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862A -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862A
KR20230082862A KR1020210170733A KR20210170733A KR20230082862A KR 20230082862 A KR20230082862 A KR 20230082862A KR 1020210170733 A KR1020210170733 A KR 1020210170733A KR 20210170733 A KR20210170733 A KR 20210170733A KR 20230082862 A KR20230082862 A KR 20230082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or
cable
submarine optical
fixing
arm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창
양은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862A/ko
Priority to PCT/KR2022/002597 priority patent/WO2023101101A1/ko
Publication of KR2023008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06Underwater instal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27Pressure resistant cables, e.g. undersea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유닛과, 상기 광유닛을 둘러싸는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를 포함하는 아머층을 구비하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이 접속되도록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 종단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아머홀과 광유닛을 수용하는 관통홀을 갖는 고정부 본체와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머링 와이어가 복수의 아머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부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요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케이블 결합부 및 한 쌍의 케이블 결합부가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종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접속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수용공간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며 한 쌍의 케이블 결합부와 결합되는 광섬유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SUBSEA CABLE SPLICER}
본 발명은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이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는 구조의 해저 광케이블, 해저 광케이블 접속 장치 및 해저 광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 광케이블은 육지와 섬, 또는 대륙 간을 연결하여 통신 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해저에 설치되는 케이블로서, 수십 킬로미터 이상 되는 장거리에 걸쳐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중간 접속 없이 하나의 케이블로 설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따라서 여러 개의 해저 광케이블을 연속하여 길이를 연장하면서 원하는 지역 간에 설치되도록 한다.
해저에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케이블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해저 광케이블은 유체력(fluid force) 등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에 의해 케이블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스틸 와이어(철선) 형태인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armoring wire)로 구성된 아머층이 해저 광케이블에 구비될 수 있다.
아머링 와이어는 해저 광케이블의 단면에서 외곽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는 케이블과의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아머링 와이어들을 수용하여 직접 결합하는 접속부 구조를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을 접속하기 편리하고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는 최적화된 접속 구조를 갖는 해저 광케이블과 해저 광케이블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유닛과, 상기 광유닛을 둘러싸는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를 포함하는 아머층을 구비하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는, 상기 해저 광케이블의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의 종단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아머홀과 상기 광유닛을 수용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고정부 본체와, 상기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머링 와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요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가 상기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종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접속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며 상기 한 쌍의 케이블접속부와 결합되는 광섬유 접속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머가 하나의 아머수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작업에 대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머링 와이어가 하나의 아머수용홀에 고정시키므로 2개의 해저 케이블의 연결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 본체의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의 개수에 대하여 1/n개(n은 임의의 정수)로 형성되면 아머링 와이어들을 모두 아머홀에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 본체의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이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의 개수에 대하여 1/n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아머의 인장력이 균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아머홀 중 적어도 하나의 아머홀에 상기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아머링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하여 고정시키면 2개의 해저 케이블의 연결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가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면 아머링 와이어가 아머에 끼임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가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해저 광케이블의 축선에 대하여 외향경사를 갖고 형성되면 아머홀에 결합된 아머링 와이어가 결합해제되기 어려울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요소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가 수용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물림치형이 형성되면 아머링 와이어가 아머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 본체는 상기 결합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공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가 삽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경사각을 가지면 아머링 와이어가 아머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부가 아머링 와이어의 결합해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아머링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를 압박하는 상기 결합요소의 종단영역은 치형이 형성되면 아머링 와이어가 아머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 접속부와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면 광섬유를 연결한 부분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접속부에서 상기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요소는 물림결합, 걸림결합 및 조임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면 고정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 본체는 상기 결합요소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삽입공을 추가로 구비하면 결합요소가 고정부 본체의 삽입공에 결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 본체는 2개 이상의 고정 본체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2개 이상의 고정 본체는 각각 상이한 개수의 아머홀을 구비하면 해저케이블의 굵기 및 크기에 따라 조립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 조립체는, 복수개의 광섬유, 상기 광섬유를 수용하는 광섬유 외피, 상기 광섬유 외피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베딩층,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가 상기 베딩층을 둘러싸 형성되는 아머층, 및 상기 아머층 주변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 및 상기 아머링 와이어를 아머홀에 고정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 상기 광섬유 간 접속 공간을 제공하는 광섬유 접속부, 상기 해저 케이블의 벤딩에 의한 스트레인을 제거하는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커버 및 케이블 고정부와 광섬유 접속부을 수용하는 외함바디를 포함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에 있어서, 상기 아머홀의 개수는 상기 아머링 와이어의 개수에 대하여 1/n개(n은 임의의 정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저 광케이블과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간 최적화된 접속 구조를 통해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연결시 요구되는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컴팩트한 해저 광케이블과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에 포함되는 케이블 고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을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에 고정하는 동작도이다.
