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646A -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646A
KR20230079646A KR1020210166647A KR20210166647A KR20230079646A KR 20230079646 A KR20230079646 A KR 20230079646A KR 1020210166647 A KR1020210166647 A KR 1020210166647A KR 20210166647 A KR20210166647 A KR 20210166647A KR 20230079646 A KR20230079646 A KR 20230079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unlight
hill
light transmission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466B1 (ko
Inventor
김윤현
김효진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6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46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666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04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을 입사받아 일 위치로 집광하는 태양광 집광장치와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가 집광하는 태양광을 유입받아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하며,상기 광 케이블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광 전송용 광섬유 및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입사하는 입사광을 포커싱하는 복수의 제1 언덕형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Condensing Solar Power System Using Optical Fiber and Graded-Index Optical Fiber}
본 발명은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태양광의 집광위치와 분리된 위치에서도 태양광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전통적인 화석연료의 매장량이 줄어들고 화석연료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친환경적인 대체 에너지의 활용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오랜 연구를 거치며 축적된 기술로 인해 향후 전통적인 에너지를 대체할 가장 유력한 대체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며, 종래의 실리콘 반도체보다 발전효율이 3~4배 이상 우수한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가 사용되고 있다. 다만,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는 종래의 실리콘 반도체보다 가격이 상당히 비싸기 때문에, 종래의 실리콘 반도체와 같이 넓은 면적에 배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수행할 수는 없고, 태양광을 반도체로 집속하기 위한 집광 시스템이 추가로 배치된다.
다만, 이처럼 태양광이 반도체로 집광되면, 반도체의 온도가 상승하며 발전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이에, 반도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시스템 역시 추가로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태양의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태양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추적 시스템이 배치되어야 한다.
즉,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필수적으로 집광 시스템, 냉각 시스템 및 추적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한다.
종래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모든 구성을 구비하여 태양광이 잘 입사되는 곳에 배치되어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실외에 모든 구성이 배치되어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추적 시스템이 태양광을 추적함에 있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모든 구성의 무게를 지탱하며 추적하여야 하기에, 효율도 떨어지고 운영비도 높아지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양광을 추적하고 집광하는 구성과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구성을 분리하여, 외부 환경으로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 끝단에 언덕형 광섬유를 구비한 광 케이블을 포함하여, 집광되는 태양광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태양광을 입사받아 일 위치로 집광하는 태양광 집광장치와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가 집광하는 태양광을 유입받아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하며,상기 광 케이블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광 전송용 광섬유 및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입사하는 입사광을 포커싱하는 복수의 제1 언덕형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언덕형 광섬유는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융착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는 태양광이 집광되는 위치에 기 설정된 직경의 중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 케이블은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가 집광하는 태양광을 유입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와 공간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언덕형 광섬유는 코어를 중심으로 포물선 형태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언덕형 광섬유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기 설정된 길이는 상기 제1 언덕형 광섬유의 피치 길이의 절반의 홀수 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 케이블은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부터 전달되는 태양광을 분산시켜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로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언덕형 광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태양광 집광장치로 집광되는 태양광을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광 케이블에 있어서,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광 전송용 광섬유 및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로 집광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입사될 태양광을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포커싱하는 복수의 언덕형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언덕형 광섬유는 코어를 중심으로 포물선 형태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태양광 집광장치로 집광되는 태양광을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광 케이블에 있어서,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광 전송용 광섬유와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로 집광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입사될 태양광을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포커싱하는 복수의 제1 언덕형 광섬유 및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부터 전달되는 태양광을 분산시켜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로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언덕형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언덕형 광섬유는 상기 제2 언덕형 광섬유의 피치 길이의 60% 내지 90% 범위의 길이에 피치 길이의 자연수 배를 더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태양광을 추적하고 집광하는 구성과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구성을 분리하여, 외부 환경으로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 끝단에 언덕형 광섬유를 구비한 광 케이블을 이용함으로서, 집광되는 태양광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일 광섬유의 측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언덕형 광섬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언덕형 광섬유의 단면과 이의 굴절률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언덕형 광섬유에서의 광의 진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광 전송용 광섬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광 전송용 광섬유의 단면과 이의 굴절률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일 광섬유의 일 끝단으로 유입되어 다른 일 끝단으로 출력되는 광의 진행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은 태양광 집광장치(110), 광케이블(120) 및 태양광 발전장치(130)를 포함한다.
