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311B1 -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311B1
KR102332311B1 KR1020210084921A KR20210084921A KR102332311B1 KR 102332311 B1 KR102332311 B1 KR 102332311B1 KR 1020210084921 A KR1020210084921 A KR 1020210084921A KR 20210084921 A KR20210084921 A KR 20210084921A KR 102332311 B1 KR102332311 B1 KR 10233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rilization
transparent body
coupled
fa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신우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07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receiving heat exchange fluid entering and leaving the unit as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살균 정화 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에 따르면, 유동공기 집중처리실의 내부로 유입되어 체류시간이 증가된 공기중의 세균이 찰나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이나 라디칼 등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과 공기에 대한 정화 및 살균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투명체로 이루어진 유동공기 집중처리실 외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반사판에 의해 열교환기 또는 필터부의 표면에 집중적으로 조사되어 표면 부착 세균 및 오염물에 대한 살균 및 정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팬코일 유니트의 살균 정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Fan Coil Unit having Air Purifying and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에 의한 공기 정화 기능과 더불어, 유동 공기중의 세균 및 필터나 열교환기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팬코일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팬코일 유니트는 중앙 냉/난방 설비의 하나로써, 내부에 설치된 팬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동기 또는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나 온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냉각 또는 가열하여 토출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 작동을 수행하는 공기 조절장치이다.
이러한 팬코일 유니트는 설치 형태에 따라 상치형이나 스탠드형, 천장 카세트형 또는 천장 매립형 등으로 제작되어 온풍이나 냉풍을 배출한다.
이와 같은 팬코일 유니트의 대부분은, 냉난방과 더불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중의 먼지 등을 필터링하는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공기를 필터링하는 구성에 의해서는 만족할 수준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으며, 특히 초미세 바이러스 등의 정화나 살균 작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광촉매와 자외선에 의한 살균기능을 부가한 팬코일 유니트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광촉매는, 자외선과 같은 빛 에너지를 받았을 때, 빛에 의해 화학반응을 촉진하거나 촉매작용을 하는 물질을 말하며, 대표적인 촉매반응으로 물분자분해 촉매반응, 유기물질분해 촉매반응, 친수성표면 개질반응 등이 있다. 이러한 광촉매는 각종 오염물질들을 산화 및 분해시키면서 탈취효과도 탁월하여 공기정화 분야나 정수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주성분으로 이산화티타늄(TiO2)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금, 은, 산화 아연, 황화 카드늄을 혼합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원으로는 자외선 램프나, 자외선 엘이디(LED)가 사용되는 데, 최근 들어,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광해리하여 순간적으로 광오존을 만드는 진공 자외선(VUV) 파장(185 nm)과 찰나적으로 광오존을 광분해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OH-)을 포함한 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일반 살균 자외선 파장(400nm)의 범위 내에서 자외선을 발생하는 다파장 램프의 적용이 늘고 있다.
위에 언급한 광촉매와 다파장 램프가 적용된 선행기술로써, 예컨대,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7406호에 제안된 ‘팬코일 유니트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가 있다.
위 팬코일 유니트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관(101)과 제 2관(102)의 사이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103)와, 살균 램프의 외주를 에워싸고, 외면에 광촉매가 코팅되고, 상기 살균 램프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주름띠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광촉매 코팅망(104)을 구비하는 살균부(100)를 열교환부(110)와 공간적으로 구획되도록 팬코일 유니트 케이스(120)의 사방 모서리부에 배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한 후, 열교환기와는 별도의 독립된 위치에서 부가적으로 살균한 후에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서, 살균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있었으나, 제 1관(101)을 통해 원통형 광촉매 코팅망(104)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단순히 광촉매 코팅망(104)의 타측 및 광촉매망의 망 틈새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공기중의 세균이 찰나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이나 라디칼 등과 충분히 접촉하여 살균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세균이나 각종 오염물질이 걸러져 부착되는 필터나, 열교환기 핀 등의 표면에 대해서는 살균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필터나, 열교환기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이나 병균을 제거하기 위해, 자외선 램프의 일측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해당 표면에 자외선이 집중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경우, 표면에 부착된 세균 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살균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빠른 속도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세균에 대해서는 살균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7406호(2012.05.11.