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662A - Tracking device, tracking method, data structure and program of tracking data - Google Patents

Tracking device, tracking method, data structure and program of track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662A
KR20230082662A KR1020237015306A KR20237015306A KR20230082662A KR 20230082662 A KR20230082662 A KR 20230082662A KR 1020237015306 A KR1020237015306 A KR 1020237015306A KR 20237015306 A KR20237015306 A KR 20237015306A KR 20230082662 A KR20230082662 A KR 2023008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article
stencil
captur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5542B1 (en
Inventor
다이치로 후쿠다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mage Analysi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트래킹 장치(1200)는 제1 촬상 화상과, 당해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를 도출하고, 당해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당해 후판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한다.The tracking device 1200 derives the 3D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using the stencil (label) based o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determines the 3D positi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ck plate.

Description

트래킹 장치, 트래킹 방법, 트래킹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Tracking device, tracking method, data structure and program of tracking data

본 발명은 트래킹 장치, 트래킹 방법, 트래킹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을 트래킹하기 위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1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0-19806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것들의 내용을 모두 여기에 원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king device, a tracking method, a data structure and a program for tracking data,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tracking an article.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20-198065 for which it applied to Japan on November 30, 2020, and uses all their contents here.

후판을 비롯한 철강 제품 등의 제조물은, 다양한 두는 곳을 이동한다. 그래서, 제조물을 트래킹하는 것이 행해진다. 트래킹이란, 대상물의 위치를 추적하여 특정하는 것이다.Products such as steel products, including thick plates, move to various places. So, tracking the product is done. Tracking is to track and specify the position of an object.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강판을 내렸을 때의 천정 크레인의 X-Y 좌표를 당해 강판의 강판 번호와 함께 등록함으로써 강판의 트래킹을 행한다.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the steel sheet is tracked by registering the X-Y coordinates of an overhead crane when the steel sheet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steel sheet number of the steel sheet concerned.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기중기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 그리고 하중 검출 등의 동작에 기초하여, 정치 장소 산출 프로그램에 의해, 3차원 좌표에 의해 표시되는 강재의 정치 장소를 산출하고, 산출한 정치 장소를 나타내는 정치 장소 정보를 당해 강재의 강재 식별 정보에 대응 지어서 기억한다.In addition,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cran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operations such as load detection, a stationary place calculation program calculates the stationary place of steel materials represented by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 the stationary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alculated stationary location is matched with the steel materi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eel materials concerned, and stored.

일본 특허 제5109451호 공보Japanese Patent No. 5109451 일본 특허 제3734419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734419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강판의 트래킹에 사용하는 정보가 천정 크레인의 X-Y 좌표이다. 이 때문에, 천정 크레인으로 반송할 수 있는 범위에서밖에 트래킹을 행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천정 크레인의 X-Y 좌표로부터 Z 좌표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예를 들어 복수의 강판이 겹쳐지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강판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다.However, in the technology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the information used for steel plate tracking is the X-Y coordinates of an overhead crane. For this reason, tracking can be performed only in the range which can be conveyed by an overhead crane. In addition, in the technology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Z coordinate cannot be specified from the X-Y coordinates of the overhead crane,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steel plates overlap, the plurality of steel plates cannot be accurately specified.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강재의 3차원 좌표가 산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기중기로 반송할 수 있는 범위에서밖에 트래킹을 행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 산출되는 강재의 3차원 좌표는, 정치 장소 산출 프로그램에 의해 산출되는 정치 장소의 3차원 좌표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정치 장소 산출 프로그램에서 미리 정해져 있는 정치 장소에서밖에, 강재를 트래킹할 수 없다.In addition,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steel materials are calculated. However, similarly to Patent Literature 1, tracking can be performed only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transported by crane. In addition, the 3-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steel materials calculated by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re the 3-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stationary place calculated by the stationary place calculation program. Therefore, with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steel materials can be tracked only in the stationary place previously determined by the stationary place calculation program.

실제의 제조 현장에 있어서는, 제조물은 다양한 반송 장치로 반송된다. 또한, 반송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원이 제조물을 반송하기도 한다. 또한, 두는 곳 번지가 정해지지 않은 정치 장소에 제조물이 놓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조물의 두는 방법도 다양하다.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이러한 제조물을 트래킹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들 과제는, 제조물 이외의 물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존재한다.In actual manufacturing sites, products are conveyed by various conveying devices. In addition, a worker conveys a product without using a conveying device.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products are placed in stationary places where the address of the place is not determined. In addition, the method of placing the product is also diverse. In the technique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s 1 and 2, it is not easy to track such products. These subjects exist similarly also in articles other than manufactured goods.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물품의 트래킹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ims to improve the tracking accuracy of articles.

본 발명의 트래킹 장치는, 물품을 트래킹하는 트래킹 장치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인 정보 표시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 도출 수단과, 상기 위치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상기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표시 위치를,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당해 물품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cking device for tracking an article, comprising: one or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a captured image of an area includ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and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d position derivation means for deriv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which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means, and deriving by the position derivation means and storage means for storing, in a storage medium,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f the article obtained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acquir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본 발명의 트래킹 방법은, 물품을 트래킹하는 트래킹 방법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인 정보 표시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 도출 공정과, 상기 위치 도출 공정에 의해 도출된 상기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표시 위치를, 상기 식별 정보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당해 물품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기억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ck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cking method for tracking an article, and includes one or more image acquisition steps of acquiring a captured image of an area includ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and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a position derivation step of deriv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that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step, and derivation by the position derivation step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in a storage medium,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f the article obtained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obtain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본 발명의 트래킹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는, 물품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와, 상기 물품에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정보를 갖고, 상기 비표시 정보는,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인 정보 표시 위치를 포함하고, 트래킹 장치가,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표시 위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data structure of the tracking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an article and non-display information not displayed on the article, and the non-display information is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that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where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 wherein the tracking device is used to derive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n the article based on a captured image of an area includ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물품을 트래킹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인 정보 표시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 도출 공정과, 상기 위치 도출 공정에 의해 도출된 상기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표시 위치를, 상기 식별 정보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당해 물품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기억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processing for tracking an article, comprising: one or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steps of acquiring a captured image of an area includ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position derivation step of deriv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which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step; and the position characterized by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f the article derived by the derivation step in a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acquir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

도 1은, 공장에 있어서의 제품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후판에 대한 표시 영역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라벨에 의한 표시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수송선에 대하여 후판이 짐싣기 및 짐 부리기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후판이 하역 장치에 매달아 올려진 모습을 가터의 연장 설치 방향(y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a는, 후판의 반송 형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후판의 반송 형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c는, 후판의 반송 형태의 제3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d는, 후판의 반송 형태의 제4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e는, 후판의 반송 형태의 제5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수송 차량에 대하여 후판이 짐싣기 및 짐 부리기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수송 차량에 후판이 짐싣기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공장 내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모습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공장 내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모습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c는, 공장 내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모습의 제3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생산 설비에서 후판이 처리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원래의 후판과, 절단 후의 후판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트래킹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라벨의 물품 내 위치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는 정보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b는, 관리 테이블에 기억되는 정보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후판을 트래킹할 때의 트래킹 장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트래킹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duct flow in a factory.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area for a rear plate.
Fig. 3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 contents using a stencil.
Fig. 3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ntents displayed by labels.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how the heavy plate is loaded and unloaded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ship.
Fig. 5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ck plate is suspended from th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s viewed from the garter extension direction (y-axis direction).
Fig. 6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a transport form of a thick plate.
Fig. 6B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xample of a heavy plate conveyance mode.
Fig. 6C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xample of a heavy plate conveyance mode.
Fig. 6D is a diagram showing a fourth example of a heavy plate conveyance mode.
Fig. 6E is a diagram showing a fifth example of a heavy plate conveyance mode.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how a heavy plate is loaded and unloaded with respect to a transport vehicle.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heavy plate is loaded on a transport vehicle.
9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a state of a thick plate placed in a place in a factory.
9B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xample of a state of a thick plate placed in a place in a factory.
Fig. 9C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state of a thick plate placed in a place in a factory.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how thick plates are processed in a production facility.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riginal thick plate and the thick plate after cutting.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tracking device.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anagement table.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sition of a stencil in an article and a position of components of each display item in a display using a stencil.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osition of a label in an article and the position of components of each display item in a label display.
16A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xample of information stored in a management table.
16B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xample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Fig. 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racking device processing when tracking a thick plate.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eriving a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a display area using a stencil.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riving a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a display area using a stencil.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method for deriving a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a display area using a stencil.
Fig. 2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tracking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또한, 길이, 위치, 크기, 간격 등, 비교 대상이 동일한 것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 외에,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것(예를 들어, 설계 시에 정해지는 공차의 범위 내에서 다른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ose with the same comparison target, such as length, position, size, spacing, etc., are differen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different within the range of tolerances determined at the time of design), except when they are strictly identical. that) is also included.

<공장의 개요><Plant overview>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철소에서 제조된 각종의 후판(예를 들어 후강판)에 대하여, 열처리나 절단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는 공장을 포함하는 장소에 있어서, 당해 후판을 트래킹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적용 대상의 공장에 있어서의 제품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In this embodiment, a case where the heavy plate is tracked in a place including a factory that performs various treatments such as heat treatment and cutting for various kinds of thick plates (for example, thick steel plates) manufactured at a plurality of steelworks is exemplified. .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roduct flow in a factory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도 1에 있어서, 제철소에서 제조된 후판은 수송선에 짐싣기된다. 그 후 수송선은, 공장의 근처의 안벽에 착안한다. 후판은, 수송선에서 짐 부리기되어, 수송 차량(트럭 등)에 짐싣기된다. 수송 차량에 의해 수송된 후판은, 공장에 입하하면, 공장 내의 두는 곳에 놓인다.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은, 열처리나 절단(가스 절단) 등의 처리가 실시된 후, 창고에 놓인다. 그 후, 후판은, 공장으로부터 수요가를 향하여 출하된다.In Fig. 1, thick plates manufactured in a steel mill are loaded onto a transport ship. After that, the transport ship lands on the quay near the factory. The heavy plate is unloaded from a transport ship and loaded onto a transport vehicle (such as a truck). When the heavy plate transported by the transport vehicle arrives at the factory, it is placed in a place within the factory. The thick plate placed in the storage area is placed in a warehouse after processing such as heat treatment or cutting (gas cutting) is performed. After that, the thick plate is shipped from the factory to the customer.

<착상><Imagination>

이상과 같이 하여 반송되는 후판의 위치를,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반송 기기의 동작에 기초하여 트래킹하면, 트래킹할 수 있는 범위에 제약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현품 관리(각 후판의 위치 관리)를 위해서, 후판에는, 당해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였다. 이러한 정보의 표시 위치를 트래킹하는 것은, 후판을 트래킹하는 것과 등가이다. 그리고, 이러한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특정할 수 있으면, 후판을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사상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When the position of the thick plate conveyed as described above is tracke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machine as in the technique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s 1 and 2, restrictions arise in the range that can be tracked. Then, the present inventors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formation manag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thick plate is displayed on the back plate for actual product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position of each back plate). Tracking the display position of such information is equivalent to tracking the back plate. Then, if the information managed by the manufacturer of such a thick plate can be specified, the thick plate can be identified. This embodiment is made based on such thought.

<후판에 대하여 실시되는 표시><Indication applied to heavy plate>

도 2는, 후판에 대한 표시 영역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x축, y축, z축은, 도 2와, 후술하는 도 3a, 도 3b, 도 14 내지 도 15, 도 18 내지 도 20과의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x-y-z 좌표의 방향과 반드시 대응하지는 않는다. 또한, x-y-z 좌표는, 예를 들어 세계 좌표계에서 표시되는 좌표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area for a rear plate. In addition, the x-axis, y-axis, and z-axis shown in FIG. 2 show the relationship of directions between FIG. 2 and FIGS. 3A, 3B, 14 to 15, and 18 to 20 described later, and FIG. 4 and It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e directions of the x-y-z coordinates shown in FIG. In addition, x-y-z coordinates are coordinates displayed in the world coordinate system, for example.

도 2에 있어서, 표시 영역(201)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은, 후판의 판면에 존재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파선은 가상 선이고, 실제로는 표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라벨(사이드 라벨)(202)은, 후판의 측면(판 두께 부분)에 첩부된다.In FIG. 2 , a display area 201 is a display area using a stencil.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exists on the plate surface of the back plate. In addition, the broken line shown in FIG. 2 is a virtual line and is not actually display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a label (side label) 202 is affixed to the side surface (plate thickness portion) of the back plate.

도 3a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a에 나타내는 x-y-z 좌표는, 도 2 등과의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3a에 나타내는 x-y-z 좌표에 있어서, 흰색 동그라미(○) 중에 검정색 동그라미(●)를 붙이고 있는 기호는, 지면의 안측에서 전방측을 향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x-y-z 좌표의 표기는, 그 밖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Fig. 3A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 contents using a stencil. Incidentally, as described above, the x-y-z coordinates shown in FIG. 3A indicate a directional relationship with FIG. 2 and the like. Also, in the x-y-z coordinates shown in Fig. 3A, a symbol with a black circle (●) in a white circle (○) indicates a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paper to the front side. The notation of these x-y-z coordinates is the same in other drawings.

도 3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는, 마크(301), 수요가 이름(302), 규격(303), 사이즈(304), ID(305), 수요가 코드(306) 및 주문 번호(307)이 포함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3A , the display by the stencil includes a mark 301, a customer name 302, a specification 303, a size 304, an ID 305, a customer code 306, and an order number. (307) is included.

마크(301)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를 나타내는 마크이다. 수요가 이름(302)은, 후판의 수요가(구입자)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규격(303)은, 후판의 규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이즈(304)는, 후판의 사이즈(예를 들어, 두께×폭×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ID(305)는, 후판을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도 3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판 번호(후판의 식별 번호)이다. 따라서, 동일한 ID가 다른 후판에 첨부되는 일은 없다. 수요가 코드(306)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가 수요가로부터 후판에 대하여 첨부하는 것이 지정된 정보이다. 주문 번호(307)는, 수요가로부터의 후판의 주문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의 일부이다.A mark 301 is a mark indicating the manufacturer of the thick plate. The customer's name 302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stomer's price (purchaser) of the heavy plate. The standard 303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ndard of the thick plate. The size 304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ize (for example, thickness x width x length) of the back plate. ID 305 is information for uniquely identifying the thick plate, an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A, it is the plate number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hick plate). Therefore, the same ID is not attached to different thick plates. The demand code 306 is information specified to be attached to the heavy plate by the manufacturer of the heavy plate from the customer. The order number 307 is a part of a number for identifying a heavy plate order from a customer.

마크(301), 수요가 이름(302), 규격(303), 사이즈(304), ID(305), 수요가 코드(306) 및 주문 번호(307)는, 후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정보이다. 또한, ID(305) 이외의 정보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정보 이외의 정보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The mark 301, customer name 302, specification 303, size 304, ID 305, customer code 306 and order number 307 can be commonly displayed for thick plates. It is information. In addition, information other than ID 305 need not be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In addition, information other than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또한, 예를 들어 수요가에 의해, 수요가 코드(306)의 자릿수가 다르거나,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에 의해 규격(303)의 표기 방법이 다르거나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주문 번호(307)는, 수요가에 의해 첨부되는 경우와 첨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시 항목의 크기도,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도,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내용, 위치 및 크기는,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 및 수요가 등에 따라 다르다.Further, for example, the number of digits of the demand code 306 differs depending on the demand, or the notation method of the standard 303 differs depending on the steel mill that manufactures the steel plate. In addition, for example, the order number 307 may or may not be attached depending on the demand. In addition, the size of the display item may also differ depending on the steel mill that manufactures the thick plate.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may also differ depending on the steel mill that manufactures the thick plate. In this way, the content, location, and size of the mark by the stencil differ depending on the steel mill that manufactures the thick plate and the demand.

마크(301), 수요가 이름(302), 규격(303), 사이즈(304), ID(305), 수요가 코드(306) 및 주문 번호(307)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또한, 마크(301), 수요가 이름(302), 규격(303), 사이즈(304), ID(305), 수요가 코드(306) 및 주문 번호(307)는,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이다.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란, 사람이 당해 정보를 본 경우에 당해 정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바코드 및 2차원 코드와 같이, 정보의 제작 및 판독에, 기계에 의한 인코드 및 디코드가 필요해지는 정보는,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가 아니다. 구체적으로, 마크(301), 수요가 이름(302), 규격(303), 사이즈(304), ID(305), 수요가 코드(306) 및 주문 번호(307)는, 판독에 기계에 의한 디코드가 불필요한 정보로서, 문자, 숫자 및 기호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판독에 기계에 의한 디코드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The mark 301, customer name 302, specification 303, size 304, ID 305, customer code 306, and order number 307 are information managed by the heavy plate manufacturer. . In addition, the mark 301, customer name 302, specification 303, size 304, ID 305, customer code 306, and order number 307 are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a person.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humans means that the meaning of the information can be understood when a person sees the information. Information that requires machine encoding and decoding to produce and read information, such as barcodes and two-dimensional codes, is not human-identifiable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mark 301, customer name 302, specification 303, size 304, ID 305, customer code 306, and order number 307 are decoded by a machine upon reading. is unnecessary information,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nd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requiring decoding by a machine for reading.

도 3b는, 라벨에 의한 표시 내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b에 나타내는 x-y-z 좌표는, 도 2 등과의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x-y-z 좌표에 있어서, 흰색 동그라미 중에 ×를 첨부하고 있는 기호는, 지면의 전방측에서 안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x-y-z 좌표의 표기는, 그 밖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Fig. 3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ntents displayed by labels. Incidentally, as described above, the x-y-z coordinates shown in FIG. 3B indicate a directional relationship with FIG. 2 and the like. Further, in the x-y-z coordinates shown in Fig. 3B, a symbol appended with a cross in a white circle indicates a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of the paper to the back side. The notation of these x-y-z coordinates is the same in other drawings.

도 3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는 규격(311), ID(312), 사이즈(313), 납기(314) 및 수요가 코드(315)가 포함된다. 납기(314)는, 후판의 납기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규격(311), ID(312), 사이즈(313), 수요가 코드(315)는, 각각, 규격(303), 사이즈(304), ID(305), 수요가 코드(306)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ID(312) 이외의 정보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정보 이외의 정보가,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라벨에 의한 표시의 내용, 위치 및 크기도,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마찬가지로, 후판을 제조하는 제철소 및 수요가 등에 따라 다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3B, the display by the label includes specifications 311, ID 312, size 313, delivery date 314, and demand code 315. The delivery date 314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livery date of the thick plate. Specification 311, ID 312, size 313, and demand code 315 are the same as standard 303, size 304, ID 305, and demand code 306, respectively. Information other than the ID 312 need not be included in the label display. In addition, information other than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label. The content, position, and size of the marking by the label, as in the marking by the stencil, also differ depending on the steel mill that manufactures the thick plate and the demand.

단, 동일한 후판에 대한 동일한 표시 항목이 의미하는 내용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서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하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도 3b에 나타내는 라벨에 의한 표시가 동일한 후판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경우,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305)와, 라벨에 의해 표시되는 ID(312)는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또한,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규격(303)과, 라벨에 표시되는 규격(311)은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사이즈(313), 수요가 코드(315)에 대해서도, 각각, 사이즈(304), 수요가 코드(306)와 동일한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규격(303), ID(305), 사이즈(304) 및 수요가 코드(306)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규격(311), ID(312), 사이즈(313) 및 수요가 코드(315)도,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또한, 후판의 납기(314)도,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또한, 규격(311), ID(312), 사이즈(313), 납기(314) 및 수요가 코드(315)는,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이다.However, the meaning of the same display items for the same thick plate is the same for display using a stencil and display using a label. Therefore, when the stencil display shown in FIG. 3A and the label display shown in FIG. 3B are performed on the same back plate, the ID 305 displayed by the stencil and the ID 312 displayed by the label will mean the same thing. In addition, the standard 303 displayed by the stencil and the standard 311 displayed on the label mean the same content. The size 313 and the demand code 315 also mean the same contents as the size 304 and the demand code 306,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standard 303, ID 305, size 304, and demand code 306 are information managed by the thick plate manufacturer. Accordingly, the standard 311, ID 312, size 313, and demand code 315 are also information manag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thick plate. In addition, the delivery date 314 of the thick plate is also information manag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thick plate. 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311, ID 312, size 313, delivery date 314, and demand code 315 are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a person.

또한, 후판에는, 이상과 같은 표시 이외에, 예를 들어 각인에 의한 표시가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Note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 display, display by, for example, engraving may be applied to the back plate.

