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971A -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971A
KR20230080971A KR1020210168593A KR20210168593A KR20230080971A KR 20230080971 A KR20230080971 A KR 20230080971A KR 1020210168593 A KR1020210168593 A KR 1020210168593A KR 20210168593 A KR20210168593 A KR 20210168593A KR 20230080971 A KR20230080971 A KR 20230080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rilization
filter
lamp
suc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학
황천영
정문수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오토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971A/ko
Publication of KR2023008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를 대중교통 수단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흡입팬이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로워 바디, 중앙부에는 흡입팬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로워 바디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여과구가 형성되고, 여과구에는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어퍼 바디,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충돌되게 하면서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복수의 충돌 지연판, 흡입팬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상태로 통과시키는 살균필터, 살균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재살균하는 살균램프, 중앙부에는 여과구와 연결되도록 연결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측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면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이 구비된 램프 회로기판, 중앙부에는 연결공과 연결되도록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램프 회로기판의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확산상태로 조사되게 하는 램프 커버, 충돌 지연판에 연결 형성되어, 흡입팬을 중심으로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킴과 더불어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살균램프에 접하도록 하면서 살균효과를 증대시키는 공기유동 변동부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Indoor sterilizer for public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기존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 설치되어 버스 실내의 살균을 이루어지게 하는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은 의자나 손잡이 등에 오염된 세균이 많이 존재하며, 특히 냉각기 주변에 습기와 먼지 같은 오염물질이 냉난방 및 공기순환을 할 때 실내로 다량 유입되어 손잡이, 의자 등의 시설물이 오염된다.
이러한, 버스 내부와 같은 공간에서 오염된 공기에 오래 노출될 경우 기관지염, 천식, 아토피성 피부 질환, 두통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스의 운행 완료 후에 버스 실내에 오존 살균기, 이온 살균기, 자외선 살균기 등의 살균장치를 배치하여 실내를 지속적으로 살균소독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인력을 동원하여 지속적으로 세정작업과 방역을 실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버스 내부에 대한 살균 작업은, 버스 운행 중에 발생하는 세균에 대한 살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살균장치에 대한 관련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6417호(2012.09.26)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중에 실내에 대한 살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대중교통 수단의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중교통 수단의 실내에 설치되어, 대중교통 수단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는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에 있어서, 하부를 대중교통 수단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흡입팬이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로워 바디, 상기 로워 바디의 상측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흡입팬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로워 바디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여과구가 형성되고, 여과구에는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어퍼 바디, 상기 흡입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로워 바디에 설치되어,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충돌되게 하면서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복수의 충돌 지연판, 상기 흡입팬의 출구 부분에 인접하도록 로워 바디에 연결 설치되어, 흡입팬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상태로 통과시키는 살균필터, 상기 흡입팬을 중심으로 공기의 배출 방향으로 복수의 충돌 지연판에 번갈아가면서 결합 설치되며, 살균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재살균하는 살균램프, 상기 어퍼 바디의 상측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여과구와 연결되도록 연결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측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면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이 구비된 램프 회로기판, 상기 램프 회로기판을 감싸도록 어퍼 바디의 상측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연결공과 연결되도록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램프 회로기판의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확산상태로 조사되게 하는 램프 커버, 상기 충돌 지연판에 연결 형성되어, 흡입팬을 중심으로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킴과 더불어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살균램프에 접하도록 하면서 살균효과를 증대시키는 공기유동 변동부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 