등록)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동 공기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키는 집중 처리 공간에 의해 공기 중의 세균이 찰나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이나 라디칼 등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살균 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반사판을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열교환기 또는 필터부의 표면을 집중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기정화 살균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팬코일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팬코일 유니트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소통시키면서, 공기가 열교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냉난방수를 공급받아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상기 배출부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팬코일 유니트에 있어서,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수납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체를 구비하며,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유동공기 집중처리실을 제공하는 살균 케이싱; 상기 살균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공기 집중처리실 내부를 통과는 공기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유동 저항 수단; 상기 살균 케이싱 외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 측으로 공기를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체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집중시키기 위한 공기유도-광반사판; 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살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자외선 살균 수단은, 상기 공기유도-광반사판이 상기 열교환기 또는 상기 필터부의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향해 빛이 반사되도록 배치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촉매 코팅망이나 나선형 공기 유동 저항체와 같은 공기유동 저항체가 투명체 내부에 배치되고, 광원이 공기 유동 저항체 내측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공기 유동 저항체의 형상과 크기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경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의 많은 부분이 광촉매 코팅망이나 저항체의 틈새을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으며, 투명체 외측에 반사체를 배치하는 경우 충분한 양의 자외선을 목적하는 부분에 집중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점 및 시험 결과를 통해 이루어진 발명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공기 집중처리실의 내부로 유입되어 체류시간이 증가된 공기중의 세균이 찰나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이나 라디칼 등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동 공기에 대한 정화 및 살균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투명체로 이루어진 유동공기 집중처리실 외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반사판에 의해 열교환기 또는 필터부의 표면에 집중적으로 조사되어 표면 부착 세균 및 오염물에 대한 살균 및 정화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광원으로는 자외선 램프나, 자외선 엘이디가 적용될 수 있으며, 살균 효과를 고려할 때,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광해리하여 순간적으로 광오존을 만드는 진공 자외선 파장과 일반 살균 자외선 파장의 범위 내에서 자외선을 발생하는 다파장 램프가 바람직하며, 투명체는 자외선 통과율이 우수한 석영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 저항 수단은, 상기 광원의 외주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원통형의 광촉매 코팅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살균 케이싱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상기 투명체와 상기 투명체의 양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의 내측에는 상기 광원, 상기 광촉매 코팅망, 상기 투명체가 일정 간격을 갖는 동심 형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 중 어느 일측 캡에는, 상기 광촉매 코팅망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투명체가 결합되는 결합부 사이의 원형벽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 중 타측의 캡에는, 상기 광원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광촉매 코팅망이 결합되는 결합부 사이의 원형벽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의 외측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컵과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컵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유입컵과 공기 배출컵은 집중 처리대상 유동 공기를 받아들이고 배출하는 부분으로, 측벽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컵형상으로, 양측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품을 공용화 하는 것이 가능하며, 측벽의 개구부가 공기 유동방향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면 공기 유입컵로 적용되고, 이 경우 다른 쪽 컵은 개구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 흐름 방향이나 근사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어 공기 배출컵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광촉매 코팅망의 결합부와 투명체의 결합부 사이의 원형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캡에 공기 유입컵이 결합되는 경우, 공기는 광촉매 코팅망의 외측으로 유입되어, 광촉매 코팅망의 망상 통공들을 통과한 후, 타측 사이드 캡의 관통공 및 공기 배출컵을 통해 배출되며, 광원의 결합부와 광촉매 코팅망의 결합부 사이의 원형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캡에 공기 유입컵이 결합되는 경우, 공기는 광촉매 코팅망의 내측벽과 광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광촉매망의 망상 통공들을 통과한 후, 타측 사이드 캡의 관통공 및 공기 배출컵을 통해 배출되는 바, 원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더 넓은 면적의 관통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유입부가 외측에 형성되는 전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 캡은 경질 고무로 형성하여, 측벽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살균 케이싱 등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살균 케이싱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상기 투명체와 상기 투명체의 양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의 내측에는 상기 광원, 상기 광촉매 코팅망, 상기 투명체가 일정 간격을 갖는 동심 형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광촉매 코팅망에는 공기배출 튜브가 결합되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 케이싱의 상기 투명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공기 유입공과, 상기 공기배출 튜브가 통과하는 튜브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의 실시예는 유동공기 집중처리실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공기 유입/배출컵을 구비하고, 사이드 캡에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실시예인 