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135A - 반려동물 세척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135A
KR20230082135A KR1020210169778A KR20210169778A KR20230082135A KR 20230082135 A KR20230082135 A KR 20230082135A KR 1020210169778 A KR1020210169778 A KR 1020210169778A KR 20210169778 A KR20210169778 A KR 20210169778A KR 20230082135 A KR20230082135 A KR 2023008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water
companion animal
washing machin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윤
Original Assignee
송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윤 filed Critical 송지윤
Priority to KR102021016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135A/ko
Publication of KR2023008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반려동물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산책을 마친 반려동물이 실내로 들어가기 전에 반려동물의 발 및 다리 부분을 자동으로 신속히 세척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세척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세척기{Pet washer}
제안기술은 반려동물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산책을 마친 반려동물이 실내로 들어가기 전에 반려동물의 발 및 다리 부분을 자동으로 신속히 세척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세척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다원화되고 가족이 핵가족화됨에 따라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반려동물들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반려동물들과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정의 경우에, 날씨가 좋은 날 또는 반려동물이 갇힌 공간(집)에만 있어서 받을 스트레스를 풀어주고자, 반려동물과의 외출을 실시하지만, 막상 외출을 하고 돌아오면 반려동물의 발에 묻은 간단한 이물질 처리도 실내의 욕실에서 목욕을 시켜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어떤 때는 이 때문에 외출을 삼가기도 하고, 또는 목욕할 날을 잡아서 외출을 감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반려동물의 발에 묻은 이물질을 현장에서 바로 세척하는 제품이 없어 반려동물이 외부로 나갔다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실내에서 반려동물의 욕실로 이동시켜 발을 씻기거나, 목욕을 시켜야 하는 귀찮고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그리고, 반려동물을 목욕시키는 것이 번거로워 타월이나 브러시로 발에 묻은 이물질을 털게 되면, 반려동물의 발가락 사이에 낀 먼지나 흙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렵고, 또한 일반적으로 강아지 또는 고양이의 발바닥은 몹시 부드러워 브러시질을 하면 거부감을 일으키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브러시로 세척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즉, 반려동물과 반려인의 발에 묻은 이물질을 집 안으로 들어오기 전에 간편하게 바로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96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야외에서 산책을 마친 반려동물이 실내로 들어가기 전에 신속히 세척시킬 수 있는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척기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내부가 구획된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욕조부;
욕조부를 상하로 나누도록 욕조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그물망;
욕조부 내부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자;
욕조부 내부의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물 필터 모터;
그물망을 진동시키기 위한 그물망 진동 모터;
베이스부의 상면 중 욕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
베이스부의 상면을 덮는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내부에 펠티어(Peltier) 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가 구비되는 용수 보충기가 배치되며,
용수 보충기의 내부 공기 중 습기는 열전소자에 의해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욕조부 내부의 물은 필터부, UV 살균기 및 UV 살균관을 거쳐 세정된 후 물 필터 모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매트의 가장자리부에는 베이스부와의 탈착을 위한 자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매트의 상면은 물기를 닦기 위한 타월 또는 규조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부의 둘레부 중 어느 한 면의 하단에는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발판 계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이동 가능한 오퍼레이터 콘솔(operator console)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외에서 산책을 마친 반려동물이 실내로 들어가기 전에 신속히 세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상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일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커버매트 결합 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커버매트 제거 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발판 계단 인출 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오퍼레이터 콘솔의 예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산책을 마친 반려동물이 실내로 들어가기 전에 반려동물의 발 및 다리 부분을 자동으로 신속히 세척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세척기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상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일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척기는, 상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내부가 구획된 베이스부(2)와, 상기 베이스부(2)의 내부에 구비되는 욕조부(20)와, 상기 욕조부(20)를 상하로 나누도록 상기 욕조부(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그물망(24)과,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자(34)와,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물 필터 모터(36)와, 상기 그물망(24)을 진동시키기 위한 그물망 진동 모터(38)와, 상기 베이스부(2)의 상면 중 상기 욕조부(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40)와, 상기 베이스부(2)의 상면을 덮는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매트(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는 제1공간부(4), 제2공간부(8), 제3공간부(10), 제4공간부(12) 및 모터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공간부(4)는 상기 베이스부(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에는 상기 욕조부(20)가 삽입된다.
상기 제1공간부(4)는 상기 욕조부(20)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하였으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4)와 상기 제2공간부(8)는 제2벽(6)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2벽(6)은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일단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벽(6)의 양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부(2) 내부의 양측면에 맞닿는다.
