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400A -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가전 기기 결합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가전 기기 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400A
KR20230079400A KR1020237014160A KR20237014160A KR20230079400A KR 20230079400 A KR20230079400 A KR 20230079400A KR 1020237014160 A KR1020237014160 A KR 1020237014160A KR 20237014160 A KR20237014160 A KR 20237014160A KR 20230079400 A KR20230079400 A KR 20230079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appliance
output
sensor
home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헨 그리밍거
필리프 클라인라인
필리프 쾨네
프랑크 셰퍼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7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방법은 가전 기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무선 결합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기능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컬 디바이스로서 가전 기기의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가전 기기 결합
본 발명은 가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가전 기기의 무선 결합에 관한 것이다.
가전 기기는 기기의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냉장 기기 상의 디스플레이는 내부 온도, 충전 정도, 현재 소비된 에너지 또는 동작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로컬로 장착된 입력 장치, 예를 들어 스위치 또는 노브에 의해 수행된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터치 감응식 스크린(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출력 장치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디스플레이는 가전 기기 제어를 넘어설 수 있는 부가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 레시피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부가 기능의 제공은, 주어진 예에서 요리 레시피 모음의 제공은, 구현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은 일반적으로 기능 레벨과 데이터 레벨에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가전 기기의 사용 가능 수명은 고전적으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통 플랫폼의 사용 가능 수명보다 몇 배를 초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전 기기는 기기의 유효 수명의 종료 훨씬 전에 더 이상 그 현재 형태로 부가 기능을 신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가전 기기에 강력한 처리 설비를 장착하는 것은 비용 집약적일 수 있고; 더욱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특정 요구 사항이 미래에 무엇인지는 일반적으로 알 수 없으며, 그 결과 처리 설비는 요구 양태에서 여전히 소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가전 기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합하기 위한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독립항의 주제에 의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종속항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방법은 가전 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 결합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기능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컬 기기로서 가전 기기의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센서는 센서 모듈로서 설계될 수 있고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출력 디바이스로서 어드레스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센서의 거동이 출력 기능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입력 디바이스와 출력 디바이스의 조합이 또한 로컬 기기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센서를 포함하는 것처럼, 가전 기기의 센서는 기능,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기능의 경우, 센서의 물리적 부착 위치는 무관하거나 비결정적일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센서는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는 예를 들어 판독 가능 및/또는 기입 가능한 디바이스 파일의 형태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 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센서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센서를 사용하는 기능을 가질 수 없다. 센서, 또는 센서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센서 값은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의 기능에 할당된다.
가전 기기의 기능은 주 기능 또는 보조 기능을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의 주 기능은 설거지를 포함하고; 보조 기능은 세척 시간 스케쥴링 또는 세제 재주문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능은 주 기능에 대해 항상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기능이 제공될 수 없는 경우, 주 기능이 일반적으로 계속 사용될 수 있다. 종종, 보조 기능은 가전 기기에 의해서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 세제의 조달은 또한 사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주 기능은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를 특징화하는데; 주 기능이 고장나면, 가전 기기는 일반적으로 더 이상 그 용도를 충족할 수 없고, 보조 기능은 더 이상 실행될 수 없거나 무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기능이 제공될 수 없으면 세척 시간을 스케쥴링하는 것은 무의미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예를 들어, 냉장고에 부착된 바코드 판독기는, 가정에서 음식의 재고를 관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센서는 가전 기기의 영역을 샘플링하고 센서 값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센서 값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기능에 제공된다. 이 영역은 가전 기기의 환경에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센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레이더 또는 라이다(LiDA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은 또한 가전 기기 내에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센서는 예를 들어 스위치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기능은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센서 값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센서는 가전 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센서는 정책이라고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어느 기능이 어느 가전 기기 또는 어느 센서에 액세스를 갖는지, 어느 사용자 하에서 센서에 액세스하는 기능이 실행될 것인지, 또는 어느 유형의 액세스가 센서에 허가될 것인지가 지정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간단한 조건문(if-then statement)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액세스 권한을 결정하는 규칙 세트가 저장될 수 있다.
