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301A -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301A
KR20230080301A KR1020220126597A KR20220126597A KR20230080301A KR 20230080301 A KR20230080301 A KR 20230080301A KR 1020220126597 A KR1020220126597 A KR 1020220126597A KR 20220126597 A KR20220126597 A KR 20220126597A KR 20230080301 A KR20230080301 A KR 2023008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ester
concentration
tank
uni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형
박성균
이재영
김준
선지윤
정현훈
김영오
이동주
한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에너지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에너지,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에너지
Priority to KR102022012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301A/ko
Publication of KR2023008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기 폐수 처리 장치는, 유기성 폐수가 유입되어 소화되는 소화조; 상기 소화조에서 토출되는 소화액에서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하는 난분해성물질제거부; 상기 농축조로부터 상기 소화액을 유입받아, 상기 소화액을 농축라인을 통해 유동시키면서 고액분리하며, 고액분리된 여과수는 후속 처리를 위해 배출하고, 고액분리하여 농축된 농축액은 상기 농축조로 반송하는 농축여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water with organic soli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non-biodegradable substance therefor}
본 발명은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리를 요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유기성 폐수를 처리할 때 상기 고형물이 시스템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고형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폐수 처리의 효율을 높이고,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하여 소화조로 침적물이 유입되어 유효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소화조의 준설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막 결합형 혐기성 소화 공정은, 혐기소화조(2)와 분리막을 이용한 여과농축장치(4)를 결합한 공정으로, 상기 여과농축장치(4)를 통과하여 농축된 소화액을 혐기소화조(2)로 반송함으로써 혐기소화조(2)의 소화효율 및 바이오가스 발생률을 증대시키고, 처리수가 분리막을 통과하도록 하여 수질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농도 폐수는 전처리시설(1)에서 전처리된 후 유입라인(6)을 통해 혐기소화조(2)로 유입되고, 상기 혐기소화조(2)에서 소화된 소화액은 이송펌프(P1)에 의해 농축조(3)로 펌핑된다. 상기 농축조(3)의 소화액은 가압펌프(P3)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여과농축장치(4)로 유동하고, 상기 여과농축장치(4)를 통과한 막여과수는 후속처리시설(5)로 배출된다. 한편, 농축여과장치(4)에서 농축된 농축액은 반송라인(8)을 통해 농축조(8)로 반송되고, 상기 농축조(3)에서는 상기 농축액을 펌프(P2)에 의해 반송라인(7)을 통해 혐기소화조(2)로 재유입시킨다.
이와 같은 막 결합형 혐기성 소화 공정은, 소화액의 농축 반송을 통해 혐기성 미생물의 유실을 방지하여 소화조 효율증가, 바이오가스 발생량 증가의 이점이 있으나, 농축된 소화액을 적정한 조절이 없이 지속적으로 반송하면 처리수에 포함된 유기성 고형물이 시스템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무한대로 증가하여 장기운영 시에는 소화조 내부의 부유 고형물(SS)의 농도를 과도하게 증가시켜 기 설치된 펌프의 양수불량 및 교반기 효율저하, 배관막힘현상, 막여과장치 유로폐색 및 여과성능저하 등을 유발하며, 미생물 분해가 가능한 휘발성부유고형물(VSS) 뿐만 아니라 미생물 분해가 어려운 강열잔류부유물질(FSS)도 같이 반송되어 소화조 내에 강열잔류부유물질이 축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음식물류 폐기물, 음폐수, 축산분뇨, 식품가공공장 폐수 및 발생 부생물 등의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혐기성 소화공정에는 파쇄, 선별, 및 분리를 위한 적정한 전처리 시설(1)이 있어 혐기소화조(2)와 같은 생물반응조로 유입되기 전에 철재류, 비닐류, 토사류, 섬유질 등의 생물난분해성물질이 분류되고 제거되지만 미세 토사류, 작은 비닐류, 섬유질 등이 소화조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으며, 이러한 생물난분해성물질은 미생물 분해가 불가능한 무기물질이거나 분해에 매우 긴 시간이 걸리는 유기물질로써 소화조에 축적되어 소화효율 저하, 교반효율 저하, 소화조 유효용량 및 체류시간 감소, 배관막힘, 분리막 유로폐색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분리막을 이용한 여과농축장치(4)는 안정적인 연속운전에 장애가 발생하고, 부유 고형물의 체류시간 및 소화조 부유 고형물의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연속농축반송으로 소화조 운영상태는 악화되며, 축적되는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를 위한 소화조 준설작업으로 인해 전체 시설 운영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까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처리를 요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유기성 폐수를 처리할 때 상기 고형물이 시스템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고형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폐수 처리의 효율을 높이고,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하여 소화조로 침적물이 유입되어 유효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소화조의 준설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는, 유기성 폐수가 유입되어 소화되는 소화조; 상기 소화조에서 토출되는 소화액에서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하는 난분해성물질제거부;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를 