<후판의 반송 형태><Conveyance mode of heavy plate>

<<수송선에 의한 수송>><<Transportation by Transport Ship>>

도 4는, 수송선에 대하여 후판이 짐싣기 및 짐 부리기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수송선(400)에 대하여, 갠트리크레인(410)을 사용하여 후판을 짐싣기 및 짐 부리기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5는, 후판(420)이 하역 장치(411)에 매달아 올려진 모습을 가터(412)의 연장 설치 방향(y축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x-y-z 좌표는, 도 4 및 도 5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how the heavy plate is loaded and unloaded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ship. In FIG. 4 ,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ship 400, a case in which heavy plates are loaded and unloaded using a gantry crane 410 is illustrated. FIG. 5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ck plate 420 is suspended from the loading device 411 as viewed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arter 412 (y-axis direction). The x-y-z coordinates shown in FIGS. 4 and 5 represent the relationship in the directions of FIGS. 4 and 5 .

갠트리크레인(410)은, 하역 장치(트롤리 등)(411), 가터(횡행 자릿수)(412) 및 다리 구조물(413)을 갖는다, 하역 장치(411)는, 반송 대상물을 매달아 올린 상태에서, 가터(412)의 연장 설치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도 4에서는, 후판(420)이, 하역 장치(411)로 매달아 올려져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후판(420)이 하역 장치(411)에 매달아 올려진 모습을 가터(412)의 연장 설치 방향(y축 방향)에서 보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된다.The gantry crane 410 has a loading device (trolley or the like) 411, a garter (traversing digit) 412, and a leg structure 413. It moves along the extension installation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412). In FIG. 4 , a state in which the thick plate 420 is lifted up by th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411 and moved is shown. When the back plate 420 is suspended from the loading device 411 and viewed from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arter 412 (y-axis direction), it is as shown in FIG. 5 .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하역 장치(411)에 의해, 1매의 후판(420)이 매달아 올려진 모습을 예시한다. 그러나, 하역 장치(411)에 의한 후판의 반송 형태는, 이러한 반송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 내지 도 6e는, 후판의 반송 형태의 제1 내지 제5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에서는, 하역 장치(411)를 보다 간략화하여 도시한다.In addition, in FIG. 4 and FIG. 5, the state in which the back plate 420 of 1 sheet was suspended by the loading apparatus 411 is illustrated. However, the transport mode of the heavy plate by the loading device 411 is not limited to such a transport mode. 6A to 6E are diagrams showing first to fifth examples of a heavy plate conveyance mode. 6A to 6E, the loading device 411 is shown more simplified.

도 6a에서는, 수평면(x-y 평면) 방향으로 2매의 후판이 배열된 상태에서 하역 장치(411)에 의해 동시에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6b에서는, 하역 장치(411)의 top측(x축의 부 방향측)에 있어서 1매의 후판이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6c에서는, 하역 장치(411)의 bottom측(x축의 정 방향측)에 있어서 1매의 후판이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6d에서는, 하역 장치(411)의 중앙에 있어서 1매의 후판이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도 6e에서는, 복수매(2매)의 후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하역 장치(411)에 의해 동시에 반송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매의 후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동시에 반송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6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wo thick plates are simultaneously transported by the loading device 411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plane (x-y plane) direction. 6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e thick plate is conveyed on the top side (the negative direction side of the x-axis) of the loading apparatus 411. 6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e thick plate is conveyed on the bottom sid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of the loading device 411. 6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e thick plate is being conveyed in the center of the loading device 411 . 6E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wo) thick plates are simultaneously conveyed by the loading device 411 in a stacked state. 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simultaneously conveyed in a stacked state.

이상과 같이, 하역 장치(411)에 의한 후판의 반송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역 장치(411)에 의한 후판의 매달아 올리기 방법은, 마그네트에 의한 자기 흡인력을 이용한 방법이어도, 해커를 이용한 방법이어도, 그 밖의 방법이어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port form of the heavy plate by the loading device 411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 hoisting method of the heavy board by the loading device 411 may be a method using magnetic attraction force by a magnet, a method using a hacker, or other methods.

갠트리크레인(410) 자체는, 공지된 기술로 설명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gantry crane 410 itself can be described with a known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제철소에서 제조된 후판은, 안벽에 운반되고, 갠트리크레인(410)으로 반송 가능한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인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후판은, 적층된 상태에서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이는 경우가 있다. 후판이 1매씩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4 등에서는, 표기의 사정상, 복수매의 후판의 두께(판 두께)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복수매의 후판의 두께가 다른 경우가 있다. 즉,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이는 후판의 두께, 폭 및 길이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가 있다.The thick plate manufactured in the steelworks is transported to the quay wall and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lace that can be transported by the gantry crane 410.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back plates may be placed in a predetermined place in a stacked state. In some cases, the back plate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lace one by one. In addition, in FIG. 4 etc.,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board thickness) of a plurality of thick plates is the same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notation.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thicknesses of the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different. That is, there is a case where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width, and length of the thick plate placed in a predetermined place is different.

도 4에서는, 후판의 판면이, 후판이 놓이는 면과 평행해지도록 복수의 후판을 겹쳐서 두는 경우를 예시한다. 단, 후판을 겹쳐서 두는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판의 판면이, 후판이 놓이는 면과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각도가 되도록 복수의 후판을 겹쳐서 두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안벽의 소정의 두는 곳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4 illustrate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overlapped so that the plate surface of the thick plates is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thick plates are placed. However, the method of stacking the thick plates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For example,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overlapped so that the plate surface of the thick plates is perpendicular or at an angle close to vertical with the surface on which the thick plates are placed. This is the same also in positions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place|placement of a quay wall.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터(412) 및 다리 구조물(413)에,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f)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f)의 수 및 위치는,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으로서 가능한 한 많은 후판의 표시 영역이 촬상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하역 장치(411)에도, 제1 촬상 장치(430g 내지 430m)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m)의 수 및 위치는,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m)의 적어도 하나의 촬상 장치에서, 갠트리크레인(410)에 의해 반송 중의 후판(420)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의 적어도 한쪽이 가급적으로 촬상되도록 설정된다.In this embodiment,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f are attached to the garter 412 and the leg structure 413 .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f are set so that as many display areas of the back plate as possible are imaged, such as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of the back plate and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of the back plate. Also in th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411, first imaging devices 430g to 430m are installed.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m are indicated by a stencil of the thick plate 420 during transport by the gantry crane 410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m.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reas by the area 201 and the label 202 is set to be imaged as much as possible.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m)는, 촬상 조건(촬상 방향, 화각, 줌 배율 및 조리개(F값) 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촬상 조건의 조정은,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제1 촬상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져도,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가터(412)에 설치되는 제1 촬상 장치(430g 내지 430m) 중, 반송 중의 후판(420)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촬상 장치(430i 내지 430m)는, 파이버스코프 카메라여도 된다. 파이버스코프 카메라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반송 중의 후판(420)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접사할 수 있다.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m can adjust imaging conditions (imaging direction, angle of view, zoom magnification, aperture (F value), etc.). Adjustment of the imaging conditions may be performed by an operator (worker) operating the first imaging device,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ased on an instruction from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for example, among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g to 430m attached to the garter 412,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i to 430m install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thick plate 420 during conveyance may be a fiber scope camera. do. If a fiberscope camera is used, for example,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and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of the thick plate 420 during transportation can be close-up.

또한, 제1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는 촬상 화상은, 정지 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동화상이어도 된다. 제1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는 촬상 화상이 동화상인 경우, 제1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으로부터 취출된 화상(즉, 동화상의 프레임 화상)이 후술하는 트래킹 장치(1200)에서 사용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제1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으로부터, 제1 촬상 장치로 촬상되는 피사체에 가능한 한 핀트가 맞은 정지 화상이 취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는 촬상 화상이 정지 화상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후술하는 제2 촬상 장치 내지 제7 촬상 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 is not limited to a still image, but may be a moving image. When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 is a moving image, an image extracted from the moving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 (i.e., a frame image of the moving image) is used in a tracking device 1200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extract a still image in focus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moving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 The fact that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is not limited to a still image is the same for the second to seventh imaging devices described later.

제철소로부터 반송된 후판은, 갠트리크레인(410)의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인다. 갠트리크레인(410)의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에 의해 촬상된다. 오퍼레이터(작업원)는 갠트리크레인(410)의 조작실에 있는 정보 처리 단말기나, 갠트리크레인(410)의 오퍼레이터(작업원)이 소지하고 있는 정보 처리 단말기(태블릿 단말기 등)를 조작하여,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에 대하여 프리뷰 화상의 표시 지시를 행한다.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는, 프리뷰 화상의 표시 지시에 기초하여, 프리뷰 화상을, 당해 정보 처리 단말기에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당해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프리뷰 화상이 표시된다. 오퍼레이터(작업원)는, 당해 정보 처리 단말기를 조작하여, 촬영해야 할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이 표시된 프리뷰 화상을 촬상하고 있는 제1 촬상 장치에 대하여 촬상 지시를 행한다.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는, 촬상 지시를 수신하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촬상한다. 또한, 프리뷰 화상은, 오퍼레이터(작업원)에 의한 확인을 위하여 표시되는 라이브 화상이고, 프리뷰 화상의 표시 지시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촬상 화상은, 프리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촬상 지시에 기초하여 촬상되는 화상인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프리뷰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반드시 프리뷰 화상을 표시할 필요는 없다.The heavy plate transported from the steelworks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gantry crane 410. An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of the back plate placed in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gantry crane 410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The operator (worker) operates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gantry crane 410 or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uch as a tablet terminal) possessed by the operator (worker) of the gantry crane 410, A preview image display instruction is given to the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transmit the preview image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based on the preview image display instruction. Then, the preview image is display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 operator (worker) operat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o give an imaging instruction to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is imaging a preview image in which a display area by a stencil to be captured is displayed. Upon receiving an imaging instruction,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capture a captured image of an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preview image is a live image displayed for confirmation by an operator (worker), and is displayed based on a preview image display instruction. It is assumed that the captured image is an image captured based on an imaging instruction when a preview image is displayed.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a preview image is displayed is exemplified here,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display a preview image.

복수매의 후판이 적층되어 동시에 반송되는 경우, 아래에 있는 후판에 대해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상할 수 없다. 이 경우,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 대신에,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이 촬상된다.When a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stacked and transported at the same time, the region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cannot be imaged for the underlying thick plates. In this case, instead of the captured image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a captured image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is captured.

후판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의 촬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작업원)는, 제1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무인 항공기(드론)(440a 내지 440b)를 조작하여, 원하는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제1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촬상해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촬상 장치에 의해, 원하는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촬상해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촬상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 장치(태블릿 단말기나 스마트폰 등)여도 된다.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back plate is placed,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and the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may not be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In this case, the operator (worker) operat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drones) 440a to 440b equipped with the first imaging device to capture the area (or label) of the desired thick plate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The captured image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by (202) may be captured using the first imaging device. In addition,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or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of the desired back plate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 possessed by the operator (worker). You may take a captured image. In addition, the first imaging device possessed by the operator (worker) may be, for example,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tablet terminal, smart phone, etc.) equipped with the first imaging device.

또한, 전술한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에 의한 프리뷰 화상의 표시와 촬상 화상의 촬상은,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 이외의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b, 430g 내지 430w)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또한, 복수매의 후판이 적층되어 동시에 반송되는 경우에,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촬상하는 것은,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 이외의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b, 430g 내지 430w)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의 촬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의 촬상 방법은,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 이외의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b, 430g 내지 430w)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 제1 촬상 장치(430c 내지 430f) 이외의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b, 430g 내지 430w)에 관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of the preview image and the imaging of the captured image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described above are carried out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b and 430g to 430w other than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is also executed in the same way.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stacked and conveyed simultaneously, capturing an image of an area including a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is performed by a first imaging device other than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430a to 430b, 430g to 430w) are similarly executed. In addition, an imaging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and the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are not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is The same applies to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b and 430g to 430w other than 430f).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b and 430g to 430w other than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c to 430f are omitted.

후판은, 갠트리크레인(410)의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인 후, 갠트리크레인(410)에 의해 수송선(400)에 짐싣기된다. 복수매의 후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동시에 수송선(400)에 짐싣기되는 경우가 있다. 후판이 1매씩 수송선(400)에 짐싣기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수송선(400)에 짐싣기되는 후판의 두께, 폭 및 길이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가 있다.After the heavy plate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gantry crane 410, it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ship 400 by the gantry crane 410. There i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heavy plates are loaded onto the transport ship 400 at the same time in a stacked state. In some cases, thick plates are loaded onto the transport ship 400 one by on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width, and length of the thick plate loaded on the transport ship 400 may be different.

갠트리크레인(410)에 의해 반송 중의 후판,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이, 하역 장치(411)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g 내지 430m)에 의해 촬상된다.A captured image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thick plate and stencil being transported by the gantry crane 410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g to 430m installed in th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411 .

후판이 수송선(400)에 짐싣기 되면, 당해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이, 가터(412)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b) 또는 수송선(40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n)에 의해 촬상된다. 수송선(40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n)도,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m)와 마찬가지로, 촬상 조건(촬상 방향, 화각, 줌 배율 및 조리개(F값) 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표기의 사정상, 수송선(400)에 설치되는 제1 촬상 장치의 수를 하나로 하고 있다. 그러나, 수송선(400)에는, 후판이 놓인 영역이 촬상 범위에 포함되도록 복수의 제1 촬상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When the thick plate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ship 400, a captured image of the region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of the thick plate is display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b attached to the garter 412 or An image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 430n installed in the transport ship 400 . Similarly to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m, the first imaging device 430n installed in the transport ship 400 also adjusts the imaging conditions (imaging direction, angle of view, zoom magnification, aperture (F value), etc.) it is possible In addition, in FIG. 4 , the number of first imaging devices installed in the transport ship 400 is set to one for convenience of notation. However, a plurality of first imaging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transport ship 400 so that the area where the thick plate is placed is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이상과 같이 하여 후판이 짐싣기된 수송선(400)은, 공장의 근처의 안벽에 착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송선(400)으로부터 후판이 짐 부리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갠트리크레인(410)을 사용하여 후판이 짐 부리기된다. 갠트리크레인(410)에 의해 반송 중의 후판에 대해서도, 수송선(400)에 짐싣기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촬상 화상이 촬상된다. 또한, 갠트리크레인(410)에 의해 짐 부리기되어, 갠트리크레인(410)의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이면, 당해 후판에 대해서도, 제철소로부터 반송되어서 갠트리크레인(410)의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촬상 화상이 촬상된다.The transport ship 400 loaded with thick plates in the above manner is focused on a quay wall near the factory. As described above, the heavy plate is unloaded from the transport ship 400.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heavy plate is unloaded using the gantry crane 410. Also for the thick plate being transported by the gantry crane 410, a captured image is cap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loading onto the transport ship 400. In addition, when the load is unloaded by the gantry crane 410 and placed in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gantry crane 410, the steel plate is transported from the steelworks and placed in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gantry crane 410. An image is captured.

<<수송 차량에 의한 수송>><<Transportation by transport vehicle>>

갠트리크레인(410)의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은, 수송 차량에 짐싣기된다. 도 7은, 수송 차량에 대하여 후판이 짐싣기 및 짐 부리기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갠트리크레인(410)의 소정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은,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후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동시에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되는 경우가 있다. 단, 후판이 1매씩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되는 후판의 두께, 폭 및 길이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한 것처럼 하여 후판을 반송하여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해도 된다.The heavy plate placed in the predetermined place of the gantry crane 410 is loaded onto a transport vehicle.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how a heavy plate is loaded and unloaded with respect to a transport vehicle. The heavy plate placed in the predetermined place of the gantry crane 410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using a crane not shown or the like. As shown in FIG. 7 , there i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at the same time in a stacked state.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thick plates are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one by on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width, and length of the thick plate loaded on the transport vehicle 700 may be different. Further, as shown in FIGS. 6A to 6E , the heavy plate may be transported and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

도 8은, 수송 차량(700)에 후판이 짐싣기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송 차량(700)의 대기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에 제1 촬상 장치(430o 내지 430p)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촬상 장치(430o 내지 430p)의 수 및 위치는,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된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으로서 가급적으로 많은 후판의 표시 영역이 촬상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수송 차량(700)에도 제1 촬상 장치(430q)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촬상 장치(430o 내지 430q)도,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m)와 마찬가지로, 촬상 조건(촬상 방향, 화각, 줌 배율 및 조리개(F값) 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heavy plate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 First imaging devices 430o to 430p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installed in a waiting posi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o to 430p are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and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of the thick plate loaded on the transport vehicle 700, displaying as many thick plates as possible. An area is set to be imaged. A first imaging device 430q is also installed in the transport vehicle 700 . Similarly to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m,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o to 430q can also adjust imaging conditions (imaging direction, angle of view, zoom magnification, aperture (F value), etc.).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된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o 내지 430q)에 의해 촬상된다.An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of the thick plate loaded on the transport vehicle 700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o to 430q.

<<공장 내에 있어서의 반송>><<Delivery within the factory>>

이상과 같이 하여 후판이 짐싣기된 수송 차량(700)이 공장에 도착하면, 수송 차량(700)으로부터 후판이 짐 부리기된다.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된 후판은,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수송 차량(700)으로부터 짐 부리기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매의 후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동시에 수송 차량(700)으로부터 짐 부리기되는 경우가 있다. 단, 후판이 1매씩 수송 차량(700)으로부터 짐 부리기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수송 차량(700)으로부터 짐 부리기되는 후판의 두께, 폭 및 길이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한 것처럼 하여 후판을 반송하여 수송 차량(700)으로부터 짐 부리기되어도 된다. 또한, 수송선(400)으로부터 갠트리크레인(410)의 소정의 두는 곳에 후판을 반송할 때에 사용하는 반송 기기(갠트리크레인(410))와, 수송 차량(700)으로부터 공장 내의 두는 곳에 후판을 반송할 때에 사용하는 반송 기기(도시하지 않은 크레인 등)는 다른 반송 기기이다. 이와 같이, 어떤 반송 기기로 어떤 두는 곳에 반송된 후판은, 당해 어떤 반송 기기와는 다른 반송 기기로, 당해 어떤 반송 기기로는 반송할 수 없는 다른 두는 곳에 반송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공장 내의 각 두는 곳 사이 등의 그 밖의 두는 곳 사이에 있어서 후판을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When the transport vehicle 700 loaded with the heavy plate as described above arrives at the factory, the heavy plate is unload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700 . The heavy plate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is unload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700 using a crane or the like not shown. As shown in FIG. 7 , there i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unload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700 at the same time in a stacked state.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heavy plates are unload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700 one by on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width, and length of the thick plate unload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700 may be different.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6A to 6E , the heavy plate may be transported and unload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700 . In addition, when conveying a heavy plate from the transport ship 400 to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gantry crane 410, the conveying device (gantry crane 410) used when conveying the heavy plate from the transport vehicle 700 to a place in the factory The transport equipment used (such as a crane not shown) is another transport equipment. In this way, a thick plate transported to a certain place by a certain conveying machine may be conveyed to a different place that cannot be conveyed by a conveying machine different from the certain conveying machine. This is the same also in the case of conveying a thick plate between other storage places, such as between each storage place in a factory.

도 9a 내지 도 9c는, 공장 내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모습의 제1 내지 제3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공장 내의 두는 곳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에 제1 촬상 장치(430r 내지 430w)가 설치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판은, 공장 내의 두는 곳에 다양한 양태로 놓인다. 그래서, 제1 촬상 장치(430r 내지 430w)의 수 및 위치는,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으로서 가급적으로 많은 후판의 표시 영역이 촬상되도록 설정된다. 제1 촬상 장치(430r 내지 430w)도,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m)와 마찬가지로, 촬상 조건(촬상 방향, 화각, 줌 배율 및 조리개(F값) 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9A to 9C are diagrams showing first to third examples of the appearance of thick plates placed in a storage area in a factory. First imaging devices 430r to 430w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installed in a storage area in a factory. As shown in FIGS. 9A to 9C , the thick plate is placed in a place in the factory in various ways. Therefore,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r to 430w are set so that as many display areas of the back plate as possible are imaged, such as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and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of the back plate placed in the place. is set Similarly to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m,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r to 430w can also adjust imaging conditions (imaging direction, angle of view, zoom magnification, aperture (F value), etc.).

공장 내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r 내지 430w)에 의해 촬상된다.An area including a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of a thick plate placed in a storage area in a factory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r to 430w.

