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834A -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834A
KR20230083834A KR1020210172204A KR20210172204A KR20230083834A KR 20230083834 A KR20230083834 A KR 20230083834A KR 1020210172204 A KR1020210172204 A KR 1020210172204A KR 20210172204 A KR20210172204 A KR 20210172204A KR 20230083834 A KR20230083834 A KR 2023008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eight
cable
heigh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산
Original Assignee
이준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산 filed Critical 이준산
Priority to KR102021017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3834A/ko
Publication of KR2023008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렐 장치(Barrel Apparatus)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 요법인 필라테스(pilates)에서 널리 이용하는 레더 바렐(ladder barrel)을 웨이트 트레이닝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더 바렐의 측면을 활용하여 내부에 무게추가 설치되고 이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손잡이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트 구조물을 추가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필라테스와 웨이트 트레이닝을 병행할 수 있는 바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APPARATUS FOR BARREL COMBINED WITH WEIGHT TRAINING FOR HOME USE}
본 발명은 바렐 장치(Barrel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 요법인 필라테스(pilates)에서 널리 이용하는 레더 바렐(ladder barrel)을 웨이트 트레이닝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필라테스에 사용되는 운동기구로는 크게 캐딜락(cadillac), 리포머(reformer), 레더 바렐(ladder barrel)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는 그 형태에 따른 특성에 맞게 운동하게 된다.
그 중, 레더 바렐은 요셉 필라테스가 고안해낸 기구 중 현대 필라테스 운동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사다리형의 기구와 안장형의 기구가 복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필라테스 동작시 사다리 부분에 다리를 걸치고 안장형 부분에 사용자의 몸통을 걸쳐 운동을 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다리길이 또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사다리 부분과 안정형 부분의 거리를 조절하여 신체에 맞춘 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레더 바렐은 안장형 부분을 비롯하여 차지하는 부피 및 높이가 상당함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 설치하여 이용에는 다소 부담이 있으며, 차지하는 공간에 비하여 제한적인 필라테스 운동만을 위해서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필라테스 뿐만 아니라 근력 운동을 병행하고자 하는 수요가 상당하며, 기본의 레더 바렐 만으로는 이러한 수요를 만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06345호(공고일자: 2021.09.30.)
본 발명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필라테스에서 이용되는 레더 바렐을 개량하여 그 기능을 확장함으로써, 필라테스 뿐만 아니라 웨이트 트레이닝도 병행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바렐 장치를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는,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 및, 상기 바렐 구조물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내부로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가 탑재되고, 케이블의 일 단이 상기 무게추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 단이 외부에 위치한 손잡이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정면 중앙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자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배면이 상기 바렐 구조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개구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로 케이블이 감긴 제1 도르레가 장착되어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무게추, 상기 개구부의 내부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부 끝단으로 상기 케이블의 진행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2 도르레가 설치되는 중앙 바, 상기 중앙 바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 및, 상기 높이부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바는, 서로 다른 너비의 두 개의 서브 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을 상기 중앙 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제3 도르레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 하부면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을 상기 높이부의 측부방향으로 전환하는 서브 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바는,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고 측부를 관통하는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부는, 측부로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복수의 제1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톱퍼에 의해 상기 중앙 바에서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는,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 및, 상기 바렐 구조물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내부로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가 탑재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의 일 단이 각각 상기 무게추의 상부 및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타 단이 각각 외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손잡이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상부면이 개구되고, 배면이 상기 바렐 구조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이 설치되는 무게추, 하부로 상기 무게추가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부 끝단으로 감겨있는 제1 케이블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중앙 도르레가 설치되고, 하부 끝단으로 감겨있는 제2 케이블이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중앙 도르레가 설치되는 중앙 바, 상기 제1 중앙 도르레에 감겨있는 제1 케이블이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서브 도르레, 상기 제1 서브 도르레와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중앙 도르레에 감겨있는 제2 케이블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서브 도르레, 상기 제1 서브 도르레에 감겨있는 제1 케이블이 상기 중앙 바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방향 도르레 및, 상기 제2 서브 도르레에 감겨있는 제2 케이블이 상기 중앙 바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방향 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바는, 서로 다른 너비의 상부 및 하부 서브 