통과한 소화액이 유입되는 농축조; 상기 농축조로부터 상기 소화액을 유입받아, 상기 소화액을 농축라인을 통해 유동시키면서 고액분리하며, 고액분리된 여과수는 후속 처리를 위해 배출하고, 고액분리하여 농축된 농축액은 상기 농축조로 반송하는 농축여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조에 수용되어 처리되어야 하는 유기물의 농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화조로 유입되는 유입유량,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로 토출되는 소화액의 토출유량, 및 상기 농축조에서 반송되는 농축액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유기물의 농도를 소정의 범위를 유지하고 상기 유기물이 상기 소화조에 체류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는 상기 소화조의 중단부로부터 소화액을 유입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화조의 하부에는, 상기 소화조의 하부로 침적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소화조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마련되는 이송펌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이송된 침전물이 저장되는 저류조; 및 상기 저류조로부터 침전물을 유입받아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화조로 유입되는 유입유량,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로 토출되는 소화액의 토출유량, 상기 농축조에서 반송되는 농축액의 유량, 및 상기 배출관을 통해 침전물과 함께 배출되는 소화액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유기물의 농도를 소정의 범위를 유지하고 상기 유기물이 상기 소화조에 체류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는, 상기 소화액이 유입되어 난분해성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스크린부; 상기 제1 스크린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크린부를 통과한 소화액이 수용되며, 저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의 저면부로부터 침강한 침강물을 이송하여 제거하는 이송제거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로 월류한 소화액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제거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따라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침강물을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방법은, 유기성 폐수를 소화조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소화조에서 소화된 소화액을 농축조로 유입시키고, 농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농축조의 소화액을 농축라인을 따라 유동시키면서 상기 소화액을 고액분리시켜서 상기 고액분리된 상기 소화액은 후속 처리를 위해 배출시키고, 고액분리후 농축액은 상기 농축조로 반송되는 농축단계; 상기 농축조에 저장되는 농축액을 상기 소화조로 반송하는 반송단계; 및 상기 농축여과장치를 통과하여 고액분리되는 상기 소화액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농축조로 반송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화조의 소화액은 상기 소화조의 중단부로부터 배출되어 생물난분해성물질이 제거된 후에 상기 농축조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는, 상기 소화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침전물배출부를 통해 상기 소화조의 하부로 침전물을 포함하는 소화액의 배출유량을 함께 고려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는, 상기 소화조 내의 유기물부하율이 소정의 범위보다 높은 경우, 설비 내에 미생물 함유량이 향상되도록 설비 내에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상승시키고, 상기 소화조 내의 유기물부하율이 소정의 범위보다 낮은 경우, 설비 내에 미생물 함유량이 감소되도록 설비 내에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유기성 폐수에 포함된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는, 유기성 폐수가 유입되어 소화되는 소화조에서 토출되는 소화액이 유입되어 난분해성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스크린부; 상기 제1 스크린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크린부를 통과한 소화액이 수용되며, 저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의 저면부로부터 침강한 침강물을 이송하여 제거하는 이송제거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로 월류한 소화액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제거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따라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침강물을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크린부는, 상기 수용부에서 월류한 소화액이 체류하는 체류부; 상기 체류부를 넘쳐 흐르는 소화액이 경사지게 흐르면서 상기 난분해성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진 경사스크린부; 및 상기 경사스크린부에 필터링된 소화액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는, 분리막을 이용한 농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반송함으로써 장치 내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이 증대하여 소화효율이 증가하고, 바이오가스 발생률을 증가시키며, 처리 수질 향상시키고, 상기 유기성 고형물의 장치 내 체류시간 및 소화조 내의 유기 고형물의 농도의 증감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소화조 운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교반 효율을 향상시켜 소화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혐기소화조로부터 유출되는 폐수의 유출구를 이원화하고,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와 탈수설비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 비중이 작은 협작물과 비중이 큰 협작물을 모두 지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소화조의 