후판이 입하용의 두는 곳에 놓이면, 당해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촬상 장치(430r 내지 430w)에 의해 촬상된다.When the back plate is placed in a place for loading,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or the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using the stencil of the back plate is the first imaging device (430r to 430w) as described above. ) is imaged by

그 후, 후판은, 생산 설비에 반송된다. 도 10은, 생산 설비에서 후판이 처리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생산 설비(1000)는, 예를 들어 열처리를 행하기 위한 설비 및 가스 절단을 행하기 위한 설비이다. 도 10에서는, 반송 롤(1001)을 사용하여 후판(1002a, 1002b)이 반송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두는 곳과 반송 롤(1001) 사이의 후판의 반송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 장치 등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After that, the thick plate is conveyed to the production facility.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how thick plates are processed in a production facility. In FIG. 10 , a production facility 1000 is, for example, a facility for heat treatment and a facility for gas cutting. In FIG. 10, the case where thick board 1002a, 1002b is conveyed using the conveyance roll 1001 is illustrated. In addition, conveyance of the thick plate between the place and the conveyance roll 1001 is realized by using a conveyance device or the like not shown.

공장의 생산 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에 제1 촬상 장치(430x 내지 430y)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촬상 장치(430x 내지 430y)의 수 및 위치는, 후판(1002a, 1002b)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촬상되도록 설정된다. 제1 촬상 장치(430x 내지 430y)도,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m)와 마찬가지로, 촬상 조건(촬상 방향, 화각, 줌 배율 및 조리개(F값) 등)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 롤(1001) 상을 반송되는 후판(1002a, 1002b)은, 겹쳐지는 일은 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반송 롤(1001) 상의 후판(1002a, 1002b)의 반송 경로는, 미리 상정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촬상 장치(430x 내지 430y)에 의해, 후판(1002a, 1002b)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촬상되지 않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한다. 단, 제1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무인 항공기를 사용하여, 후판(1002a, 1002b)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촬상해도 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파선은, 반송 롤(1001) 상의 후판(1002a, 1002b)의 반송 경로를 나타내고, 실재하는 것은 아니다.First imaging devices 430x to 430y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installed in a production line of a factory.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x to 430y are set so that the display area 201 of the rear plates 1002a and 1002b is imaged by the stencil. Similarly to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m,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x to 430y can also adjust the imaging conditions (imaging direction, angle of view, zoom magnification, aperture (F value), etc.).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ick plates 1002a and 1002b conveyed on the conveyance roll 1001 do not overlap. In addition, the conveyance route of thick board 1002a, 1002b on the conveyance roll 1001 is assumed beforehand. For this reason,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case where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of the back plate 1002a, 1002b is not imag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x to 430y. However, you may image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of the back plate 1002a, 1002b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rovided with the 1st imaging device. In addition, in FIG. 10, the broken line shows the conveyance route of thick board 1002a, 1002b on the conveyance roll 1001, and is not real.

공장 내의 두는 곳에서 반송된 후판(1002a)은, 반송 롤(1001)에 적재되고, 반송 롤(1001)에 의해 반송된다. 생산 설비(1000)에 들어가기 전에 반송 롤(1001) 상을 반송 중의 후판(1002a)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x)에 의해 촬상된다. 또한, 생산 설비(1000)에 있어서 처리가 종료하여 생산 설비(1000)로부터 나온 후에, 반송 롤(1001) 상을 반송 중의 후판(1002b)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y)에 의해 촬상된다.The thick plate 1002a conveyed at the place in the factory is loaded on the conveyance roll 1001 and conveyed by the conveyance roll 1001 . Before entering the production facility 1000,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of the thick plate 1002a during conveyance on the conveyance roll 1001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 430x. In addition, after processing is completed in the production facility 1000 and exited from the production facility 1000,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of the thick plate 1002b during conveyance on the conveyance roll 1001 is ,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 430y.

그 후, 후판은, 창고 내에 있어서, 도 9a 내지 도 9c에 예시하는 것과 같은 두는 곳에 놓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장 내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r 내지 430w)에 의해 촬상된다. 출하 시에 있어서는, 후판은, 창고로부터 출하용의 두는 곳으로 이동된다. 출하용의 두는 곳에 놓인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1 촬상 장치(430r 내지 430w)에 의해 촬상된다.After that, the thick plate is placed in a storage place as illustrated in Figs. 9A to 9C in the warehouse. As described above,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or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of the thick plate placed in the storage area in the factory is imag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r to 430w. do. At the time of shipment, a thick board is moved from a warehouse to a place for shipment. An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or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of the thick plate placed in the place for shipment is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r to 430w.

공장 내의 각 두는 곳에 있어서도, 복수매의 후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놓이는 경우가 있다. 후판이 1매씩 공장 내의 각 두는 곳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또한, 공장 내의 각 두는 곳에 놓이는 후판의 두께, 폭 및 길이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경우가 있다.Even in each storage place in a factory, there are cases where a plurality of thick plates are placed in a stacked state. In some cases, thick plates are placed at each place in the factory one by one.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width, and length of the thick plate placed at each place in the factory is different.

도 11은, 원래의 후판과, 절단 후의 후판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후판(1100)이 절단되어서, 후판(1110, 1120, 1130, 1140)이 제조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후판(1110, 1120, 1130, 1140)이 제조된 후, 각각의 후판(1110, 1120, 1130, 1140)에 대하여 표시가 실시된다. 도 11에서는, 후판(1110, 1120, 1130, 1140)에 대한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을 도시한다.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에는, 후판(1110, 1120, 1130, 1140)의 ID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에는,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한 표시가 행해진다.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추가하여, 각인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의 적어도 한쪽을 행해도 된다. 또한,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에 있어서의 표시는, 수기에 의한 표시여도 된다.Fig.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riginal thick plate and the thick plate after cutting. 1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thick plate 1100 is cut and the thick plates 1110, 1120, 1130, and 1140 are manufactured. After the thick plates 1110, 1120, 1130, and 1140 are manufactured in this way, display is performed on each of the thick plates 1110, 1120, 1130, and 1140. In FIG. 11 , display areas 1111 , 1121 , 1131 , and 1141 for the rear plates 1110 , 1120 , 1130 , and 1140 are shown. In the display areas 1111 , 1121 , 1131 , and 1141 , information including IDs of the rear plates 1110 , 1120 , 1130 , and 1140 is displayed. In the display regions 1111, 1121, 1131, and 1141, display is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tencil. In addition to display with a stencil, at least one of display with a mark and display with a label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display in the display areas 1111, 1121, 1131, and 1141 may be handwritten display.

또한,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에, 원래의 후판(1100)의 ID가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에는,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한 표시가 행해진다. 단,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에 있어서의 표시는, 수기에 의한 표시여도 된다. 이것은, 표시 영역(201)에 대한 표시나, 라벨(202)에 의한 표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인 것으로 한다.In the display areas 1111, 1121, 1131, and 1141, the ID of the original thick plate 1100 may be displayed. In the display regions 1111, 1121, 1131, and 1141, display is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tencil. However, display in the display areas 1111, 1121, 1131, and 1141 may be handwritten display. This is the same for display in the display area 201 and display using the label 202 . Below,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areas 1111, 1121, 1131, and 1141 are display areas using stencils.

후판(1110, 1120, 1130, 1140)이 제조된 경우,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촬상 장치에 의해, 원하는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촬상해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촬상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 장치(태블릿 단말기나 스마트폰 등)여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작업원)는, 제1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무인 항공기를 조작하여, 원하는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당해 제1 촬상 화상에 의해 촬상해도 된다.When the thick plates 1110, 1120, 1130, and 1140 are manufactured, for example, display areas 1111, 1121, 1131, 1141) may be captured. In addition, the first imaging device possessed by the operator (worker) may be, for example,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tablet terminal, smart phone, etc.) equipped with the first imaging device. In addition, an operator (worker) operat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equipped with the first imaging device to obtain a captured image of a region including the display regions 1111, 1121, 1131, and 1141 using a stencil of a desired rear plate. You may image by the 1st captured imag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수송선(400)에 놓였을 때와, 수송선(400)으로부터 짐 부리기되어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되었을 때와, 갠트리크레인(410) 및 공장의 각 두는 곳에 놓였을 때에, 각 후판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1111, 1121, 1131, 1141)을 포함하는 영역,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이 얻어지는 경우를 예시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at least when placed on the transport ship 400, when unloaded from the transport ship 400 and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and when the gantry crane 410 and the plant are placed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captured images of areas including display areas 201, 1111, 1121, 1131, and 1141 by stencils, and areas including display areas by labels 202 of each thick plate are obtained when placed in a position do.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촬상되는 촬상 화상을 사용하여, 트래킹 장치에 의해 후판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트래킹한다. 또한, 후판이 1매씩 반송되는 경우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촬상할 수 있으므로,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은 불필요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를 총칭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로 표기한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1111, 1121, 1131, 1141) 및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총칭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으로 표기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back plate is automatically tracked by the tracking device using the captured image captur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en the thick plates are conveyed one by one, since the display area 201 can be imaged using the stencil, a captured image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becomes unnecessar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display by stencil and the display by label 20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display by stencil (label) is used as necessary.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areas 201, 1111, 1121, 1131, 1141 and the display areas using the label 20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tencil display areas, they are indicated as display areas using stencils (labels) as necessary.

<트래킹 장치><Tracking device>

도 12는, 트래킹 장치(1200)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트래킹 장치(1200)의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CPU, ROM, RAM, HDD 및 각종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전용의 하드웨어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3은, 트래킹 장치(1200)에 의해 관리되는 관리 테이블(13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tracking device 1200. The hardware of the tracking device 1200 is realized by using, for exampl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a CPU, ROM, RAM, HDD, and various interfaces, or dedicated hardware.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managed by the tracking device 1200.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래킹 장치(1200)는, 제1 화상 취득부(1201)와, 인식부(1202)와, 입수부(1203)와, 대조부(1204)와, 특정부(1205)와, 위치 도출부(1206)와, 기억부(1207)와, 출력부(1208)와, 제2 화상 취득부(1209)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2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cking device 1200 includes a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1201, a recognition unit 1202, an acquisition unit 1203, a matching unit 1204, It has a specification unit 1205, a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a storage unit 1207, an output unit 1208, and a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1209.

제1 화상 취득부(1201)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제1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 인식부(1202)는, 제1 화상 취득부(12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으로부터,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 위치 등을 인식한다. 입수부(1203)는, 후술하는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현품 표시의 란의 ID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입수한다. 대조부(1204)는, 인식부(1202)에서 인식된 정보와, 입수부(1203)에서 입수된 정보를 대조한다. 특정부(1205)는, 대조부(1204)에 있어서의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하나의 후판을 특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인식부(1202), 입수부(1203), 대조부(1204) 및 특정부(1205)를 갖는다.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x-y-z 좌표(3차원 좌표)를 특정부(1205)에서 특정된 후판의 3차원 위치로서 도출한다. 기억부(1207)는,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한다. 출력부(1208)는,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제2 화상 취득부(1209)는, 위치 도출부(1206)에 있어서,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제2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 트래킹 장치(1200)의 상세의 일례에 대해서는,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후술한다.The first image acquiring unit 1201 acquires a first captured image of an area including a display area by a stencil (label). The recognition unit 1202 recognizes, from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1201, components, positions, and the like of display items in display using a stencil (label). Acquisition unit 1203 obtains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umn of ID of the column of actual product display in management table 1300 described later. The matching unit 1204 checks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cognizing unit 1202 and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obtaining unit 1203. The specifying unit 1205 specifies one thick plate from among the thick plates manag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based on the result of collation in the verifying unit 1204 . In this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that acqui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ck plate has a recognition unit 1202, an acquisition unit 1203, a verification unit 1204, and a specification unit 1205.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the x-y-z coordinates (3-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as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unit 1205. The storage unit 1207 stor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The output unit 1208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1209 acquires, in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a second captured image for specifying a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a stencil (label). A detailed example of the tracking device 1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in FIG. 17 .

도 13에 있어서, 관리 테이블(1300)에는, 트래킹 장치(1200)가 후판을 트래킹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정보가 기억된다.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는 정보에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단,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부는, 유통 등에 있어서도 활용할 수 있는 정보여도 된다. 여기서,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란 후판의 제조 메이커가 설정 또는 취득한 정보이다.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에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의 종업원인 오퍼레이터가 당해 정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 의해 작성되고,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된 정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트래킹 데이터의 일례이고, 관리 테이블(1300)에 각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트래킹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가 실현된다.In Fig. 13, information used by the tracking device 1200 to track the back plate is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includes information managed by the thick plate manufacturer. However, part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may be information that can be utilized also in distribution or the like. Here, the information managed by the heavy plate manufacturer is information set or acquired by the heavy plate manufacturer. The information managed by the heavy plate manufacturer includes information that allows an operator who is an employee of the heavy plate manufactur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managed by the heavy plate manufacturer is information created by, for example, the heavy plate manufacturer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 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is an example of tracking data, and by storing each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an example of the data structure of the tracking data is realized.

도 13에 있어서, 동일한 열에 있어서의 정보가 동일한 후판에 대한 식별 정보가 된다(동일한 No. 아래의 란은, 동일한 후판에 대한 식별 정보가 각각 기억되는 란이 된다).In Fig. 13, information in the same column becom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me thick plate (a column under the same No. becomes a column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me thick plate is stored, respectively).

도 13에 있어서, 현품 표시의 란에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의 각 표시 항목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 비현품 표시의 란에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의 각 표시 항목에 관한 정보 이외의 정보가 기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품 표시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가 트래킹 데이터에 포함되는 표시 정보의 일례이고, 비현품 표시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가 트래킹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표시 정보의 일례이다.In Fig. 13, information related to each display item displayed by a stencil (label) is stored in the field of actual item display. Information other than information about each display item of display by a stencil (label) is stored in the column of the non-actual item displa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umn of the actual item display is an example of displa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cking data,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on-display column is an example of non-displa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cking data.

관리 테이블(1300)의 현품 표시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An example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umn of the actual product display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will be described.

현품 표시의 란에 있어서, 스텐실의 란에는, 스텐실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column of the actual product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encil is stored in the column of the stencil.

스텐실의 란의 ID의 란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305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구성 요소란, 문자, 숫자, 기호, 마크 등, 표시 항목을 구성하는 개개의 정보를 가리킨다.In the ID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the components of ID305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is stored. In addition, a constituent element refers to individual information constituting a display item, such as letters, numbers, symbols, and marks.

스텐실의 란의 수요가 이름의 란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수요가 이름(302)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column of the name of the customer in the column of the stencil,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name of the customer 302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is stored.

스텐실의 란의 사이즈의 란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사이즈(304)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size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size 304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is stored.

스텐실의 란의 규격의 란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규격(303)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specification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the standard 303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is stored.

스텐실의 란의 수요가 코드의 란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수요가 코드(306)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demand code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the demand code 306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is stored.

스텐실의 란의 주문 번호의 란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주문 번호(307)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order number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the order number 307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is stored.

이상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 이외에,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표시 항목으로서 표시될 가능성이 있는 표시 항목의 내용도,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된다. 도 13의 스텐실의 란의 추가 정보의 란 아래의 「···」은, 이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시 항목 자체는 추가 및/또는 삭제되어도 된다.In addition to the display items in the above stencil display, the contents of display items that may be displayed as display items in the stencil display are also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 "..." under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in Fig. 13 indicates this. Also, the display items themselves may be added and/or deleted.

현품 표시의 란에 있어서, 라벨의 란에는, 라벨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field of display of the actual item,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bel is stored in the column of label.

라벨의 란의 ID의 란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312)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ID column of the labe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the ID 312 included in the label display is stored.

라벨의 란의 사이즈의 란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사이즈(313)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size column of the labe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size 313 included in the label display is stored.

라벨의 란의 규격의 란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규격(311)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specification column of the labe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the standard 311 included in label display is stored.

라벨의 란의 납기의 란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납기(314)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delivery date column of the labe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the delivery date 314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label is stored.

라벨의 란의 수요가 코드의 란에는, 라벨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수요가 코드(315)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demand code field of the label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the demand code 315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label is stored.

이상의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 이외에, 라벨에 의한 표시의 표시 항목으로서 표시될 가능성이 있는 표시 항목의 내용도,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된다. 도 13의 라벨의 란의 수요가 코드의 란 아래의 「···」은, 이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시 항목 자체는 추가 및/또는 삭제되어도 된다.In addition to the display items in the above label display, the contents of display items that may be displayed as display items in the label display are also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 "..." under the column of the demand code in the column of the label in Fig. 13 indicates this. Also, the display items themselves may be added and/or deleted.

이어서, 관리 테이블(1300)의 비현품 표시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umn of non-actuated item display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will be described.

물품 내 위치의 란에는, 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를 원점(기준)으로 한 경우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column of position in the articl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whe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back plate is used as the origin (reference) is stored.

물품 내 위치의 란의 스텐실의 란에는, 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를 원점(기준)으로 한 경우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column of the stencil of the column of position in the articl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whe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ck plate is used as the origin (standard) is stored.

물품 내 위치의 란의 라벨의 란에는, 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를 원점(기준)으로 한 경우의, 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column of label in the column of position in articl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whe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ck plate is used as the origin (standard) is stored.

물품 위치의 란에는,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는, 트래킹 장치(1200)에 의해 특정된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따라서, 트래킹 장치(1200)에 의해 특정되는 동일한 후판의 3차원 위치는, 트래킹의 진행(후판의 이동)에 수반하여, x 좌표 및 y 좌표뿐만 아니라 z 좌표도 바뀌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트래킹 장치(1200)에 의해 특정되는 동일한 후판의 정보 표시 위치의 3차원 위치도, 트래킹의 진행(후판의 이동)에 수반하여, x 좌표 및 y 좌표(수평면 방향의 위치)뿐만 아니라 z 좌표(높이 방향의 위치)도 바뀌는 경우가 있다.In the article position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is store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article position colum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specified by the tracking device 1200 . Therefore, in the 3D position of the same thick plate specified by the tracking device 1200, not only the x and y coordinates but also the z coordinate may change as the tracking progresses (movement of the thick plate). Therefor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f the same back plate specified by the tracking device 1200 is not only the x coordinate and the y coordinate (position in the horizontal plane direction) but also the z coordinate along with the progress of tracking (movement of the back plat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may also change.

등록 시각의 란에는, 후판이 현재의 위치에 놓인 일시(일자와 시각으로부터 정해지는 타이밍)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column of the registration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ate and time (timing determined from the date and time) when the rear plate is placed at the current position is stored.

친 ID의 란에는, 원래의 후판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공장에 있어서 후판이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원래의 후판이란, 절단 전의 후판을 가리킨다. 따라서, 친 ID의 란에, 원래의 후판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당해 친 ID의 란과 동일한 열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절단 후의 후판에 대한 정보가 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후판(1110, 1120, 1130, 1140)이 제조된 경우,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당해 후판(1110, 1120, 1130, 1140)에 대한 현품 표시의 란에는,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에 표시되는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당해 후판(1110, 1120, 1130, 1140)에 대한 친 ID의 란에는, 후판(11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단 후의 후판의 정보에 대해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새로운 열(No)로서 관리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현품 표시 및 비현품 표시의 란에, 절단 후의 후판에 대한 정보가 기억된다.In the parent ID column,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original back plate is stored. There are cases in which thick plates are cut in factories. The original thick plate refers to the thick plate before cutting. Therefore,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original back plate is stored in the parent ID colum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umn of the same column as the parent ID column becomes information on the back plate after cutting. When the thick plates 1110, 1120, 1130, and 1140 are manufactured as shown in FIG. 11,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in the column for displaying the actual product for the thick plates 1110, 1120, 1130, and 1140,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isplay item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s 1111, 1121, 1131, and 1141 is stored. Further, in the parent ID column for the thick plates 1110, 1120, 1130, and 1140,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hick plate 1100 is stored. Thus, in this embodiment, about the information of the back plate after cutting, the case where it manages as a new column No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shown in FIG. 13 is illustrat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information about the thick plate after cutting is stored in the fields of display on actual item and display of non-existent item.