도 5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접속하는 동작도이다.
도 6는 아머수용홀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7은 물림치형의 예시도이다.
도 8은 고정부재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2) 및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2)의 단면도이다. 해저 광케이블(2)은 광유닛(220), 아머층(210), 보호층(230)을 포함한다.
광유닛(220)은 광섬유(221), 광섬유 외피(222) 및 베딩층(2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2-21)는 광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인더에 의해 바인딩 되거나 리본 등의 형태로 다발화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광섬유 외피(222)는 상기 광섬유(221)를 외력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해주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1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2-21)를 직접 수용하는 광섬유 제1외피(2221)는 금속 재질의 외피로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적용되고, 다발화된 복수의 광섬유(221)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제1외피(2221)의 외표면을 감싸는 광섬유 제2외피(2222)는 금속 재질의 외피로 바람직하게는 구리(copper) 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적용되고, 상기 광섬유(221)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중계기 등 장치에 급전용 전력을 전달하거나 전기 신호를 통한 케이블의 손상 지점 감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베딩층(223)은 상기 광섬유 외피(222)를 둘러싸며 광섬유(221)와 광섬유 외피(222)를 보호하고, 전체 케이블의 기계적 물성 등을 고려한 적절한 설계 외경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베딩층(223)은 플라스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이 사용될 수 있다. 베딩층(223)은 2개 이상의 복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머층(211)은 해저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케이블 내부의 광유닛(2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철선(steel wire) 등 금속 재료로 형성되거나 고강도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머층을 구성하는 아머링 와이어(211)는 인장력 등 케이블에 요구되는 기계적 물성에 따라 개수와 외경이 정해질 수 있고, 베딩층(223)의 외측에 안착되어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211)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머층(210)은 해저 광케이블에 요구되는 인장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아머층의 전체 단면적이 정해진 후 컴팩트한 해저 광케이블을 만들기 위해 세경화된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로 분배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211)는 각각 다른 재질과 다른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외경이 작은 아머링 와이어가 외경이 큰 아머링 와이어들 사이에 배치되어서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층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보호층(230)는 광유닛(220) 및 아머층(210)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플라스틱 고분자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얀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저 광케이블(2)은 요구되는 인장 특성에 따라 아머층(210)의 단면적이 선정된다. 아머층(210)은 내부의 광유닛(220)를 보호하면서 해저 광케이블(2)의 외경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광유닛(220) 외측에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211)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211)의 단면적의 합은 기 선정된 아머층(210)의 단면적 보다 같거나 커야 하고, 케이블 세경화를 위해 분배된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211)의 개수는 수십 개에서 수백 개까지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의 구성도이고, 도 2(b)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의 2개의 해저 광케이블(2)과 결합된 해저 광케이블 조립체(3)의 구성도이다.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는 양 종단이 2개의 해저 광케이블(2)과 동일한 형상으로 접속되도록 대칭적인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는 케이블 고정부(110), 광섬유 접속부(120), 케이블 접속커버(130) 및 바디(140)를 포함한다.