준설작업이 별도로 필요 없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혐기소화조의 중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소화액은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를 경유하도록 하여, 저비중 협잡물(미세 비닐류, 미세 토사류, 미세 섬유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농축여과장치의 여과성능이 향상되고, 농축여과장치에 마련되는 여과막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여과막의 수명을 연장하고, 농축여과장치에 마련되는 관련 기자재 및 배관을 보호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농축여과장치를 경유한 후 반송되는 농축액은 저비중 미세 협잡물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소화조 내에 협잡물의 축적을 최소화하고, 소화조 수면에 스컴층 생성과 스컴층의 거대화를 방지하여, 스컴층 생성시 발생되는 혐기소화액의 바이오 가스 방출 불능 현상, 스컴층에 갇힌 바이오 가스의 급격한 방출로 인한 소화조 내부의 가스 압력의 상승, 및 이로 인해 소화조 상부 안전밸브로 소화액이 over-flow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축여과장치에 의해 협잡물이 제거되어, 섬유질과 비닐류가 엉켜서 생성된 협잡물 덩어리에 의한 배관 막힘과 분리막의 유로폐색을 미연에 방지하여 시설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 및 유기 고형물의 농도의 감소 조절을 위해서, 소화조의 하단부를 통해 소화액을 배출하는 경우, 소화액과 고비중 협잡물(토사류)이 탈수설비로 이송되어 처리되므로, 탈수여액 내 저비중 협잡물의 함유가 적어서 후속 처리에 유리하고, 소화조 하부에 토사류 등의 고비중 협잡물의 하부 침적을 지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소화조의 준설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 및 농도가 실시간으로 제어되고, 저비중 협잡물과 고비중 협잡물이 평상시 정상 운전 중에 효율적으로 제거되고, 소화 공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유기성 폐수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 일 측면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생물난분해성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일 측면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생물난분해성물질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의 블럭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는, 처리를 요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유기성 폐수를 처리할 때 상기 고형물이 시스템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고형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상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라 함은, 음식물 폐기물, 축산 분료, 음폐수, 식가공산업폐수, 하수 오니 등의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유기성 고형물로는 상기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폐수라 함은 상기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는, 소화조(10),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 농축조(30), 및 농축여과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조(10)는 혐기성 소화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음식물류 폐기물, 음폐수, 축산분뇨, 식품가공공장 폐수 등 고농도의 유기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는 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기 고형물은 상기 소화조(10)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고농도 유기성 폐자원을 포함하는 폐수는 전처리시설(80)을 통해 기본적으로 전처리된 후 상기 소화조(10)로 유입된다. 상기 전처리 과정은 철재류, 비닐류, 토사류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시설(80)과 상기 소화조(10)는 제1 이송라인(L1)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라인(L1)에는 상기 소화조(10)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입량을 센싱하는 제1 유랑계(F0)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유입라인(L1)을 통해 흐르는 폐수에 포함된 유기 고형물의 농도는 초기농도계측센서(S0)에 의해 계측된다. 또한, 상기 소화조(10) 내의 유기 고형물의 농도는 제1 센서(S1)에 의해 계측된다.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는 상기 소화조(10)에서 토출되는 소화액에서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생물난분해성물질은, 미생물에 의해 용이하게 분해되지 않는 물질로서, 비닐류, 토사류, 섬유질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는 상기 소화조(10)의 중단부로부터 소화액을 유입받는다. 상기 소화조(10)의 중단부로부터 소화액를 펌핑하기 위한 배출펌프(25)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펌프(25)는 상기 소화액을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로 펌핑하여 이송시킨다.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는 상기 소화조(10) 높이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40% 내지 60% 사이에서 상기 소화액을 배출시킨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는 제1 스크린부(21), 수용부(22), 이송제거부(23), 및 제2 스크린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크린부(21)는 상기 소화액이 유입되어 생물 난분해성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1 스크린부(21)는 드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화액이 일측에서 유입되고 회전형 드럼을 통과하면서 하측으로 협잡물이 제거된 소화액이 낙하하고, 상기 협작물은 타측으로 배출되어 낙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스크린부(21)에 의해 비교적 비중이 작은 비닐류를 포함하는 협작물이 제거된다.
