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287A -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287A
KR20230082287A KR1020210170069A KR20210170069A KR20230082287A KR 20230082287 A KR20230082287 A KR 20230082287A KR 1020210170069 A KR1020210170069 A KR 1020210170069A KR 20210170069 A KR20210170069 A KR 20210170069A KR 20230082287 A KR20230082287 A KR 2023008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ltrasonic
ultrasonic generator
axial
ultra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구
Original Assignee
유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구 filed Critical 유승구
Priority to KR102021017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287A/ko
Publication of KR2023008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5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by non-invasive methods, e.g. for determining thickness of tissu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56Beam shap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1Beam steering with moving parts, e.g. transducers, lenses,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86Beam steering
    • A61N2007/0095Beam steering by modifying an excitation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61N2007/025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interstit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61N2007/027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with multiple foci creat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시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는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슬라이딩가이드 일측에 하우징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가이드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 및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구동하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를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방향구동부와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를 하우징의 축선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인 사용자의 피부 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면방향구동부와,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의 초음파의 출력방향이 하우징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에서 하우징의 축선방향의 축선위치 간을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Ultrasound treatment device with drive unit}
본 발명은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탄력 개선, 주름완화 등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다초점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 미용을 수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미용을 수행하는 기존의 초음파시술장치는 집속 초음파(Intensity focused ultrasound:IFU)를 피부 내부로 조사하여 소정의 근육이나 지방층 등의 조직에 열적 초점을 형성시켜 조직을 재생시키거나 제거하는 방식으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초음파시술장치는 초음파출력지점으로부터 열적 초점까지 거리를 다르게 할 수 없으므로 사람마다 부위별로 피부 두께가 다른 것에 대해 적응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피부트러블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초음파출력지점으로부터 열적 초점까지 거리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복수의 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는 있으나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하다.
또한, 기존의 초음파시술장치는 초음파를 하나의 영역, 하나의 방향 및 하나의 거리로만 출력할 수 있으므로 피부미용의 효과를 증대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의 열적 초점이 피부의 두께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초음파를 복수의 영역, 복수의 방향 및 복수의 거리로 출력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는,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슬라이딩가이드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구동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를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방향구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를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인 사용자의 피부 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면방향구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의 초음파의 출력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의 축선위치 간을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하여 집속 초음파가 복수의 영역, 복수의 방향 및 복수의 거리에서 피부의 근육층까지 전달될 수 있어 다초점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 미용을 수행하여 피부미용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사용자의 근육층까지의 피부 두께를 파악할 수 있는 피부두께측정기; 및 상기 초음파발생기의 집속 초음파의 초점거리를 저장하며, 상기 피부두께측정기에서 측정된 피부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초음파발생부의 초음파가 사용자의 근육층에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면 초음파의 열적 초점이 피부의 두께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사용자의 피부 두께에 따라 집속 초음파가 복수의 영역, 복수의 방향 및 복수의 거리에서 피부의 근육층까지 전달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가 사용자의 피부 면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경사진 위치와 상기 축선위치 간을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가 사용자의 근육층에 출력될 수 있는 거리가 되도록 상기 축방향구동부를 제어하면 초음파발생부가 사용자의 피부 면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동되거나 하여도 피부두께에 맞추어서 열적 초점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지지하며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 2개 이상의 하우징 이 결합되면 손잡이부에 2개 이상의 하우징을 결합하여 넓은 영역에서 피부미용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바닥이 안착할 수 있는 복수의 안착부를 갖는 손잡이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지지하며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손잡이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면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하우징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맛사지의 효과를 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하여 집속 초음파가 복수의 영역, 복수의 방향 및 복수의 거리에서 피부의 근육층까지 전달될 수 있어 다초점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 미용을 수행하여 피부미용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의 축방향이동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의 면방향이동 동작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의 회동 동작도이다.
도 5는 2개의 하우징과 손잡이부의 결합 예시 및 동작도이다.
도 6은 손잡이부에 대한 하우징의 회전 동작도이다.
도 7은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시술장치의 축방향이동 동작도이다.
초음파시술장치(1)는 하우징(10), 슬라이딩가이드(20), 초음파발생부(30), 누출방지부(40), 구동부(50), 피부두께측정기(60), 진동기(62), 손잡이부(7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 하우징본체(11)와 초음파창(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수용공간에는 초음파발생부(30)의 온도를 하강시켜 줄 수 있는 냉매질이 채워져 있을 수 있다.
하우징본체(11)는 하우징(10)의 외측 틀을 이루는 본체이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본체(11)는 후술할 손잡이부(70)와 결합되기 위한 돌출결합부(111)를 가진다. 돌출결합부(111)는 하우징본체(11)로부터 돌출되어 플랜지형상이 될 수 있다.