케이블 고정부(1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고정부 본체(111)에 상기 해저 광케이블(2)의 아머링 와이어(211)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아머홀(1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유닛(220)이 고정부 본체(111)를 관통하여 광섬유 접속부(120)에 연결될 수 있는 관통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4)은 고정부 본체(111)의 길이방향 단면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아머홀(113)은 관통홀(114) 주변에 복수개가 균등한 이격 거리를 가지며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110)의 일단에는 아머링 와이어(211)를 수용하기 위한 아머홀(113)이 형성될 수 있으나 타단에는 광섬유 접속부(120) 측으로 아머링 와이어(211)가 관통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아머홀(113)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 본체(111)의 아머홀(113)으로 인입된 아머링 와이어(211)는 고정부 본체에 구비된 삽입공(115)에 결합요소(112)가 결합되는 형상의 고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 본체(111)에 형성된 복수개의 아머홀(113)은 상기 아머홀(113)의 개수보다 많은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의 개수에 대하여 1/n개(n은 임의의 정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해저 광케이블(2)의 세경화를 위해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를 포함하고 있고,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에서 상기 아머링 와이어(211)를 수용하는 아머홀(113)의 개수를 상기 아머링 와이어(211)와 동일하게 구비할 경우 컴팩트한 고정부 본체(111)를 구현할 수 없다. 즉 고정부 본체(111)에 구비되는 아머홀(113)은 길이방향 단면에서 고정부 본체(111)의 외주와 아머홀(113) 간의 간격, 아머홀(113) 간의 간격, 그리고 아머홀(113)과 관통홀(114)과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고정부 본체(111)가 아머링 와이어(211)로부터 인가되는 인장력에도 파손되지 않는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아머홀(113)에 수용되는 아머링 와이어(211)이 모두 동일하게 배분될 시 특정 아머홀(113)에 인장력이 집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배되어 해저 컴팩트한 광케이블(1)과 접속장치(2)의 최적의 설계가 가능해진다.
기 선정된 개수의 아머링 와이어(211)에 대하여 아머홀(113)은 1/n개로 형성되어 하나의 아머홀(113)에는 n개의 아머링 와이어(211)가 삽입되어 후술할 결합요소(1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 본체(111)의 복수의 아머홀(113)이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의 개수에 대하여 1/n개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의 인장력이 상대적으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아머홀(113) 중 적어도 하나의 아머홀에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211) 중 적어도 하나의 아머링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아머홀(113)은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가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아머홀(113)은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가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해저 광케이블(2)의 축선에 대하여 외향경사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 본체(111)는 결합요소(112)가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21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머홀(113)의 내측면에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211)가 수용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아머물림치형(113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 본체(111)에 결합요소(112)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공(115)은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211)가 삽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결합요소(112)는 아머링 와이어가 복수의 아머홀(113)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상태에서 물림결합, 걸림결합 및 조임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에 의해 고정부 본체(1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결합요소(112)는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머링 와이어(211)와 맞닿는 종단영역에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고정치형(11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 본체(111)는 해저 광케이블(2)과의 결합 용이성 및 결합력을 고려하여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본체(111)는 제1고정본체(111-1), 제2고정본체(111-3) 및 연결본체(11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고정본체(111-1)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해저 광케이블(2) 인입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해저 광케이블(2)의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 종단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제1아머홀(113-1)과 광유닛(2-2)를 수용하는 제1관통홀(114-1), 그리고 제1아머홀(113-1)에 수용된 아머링 와이어(211)을 고정할 수 있는 결합요소(112-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15-1)을 구비한다.
제1고정본체(111-1)에 형성된 복수의 제1아머홀(113-1)은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의 개수에 대하여 1/n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본체(111-3)는 제1고정본체(111)와 유사한 크기와 규격으로 마련되어 해저 광케이블(2) 인입 측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본체(111-3)는 해저 광케이블(2)의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 종단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아머홀(113-3)과 광유닛(220)를 수용하는 제2관통홀(114-3), 그리고 제2아머홀(113-3)에 수용된 아머링 와이어(211)을 고정할 수 있는 결합요소(112-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15-1)을 구비한다. 을 갖는다.