상기 수용부(22)는 상기 제1 스크린부(2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크린부(21)를 통과한 소화액을 수용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22)의 저면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2)로 낙하한 소화액에 포함된 난분해성물질 중 비중이 비교적 큰 미세 토사류는 하면의 경사를 따라서 미끄러져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송제거부(23)는, 상기 수용부(22)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22)의 저면부로부터 침강한 침강물을 이송하여 제거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제거부(23)는, 상기 수용부(22)의 저면을 따라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침강물을 상기 수용부(2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이송제거부(23)는 콘베이어 또는 스크류 타입의 이송수단이 포함하여, 상기 콘베이어 또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미세 토사류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제거부(23)에 의해 이송된 협작물은 상기 제1 스크린부(21)에 의해 낙하한 협작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 스크린부(24)는 상기 수용부(22)의 상부로 월류한 소화액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크린부(23)는 체류부(241), 경사스크린부(242), 저장조(243), 수거부(244)를 포함한다.
상기 체류부(241)는, 수용부(22)에서 월류한 소화액이 체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22)로 낙하한 소화액은 점진적으로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22)의 일측으로부터 월류하여 유출되고, 상기 체류부(241)에 수용된다. 상기 체류부(241)에는 월류벽이 마련되어 상기 체류부(241)의 수위가 차오르면 상기 월류벽을 통해 소화액이 다시 월류한다.
상기 경사스크린부(242)는, 상기 체류부(241)를 넘쳐 흐르는 소화액이 경사지게 흐르면서 난분해성물질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경사스크린부(242)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월류벽을 넘어서 하측으로 흐르는 소화액에 포함된 미세 협작물을 추가적으로 필터링하고, 상기 경사스크린부(242)의 하측으로는 2차 필터링된 소화액이 낙하한다.
상기 저장조(243)는, 상기 경사스크린부(243)에 필터링된 소화액을 저장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저장조(243)에 저장된 소화액은 후속 처리를 위해서, 농축조(30)로 유입된다.
상기 수거부(244)는, 상기 경사스크린부(242)에 의해 필터링된 미세 협작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스크린부(242)의 하측에 마련된다. 상기 수거부(244)에 수집된 협작물은 제5 이송라인(L5)를 통해 외부로 반출되어 처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의 구성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되어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농축조(30)는,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를 통과한 소화액이 유입된다. 상기 농축조(30)는 후단에 마련되는 농축여과장치(40)로부터 농축액(유기 고형물의 농도가 높아진 소화액)을 반송받으므로, 상기 농축조(30)에 수용되어 있는 소화액의 유기성 고형물의 농도는 가변된다.
상기 농축조(30)에서 농축된 농축액은 반송펌프(31)를 통해 펌핑되어 소화조(10)로 반송된다. 농축액의 반송을 위해서, 상기 농축조(30)와 상기 소화조(10)는 제2 이송라인(L2)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송라인(L2)에는 상기 농축액의 반송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제2 유량계(F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농축조(30) 내의 유기 고형물의 농도는 제2 센서(S2)에 의해 계측된다.
상기 농축여과장치(40)는, 상기 농축조(30)로부터 소화액을 유입받아서, 상기 소화액을 농축라인을 통해 유동시키면서 고액분리시키고, 고액분리된 여과수는 후속 처리를 위해 배출되고, 고액분리되면서 농축된 농축액은 상기 농축조(30)로 반송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농축여과장치(40)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상기 소화액으로부터 유기성 고형물을 분리하는 장치이며, 상기 농축조(30) 내의 소화액은 가압펌프(41)에 의해 펌핑되어 농축여과장치(40)로 유입된다. 상기 농축여과장치(40)는, 그 내부에 농축라인이 마련되고 상기 농축라인에는 분리막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막을 투과한 막여과수는 제4 이송라인(L4)를 통해 후속처리시설(50)로 유입된다.