바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하부 서브 바에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는,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 및, 상기 바렐 구조물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지면과 맞닿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케이블의 일 단이 상기 무게추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 단이 외부에 위치한 손잡이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중앙 바, 상기 중앙 바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 상기 높이부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손잡이 도르레, 상기 손잡이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제1 상부 도르레, 상기 제1 상부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이 상기 무게추의 용수철 부재와 연결된 서브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감기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서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상부 도르레, 상기 제2 상부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이 감기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하부 도르레 및, 상기 하부 도르레와 높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도르레에서 상기 높이부로 진행하는 케이블이 수평 및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중앙 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제1 및 제2 중앙 바, 상기 제1 중앙 바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 상기 높이부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손잡이 도르레, 상기 손잡이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제1 상부 도르레, 상기 제1 상부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이 상기 무게추의 용수철 부재와 연결된 서브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감기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서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상부 도르레, 상기 제2 상부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이 감기며, 다시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하부 도르레, 일정 높이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보조 바, 상기 보조 바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부 도르레를 거쳐 제2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이 감기며,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보조 도르레 및, 상기 제1 중앙 바의 하부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이 감기며, 상기 높이부의 방향으로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 하부 도르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서로 다른 너비의 상부 및 하부 서브 바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중앙 바와 더불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높이를 지지하는 지지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더 바렐의 측면을 활용하여 내부에 무게추가 설치되고 이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손잡이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트 구조물을 추가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필라테스와 웨이트 트레이닝을 병행할 수 있는 바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및 이에 탑재되는 중앙 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외부 및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및 이에 탑재되는 중앙 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10)는, 다수의 바(110)가 설치되는 수직부(120)와, 수직부(120)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130)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30)에 안내되어 수평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200) 및, 바렐 구조물(200)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내부로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가 탑재되며 케이블의 일 단이 무게추에 연결되고, 케이블의 타 단이 외부에 위치한 손잡이(340)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3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다수의 바(110)가 설치된 수직부(120)와 수직부(120)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130)로 이루어져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30)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바렐 구조물(200)이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은 수직부(120)와 수평부(130)로 이루어지는데, 수직부(120)는 소정의 길이로 한 쌍의 사각기둥이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사각기둥 사이에는 다수의 바(110)가 수직부(120)를 따라 수평으로 배열됨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할 때 바를 붙잡고 운동하거나 다리 등을 바(110)에 걸쳐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부(120)의 일단에는 수직부(120)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부(130)가 지면에 맞닿에 베이스 프레임(100)을 지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부(120)와 수평부(130)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100)은 수평부(130)에 마련되는 바렐 구조물(200)과 사용자 등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는 단풍나무, 자작나무 및, 물푸레나무 등과 같은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130)에 마련되는 바렐 구조물(200)은 상부가 돔의 형태를 이루어지며, 양측면이 수평부(13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수평부(130)의 측면을 지나 지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돔의 형태를 갖는 바렐 구조물(200)의 상부는 사용자가 허리나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를 지지하였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완충력을 갖는 매트리스(21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매트리스(210)와 바렐 구조물(200)의 상부 사이에는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온열 작용이 발생하도록 열선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바렐 구조물(200)의 일 측면으로는 사용자가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는 웨이트 구조물(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트 구조물(300)은 몸체부(301)가 바렐 구조물(200)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고, 내부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립한 중앙 바(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301)의 내부에 구비되는 무게추가 중앙 바(320)의 상부를 거쳐 손잡이(340)와 케이블(305)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케이블(305)에 