태양광 집광장치(110)는 태양의 이동을 추적하며 태양광을 광케이블(120)로 집광한다. 태양광 집광장치(110)는 시간에 따른 태양의 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하며, 입사되는 태양광을 집광한다. 태양광 집광장치(110) 내에 광 케이블(120)이 배치되며, 광 케이블(120)이 배치된 위치로 태양광을 집광한다.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광 케이블(120)은 태양광 집광장치(110)에 의해 집광된 태양광을 태양광 발전장치(130)로 전달한다. 광 케이블(120)의 일 끝단은 태양광 집광장치(110) 내 태양광이 집광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 끝단은 태양광 발전장치(130)로 광을 방사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이처럼, 광 케이블(120)은 양 장치(110, 130)간 광을 전달함으로써, 양자를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양자가 공간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태양광 발전장치(130)가 광 케이블(120)에 의해 태양광 집광장치(110)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기에, 태양광 발전장치(130)는 태양광 집광장치(110)와 달리 실내에 위치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장치(130)는 굳이 태양광 집광장치(110)와 같이 태양광이 입사되는 실외에 위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장치(130)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유지/보수가 원활해질 수 있다.
태양광 발전장치(130)의 동작에 의해 태양광 발전장치(130)에 제반되는 설비들도 태양광 집광장치(110)와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장치(130)가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경우 많은 열이 발생하기에, 태양광 발전장치(13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설비가 필요하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130)가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경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설비와 해당 설비까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설비 등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제반되는 설비들도 모두 태양광 집광장치(110)와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 집광장치(110)는 자신의 무게만을 지탱하며 태양광을 추적하며 집광할 수 있다. 이에, 태양광 집광장치(110)의 유지/보수가 수월해지고, 운영비가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광 케이블(120)은 태양광 집광장치(110)에 의해 집광되는 태양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광 케이블(120) 내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각 끝단에 언덕형 광섬유(410,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후술)를 포함할 수 있다. 언덕형 광섬유(410)는 전술한 위치에 배치되어, 광 케이블(120)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각 광 전송용 광섬유(420, 도 8 및 9)로 전달한다. 또한,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전달된 태양광이 태양광 발전장치(130)로 출력됨에 있어, 보다 분산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언덕형 광섬유(410)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보다 포커싱함으로서, 각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충분한 태양광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태양광 발전장치(130)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태양광 발전장치(130)는 전기 에너지 생산(변환)효율이 높은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로 구현된다. 다만, 전술한 대로,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는 고가이기 때문에, 종래의 실리콘 반도체와 같이 넓은 면적으로 구현이 곤란하다. 이에, 태양광 발전장치(130)는 광 케이블(120)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입사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반도체의 광전변환 효율은 일반적으로 기판의 온도가 상승하면 감소한다. 따라서, 가급적 태양광 발전장치(130)로 입사되는 광은 포커싱되는 형태 보다는 확산되는 형태로 입사되는 것이 효율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이를 위해서, 언덕형 광섬유(410)가 광 전송용 광섬유(420)의 전단 뿐만 아니라 후단에도 배치되어,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부터 전달되는 광이 태양광 발전장치(310)에 확산되어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집광장치(110)는 제1 반사미러(210) 및 제2 반사미러(220)를 포함한다.
