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115A - 나무 열매 채취기구 - Google Patents

나무 열매 채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115A
KR20230082115A KR1020210169723A KR20210169723A KR20230082115A KR 20230082115 A KR20230082115 A KR 20230082115A KR 1020210169723 A KR1020210169723 A KR 1020210169723A KR 20210169723 A KR20210169723 A KR 20210169723A KR 20230082115 A KR20230082115 A KR 2023008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ree
pole
fast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평수
Original Assignee
한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평수 filed Critical 한평수
Priority to KR102021016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115A/ko
Publication of KR2023008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46/264Devices for beating or vibrating the foliage;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열매를 채취하는 열매 채취기구에 있어서, 나무의 수직 방향과 동일하게 지상에서부터 일정 길이로 수직 형성되는 장대와, 상기 장대 일측에 결합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가 걸린 나무와 이격된 나무에, 상기 장대가 수평으로 걸리도록 상기 장대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이부 및 상기 고리부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장대와, 고리부와, 걸이부의 방향을 조종하고, 조종된 방향을 고정시키는 로프부를 포함하는 나무 열매 채취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무 열매 채취기구{Tree fruit havester}
본 발명은 나무 열매 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 각종 나무에 열리는 다양한 열매를 채취할 수 있는 나무 열매 채취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 열매 채취기구는 각종 나무에 열리는 다양한 열매를 채취하기 위해 설치된다.
나무 열매 중 예로, 잣나무로 설명을 하도록 한다.
잣나무는 수고가 10m이상이면서도 험한 산지에 위치하고 있어 수확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의 잣수확 방법은 수확요원이 나무에 올라가서 긴 막대기를 이용하여 타격을 가하여 열매를 떨어트리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같은 방법은 상당한 인원이 요구되기에 최근에는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나무상공에서 잣을 따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은 수확물(열매 등)에 비해 채취기구에 비용을 더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나무와 같은 작대, 장대 등과 같은 긴 나무를 이용하여 열매를 채취 하기 시작했다.
나무와 같은 작대, 장대 등을 이용하여 잣을 채취 과정에서 채취 된 열매 등을 바닥으로 떨어트렸다.
이러한 방법은 잣이 바닥에 떨어져 망가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작대, 장대 등을 작업자가 조종하기에는 팔, 어깨 등 다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작대, 장대 등은 길이가 한정되어, 일정한 높이 이상의 나무에는 효과가 없으며, 또한 길이 때문에 채취한 잣, 열매 등 운반도 불편하다.
이로 인해, 작대, 장대 등을 로프기구를 이용하여 잣을 채취하는 채취 기구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로프기구로 한 나무에서만 잣을 채취할 수 있다.
즉, 채취한 나무에서 채취할 나무로 이동을 해야하는데, 나무와 나무의 이격거리가 넓을 뿐만 아니라, 좁다 하더라도 작대, 장대 등과, 로프기구를 작업자가 매번 채취할 나무로 이동할 때 들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생겨, 잣, 열매 등을 채취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았다.
더불어, 상기 방법은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면서 떨어진 열매 등을 수거하는 작업도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222 "은행 또는 잣 채취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나무 열매를 채취 시 작업자의 위험부담과, 고도한 인건비를 절감하고, 적정한 채취시기에 열매를 채취하여 경제적인 자연 법칙을 개선하고 산업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나무 열매 채취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열매 채취기구에 있어서, 나무열매를 채취하는 열매 채취기구에 있어서, 무의 수직 방향과 동일하게 지상에서부터 일정 길이로 수직 형성되는 장대; 상기 장대 일측에 결합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가 걸린 나무와 이격된 나무에, 상기 장대가 수평으로 걸리도록 상기 장대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이부; 및 상기 고리부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장대와, 고리부와, 걸이부의 방향을 조종하고, 조종된 방향을 고정시키는 로프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는, 상기 장대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기 결합부와 체결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갈고리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나뭇가지에 걸거나, 열매를 채취하는 갈고리와, 상기 갈고리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갈고리의 타측에 상기 로프부가 결합되는 갈고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부는, 로프가 감기는 회전부와, 상기 갈고리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갈고리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는, 상기 장대를 감싸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부를 감싸는 제1체결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부를 감싸되,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되게 상기 탄성부의 일부를 감싸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가 걸린 나무와 이격된 나무의 나뭇가지에 걸리는 갈고리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는,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제1외측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는, 외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외측체결부와 결합되는 제2외측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체결부 및 제2외측체결부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체결 시, 밀착 및 고정시키는 밀착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고정부는, 상기 제2외측체결부의 외측 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나무 열매를 채취 시 작업자의 위험부담과, 고도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적정한 채취시기에 열매를 채취하여 경제적인 자연 법칙을 개선하고 산업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무 열매 채취기구가 나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무 열매 채취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나무 열매 채취기구의 고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나무 열애 채취기구의 걸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걸이부의 탄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7의 걸이부의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7의 걸이부에 밀착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2의 고리부에 결합된 로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무 열매 채취기구는, 장대(100)와, 고리부(200)와, 걸이부(300) 및 로프부(40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무 열매 채취기구가 나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무 열매 채취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나무 열매 채취기구의 고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장대(100)는, 나무 열매를 채취하기 위해, 나무의 수직 방향과 동일하게 지상에서부터 일정 길이로 수직 형성된다.