제2고정본체(111-3)의 일단에는 아머링 와이어(211)를 수용하기 위한 아머홀(113)이 형성될 수 있으나 타단에는 광섬유 접속부(120) 측으로 아머링 와이어(211)가 관통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아머홀(113)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제2고정본체(111-3)에 형성된 복수의 제2아머홀(113-3)은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의 개수에 대하여 1/n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고정본체(111-1)와 제2고정본체(111-3)에 구비된 각 아머홀(113-1, 113-3)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 아머홀(113-1, 113-3)의 개수가 동일하더라도 각 아머홀(113-1, 113-3)에 인입되는 아머링 와이어(211)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1 아머홀(113-1)에 수용된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211)가 상이한 복수개의 제2 아머홀(113-3)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연결본체(111-2)는 제1고정본체(111-1)와 제2고정본체(111-3) 사이에서 아머링 와이어(211)를 고정하며 제1고정본체(111-1)와 제2고정본체(111-3)를 고정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연결본체(111-2)는 해저 광케이블(2)의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211) 종단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연결 아머홀(113-2)과 광유닛(220)를 수용하는 연결 관통홀(114-2), 그리고 연결 아머홀(113-2)에 수용된 아머링 와이어(211)을 고정할 수 있는 결합요소(112-2)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 삽입공(115-2)을 구비한다.
연결 아머홀(113-2)은 제1 아머홀(113-1)과 제2아머홀(113-3) 간을 연결하여 아머링 와이어(211)가 라우팅 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제1고정본체(111-1)와 제2고정본체(111-3)에 구비된 각 아머홀(113-1, 113-3)의 개수는 상이할 경우, 또는 각 아머홀(113-1, 113-3)의 개수가 동일하더라도 각 아머홀(113-1, 113-3)에 인입되는 아머링 와이어(211)가 서로 상이할 경우, 해당 아머링 와이어(211)가 라우팅 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 광케이블(2)과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의 고정 구조 및 방법은 후술할 도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광섬유 접속부(120)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110, 110')가 2개의 해저 광케이블(2, 2')의 종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2개의 해저 광케이블(2)의 광섬유(221)를 접속하기 위한 공간과 상기 각 광섬유의 여장(excess length)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수용공간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110, 110')와 결합될 수 있다.
광섬유 접속부(120)는 함지지부(121), 케이블접속함(122) 및 케이블정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함지지부(121)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110, 110')를 연결하며 케이블접속함(22)을 지지한다.
케이블접속함(122)은 광섬유(221)를 접속(splice)하고 광섬유 여장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수밀하게 봉합 결합된다.
케이블정렬부(123)는 광섬유(221)를 접속하는데 도움을 주는 구성으로 다수의 광섬유(221) 접속시 바르게 정렬되고 접속부를 보호 및 정리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광섬유 접속부(120)는 함케이스(1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함케이스(124)는 함지지부(121), 케이블접속함(122), 케이블정렬부(123) 및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110, 11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를 둘러싸서 수밀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커버(130)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2)을 연결한 후 케이블 고정부(110)의 외부에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해저 광케이블(2) 및 케이블 고정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커버(130)는 외부 접속커버(131)와 내부 접속커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접속커버(132)는 케이블 고정부(110)의 외측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상기 내부 접속커버(132)를 수용하는 외부 접속커버(131)와 함께 해저 광케이블(2) 접속부에서 밴딩에 의해 발생되는 스트레인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바디(140)는 케이블 고정부(110, 110')와 광섬유 접속부(120)을 수용하는 외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함케이스(124)의 외측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는 광섬유 접속부(120)와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110, 110') 사이에 개재되어 광섬유 접속부(120)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는 실링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해저 광케이블(2)을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에 고정하는 동작도이다.
도 4 (a)에서는 제1고정본체(111-1)의 제1관통홀(114-1)에 해저 광케이블(2)의 광유닛(220)이 수용되어 있다.
도 4(b)에서는 제1고정본체(111-1)를 해저 광케이블(2)의 아머링 와이어(211) 측으로 이동시켜 아머링 와이어(211)가 제1고정본체(111-1)의 제1아머홀(113-1)에 수용되도록 한 후 결합요소(112-1)를 이용하여 아머링 와이어(211)를 압박하여 제1아머홀(113-1)에 고정시킨다.
도 4 (c)에서는 이후 연결본체(111-2)를 아머링 와이어(211)가 연결 아머홀(113-2)에 수용되면서 제1고정본체(111-1)에 밀착 배치되도록 고무 망치 등으로 부드럽게 타격하여 고정시킨 후 결합요소(112-2)를 이용하여 아머링 와이어(211)를 압박하여 연결 아머홀(113-2)에 고정시킨다.