변동부는, 상기 복수의 충돌 지연판 중 살균램프가 설치되지 않은 충돌 지연판의 내측 가장자리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된 와류 충돌판, 상기 복수의 충돌 지연판 중 배출구에 인접한 충돌 지연판의 내측 가장자리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공기통과홀이 관통 형성된 유로 변경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통과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유로 변경판에 격자 구조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통과홀은 공기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공기통과홀이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는, 로워 바디의 흡입팬이 작동시, 램프 커버의 유입구에서 램프 회로기판의 연결구 및 어퍼 바디의 여과구를 통해 로워 바디의 수용공간으로 대중교통 수단 내 공기가 빠른 속도로 유입된 후, 흡입팬에서 수용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난류에 의해 수용공간에서의 체류시간이 증대된 상태로 살균필터 및 살균램프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로워 바디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 방향을 기준으로 충돌 지연판과 공기유동 변동부를 통해 공기의 유속이 감속되게 함과 더불어 살균램프에 인접한 상태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게 하면서 살균램프를 통한 살균효율을 증대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로워 바디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의 공기 유동상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로워 바디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는, 로워 바디(100), 어퍼 바디(200), 충돌 지연판(130), 살균필터(300), 살균램프(400), 램프 회로기판(500), 램프 커버(600), 공기유동 변동부(700)를 구비한 상태로 대중교통 수단 내측의 루프패널 또는 측부패널에 결합 설치한다. 이때,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 내측의 루프패널 또는 측부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로워 바디(10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유로를 제공함과 더불어 이후 설명될 살균필터(300)와 살균램프(400)를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01)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로워 바디(100)는 상측을 개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며, 로워 바디(100)의 길이방향 양측 상단에는 이후 설명될 어퍼 바디(200)의 길이방향 양측 하단 사이를 이격 배치되게 하여,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된 후 로워 바디(1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배출구(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로워 바디(100)는 대중교통 수단 내측의 루프패널 또는 측부패널에 결합하는데, 이러한, 로워 바디(100)의 외측 저면에는 버스 내측의 루프패널 또는 측부패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브라켓 또는 자력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로워 바디(100)의 중앙부(110)에는 외부의 공기를 이후 설명될 램프 커버(600)의 유입구(610)와 램프 회로기판(500)의 연결구(510) 및 어퍼 바디(200)의 여과구(210)에서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에 흡입상태로 유입되게 할 수 있도록 흡입팬(110)을 구비한다. 이때, 흡입팬(110)의 출구(도면미도시)는 로워 바디(1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향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어, 흡입팬(100)에 의해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로워 바디(1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분산 배출되면서 흡입팬(110)을 기준으로 로워 바디(100)의 양측에서 각각 살균필터(300) 및 살균램프(400)를 통해 공기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는 바, 공기의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101a는 흡입팬(110)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로워 바디(1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가이드벽부이다.
또한, 상기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 내측면부에는 살균램프(40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반사시켜 수용공간(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반사거울(도면미도시)을 결합 구비하거나 반사도료를 도포할 수도 있다. 더불어,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 내측면부에는 요철(도면미도시)을 형성되게 하면서 수용공간(101)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와류 발생에 따른 이동속도를 감속되게 하면서 살균필터(300) 및 살균램프(400)에 의한 공기의 살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로워 바디(100)의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내측면 부분에는 배출구(120)를 통해 공기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공기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경사판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200)는 로워 바디(100)의 상측에 결합되면서 램프 회로기판(500)과 램프 커버(600)를 연결 지지하도록 판 구조를 가진다. 이때, 어퍼 바디(200)의 일측 및 로워 바디(100)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202,102)이 형성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어퍼 바디(200)의 길이방향 양측은 로워 바디(100)의 길이방향 양측보다 짧게 형성됨과 더불어 로워 바디(100)의 길이방향 양측의 상방에 이격되게 배치되게 하는 바, 로워 바디(100)의 배출구(120)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230은 이후 설명될 램프 회로기판(500)의 설치 간섭 방지 및 배선을 위한 홈이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200)의 중앙부에는 로워 바디(100)의 흡입팬(110) 작동시 외부의 공기가 어퍼 바디(200)를 통과하면서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여과구(210)가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어퍼 바디(200)에는 여과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지게 하는 여과필터(220)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필터(220)는 유입되는 공기 중에서 이물질의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도록 여과구(210)에 삽입되게 배치한다. 