태양광 집광장치(110)는 태양광을 집광함에 있어, 렌즈가 아닌 반사미러를 이용한다. 실리콘 반도체와는 달리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는 가시광 파장대역 뿐만 아니라 근적외선 파장대역도 수광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에,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로는 상대적으로 넓은 파장대역의 광이 입사하는데, 렌즈는 구면수차로 인해 파장에 따라 집광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태양광 집광장치(110)는 렌즈가 아닌 반사미러를 포함한다.
반사미러의 형상은 다음의 수식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01
반사미러의 형상은 xz 평면상에서 구현되며, c는 곡률반경(R)의 역수를, k는 코닉 상수를 의미한다.
제1 반사미러(210)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제2 반사미러(220)로 반사시킨다. 제1 반사미러(210)는 R1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k가 -1인 포물선 형상을 갖는다. 제1 반사미러(210)는 포물선 형상을 가지며, 입사되는 태양광을 제2 반사미러(220)로 반사시킨다.
제1 반사미러(21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D1)을 갖는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00mm 이상, 400mm 이하일 수 있다. 직경(D1)이 100mm보다 작을 경우, 충분히 태양광을 입사받기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직경(D1)이 400mm보다 클 경우, 제1 반사미러(210)에서 열이 많이 발생하며 집광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제1 반사미러(21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다.
제1 반사미러(210)는 반사한 광이 제2 반사미러(220)로부터 재반사되어 집광되는 위치에 중공부(215)를 갖는다. 전술한 위치에 중공부(215)가 형성됨에 따라, 중공부(215)에 광 케이블(120)이 배치되어 집광되는 태양광을 입사받을 수 있다. 중공부(215)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Dh)을 갖는다. 중공부(215)는 광 케이블(120)의 직경(Dcable)보다는 크고 제2 반사미러(220)의 직경(D2)보다는 작게 구현된다. 중공부(215)의 직경이 제2 반사미러(220)의 직경보다 크면 제1 반사미러(210)의 광 반사면적이 감소하여 반사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제2 반사미러(220)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제1 반사미러(210)로부터 반사된 태양광을 재반사시켜 중공부(215)로 집광한다.
제2 반사미러(220)는 제1 반사미러(210)로부터 반사된 태양광을 재반사시켜 중공부(215)로 집광한다. 제2 반사미러(220)는 R2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k가 0인 구형상을 갖는다. 제2 반사미러(220)는 구형상으로 구현되어, 제1 반사미러(210)로부터 반사된 광을 입사받아 재반사한다. 이때, 제2 반사미러(220)가 구형으로 구현됨에 따라, 반사광을 재반사함에 있어 중공부(215)의 위치로 반사광을 포커싱하여 재반사시킬 수 있다. 제2 반사미러(220)에 의해, 중공부(215)에 위치하는 광 케이블(120)은 태양광 집광장치(110)로 입사하는 대부분의 광을 입사받을 수 있다.
제2 반사미러(220)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반사미러(220)는 태양광을 재반사함에 있어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반사미러(210)의 초점 부근에서 재반사 집광 효율이 가장 큰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반사미러(220)가 배치될 기 설정된 위치(재반사 집광 효율이 가장 큰 위치)는 중공부(215)의 중심에서 H 만큼 떨어진 위치이며, H는 다음의 수식을 만족한다.
Figure pat00002
제2 반사미러(220)는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우수한 재반사 집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제2 반사미러(220) 역시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D2)을 갖는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0mm 이상, 직경(D1) 이하일 수 있다. 직경(D2)이 10mm보다 작을 경우, 제1 반사미러(210)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온전히 입사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직경(D2)이 직경(D1)보다 클 경우, 재반사율은 높아지지만, 제2 반사미러(220)가 제1 반사미러(210)로 입사하는 태양광을 차단할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제2 반사미러(220)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D2)을 갖는다.