이러한 장대(100)는 상부 또는 하부로 갈 수록 점점 좁아질 수 있거나, 넓어질 수 있거나 또는 일정하게 정해진 장대(100)의 굵기로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장대(100)의 재질은, 나무, 고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고, 외피 또한 장대(10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다르게, 나무, 고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장대(100)의 재질과 외피 재질은 서로 같거나, 다르게 제작 가능할 수 있다.
고리부(200)는, 장대(100)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고리부(200)는 나뭇가지에 걸리거나, 나무 열매가 채취되도록 장대(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리부(200)는 결합부(210)와, 갈고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10)는 장대(100)의 굵기에 비례 형성되어, 장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10)는 장대(100)에 결합되는데, 장대(10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대(100)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된 상태에서 갈고리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0)의 재질은 장대(100)와 동일할 수 있고, 금속 재질 등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갈고리부(220)는, 결합부(210)의 외측면에 체결된다.
또한 갈고리부(220)는 갈고리(221)와, 갈고리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갈고리(221)는 나무의 줄기에 따라 형성된 나뭇가지에 걸리거나, 나무 열매를 채취가능하도록 갈고리부(220)의 끝단면이 나뭇가지나, 열매의 일부에 걸리도록 굽혀져 형성될 수 있다.
갈고리홀(222)은 갈고리(221) 타측에 형성되어 로프부(400)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갈고리홀(222)은 결합부(210)의 외측면과 맞닿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나무 열애 채취기구의 걸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걸이부의 탄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7의 걸이부의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걸이부(300)는, 고리부(200)가 걸린 나무와 이격된 나무에 장대(100)가 수평으로 걸리도록 장대(100)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때 장대(100)는 고리부(200)에 걸린 나무와 이격된 나무에 수평으로 걸리도록 장대(100)를 이동시키는 것은 후술할 로프부(40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300)는 탄성부(310)와, 제1체결부(320)와, 제2체결부(330) 및 갈고리걸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310)는, 나무 열매의 무게 또는 갈고리(221)가 나뭇가지에 걸리면서 장대(100)에 결합된 체결부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10)는 탄성재질인 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10)는 장대(100) 외측 둘레에 밀착되도록 밀착쿠션(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쿠션(미도시)은 장대(100) 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고, 일부 돌출된 부분에 쿠션이 형성되어, 장대(100) 외측 둘레에 밀착 시, 장대(100)와, 탄성부(310)의 마찰에 의한 외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쿠션은 탄성부(310)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310)는 장대(100)의 둘레에 결합되는데, 탄성부(310)가 장대(100) 둘레에 결합시킬 때 부드럽게 결합시키기 위함과, 장대(100) 둘레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부(310)가 찢어지거나 하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탄성부(310)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일부 절개될 수 있다.