상기 제2공간부(8)는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일단면과 상기 제2벽(6) 사이의 공간이 된다.
상기 제2공간부(8)의 내측에는 물배출배관(미도시)이 배치된다. 상기 물배출배관의 일단은 상기 욕조부(20)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부(2)의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욕조부(2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을 경우, 상기 물배출배관은 닫힌 상태가 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을 상기 베이스부(2)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제1공간부(4)와 상기 제3공간부(10)는 제3벽(미도시)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제1공간부(4)와 상기 제4공간부(12)는 제4벽(미도시)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3벽은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벽의 일단은 상기 제2벽(6)에 맞닿고, 타단은 후술하는 제5벽(14)에 맞닿는다.
상기 제3공간부(10)는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일측면과 상기 제3벽 사이의 공간이 된다.
상기 제3공간부(10)의 내측에는 상기 진동자(34)가 구비된다.
상기 제4벽은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4벽의 일단은 상기 제2벽(6)에 맞닿고, 타단은 후술하는 제5벽(14)에 맞닿는다.
상기 제4공간부(12)는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측면과 상기 제4벽 사이의 공간이 된다.
상기 제4공간부(12)의 내측에는 진동자(34)가 구비된다.
상기 제3공간부(10)와 상기 제4공간부(12)는 상기 제1공간부(4)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부(4)와 상기 모터공간부는 상기 제5벽(14)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5벽(14)은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단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5벽(14)의 양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부(2) 내부의 양측면에 맞닿는다.
상기 모터공간부는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단면과 상기 제5벽(14) 사이의 공간이 된다.
상기 모터공간부는 제5공간부(미도시), 제6공간부(미도시) 및 제7공간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5공간부는 제6벽(16)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6벽(16)의 일단은 상기 제5벽(14)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단면에 맞닿는다.
즉, 상기 제5공간부는 상기 제5벽(14),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일측면,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단면 및 상기 제6벽(1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된다
상기 제5공간부의 내측에는 그물망 진동 모터(38)가 구비된다.
상기 제6공간부는 상기 제6벽(16)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7벽(22)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7벽(18)의 일단은 상기 제5벽(14)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단면에 맞닿는다.
즉, 상기 제6공간부는 상기 제5벽(14), 상기 제6벽(16),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단면 및 상기 제7벽(1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된다.
상기 제6공간부의 내측에는 물 필터 모터(36)가 구비된다.
상기 제7공간부는 상기 제5벽(14), 상기 제7벽(18),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단면 및 상기 베이스부(2) 내측의 타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된다.
상기 제7공간부의 내측에는 그물망 진동 모터(38)가 구비된다.
상기 제5공간부와 상기 제7공간부는 상기 제6공간부를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욕조부(20)의 내부에는 상기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욕조부(20)의 내부에는 물이 공급된다.
상기 욕조부(20)는 상기 베이스부(2)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욕조부(20)의 각 측면 상단에는 상기 욕조부(20)의 측면과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걸림턱(28)이 형성된다.
상기 욕조부(20)는 상기 걸림턱(22)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2)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턱(22)이 상기 제1공간부(4)를 형성하는 상기 제2벽(6), 제3벽, 제4벽 및 제5벽(14)에 안착되면서 상기 욕조부(20)가 상기 제1공간부(4)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반려동물의 세척 시 반려동물은 상기 그물망(24)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욕조부(20) 내부에서 상기 그물망(24)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욕조부(2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있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그물망(24)이 상기 물에 잠기거나 잠기지 않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24)의 높이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부(26)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부(26)는 일정 길이의 제1바(28), 상기 제1바(28)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걸림부(30), 상기 걸림부(30)의 일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바(32), 상기 제2바(32)의 하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받침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30)의 하면은 상기 걸림턱(22)의 상면에 맞닿으며, 상기 제1바(28)는 상기 욕조부(2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바(32)는 상기 욕조부(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그물망(24)의 하면은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맞닿아 걸쳐지게 된다.
상기 제2바(32)의 길이는 스크류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욕조부(20) 내부에서 상기 그물망(2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6)는 상기 욕조부(20)의 둘레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24)은 상기 그물망 진동 모터(38)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2)의 양단 또는 양측 방향으로 진동되어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 속에서 상기 반려동물이 흔들리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깨끗하게 상기 반려동물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욕조부(2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지 않은 경우, 상기 그물망(24) 대신 브러시(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위에 상기 반려동물을 세운 뒤, 상기 브러시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발에 묻은 흙이나 먼지 등을 세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2)의 내측에는 상기 브러시의 결합 시 상기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공간부(10) 및 상기 제4공간부(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진동자(34)는 상기 욕조부(20)에 수용된 물에 초음파 진동을 일으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기 욕조부(20)에 수용된 상기 반려동물을 세척시키게 된다.