제1 반사미러(210)와 제2 반사미러(220)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미러의 반사율이 100%라 가정하면, 중공부(215)의 위치로 광이 약 99%이상 집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미러(210)의 직경(D1)과 곡률반경을 각각 300mm와 700mm로, 제2 반사미러(220)의 직경(D2)과 곡률반경을 각각 16mm와 8mm로, 중공부(215)의 직경(Dh)과 중공부(215)의 광케이블 끝단에서 제2 반사미러(220)까지의 거리(H)를 각각 10mm와 346mm로 설정하고 시뮬레이션하였을 때, 중공부(215)의 위치로 광이 약 99.5%만큼 집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공부(215)의 제2 반사미러(220)와 가까운 끝단에 보호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태양광 집광장치(110)가 태양광이 잘 입사하는 실외에 배치되기 때문에, 중공부(215)에 배치된 광 케이블(120)의 끝단도 마찬가지로 실외에 노출된다. 광 케이블(120)의 노출된 면이 외부 환경에 의해 훼손될 여지도 존재하여, 중공부(215)의 전술한 끝단에 보호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막(미도시)은 해당 위치에 배치되어, 광 케이블(120)의 끝단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보호막(미도시)은 광의 진행경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최소화하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표면에 무반사(Anti-Reflection)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20)은 복수의 광섬유(31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케이블(120) 내에는 복수의 광섬유(310)가 배치된다. 광 케이블(120)은 실외에 배치된 태양광 집광장치(110)와 실내에 배치된 태양광 발전장치(130)를 연결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장치(130)가 배치된 공간의 내부 구조 등에 따라 굴곡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만, 광섬유(310)의 직경이 일정 수준 이상 커질 경우, 유연성(Flexibility)이 감소한다. 이에, 광 케이블(120)이 양 장치(110, 130)를 연결하기 위해 배치됨에 있어 원활히 배치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일정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 광섬유(310)가 복수 개만큼 광 케이블(120) 내에 배치된다. 광섬유(310)는 광 케이블(120) 내 최대한 많은 양이 배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태양광 발전장치(130)로 전달한다. 광섬유(310)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복수 개가 광 케이블(120) 내 빽빽하게(예를 들어, 벌집 구조와 같이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광섬유(310)가 일정한 직경을 갖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광섬유(310)와 광섬유(310) 사이에 공백(320)이 형성된다. 광 전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 케이블(120) 내 공백(320)에 직경이 작은 추가 광섬유(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일 광섬유의 측단면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일 광섬유(310)는 제1 언덕형 광섬유(410a), 제2 언덕형 광섬유(410b) 및 광 전송용 광섬유(420)를 포함한다.
제1 언덕형 광섬유(410a)는 광 전송용 광섬유(420)의 태양광 집광장치(110)에 가까운 방향으로의 끝단에 융착되어, 태양광 집광장치(110)에 의해 집광되어 입사되는 광을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포커싱하여 전달한다. 태양광 집광장치(110)에 의해 태양광이 집광되어 광 케이블(120)로 입사되더라도, 광 전송용 광섬유(420)에 온전히 입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언덕형 광섬유(410a)는 전술한 위치에 융착되어 입사하는 태양광을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포커싱함으로서, 태양광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킨다.
제2 언덕형 광섬유(410b)는 광 전송용 광섬유(420)의 태양광 발전장치(130)에 가까운 방향으로의 끝단에 융착되어, 광 전송용 광섬유(420)에서 출력되는 광을 분산시켜 태양광 발전장치(130)로 전달한다. 전술한 대로, 태양광 발전장치(130)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언덕형 광섬유(410b)가 전술한 위치에 융착되어 태양광을 분산시켜 태양광 발전장치(130)로 전달한다.
언덕형 광섬유의 특징은 도 5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언덕형 광섬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언덕형 광섬유의 단면과 이의 굴절률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언덕형 광섬유에서의 광의 진행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덕형 광섬유(410)는 코어(413) 및 클래딩(416)을 포함한다.
코어(413)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Dcore)을 갖는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0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많은 광량을 입사받아 전달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클수록 좋다. 다만, 코어(513)의 직경(Dcore)이 지나치게 커질 경우(300㎛ 초과), 유연성(Flexibility)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코어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다.