기능으로의 센서의 제공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해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제1 변형예에서, 사용자는 액세스 권한에 대한 디폴트 설정을 저장할 수 있고; 제2 변형예에서, 사용자는 액세스 권한을 대화식으로 허가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이 센서에 액세스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의 확인이 얻어질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또한 중앙 지점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중앙 지점은 가전 기기 또는 바람직하게는 공동 가정에 포함되는 여러 가전 기기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의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가전 기기의 상호 작용을 제어하는 권한부여(authorizations)가 중앙 지점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일관성 체크 또는 가이드라인의 변경이 개선될 수 있다. 새로운 가전 기기가 이용 가능하게 되면, 그 능력은 기존의 가전 기기의 것들에 정합하도록 더 양호하게 적응될 수 있다.
방법은 기능에 의해 센서의 샘플링 기준 또는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가전 기기로의 파라미터의 전송을 요구할 수 있다. 제어는 센서가 사용되는 방식을 지정하거나 그 사용에 대한 경계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의 설정은 가이드라인에 의해 미리 결정된 조건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카메라인 경우,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색상, 밝기, 대비, 배향, 초점 거리, 조명, 반복률 또는 트리거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2 방법은 가전 기기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무선 결합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가전 기기로 수신된 메시지의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 및 가전 기기의 부분의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양태는 본 발명의 전술된 제1 양태에 반드시 의존할 필요는 없지만 그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명시적으로 요청되지("푸시 메시지") 않은 경우에도, 외부 지점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발신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예를 들어 SMS, 이메일, 와츠앱(WhatsApp) 메시지 또는 RSS 피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자체는 외부 지점에 보유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로 포워딩될 수 있다. 표시는 예를 들어, 메시지의 유형, 발신자가 누구인지, 얼마나 많은 메시지가 있는지 또는 메시지가 언제 발신되었는지를 명시할 수 있다. 메시지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초기에 가전 기기에 포워딩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들이 가전 기기를 사용하고 있거나 그 동안에 이들이 적어도 그 부근에 있는 작업(예를 들어, 요리)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는 메시지의 존재를 즉시 통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하는 동안, 어머니가 와츠앱 메시지를 발신하였다는 것을 간략하게 통지받을 수 있다.
전송은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전술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라인은 어느 메시지가 어느 가전 기기에서 어느 사용자에게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지정할 수 있다.
메시지는 또한 가전 기기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표시에 응답하여 메시지의 다운로드를 제어할 수 있고, 또는 메시지는 표시와 함께 가전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전 기기는 예를 들어 아마존 알렉사 에코(Amazon Alexa Echo)와 같은 스마트 스피커와 같은 음성 인터페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가전 기기에 전송되는 콘텐츠는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유형의 표시(예를 들어, SMS 또는 와츠앱), 특정 데이터 포맷(예를 들어, PDF 또는 MP3), 또는 미리 결정된 발신자로부터의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전 기기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콘텐츠를 실행하는 것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자원이 절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 정보는 애초에 가전 기기로 전송될 수 없다. 가전 기기의 주 기능은 개선된 방식으로 액세스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표시가 전송될 경우 가전 기기에 자동으로 결합된다. 결합은 또한 표시가 전송된 후 다시 자동으로 연결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센서;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설비; 및 처리 설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처리 설비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전 기기에 무선 결합하고, 센서에 의해 획득된 센서 값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설비; 및 처리 설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처리 설비는 센서를 갖는 가전 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 결합하고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 중인 기능에 로컬 기기로서 센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가전 기기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시스템의 특징은 가전 기기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무선 통신 설비; 출력 장치; 입력 장치; 및 처리 설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처리 설비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전 기기와 무선 결합하고, 출력 장치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공하고, 입력 장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가전 기기에서 제공될 수 있는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전 기기의 처리 설비보다 더 적합한 플랫폼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가전 기기는 단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는 "단순 단말기(dumb terminal)"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부가 기능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개선되고, 업데이트되거나 외부 데이터 세트와 동기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특히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의 성능 요구 사항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성능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비교적 쉽게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본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전 기기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전 기기는 기능의 사용성에 상당한 제한을 수용할 필요 없이 장시간 사용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사용자와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지원할 수 있어 사용자가 기능을 사용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가 직접 조작될 필요가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휴대하거나 충전 스테이션에 배치하고 가전 기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가전 기기가 식사를 조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기능이 요리 레시피의 제시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기능은 가전 기기의 사용과 관련될 수 있다. 