상기 후속처리시설(50)로 유입되는 유기 고형물의 농도는 제3 센서(S3)에 의해 계측되고, 상기 후속처리시설(50)로 유입되는 유기 고형물의 유량은 제3 유량계(F3)에 의해 계측된다. 그리고, 상기 후속처리시설(50)로 유입되지 않은 소화액은 그 내부의 유기성 고형물의 농도가 상승하여 농축된 상태로 제3 이송라인(L3)를 경유하여 다시 농축조(30)로 반송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는, 침전물배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침전물배출부(60)는 상기 소화조(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소화조(10)의 하부로 침적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침전물배출부(60)는, 배출관(61), 이송펌프(62), 저류조(63), 및 탈수장치(64)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관(61)은 상기 소화조(10)의 하부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관(61)은 상기 소화조(10) 높이의 5%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설치된다. 상기 배출관(61)은 소화조(10)의 바닥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침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이송펌프(62)는 상기 배출관(61)에 마련되어 상기 소화조(10) 내부의 소화액을 외부로 펌핑한다. 상기 저류조(63)는 상기 배출관(10)을 통해 이송된 침전물 및 소화액을 저장한다.
상기 소화조(10)의 하부에는 처리 장치의 가동 중 발생되는 침전물이 지속적으로 쌓이며,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소화액에는 다량의 슬러지가 포함된 형태로 배출된다. 상기 슬러지가 포함된 소화액이 상기 저류조(63)에 유입되며, 상기 저류조(63)에는 상기 유입되는 소화액에 포함되는 유기 고형물의 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제4 센서(S4)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저류조(63)로 유입되는 소화액의 유량은 제4 유량계(F4)를 통해 계측된다.
상기 탈수장치(64)는 상기 저류조(63)로부터 침전물을 유입받아 탈수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저류조(63)에 슬러지를 포함한 소화액은 슬러지펌프(641)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탈수장치(64)로 이송된다. 상기 탈수장치(63)를 경유한 후의 탈수여액은 제6 이송라인(L6)를 통해 후속처리시설(50)으로 이송되어 후처리된다. 또한, 상기 탈수장치(64)에서 탈수 후 발생되는 고형물은 케익화되어 외부로 반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조(10)에 수용되어 처리되어야 하는 유기물의 농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는, 소화조(10)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입유량,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로 토출되는 소화액의 토출유량, 상기 농축조(30)에서 반송되는 농축액의 유량,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침전물과 함께 배출되는 소화액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유기물의 농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상기 유기물이 체류하는 시간을 제어한다. 이하, 제어부(70)에 의해 유기물 체류 시간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소화조(10)로 유입되는 유기물부하율(Organic Loading Rate)을 계산한다. 이러한 과정은, 소화조(10) 내에서 단위부피당 휘발성 유기 고형물의 농도를 계산하는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수식1]에 의해 계산된다.
[수식1] OLR = (VS × Q1) / V
여기서, OLR은 유기물부하율(Organic Loading Rate)(kg/m3/day),
VS는 유입기질에 대한 휘발성 유기고형물의 농도(g/m3),
Q1은 폐수의 유입유량(m3/day),
V는 소화조에 채워진 유량(m3)을 의미한다.
상기 VS는 제1 이송라인(L1)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에 대하여 초기농도계측센서(S0)가 계측한 값을 이용하여 연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휘발성 유기고형물은 폐수 중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초기농도계측센서(S0)는 유기 고형물의 농도를 계측하고, 상기 휘발성 유기고형물의 농도는 미리 산출되어 주어지는 소정의 유기성 고형물에 대한 휘발성 유기고형물의 비율을 곱하여 산출된다.
상기 Q1은 소화조(10)로 유입되는 유량으로 제1 이송라인(L1)에 구비되는 제1 유량계(F0)를 이용하여 계측되고, 상기 V는 소화조(10)에 채워진 유량으로서 소화조(10)에 설치되는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소화조(10)의 수위를 계측하여 소화조(10)에 채워진 유량을 산출한다.
사용자는 장치의 사양을 고려하여 유기물부하율(OLR)을 선정할 수 있으며, 정치의 사양에 맞는 상기 유기물부하율의 범위를 소정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소정의 설정값으로 입력된 유기물부하율이 상기 수식1에 의해 산출된 유기물부하율과 비교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있으면, 현 상태의 운전을 지속하고, 상기 소정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부를 유기물부하율이 다시 소정의 범위로 되돌아 오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유기물부하율이 소정의 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소화조의 고형물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운전되고, 이때 상기 소화조 고형물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설비 내에 미생물의 함유량을 향상시키도록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운전된다. 반대로, 상기 유기물부하율이 소정의 범위 이하인 경우, 상기 소화조 고형물농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운전되고, 이때 상기 소화조 고형물농도를 낮추기 위해서 설비 내에 미생물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도록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운전된다.