제1체결부(320)는 탄성부(310)의 일부를 감싸면서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체결부(320)는 탄성부(310)의 반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제2체결부(330)는 탄성부(310)의 일부를 감싸되, 제1체결부(320)와 대응되게 탄성부(31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즉, 제1체결부(320)가 감싸지 못한 탄성부(310)의 일부면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제1체결부(320)는 제2체결부(330)의 일부면을 덮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체결부(320)는, 제1외측체결부(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외측체결부(321)는 제1체결부(320)의 외측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외측체결부(321)는 일부가 제1체결부(320)의 외측둘레를 따라 대응되는 제1체결부재(321a)와, 제1체결부재(321a)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2체결부(330) 즉 제2외측체결부(331) 방향으로 뻗는 제2체결부재(32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체결부재(321a)와 제2체결부재(321b)는 "
Figure pat00001
"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321a)와 제2체결부재(321b)의 모양에서 "C" 는 제1체결부재(321a)가 될 수 있고, " = " 는 제2채결부재가 될 수 있다.
제2체결부(330)는 제2외측체결부(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외측체결부(331)는 제2체결부(330)의 외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제1외측체결부(321)인 제2채결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외측체결부(331)는 제2체결부재(321b)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체결홀(331a)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외측체결부(321)와 제2외측체결부(331)가 체결된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갈고리걸이부(340)는 제1체결부(320)와 결합되어, 고리부(200)가 걸린 나무와 이격된 나무에 장대(100)가 수평으로 걸리도록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갈고리걸이부(340)는 갈고리(221)와 동일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7의 걸이부에 밀착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걸이부(300)는 밀착고정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고정부(350)는 제1체결부(320)와 제2체결부(330)의 체결 시, 제1체결부(320)와 제2체결부(330)의 결합상태를 더욱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밀착고정부(350)는 제1체결부(320)와 제2체결부(330)의 밀착시키기 위해, 회전밀착부(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밀착부(351)는 제1밀착부(351a)와, 제2밀착부(3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밀착부(351a)는 제1외측체결부(321)와 제2외측체결부(331)의 결합 상태에서, 제1외측체결부(321)에 추가 결합되어, 제2외측체결부(331)와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밀착부(351a)는 제2외측체결부(331)와 동일하거나, 작거나, 크거나,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제2외측체결부(331)의 외측면과 맞닿을 수 있다.
제2밀착부(351b)는 제1밀착부(351a) 중앙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밀착부(351b)는 손잡이가 형성된 봉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밀착부(351b)는 제1외측체결부(321)에 최초 결합 시, 갈고리걸이부(340)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체결부(320)와 제2체결부(330)를 밀착시켜 고정시킬 때, 제2밀착부(351b)를 하부 방향인 즉, 갈고리걸이부(340)의 반대방향으로 갈고리걸이부(340) 방향으로 위치된 제2밀착부(351b)를 잡아당기고 밀면서 제1외측체결부(321)와 제2외측체결부(331) 사이에 위치한 제1체결부(320)와 제2체결부(330)가 이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밀착부(351b)가 체결부에 최종 밀착 결합 시, 갈고리걸이부(340) 방향의 반대방향인 즉 장대(100)와 맞닿게 내려올 수 있다.
이때 제2밀착부(351b)의 위치는 변경가능 할 수 있다.
도 16은 도 2의 고리부에 결합된 로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로프부(400)는, 고리부(200)의 일측과 결합되어, 장대(100) 및 고리부(200)의 방향을 변경하고, 변경된 방향을 고정시킨다.
또한 로프부(400)는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모터 등을 이용하여 로프(40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프부(400)는 회전부(410)와,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410)는, 로프(401)가 감겨질 수 있다. 로프(401)가 감겨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롤(4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프부(400)에서 회전롤(41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벽(4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 방지벽 사이에 회전롤(41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20)는, 갈고리홀(222)에 결합되어, 회전부(410)와 갈고리부(2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420)는 연결부(420)와 결합되기 위해 갈고리홀(222)과 회전부(410)에 형성된 홀에 통과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갈고리(221)의 두께와, 회전부(410)의 두께에 비례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프부(400)는 걸이부(300) 일측에도 결합되어, 장대(100)에 결합된 걸이부(300)의 위치, 방향 등을 조종할 수 있다.