도 4 (d)에서는 이후 제2고정본체(111-3)를 아머링 와이어(211)가 제2 아머홀(113-3)에 수용되면서 연결본체(111-2)에 밀착 배치되도록 다시 고무 망치 등으로 부드럽게 타격하여 고정시킨 후 결합요소(112-3)를 이용하여 아머링 와이어(211)를 압박하여 제2 아머홀(113-3)에 고정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4 (d')과 같이 제2 아머홀(113-3)을 일측에 구비하거나 양측 모두 구비하지 않고, 관통공(115-3)을 구비하지 않은 제2고정본체(111-3)를 아머링 와이어(211)를 수용한 연결본체(111-2)에 밀착 배치되게 고정시켜 아머링 와이어(211)가 광섬유 접속부(120) 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2)의 광섬유를 접속하는 동작도이다.
도 5 (a)에서는 각 해저 광케이블(2)에 고정된 케이블 고정부(110)를 함지지부(121)에 연결한 후 용접결합, 클램프결합, 나사결합 등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결합시킨다.
도 5 (b)에서는 케이블접속함(122) 내의 케이블정렬부(123)를 이용하여 광섬유(221)를 정렬한 후 접속한다.
도 5 (c)에서는 광섬유(221)를 접속한 후 케이블접속함(122)을 용접하여 밀봉한다.
도 5 (d)에서는 밀봉된 케이블접속함(122)와 함지지부(121)를 함케이스(124)로 수용하며 밀봉한 후 케이블 접속커버(130)와 바디(140)를 조립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아머홀(113-1, 113-3)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6(a)는 아머링 와이어(211)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아머홀(113-1)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6(b)는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211)가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해저 광케이블(2)의 축선에 대하여 외향경사를 갖고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물림치형(1131)의 예시도이다. 아머홀(113)의 내측에는 아머(211)가 좌에서 우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우측을 향해 물림치형(1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머링 와이어(211)가 아머홀(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도 8은 결합요소(112)의 예시도이다.
결합요소(112)은 삽입공(115)을 통해 삽입되어 아머홀과 아머링 와이어 사이의 빈 공간을 메울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나사, 막대기, 쐐기 또는 빈 공간에 따른 개재(fille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결합요소(112)의 경도는 고정부 본체(111)와 아머링 와이어(211)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아머링 와이어의 경도 보다 약하고, 고정부 본체(111) 보다 강하거나 같을 수 있다.
결합요소(112)의 종단영역에 고정치형(1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머링 와이어(211)가 아머홀(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의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1)로 인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머링 와이어(211)가 하나의 아머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작업에 대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머링 와이어가 하나의 아머홀에 고정시키므로 2개의 해저 광케이블(2)의 연결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1 :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110 : 케이블 고정부 111 : 고정본체
112 : 결합요소 1121 : 고정치형
113 : 아머홀 1131 : 물림치형
114 : 관통홀 115 : 삽입공
120 : 광섬유 접속부 121 : 함지지부
122 : 케이블접속함 123 : 케이블정렬부
124 : 함케이스
130 : 케이블 접속 커버 131 : 외부 접속커버
132 : 내부 접속커버
140 : 바디
150: 실링부재
2 : 해저 광케이블
210 : 아머층 211 : 아머링 와이어
220 : 광유닛 221 : 광섬유
222 : 광섬유 외피 2221 : 광섬유 제1외피
2222 : 광섬유 제2외피 223 : 베딩층
230 : 보호층

Claims (14)

  1.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유닛과, 상기 광유닛을 둘러싸는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를 포함하는 아머층을 구비하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저 광케이블의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의 종단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아머홀과 상기 광유닛을 수용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고정부 본체와, 상기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아머링 와이어가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요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가 상기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종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해저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접속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을 수밀하게 밀폐시키며 상기 한 쌍의 케이블접속부와 결합되는 광섬유 접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본체의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의 개수에 대하여 1/n개(n은 임의의 정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본체의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이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의 개수에 대하여 1/n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아머의 인장력이 균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아머홀 중 적어도 하나의 아머홀에 상기 복수의 아머링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아머링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가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가 수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해저 광케이블의 축선에 대하여 외향경사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아머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요소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가 