초음파창(12)은 하우징본체(11)의 길이방향 말단에 배치되며 초음파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초음파창(12)은 후술할 초음파발생부(30)에서 발생된 집속 초음파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창(12)은 통과하는 집속 초음파의 강도, 특성, 방향 등의 변화 정도가 작도록 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가이드(20)는 하우징(10) 수용공간에 축선을 따라 배치된다. 슬라이딩가이드(20)는 후술할 초음파발생부(30)가 말단에 장착되며, 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가이드(20)는 가이드본체(21)와 암나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본체(21)는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1)의 축선과 동일 또는 유사한 축선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본체(21)는 초음파발생부(30)가 결합되기 위한 말단영역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가이드공의 내측에 암나사부(22)가 형성된다. 가이드본체(21)는 후술할 슬라이딩조작부(4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다.
초음파발생부(30)는 슬라이딩가이드(20)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30)는 슬라이더(31)와 초음파발생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31)는 슬라이딩가이드(20) 일측에 하우징(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31)는 하우징(10)의 내부 수용공간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31)는 암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숫나사부(311)가 하단영역에 형성된다.
초음파발생기(32)는 전원을 공급받아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켜 초음파창(12)을 통과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기(31)의 집속 초음파는 집속 초음파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강도 집속 초음파(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가 활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초음파발생기(31)의 집속 초음파는 집속 초음파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강도 집속 초음파(Low Intensity Focused Ultrasound)가 활용될 수 있다.
열적 초점(10)의 직경, 열적 초점(10)이 피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열적 초점(10)들 사이의 간격 등 세부적인 특성을 달리하여 시술에 최적화된 특성을 갖는 열적 초점(10)을 이용해서 시술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시술자는 손으로 잡고 초음파창(12)이 시술대상 부위에 접촉되도록 위치를 조정한 상태로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본체(11)의 외측은 손잡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손잡이 형상을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만들어서 편안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누출방지부(40)는 하우징(10)의 내측과 슬라이딩가이드(20) 사이에 개재되어 후술할 냉매질이 하우징(10)의 내부 수용공간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출방지부(40)는 고무 재질의 오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측과 슬라이딩가이드(20)에는 고무 오링이 안착되는 오링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고무 오링은 적어도 하우징(10)의 내측과 슬라이딩가이드(20) 사이의 간격보다 2배정도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누출방지부(40)는 2개 이상의 고무 오링으로 마련되며, 하우징(10)의 내측과 슬라이딩가이드(20)에는 고무 오링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30)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축방향구동부(51), 면방향구동부(52) 및 회동구동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구동부(51)는 초음파발생부(30)를 하우징(10)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축방향구동부(51)는 축방향모터(511), 축방향회전축(512) 및 축방향지지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모터(511)에 의해 회전되는 축방향회전축(512)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지지부(513)는 축방향회전축(512)이 수용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의 내측에는 축방향회전축(512)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지지부(513)는 축방향회전축(512)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으며 축방향회전축(512)의 축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면방향구동부(52)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30)를 하우징(10)의 축선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인 사용자의 피부 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면방향구동부(52)는 면방향모터(521), 면방향회전축(522) 및 면방향지지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면방향모터(521)에 의해 회전되는 면방향회전축(522)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면방향지지부(523)는 면방향회전축(522)이 수용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의 내측에는 면방향회전축(522)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면방향지지부(523)는 면방향회전축(522)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으며 면방향회전축(522)의 축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회동구동부(53)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30)의 초음파의 출력방향이 하우징(10)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에서 하우징(10)의 축선방향의 축선위치 간을 회동시킬 수 있다. 회동구동부(53)는 회동모터(531), 회동회전축(532), 회동이동지지부(523) 및 회동회전지지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모터(531)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회전축(532)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이동지지부(533)는 회동회전축(532)이 수용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의 내측에는 회동회전축(532)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이동지지부(533)는 회동회전축(532)이 수용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의 내측에는 회동회전축(532)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이동지지부(533)는 회동회전축(532)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으며 회동회전축(532)의 축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회동이동지지부(533)는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회전지지부(534)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회동회전지지부(534)의 타측은 면방향회전지지부(523)에 연결되어 회동이동지지부(533)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면방향회전축(522)을 중심으로 면방향회전지지부(523)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초음파발생기(32)를 회동시켜 초음파의 출력방향을 바꾸게 된다.