클래딩(416)은 코어(413)의 외부에 배치된다. 클래딩(416)은 도 6과 같은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코어(413) 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한다.
클래딩(416)은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Dclad)을 갖는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1.1Dcore 이상, 1.2Dcore 이하일 수 있다. 클래딩(416)은 전반사를 유도해야 하기에, 적어도 코어(413) 직경의 10% 이상의 직경은 가져야 하며, 지나치게 클 필요는 없기에 코어(413) 직경의 20% 보다 커질 필요가 없다.
언덕형 광섬유(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413)를 중심으로 반경에 따라 언덕 형태 또는 포물선 형태의 굴절률을 갖는다. 여기서, 굴절률은 다음과 같은 수식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pat00003
를 만족하며,
Figure pat00004
를 만족한다.
여기서, n1은 최대 굴절률을, n2는 최소 굴절률을, r은 코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반지름을, a는 최소 굴절률을 갖는 (최소) 반지름을, NA는 개구수를 의미한다.
언덕형 광섬유가 전술한 바와 같이 언덕 형태의 굴절률 특징을 갖기 때문에, 언덕형 광섬유(125) 내를 거치는 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하게 된다.
광섬유의 굴절률이 언덕 형태를 가질 경우, 광섬유 내로 복수의 광은 상호간에 분산과 수렴을 반복하며 진행하게 된다. 특정 위치에서 수렴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위치로부터 다시 수렴이 발생한 다음 위치까지의 거리를 피치(Pitch)라 정의할 수 있다. 또는, 피치는 각 광이 가장 많이 분산된 위치와 해당 위치로부터 다시 분산이 발생한 다음 위치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피치는 다음과 같이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를 만족한다.
여기서, Dcore=2a에 해당한다.
이러한 각 언덕형 광섬유(410)가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짐에 따라, 일 광섬유로 입사한 태양광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로 진행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배치된 일 광섬유의 일 끝단으로 유입되어 다른 일 끝단으로 출력되는 광의 진행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1 언덕형 광섬유(410a)는 입사되는 광을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포커싱하여 전달한다. 제1 언덕형 광섬유(410a)가 광을 포커싱하여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전달하기 위해, 제1 언덕형 광섬유(410a)가 갖는 피치를 고려하여 길이(1010)가 결정된다. 언덕형 광섬유(125)의 길이(1010)는 자신이 전달하는 광이 포커싱된 상태로서 광 전송용 광섬유(4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제1 언덕형 광섬유(410a)의 길이(1010)는 피치 길이의 주기성을 고려하여 피치 길이의 절반의 홀수(1, 3, 5....) 배를 갖도록 설정된다. 이처럼 설정될 경우,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전달되는 광은 최대로 포커싱되어 전달되며, 제1 언덕형 광섬유(410a)의 길이(1010)가 피치 길이의 절반의 홀수 배로부터 오차범위를 가질 경우,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전달되는 광은 점점 분산된다.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포커싱된 광은, 광 전송용 광섬유(420) 내에서 전반사되며 입사된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제2 언덕형 광섬유(410b)는 광 전송용 광섬유(420)에서 진행하며 출력되는 광을 분산시켜 태양광 발전장치(130)로 전달한다. 광을 분산시키기 위해, 제2 언덕형 광섬유(410b)의 길이(1020) 역시, 제2 언덕형 광섬유(410b)가 갖는 피치가 고려되어 결정된다. 제2 언덕형 광섬유(410b)의 길이(1020)는 피치 길이의 주기성을 고려하여, 피치 길이의 60% 내지 90% 범위의 길이에 피치 길이의 자연수 배를 더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언덕형 광섬유(410b)의 길이(1020)가 이와 같이 설정될 경우, 제2 언덕형 광섬유(410b)는 광 전송용 광섬유(420)에서 전달되는 광을 분산시켜 태양광 발전 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코어(413)와 클래딩(416)은 유리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태양광의 집광에 의한 고온에 잘 견디고, 가시광 파장대역 뿐만 아니라 근적외선 파장대역의 광도 원활히 전송하기 위해, 코어(413)와 클래딩(416)은 유리 소재로 구현된다.