이와 같이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70)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제어한다.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SRT: Solid Retention Time)은 다음과 같은 [수식2]로 주어진다.
[수식2] SRT = (SS × V)/ (Qe ×SSe)
여기서, SRT은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day),
SS는 소화조의 유기 고형물의 농도(mg/L),
V는 소화조에 채워진 유량(m3)
Qe는 시스템(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유량(m3),
SSe는 시스템(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유기 고형물의 농도(mg/L)를 의미한다.
상기 SS는 소화조(10) 내부의 유기 고형물의 농도로서, 이는 상기 소화조(10)에 설치되는 제1 센서(S1)에 의해 계산된다. 그리고 상기 V는 소화조(10)에 채워진 유량으로서 소화조(10)에 설치되는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소화조(10)의 수위를 계측하여 소화조(10)에 채워진 유량이 산출된다.
상기 Qe는 시스템 외부로 배출되는 유량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량계(F3) 및 제4 유량계(F4)를 이용하여 계측되고, 상기 SSe는 시스템 외부로 배출되는 유기 고형물의 농도로서, 제3 센서(S3) 및 제4 센서(S4)를 이용하여 계측된다.
상기 수식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SRT: Solid Retention Time)은 소화조(10)의 유기 고형물의 농도와 소화조(10)에 채워진 유량의 곱을 시스템 외부로 배출되는 유량과 시스템 외부로 배출되는 유기 고형물의 농도를 곱한 값으로 나눈 값이다. 상기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SRT)을 증가시킨다는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에 포함된 미생물이 시스템 외부로 반출되지 않고 시스템 내를 순환하면서 유입되는 폐수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의미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가 SRT를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농축여과장치(40)를 경유한 후 배출되는 막여과수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저류조(63)로 유입되는 소화액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시스템 외부로 배출되는 소화액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70)가 SRT를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농축여과장치(40)를 경유한 후 배출되는 막여과수의 유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저류조(63)로 유입되는 소화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시스템 외부로 배출되는 소화액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70)는 유기물부하율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이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상기와 같은 유량제어를 통해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조(10)의 하단에 침적된 침적물은 상기 침전물배출부(60)를 통해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소화액과 함께 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저류조(63)로 유입되는 소화액의 유량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유기 고형물의 체류 시간과 소화조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방법은, 유기성 폐수를 소화조(10)로 유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소화조(10)에서 소화된 소화액을 농축조(30)로 유입시키고, 농축여과장치(40)를 이용하여 상기 농축조(30)의 소화액을 농축라인을 따라 유동시키면서 상기 소화액을 고액분리시켜서 상기 고액분리된 상기 소화액은 후속 처리를 위해 배출시키고, 고액분리후 농축액은 상기 농축조(30)로 반송되는 농축단계와, 상기 농축조(30)에 저장되는 농축액을 상기 소화조(10)로 반송하는 반송단계와, 상기 농축여과장치(40)를 통과하여 고액분리되는 상기 소화액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농축조(30)로 반송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기성 폐수의 유입단계는 소화조(10)로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가 유입되는 과정이고, 상기 폐수는 농축조(30)로 이동하여 농축된다. 이때, 상기 농축단계는 농축여과장치(40)를 통해 소화액을 고액분리시키고, 고액분리된 소화액은 외부로 배출되고 농축액은 다시 농축조(30)로 이동한다. 상기 반송단계에서 상기 농축액이 상기 소화조(10)로 이동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에 의해 상기 농축조(30)에서 상기 소화조(10)로 반송되는 농축액의 유량이 조절되어 설비 내에 고형물이 체류하는 시간이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비 내에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시간이 증가하면 상기 유기성 고형물에 포함된 미생물의 함유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유기물부하율에 따라 소화조 내의 유기성 고형물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유기물 부하율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한 제어부(70)에 의해 달성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조(10)의 소화액은 상기 소화조(10)의 중단부로부터 배출되어 생물난분해성물질이 제거된 후에 상기 농축조(30)로 유입된다. 상기 생물난분해성물질은 상술한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에 의해 수행되며, 그 구성, 작용 내지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는, 상기 소화조(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침전물배출부(60)를 통해 상기 소화조(10)의 하부로 침전물을 포함하는 소화액의 배출유량을 함께 고려하여 수행된다.