데 대해, 본 실시예는 투명체 자체에 공기 유입공을 형성하고, 광촉매 코팅망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 튜브를 통해 배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투명체의 공기 유입공은, 투명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결하여 형성하거나, 투명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은, 팬코일 유니트의 각 부품 간의 배치 상태나 공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데, 자외선 살균 수단의 공기유도-광반사판이 살균 케이싱보다 상기 송풍팬에 의한 유동 공기를 먼저 마주보는 쪽에 배치되는 경우, 유동 공기가 살균 케이싱에 유입되는 것이 반사판에 의해 방해받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광반사판에 통공을 형성한다는 특이한 발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자외선 살균 수단의 상기 공기유도-광반사판은 상기 살균 케이싱보다 상기 송풍팬에 의한 유동 공기를 먼저 마주보는 쪽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도-광반사판의 상기 살균 케이싱의 공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 유도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유도공 외측에는 공기 유도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유도편은 별도의 박판재를 용접등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도공 형성부위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균 정화 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에 따르면, 유동공기 집중처리실의 내부로 유입되어 체류시간이 증가된 공기중의 세균이 찰나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이나 라디칼 등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과 공기에 대한 정화 및 살균효과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투명체로 이루어진 유동공기 집중처리실 외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반사판에 의해 열교환기 또는 필터부의 표면에 집중적으로 조사되어 표면 부착 세균 및 오염물에 대한 살균 및 정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팬코일 유니트의 살균 정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팬코일 유니트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양측 사이드 캡의 전면과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팬코일 유니트 내부에 본 발명의 자외선 살균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분해 사시도, 도 4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a, 도 5b는 양측 사이드 캡의 전면과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팬코일 유니트 내부에 본 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수단이 배치되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자외선 살균 수단(1)은 살균 케이싱(10)과 공기유도-광반사판(20)으로 구성된다.
살균 케이싱(10)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투명체(11)와 투명체(11)의 양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12, 13) 및 사이드 캡(12, 13)의 외측에 결합되는 공기 유입컵(14)과 공기 배출컵(15)을 구비한다.
투명체(21)는 자외선이 원할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고순도 석영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이드 캡(12, 13)은 경질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사이드 캡(12. 13)의 내측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결합홈(12a, 12b, 12c)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 결합홈에 자외선 램프(31), 광촉매 코팅망(32) 및 투명체(11)가 일정 간격을 갖는 동심 형태로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자외선 램프(31)는 소켓(31a)을 매개로 중앙의 결합홈(12a)에 결합되는 데,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으로서 자외선 램프를 예로 들었으나, 필요에 따라 자외선 엘이디를 다수 설치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살균 케이싱의 길게 형성해야 하는 경우, 일측에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형식의 램프를 좌우 양측에 결합하고, 중간 부분을 브라켓 등으로 지지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사이드 캡(12)은 도 3 좌측의 공기 유입측에 해당하는 사이드 캡(12)으로서, 광촉매 코팅망 결합홈(12b)과 투명체 결합홈(12c) 사이의 원형벽에 다수의 관통공(1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이드 캡(12)의 외측에는 공기 유입컵(14)이 결합되는 바, 관통공(12d)은 공기가 원할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사이드 캡(13)은 도 3 우측의 공기 배출측에 해당하는 사이드 캡(13)으로서, 중앙의 램프 결합부(13a)와 광촉매 코팅망 결합홈(13b) 사이의 원형벽에 다수의 관통공(13d)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는 공기 배출컵(15)이 결합된다.
공기 유입컵(14)과 공기 배출컵(15)은 집중처리 대상 유동공기를 받아들이고 배출하는 부분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다시 말해 컵형으로 형성되어 그 측벽에 공기 유입구(14a)와 공기 배출구(15a)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바, 본 실시예와 같이 양측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품을 공용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기 배출구(15a)를 다수의 장공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측 컵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측벽의 개구부가 공기 유동방향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컵, 다시 말해, 측벽의 개구부가 공기유도-광반사판(20)의 공기 유도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컵이 공기 유입컵(14)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쪽 컵은 공기 배출컵(15)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공기 배출구(15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 흐름 방향이나 근사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광촉매 코팅망 결합홈(12b)과 투명체 결합홈(12c) 사이의 원형벽에 다수의 관통공(12d)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캡(12)에 공기 유입컵(14)이 결합되어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 처리대상 유동 공기가 사이드 캡(12)의 관통공(12d)를 통해 광촉매 코팅망(32)의 외측으로 유입되어, 광촉매 코팅망(32)의 망상 통공들을 통과한 후, 타측 사이드 캡(13)의 관통공(13d) 및 공기 배출공(15a)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투명체(11) 내부의 유동공기 집중 처리실로 유입되어 체류시간이 증가된 공기중의 세균이 찰나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이나 라디칼 등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음으로서, 통과 공기에 대한 정화 및 살균효과가 증대된다.