각 언덕형 광섬유(410)는 태양광 집광장치(110)에서 입사되는 광을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전달하거나, 광 전송용 광섬유(420)에서 태양 발전장치(130)로 광을 전달할 때 광을 집광하거나 확산시키기 때문에, 짧은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각 언덕형 광섬유(410)에는 광섬유 코팅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언덕형 광섬유의 기계적 강도 유지를 위해서, 광 전송용 광섬유(410)의 코팅 외경 이하의 코팅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태양광 집광장치(110)에서 입사되는 광을 전달하며 발생하는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코팅부(미도시)는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테플론(Teflon) 등의 불소계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언덕형 광섬유(410)는 광 전송용 광섬유(420)와 융착되어, 언덕형 광섬유(410)로 입사하는 광(제2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광)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진행하거나, 광 전송용 광섬유(420)에 의해 전달되는 광을 분산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손실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융착에 의해 언덕형 광섬유(410) 및 광 전송용 광섬유(420) 간에 별도의 광 정밀 조정을 위한 배치가 필요치 않아, 배치에 있어서도 편리함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언덕형 광섬유(410)는 입사되는 광을 포커싱하여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 전달하거나, 광 전송용 광섬유(420)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분산시켜 출력하기에, 마치, 종래의 광 케이블(120)의 각 끝단에 배치되어 광을 포커싱하거나 확산시키는 렌즈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광 케이블(120) 내 언덕형 광섬유(410)와 광 전송용 광섬유(420)가 도 4 또는 도 10과 같이 구현될 경우, 그렇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50% 내외만큼 광전송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케이블의 내경(Dcable)을 10mm로, 광 전송용 광섬유 코팅의 직경(dcoat)을 0.25mm로, 광 전송용 광섬유 클래딩의 직경(dclad)을 0.22mm로, 광 전송용 광섬유 코어의 직경(dcore)을 0.10mm로, 언덕형 광섬유 클래딩(416)의 직경(Dclad)을 0.22mm로, 언덕형 광섬유 코어의 직경(Dcore)을 0.20mm로, 제1 언덕형 광섬유(410a)의 길이(1010)를 9.77mm로, 제2 언덕형 광섬유(410b)의 길이(1020)를 10.31mm로, Δn14를 0.017로, Δn12(코어의 최대 굴절률과 최소 굴절률의 차이)를 0.001로, 광 케이블의 굽힘 허용 반경을 10mm로 설정하고 시뮬레이션 하였을 때, 종래(각 언덕형 광섬유가 구현되지 않은 채로, 광 전송용 광섬유의 코어 직경(dcore)을 0.20mm로, 클래딩 직경(dclad)을 0.22mm로, Δn14를 0.017로, Δn12를 0로 설정)에 비해 광전송 효율이 50%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각 광 전송용 광섬유(420)들의 양 끝단에 융착 접속되는 언덕형 광섬유(410)에 의해, 광 케이블(120) 내 각 광 전송용 광섬유(420)들은 렌즈와 같은 형상을 갖지 않아도(종래와 같이 일 끝단이 평평한 형상) 무방하다
다만, 제2 언덕형 광섬유(410b)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광 케이블(120) 내 광 전송용 광섬유(420)의 각 출력단이 태양광 발전장치(130)에 적용된 태양전지(미도시)에 발열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경우,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광 전송용 광섬유(420)는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반사시키며, 입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전달한다. 광 전송용 광섬유(420)는 제1 언덕형 광섬유(410a)에 의해 포커싱되는 태양광을 입사받으며, 전반사시키며 전달하여 제2 언덕형 광섬유 (410b)로 출력한다. 광 전송용 광섬유(420)의 특징은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광 전송용 광섬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 내 광 전송용 광섬유의 단면과 이의 굴절률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전송용 광섬유(420)의 단면은 원형으로 구현되며, 코어(813), 클래딩(816) 및 코팅부(819)를 포함한다.