더불어 로프부(400)는 고리부(200) 및 걸이부(3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동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프부(400)는 고리부(200) 및 걸이부(300)를 각각 조종할 수 있고, 더불어 동시에 조종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무 열매 채취기구를 통해 나무 열매를 채취 시 작업자의 위험부담과, 고도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적정한 채취시기에 열매를 채취하여 경제적인 자연 법칙을 개선하고 산업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나무 열매 채취기구
100 : 장대
200 : 고리부
210 : 결합부
220 : 갈고리부
221 : 갈고리
222 : 갈고리홀
300 : 걸이부
310 : 탄성부
320 : 제1체결부
321 : 제1외측체결부
321a : 제1체결부재
321b : 제2체결부재
330 : 제2체결부
331 : 제2외측체결부
331a : 체결홀
340 : 갈고리걸이부
350 : 밀착고정부
351 : 회전밀착부
351a : 제1밀착부
351b : 제2밀착부
400 : 로프부
401 : 로프
410 : 회전부
411 : 회전롤
412 : 이탈 방지벽
420 : 연결부

Claims (6)

  1. 나무열매를 채취하는 열매 채취기구에 있어서,
    나무의 수직 방향과 동일하게 지상에서부터 일정 길이로 수직 형성되는 장대;
    상기 장대 일측에 결합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가 걸린 나무와 이격된 나무에, 상기 장대가 수평으로 걸리도록 상기 장대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이부; 및
    상기 고리부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장대와, 고리부와, 걸이부의 방향을 조종하고, 조종된 방향을 고정시키는 로프부를 포함하는 나무 열매 채취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장대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체결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나뭇가지에 걸거나, 열매를 채취하는 갈고리와,
    상기 갈고리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갈고리의 타측에 상기 로프부가 결합되는 갈고리홀을 포함하는 나무 열매 채취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는,
    로프가 감기는 회전부와,
    상기 갈고리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기 갈고리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나무 열매 채취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장대를 감싸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부를 감싸는 제1체결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부를 감싸되, 상기 제1체결부와 대응되게 상기 탄성부의 일부를 감싸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가 걸린 나무와 이격된 나무의 나뭇가지에 걸리는 갈고리걸이부를 포함하는 나무 열매 채취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제1외측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외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외측체결부와 결합되는 제2외측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외측체결부 및 제2외측체결부는,
    볼트 결합되는 것인 나무 열매 채취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체결 시, 밀착 및 고정시키는 밀착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고정부는,
    상기 제2외측체결부의 외측 면과 맞닿는 것인 나무 열매 채취기구.
KR1020210169723A 2021-12-01 2021-12-01 나무 열매 채취기구 KR20230082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23A KR20230082115A (ko) 2021-12-01 2021-12-01 나무 열매 채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23A KR20230082115A (ko) 2021-12-01 2021-12-01 나무 열매 채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115A true KR20230082115A (ko) 2023-06-08

Family

ID=8676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723A KR20230082115A (ko) 2021-12-01 2021-12-01 나무 열매 채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1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22U (ko) 2018-07-18 2020-01-30 이윤정 정수기 설치용 원홀 씽크 수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222U (ko) 2018-07-18 2020-01-30 이윤정 정수기 설치용 원홀 씽크 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4826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US5083418A (en) Hand-operated fruit picker
CN107278517B (zh) 一种水果采摘器
Aljanobi et al. A setup of mobile robotic unit for fruit harvesting
CN111750775A (zh) 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03240727A (zh) 一种整体移除鸟窝的工具
CN203575113U (zh) 便携式山楂采摘器
CN106134638B (zh) 一种摘果机械手
US43577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olives or other fruits
KR20230082115A (ko) 나무 열매 채취기구
CN208047336U (zh) 一种高空果实连续采摘装置
US2131672A (en) Berry and fruit picking apparatus
CN207460857U (zh) 果树高空采摘装置
CN211353146U (zh) 一种苹果种植用采摘装置
US4350005A (en) Fruit picker
RU2672405C1 (ru) Секатор для среза и съема лозы хмеля со шпалерной проволоки
KR101969587B1 (ko) 포도송이 작업대
US3323297A (en) Fruit picker
US2990668A (en) Fruit picker
CN108112352A (zh) 一种菠萝蜜采摘装置
US4608813A (en)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container for picking fruit
CN210987102U (zh) 一种香榧、水果、坚果等采摘装置
CN208891236U (zh) 便携摘果器
CN208807110U (zh) 一种莲雾采摘装置
JP2017127298A (ja) 果実取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