여기서, 예를 들어 후판(1110)이 절단되어서 또 다른 복수의 후판이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당해 별도의 복수의 후판에 대한 친 ID의 란에는, 후판(111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후판(1110)에 대한 친 ID의 란에는, 후판(11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친 ID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더듬어 감으로써, 각 후판의 변천을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어떤 후판에 대해서, 친 ID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더듬어 감으로써 얻어지는 후판의 배열을, 당해 후판의 절판 계열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후판(1110)의 절판 계열은, 후판(1100, 1110)이 된다. 또한, 각 후판의 친 ID의 란에는, 예를 들어 그 절판 계열을 알 수 있도록, 바로 근처의 후판의 ID를 나타내는 정보뿐만 아니라, 그 절 계열에 속하는 모든 후판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어느 ID도 제조 메이커에 있어서 정의된 것이 사용된다.Here, for example, there i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other thick plates are manufactured by cutting the thick plate 1110 . In this cas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hick plate 1110 is stored in the parent ID column for the plurality of other thick plates. In the parent ID column for the back plate 1110,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back plate 1100 is stored. In this way, by trac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lumn of parent ID,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change of each back plate. In this way, for a certain thick plate, the sequence of thick plates obtained by trac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rent ID field is referred to as the out-of-plate series of the thick plate. For example, the out-of-plate series of the thick plate 1110 becomes the thick plate 1100, 1110. In addition, in the column of parent ID of each back plate, not only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next back plate but also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all back plates belonging to that section series is stored so that, for example, the out-of-school series can be known do. In this case, any ID defined by the manufacturer is used.

운반 도구 ID의 란에는, 후판의 운반 도구의 ID가 기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반 도구가, 수송선(400) 및 수송 차량(700)인 경우를 예시한다.In the column of the carrying tool ID, the ID of the heavy plate carrying tool is stored.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transport tool is the transport ship 400 and the transport vehicle 700 is exemplified.

후판이 수송선(400)에 짐싣기되면, 트래킹 장치(1200)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수송선(4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When the thick plate is loaded on the transport ship 400, the tracking device 1200 may sto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as follows, for example.

먼저, 트래킹 장치(1200)는, 당해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선(400)의 ID(소위 선번)를 취득한다. 그리고, 트래킹 장치(1200)는, 관리 테이블(1300)의 ID의 란으로부터, 취득한 후판의 ID와 동일한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을 특정한다. 그리고, 트래킹 장치(1200)는, 특정한 열의 운반 도구 ID의 란에, 취득한 수송선(4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First, the tracking device 1200 acquires the ID of the thick plate and the ID of the carrier 400 (so-called ship number). Then, the tracking device 1200 specifies, from the ID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a column in which information indicating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acquired back plate is stored. Then, the tracking device 1200 stor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acquired in the column of the carrying tool ID of the specific column.

예를 들어, 제1 촬상 장치(430a, 430b, 430n)에 의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과, 수송선(4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을 촬상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트래킹 장치(1200)는, 당해 촬상 화상으로부터, 후판의 ID와 수송선(400)의 ID를 인식하여 취득해도 된다.For example, the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or the display area using a label 202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are display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430b, and 430n. A captured image including an area may be captured. In this case, the tracking device 1200 may recognize and acquire the ID of the thick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from the captured image.

또한, 제1 촬상 장치(430a, 430b, 430n)에 의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과, 수송선(4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을 촬상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의 다음에, 수송선(4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이 촬상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트래킹 장치(1200)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으로부터 인식되는 ID와, 수송선(4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으로부터 인식되는 ID를, 후판의 ID와 수송선(400)의 ID로서 취득해도 된다.In addition, an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430b, and 430n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or the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are provided. A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displayed area may be captured. For example, after the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or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the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area where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ation ship 400 is displayed is It may be taken as being imaged. In this case, the tracking device 1200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recognized from the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or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and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IDs recognized from the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area being formed may be acquired as the ID of the thick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또한, 예를 들어 수송선(400)의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정보 처리 단말기(태블릿 단말기 등)에 후판의 ID와 수송선(400)의 ID를 입력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당해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트래킹 장치(1200)에, 후판의 ID와 수송선(400)의 ID를 송신함으로써, 트래킹 장치(1200)가, 당해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선(400)의 ID를 취득해도 된다.Further, for example, the thick plate ID and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may be input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ablet terminal or the like) possessed by an operator (worker) of the transport ship 400 . In this case, the ID of the thick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are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o the tracking device 1200, so that the tracking device 1200 transmits the ID of the heavy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 ship 400. may acquire

또한, 후판이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되면, 트래킹 장치(1200)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수송 차량(7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In addition, when the heavy plate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the tracking device 1200 may sto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as follows, for example.

먼저, 트래킹 장치(1200)는, 당해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 차량(700)의 ID(예를 들어, 번호판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트래킹 장치(1200)는, 관리 테이블(1300)의 ID의 란으로부터, 취득한 후판의 ID와 동일한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을 특정한다. 그리고, 트래킹 장치(1200)는, 특정한 열의 운반 도구 ID의 란에, 취득한 수송 차량(7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First, the tracking device 1200 acquires the ID of the heavy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700 (for example, license plate information). Then, the tracking device 1200 specifies, from the ID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a column in which information indicating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acquired back plate is stored. Then, the tracking device 1200 stor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cquired ID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in the column of the transportation tool ID of the specific row.

예를 들어, 제1 촬상 장치(430o 내지 430q)에 의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과, 수송 차량(7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을 촬상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트래킹 장치(1200)는, 당해 촬상 화상으로부터, 후판의 ID와 수송 차량(700)의 ID를 인식하여 취득해도 된다.For example, the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or the display area using a label 202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o to 430q, and an area whe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700 is displayed You may take a captured image including . In this case, the tracking device 1200 may recognize and acquire the ID of the rear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700 from the captured image.

또한, 제1 촬상 장치(430o 내지 430q)에 의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과, 수송 차량(7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을 촬상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의 다음에, 수송 차량(7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이 촬상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트래킹 장치(1200)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 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으로부터 인식되는 ID와, 수송 차량(700)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촬상 화상으로부터 인식되는 ID를, 후판의 ID와 수송 차량(700)의 ID로서 취득해도 된다.In addition, by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o to 430q, a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or the display area using a label 202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700 are displayed. You may take a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area in which it has been. For example, after the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or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the captured image includes the area where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700 is displayed. This may be imaged. In this case, the tracking device 1200 provi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recognized from the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or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and the ID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700 The ID recognized from the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displayed area may be acquired as the ID of the rear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

또한, 예를 들어 수송 차량(700)의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정보 처리 단말기(태블릿 단말기 등)에 후판의 ID와 수송 차량(700)의 ID를 입력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당해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트래킹 장치(1200)에, 후판의 ID와 수송 차량(700)의 ID를 송신함으로써, 트래킹 장치(1200)가, 당해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 차량(700)의 ID를 취득해도 된다.Further, for example, the ID of the back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may be input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uch as a tablet terminal) possessed by an operator (worker)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 In this case, by transmitting the ID of the thick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o the tracking device 1200, the tracking device 1200 transmits the ID of the thick plate and the ID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You may acquire an ID.

관리 테이블(1300)의 데이터 구조는, 관리 테이블(1300)의 각 란에 기억되는 정보(예를 들어, 물품 위치 및 등록 시각)가, 후판이 새로운 위치에 놓일 때마다, 정보가 갱신되는 데이터 구조여도 된다. 또한, 관리 테이블(1300)의 데이터 구조는, 정보가 추가되는 데이터 구조여도 된다. 후자의 경우, 트래킹의 이력을 쫓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data structure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is a data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stored in each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for example, product position and registration time) is updated whenever a back plate is placed in a new position. may be In addition, the data structure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may be a data structure to which information is added. In the case of the latt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rack the history of tracking.

이어서, 관리 테이블(1300)의 현품 표시의 란에 기억되는 내용과, 비현품 표시의 란의 물품 내 위치의 란에 기억되는 내용의 일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item display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and the content stored in the item position column in the non-item display column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도 14는,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와,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표시 위치 및 도 3a에 나타내는 내용에서, 스텐실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sition of a stencil in an article and a position of components of each display item in a display using a stencil. In FIG. 14, a case where display by a stencil is made in the display position shown in FIG. 2 and the content shown in FIG. 3A is exemplified.

도 14에서는, 직육면체의 후판의 8개의 정점 중, 도 2에 나타내는 정점(203)을 원점으로 하고, 당해 정점(203)으로부터, 후판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y축의 정 방향, 후판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x축의 정 방향으로 하는 x-y 좌표에서,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와, 스텐실에 의한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를 나타낸다.In Fig. 14, among the eight vertices of the thick plat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vertex 203 shown in Fig. 2 is the origin, and the direction from the vertex 203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i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In the x-y coordinates where the direction along i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the position of the stencil in the article and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of each display item by the stencil are shown.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 중, x축의 최댓값, x축의 최솟값, y축의 최댓값 및 y축의 최솟값이 되는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외접 직사각형의 4개 정점 중, 대각선 상에 있는 2개의 정점의 x-y 좌표를,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로 한다. 도 14에서는, 외접 직사각형의 2개의 정점(1401a, 1401b)의 x-y 좌표(Ls10, Ws10), (Ls11, Ws11)가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외접 직사각형은, 물품 내 위치를 표현하는 좌표축(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x축 및 y축)에 평행한 직사각형인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vertices of a circumscribed rectangle determined by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of the x-axis, the minimum value of the x-axis, the maximum value of the y-axis,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y-axis among the positions of the components of each display item in the display using the stencil Among them, the x-y coordinates of the two vertices on the diagonal are taken as the positions of the stencil in the article. In Fig. 14, the x-y coordinates (Ls10, Ws10) and (Ls11, Ws11) of the two vertices 1401a and 1401b of the circumscribed rectangle represent positions of the stencil in the article. Note that, in order to simplify the explanation here, the circumscribed rectangle is assumed to be a rectangle parallel to the coordinate axes (x-axis and y-ax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expressing the position in the article.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문자, 숫자, 기호, 마크)의 무게 중심(또는 도심)의 위치의 x-y 좌표를, 당해 구성 요소의 위치로 한다. 도 14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305)의 구성 요소인 5, 6, 3, 4, 9, 7, -, 0, 1의 y축 좌표가, 각각, Ws1, Ws2, Ws3, Ws4, Ws5, Ws6, Ws7, Ws8, Ws9이고, x축 좌표가, 모두 Ls1인 것을 나타낸다.Further, the x-y coordinates of the positions of the centers of gravity (or centroid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letters, numbers, symbols, and marks) of each display item in the display using the stencil are taken as the posi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In FIG. 14, the y-axis coordinates of 5, 6, 3, 4, 9, 7, -, 0, 1,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D 305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are Ws1, Ws2, Ws3, Ws4, Ws5, Ws6, Ws7, Ws8, and Ws9 indicate that all of the x-axis coordinates are Ls1.

이상과 같이 하여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각 표시 항목의 각 구성 요소의 위치가 x-y 좌표로 표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each component of each display item of the display by the stencil is displayed by x-y coordinates.

도 15는, 라벨의 물품 내 위치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표시 위치 및 도 3b에 나타내는 표시 내용에서, 라벨에 의한 표시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Fig.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osition of a label in an article and the position of components of each display item in a label display. In FIG. 15, a case where display by a label is performed in the display position shown in FIG. 2 and the display content shown in FIG. 3B is exemplified.

도 15에서는, 직육면체의 후판의 8개의 정점 중, 도 2에 나타내는 정점(204)을 원점으로 하고, 당해 정점(204)으로부터, 후판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y축의 정 방향, 후판의 판 두께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z축의 정 방향으로 하는 y-z 좌표에서, 라벨의 물품 내 위치와, 라벨에 의한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를 나타낸다.In Fig. 15, among the eight vertices of the thick plat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vertex 204 shown in Fig. 2 is the origin, and the direction from the vertex 204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i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the plate thickness of the thick plate In the y-z coordinate where the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i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axis, the position of the label in the article and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of each display item by the label are shown.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라벨이 직사각 형상인 것으로 한다. 라벨의 4개의 정점 중, 대각선 상에 있는 2개의 정점의 y-z 좌표를, 라벨의 물품 내 위치로 한다. 또한, 라벨에 의한 표시 있어서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무게 중심(또는 도심)의 위치의 y-z 좌표를, 당해 구성 요소의 위치로 한다. 도 15에서는, 라벨의 2개의 정점(1501a, 1501b)의 y-z 좌표가, 라벨의 물품 내 위치인 것을 나타낸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label has a rectangular shape. Among the four vertices of the label, the y-z coordinates of two vertices on the diagonal are taken as the position of the label in the article. Further, the y-z coordinate of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r centroid) of the component of each display item in the label display is taken as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In Fig. 15, the y-z coordinates of the two vertexes 1501a and 1501b of the label represent positions of the label in the article.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3에 도시하는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현품 표시의 란의 스텐실의 란의 ID의 란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305)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따라서,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현품 표시의 란의 스텐실의 란의 ID의 란에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에 포함되는 ID(305)의 구성 요소의 내용으로서, 「5」, 「6」, 「3」, 「4」, 「9」, 「7」, 「-」, 「0」, 「1」이 기억된다. 또한, 현품 표시의 란의 스텐실의 란의 ID의 란에는, 당해 구성 요소의 위치로서, (Ls1, Ws1), (Ls2, Ws1), (Ls3, Ws1), (Ls4, Ws1), (Ls5, Ws1), (Ls6, Ws1), (Ls7, Ws1), (Ls8, Ws1), (Ls9, Ws1)이 기억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shown in FIG. 13, in the ID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of the actual product display column,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ID 305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Information representing is stor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6A,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in the ID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of the actual product display column, as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of the ID 305 included in the display by the stencil, "5", "6", "3", "4", "9", "7", "-", "0", "1" are stored. Further, in the ID field of the stencil column of the actual product display column, (Ls1, Ws1), (Ls2, Ws1), (Ls3, Ws1), (Ls4, Ws1), (Ls5, Ws1), (Ls6, Ws1), (Ls7, Ws1), (Ls8, Ws1), and (Ls9, Ws1) are memorized.

현품 표시의 란의 그 밖의 표시 항목의 란에도, 스텐실의 란의 ID의 란과 마찬가지로, 당해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내용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라벨의 란의 각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y 좌표가 아닌, y-z 좌표가 된다.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of the display item is also stored in the column of other display items in the column of the actual product display, similarly to the column of ID in the column of the stencil.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of each display item in the column of the label is y-z coordinates, not x-y coordinates.

또한,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비현품 표시의 란의 물품 내 위치의 란의 스텐실의 란에는,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Ls10, Ws10), (Ls11, Ws11)이 기억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16B,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in the stencil column of the column of the position in the article of the column of the non-actual item display,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tencil in the article, (Ls10, Ws10) , (Ls11, Ws11) are memorized.

물품 내 위치의 란의 라벨의 란에도, 물품 내 위치의 란의 스텐실의 란과 마찬가지로, 라벨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라벨의 물품 내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y 좌표가 아닌, y-z 좌표가 된다.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label in the article is also stored in the column of the label of the column of the position in the article, similarly to the column of the stencil of the column of the position in the articl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the label in the article becomes y-z coordinates, not x-y coordinates.

관리 테이블(1300)을 작성할 때에,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는 트래킹 장치(120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관리 테이블(1300)의 각 란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트래킹 장치(1200)에 입력해도 된다. 또한, 트래킹 장치(1200)는, 공장의 조업을 관리하는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관리 테이블(1300)의 각 란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수신해도 된다.When creating the management table 1300, for example, an operator may operate the user interface of the tracking device 1200 and input information to be stored in each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into the tracking device 1200. . In addition, the tracking device 1200 may receiv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each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that manages factory operations.

관리 테이블(1300)의 현품 표시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와, 비현품 표시의 란의 물품 내 위치 및 친 ID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는, 후판에 대한 표시가 행해진 후에 정해지는 경우도 있으면, 후판에 대한 표시가 행해지기 전에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당해 란에 기억해야 할 정보가 후판에 대한 표시가 행해지기 전에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트래킹 장치(1200)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당해 란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취득하고, 관리 테이블(1300)의 각 란에 기억한다.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display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roduct position in the item display column and the parent ID column in the non-item display column may be determined after the display for the rear plate is performed. In some cases, it is decided before the indication for is done. Therefore, when th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lumn is determined before display of the back plate is performed, the tracking device 1200 acquires th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olum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nd manages It is stored in each column of the table 1300.

한편, 비현품 표시의 란의 물품 위치 및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는, 후판에 대한 표시가 행해지기 전에 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트래킹 장치(1200)는, 예를 들어 당해 란에 기억해야 할 정보가 얻어진 타이밍에서, 당해 란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취득하고, 관리 테이블(1300)의 각 란에 기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록 시각의 란에는,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가 변경된 일시가 기억된다. 이 경우, 후판이 현재의 위치에 놓인 일시가 등록 시각의 란에 등록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position and registration time column of the non-actual item display column cannot be determined before the display on the back plate is performed. Therefore, the tracking device 1200 acquires, for example, th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column at the timing at which the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column is obtained,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each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As described above, the date and time whe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location column is changed is stored in the registration time field. In this case, the date and time when the rear plate is placed at the current position is registered in the field of the registration time.

또한, 비현품 표시의 란의 항목에 대해서, 당해 항목의 정보가 취득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당해 항목의 란에 정보가 기억되고, 당해 항목의 정보가 취득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항목의 란에 정보는 기억되지 않는다. 또한,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일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 트래킹 장치(1200)는, 후판의 위치의 특정(트래킹)이 끊어졌다고 판단하여, 당해 물품 위치 및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리셋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일시가 빠른 후판이,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일시가 늦은 후판보다도 먼저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즉, 판의 겹침이 있는 경우, 아래에 있는 판이 돌연 없어지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트래킹 장치(1200)는, 물품 위치 및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리셋을 실행할 때에, 이하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트래킹 장치(1200)는, 리셋하는 등록 시각의 란에 기재되어 있는 일시보다도 늦은 일시가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후판이며, 리셋하는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3차원 위치와 동일한 3차원 위치의 후판이 있는 경우, 알람 등으로 확인을 하는 사인을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or the item in the column of non-actual item displa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lumn of the relevant item only when the information of the item is acquired, and when the information of the item is not acquired, the column of the relevant item information is not remembered.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article position column is not updat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date and time stored in the registration time column, the tracking device 1200 indicates that the identification (tracking) of the position of the back plate has been cut off. It is preferable to make a judgment and rese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elds of the item location and registration time. Also, in the same position, the later plate with the earlier date and time stored in the registration time field does not move before the later plate with the later date and time stored in the registration time field (that is, when there is an overlap of boards, There is no case where the underlying plate suddenly disappears). For this reason, when the tracking device 1200 rese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elds of the item position and registration time, it is preferable to do the following. That is, the tracking device 1200 is a back plate in which a date and time later than the date and time recorded in the field of registration time to be reset is stored in the field of registration time, and the same a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stored in the field of item position to be reset. When there is a back plate in a three-dimensional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issue a sign to confirm with an alarm or the like.

이어서, 트래킹 장치(1200)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7은, 후판을 트래킹할 때의 트래킹 장치(1200)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서, 트래킹 장치(1200)의 기능의 일례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function of the tracking device 1200 will be described. Fig. 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rocessing of the tracking device 1200 when tracking a thick plate. An example of the function of the tracking device 1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

도 17의 스텝 S1701에 있어서, 제1 화상 취득부(1201)는, 제1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 제1 촬상 화상은,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y), 무인 항공기(440a 내지 440c)가 구비하는 제1 촬상 장치 및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촬상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제1 촬상 장치로 촬상된 촬상 화상이다. 제1 촬상 화상은, 제1 촬상 장치로부터 트래킹 장치(1200)에 직접 송신되어도, 정보 단말 장치를 통해 제1 촬상 장치로부터 트래킹 장치(1200)에 송신되어도 된다. 도 17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는,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y), 무인 항공기(440a 내지 440c)가 구비하는 제1 촬상 장치 및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촬상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촬상 장치로 촬상된 촬상 화상이 트래킹 장치(1200)에서 수신될 때마다 실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ID와, 당해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촬상 조건이, 제1 촬상 화상과 함께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In step S1701 of FIG. 17 , 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1201 acquires a first captured image. The first captured image is any one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y, the first imaging devices provid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440a to 440c, and the first imaging devices owned by operators (workers). 1 It is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The first captured image may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imaging device to the tracking device 1200, 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imaging device to the tracking device 1200 via a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17 is carried out using any one of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y, the first imaging devices provid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440a to 440c, and the first imaging devices possessed by operators (workers). It is executed whenever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one imaging device is received by the tracking device 1200 .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ID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imaging conditions when the first captured image was captured ar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first captured image.