상기 침전물배출부(60)는 상기 소화조(10)의 하부에 침적되는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침전물이 배출될 때, 상기 소화조의 소화액이 함께 배출되므로 상기 소화조 내의 유기성 고형물의 농도에 영향을 주게 되며,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는 상기 침전물배출부(60)로부터 배출되는 소화액의 유량을 함께 고려한다.
상기 침전물배출부(6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에서 상기 침전물배출부(60)를 통해 배출되는 소화액의 배출유량은 상술한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는, 상기 소화조(10) 내의 유기물부하율이 소정의 범위보다 높은 경우, 설비 내에 미생물 함유량이 향상되도록 설비 내에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상승시키고, 상기 소화조(10) 내의 유기물부하율이 소정의 범위보다 낮은 경우, 설비 내에 미생물 함유량이 감소되도록 설비 내에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농축여과장치(40)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막여과수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저류조(63)로 유입되는 소화액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농축여과장치(40)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막여과수의 유량을 감소시키고 저류조(63)로 유입되는 소화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기성 폐수에 포함된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린부(21), 수용부(22), 이송제거부(23), 및 제2 스크린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크린부(21)는, 유기성 폐수가 유입되어 소화되는 소화조(10)에서 토출되는 소화액이 유입되어 생물 난분해성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한다. 상기 수용부(22)는 상기 제1 스크린부(2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크린부(21)를 통과한 소화액이 수용되며, 저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이송제거부(23)는 상기 수용부(22)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22)의 저면부로부터 침강한 침강물을 이송하여 제거한다. 상기 이송제거부(23)는, 상기 수용부(22)의 저면을 따라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침강물을 상기 수용부(2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제2 스크린부(24)는 상기 수용부(22)의 상부로 월류한 소화액을 2차적으로 필터링한다. 상기 제2 스크린부(24)는, 상기 수용부(22)에서 월류한 소화액이 체류하는 체류부(241), 상기 체류부(241)를 넘쳐 흐르는 소화액이 경사지게 흐르면서 상기 난분해성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진 경사스크린부(242)와, 상기 경사스크린부(242)에 필터링된 소화액을 저장하는 저장조(2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유기성 폐수 처리 장치의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작용 내지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소화조 20... 난분해성물질제거부
21... 제1 스크린부 22... 수용부
23... 이송제거부 24... 제2 스크린부
241... 체류부 242... 경사스크린부
243... 저장조 244... 수거부
30... 농축조 40... 농축여과장치
50... 후속처리시설 60... 침전물배출부
61... 배출관 62... 이송펌프
63... 저류조 64... 탈수장치
641... 슬러지펌프 70... 제어부
80... 전처리시설

Claims (10)

  1. 유기성 폐수가 유입되어 소화되는 소화조(10);
    상기 소화조(10)에서 토출되는 소화액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하는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를 통과한 소화액이 유입되는 농축조(30);
    상기 농축조(30)로부터 상기 소화액을 유입받아, 상기 소화액을 분리막을 구비한 농축라인을 통해 유동시키면서 고액분리하며, 고액분리된 여과수는 후속 처리를 위해 배출하고, 고액분리하여 농축된 농축액은 상기 농축조(30)로 반송하는 농축여과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조(10)에 수용되어 처리되어야 하는 유기물의 농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소화조(10)로 유입되는 유입유량,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로 토출되는 소화액의 토출유량, 및 상기 농축조(30)에서 반송되는 농축액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유기물의 농도를 소정의 범위를 유지하고 상기 유기물이 상기 소화조(10)에 체류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는 상기 소화조(10)의 하측으로부터 40% 내지 60 높이에서 소화액을 유입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조(10)의 하부에는, 상기 소화조(10)의 하부로 침적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60)가 마련되며,
    상기 침전물배출부(60)는,
    상기 소화조(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출관(61);
    상기 배출관(61)에 마련되는 이송펌프(62);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이송된 침전물이 저장되는 저류조(63); 및
    상기 저류조(63)로부터 침전물을 유입받아 탈수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분해성물질제거부(20)는,
    상기 소화액이 유입되어 상기 생물난분해성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1 스크린부(21);
    상기 제1 스크린부(2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스크린부(21)를 통과한 소화액이 수용되며, 저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용부(22);
    상기 수용부(22)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부(22)의 저면부로부터 침강한 침강물을 이송하여 제거하는 이송제거부(23);