무게추에 의한 하중이 실리게 되며,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340)를 당기는 동작을 통해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게추는 케이블 형태 뿐만 아니라 파이프 형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바(320)는 몸체부(301)의 내부에서 결합되는 구조이나,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측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중앙 바(3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폭이 서로 다른 상부 바(321) 및 하부 바(322)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중앙 바(320)에는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330)가 끼워져 있으며, 높이부(330)의 측면으로는 상기의 케이블(305)이 통과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가 형성되어 손잡이(340)가 운동하는 사용자의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 바(320)의 일 측부로는 다수의 홀(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높이부(330)의 일 측부에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두 홀을 관통하는 스톱퍼(339)를 통해 높이부(330)가 중앙 바(320)의 일 지점에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른 높이에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충격완화장치, 일례로서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가 더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최소의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베이스 프레임(100) 및 바렐 구조물(200)을 이용한 필라테스 트레이닝뿐만 아니라, 웨이트 구조물(300)을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10)는, 베이스 프레임(100), 바렐 구조물(200) 및 웨이트 구조물(300)을 포함하고, 웨이트 구조물(300)은 정면 중앙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자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배면이 바렐 구조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몸체부(301), 개구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로 케이블(305)이 감긴 제1 도르레(315)가 장착되어 케이블(305)의 당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무게추(310), 개구부의 내부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부 끝단으로 케이블(305)의 진행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2 도르레(325)가 설치되는 중앙 바(320), 중앙 바(320)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330), 높이부(330)의 측부에 고정되고, 케이블(305)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345), 몸체부(301)의 내측으로 제1 및 제2 도르레(315, 325)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제1 방향으로 진행하는 케이블(305)을 제2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3 도르레(360) 및, 몸체부(301)의 내측 하부에 한 쌍이 설치되고, 제3 도르레(360)를 거쳐 진행하는 케이블(305)을 높이부의 측부방향으로 전환하는 서브 도르레(37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01)는 바렐 구조물(2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박스 형태의 기구 구조물로서, 내부로 무게추(310)를 비롯하여 중앙 바(320)가 지면에 맞닿는 바닥면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도르레 구조에 따라 무게추(310)와 연결되는 손잡이(340)를 통해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무게추(310)는 몸체부(301)의 내측면에 고정된 거치대 상에 고정될 수 있고, 상부의 용수철 부재(312)를 통해 제1 도르레(315)와 결합되어 케이블(305)에 하중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무게추(310)는 사각추가 이용될 수 있다.
중앙 바(320)는 금속재질의 원동형의 바로서, 몸체부(301)의 내부를 관통하여 바닥면에 고정 결합되고, 몸체부(301)의 정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중앙 바(320)의 상부 끝단에는 후술하는 높이부(330)에 형성되는 베어링부(345) 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305)이 감길 수 있고, 무게추(310)에 연결된 케이블(305)이 제2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1 방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앙 바(320)는 서로 다른 너비의 두 개의 서브 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는 중앙 바(320)의 전체 길이 자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인 것으로 장치 보관시 중앙 바(320)를 몸체부(301) 내부로 완전히 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중앙 바(320)의 길이를 확장하여 보다 높은 위치로 손잡이(340)를 위치시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높이부(330)는 중앙 바(320)의 표면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부에 베어링부(345)가 결합되어 케이블(305)이 수직방향 즉, 사용자를 향하도록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부(330)는 중앙 바(320)의 측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홀과 대응하는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높이부(330)의 높이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중앙 바(320)상에서 높이부(330)의 높이를 조절하고, 홀에 끼워지는 스톱퍼를 삽입하여 운동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베어링부(345)는 높이부(330)의 일 측단에 설치되고, 제2 도르레(325)로부터 이어진 케이블(305)의 방향을 중앙 바(320)와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여 케이블(305) 끝단에 연결된 손잡이가 사용자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도르레(315)는 무게추(310)의 상부로 결합된 용수철 부재(312)와 결합될 수 있고, 중앙 바(320)에서 제1 방향으로 향하는 케이블(305)이 감기며 제2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도르레(325)는 중앙 바(320)의 상부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베어링부(345)로부터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케이블(305)이 감기며, 무게추(310)를 향하도록 제1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3 도르레(360)는, 몸체부(301)의 내측면상에 설치되되, 제1 및 제2 도르레(315, 325)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3 도르레(360)를 거쳐 제1 방향으로 진행하는 케이블(305)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고, 이를 다시 케이블(305)을 높이부(330)의 측부방향으로 전환하는 한 쌍이 서브 도르레(3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도르레(370)는 몸체부(301)의 내부측면 및 중앙 바(320)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제3 도르레(360)를 통과하는 케이블(305)이 무게추(310)의 외곽을 지나 높이부(3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바(320)는 몸체부(301)의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몸체부(301)가 중앙 바(320)의 배면과 양 측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정면의 개구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부방향에서 몸체부(301)를 보았을 때, 중앙 바(320)의 상부로 케이블(305) 및 이와 연결되는 무게추(310)의 일부가 나란히 배열되는 형태가 된다.