제1 화상 취득부(1201)는, 제1 촬상 화상과 함께, 당해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ID와, 당해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촬상 조건을 취득한다. 촬상 조건에는, 촬상 시에 촬상 장치에서 설정되는 정보 중,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 또는 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해지는 정보가 포함된다.The first image acquisition unit 1201 acquires the ID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imaging conditions when the first captured image was captured, together with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imaging conditions include information required to specify the position of a display area using a stencil or a display area using a label, as will be described later, among information set in the imaging device at the time of imaging.

또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제1 촬상 장치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제1 촬상 장치의 위치 정보가, 제1 촬상 화상과 함께 송신된다. 예를 들어, 무인 항공기(440a 내지 440c)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여, 당해 무인 항공기의 3차원 좌표(x-y-z 좌표)를 측위할 수 있는 경우, 당해 무인 항공기가 구비하는 제1 촬상 장치의 위치 정보로서, 당해 3차원 좌표가 송신되게 해도 된다. 수송선(40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n), 하역 장치(411)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g 내지 430m) 및 수송 차량(70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q)에 대해서도, 무인 항공기(440a 내지 440c)와 마찬가지로 하여, 당해 제1 촬상 장치의 위치 정보가 제1 촬상 화상과 함께 송신되게 해도 된다. 이것은,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촬상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t the time the first captured image is captured is not fixed,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t the time the first captured image is captured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first captured image. . For examp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440a to 440c can positio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x-y-z coordinates)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 first image pickup provid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may be transmitted. The first imaging device 430n installed in the transport ship 400,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g to 430m installed in th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411,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430q installed in the transport vehicle 700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first captured image in the same manner as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440a to 440c. This is the same also for the first imaging device possessed by the operator (worker).

또한, 제1 촬상 장치가, 제1 촬상 화상에 포함해야 할 영역을 촬상할 수 없는 경우, 스텝 S1701의 처리에 앞서, 제1 촬상 장치의 촬상 조건(촬상 방향, 화각, 줌 배율 및 조리개(F값) 등)이 조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imaging device cannot image the region to be included i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imaging conditions of the first imaging device (imaging direction, angle of view, zoom magnification, and aperture (F value), etc.) are adjusted.

이어서, 스텝 S1702에 있어서, 인식부(1202)는, 스텝 S17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으로부터,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문자, 숫자, 기호, 마크)를 인식한다.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내용을 인식하는 처리는, 예를 들어 공지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사용한 기술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NN(Neural Network) 등의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사용한 기술이나, AI와 OCR을 조합한 기술(소위 AI OCR)을 사용하여, 스텝 S1702의 처리를 실현해도 된다.Next, in step S1702, the recognizing unit 1202 identifies components (letters, numbers, symbols, and marks) of display items in display using a stencil (label) from the first captured image obtained in step S1701. Recognize. Since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content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isplay item can be realized by, for example, a known technique using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Further, the processing in step S1702 may be realized using a technique using AI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NN (Neural Network) or a technique combining AI and OCR (so-called AI OCR).

또한, 인식부(1202)는,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라벨에 의한 표시의 어느 것인지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인식부(1202)는, 스텝 S17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에지 검출 처리를 행하고, 후판의 에지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후판의 영역을 특정한다. 그리고, 인식부(1202)는, 특정한 영역이, 후판의 판면 부분과 후판의 측면(판 두께) 부분의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를 들어 특정한 영역의 종횡비에 기초하여 실현된다. 이 판정의 결과, 특정한 영역이, 후판의 판면 부분인 경우, 인식부(1202)는,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것이라고 인식한다. 한편, 특정한 영역이, 후판의 측면(판 두께) 부분인 경우, 인식부(1202)는,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라벨에 의한 표시의 것이라고 인식한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unit 1202 specifies which of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item is display using a stencil or display using a label. For example, the recognizing unit 1202 performs edge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701, detects the edge of the back plate, and specifies the region of the back plat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n, the recognition unit 1202 determines which of the plate surface portion of the thick plate and the side (plate thickness) portion of the thick plate is the specified region. This determination is realized based on the aspect ratio of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when the specified area is the plate surface portion of the back plate, the recognition unit 1202 recognizes that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isplay item are displayed using a stencil.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cific area is the side surface (plate thickness) portion of the thick plate, the recognition unit 1202 recognizes that the component of the display item is a label display.

또한, 인식부(1202)는, 제1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에지 검출 처리를 행하고, 직사각 형상의 라벨(202)의 영역이 검출된 경우에,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라벨에 의한 표시의 것이라고 인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것이라고 인식해도 된다.Further, the recognizing unit 1202 performs edge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when the area of the rectangular label 202 is detecte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isplay item are those of the display by the label. If not,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isplay item are those of display using a stencil.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최상단에 있는 후판에 대해서는, 제1 촬상 화상에는,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이 아닌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implify th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captured image of the uppermost rear plate includes a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instead of a display area using a label 202. .

또한, 인식부(1202)는, 표시 항목의 위치를 도출한다. 제1 인식부(1202)가 표시 항목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인식부(1202)는, 스텝 S17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에지 검출 처리를 행하고, 후판의 에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인식부(1202)는,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을 검출한다. 인식부(1202)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의 후판의 8개의 정점 중,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과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의 위치 관계로서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후판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이 되는 정점을 도출한다.Also, the recognition unit 1202 derive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item.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the first recognizer 1202 derives the position of a display item will be described. First, the recognizing unit 1202 performs edge detection processing based on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701 to detect the edge of the thick plate. Then, the recognition unit 1202 detects the origin of the position in the article in the first captured imag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ck plate). The recognizing unit 1202 determines, for example, in the captured image, based on a positional relationship preset a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display area by a stencil (label) and the origin of a position in an article among eight vertices of a back plat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vertex serving as the origin of the position in the articl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ck plate) is derived.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과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의 위치 관계로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정보가 트래킹 장치(1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즉,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를, 당해 구성 요소의 정상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 경우에,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와 동일 면에 있어서,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의 우측 하단측에 위치하는 정점이,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이라고 하는 정보가 트래킹 장치(1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인식부(1202)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위치로서,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를 도출한다. 스텝 S1702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1703의 처리가 실행된다.A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and the origin of the position within the article, for example, the following information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tracking device 1200. That is, when the component of the display item of the display by the stencil (label) is viewed so that the top of the componen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n the same side as the display by the stencil (label), by the stencil (label)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vertex locat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display is the origin of the position within the article may be set in advance in the tracking device 1200 . The recognizing unit 1202 derives, as positions of constituent elements of a display item in display using a stencil (label), a position based on the origin of a position in an article in a captured image. When the process of step S1702 ends, the process of step S1703 is executed.

스텝 S1703에 있어서, 입수부(1203)는, 기억부(1207)에 기억되어 있는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현품 표시의 란의 ID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입수한다.In step S1703, the acquisition unit 1203 obtain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D column of the actual item display column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7.

이어서, 스텝 S1704에 있어서, 대조부(1204)는, 스텝 S1702에 있어서 인식된 정보와, 스텝 S1703에 있어서 입수된 정보를 대조한다. 스텝 S1702에 있어서 인식된 정보가, 스텐실에 의한 표시의 정보라고 인식된 경우, 대조부(1204)는, 스텝 S1703에 있어서 입수된 정보 중, 현품 표시의 란의 스텐실의 란의 ID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스텝 S1702에 있어서 인식된 정보를 대조한다. 한편, 스텝 S1702에 있어서 인식된 정보가, 라벨에 의한 표시의 정보라고 인식된 경우, 대조부(1204)는, 스텝 S1703에 있어서 입수된 정보 중, 현품 표시의 란의 라벨의 란의 ID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와, 스텝 S1702에 있어서 인식된 정보를 대조한다.Next, in step S1704, the verification unit 1204 checks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and the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1703. If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is recognized as information for display by stencil, the matching unit 1204 stores it in the ID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of the actual product display column among the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1703. The obtained information is collated with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is label information, the verification unit 1204, among the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1703, identifies the ID column of the label column of the actual item display column. The information stored in and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are collated.

이어서, 스텝 S1705에 있어서, 특정부(1205)는, 스텝 S1703의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후판으로부터 하나의 후판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 특정부(1205)는, 스텝 S1703에 있어서 입수된 정보 중에서, 스텝 S1702에 있어서 인식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특정한다.Next, in step S1705, the specifying unit 1205 specifies one thick plate from among the thick plates manag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based on the collation result in step S1703. Specifically, the specifying unit 1205 specifies, from among the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1703,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여기서, 일치란, 스텝 S1702에서 인식된 정보에, 현품 표시의 란의 스텐실의 란 또는 라벨의 란의 ID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구성 요소와, 내용 및 배열 순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스텐실 또는 라벨에 의해 표시되는 ID(305, 312)의 구성 요소의 내용은, 5, 6, 3, 4, 9, 7, -, 0, 1이고, 배열 순은, 좌측으로부터, 5, 6, 3, 4, 9, 7, -, 0, 1의 순이다. 따라서, 특정부(1205)는, 5, 6, 3, 4, 9, 7, -, 0, 1이 좌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배열되어 있는 정보를,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ID의 란으로부터 특정한다. 스텝 S1702에서 인식된 정보에 있어서, 이들 구성 요소의 일부가 결여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스텝 S1702에서 인식된 정보는, 현품 표시의 란의 스텐실의 란 또는 라벨의 란의 ID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구성 요소와, 내용 및 배열 순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정보가 아닌 것으로 한다.Here, matching refers to the fact that there is a part in which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completely matches the components stored in the stencil column of the actual product display column or the ID column of the label column, in content and arrangement order. . 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3A and 3B , the contents of the components of the IDs 305 and 312 displayed by stencils or labels are 5, 6, 3, 4, 9, 7, -, 0, 1, The order of arrangement is 5, 6, 3, 4, 9, 7, -, 0, 1 from the left. Therefore, the specification unit 1205 converts the information in which 5, 6, 3, 4, 9, 7, -, 0, 1 are arranged in this order from the left to the IDs manag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specified from the column. In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not only when some of these components are missing, but also in the case where components other than these components are arranged, the information recognized in step S1702 is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and arrangement order do not completely coincide with the components stored in the ID column of the stencil column or the label column.

이어서, 스텝 S1706에 있어서,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텝 S1701에서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가 기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터(412) 및 다리 구조물(413)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a 내지 430f), 수송 차량(700)의 대기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o 내지 430p), 공장 내의 두는 곳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r 내지 430w) 및 공장의 생산 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촬상 장치(430x 내지 430y)의 3차원 위치는 기지의 것으로 한다. 이들의 제1 촬상 장치 각각에 대해서, 제1 촬상 장치의 ID와, 당해 제1 촬상 장치의 위치 정보(3차원 좌표(x-y-z 좌표))가 서로 관련 지어져서 트래킹 장치(12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텝 S17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장치의 ID와 같은 ID와 관련 지어져 있는 위치 정보(3차원 좌표)가 트래킹 장치(120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가 기지라고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가 기지가 아니라고 판정한다.Next, in step S1706,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701 is known,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1701.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maging devices 430a to 430f installed on the garter 412 and the leg structure 413, and the first imaging devices installed on the structure installed in the standby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vehicle 700 (430o to 430p), first imaging devices (430r to 430w) installed in a structure installed in a place in a factory, and first imaging devices (430x to 430y) installed in a structure installed in a production line in a factory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is a known one. For each of these first imaging devices, the ID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x-y-z coordinates))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tracking device 1200 do it as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when the positional informatio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ssociated with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cquired in step S1701 is registered in the tracking device 1200 in advance,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1701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is known, and if not,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obtained in step S1701 is not known.

스텝 S1706의 판정의 결과,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가 기지가 아닌 경우, 스텝 S1707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707에 있어서, 위치 도출부(1206)는,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 정보를 스텝 S1701에서 취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의 결과,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 정보를 스텝 S1701에서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 처리는, 후술하는 스텝 S1712로 진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706,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obtained in step S1701 is not known, the processing in step S1707 is executed. In step S1707,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termines whether or not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was acquired in step S1701.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if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is not acquired in step S1701,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12 described later.

스텝 S1706의 판정 결과,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가 기지인 경우와, 스텝 S1707의 판정의 결과,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 정보를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경우에는, 스텝 S1708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708에 있어서,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1708의 판정의 결과,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 처리는, 후술하는 스텝 S1712로 진행한다.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obtained in step S1701 is know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706,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707,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is acquired in step S1701, the process of step S1708 is executed. In step S1708,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can be specified. A specific example of a case where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can be specified will be described lat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708, if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cannot be specifi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12 described later.

한편, 스텝 S1708의 판정의 결과,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 스텝 S1709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709에 있어서,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좌표(x-y-z 좌표)를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의 3차원 위치로서 도출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708, when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can be specified, the processing in step S1709 is executed. In step S1709,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x-y-z coordinates)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a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이어서, 스텝 S1710에 있어서, 기억부(1207)는,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에 대한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1300)의 비현품 표시의 란의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스텝 S1709에서 도출된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갱신한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테이블(1300)의 비현품 표시의 란의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가, 정보 표시 위치인 경우를 예시한다. 관리 테이블(1300)의 비현품 표시의 란의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는 정보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x-y-z 좌표이다. 따라서, 정보 표시 위치는, 3차원 위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후판의 정보 표시 위치는, 당해 후판의 위치의 이동에 수반하여, x 좌표 및 y 좌표뿐만 아니라 z 좌표(높이 방향의 위치)도 변화한다.Next, in step S1710, the storage unit 1207 conver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article position column of the non-actuated item display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as the information on the thi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into step S1709. It is updated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3D position of the derived heavy plate. 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position column of the non-actual item display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is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s exemplifie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position column of the non-actual item display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is the x-y-z coordinates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Therefore,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f the same thick plate, not only the x coordinate and the y coordinate but also the z coordinat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changes with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thick plate.

이어서, 스텝 S1711에 있어서, 출력부(1208)는,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208)는,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컴퓨터용 모니터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도 17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가 종료한다.Next, in step S1711, the output unit 1208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thi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208 display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rear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on the computer monitor. Then,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lowchart in Fig. 17 ends.

여기서, 스텝 S1709에 있어서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은, 후판의 판면의 영역 중, 후판의 폭 방향(y축 방향)의 중앙 부근의 영역이며, 후판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x축의 부 방향측)의 영역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3차원 위치가, 정보 표시 위치의 일례이다.Here,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riv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using the stencil (label) in step S1709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is an area near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among the plate surface regions of the thick plate, and one end side (x on the negative side of the axis). In this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도 18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3차원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eriv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도 18에 있어서, 점 P는, 제1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낸다(점 P의 x-y-z 좌표는(xp, yp, zp)임). 제1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는, 예를 들어 제1 촬상 장치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z축은, 후판의 표면(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수직인 방향인 것으로 한다. 또한, y축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에 있어서 동일한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배열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인 것으로 한다. 또한, x축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에 있어서 다른 표시 항목이 배열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인 것으로 한다. 또한, x축, y축, z축은 서로 수직인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후판의 폭 방향은 y축에 평행하고, 후판의 길이 방향은 x축에 평행한 것으로 한다.In FIG. 18 , point P represent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xyz coordinates of point P are (x p , y p , z p )).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is, for example,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of the first imaging devic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8, the z-axis is assumed to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thick plate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formed). Note that the y-axis is assumed to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components of the same display item ar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Note that the x-axis is assumed to b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other display items ar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Also,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assu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ddition, here,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is parallel to the y-axis,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is parallel to the x-axis.

점 S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4개의 정점 중, x축의 부 방향측에 위치하고, 또한, y축의 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정점의 위치를 나타낸다(점 S의 x-y-z 좌표는(xs, ys, zs)임). 점 O는, (x-y 평면에 대한) 점 P의 수선의 발(점 P의 수선과 x-y 평면의 교점)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점 O가 원점인 것으로 한다. 점 Q는, 점 O를 지나고 또한 x축에 평행한 직선과, 점 S를 지나고 또한 y축에 평행한 직선의 교점이다.The point S represents the position of a vertex located on the negative x-axis side and also located on the positive y-axis side among the four vertices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the xyz coordinates of the point S are (x s , y s , z s ). Point O is the foot of the perpendicular to point P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the intersection of the perpendicular to point P with the xy plan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8, it is assumed that the point O is the origin. Point Q is the intersection of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point O and parallel to the x-axis, and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point S and parallel to the y-axis.

∠OPQ를 β(rad)로 하고, 선분 OP의 길이(점 O로부터 점 P까지의 거리)을 H로 하면, ∠OQP(=η)는, π/2-β(rad)이기 때문에, 선분 OQ의 길이(점 O로부터 점 Q까지의 거리) L은, 이하의 (1) 식으로 표시된다.If ∠OPQ is β(rad) and the length of line segment OP (distance from point O to point P) is H, ∠OQP(=η) is π/2-β(rad), so line segment OQ The length (distance from point O to point Q) L of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L=Hsinβ/sin{(π/2-β)} ···(1)L=Hsinβ/sin{(π/2-β)} ... (1)

또한, ∠OPS를 α(rad)로 하면, 선분 OS의 길이(점 O로부터 점 S까지의 길이) l은, 이하의 (2) 식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SPQ를 δ(rad)로 하면, (2) 식에 의해, 선분 SQ의 길이(점 S로부터 점 Q까지의 거리) wy는, 이하의 (3) 식으로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OPS is α (rad), the length l of the line segment OS (the length from point O to point S)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Then, when ∠SPQ is δ (rad),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SQ (distance from point S to point Q) w y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by equation (2).

l=H/tanα ···(2)l = H/tanα ... (2)

wy=lsinδ=Hsinδ/tanα ···(3)w y =lsinδ=Hsinδ/tanα ... (3)

따라서, 점 S의 x-y-z 좌표 S(xs, ys, zs)는, 이하의 (4) 식으로 표시된다.Therefore, the xyz coordinate S (x s , y s , z s ) of the point S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S(xs, ys, zs)=(L, wy, 0) ···(4)S(x s , y s , z s )=(L, w y , 0) ... (4)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도출부(1206)가, 점 S의 x-y-z 좌표(xs, ys, zs)를,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위치로서 도출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선분 OP의 길이 H, ∠OPQ(=β), ∠OPS(=α) 및 ∠SPQ(=δ)가 정해지면, 점 S의 x-y-z 좌표(xs, ys, zs)가 정해진다.In this embodiment, a case wher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the xyz coordinates (x s , y s , z s ) of the point S a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exemplified. When the length H of line segment OP, ∠OPQ(=β), ∠OPS(=α), and ∠SPQ(=δ) are determined, the xyz coordinates (x s , y s , z s ) of point S are determined.

선분 OP의 길이 H는, 점 P의 z 좌표 zp로부터,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z 좌표 zs를 감산한 값이다. 따라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z 좌표(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가 특정되어 있으면, 선분 OP의 길이 H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z 좌표 zs가 0(제로)인 경우를 예시하므로, 선분 OP의 길이 H는, 점 P의 z 좌표 zp와 같다.The length H of the line segment OP i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z coordinate z s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from the z coordinate z p of the point P. Therefore, if the z-coordinate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specified, the length H of the line segment OP can be derived. 18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z-coordinate z s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is 0 (zero), the length H of the line segment OP is equal to the z-coordinate z p of the point P.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S의 위치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도출된다.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텝 S1702에서 인식된 스텐실에 의한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 중, x축의 최댓값, x축의 최솟값, y축의 최댓값 및 y축의 최솟값이 되는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외접 직사각형을 도출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도출한 외접 직사각형의 정점 중, 스텐실에 의한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정상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 경우에, 예를 들어 좌측 하단측(x축의 부 방향측 및 y축의 정 방향측)에 위치하는 정점의 위치를,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S의 위치로서 도출한다. 또한,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 라벨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 위치 도출부(1206)는, 직사각 형상의 라벨 정점 중, 스텐실에 의한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의 정상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 경우에, 예를 들어 좌측 하단측에 위치하는 정점을,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S의 위치로서 도출한다.The position of the point S i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derived as follows, for exampl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a circumscribed rectangle determined by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of the x-axis, the minimum value of the x-axis, the maximum value of the y-axis,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y-axi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item using the stencil recognized in step S1702. . Then,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termines, for example, the lower left side (negative direction side of the x-axis and The position of the vertex located on the positive side of the y-axis) is derived as the position of the point S in the first captured imag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label is displayed i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views the top of the component of the display item by the stencil as being located on the upper side among the vertices of the rectangular label. , for example, a vertex located on the lower left side is derived as the position of the point S in the first captured image.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Q의 위치는,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S의 위치를 지나고 또한 y축에 평행한 직선 상의 위치이며, 촬상 시의 수평 화각(y축 방향의 화각)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 또한, 점 Q의 특정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도 된다. 즉, 레이저 포인터 등으로 점 P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점 S의 위치를 지나고 또한 y축에 평행한 직선을, 후판의 판면 중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 등에서 점 P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점 O를 지나고 또한 x축에 평행한 직선을, 후판의 판면 중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으로 표시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레이저광에 의해 표시되는 2개의 직선의 교점이 점 Q가 된다. 따라서, 위치 도출부(1206)는, 레이저광에 의해 표시되는 2개의 직선의 교점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촬상된 제1 촬상 화상으로부터 점 Q를 특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점 P, 점 O 및 점 Q가 x-z 평면 상(y=0의 평면 상)에 있는 경우, 후판의 판면 중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x-y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 있어도, 점 Q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point Q i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a position on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of point S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parallel to the y-axis, and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angle of view in the y-axis direction) at the time of imaging is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In addition, you may perform identification of the point Q as follows, for example. That is, a laser beam is irradiated from point P with a laser pointer or the like, and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of point S and parallel to the y-axis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back plat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formed. . In addition, a laser beam is irradiated from point P with a laser pointer or the like, and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point O and parallel to the x-axis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thick plat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formed. In this case,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two straight lines displayed by the laser beam becomes the point Q. Therefore, the position derivation part 1206 may specify the point Q from the 1st captured image imaged in the state where the intersection of the two straight lines displayed by the laser beam is displayed. In this way, when point P, point O, and point Q are on the x-z plane (on the plane of y = 0),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is formed by the stencil among the plate surfaces of the back plate is relative to the x-y plane Even if it is inclined, the position of point Q can be specified.