이때, 여과필터(220)는 단순한 프리필터(Prefilter) 구조를 가지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기의 이동 방향으로 순차 연결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충돌 지연판(130)은 로워 바디(100)의 중앙부, 즉 흡입팬(110)을 중심으로 로워 바디(100) 길이방향 양측의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충돌되게 하면서 공기의 이동속도를 감속되게 하여, 살균필터(300) 및 살균램프(400)에 의한 공기의 살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충돌 지연판(130)은 흡입팬(110)을 통해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된 후 배출구(120)를 향하는 공기의 배출방향 기준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도록 로워 바디(100)에 결합 설치된다. 이때, 충돌 지연판(130)은 흡입팬(110)을 중심으로 로워 바디(100)의 배출구(120)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로워 바디(100)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필터(300)는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필터이다. 즉, 살균필터(300)는 어퍼 바디(200)의 여과필터(220)를 거쳐 로워 바디(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살균상태로 통과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살균필터(300)는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에 삽입되게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팬(110)의 출구 부분에 인접하도록 로워 바디(100)의 배출가이드벽부(101a)에 연결 설치되어, 여과필터(220)를 거쳐 흡입팬(11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살균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살균필터(300)는 광촉매필터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균램프(400)는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된 후, 살균필터(300)에 의해 살균된 후, 로워 바디(100)의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재살균되게 한다. 이러한, 살균램프(400)는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에 배치되도록 로워 바디(100)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를 결합되게 설치한다. 이때, 살균램프(400)는 수용공간(101)에 설치시, 수용공간(101)에서의 공기 배출방향으로 복수개의 충돌 지연판(130)에 번갈아가며 배치되도록 복수개를 로워 바디(100) 내측에 결합 설치한 바, 흡입팬(110)을 통해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된 후, 배출구(120)로 이동하는 공기의 살균효율을 증대되게 한다. 여기서, 살균램프(400)는 280 내지 400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램프 회로기판(500)은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되게 하는 회로기판 부분이다. 이러한, 램프 회로기판(500)에는 체결홈(501)이 형성되어 어퍼 바디(20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어퍼 바디(200)에 형성된 체결홈(201)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 회로기판(500)의 상측면에는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520)을 연결 구비한다. 여기서, 광원(520)은 LE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램프 회로기판(500)의 중앙부,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 바디(200)의 여과구(21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여과구(210)와 연결되도록 연결구(510)가 관통 형성된다. 즉, 연결구(510)는 흡입팬(110)의 작동에 따라 외부 공기가 램프 커버(600)의 유입구(610)를 통해 유입된 후, 여과구(210)를 통해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될 수 있게 유입구(610)와 여과구(2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 커버(600)는 램프 회로기판(500)을 보호하면서 램프 회로기판(500)의 광원(520)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확산상태로 조사되게 하는 커버이다. 이러한, 램프 커버(600)는 어퍼 바디(200)의 상부에 배치된 램프 회로기판(500)를 감싼상태로 어퍼 바디(200)의 상측에 고정되게 결합 설치한다. 이때, 램프 커버(600)의 일측에는 램프 회로기판(500)와 체결홈(501) 및 어퍼 바디(200)의 체결홈(201)에 연결되는 커버홈(601)이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어퍼 바디(200)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램프 커버(600)의 중앙부,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회로기판(500)의 연결구(51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결구(510)와 연결되도록 유입구(610)가 관통 형성된다. 즉, 유입구(610)는 흡입팬(110)의 작동에 따라 외부 공기가 램프 회로기판(500)의 연결구(510)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램프 커버(600)는 램프 회로기판(500)의 광원(52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되게 조사시킬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측으로 볼록하게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620은 유입구(610) 상측에 위치하도록 램프 커버(600)에 결합되어, 유입구(610)를 통해 대중교통 수단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 공기의 흡입유로를 좁게 만들어 공기의 이동속도를 빨라게 하는 판 형태의 데코 탑이다. 이때, 데코 탑(620)의 저면에는 램프 커버(600)의 유입구(610)가 형성된 테두리 부분에 걸림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복수의 체결용 후크(도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 변동부(700)는 흡입팬(110)을 중심으로 로워 바디(100)의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속도를 추가적으로 감속시킴과 더불어 배출구(1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살균램프(400)에 최대한 많은 유량을 접한상태로 이동되게 하면서 살균램프(400)를 통한 공기의 살균효과가 증대되게 한다. 이러한, 공기유동 변동부(700)는 충돌 지연판(130)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와류 충돌판(710), 유동 변경판(720)을 포함한다.