또한, 몸체부(301)는 정면으로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도어부(30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지 않는 기간에는 도어부(303)를 닫아 중앙 바(320)를 몸체부의 내부로 숨김으로써 보다 가지런하게 장치를 보관,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베이스 프레임(100) 및 바렐 구조물(200)의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따라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20)는,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200) 및, 바렐 구조물(200)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내부로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410)가 탑재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의 일 단이 각각 무게추(410)의 상부 및 하단과 연결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의 타 단이 각각 외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손잡이(441, 442)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40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웨이트 구조물(400)은 상부면이 개구되고, 배면이 상기 바렐 구조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몸체부(401), 몸체부(40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각각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이 설치되는 무게추(410), 하부로 무게추(410)가 고정되고, 몸체부(401)의 내부로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부 끝단으로 감겨있는 제1 케이블(405)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중앙 도르레(425)가 설치되고, 하부 끝단으로 감겨있는 제2 케이블(406)이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중앙 도르레(426)가 설치되는 중앙 바(420), 제1 중앙 도르레(425)에 감겨있는 제1 케이블(405)이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서브 도르레(422), 제1 서브 도르레(422)와 대향하여 설치되고, 제2 중앙 도르레(426)에 감겨있는 제2 케이블(406)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서브 도르레(423), 제1 서브 도르레(422)에 감겨있는 제1 케이블(406)이 중앙 바(420)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방향 도르레(427) 및, 제2 서브 도르레(423)에 감겨있는 제2 케이블(406)이 중앙 바(420)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방향 도르레(428)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01)는, 바렐 구조물(200)의 일 측면과 결합되는 박스 형태의 기구 구조물로서, 내부로 무게추(410) 및 중앙 바(420)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도르레 구조에 따라 무게추(410)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441, 442)를 통해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무게추(410)는, 양단에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이 연결되고, 후술하는 중앙 바(420)의 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무게추(410)에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은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즉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중앙 바(420)는, 금속재질의 원동형의 바로서 몸체부(401)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 끝단 및 하부 끝단에 각각 제1 및 제2 중앙 도르레(425, 426)가 연결되어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이 감겨 유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중앙 도르레(425, 426)는, 무게추(410)에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이 감기며, 각 케이블을 제2 방향 및 제1 방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은 연장되어 중앙 바(420)의 중심 부근에서 다시 제1 및 제2 서브 도르레(422, 423)에 감길 수 있다.