코어(813)는 광을 입사받아 전달한다. 코어(813)와 클래딩(816)은 후술할 도 8과 같이 굴절률 차이를 갖기 때문에, 코어(813)로 입사된 광은 코어(813) 내에서 전반사되며 코어(813)를 따라 진행한다.
코어(813)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dcore)을 갖는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언덕형 광섬유 코어(413) 직경(Dcore)의 1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813) 직경(dcore)이 언덕형 광섬유 코어(413) 직경(Dcore)의 10% 미만이면, 언덕형 광섬유(410)에서 집광된 광의 접속 손실이 커진다. 반대로, 코어(813) 직경(dcore)이 언덕형 광섬유 코어(413) 직경(Dcore)의 60% 보다 커지면 접속 손실 감소 효과가 없는 상태에서 광섬유 제조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코어(813)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다.
클래딩(816)은 코어(813)의 외부에 배치된다. 클래딩(816)은 도 8과 같은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코어(813) 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한다. 클래딩(816)의 직경(dclad)은 언덕형 광섬유의 클래딩(416) 직경(Dclad)과 동일하게 하여 두 광섬유 간의 융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어(813)와 클래딩(816)은 유리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태양광의 집광에 의한 고온에 잘 견디고, 가시광 파장대역 뿐만 아니라 근적외선 파장대역의 광도 원활히 전송하기 위해, 코어(813)와 클래딩(816)은 유리 소재로 구현된다. 이때, 굽힘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광 손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어(813)와 클래딩(816)은 도 9와 같은 굴절률을 갖는다.
코어(813)의 굴절률과 클래딩(816)의 굴절률은 코어(813)에서 온전히 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Δn14만큼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 Δn14는 코어의 최대 굴절률과 클래딩의 굴절률의 차이로서, 적어도 0.015이상이 되도록 설정된다. Δn14가 적어도 0.015이상이 되어야 전반사가 온전히 일어나며, 광섬유에 일정 수준의 굽힘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굽힘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코어(813)의 굴절률은 아래와 같이, 코어(813)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형태를 갖는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c1 ≥ 0.1을 만족하고, Reff = c3 * R을 만족하며, c3는 광섬유를 구성하는 물질의 탄성계수를, R은 광섬유의 굴곡 반경을 의미한다. 코어(813)의 굴절률이 전술한 수식을 만족함에 따라, 광섬유에 굽힘이 발생하더라도 코어(813)에서 굽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코팅부(819)는 클래딩(816)의 외부에 배치된다. 전술한 대로, 코어(813)와 클래딩(816)이 유리로 구현되기 때문에,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코팅부(819)가 클래딩(719)의 외부, 광섬유(710)의 최외각에 배치된다. 코팅부(819)는 코어(813)와 클래딩(816)이 입사된 광을 전달하며 발생하는 열에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테플론(Teflon) 등의 불소계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코팅부(819)는 코어(813)와 클래딩(816)을 보호하기만 할 뿐, 광의 전달에는 어떠한 역할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두꺼울 필요가 없다. 오히려, 코팅부(819)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광섬유(310) 전체의 크기(직경)만 커져 광 전달 효율이 나빠진다. 이에, 코팅부(819)의 두께(dcoat/2-dclad/2)는 10㎛ 이상, 40㎛ 이하일 수 있다. 코팅부(819)가 이 같은 두께를 가짐에 따라, 광섬유(710) 내에서 광을 전달하는 코어 영역이 최대한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태양광 발전 시스템
110: 태양광 집광 장치
120: 광 케이블
130: 태양광 발전 장치
210: 제1 반사미러
215: 중공부
220: 제2 반사미러
310: 광섬유
413, 813: 코어
416, 816: 클래딩
410: 언덕형 광섬유
420: 광 전송용 광섬유
819: 코팅부
1010, 1020: 언덕형 광섬유 길이

Claims (13)

  1. 태양광을 입사받아 일 위치로 집광하는 태양광 집광장치;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가 집광하는 태양광을 유입받아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하는 광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광 케이블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광 전송용 광섬유; 및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입사하는 입사광을 포커싱하는 복수의 제1 언덕형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덕형 광섬유는,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융착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는,
    태양광이 집광되는 위치에 기 설정된 직경의 중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케이블은,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가 집광하는 태양광을 유입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와 공간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덕형 광섬유는,
