27 | 2006-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제어 방법 |
KR20100016344A (ko) | 2007-04-12 | 2010-02-12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전원 시스템 및 배터리 팩의 충전 방법 |
KR20120036490A (ko) * | 2010-10-08 | 2012-04-18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438706B1 (ko) | 2011-09-01 | 2014-09-05 | 정윤이 | 배터리 팩과 그의 충전방법 |
JP2019118255A (ja) * | 2017-12-26 | 2019-07-18 | 國家中山科學研究院 | 電池段別充電方法及びシステム |
-
2021
- 2021-12-03 KR KR1020210172419A patent/KR1026880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7018A (ko) * | 2004-10-27 | 2006-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제어 방법 |
KR20100016344A (ko) | 2007-04-12 | 2010-02-12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전원 시스템 및 배터리 팩의 충전 방법 |
KR20120036490A (ko) * | 2010-10-08 | 2012-04-18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전지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438706B1 (ko) | 2011-09-01 | 2014-09-05 | 정윤이 | 배터리 팩과 그의 충전방법 |
JP2019118255A (ja) * | 2017-12-26 | 2019-07-18 | 國家中山科學研究院 | 電池段別充電方法及び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8085B1 (ko) | 2024-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2890B1 (ko) | 배터리 팩 충전 제어 시스템 | |
CN101529689B (zh) | 电池组充电系统及方法 | |
CN100405695C (zh) | 用于电气设备的充电系统和充电器及其控制方法 | |
JP7059507B2 (ja) | バランシング装置、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 |
DK1595324T3 (en) | Circuits and operating procedures for an electric power supply | |
US20080211454A1 (en) | Battery pack having a secondary battery and a charging system using the battery pack | |
EP1964235B1 (en) | Battery full-charge detection for charge-and-play circuits | |
US20110156655A1 (en) | Battery pack and method of charging battery pack | |
EP2466718A1 (en) | Multiple battery charger with automatic charge current adjustment | |
TW200534561A (en) | Circuits capable of trickle precharge and/or trickle discharge | |
CN103907239A (zh) | 用于堆叠电池的电压管理设备 | |
JP4098805B2 (ja) | 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 |
US5962157A (en) | Intelligent battery device | |
CN101043146B (zh) | 用于管理便携式设备中的电池组件的电能的装置和方法 | |
JP2022516947A (ja) | 並列で接続されたバッテリーパックのバランシング装置及び方法 | |
JP7368062B2 (ja) | 充電管理装置、充電管理方法及び電気車両 | |
KR101877564B1 (ko) | 배터리 팩 | |
JP2023531945A (ja) | マルチベイ電源の充電均衡 | |
JP2019501625A (ja) | ポータブルドローン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 |
CN102013531B (zh) | 对电池组充电的方法及电池组 | |
KR102347920B1 (ko) |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 |
US20170279285A1 (en) | Char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40088698A1 (en) | Energy storage system, primary energy-storage-apparatus, and auxiliary energy-storage-apparatus | |
KR102688085B1 (ko) |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CN1321479C (zh) | 二次电池充电方法和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