자외선 살균 수단(1)의 공기유도-광반사판(20)은 유동 공기를 공기 유입컵(14)의 공기 유입구(14a)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광촉매 코팅망(32)의 망상 통공을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살균 대상 열교환기나 필터 쪽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반사율이 높은 박판재 금속재,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며, 공기 유입구(14a)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 유도공(21)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 유도공(21) 외측에는 공기 유도편(22)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도편(22)은 별도의 박판재를 용접등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기 유도공(21)에 해당하는 부위를 절곡하여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공기를 측면으로 유도하는 공기 유도편(22) 또한 공기유도-광반사판(20)의 일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팬코일 유니트 내부에 본 실시예의 자외선 살균수단이 배치되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공기유도-광반사판(20)이 살균 케이싱(10)보다 송풍팬(2)에 의한 유동 공기를 먼저 마주보는 쪽에 배치되어, 송풍팬(2)에 의한 유동 공기가 공기 유도편(22)을 통해 살균 케이싱(10)의 유동공기 집중처리실로 유입되어, 살균 처리 후 배출되어 열교환기(3) 쪽으로 유동 되고, 광촉매 코팅망(32)의 망상 통공 및 투명체(11)을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은 공기유도-광반사판(20)에 의해 반사되어 열교환기(3) 쪽으로 집중됨으로서, 열교환기(3) 표면에 대한 살균 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살균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살균 케이싱(10)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투명체(11)와 투명체(11)의 양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12, 13)을 구비하며, 사이드 캡(12, 13)의 내측에는 광원(31), 광촉매 코팅망(32), 투명체(11)가 일정 간격을 갖는 동심 형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광촉매 코팅망(32)에는 공기배출 튜브(33)가 결합되는 공기 배출공(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살균 케이싱(10)의 투명체(11)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공기 유입공(11a)과, 공기배출 튜브(33)가 통과하는 튜브 통과공(11b)이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앞서의 실시예는 유동공기 집중처리실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공기 유입/배출컵(14, 15)을 구비하고, 사이드캡(12, 13)에 다수의 관통공(12d, 13d)을 형성한 실시예인 데 대해, 본 실시예는 투명체(11) 자체에 공기 유입공(11a)을 형성하고, 광촉매 코팅망(3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배출 튜브(3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투명체(11)의 공기 유입공(11a)을 투명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나, 가공을 편의를 위해 공기 유입공(11a)을 투명체(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결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유도-광반사판(20)에 공기 유도공(21)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 유도공(21) 외측에 공기 유도편(22)이 형성되는 것은 앞서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투명체(11)의 공기 유입공(11a)이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유도-광반사판(20)의 공기 유도공(21) 또한 이에 대응되게 장공형으로 형성된다.
도 9는 도 8의 자외선 살균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살균 케이싱(10)이 공기유도-광반사판(20) 보다 송풍팬(2)에 의한 유동 공기를 먼저 마주보는 쪽에 배치되는 경우 즉, 자외선 살균 수단을 열교환기의 후단에 설치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공기유도-광반사판(20)에 별도의 공기 유도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공기배출 튜브(33)의 개구부가 공기 유동방향을 향하지 않도록 형성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의 편의상 특정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천정형 팬코일 유니트 등 다른 형식의 팬코일 유니트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청구범위에 명기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10: 살균 케이싱 20: 공기유도-광반사판
11: 투명체 31: 자외선 램프(31)
32: 광촉매 코팅망(32) 12, 13: 사이드 캡
14: 공기 유입컵 15: 공기 배출컵

Claims (5)

  1.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흡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소통시키면서, 공기가 열교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냉난방수를 공급받아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부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상기 배출부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구비하는 팬코일 유니트에 있어서,
    자외선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수납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체를 구비하며,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유동공기 집중처리실을 제공하는 살균 케이싱;
    상기 살균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공기 집중처리실 내부를 통과는 공기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유동 저항 수단;
    상기 살균 케이싱 외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 측으로 공기를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체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을 집중시키기 위한 공기유도-광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살균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자외선 살균 수단은, 상기 공기유도-광반사판이 상기 열교환기 또는 상기 필터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향해 빛이 반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저항 수단은, 상기 광원의 외주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원통형의 광촉매 코팅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케이싱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상기 투명체와 상기 투명체의 양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의 내측에는 상기 광원, 상기 광촉매 코팅망, 상기 투명체가 일정 간격을 갖는 동심 형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 중 어느 일측 캡에는, 상기 광촉매 코팅망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투명체가 결합되는 결합부 사이의 원형벽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 중 타측의 캡에는, 상기 광원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광촉매 코팅망이 결합되는 결합부 사이의 원형벽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의 외측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컵과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컵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4. 제 2항에 있어서,