제1 및 제2 방향 도르레(427, 428)는, 각각 제2 방향 및 제1 방향에서 연장된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의 방향을 사용자 방향 즉, 중앙 바(420)와 수직한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제1 및 제2 케이블(405, 406)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손잡이(441, 44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부 또는 하부에서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3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베이스 프레임(100) 및 바렐 구조물(200)의 구조는 전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함에 따라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30)는,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200) 및, 바렐 구조물(200)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지면과 맞닿는 하부 플레이트(511) 및 하부 플레이트(511)와 대향하는 상부 플레이트(512)로 이루어지는 몸체부(501)를 포함하고,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510)가 하부 플레이트(511)에 고정 결합되고, 케이블(505)의 일 단이 무게추(5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케이블(505)의 타 단이 외부에 위치한 손잡이(540)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50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웨이트 구조물(500)은 하부 플레이트(511) 및 상부 플레이트(512)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중앙 바(520), 중앙 바(520)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530), 높이부(530)의 측부에 고정되고, 케이블(505)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손잡이 도르레(545), 손잡이 도르레(545)에 감겨있는 케이블(505)이 상부 플레이트(512)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제1 상부 도르레(524), 제1 상부 도르레(524)에 감겨있는 케이블(505)이 무게추(510)의 용수철 부재와 연결된 서브 도르레(515)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감기며, 상부 플레이트(512)에서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상부 도르레(525), 제2 상부 도르레(525)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505)이 감기며, 하부 플레이트(511)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하부 도르레(570) 및, 하부 도르레(570)와 높이부(530)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 도르레(570)에서 높이부(530)로 진행하는 케이블(505)이 수평 및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중앙 도르레(58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01)는 바렐 구조물(2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박스 형태의 기구 구조물로서, 하부 플레이트(511)와 상부 플레이트(512)가 중앙 바(520)에 결합됨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로 무게추(310)가 하부 플레이트(511)에 고정, 설치되고 도르레 구조에 따라 무게추(510)와 연결되는 손잡이(540)를 통해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무게추(510)는 하부 플레이트(511)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상부로 용수철 부재를 통해 서브 도르레(515)와 결합되어 케이블(505)에 하중을 부여하게 된다.
중앙 바(520)는, 금속재질의 원동형의 바로서 몸체부(501)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고, 후술하는 높이부(530)가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특히, 중앙 바(520)는 두 개의 원통형 바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사용자는 웨이트 구조물(500)의 미사용시 상부 플레이트(512)를 하강시켜 부피를 줄이고 가지런하게 보관할 수 있다.
높이부(530)는 일측부로 케이블(505)을 일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손잡이 도르레(545)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높이부(530)의 위치를 원하는 높이만큼 조절함으로써 적당한 손잡이(540)의 높이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높이부(530)의 일측부에는 케이블(505)의 끝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 도르레(545)는 전술한 높이부(530)의 일 측부에 결합되며, 상부 플레이트(512)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505)의 방향을 수직방향, 즉 사용자 방향으로 전환함에 따라, 사용자가 웨이트 구조물(500)의 정면에서 손잡이(540)를 잡고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상부 도르레(524)는 상부 플레이트(512) 상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 도르레(545)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505)이 감기며, 그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고, 다시 무게추(510)가 배치된 제1 방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한 쌍의 도르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상부 도르레(525)는 무게추(510)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05)이 제1 방향에서 감기고, 이를 제1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하부 플레이트(511) 상에 결합된 하부 도르레(570)에 감기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도르레(570)는 제2 상부 도르레(525)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05)이 감기며, 그 케이블(505)을 하부 플레이트(51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환하고, 이를 다시 제1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도르레(570)는 무게추(510)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도르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 도르레(580)는 몸체부(501)의 내부에 소정 높이로 직립한 바의 상부끝단에 결합될 수 있고, 전술한 하부 도르레(570)와 높이부(53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하부 도르레(570)와 높이부(530) 사이를 지나가는 케이블(505)이 사선방향이 아닌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중앙 도르레(580)는 전술한 직립 바의 상부끝단에 설치된 도르레 뿐만 아니라, 중앙 바(520)에 결합되어 연장된 케이블(505)의 제2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도르레와 한 쌍을 이루게 된다.