상기 물 필터 모터(36)는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을 여과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가 후술되는 오퍼레이터 콘솔(operator console)(46)에 형성된 물 여과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은 상기 욕조부(20)의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여과배출관(미도시)을 따라 상기 물 필터 모터(36)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은 상기 물 필터 모터(36)로 유입되기 전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정수용 필터부(미도시), UV 살균기(미도시) 및 UV 살균관(미도시)을 차례로 거치게 된다.
상기 물 필터 모터(36)로 유입된 물은 상기 욕조부(20)의 측면 중 어느 한 면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여과유입관(미도시)을 따라 상기 욕조부(2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물 필터 모터36) 내부의 물은 상기 욕조부(20)로 유입되기 전 UV 살균기 및 UV 살균관을 차례로 거치게 된다.
상기 UV 살균관은 UV LED를 이용하는 것으로, TiO2가 코팅되거나 TiO2가 혼입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TiO2가 코팅되거나 TiO2가 혼입된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UV 살균관은 자연광을 수광할 경우 살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제2공간부(8), 상기 제3공간부(10), 상기 제4공간부(12) 및 상기 모터공간부의 상면을 덮어 폐쇄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2)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커버매트 결합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커버매트 제거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매트(42)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으로, 상기 반려동물 세척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커버매트(42)는 상기 베이스부(2)의 상면에 결합되며, 이때 상기 커버매트(42)는 상기 제1공간부(4)의 상면 및 상기 덮개부(40)의 상면을 덮어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커버매트(42)의 가장자리부에는 자석부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매트(42)는 상기 자석부가 상기 베이스부(2)의 내측면에 붙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2)와 결합된다.
상기 커버매트(42)의 상면은 물기를 닦기 위한 타월 또는 규조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세척기 사용 시, 상기 커버매트(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의 둘레부 외측 중 일측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세척기 사용 시, 세척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상기 반려동물은 상기 욕조부(20)로부터 나올 때 상기 커버매트(42)의 상면을 밟아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발판 계단 인출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2)의 둘레부 중 어느 한 면의 하단에는 발판 계단(4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 공간부는 상기 베이스부(2)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발판 계단(44)은 상기 모터 공간부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2)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발판 계단(44)은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모터 공간부의 하단에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 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발판 계단(44)은 상기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욕조부(20)의 높이가 높은 경우, 밟고 올라가거나 내려오기 위한 것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은 상기 발판 계단(44)을 밟기 전후 상기 덮개부(40)를 밟을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덮개부(40)의 상면에도 상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의 일측에는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을 보충하기 위한 수분 포집기인 용수 보충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용수 보충기의 내부에는 펠티어(Peltier) 효과를 이용하는 열전소자가 구비된다.
상기 열전소자에 전류 또는 전압을 가하면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은 열이 발생되는 발열면이 되고, 타측면은 열을 흡수하는 흡열면이 된다. 냉각판(미도시)은 상기 흡열면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 가해지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냉각판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용수 보충기의 내부 공기 중의 습기는 물로 변해 포집된다.