    코어를 중심으로 포물선 형태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덕형 광섬유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길이는,
    상기 제1 언덕형 광섬유의 피치 길이의 절반의 홀수 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케이블은,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부터 전달되는 태양광을 분산시켜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로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언덕형 광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 태양광 집광장치로 집광되는 태양광을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광 케이블에 있어서,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광 전송용 광섬유; 및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로 집광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입사될 태양광을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포커싱하는 복수의 언덕형 광섬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언덕형 광섬유는,
    코어를 중심으로 포물선 형태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12. 태양광 집광장치로 집광되는 태양광을 태양광 발전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광 케이블에 있어서,
    입사되는 태양광을 전달하는 복수의 광 전송용 광섬유;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광 집광장치로 집광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입사될 태양광을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 포커싱하는 복수의 제1 언덕형 광섬유; 및
    각 광 전송용 광섬유의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배치되어, 각 광 전송용 광섬유로부터 전달되는 태양광을 분산시켜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로 출력하는 복수의 제2 언덕형 광섬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언덕형 광섬유는,
    상기 제2 언덕형 광섬유의 피치 길이의 60% 내지 90% 범위의 길이에 피치 길이의 자연수 배를 더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KR1020210166647A 2021-11-29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67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47A KR102670466B1 (ko) 2021-11-29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47A KR102670466B1 (ko) 2021-11-29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46A true KR20230079646A (ko) 2023-06-07
KR102670466B1 KR102670466B1 (ko) 2024-05-29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9967B (zh) 用于太阳能系统的基于光纤的传输系统及其提供和使用方法
CN101809377B (zh) 用于光能的集中、聚集和照明的紧凑光学装置
CN103026496B (zh) 单片式光伏太阳能集中器
Kribus et al. Optical fibers and solar power generation
CN102313975B (zh) 聚光系统
CN103201657A (zh) 用于聚光和照明系统的小型光学器件
JP2019518236A (ja) 少なくとも1つの収集素子に対して一様でない入射方向を有する入射光を捕捉及び伝送するための光学機械システム並びに対応する方法
Tembhare et al. A review study on the multiple and useful application of fiber optic illumination system
Gao et al. Design of a planar solar illumination system to bring natural light into the building core
Aslian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n optical coupler for concentrated solar light using optical fibers in residential buildings
CN106195909B (zh) 利用自聚焦透镜组合的平行复合光导入光纤的装置
KR102670466B1 (ko)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505408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30079646A (ko) 언덕형 광섬유 및 광 케이블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WO2013058381A1 (ja) 集光装置、光発電装置及び光熱変換装置
JP2009122146A (ja) ビーム変換器及び受光デバイス
WO2012026572A1 (ja) 集光装置、光発電装置及び光熱変換装置
US20120262769A1 (en) Holographic solar coupler
Patil et al. Sun light transmission through silica optical fibers for lighting: An experimental study
TWI578024B (zh) 集光模組
Vu et al. Optical fiber daylighting system featuring alignment-free
WO2012033132A1 (ja) 集光装置、光発電装置及び光熱変換装置
WO2024079731A1 (en) Lightguide concentrating device
WO2012067082A1 (ja) 集光装置、光発電装置及び光熱変換装置
CN105703704A (zh) 一种用于cpv的锥形聚光器及其设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