피부두께측정기(60)는 사용자의 근육층까지의 피부 두께를 파악할 수 있다. 피부두께측정기(60)는 초음파발생기(32)에서 초음파를 피부를 향해 출력한 후 되돌아오는 초음파신호를 파악하여 피부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피부두께측정기(6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의 두께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부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면 어느 것이던 가능하다.
진동기(62)는 피부미용을 위하여 부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본체(11) 전체가 진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손잡이부(70)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0)을 지지하며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70)에는 2개 이상의 하우징(10)이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70)는 손잡이본체(71), 회전연결부(72) 및 회전구동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본체(7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바닥이 안착할 수 있는 복수의 안착부(711)를 가질 수 있다.
회전연결부(72)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0)을 지지하며 결합되며, 손잡이본체(7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72)는 일측에 하우징(10)의 돌출결합부(111)와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결합부(721)와 회전되는 형태로 회전연결본체(7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73)는 손잡이본체(71)에 지지되어 회전연결부(7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구동부(73)는 모터와 회전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초음파발생기(32)의 집속 초음파의 초점거리를 저장하며, 피부두께측정기(60)에서 측정된 피부 두께에 기초하여 초음파발생부(30)의 초음파가 사용자의 근육층에 출력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50)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초음파발생부(30)가 사용자의 피부 면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경사진 위치와 축선위치 간을 회동되는 경우 초음파발생부(30)가 사용자의 근육층에 출력될 수 있는 거리가 되도록 축방향구동부(5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복수이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시술모드는 축방향이동모드, 면방향이동모드, 회동모드, 하우징회전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축방향이동모드, 면방향이동모드, 회동모드, 하우징회전모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모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시술장치(1)는 복수의 시술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 형태의 조작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시술장치(1)의 축방향이동 동작도이다.
도 2의 (a)는 축방향회전지지부(513)의 홀의 끝까지 축방향회전축(512)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b)에 따르면 축방향모터(511)에 의해 축방향회전축(512)이 회전되면서 축방향회전지지부(513)가 상승하되면서 초음파발생기(32)가 초음파창(12)에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초음파의 열적 초점이 피부 깊숙이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시술장치(1)의 면방향이동 동작도이다.
도 3의 (a)는 면방향회전지지부(523)의 홀 끝까지 면방향회전축(522)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b)는 면향모터(521)에 의해 면방향회전축(522)이 회전되면서 면방향회전지지부(523)가 초음파창(12)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초음파발생기(32)의 초음파가 사용자의 피부 다른 영역으로 출력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시술장치(1)의 회동 동작도이다.
도 4의 (a)는 회동이동지지부(533)와 회동회전지지부(534)이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b)에 따르면 회동모터(531)에 의해 회동회전축(532)이 회전되면서 회동이동지지부(533)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면방향회전축(522)을 중심으로 면방향회전지지부(523)가 우하방을 가리키게 회전된다. 이에 의해 초음파발생기(32)가 좌상방으로 초음파를 출력하게 된다.
도 4의 (c)에 따르면 회동모터(531)에 의해 회동회전축(532)이 역회전되면서 회동이동지지부(533)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면방향회전축(522)을 중심으로 면방향회전지지부(523)가 좌하방을 가리키게 회전된다. 이에 의해 초음파발생기(32)가 우상방으로 초음파를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2개의 하우징(10-1, 10-2)과 손잡이부(70)의 결합 예시 및 동작도이다.
도 5의 (a)에 따르면 2개의 하우징(10-1, 10-2)이 손잡이부(70) 상측에서 하우징결합부(721)에 결합되려 하고 있다.
도 5의 (b)에 따르면 2개의 하우징(10-1, 10-2)이 손잡이부(70) 상측에서 하우징결합부(721)에 결합된 후 회동모터(531)에 의해 회동회전축(532)이 회전되면서 2개의 하우징(10-1, 10-2)에 수용된 2개의 초음파발생기(32)가 좌상방과 우상방으로 출력되고 있다.
도 5의 (c)에 따르면 회동모터(531)에 의해 회동회전축(532)이 역회전되면서 2개의 하우징(10-1, 10-2)에 수용된 2개의 초음파발생기(32)가 우상방과 좌상방으로 출력되고 있다.
도 6은 손잡이부(70)에 대한 하우징(10)의 회전 동작도이다.
도 6의 (a)에 따르면 손잡이부(70) 상측에 하우징(10)이 결합되려 하고 있다.