기능이 달력을 포함하고 요리의 완성이 달력의 날짜와 조절되는 경우와 같이, 관계는 또한 간접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가전 기기가 냉장고를 포함하고 그 기능이 음악 재생을 수반하는 경우, 고전적인 기능적 연결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양 기능을 동일한 시간과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 기기는 부가 기능의 유형을 지정하지 않아, 모바일 디바이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기능이 가전 기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전화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음악 재생이 중단될 때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기능이 이벤트 구동 기초로 중단되거나 제2 기능으로 대체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입력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직접 작동을 위해 구성되고, 예를 들어 버튼, 스위치, 회전 노브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는 또한 간접 작동을 위해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예로서 음식 패키지로부터 바코드를 제시할 수 있는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고, 그 결과 바코드 판독기는 등록된 바코드에 따라 입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입력 장치는 제스처 인식 디바이스, 후각 센서(VOC: 휘발성 유기 화합물) 또는 가속도계를 포함한다.
출력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텍스트, 숫자, 영숫자 또는 그래픽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광학 출력 영역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출력 장치는 특히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 장치는 또한 사용자에게 다른 출력, 예를 들어 음향 또는 촉각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광학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 설비는 가전 기기의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장치를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가전 기기의 기능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이 병렬로 사용자에게 액세스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정보는 가전 기기의 동작 파라미터 또는 작동 상태와 관련될 수 있어, 가전 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에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제1 변형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은 서로 인접할 수 있고, 제2 변형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는 다른 하나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초과의 기능이 가전 기기 상에서 지원되는 경우, 대응 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이를 위해 출력 장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기능을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은 항상 가시화되고, 반면 출력 장치 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은 또한 크기가 축소되거나 숨겨지거나 감춰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3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는 데, 그 중 하나는 가전 기기의 정보가 할당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에 할당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기능에 할당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의 기능의 할당은 이벤트 기반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제1 조작 요소 및 제2 조작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처리 설비는 제1 조작 요소의 작동에 따라 가전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제2 조작 요소의 작동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전 기기의 직접 제어 가능성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의 제어기에 독립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특히, 가전 기기가 가열, 반죽, 초핑(chopping)과 같이 잠재적으로 위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의 사용은 가전 기기의 동작 또는 사용의 안전을 손상시킬 수 없다.
처리 설비는 또한 서로 독립적인 2개의 무선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하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에 할당되고 다른 하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입력에 할당된다. 데이터 연결은 공지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상이한 표준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은 미라캐스트(Miracast), 에어플레이(Airplay), 구글 캐스트(Google Cast),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VLC 또는 무선 디스플레이(WiDi)에 의해 전송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입력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입력 장치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가전 기기를 결합함으로써 전송될 수 있다. 상이한 기술이 예를 들어, WLAN,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또는 적외선 전송과 같은 상이한 데이터 연결을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연결 중 하나는 홈 커넥트(Home Connect)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이는 또한 다수의 가전 기기를 함께 네트워크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처리 설비는 가전 기기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제1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만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휴대한 사용자가 가전 기기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절차를 확인하거나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 개입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확인은 가전 기기의 단지 일부에서만 요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확인이 요구될 수 있지만, 그 동안에 재확인이 재결합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적용될 수 있다. 자동 결합으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의 인터페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을 제공하는 다수의 가전 기기를 갖는 가정 내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를 따라갈 수 있다.