실시예 4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의 외부 및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베이스 프레임(100) 및 바렐 구조물(200)의 구조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함에 따라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40)는,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100),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200) 및, 바렐 구조물(200)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지면과 맞닿는 하부 플레이트(611) 및 하부 플레이트(611)와 대향하는 상부 플레이트(612)로 이루어지는 몸체부(601)를 포함하고,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610)가 하부 플레이트(611)에 고정 결합되고, 케이블(605)의 일 단이 무게추(610)의 상부와 연결되고, 케이블(605)의 타 단이 외부에 위치한 손잡이(640)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웨이트 구조물(600)은 하부 플레이트(611) 및 상부 플레이트(612)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제1 및 제2 중앙 바(620, 621), 제1 중앙 바(620)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630), 높이부(630)의 측부에 고정되고, 케이블(605)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손잡이 도르레(645), 손잡이 도르레(645)에 감겨있는 케이블(605)이 상부 플레이트(612)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제1 상부 도르레(624), 제1 상부 도르레(624)에 감겨있는 케이블(605)이 무게추(610)의 용수철 부재와 연결된 서브 도르레(615)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감기며, 상부 플레이트(612)에서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상부 도르레(625), 제2 상부 도르레(625)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605)이 감기며, 다시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하부 도르레(670), 일정 높이로 하부 플레이트(611) 상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보조 바(681), 보조 바(681)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어 제1 하부 도르레(670)를 거쳐 제2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605)이 감기며,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보조 도르레(680) 및, 높이부(630)가 연결된 중앙 바(620)의 하부 측부에 결합되어 보조 도르레(680)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605)이 감기며, 높이부(630)의 방향으로 케이블(605)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 하부 도르레(67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601)는 바렐 구조물(6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박스 형태의 기구 구조물로서, 하부 플레이트(611)와 상부 플레이트(612)가 제1 및 제2 중앙 바(620, 621)에 결합됨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내부로 무게추(610)가 하부 플레이트(611)에 고정, 설치되고, 도르레 구조에 따라 무게추(610)와 연결되는 손잡이(640)를 통해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무게추(610)는 하부 플레이트(611)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상부로 용수철 부재를 통해 서브 도르레(615)와 결합되어 케이블(605)에 하중을 부여하게 된다.
제1 및 제2 중앙 바(620, 621)는, 금속재질의 원동형의 바로서 몸체부(601)의 내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 중, 제1 중앙 바(620)에는 후술하는 높이부(630)가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중앙 바(620, 621)는 두 개의 원통형 바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사용자는 웨이트 구조물(600)의 미사용시 상부 플레이트(612)를 하강시켜 부피를 줄이고 가지런하게 보관할 수 있다.
높이부(630)는 일측부로 케이블(605)을 일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손잡이 도르레(645)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높이부(630)의 위치를 원하는 높이만큼 조절함으로써 적당한 손잡이(640)의 높이로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높이부(630)의 일측부에는 케이블(605)의 끝단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 도르레(645)는 전술한 높이부(630)의 일 측부에 결합되며, 상부 플레이트(612)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605)의 방향을 수직방향, 즉 사용자 방향으로 전환함에 따라, 사용자가 웨이트 구조물(600)의 정면에서 손잡이(640)를 잡고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제1 상부 도르레(624)는 상부 플레이트(612) 상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 도르레(645)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605)이 감기며, 그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고, 다시 무게추(610)가 배치된 제1 방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한 쌍의 도르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2 상부 도르레(625)는, 전술한 한 쌍의 제1 상부 도르레(624) 사이로 상부 플레이트(612)상에 설치되고, 무게추(610)로부터 연장된 케이블(605)이 제1 방향에서 감기고, 이를 제1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하부 플레이트(611) 방향에 위치한 제1 하부 도르레(670)에 감기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하부 도르레(670)는 제2 상부 도르레(625)로부터 연장된 케이블(605)이 감기며, 그 케이블(605)을 다시 제1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하부 도르레(670)는 후술하는 보조 바(681)의 일 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도르레(680)는 몸체부(601)의 내부에 소정 높이로 직립한 보조 바(681)의 상부끝단에 결합될 수 있고, 전술한 하부 도르레(670)와 높이부(63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케이블(605)의 방향을 다시 제1 방향으로 전환함에 따라, 높이부(630)와 연결되어야 하는 케이블(605)을 사선방향이 아닌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하부 도르레(671)는, 전술한 보조 도르레(680)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605)이 감기며, 높이부(630)의 방향으로 케이블(605)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도르레(671)는 제1 중앙 바(620)의 하부 측부에 결합되어, 케이블(605)이 제1 중앙 바(620)와 평행하게 높이부(630)를 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상부 플레이트(612) 및 하부 플레이트(611) 사이에는 제1 및 제2 중앙바(620, 621) 이외에도, 상부 플레이트(612)의 높이 유지를 보조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 바(69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바(690)는, 서로 다른 너비의 상부 및 하부 서브 바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하부 플레이트(611) 및 상부 플레이트(61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 및 게재되어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지지 바(690), 제1 및 제2 중앙 바(620, 621)와 더불어 상부 플레이트(612)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지 않고, 사용자가 조정한 현재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 바렐 장치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다수의) 바 120 : 수직부