∠OPS(=α), ∠OPQ(=β) 및 ∠SPQ=∠SOQ(=δ)는, 예를 들어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S 및 점 Q의 위치와, 당해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초점 거리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학계의 중심 위치)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S와,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선분 PS가 연장되는 방향이 특정된다.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Q와,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선분 PQ가 연장되는 방향이 특정된다. ∠OPS(=α), ∠OPQ(=β) 및 ∠SPQ=∠SOQ(=δ)는, 선분 PS가 연장되는 방향과, 선분 PQ가 연장되는 방향과, z축 방향에 기초하여 정해진다.∠OPS(=α), ∠OPQ(=β), and ∠SPQ=∠SOQ(=δ) are,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points S and Q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701, and the second 1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captured image is captured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optical system used to determine the focal leng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PS extends is specified by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 S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captur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PQ extends is specified by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 Q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captured. ∠OPS(=α), ∠OPQ(=β), and ∠SPQ=∠SOQ(=δ) are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line segment PS extends, the direction in which line segment PQ extends, and the z-axis direction.

∠OPS(=α), ∠OPQ(=β) 및 ∠SPQ=∠SOQ(=δ)를 도출하는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 도출부(1206)는, 이하와 같이 하여 ∠OPS(=α), ∠OPQ(=β) 및 ∠SPQ=∠SOQ(=δ)를 도출해도 된다. 먼저, 위치 도출부(1206)는, 제1 촬상 장치가 구비하는 측거 센서(예를 들어 TOF(Time-of-Flight) 방식의 측거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선분 PS 및 점 PQ의 길이를 도출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x-y 평면이고, 선분 QS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인 것으로 하여, 점 S 및 점 Q의 위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점 P, 점 S, 점 Q의 위치에 기초하여, ∠OPS(=α), ∠OPQ(=β) 및 ∠SPQ=∠SOQ(=δ)를 도출한다.Methods for deriving ∠OPS(=α), ∠OPQ(=β) and ∠SPQ=∠SOQ(=δ) are not limited to these methods. For exampl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may derive ∠OPS(=α), ∠OPQ(=β), and ∠SPQ=∠SOQ(=δ) as follows. First,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the lengths of the line segment PS and the point PQ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of the range sensor (eg, a time-of-flight (TOF) type range sensor) provided in the first imaging device. derive Then,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assumes that the plan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formed is an x-y plane and the line segment QS is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y-axis direction, and determines the positions of the points S and Q. be specific Then,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OPS(=α), ∠OPQ(=β), and ∠SPQ=∠SOQ(=δ)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points P, S, and Q. .

또한, 예를 들어 위치 도출부(1206)는, 제1 촬상 장치로부터 점 S를 향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의 각도와, 제1 촬상 장치로부터 점 Q를 향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의 각도와, 제1 촬상 장치로부터 점 S에서 점 Q까지 레이저광이 주사되었을 때의 주사 각도에 기초하여, ∠OPS(=α), ∠OPQ(=β) 및 ∠SPQ=∠SOQ(=δ)를 도출해도 된다.Further, for example,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the angle of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first imaging device toward the point S, the angle of the laser beam emitted from the first imaging device toward the point Q, and the first imaging device. ∠OPS(=α), ∠OPQ(=β), and ∠SPQ=∠SOQ(=δ) may be derived based on the scan angle when the laser beam is scanned from point S to point Q.

또한, 위치 도출부(1206)는, 후판의 판면 중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점 O를 포함하는 영역에 격자상의 레이저광을 조사한 상태에서 촬상된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OPS(=α), ∠OPQ(=β) 및 ∠SPQ=∠SOQ(=δ)를 도출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하나의 직사각형의 x축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OPS(=α) 및 ∠OPQ(=β)가 1rad 변화하면 변화하는 x축 방향의 길이이고, y축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SPQ=∠SOQ(=δ)가 1rad 변화하면 변화하는 y축 방향의 길이이다. 점 O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으로부터, 점 S, Q에 대응하는 직사각형까지의 직사각형의 수의 계수의 결과에 기초하여, ∠OPS(=α), ∠OPQ(=β)가 도출된다. 또한, 점 S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으로부터 점 Q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까지의 직사각형의 수의 계수의 결과에 기초하여, ∠SPQ(=δ)가 도출된다. 직사각형의 수의 계수는, 제1 촬상 화상에 대한 화상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행해진다.Further,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the first captured image captured in a state in which the grid-shaped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area including the point O and the surface of the thick plat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is formed. ∠OPS(=α), ∠OPQ(=β), and ∠SPQ=∠SOQ(=δ) may be derived by counting the number of rectangles arranged in a lattice form. In this case,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of one rectangle is, for example, the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that changes when ∠OPS (=α) and ∠OPQ (=β) change by 1 rad, and the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is , For example, it is the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that changes when ∠SPQ=∠SOQ (=δ) changes by 1 rad. ∠OPS(=α), ∠OPQ(=β) a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rectangles from the rectangle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O to the rectangles corresponding to the points S and Q. Furth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rectangles from the rectangle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S to the rectangle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Q, ∠SPQ(=δ) is derived. The counting of the number of rectangles i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 of image processing on the first captured image.

또한, 표시 영역(1111, 1121, 1131, 1141)의 위치에 대해서도,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도출된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과,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은, 후판에 있어서 배치되는 면이 다를 뿐이므로,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에 대해서도,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방법을 모방하여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lso,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regions 1111, 1121, 1131, and 1141 are derived similarly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and the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are different only in terms of arrangement on the back plat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using the label 202 is also referred to in FIG. 18. It can be derived by imitating the method described while doing so. Therefore, it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이어서, 스텝 S1708에 있어서,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Next, in step S1708, an example of a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can be specified will be described.

제1 예로서, 먼저, 위치 도출부(1206)는, 레이저 거리계를 사용하여 제1 촬상 장치로부터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까지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거리를 도출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제1 촬상 장치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로부터, 당해 거리를 감산한 위치를,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로서 도출한다.As a first example, first,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rives the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from the first imaging device to the display area using the stencil using a laser range finder. Then,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obtains a position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s derived as the position of

제2 예로서, 위치 도출부(1206)는, 관리 테이블(1300)의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후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관리 테이블(1300)의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후판이 현재의 위치에 놓인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관리 테이블(1300)의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후판의 3차원 위치를, 필요에 따라, 물품 위치라고 칭한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후판 중 최하단에 있는 후판이 지면에 놓여 있는 것으로 한다.As a second exampl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provi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back plate stored in the product position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registration time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s derived us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date and time when the back plate is placed in the current position.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riving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her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stored in the article position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is referred to as an article position as necessary. In addition, here, in order to simplify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lowermost thick plate among the plurality of stacked thick plates is placed on the ground.

먼저,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 이외의 후판으로부터, 스텝 S17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촬상 범위(x-y 좌표)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후판을,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어 있는 물품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한다.First,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cts that at least a part is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x-y coordinates)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has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701 from a back plate other than the ba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The back plate is specified based on the article posi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하는 경우에는,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은 최상단에 있다. 따라서,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텝 S17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촬상 범위(x-y 좌표)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후판은,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 아래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 아래에 있는 후판의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어 있는 사이즈(두께)의 모두와,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의 두께를 가산한 값이,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가 된다.In the case of deriving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the ba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is at the top. Accordingly,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calculates that the back plate at least partially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x-y coordinates)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701 is below the thi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judge that there is In this case,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all of the sizes (thicknesses)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as the information of the thick plate under the thi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and the thickness of the thi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is This is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201 .

한편, 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하는 경우에는, 위치 도출부(1206)는, 전술한 것처럼 하여 특정된 후판 중,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의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1300)의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일시보다도 늦은 일시가 등록 시각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후판이,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 아래에 있는 후판이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 아래에 있는 후판의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어 있는 사이즈(두께)의 모든 가산값과,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의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어 있는 물품 내 위치의 z좌표의 값을 가산한 값이, 라벨(202)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가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eriving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manages as information of the thi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among the thick plates specified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ck plate whose date and time later than the date and time stored in the registration time column of table 1300 is stored in the registration time column is the thick plate located below the thi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In this case, all the added values of the size (thickness)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as the information of the heavy plate under the heavy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and the information of the heavy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are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values of the z-coordinates of the stored positions in the article becomes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label 202 .

제3 예로서, 제1 촬상 화상에 높이 방향(z축 방향)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위치 도출부(1206)는, 당해 정보에 기초하여,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위치 도출부(1206)는,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된 구조물이 제1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촬상 화상으로부터 당해 구조물의 당해 눈금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위치 도출부(1206)는, 제1 촬상 화상에 대하여 에지 검출 처리를 실행하여 오브젝트의 에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오브젝트로부터, 당해 구조물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윤곽을 나타내는 정보와, 당해 오브젝트의 명칭이 서로 관련 지어진 정보를 트래킹 장치(1200)에 미리 등록해 둔다. 이렇게 하는 경우, 위치 도출부(120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추출된 오브젝트의 에지와, 당해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당해 구조물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추출해도 된다. 또한, 위치 도출부(1206)는, NN(Neural Network) 등의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사용하여, 전술한 것처럼 하여 추출된 오브젝트로부터, 당해 구조물을 추출해도 된다.As a third example, when information capable of specifying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isplays a stencil (label)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position of the reg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can be derived.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riving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recognizes the scale of the structure from the first captured image when a structure marked with a scale indicating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captured image. . For exampl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extracts the edge of an object by executing edge detection processing o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extracts the structure concerned from the extracted object. For exampl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outline of an object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me of the object are registered in the tracking device 1200 in advance. In this case, the position derivation part 1206 may extrac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aid structure by comparing the edge of the object extracted as mentioned above, and the sai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osition derivation part 1206 may extract the said structure from the object extracted as mentioned above using AI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NN (Neural Network).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와,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당해 구조물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의 위치에 기초하여,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한다. 또한,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 눈금에 첨부되어 있는 숫자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를 인식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인식된다.Then,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the stenci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scale displayed on the structure i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label) is derived. In addition, the numbers attached to the graduations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re recognized by a method similar to the method of recognizing components of display items using stencils (labels).

제4 예로서, 위치 도출부(1206)는, 제2 화상 취득부(1209)에서 취득되는 제2 촬상 화상을 사용하여,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708의 처리가 개시되는 타이밍보다도 전에, 제2 화상 취득부(1209)에 의해 제2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이 추가된다. 제2 촬상 화상은,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와는 다른 제2 촬상 장치로 촬상된 촬상 화상이다. 제2 촬상 화상은, 스텝 S1701에서 취득된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와, 스텝 S1705에서 특정되는 후판의 양쪽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As a fourth exampl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uses the second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1209 to determine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can derive In this case, in the flowchart of Fig. 17, a step of acquiring the second captured image by the second image acquiring unit 1209 is added prior to the timing at which the process of step S1708 starts. The second captured image is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a second imaging device different from the first imaging device (an imaging device that captures an area including a display area with stencils (labels))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includes both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701 and the back plate specified in step S1705.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riving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도 19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deriv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using a stencil.

도 19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도, 도 18과 마찬가지로, 점 P는, 제1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낸다(점 P의 x-y-z 좌표는 (xp, yp, zp)임). 또한, z축은, 후판의 표면(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수직인 방향이다. 또한, y축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에 있어서 동일한 표시 항목의 구성 요소가 배열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x축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에 있어서 다른 표시 항목이 배열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x축, y축, z축은 서로 수직인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도,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후판의 폭 방향은 y축에 평행하고, 후판의 길이 방향은 x축에 평행한 것으로 한다.Also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9 , as in FIG. 18 , point P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xyz coordinates of point P are (x p , y p , z p )). In addition, the z-axis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ck plate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formed). In addition, the y-axis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components of the same display item ar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The x-axis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other display items ar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Also,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assum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gain,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is parallel to the y-axis,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is parallel to the x-axis.

또한, 점 O'은, (x-y 평면에 대한) 점 P의 수선과, 후판의 표면(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포함하는 평면의 교점이다(점 O'은 도 18의 점 O에 대응함). 점 O는, (x-y 평면에 대한) 점 P의 수선의 발(점 P의 수선과 x-y 평면의 교점)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점 O가 원점인 것으로 한다. 점 R은, 제2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낸다(점 R의 x-y-z 좌표는 (xr, yr, zr)임). 제2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는, 예를 들어 제2 촬상 장치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이다.In addition, the point O' is the intersection of the perpendicular line of the point P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and the plane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back plate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formed) (the point O' is shown in FIG. Corresponds to point O in 18). Point O is the foot of the perpendicular to point P (with respect to the xy plane) (the intersection of the perpendicular to point P with the xy plan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9, it is assumed that the point O is the origin. Point R represent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xyz coordinates of point R are (x r , y r , z r )).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for example,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제2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는, 트래킹 장치(1200)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가 고정인 경우, 제2 촬상 장치의 ID와, 당해 제2 촬상 장치의 3차원 좌표(x-y-z 좌표)가 서로 관련 지어져 트래킹 장치(1200)에 미리 등록된다. 또한, 제2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가 고정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제2 촬상 장치는, GPS를 사용하여 측위된 당해 제2 촬상 장치의 3차원 좌표(x-y-z 좌표)와 당해 제2 촬상 장치의 ID를 송신한다. 이 경우, 제2 화상 취득부(1209)는, 제2 촬상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들 정보를 취득한다.It is assumed that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can be specified by the tracking device 1200 . For example, when the 3D position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fixed, the ID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e 3D coordinates (x-y-z coordinates)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registered in the tracking device 1200 in advance. do. In addition, when the 3D position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not fixed, for example, the second imaging device determines the 3D coordinates (x-y-z coordinates)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positioned using GPS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send the ID of In this case, the second image acquiring unit 1209 acquires these pieces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imaging device.

도 1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후판 중 최하단에 있는 후판이 지면에 놓여 있는 것으로 한다. 점 D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정점 중, 점 R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점이다. 점 B는,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후판 중 최하단에 있는 후판의 저면의 정점 중, 점 R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점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9, it is assumed that the lowermost thick plate among the plurality of stacked thick plates is placed on the groun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The point D is a vertex located closest to the point R among the vertices of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formed. The point B is a vertex located closest to the point R among the vertic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most thick plate among the stacked plurality of thick plates.

도 19에 있어서, ∠BRD(=φB) 및 ∠PRO(=φP)는, 예를 들어 제2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P, 점 B 및 점 D의 위치와, 당해 제2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초점 거리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학계의 중심 위치)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제2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P와, 제2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선분 RP가 연장되는 방향이 특정된다. 제2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B와, 제2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선분 RB가 연장되는 방향이 특정된다. 제2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D와, 제2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선분 RT가 연장되는 방향이 특정된다. ∠BRD(=φB)는 선분 RB가 연장되는 방향과, 선분 RD가 연장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PRO(=φP)는 선분 RP가 연장되는 방향과, y축 방향에 기초하여 정해진다.19 , ∠BRD(=φ B ) and ∠PRO(=φ P ) denote positions of points P, B, and D in a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second captured image,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optical system (lens) at the time of imag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optical system used to determine the focal leng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RP extends is specified by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 P in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second captured image is captur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RB extends is specified by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 B in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second captured image is captur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RT extends is specified by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 D in the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second captured image is captured. ∠BRD(=φ B )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segment RB exten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segment RD extends. ∠PRO(=φ P )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RP extends and the y-axis direction.

또한, 예를 들어 위치 도출부(1206)는, 제2 촬상 장치가 구비하는 측거 센서(예를 들어 TOF(Time-of-Flight) 방식의 측거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선분 RP의 길이(점 R로부터 점 P까지의 거리) 및 선분 RD(점 R로부터 점 D까지의 거리)의 길이를 도출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제2 촬상 장치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zr)와, 선분 RP의 길이와, ∠PRO(=φP)에 기초하여, 제1 촬상 장치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zp)를 도출한다 (zp=zr+선분 RP의 길이×sinφP). 마찬가지로, 위치 도출부(1206)는, 제2 촬상 장치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zr)와, 선분 RD의 길이와, ∠BRD(=φB)에 기초하여,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한다.Further, for example,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RP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range sensor (eg, a time-of-flight (TOF) type range sensor) provided in the second imaging device. (distance from point R to point P) and the length of segment RD (distance from point R to point D). Then,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the first image pickup based on the position (z r )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RP, and ∠PRO (=φ P ). The position (z p )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evice is derived (z p =z r + length of line segment RP×sinφ P ). Similarly,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the position (z r )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RD, and ∠BRD (=φ B ) based on the stencil.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s derived.

또한, 도 19에서는, 제2 촬상 장치(점 R)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가 0(제로)인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이상과 같이 제2 촬상 화상을 사용하면,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뿐만 아니라, 제1 촬상 장치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zp)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도출부(1206)는,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뿐만 아니라, 제1 촬상 장치의 x축 방향의 위치(xp) 및 y축 방향의 위치(yp)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p, yp는, 선분 RP가 연장되는 방향과, yr+선분 RP의 길이×cosφP에 기초하여 도출된다. 즉, 선분 RP가 연장되는 방향과, yr+선분 RP의 길이×cosφP에 기초하여, 점 R, P를 연결하는 벡터가 도출된다. 당해 벡터의 x축 성분의 길이, y축 성분의 길이가, xp, yp가 된다.19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point R)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is 0 (zero). In addition, when the second captured image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determines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but als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 The position (z p ) of the z-axis direction) can be derived. In addition,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can derive not only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but also the position (x p ) and the position (y p ) of the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in the x-axis direction. there is. For example, x p and y p are deriv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RP extends and y r +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RP × cosφ P . That is, a vector connecting the points R and P is deriv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RP extends and y r +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RP × cosφ P . The length of the x-axis component and the length of the y-axis component of the vector are x p , y p .