상기 와류 충돌판(710)은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된 후, 배출구(120)로 이동하는 공기의 충돌을 통해 공기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킴과 더불어 수용공간(101) 내 공기의 흐름을 살균램프(400)에 접한상태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흐름을 변경시킨다. 이러한, 와류 충돌판(710)은 복수의 충돌 지연판(130) 중 살균램프(400)가 설치되지 않은 충돌 지연판(130)의 내측 가장자리 단부에 로워 바디(10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수직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유동 변경판(720)은 복수의 충돌 지연판(130) 중 배출구(120)에 인접한 충돌 지연판(130)의 내측 가장자리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된다. 이러한, 유동 변경판(720)에는 공기를 배출구(120)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공기통과홀(721)이 관통 형성된다. 이같이, 유동 변경판(720)은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시 복수의 공기통과홀(721)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바, 유동 변경판(720)의 전후측 수용공간(101)에서 공기의 반사풍으로 인한 정체 및 와류 현상을 발생시켜 공기의 이동속도를 감속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공기통과홀(721)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상태로 격자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공기통과홀(721)은 공기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공기통과홀(721)이 배치되도록 배열될 경우, 수용공간(101) 내 공기가 배출구(101)에 인접하게 배치된 충돌지연판(130) 상에 접하도록 이동되는 바, 살균램프(400)에 의한 살균효율이 증대된다.
이같은, 상기 공기유동 변동부(700)의 와류 충돌판(710)과 유동 변경판(720)을 통해 배출구(120) 방향으로 공기의 배출시, 공기의 유동흐름은 도 4와 같이 이루어지면서 살균램프(400)에 의한 살균효율이 증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와류 충돌판(710)은 공기의 충돌을 통해 와류 현상을 발생시켜 와류 충돌판(710)이 형성된 충돌 지연판(130) 표면에서 멀어지게 하고 살균램프(400)가 연결 설치된 충돌 지연판(130)에 인접하게 이동되게 한다. 더불어, 유동 변경판(720)은 공기통과홀(721) 전후 구간에서 반사풍으로 인한 공기의 정체 및 와류현상을 발생시켜 유속을 저감시킴과 더불어 살균램프(400)가 연결 설치된 충돌 지연판(130)에 인접한 공기통과홀(721)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증대되면서 살균램프(400)가 연결 설치된 충돌 지연판(130)에 인접하게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는, 로워 바디(100)의 흡입팬(110)이 작동시, 램프 커버(600)의 유입구(610)에서 램프 회로기판(500)의 연결구(510) 및 어퍼 바디(200)의 여과구(210)를 통해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대중교통 수단 내 공기가 빠른 속도로 유입된 후, 흡입팬(110)에서 수용공간(101)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난류에 의해 수용공간(101)에서의 체류시간이 증대된 상태로 살균필터(300) 및 살균램프(400)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로워 바디(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 방향을 기준으로 충돌 지연판(130)과 공기유동 변동부(700)를 통해 공기의 유속이 감속되게 함과 더불어 살균램프(400)에 인접한 상태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게 하면서 살균램프(400)를 통한 살균효율을 증대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로워 바디 110: 흡입팬
120: 배출구 130: 충돌 지연판
140: 배출경사판부 200: 어퍼 바디
210: 여과구 220: 여과필터
300: 살균 필터 400: 살균 램프
500: 램프 회로기판 510: 연결구
520: 광원 600: 램프 커버
610: 유입구 620: 데코 탑
700: 공기유동 변동부 710: 와류 충돌판
720: 유동 변경판

Claims (3)

  1. 대중교통 수단의 실내에 설치되어, 대중교통 수단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는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에 있어서,
    하부를 대중교통 수단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흡입팬이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로워 바디;
    상기 로워 바디의 상측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흡입팬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로워 바디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여과구가 형성되고, 여과구에는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어퍼 바디;
    상기 흡입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로워 바디에 설치되어,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충돌되게 하면서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복수의 충돌 지연판;