130 : 수평부 200 : 바렐 구조물
210 : 매트리스 300 : (제1 실시예) 웨이트 구조물
301, 401, 501, 601 : 몸체부 303 : 도어부
305, 405, 406, 505, 605 : 케이블
310, 410, 510, 610 : 무게추
312 : 용수철 부재 315 : 제1 도르레
320, 420, 520 : 중앙 바 321 : 상부 바
322 : 하부 바 323 : (다수의) 홀
325 : 제2 도르레 330, 530, 630 : 높이부
339 : 스톱퍼 345, 545 : 베어링부
360 : 제3 도르레 340, 540, 640 : 손잡이
370 : 서브 도르레 400 : (제2 실시예) 웨이트 구조물
422 : 제1 서브 도르레 423 : 제2 서브 도르레
425 : 제1 중앙 도르레 426 : 제2 중앙 도르레
427 : 제1 방향 도르레 428 : 제2 방향 도르레
441 : 제1 손잡이 442 : 제2 손잡이
500 : (제3 실시예) 웨이트 구조물
511: 하부 플레이트 512 : 상부 플레이트
515 : 서브 도르레 524 : 제1 상부 도르레
525 : 제2 상부 도르레 570 : 하부 도르레
580 : 중앙 도르레 600 : (제4 실시예) 웨이트 구조물
612 : 하부 플레이트 612 : 상부 플레이트
615 : 서브 도르레 624 : 제1 상부 도르레
625 : 제2 상부 도르레 670 : 제1 하부 도르레
671 : 제2 하부 도르레 680 : 보조 도르레
681 : 보조 바 690 : 지지 바

Claims (12)

  1.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 및
    상기 바렐 구조물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내부로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가 탑재되고, 케이블의 일 단이 상기 무게추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 단이 외부에 위치한 손잡이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
    을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정면 중앙으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자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배면이 상기 바렐 구조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개구부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로 케이블이 감긴 제1 도르레가 장착되어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무게추;
    상기 개구부의 내부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부 끝단으로 상기 케이블의 진행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2 도르레가 설치되는 중앙 바;
    상기 중앙 바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 및
    상기 높이부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베어링부
    를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는,
    서로 다른 너비의 두 개의 서브 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인 것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으로 상기 제1 및 제2 도르레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을 상기 중앙 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제3 도르레; 및
    상기 몸체부의 내측 하부면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제3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을 상기 높이부의 측부방향으로 전환하는 서브 도르레
    를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는,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고 측부를 관통하는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부는,
    측부로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을 관통하여 복수의 제1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스톱퍼에 의해 상기 중앙 바에서의 높이가 고정되는 것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6.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 및
    상기 바렐 구조물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내부로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가 탑재되고, 제1 및 제2 케이블의 일 단이 각각 상기 무게추의 상부 및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의 타 단이 각각 외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손잡이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
    을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상부면이 개구되고, 배면이 상기 바렐 구조물의 측면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케이블이 설치되는 무게추;
    하부로 상기 무게추가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바닥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부 끝단으로 감겨있는 제1 케이블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중앙 도르레가 설치되고, 하부 끝단으로 감겨있는 제2 케이블이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중앙 도르레가 설치되는 중앙 바;
    상기 제1 중앙 도르레에 감겨있는 제1 케이블이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서브 도르레;
    상기 제1 서브 도르레와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중앙 도르레에 감겨있는 제2 케이블이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서브 도르레;
    상기 제1 서브 도르레에 감겨있는 제1 케이블이 상기 중앙 바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방향 도르레; 및
    상기 제2 서브 도르레에 감겨있는 제2 케이블이 상기 중앙 바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방향 도르레
    를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는,
    서로 다른 너비의 상부 및 하부 서브 바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무게추가 상기 하부 서브 바에 장착되는 구조인 것인,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9. 다수의 바가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며 지면에 안치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수평부에 안내되어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부가 돔의 형태로 이루어진 바렐 구조물; 및