또한, 여기서는, 제2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는 제2 촬상 화상에 점 P(제1 촬상 장치)가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촬상 장치(점 P)와 제2 촬상 장치(점 R)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PRO(=φP) 등)를 도출할 수 있으면, 반드시 이렇게 할 필요는 없다. 이렇게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촬상 장치 및 제2 촬상 장치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촬상 장치로 촬상된 촬상 화상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는 경우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 촬상 장치 및 제2 촬상 장치에 추가하여 제3 촬상 장치를 배치한다. 제3 촬상 장치는, 점 P(제1 촬상 장치) 및 점 R(제2 촬상 장치)을 촬상 범위에 포함하고, 점 D를 촬상 범위에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3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을 도시하지 않은 R'으로 한다. 또한, 제2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 R의 위치와 제3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 R'의 위치 중 한쪽 또는 양쪽이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위치 도출부(1206)는, 제3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는 제3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점 R'으로부터 점 R, 점 P를 보았을 때의 앙각 또는 부각을 도출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도출한 앙각 또는 부각에 기초하여, ∠PRO(=φP)를 도출한다. 각도, 방향 및 길이의 도출은,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현된다. 또한, 제3 촬상 장치의 촬상 범위에 점 P(제1 촬상 장치)가 포함되고, 점 R(제2 촬상 장치)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점 R'(제3 촬상 장치) 및 점 R(제2 촬상 장치)을 촬상 범위에 포함하는 제4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제4 촬상 화상을 더 사용하면 된다. 한편, 예를 들어 제3 촬상 장치의 촬상 범위에 점 R(제2 촬상 장치)이 포함되고, 점 P(제1 촬상 장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점 R'(제3 촬상 장치) 및 점 P(제1 촬상 장치)를 촬상 범위에 포함하는 제5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제5 촬상 화상을 더 사용하면 된다.In addition, here, the case where the point P (the first imag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second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ing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do this as long as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eg, ∠PRO(=φ P )) between the first imaging device (point P)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point R) can be derived. In this case,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imaging device different from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is used, for example. A specific example of such a case will be described. First, a third imaging device is disposed in addition to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In the third imaging device, point P (first imaging device) and point R (second imaging device) are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and point D is not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In addition, a poin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hird imaging device is set to R' (not shown).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one or both of the position of the point 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 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hird imaging device are determined in advance. In this cas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the elevation angle or depression angle when viewing the point R and the point P from the point R' based on the third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third imaging device, and the position The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PRO(=φ P ) based on the derived elevation angle or depression angle. Derivation of the angle, direction, and length is realized by a method similar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 In addition, when point P (first imag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of the third imaging device and point R (second imaging device) is not included, for example, point R' (third imaging device) and the fourth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fourth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point R (second imaging device) in the imaging range may be further used.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when point R (second imag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of the third imaging device and point P (first imaging device) is not included, for example, point R' (third imaging device) is included. The fifth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fifth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imaging device) and the point P (the first imaging device) in the imaging range may be further used.

또한, 위치 도출부(1206)는, 점 P(제1 촬상 장치)의 위치를, 제1 촬상 장치를 촬상 범위에 포함하는 제6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는 제6 촬상 화상을 사용하여 특정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촬상 장치, 제3 촬상 장치 및 제4 촬상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촬상 범위에 제6 촬상 장치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6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을 도시하지 않은 P'으로 한다. 또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 P의 위치와 제6 촬상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 P'의 위치 중 한쪽 또는 양쪽이 미리 정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 제1 촬상 장치 및 점 P 대신에 제6 촬상 장치 및 점 P'을 사용한 계산이 행해진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이 계산의 결과와, 제6 촬상 화상과, 점 P 및 점 P'의 한쪽 또는 양쪽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촬상 장치(점 P)와 제2 촬상 장치(점 R)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PRO(=φP) 등)가 도출된다.Further,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may specify the position of the point P (first imaging device) using a sixth captured image captured by a sixth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first imaging device in an imaging range. .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sixth imaging device is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the third imaging device, and the fourth imaging device. In addition, a poin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ixth imaging device is set to P' (not shown).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one or both of the position of the point P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 P'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ixth imaging device are determined in advance. In this case, for example, calculation using the sixth imaging device and point P' instead of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point P in the above description is performed. Then, for exampl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calculation, the sixth captured image, and the positions of one or both of the points P and P', the first imaging device (point P)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point R)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PRO(=φ P ), etc.) is derived.

이상과 같이 하면, 제2 촬상 장치의 촬상 범위에 제1 촬상 장치와 후판의 양쪽을 포함하도록 제2 촬상 장치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제3 내지 제6 촬상 화상은, 예를 들어 제2 화상 취득부(1209)에 의해 취득된다. 단, 제2 화상 취득부(1209)와는 별도로, 제3 내지 제6 촬상 화상을 개별로 취득하는 제3 내지 제6 화상 취득부를 사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도 1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708의 처리가 개시되는 타이밍보다도 전의 타이밍이며, 제2 화상 취득부(1209)에 의해 제2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이 실행되는 타이밍과는 다른 타이밍에, 제3 내지 제6 촬상 화상을 개별로 취득하는 스텝이 추가된다. 또한, 제2 촬상 화상 등을 취득하지 않아도,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2 화상 취득부(1209)는 불필요해진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second imaging device cannot be arranged so that both the first imaging device and the rear plate are included in the imaging range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the height direction (z-axis)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direction) can be derived. In addition, the 3rd to 6th captured images are acquired by the 2nd image acquisition part 1209, for example. However, apart from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1209, third to sixth image acquisition units that individually acquire the third to sixth captured images may be used. In this case, in the flowchart of FIG. 17, the timing prior to the timing at which the process of step S1708 starts, and the timing at which the step of acquiring the second captured image by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1209 is executed, is a different timing. To this, a step of separately acquiring the third to sixth captured images is added. In addition, if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can be specified without acquiring the second captured image or the like, the second image acquisition unit 1209 becomes unnecessary.

제5 예로서, 위치 도출부(1206)는, 반송 테이블(1001)에 놓여 있는 후판(1002a, 1002b)의,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 축방향)의 위치를, 반송 테이블(1001)의 위치와, 후판(1000a, 1002b)의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어 있는 사이즈(두께)에 기초하여 도출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반송 테이블(1001)의 위치는, 트래킹 장치(1200)에 미리 등록된다.As a fifth exampl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conveys the positions of the thick plates 1002a and 1002b placed on the conveyance table 1001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It may be deriv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able 1001 and the size (thickness)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as information on the back plates 1000a and 1002b.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 table 1001 is registered in the tracking device 1200 in advance.

예를 들어, 이상의 예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있어서,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는 경우, 스텝 S1708에 있어서,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고 판정된다.For example, in at least one of the above examples, when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can be derived using the stencil (label), in step S1708, display using the stencil (label)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region can be specified.

또한, 후판이 운반 도구에 있는 경우, 스텝 S1709에 있어서, 위치 도출부(1206)는, 운반 도구에 있어서의 후판의 3차원 위치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반 도구는, 수송선(400) 및 수송 차량(700)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운반 도구가, 수송선(400) 및 수송 차량(700)인 경우를 예시한다.Further, when the heavy plate is in the carrying tool, in step S1709,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acquir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heavy plate in the carrying tool. In this embodiment, the transportation tools are the transport ship 400 and the transport vehicle 700 . So,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transport tools are the transport ship 400 and the transport vehicle 700 is exemplified.

예를 들어, 후판이 수송선(400)에 짐싣기 되면, 위치 도출부(1206)은, 당해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선(400)에 있어서의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은, 관리 테이블(1300)의 ID의 란으로부터, 취득한 후판의 ID와 동일한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을 특정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특정한 열의 물품 위치의 란에, 취득한 수송선(400)에 있어서의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수송선(400)의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정보 처리 단말기(태블릿 단말기 등)에 후판의 ID와 수송선(400)에 있어서의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당해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트래킹 장치(1200)에, 후판의 ID와 수송선(400)에 있어서의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위치 도출부(1206)는, 당해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선(400)에 있어서의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x-y-z 좌표이다.For example, when a heavy plate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ship 400,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acquires the ID of the heavy plate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heavy plate in the transport ship 400. And the position derivation part 1206 specifies the column in which the information which shows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acquired thick plate is memorize|stored from the column of ID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Then,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stores the obtained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thick plate in the transport ship 400 in the article position column of the specific row. For example, even if the operator (worker) of the transport ship 400 inputs the ID of the thick plate an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heavy plate in the transport ship 400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uch as a tablet terminal) possessed by the transport ship 400. do. In this case, the heavy plate ID an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thick plate in the transport ship 400 are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o the tracking device 1200, so that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termines the thick plate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and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thick plate in the transport ship 400.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is, for example, x-y-z coordinates of a display area by a stencil (label).

또한, 후판이 수송 차량(700)에 짐싣기되면, 위치 도출부(1206)는, 당해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 차량(700)에 있어서의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는, 관리 테이블(1300)의 ID의 란으로부터, 취득한 후판의 ID와 동일한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열을 특정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특정한 열의 물품 위치의 란에, 취득한 수송 차량(700)에 있어서의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수송 차량(700)의 오퍼레이터(작업원)가 소지하고 있는 정보 처리 단말기(태블릿 단말기 등)에 후판의 ID와 수송 차량(700)에 있어서의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해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당해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트래킹 장치(1200)에,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 차량(700)에 있어서의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위치 도출부(1206)는, 당해 후판의 ID와 당해 수송 차량(700)에 있어서의 당해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x-y-z 좌표이다.Further, when the heavy plate is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700, the position deriving unit 1206 acquires the ID of the heavy plate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heavy plate in the transport vehicle 700. Then,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specifies, from the ID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a column in which information indicating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acquired back plate is stored. Then,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stores the obtained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rear plate in the transport vehicle 700 in the article position column of the specific row. For example,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uch as a tablet terminal) possessed by an operator (worker) of the transport vehicle 70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 of the heavy plate and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heavy plate in the transport vehicle 700. You may enter In this case, by transmitting the ID of the heavy plate an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heavy plate in the transport vehicle 700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to the tracking device 1200,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The ID of the thick plate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thick plate in the transportation vehicle 700 may be acquire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is, for example, x-y-z coordinates of a display area by a stencil (label).

이상과 같이 운반 도구에 있어서의 후판의 3차원 위치를 취득함으로써, 각 후판을 반송하는 운반 도구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운반 도구에 의해 후판이 반송 중일 때의 후판의 3차원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cquir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s of the heavy plates in the carrying tool,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carrying tool for carrying each heavy plate.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heavy plate can be accurately specified when the heavy plate is being transported by the conveying tool.

도 17의 설명으로 복귀하여, 스텝 S1708에 있어서,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특정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712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712에 있어서, 출력부(1208)는, 후판의 3차원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당해 후판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ID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208)는, 후판의 3차원 위치를 특정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당해 후판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ID를, 컴퓨터용 모니터에 표시시킨다. 이들 정보가 출력되면, 오퍼레이터(작업원)는, 해당하는 제1 촬상 장치가 존재하는 위치까지 나가서, 해당하는 후판의 3차원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오퍼레이터(작업원)는, 해당하는 제1 촬상 장치의 프리뷰 화상으로부터, 해당하는 후판의 3차원 위치를 특정해도 된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7, in step S1708,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cannot be specified, the process of step S1712 is executed. In step S1712, the output unit 1208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cannot be specified and the ID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image of the back plate.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208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cannot be specified and the ID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back plate on the computer monitor. When these pieces of information are output, the operator (worker) goes to the position where the corresponding first imaging device exists and specifi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rear plate. Further, the operator (worker) may specify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rear plate from the preview image of the corresponding first imaging device.

이어서, 스텝 S1713에 있어서, 기억부(1207)는, 오퍼레이터(작업원)에 의해 특정된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고, 당해 후판에 대한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1300)의 비현품 표시의 란의 물품 위치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당해 입력한 정보로 갱신한다. 또한, 후판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의 입력 형태로서, 트래킹 장치(1200)의 유저 인터페이스 조작에 의한 입력,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의 수신 및 가반형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의 읽어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의 흐름도에 의한 처리가 종료된다.Next, in step S1713, the storage unit 1207 in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heavy plate specified by the operator (worker), and displays non-actuated items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as information on the heavy plat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position column in the column of is updated with the input information. In addition, as an input form of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back plate, input by user interface operation of the tracking device 1200, reception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reading of information stored in a portable storage medium , at least one can be employed. The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17 ends.

<통합><integration>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래킹 장치(1200)는, 후판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이며, 당해 후판의 제조 메이커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정보가 스텐실(라벨)에 의해 표시된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의 제1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 트래킹 장치(1200)는, 당해 취득한 제1 촬상 화상과, 당해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를 도출하고, 당해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당해 후판의 ID와 관련 지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각종 반송 장치(수송선(400), 수송 차량(700), 반송 테이블(1001) 등)를 사용하여 후판을 반송하거나, 후판을 작업원이 반송하거나 하는 경우나, 두는 곳 번지가 정해져 있지 않은 두는 곳에 후판이 놓이는 경우나, 후판이 적층되어 놓이는 경우에도, 후판을 트래킹할 수 있다. 따라서, 후판의 트래킹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cking device 1200 i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ack plate, and the information manag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back plate is the control of the area including the display area displayed by the stencil (label). 1 Acquire a captured image. The tracking device 1200 derive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a display area using a stencil (label) based on the acquired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ID of the back plate. Therefore, for example, when a heavy plate is conveyed using various conveying devices (transport ship 400, transport vehicle 700, conveying table 1001, etc.), or when a worker conveys a heavy plate, Even when the back plate is placed in an unspecified place or when the back plate is stacked, the back plate can be tracked. Accordingly, the tracking accuracy of the thick plate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래킹 장치(1200)는, 제1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ID305, 312)를 인식한다. 그리고, 트래킹 장치(1200)는, 인식한 정보와,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ID)를 대조하고, 대조한 결과에 기초하여, 후판을 특정한다. 따라서, 트래킹의 대상으로 되는 후판 자체를, 제1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반송 기기의 동작에 기초하여, 후판의 3차원 위치를 특정하는 경우에 비해, 후판의 트래킹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cking device 1200 recognizes information (ID305, 312)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using a stencil (label) based o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n, the tracking device 1200 collates the recognized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ID)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and identifies the thick plate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llation. Accordingly, the thick plate itself as the tracking target can be reliably specified based o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thick plate is specifie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machin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racking accuracy of the thick plat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래킹 장치(1200)는,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와 다른 제2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제2 촬상 화상을 취득한다. 제2 촬상 화상에는, 제1 촬상 화상과, (트래킹의 대상으로 되는) 후판이 포함된다. 트래킹 장치(1200)는, 당해 취득한 제2 촬상 화상과, 제2 촬상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도출한다. 그리고, 트래킹 장치(1200)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와, 제1 촬상 화상과, 당해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한 제1 촬상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3차원 위치를, 후판의 3차원 위치로서 도출한다. 따라서, 제1 촬상 화상이나 제1 촬상 화상이 구비하는 센서를 사용해도, 후판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도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후판을 트래킹할 수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tracking device 1200 acquires a second captured image captured by a second imaging device different from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second captured image includes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back plate (to be tracked). The tracking device 1200 derives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the stencil based on the acquired second captur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imaging device. Then, the tracking device 1200 is located in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at captured the first captured image. Based on this, the 3D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derived as the 3D position of the back plate. Therefore, even if the first captured image or the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used, even when the height direction position of the back plate cannot be derived, the back plate can be track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를,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로 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작업원)에 의한 현품 관리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현품 관리의 편리성이 향상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splay using a stencil and a display using a label are regarded as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a person. Therefore, management of the actual item by the operator (worker) becomes easy.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actual product management is improv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실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에, 후판마다 개별로 정해지는 정보(후판에 고유한 정보)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1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후판을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후판의 식별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히 행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determined individually for each back plate (information unique to the back plate) is included in the display using the stencil and the display using the label. Therefore, the back plate can be uniquely identified based o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refore, identification of the thick plate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래킹 장치(1200)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로서, 3차원 좌표(x-y-z 좌표)를 도출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수의 후판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도, 후판을 트래킹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cking device 1200 derives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x-y-z coordinates) a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using the stencil (label). 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back plates are stacked, for example, the back plates can be tracked.

<변형예><Example of modification>

<<제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스텝 S1709에 있어서 제1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은,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 도출부(1206)는, 관리 테이블(1300)에 있어서 물품 내 위치를 정할 때의 원점 위치를, 제1 촬상 화상으로부터 도출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도출한 원점의 위치와, 관리 테이블(1300)의 물품 내 위치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도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method of deriv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ncluded in the first captured image in step S1709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 For example,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the position of the origin at the time of determining the position within the article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from the first captured image. Then,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based on the derived position of the origin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position column of the management table 1300, based on the stencil (label) included in the first captured image. The location of the display area is derived. In this way, an example of a method of deriv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ncluded in the first captured image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as an example.

도 20은,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위치를 도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에서는, 도 18과 마찬가지로, 점 S의 x-y-z 좌표 S(xs, ys, zs)를 스텐실에 의한 표시 영역(201)의 위치로서 도출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는, 도 2에 도시하는 정점(203)을 원점으로 하고, 당해 정점(203)으로부터, 후판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y축의 정 방향, 후판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x축의 정 방향으로 하는 x-y 좌표로 표시된다. 따라서, 도 20의 점 E의 위치가, 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이 된다. 점 F는, 후판의 정점 중, 점 E에 대하여 폭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점이다(점 E와 점 F로 후판의 폭 방향을 따르는 일변이 형성된다). 점 T는, 선분 EF에 대한 점 P의 수선의 발(점 P의 수선과 선분 EF의 교점)이다. 점 P 및 점 O는, 도 18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eriv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using a stencil. In FIG. 20 , as in FIG. 18 , a case where the xyz coordinates S(x s , y s , z s ) of the point S are derived a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201 by the stencil is exemplifi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 the position of the stencil in the product is the vertex 203 shown in FIG. 2 as the origin, and the direction from the vertex 203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ck plate i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It is indicated by xy coordinates with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a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Therefore, the position of point E in FIG. 20 becomes the origin of the position of the stencil in the article. Point F is a point 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point E among vertices of the thick plate (one 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ick plate is formed by point E and point F). The point T is the foot of the perpendicular of the point P to the line segment EF (the intersection of the perpendicular to the point P and the segment EF). Point P and point O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18 .

도 20에 있어서, 선분 PT의 길이를 hp로 한다. 또한, 선분 PF의 길이를 h1로 하고, ∠FPT를 θ1(rad)로 하고, 선분 PE의 길이를 h2로 하고, ∠EPT를 θ2(rad)로 하고, ∠EPF를 θ(rad)(θ=θ12)로 한다. 또한, 선분 FT의 길이를 w01로 하고, 선분 ET의 길이를 w02로 한다.In Fig. 20,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PT is h p .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PF is h 1 , ∠FPT is θ 1 (rad), the length of line segment PE is h 2 , ∠EPT is θ 2 (rad), ∠EPF is θ (rad ) (θ=θ 12 ). In addition, let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FT be w 01 , and let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ET be w 02 .

그렇게 하면, 점 E의 x 좌표 xe는, 점 P의 x 좌표 xp에, 선분 OT의 길이 lp를 가산한 값(xe=xp+lp)이 된다. 점 E의 y 좌표 ye는, 점 P의 y 좌표 yp로부터, 선분 ET의 길이 wo2를 감산한 값(ye=yp-wo2)이 된다. 따라서, 선분 OT의 길이 lp와, 선분 ET의 길이 wo2가 도출되면, 점 E의 위치(스텐실의 물품 내 위치의 원점)의 x-y 좌표(xe, ye)가 도출된다.Then, the x-coordinate x e of the point E is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length l p of the line segment OT to the x-coordinate x p of the point P (x e =x p +l p ). The y-coordinate y e of the point E is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length w o2 of the line segment ET from the y-coordinate y p of the point P (y e =y p -w o2 ). Therefore, when the length l p of the line segment OT and the length w o2 of the line segment ET are derived, the xy coordinates (x e , y e ) of the position of point E (the origin of the position of the stencil in the article) are derived.

선분 OT의 길이 lp는, 이하의 (5) 식으로 표시된다.The length l p of the line segment OT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5).

lp=√(hp 2-H2)=√(h1 2cos2θ1-H2)=√(h2 2cos2θ2-H2) ···(5)l p =√(h p 2 -H 2 )=√(h 1 2 cos 2 θ 1 -H 2 )=√(h 2 2 cos 2 θ 2 -H 2 ) ...(5)

선분 ET의 길이 wo2는, 이하의 (6) 식으로 표시된다.The length w o2 of the line segment ET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6).

wo2=h2sinθ2 ···(6)w o2 = h 2 sinθ 2 ... (6)

따라서, 예를 들어 선분 PE의 길이 h2 및 ∠EPT(=θ2)가 도출되면, 선분 OT의 길이 lp 및 선분 ET의 길이 wo2가 도출된다. 또한, 선분 OP의 길이 H는,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도출된다.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length h 2 of line segment PE and ∠EPT(=θ 2 ) are derived, the length l p of line segment OT and the length w o2 of line segment ET are derived. The length H of the line segment OP is deriv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T의 위치는,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선분 EF 상의 위치이며, 촬상 시의 수평 화각(y축 방향의 화각)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 ∠EPT(=θ2)는, 예를 들어 스텝 S1701에서 취득한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E 및 점 T의 위치와, 당해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초점 거리를 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학계의 중심 위치)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E와,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선분 PE가 연장되는 방향이 특정된다. 제1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점 T와, 제1 촬상 화상을 촬상했을 때의 광학계(렌즈)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선분 PT가 연장되는 방향이 특정된다. ∠EPT(=θ2)는, 선분 PE가 연장되는 방향과, 선분 PT가 연장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정해진다.The position of the point T i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a position on the line segment EF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angle of view (angle of view in the y-axis direction) during imaging. ∠EPT(=θ 2 ) is, for example, the positions of points E and T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cquired in step S1701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captured (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optical system used to determine the focal leng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PE extends is specified by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 E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captur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PT extends is specified by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oint T in the first captured image and the center position of the optical system (lens) when the first captured image is captured. ∠EPT(=θ 2 )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PE exten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ne segment PT extends.