    살균 케이싱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상기 투명체와 상기 투명체의 양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캡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캡의 내측에는 상기 광원, 상기 광촉매 코팅망, 상기 투명체가 일정 간격을 갖는 동심 형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광촉매 코팅망에는 공기배출 튜브가 결합되는 공기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 케이싱의 상기 투명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공기 유입공과, 상기 공기배출 튜브가 통과하는 튜브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광반사판은 상기 살균 케이싱보다 상기 송풍팬에 의한 유동 공기를 먼저 마주보는 쪽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도-광반사판의 상기 살균 케이싱의 공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 유도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유도공 외측에는 공기 유도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KR1020210084921A 2021-06-29 2021-06-29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KR10233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921A KR102332311B1 (ko) 2021-06-29 2021-06-29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921A KR102332311B1 (ko) 2021-06-29 2021-06-29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311B1 true KR102332311B1 (ko) 2021-12-01

Family

ID=7889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921A KR102332311B1 (ko) 2021-06-29 2021-06-29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31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366A (ja) * 1997-04-04 1998-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KR200204736Y1 (ko) * 2000-06-17 2000-12-01 이동권 공기청정기
KR200388479Y1 (ko) * 2005-03-22 2005-06-30 윤재철 공기정화살균기
KR200439060Y1 (ko) * 2007-05-28 2008-03-18 주식회사 다원센추리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KR20110010554U (ko) * 2010-05-04 2011-11-10 박수남 자외선 공기 살균장치
KR101147406B1 (ko) 2011-11-08 2012-05-22 신우공조 주식회사 팬코일 유니트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381215B1 (ko) * 2014-01-21 2014-04-17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항온항습장치
KR101516765B1 (ko) * 2014-09-12 2015-05-06 티엠시(주) 광촉매 공기 살균정화장치
KR20200033537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에어텍 팬코일 유니트의 이온클러스터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366A (ja) * 1997-04-04 1998-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KR200204736Y1 (ko) * 2000-06-17 2000-12-01 이동권 공기청정기
KR200388479Y1 (ko) * 2005-03-22 2005-06-30 윤재철 공기정화살균기
KR200439060Y1 (ko) * 2007-05-28 2008-03-18 주식회사 다원센추리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KR20110010554U (ko) * 2010-05-04 2011-11-10 박수남 자외선 공기 살균장치
KR101147406B1 (ko) 2011-11-08 2012-05-22 신우공조 주식회사 팬코일 유니트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381215B1 (ko) * 2014-01-21 2014-04-17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항온항습장치
KR101516765B1 (ko) * 2014-09-12 2015-05-06 티엠시(주) 광촉매 공기 살균정화장치
KR20200033537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에어텍 팬코일 유니트의 이온클러스터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786B1 (ko) 자외선의 집광 및 확산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용 광촉매 살균모듈
KR100997378B1 (ko) 다공성 파이프를 이용한 광촉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0943328B1 (ko) 공기살균기
KR20180055984A (ko) 자외선 반사판이 형성된 공기정화살균기
KR100660138B1 (ko) 공기 살균기
WO2014077293A1 (ja) 空気清浄装置
KR101055358B1 (ko) 공기 살균기
KR200495463Y1 (ko)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유로구조
KR20220048338A (ko)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광촉매판 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210065023A (ko) 살균과 이온화 및 광촉매 기능을 구비한 통합형 공기청정 모듈
KR102332311B1 (ko) 공기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KR20200031423A (ko) 살균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JP2005343427A (ja) 車載型空気清浄装置
KR102266699B1 (ko) 광촉매 살균모듈
CN212204875U (zh) 一种具有杀菌去甲醛作用的空气净化器
KR20100040125A (ko) 반사경을 사용한 광촉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08108354U (zh) 光水离子化模块及送风装置
CN111744046A (zh) 全智能光触媒消毒杀菌器
KR200189202Y1 (ko) 공기 살균기
KR20200029232A (ko) 살균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292519B1 (ko) 공기청정을 겸비한 강제순환방식의 항살균조명장치
JP7371963B1 (ja) 空気清浄器
KR20210135411A (ko) 세라믹 필터를 활용한 공기 청정기
CN212547755U (zh) 空气消毒杀菌装置
JP7365548B2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