    상기 수용부(22)의 상부로 월류한 소화액을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 스크린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제거부(23)는, 상기 수용부(22)의 저면을 따라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침강물을 상기 수용부(2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하여 배출시키되,
    상기 제1 스크린부(21)를 통해 필터링된 상기 생물난분해성물질은 상기 이송제거부(23)의 상측에서 상기 이송제거부(23)에 의해 이송된 침강물과 병합되어 함께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부(24)는,
    상기 수용부(22)에서 월류한 소화액이 체류하는 체류부(241);
    상기 체류부(241)를 넘쳐 흐르는 소화액이 경사지게 흐르면서 상기 생물난분해성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이루어진 경사스크린부(242); 및
    상기 경사스크린부(242)에 필터링된 소화액을 저장하는 저장조(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8. 유기성 폐수를 소화조로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소화조에서 소화된 소화액을 농축조로 유입시키고, 농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농축조의 소화액을 농축라인을 따라 유동시키면서 상기 소화액을 고액분리시켜서 상기 고액분리된 상기 소화액은 후속 처리를 위해 배출시키고, 고액분리후 농축액은 상기 농축조로 반송되는 농축단계;
    상기 농축조에 저장되는 농축액을 상기 소화조로 반송하는 반송단계; 및
    상기 농축여과장치를 통과하여 고액분리되는 상기 소화액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농축조로 반송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농축단계는 상기 소화조의 소화액을 상기 소화조의 중단부로부터 배출시켜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생물난분해성물질을 제거한 후에 상기 농축조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는,
    상기 소화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침전물배출부를 통해 상기 소화조의 하부로 침전물을 포함하는 소화액의 배출유량을 함께 고려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체류시간조절단계는,
    상기 소화조 내의 유기물부하율이 소정의 범위보다 높은 경우, 설비 내에 미생물 함유량이 향상되도록 설비 내에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상승시키고,
    상기 소화조 내의 유기물부하율이 소정의 범위보다 낮은 경우, 설비 내에 미생물 함유량이 감소되도록 설비 내에 유기성 고형물의 체류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방법.
KR1020220126597A 2021-11-29 2022-10-04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 KR20230080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597A KR20230080301A (ko) 2021-11-29 2022-10-04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99 2021-11-29
KR1020220126597A KR20230080301A (ko) 2021-11-29 2022-10-04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599 Division 2021-11-29 2021-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301A true KR20230080301A (ko) 2023-06-07

Family

ID=8676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597A KR20230080301A (ko) 2021-11-29 2022-10-04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03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896B2 (en) Screw conveyor type separation apparatus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5770091A (en) Method of plain sedimentation and physical-chemical sedimentation of domestic or industrial waste water
RU2430020C2 (ru) Способ и реактор для анаэроб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4878252B2 (ja) ベルト型濃縮機
KR101860291B1 (ko) 산기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EP1030951A1 (en) A mobile unit and method for purifying sludge and waste water
JP2007029801A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システム
KR101261839B1 (ko) 반류수 처리장치
JP6626888B2 (ja) 廃水の清澄化方法
JP5687034B2 (ja) 活性汚泥処理システム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CN102137818A (zh) 凝聚处理方法
CN101952015B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KR20230080301A (ko) 유기성 고형물이 포함된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생물난분해성물질 제거장치
JP7154925B2 (ja) スクリュー型分離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Dilek et al. Water savings and sludge minimization in a beet-sugar factory through re-desig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CN108101274A (zh) 一种油类高cod废水预处理工艺和设备
JPH07166586A (ja) 雨水の浄化処理槽
CN108975600A (zh) 稠油污水地面综合处理平台
KR100754247B1 (ko) 협잡물 종합처리기
CN211255494U (zh) 一种低渗油田含油污水回注处理装置
CN209835814U (zh) 一种用于生活垃圾焚烧厂渗滤液处理工艺的平流沉淀池
KR100441620B1 (ko) 자갈 및 세라믹을 채운 다층 구조의 상향류식 하천 정화장치 및 정화 방법
NO813255L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for behandling av avvann
CN207726866U (zh) 一种含油污水处理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