    상기 흡입팬의 출구 부분에 인접하도록 로워 바디에 연결 설치되어, 흡입팬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상태로 통과시키는 살균필터;
    상기 흡입팬을 중심으로 공기의 배출 방향으로 복수의 충돌 지연판에 번갈아가면서 결합 설치되며, 살균필터를 통과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재살균하는 살균램프;
    상기 어퍼 바디의 상측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여과구와 연결되도록 연결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측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면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이 구비된 램프 회로기판;
    상기 램프 회로기판을 감싸도록 어퍼 바디의 상측에 결합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연결공과 연결되도록 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램프 회로기판의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확산상태로 조사되게 하는 램프 커버;
    상기 충돌 지연판에 연결 형성되어, 흡입팬을 중심으로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킴과 더불어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살균램프에 접하도록 하면서 살균효과를 증대시키는 공기유동 변동부;를 포함하는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 변동부는,
    상기 복수의 충돌 지연판 중 살균램프가 설치되지 않은 충돌 지연판의 내측 가장자리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된 와류 충돌판,
    상기 복수의 충돌 지연판 중 배출구에 인접한 충돌 지연판의 내측 가장자리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공기통과홀이 관통 형성된 유로 변경판을 포함하는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통과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유로 변경판에 격자 구조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통과홀은 공기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공기통과홀이 배치되도록 배열된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KR1020210168593A 2021-11-30 2021-11-30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KR20230080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93A KR20230080971A (ko) 2021-11-30 2021-11-30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93A KR20230080971A (ko) 2021-11-30 2021-11-30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71A true KR20230080971A (ko) 2023-06-07

Family

ID=8676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593A KR20230080971A (ko) 2021-11-30 2021-11-30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9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23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
KR100660138B1 (ko) 공기 살균기
KR20030091688A (ko) 공기조화기
US20220332228A1 (en) Duct module and vehicle seat including duct module
KR101251421B1 (ko) 차량의 객실 살균장치
KR20230080971A (ko)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KR20200036140A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290275B1 (ko) 대중교통 수단용 실내 살균장치
KR20170003584U (ko) 공기살균 및 탈취기
CN115325652A (zh) 便携式消毒单元
JP3749721B2 (ja) 空気浄化装置
KR200189202Y1 (ko) 공기 살균기
KR20140097925A (ko) 광촉매 정화 장치
JP2022071316A (ja) 空気清浄装置及び開口部装置
KR102591419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살균정화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KR102573027B1 (ko) Led 조명을 활용한 실내 공기 살균기
JP2002291850A (ja) 殺菌灯付きパスボックス
KR200276040Y1 (ko) 공기 살균 장치
KR102526597B1 (ko) 디퓨저용 공기 살균 조립체 및 공기 살균 디퓨저
KR102354565B1 (ko) 허니콤 패널을 포함하는 살균정화 리액터 모듈 및 이를 내장한 공기정화 살균장치, 그리고, 허니콤 패널의 제조방법
KR102332311B1 (ko)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KR102527622B1 (ko) 무덕트형 고풍속 공기살균기
KR102601645B1 (ko)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RU27895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ловушки для бактерий и вирусов
JP7365548B2 (ja) 空気清浄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