선분 PE의 길이 h2는, 예를 들어 제1 촬상 장치가 구비하는 측거 센서(예를 들어 TOF(Time-of-Flight) 방식의 측거 센서)를 사용하여 도출된다. 이 밖에, 선분 OP의 길이 H와, ∠OPE에 기초하여, 선분 PE의 길이 h2를 도출해도 된다.The length h 2 of the line segment PE is derived using, for example, a range sensor (eg, a time-of-flight (TOF) type range sensor) included in the first imaging device. In addition, the length h 2 of the line segment PE may be derived based on the length H of the line segment OP and ∠OPE.

이상과 같이 하여, 점 E의 x 좌표 xe 및 y 좌표 ye가 도출된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스텝 S1705에서 특정된 후판의 라벨 정보로서 관리 테이블(1300)의 물품 내 위치의 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점 S에 대응하는 위치의 x-y 좌표(Ls10, Ws10)를 읽어낸다. 그리고, 위치 도출부(1206)는, 점 E의 x 좌표 xe에 LS10을 가산한 값을 점 S의 x 좌표 xs로서 도출한다(xs=xe+LS10). 또한, 위치 도출부(1206)는, 점 E의 y 좌표 xy에 WS10을 가산한 값을 점 S의 y 좌표 ys로서 도출한다(ys=ye+WS10).As described above, the x coordinate x e and the y coordinate y e of the point E are derived. Then,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termines the xy coordinates (Ls10, Ls10, Ws10) is read. Then,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a value obtained by adding LS10 to the x coordinate x e of the point E as the x coordinate x s of the point S (x s =x e +LS10). Further,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derives a value obtained by adding WS10 to the y coordinate x y of the point E as the y coordinate y s of the point S (y s =y e +WS10).

<<제2 변형예>><<Second modified example>>

본 실시 형태과 같이, 수요가 이름(302), 규격(303), 사이즈(304), ID(305), 수요가 코드(306), 주문 번호(307), 규격(311), ID(312), 사이즈(313), 납기(314) 및 수요가 코드(315)를, 사람이 식별 가능한 정보로 하면, 오퍼레이터(작업원)에 의한 현품 관리가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요가 이름(302), 규격(303), 사이즈(304), ID(305), 수요가 코드(306), 주문 번호(307), 규격(311), ID(312), 사이즈(313), 납기(314) 및 수요가 코드(315)의 적어도 하나를, 바코드나 2차원 코드와 같이, 사람이 식별 가능하지 않은 정보로 변환(인코드)된 정보로 해도 된다.As in the present embodiment, customer name 302, specification 303, size 304, ID 305, customer code 306, order number 307, specification 311, ID 312, When the size 313, the delivery date 314, and the demand code 315 are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y a person,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operator (worker) can easily manage the actual product. However, the customer name (302), size (303), size (304), ID (305), customer code (306), order number (307), size (311), ID (312), size (313) ), the delivery date 314, and the demand code 315 may be converted (encoded) into information that is not humanly identifiable, such as a bar code or a two-dimensional code.

<<제3 변형예>><<The third modified exampl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텐실에 의해 표시되는 ID(305)와, 라벨에 의해 표시되는 ID(312)가 동일한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ID의 표현 및 기재 내용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ID에 있어서 "하이픈"이 없는 형식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들 ID(스텐실에 의한 ID, 라벨에 의한 ID)가 동일한 후판에 대한 것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시킨다. ID 이외의 표시 항목에 대해서도, 동일한 표시 항목의 표현 및 기재 내용이, 스텐실에 의한 표시 및 라벨에 의한 표시에서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스텐실 및 라벨의 양쪽에 규격이 표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라벨에는 규격의 약칭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스텐실에 의한 표시와 라벨에 의한 표시에서 수요자 코드의 자릿수가 다른 경우가 있지만, 수요자 코드는 제조 메이커에서 관리되고 있다. 또한, 사이즈에 대해서도, 치수의 모든 자릿수를 나타 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그것들 다른 표현 및 기재 내용이 동등한 의미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테이블(1300)에 기억시킨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case where the ID 305 displayed by the stencil and the ID 312 displayed by the label are the same has been exemplified.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expression and description of these IDs are different. For example, there are forms without "hyphens" in the ID. In this cas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se IDs (ID by stencil, ID by label) are for the same back plate is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Also for display items other than ID, the expression and description of the same display item may differ between display using a stencil and display using a label. For example, when a standard is displayed on both a stencil and a label, for example, an abbreviation of a standard may be displayed on the label. In addition, although the number of digits of the consumer code may differ between the display by the stencil and the display by the label, the consumer code is managed by the manufacturer. Also, regarding the size, there are cases where all digits of the dimension are not indicated. Even in this cas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se other expressions and descriptions have equivalent meanings is stored in the management table 1300.

<<제4 변형예>><<The 4th modified exampl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x-y-z 좌표를,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로서 도출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는, x-y-z 좌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는, 제1 촬상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3차원 위치여도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점 P의 좌표(xp, yp, zp)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x-y-z 좌표의 원점을, 제1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로 하는 경우, 스텐실(라벨)에 의한 표시 영역의 3차원 위치는, x-y-z 좌표에서 나타내도, 제1 촬상 장치의 3차원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3차원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xyz coordinates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s derived a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s exemplified. However,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s not limited to xyz coordinates. For example, the 3D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may be a relative 3D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coordinates (x p , y p , z p ) of the point P indicating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imaging device. In addition, when the origin of the xyz coordinates is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first imaging device,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by the stencil (label) is based on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1st imaging device even if expressed in xyz coordinates. It is to indicate the relative 3-dimensional position to be.

<<제5 변형예>><<Fifth modified exampl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 정보 취득부(1210)가, 인식부(1202), 입수부(1203), 대조부(1204) 및 특정부(1205)를 갖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위치 도출부(1206)에 의해 도출된 3차원 위치에 관련짓는 후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있으면, 반드시, 인식부(1202), 입수부(1203), 대조부(1204) 및 특정부(1205)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예를 들어 인식부(1202)만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예를 들어 입수부(1203)만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예를 들어 인식부(1202)와 입수부(1203)만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인식부(1202)에 의해 인식된 ID를, 후판의 식별 정보로서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입수부(1203), 대조부(1204) 및 특정부(1205)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트래킹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 미리 하나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입수부(1203)에 의해 입수된 ID를, 후판의 식별 정보로서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인식부(1202), 대조부(1204) 및 특정부(1205)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인식부(1202)에 의해 인식된 정보만으로부터 후판을 특정하는 경우에는 인식부(1202)를 이용하고, 트래킹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 미리 하나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수부(1203)를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식별 정보 취득부(1210)는, 대조부(1204) 및 특정부(1205)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인식부(1202) 및 입수부(1203)만을 갖고 있어도 됨).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has a recognition unit 1202, an acquisition unit 1203, a verification unit 1204, and a specification unit 1205 has been exemplified. However,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acqui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ck plate associated with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derived by the position derivation unit 1206, the recognition unit 1202, the acquisition unit 1203, It is not necessary to have the matching section 1204 and the specifying section 1205.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may have only the recognition unit 1202, for example.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may have only the acquisition unit 1203, for example.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may have only the recognition unit 1202 and acquisition unit 1203, for example.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may acquire the ID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202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ck plate.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does not need to include the acquisition unit 1203, the verification unit 1204, and the specification unit 1205.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tracking target item is limited to one item in advan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may acquire the ID acquired by the acquisition unit 1203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ck plate.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does not have to include the recognition unit 1202, the verification unit 1204, and the specification unit 1205. In addition,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uses the recognition unit 1202 when specifying a thick plate from only th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1202, and the items to be tracked are one in advance. If limited, you may use the acquisition part 1203.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210 does not have to have the verification unit 1204 and the specification unit 1205 (it may have only the recognition unit 1202 and the acquisition unit 1203).

<<제6 변형예>><<Sixth modified example>>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테이블(1300)이 트래킹 장치(1200)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관리 테이블(1300)은, 트래킹 장치(1200)의 외부에 있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management table 1300 is stored in the tracking device 1200 has been exemplified. However, the management table 1300 may exist outside the tracking device 1200.

<<제7 변형예>><<Seventh modification>>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이 후판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물품은, 후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물품은, 후판 이외의 제조물이어도 된다. 물품은, 제조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제조물이어도 된다. 제조물은, 예를 들어 슬래브, 빌렛, 박판 코일 또는 강관이어도 된다. 또한, 제조물 이외의 물품이어도 된다. 물품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여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article is a thick plate is exemplified. However, the article is not limited to the thick plate. For example, the article may be a product other than a thick plate. The article may be a product on which information managed by the manufacturer is displayed. The product may be, for example, a slab, a billet, a sheet coil or a steel pipe. Moreover, it may be an article other than a manufactured product. The article may be, for example, a container.

<<그 밖의 변형예>><<other modifications>>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상기 프로그램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적용할 수 있다.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by a computer executing a program. In additi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above program is recorde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such as the above program are also applicable a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 flexible disk, a hard disk, an optical disk, a magneto-optical disk, a CD-ROM, a magnetic tape, a nonvolatile memory card, a ROM, or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dedicated hardware such as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 사상,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ll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only examples of concrete implementa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idea or its main characteristics.

<하드웨어><hardware>

트래킹 장치(1200)의 하드웨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있어서, 트래킹 장치(1200)는, CPU(2101), 주기억 장치(2102), 보조 기억 장치(2103), 통신 회로(2104), 신호 처리 회로(2105), 화상 처리 회로(2106), I/F 회로(2107), 유저 인터페이스(2108), 디스플레이(2109) 및 버스(2110)를 갖는다.An example of the hardware of the tracking device 1200 will be described. 21, a tracking device 1200 includes a CPU 2101, a main memory device 2102, an auxiliary memory device 2103, a communication circuit 2104, a signal processing circuit 2105, an image processing circuit 2106, It has an I/F circuit 2107, a user interface 2108, a display 2109 and a bus 2110.

CPU(2101)는, 트래킹 장치(1200)의 전체를 통괄 제어한다. CPU(2101)는, 주기억 장치(2102)를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하여, 보조 기억 장치(21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주기억 장치(2102)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보조 기억 장치(2103)는, CPU(21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외에,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The CPU 2101 collectively controls the entire tracking device 1200. The CPU 2101 uses the main storage device 2102 as a work area to execute program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2103. The main memory device 2102 temporarily stores data.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2103 stores various types of data in addition to programs executed by the CPU 2101 .

통신 회로(2104)는, 트래킹 장치(1200)의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통신 회로(2104)는, 트래킹 장치(1200)의 외부와 무선 통신을 행해도 유선 통신을 행해도 된다.The communication circuit 2104 is a circu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tracking device 1200.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4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tracking device 1200.

신호 처리 회로(2105)는, 통신 회로(2104)에서 수신된 신호나, CPU(210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입력한 신호에 대하여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한다.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2105 performs various signal processes on signal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4 and input signals under control by the CPU 2101.

화상 처리 회로(2106)는, CPU(210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입력한 신호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이 화상 처리가 행해진 신호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09)에 출력된다.The image processing circuit 2106 performs various image processes on input sig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2101. A signal subjected to this image processing is output to the display 2109, for example.

유저 인터페이스(2108)는, 오퍼레이터가 트래킹 장치(1200)에 대하여 지시를 행하는 부분이다. 유저 인터페이스(2108)는, 예를 들어 버튼, 스위치 및 다이얼 등을 갖는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2108)는, 디스플레이(2109)를 사용한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어도 된다.The user interface 2108 is a part where the operator gives instructions to the tracking device 1200. The user interface 2108 has, for example, buttons, switches, and dials.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2108 may have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the display 2109 .

디스플레이(2109)는, 화상 처리 회로(2106)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I/F 회로(2107)는, I/F 회로(2107)에 접속되는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도 21에서는, I/F 회로(2107)에 접속되는 장치로서, 유저 인터페이스(2108) 및 디스플레이(2109)를 나타낸다. 그러나, I/F 회로(2107)에 접속되는 장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반형의 기억 매체가 I/F 회로(2107)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2108)의 적어도 일부 및 디스플레이(2109)는, 트래킹 장치(1200)의 외부에 있어도 된다.The display 2109 displays an image based on a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2106 . The I/F circuit 2107 exchanges data between devices connected to the I/F circuit 2107. In FIG. 21, as devices connected to the I/F circuit 2107, a user interface 2108 and a display 2109 are shown. However, devices connected to the I/F circuit 2107 are not limited to these. For example, a portable storage medium may be connected to the I/F circuit 2107.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user interface 2108 and the display 2109 may exist outside the tracking device 1200 .

출력부(1208)는, 예를 들어 통신 회로(2104) 및 신호 처리 회로(2105)와, 화상 처리 회로(2106), I/F 회로(2107) 및 디스플레이(2109)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The output unit 1208 is obta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4,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2105, the image processing circuit 2106, the I/F circuit 2107, and the display 2109. come true

또한, CPU(2101), 주기억 장치(2102), 보조 기억 장치(2103), 신호 처리 회로(2105), 화상 처리 회로(2106) 및 I/F 회로(2107)는, 버스(2110)에 접속된다. 이들 구성 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2110)를 통해 행해진다. 또한, 트래킹 장치(1200)의 하드웨어는, 전술한 트래킹 장치(1200)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도 21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the CPU 2101, main memory device 2102, auxiliary memory device 2103, signal processing circuit 2105, image processing circuit 2106, and I/F circuit 2107 are connected to the bus 2110. . Communication between these components is performed via the bus 2110. In addition, the hardware of the tracking device 12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21 as long as it can realize the functions of the tracking device 1200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물품을 트래킹하는 것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racking articles, for example.

Claims (8)

물품을 트래킹하는 트래킹 장치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인 정보 표시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 도출 수단과,
상기 위치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상기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표시 위치를,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당해 물품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
It is a tracking device for tracking goods,
one or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a captured image of a region includ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position derivation means for deriv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which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means;
and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f the article derived by the position derivation means in a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acquir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track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표시 정보에는, 당해 물품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입수하는 입수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recognizing means for recogniz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ring means;
The tracking device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one means of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정보 표시 위치는,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당해 물품의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3차원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촬상 화상에는, 상기 물품의 소정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tem is information about a three-dimensional position where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tem.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to be,
The tra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means includes a region including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rticl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인식 수단과,
상기 입수 수단과,
상기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와, 상기 입수 수단에 의해 입수된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대조하는 대조 수단과,
상기 대조 수단에 의한 대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the recognition means; and
the means of obtaining; and
Verification means for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means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obtained by the acquisition means;
and specifying means for specify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means, based on a result of collation by the verification mean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도출 수단은, 2 이상의 상기 화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2 이상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상기 물품의 면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sition derivation means determines, based on two or more captured images acquired by the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means, the surface of the article on which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A tracking device characterized by deriving a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물품을 트래킹하는 트래킹 방법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인 정보 표시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 도출 공정과,
상기 위치 도출 공정에 의해 도출된 상기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표시 위치를, 상기 식별 정보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당해 물품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기억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방법.
It is a tracking method for tracking goods,
one or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steps of acquiring a captured image of a region includ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a position derivation step of deriv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which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step;
and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f the article derived by the position derivation step in a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acquir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tracking method.
물품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와,
상기 물품에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정보를 갖고,
상기 비표시 정보는,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인 정보 표시 위치를 포함하고,
트래킹 장치가,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당해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표시 위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트래킹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Has non-display information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article;
The non-display information includes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which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where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A data structure of tracking data used by a tracking device to derive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n the article based on a captured image of an area contain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물품을 트래킹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상기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촬상 화상을 취득하는 1 또는 2 이상의 화상 취득 공정과,
상기 물품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 공정과,
상기 화상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3차원 위치인 정보 표시 위치를 도출하는 위치 도출 공정과,
상기 위치 도출 공정에 의해 도출된 상기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표시 위치를, 상기 식별 정보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당해 물품의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서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기억 공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It is a program for executing processing of tracking an article on a computer,
one or two or more image acquisition steps of acquiring a captured image of a region including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articl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a position derivation step of deriving an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which i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step;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storage step of storing the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of the article derived by the position derivation step in a storage medium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ticle acquired b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featured program.
KR1020237015306A 2020-11-30 2021-11-29 Tracking device, tracking method, data structure and program of tracking data KR1025955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98065 2020-11-30
JP2020198065 2020-11-30
PCT/JP2021/043580 WO2022114173A1 (en) 2020-11-30 2021-11-29 Tracking device, tracking method, data structure of tracking data, and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662A true KR20230082662A (en) 2023-06-08
KR102595542B1 KR102595542B1 (en) 2023-10-30

Family

ID=8175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306A KR102595542B1 (en) 2020-11-30 2021-11-29 Tracking device, tracking method, data structure and program of tracking data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88231B2 (en)
KR (1) KR102595542B1 (en)
CN (1) CN116472239B (en)
WO (1) WO202211417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7396A (en) * 2023-01-09 2023-05-26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Material tracking method for straight welded pi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451B1 (en) 1970-09-11 1976-03-26
JP2007326700A (en) * 2006-06-09 2007-12-20 Nippon Steel Corp Steel product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WO2014141534A1 (en) * 2013-03-13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Comparison system,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comparison method, and program
JP2017174284A (en) * 2016-03-25 2017-09-28 株式会社日立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 Yar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80105658A (en) * 2017-02-03 2018-09-28 닛폰 파렛트 렌탈 가부시키가이샤 A conveyance object specifying system, a conveyance object specifying method, and a conveyance object specific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203906D0 (en) * 2002-12-31 2002-12-31 Abb Ab Container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WO2009052854A1 (en) * 2007-10-22 2009-04-30 Abb Ab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inspection data about a freight container
CN104724606B (en) * 2015-03-18 2017-01-25 苏州盈兴信息技术有限公司 Automatic tracking device and automatic tracking method for production material storage and transportation operation images
JP6339633B2 (en) * 2016-06-28 2018-06-06 新日鉄住金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451B1 (en) 1970-09-11 1976-03-26
JP2007326700A (en) * 2006-06-09 2007-12-20 Nippon Steel Corp Steel product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system
WO2014141534A1 (en) * 2013-03-13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Comparison system,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comparison method, and program
JP2017174284A (en) * 2016-03-25 2017-09-28 株式会社日立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 Yar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80105658A (en) * 2017-02-03 2018-09-28 닛폰 파렛트 렌탈 가부시키가이샤 A conveyance object specifying system, a conveyance object specifying method, and a conveyance object specific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14173A1 (en) 2022-06-02
CN116472239B (en) 2024-02-20
JP7288231B2 (en) 2023-06-07
WO2022114173A1 (en) 2022-06-02
CN116472239A (en) 2023-07-21
KR102595542B1 (en)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9543B (en) Storage map rapid determination method,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robot
US20230288219A1 (en) Hands-fre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icking and/or sorting assets
Kanade Three-dimensional machine vision
US970768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gnizing machine-readable information on three-dimensional objects
US8561897B2 (en) Load tracking utilizing load identifying indicia and spatial discrimination
US20120191272A1 (en) Inferential load tracking
CN113226952B (en) Article position management device, article position management system, article posi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116147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sensor-equipped mobile platform through an environment to a destination
WO2009052854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inspection data about a freight container
JP2012192490A (en) Packing recognition device
JP5780083B2 (en) Inspection device, inspection system,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2595542B1 (en) Tracking device, tracking method, data structure and program of tracking data
US109298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locations of cartons in pallets and containers
JP2010064202A (en) Picking device and method
TWI841973B (en) Article management device, articl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WO2023233506A1 (en) Article management device, article management method, data structure of data for article management, and program
JP2020194594A (en) Code recognition device
JP5483090B2 (en) Mobile object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W202349152A (en) Goods management device, goods management method, and data structure and program for goods management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goods management device deriv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label based on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photographing device that photographs the first photographed image
Astafiev et al. Method of controlling the movement of large metal products with the use of algorithms for localization and recognition of bar code markings
JP7130423B2 (en) Part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arts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JPH08304025A (en) Position measuring method for rectangular load
US11594047B2 (en) Article distinguishing system
JP7484397B2 (en) Storage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202401274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