상기와 같이 포집된 물은 상기 반려동물의 목욕 중 상기 욕조부(26) 내부의 물이 증발 등의 문제로 부족한 경우 상기 욕조부(20)로 유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수 보충기는 상기 제2공간부(8)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세척기의 오퍼레이터 콘솔의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2)의 일측에는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이 배치된다.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은 상기 베이스부(2)의 둘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에는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반려동물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가 포함된다. 상기 감지 센서는 UV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욕조부(20)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그물망 진동 모터(38)를 작동시켜 상기 그물망을 진동시키고, 상기 진동자(34)를 작동시켜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그물망 진동 모터(38)와 상기 진동자(34)는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지만,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에 형성된 그물망 진동 모터(38) 작동 버튼 및 상기 진동자 작동 버튼을 통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에는 상기 욕조부(2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버튼, 상기 반려동물의 살균 소독을 위한 살균 소독 버튼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의 내부에는 살균 소독을 위한 약품이 충진된 챔버 및 상기 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욕조부(20) 내부로 상기 약품을 분무하기 위한 노즐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반려동물의 살균 소독을 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살균 소독 버튼을 눌러 상기 욕조부(20) 내부에 수용된 상기 반려동물에게 상기 약품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에는 물배출 버튼이 형성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버리고 싶은 경우, 상기 물배출 버튼을 눌러 상기 물배출배관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이 상기 물배출배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수심을 감지하는 수심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이 다 배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물배출배관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에는 상기 세척기의 온오프(on/off) 버튼 및 멈춤(stop) 버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에는 디스플레이부(48)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8)에는 상기 세척기의 작동 시간, 상기 욕조부(20) 내부의 물의 온도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오퍼레이터 콘솔(46)에 형성된 버튼들의 작동 유무 또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 하면에는 이동용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이동용 바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세척기는 반려동물 뿐만이 아닌 어린아이 또는 반려인 등 사람의 발을 세척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베이스부
4 : 제1공간부
6 : 제2벽
8 : 제2공간부
10 : 제3공간부
12 : 제4공간부
14 : 제5벽
16 : 제6벽
18 : 제7벽
22 : 욕조부
22 : 걸림턱
24 : 그물망
26 : 높이조절부
28 : 제1바
30 : 걸림부
32 : 제2바
34 : 진동자
36 : 물 필터 모터
38 : 그물망 진동 모터
40 : 덮개부
42 : 커버매트
44 : 발판 계단
46 : 오퍼레이터 콘솔(operator console)
48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상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내부가 구획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욕조부;
    상기 욕조부를 상하로 나누도록 상기 욕조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욕조부 내부의 물을 진동시키는 진동자;
    상기 욕조부 내부의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물 필터 모터;
    상기 그물망을 진동시키기 위한 그물망 진동 모터;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중 상기 욕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덮는 플레이트 형상의 커버매트;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내부에 펠티어(Peltier) 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가 구비되는 용수 보충기가 배치되며,
    상기 용수 보충기의 내부 공기 중 습기는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포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부 내부의 물은 필터부, UV 살균기 및 UV 살균관을 거쳐 세정된 후 상기 물 필터 모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매트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와의 탈착을 위한 자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매트의 상면은 물기를 닦기 위한 타월 또는 규조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부 중 어느 한 면의 하단에는 서랍식으로 형성되어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발판 계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는 이동 가능한 오퍼레이터 콘솔(operator console)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세척기.
KR1020210169778A 2021-12-01 2021-12-01 반려동물 세척기 KR20230082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78A KR20230082135A (ko) 2021-12-01 2021-12-01 반려동물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78A KR20230082135A (ko) 2021-12-01 2021-12-01 반려동물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135A true KR20230082135A (ko) 2023-06-08

Family

ID=8676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778A KR20230082135A (ko) 2021-12-01 2021-12-01 반려동물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1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679A (ko) 2018-05-11 2019-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679A (ko) 2018-05-11 2019-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601A (en) Small animal washing container
US7725974B2 (en) Shoe and foot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US5193487A (en) Pet bathing apparatus
JP2013156014A (ja) エアーシャワー装置
US11559171B2 (en) Bath with elliptical air flow and/or moveable bottom
EP1954414A2 (en) Domestic bottle cleaner and sterilizer
JP3104931U (ja) ペット用お風呂装置
KR101468112B1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JP2007016360A (ja) かつら洗浄殺菌消臭乾燥装置
KR20230082135A (ko) 반려동물 세척기
KR20120103033A (ko) 매립형 신발 소독장치
JP4330170B2 (ja) マットレス洗浄消毒装置、及びマットレス洗浄消毒方法
KR100830552B1 (ko) 신발 바닥 자동 세척장치
KR102468557B1 (ko) 배변냄새방지를 위한 반려동물용 배변 장치
KR101910817B1 (ko) 살균발판
KR101858012B1 (ko) 오염물 배출/제어장치
KR20110087516A (ko) 정화기능을 지닌 손소독기
KR20050006518A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KR100779045B1 (ko) 세척수 분사구조를 갖는 배수트랩
KR200315478Y1 (ko) 애완동물 목욕기
KR20170002653U (ko) 소독과 세척성이 우수한 애완동물 용변기
KR200234379Y1 (ko) 신발바닥 세정 및 살균장치
KR200333379Y1 (ko) 세척 및 살균, 건조가 가능한 핸드 크리닝 장치
US20240115107A1 (en) Mobile cleaning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2294084B1 (ko) 반려견 발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