    상기 바렐 구조물의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지면과 맞닿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대향하는 상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케이블의 일 단이 상기 무게추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 단이 외부에 위치한 손잡이에 연결되는 웨이트 구조물
    을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중앙 바;
    상기 중앙 바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
    상기 높이부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손잡이 도르레;
    상기 손잡이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제1 상부 도르레;
    상기 제1 상부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이 상기 무게추의 용수철 부재와 연결된 서브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감기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서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상부 도르레;
    상기 제2 상부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이 감기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하부 도르레; 및
    상기 하부 도르레와 높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도르레에서 상기 높이부로 진행하는 케이블이 수평 및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중앙 도르레
    를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구조물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제1 및 제2 중앙 바;
    상기 제1 중앙 바의 표면을 둘러싸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높이부;
    상기 높이부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을 측부 방향으로 전환하는 손잡이 도르레;
    상기 손잡이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에서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한 후,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한 쌍의 제1 상부 도르레;
    상기 제1 상부 도르레에 감겨있는 케이블이 상기 무게추의 용수철 부재와 연결된 서브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함에 따라 감기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서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2 상부 도르레;
    상기 제2 상부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이 감기며, 다시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제1 하부 도르레;
    일정 높이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보조 바;
    상기 보조 바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부 도르레를 거쳐 제2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이 감기며, 다시 제1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는 보조 도르레 및
    상기 제1 중앙 바의 하부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도르레를 거쳐 제1 방향을 향하는 케이블이 감기며, 상기 높이부의 방향으로 케이블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 하부 도르레
    를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너비의 상부 및 하부 서브 바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중앙 바와 더불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높이를 지지하는 지지 바
    를 더 포함하는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KR1020210172204A 2021-12-03 2021-12-03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KR20230083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204A KR20230083834A (ko) 2021-12-03 2021-12-03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204A KR20230083834A (ko) 2021-12-03 2021-12-03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834A true KR20230083834A (ko) 2023-06-12

Family

ID=8677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204A KR20230083834A (ko) 2021-12-03 2021-12-03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38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345B1 (ko) 2021-02-19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345B1 (ko) 2021-02-19 2021-09-30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필라테스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6782A (en) Multi-purpose exercise enhancing device
KR101394117B1 (ko) 케이블 운동기구
US3438627A (en) Weight-lifting device
US7608020B2 (en) Arm and shoulder lift apparatus
US9050497B2 (en) Isolated curl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US20170239518A1 (en) Hip Thrusting Exercise Machine
JP4413192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KR200474605Y1 (ko) 레더바렐 운동기구
US8523744B2 (en)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10561890B2 (en) Exercise apparatus, kit and method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1555704B1 (ko) 철봉
US8343021B1 (en) Exercise apparatus
US7959543B2 (en) Isolated curl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KR101177798B1 (ko) 운동기구
TWM579544U (zh) 健身裝置
KR102225269B1 (ko) 암컬 운동 기구
KR101479172B1 (ko)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US11389690B2 (en) Multi-use fitness machine and methods of use
KR20230083834A (ko) 가정용 웨이트 트레이닝 겸용 바렐 장치
KR101600627B1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기구
KR101394856B1 (ko) 복합구조의 신체단련기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2305928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160077610A (ko) 복합구조의 신체단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