도 6의 (b)에 따르면 하우징(10)이 손잡이부(70)의 회전연결부(72)에 고정 결합된 후 회전구동부(73)의 구동에 의해 회전연결부(72)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하우징(10) 전체가 회전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면방향구동부(52)에 의해 초음파발생기(32)가 면방향으로 좌우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좌우의 면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하우징(10)의 수용공간이 필요하다. 하우징(10)을 크게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하우징(10)을 2개로 나누어 상호 겹쳐지면서 수용공간을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나뉘어진 2개의 하우징(10) 중 하나는 면방향지지부(523)에 고정 결합되어 면방향지지부(523)가 이동되는 경우 적응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초음파발생기(32)는 초음파 주파수가 변형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어 기설정된 초음파의 주파수로 마사지효과를 주면서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양한 형태의 파형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피부의 초음파시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드는 피부에 대한 깊이와 피부의 면을 따라 이동하는 마사지 형상으로 나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 즉, 삼각파형, 사각파형, 삼각사각혼합파형 등 다양한 형상의 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초음파시술장치(1)로 인하여, 초음파의 열적 초점이 피부의 두께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30)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하여 초음파를 복수의 영역, 복수의 방향 및 복수의 거리로 출력할 수 있는 다초점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부 미용을 수행하여 피부미용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1: 피부 미용기기 2: 피부
3: 근육층
10: 하우징 11: 하우징본체
12: 초음파창
20: 슬라이딩가이드 21: 가이드본체
22: 암나사부
30: 초음파발생부 31: 슬라이더
32: 초음파발생기 311: 숫나사부
40: 누출방지부 50: 구동부
51: 축방향구동부 511: 축방향모터
512: 축방향회전축 513: 축방향지지부
52: 면방향구동부 521: 면방향모터
522: 면방향회전축 523: 면방향지지부
53: 회동구동부 531: 회동모터
532: 회동회전축 533: 회동이동지지부
534: 회동회전지지부
60: 피부두께측정기 62: 진동기
70: 손잡이부 71: 손잡이본체
711: 안착부
72: 회전연결부 721: 하우징결합부
722: 회전연결본체
73: 회전구동부
80: 제어부

Claims (5)

  1.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에 있어서,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슬라이딩가이드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 각각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구동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를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방향구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를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인 사용자의 피부 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면방향구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의 초음파의 출력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의 축선위치 간을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발생부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사용자의 근육층까지의 피부 두께를 파악할 수 있는 피부두께측정기; 및
    상기 초음파발생기의 집속 초음파의 초점거리를 저장하며, 상기 피부두께측정기에서 측정된 피부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초음파발생부의 초음파가 사용자의 근육층에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발생부가 사용자의 피부 면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경사진 위치와 상기 축선위치 간을 회동되는 경우 상기 초음파발생부가 사용자의 근육층에 출력될 수 있는 거리가 되도록 상기 축방향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지지하며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 2개 이상의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바닥이 안착할 수 있는 복수의 안착부를 갖는 손잡이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지지하며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손잡이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연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KR1020210170069A 2021-12-01 2021-12-01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KR20230082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69A KR20230082287A (ko) 2021-12-01 2021-12-01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69A KR20230082287A (ko) 2021-12-01 2021-12-01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287A true KR20230082287A (ko) 2023-06-08

Family

ID=8676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69A KR20230082287A (ko) 2021-12-01 2021-12-01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2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4375B2 (ja) 超音波の集束深さの調節が可能な超音波発生装置および肥満治療方法
KR101635636B1 (ko)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1688424B1 (ko) 초음파 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20230082287A (ko) 구동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시술장치
KR101791550B1 (ko) 초음파 치료용 헤드
CN114191732A (zh) 超声波医疗装置用盒及超声波医疗装置
CN116712674A (zh) 一种智能盆底自动化治疗装置及其控制方法
JP7220720B2 (ja) 超音波を効率的に付与するための超音波装置
KR102083971B1 (ko) 초음파 카트리지와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20180014930A (ko) 초음파 및 고주파를 이용한 의료장치
KR20230082286A (ko) 다초점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미용기기
KR20230050983A (ko) 초음파 시술 장치
KR101885136B1 (ko) 움직임 측정을 이용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1775694B1 (ko) 초음파 트랜스듀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CN114225241A (zh) 超声波医疗用盒、超声波医疗装置及防齿隙装置
JP7495761B2 (ja) 超音波の集束深さの調節が可能な超音波発生装置
RU2778731C2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аппарат для эффективного механическ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с помощью ультразвуковых волн
KR101782523B1 (ko) 초음파 트랜스듀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음파 치료용 헤드
KR101643885B1 (ko) 초음파 카트리지
JP2009089945A (ja) 超音波毛髪処理装置
KR20240005613A (ko) 초음파 의료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64179A (ko) 3차원 치료 가능한 hifu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US20220193458A1 (en) Ultrasound probe for treating body tissues
KR20170099585A (ko) 시술용 의료장비의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