수용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물림치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본체는 상기 결합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공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가 삽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아머링 와이어를 압박하는 상기 결합요소의 종단영역은 치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접속부와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접속부에서 상기 고정부 본체와 상기 고정요소는 물림결합, 걸림결합 및 조임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본체는 상기 결합요소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삽입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본체는 2개 이상의 고정본체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고정 본체는 각각 상이한 개수의 아머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14. 복수개의 광섬유, 상기 광섬유를 수용하는 광섬유 외피, 상기 광섬유 외피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베딩층, 복수개의 아머링 와이어가 상기 베딩층을 둘러싸 형성되는 아머층, 및 상기 아머층 주변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2개의 해저 광케이블; 및 상기 아머링 와이어를 아머홀에 고정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 상기 광섬유 간 접속 공간을 제공하는 광섬유 접속부, 상기 해저 케이블의 벤딩에 의한 스트레인을 제거하는 한 쌍의 케이블 접속 커버 및 케이블 고정부와 광섬유 접속부을 수용하는 외함바디를 포함하는 해저 광케이블 접속장치; 에 있어서,
    상기 아머홀의 개수는 상기 아머링 와이어의 개수에 대하여 1/n개(n은 임의의 정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광케이블 조립체.
KR1020210170733A 2021-12-02 2021-12-02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 KR20230082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733A KR20230082862A (ko) 2021-12-02 2021-12-02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
PCT/KR2022/002597 WO2023101101A1 (ko) 2021-12-02 2022-02-22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733A KR20230082862A (ko) 2021-12-02 2021-12-02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862A true KR20230082862A (ko) 2023-06-09

Family

ID=8661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733A KR20230082862A (ko) 2021-12-02 2021-12-02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2862A (ko)
WO (1) WO20231011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35821B2 (en) * 1996-10-10 2001-07-19 Tyco Submarine Systems Ltd. Submarine optical cable joint with terminating sockets
KR100533219B1 (ko) * 2003-07-08 2005-12-02 성동현 해저 통신 광케이블 접속함
KR101485450B1 (ko) * 2014-10-23 2015-01-23 김민석 해저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아모어 클램프
KR20160074721A (ko) * 2014-12-17 2016-06-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진원도가 향상된 해저케이블
KR20210000178A (ko) * 2019-06-24 2021-01-04 국방과학연구소 해저 통신 케이블용 접속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101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882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接合装置
US7280725B2 (en) Fiber optic furcation tube and method
US4601536A (en) Connection for a submerged optical fiber cable
EP2674797B1 (en) Cable fixture assembly for fastening at least one cable at a cable carrier as well as a splitter comprising such cable fixture assembly
US5048916A (en)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JPS6217704A (ja) 光フアイバ遠隔通信のための海底ライン
WO2005083852A1 (en) An apparatus for concatonating a plurality of undersea pressure vessels each housing an optical amplifier module
CN113391415B (zh) 一种光信号放大设备的承载平台
US4836641A (en) Submarine optical fiber line with interconnected different cable types
US6870993B2 (en) Interconnect including a repeater for an optical transmission cable
US7824108B2 (en) Connection device with conductor length compensation
KR101471018B1 (ko) 중간 브랜칭을 위한 광 케이블의 안내 및 접속 작업에 적합한 광 케이블 접속 케이싱
US6950229B2 (en) Electrical insulating ring located between an end cap and a tension sleeve of an undersea pressure vessel housing an optical amplifier module
AU642161B2 (en) Stepped cable block
KR20230082862A (ko) 해저 케이블 접속 장치
JP4122063B2 (ja) 負荷支持するケースとの海底光ファイバケーブル継手
US7529020B2 (en) Optical amplifier module housed in a universal cable joint for an undersea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20050200943A1 (en) Thermal management of an optical amplifier module housed in a universal cable joint
EP3318907B1 (en) Preconnectorized optical cable assembly with secured strength member
US6101303A (en) Junction configuration for a multi-conductor optical cable
JPH07170645A (ja) 複合ケーブルジョイント
KR20230001756A (ko) 광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 복합케이블
KR20040001335A (ko) 스프링 구조물을 이용한 광섬유 보호용 패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