처리 설비는 가전 기기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거리가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기존 결합을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은 미리 결정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로 거리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전 기기로부터 제1 임계값에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경우 결합 및 결합의 종료가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결합은 예를 들어 계층 1 내지 7 중 하나 이상에서 ISO/OSI 모델에서 데이터 연결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고,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은 각각의 경우에 설정된 데이터 연결을 요구하는 출력의 디스플레이 또는 입력의 전송에만 관련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2 임계값에 의해 지정된 것보다 가전 기기로부터 더 멀리 이격하여 이동되더라도 가전 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 설정된 데이터 연결이 유지될 수 있지만,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억제하거나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로 포워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처리 설비는 더욱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전 기기와 무선 결합하고, 출력 장치에 의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공하고, 입력 장치에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상이한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는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전 기기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양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의 동시 사용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처리 설비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출력 장치에 할당하도록 그리고/또는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할당은 규칙에 기초할 수 있다. 규칙은 예를 들어, 가전 기기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거리와 같은 이벤트를 고려할 수 있다. 할당 또는 규칙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이한 사용자는 상이한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수의 기능은 가전 기기를 통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기능만이 각각의 경우에 제어될 수 있고, 이 기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여러 가능한 기능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 기술의 관점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영향이 가전 기기에 의해 미칠 수 없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고, 가전 기기의 처리 설비는 각각의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할당된 가전 기기의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가장 가까운 가전 기기로부터의 입력만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휴대하고 사용자에 가장 가까운 각각의 가전 기기로부터 그 위에서 실행 중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기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정 내에서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로 사용자를 따라갈 수 있다. 가전 기기가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결합을 지원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동시에 이동할 수 있고, 가전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각 할당된 기능을 편리하고 우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어느 가전 기기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가장 가까운지를 결정하기 위해, 가전 기기는 데이터 기술의 관점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또는 유선 변형예가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또한 라우터 또는 서버와 같은 중앙 구성요소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가전 기기는 홈 커넥트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 기기는 각각의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결정된 거리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하나의 가전 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제어를 포기하기를 원할 때 다른 가전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른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고, 가전 기기의 처리 설비는 각각의 경우에 할당된 출력 장치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출력은 가정 또는 가정의 방의 모든 가전 기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그 거리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모든 가전 기기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3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가전 기기의 무선 결합을 설정하는 단계; 가전 기기의 입력 장치에 입력을 등록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등록하고 가전 기기의 출력 장치에 의해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전 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입력 및/또는 출력의 무선 결합 및 전송의 설정 및/또는 종료는, 예를 들어 가전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갖는 시스템에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인자에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설비; 출력 장치; 및 처리 설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처리 설비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전 기기와 무선 결합하고 미리 결정된 규칙 세트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출력 장치 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규칙 세트에 기초하여, 어느 출력이 출력 장치 상에 나타나야 하는지 및 어느 출력이 나타나지 않아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권한부여되지 않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가전 기기의 오용이 따라서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수신된 콘텐츠에 의한 출력 장치의 과잉 충만(overfilling)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의 미리 결정된 부분은 가전 기기의 기능의 제어기에 할당된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남겨둘 수 있다. 출력 장치가 터치 감응식 스크린(터치스크린)이면, 기능의 조작성이 동시에 보장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사용자에 의한 수신된 출력의 제공에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가 항상 사용자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규칙 세트를 변경하기 위해 제어 가능성이 사용될 수 있다.
처리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지점으로부터 규칙 세트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지점은 특히 예를 들어 클라우드에서 실현될 수 있는 중앙 서버 또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지점은 손상된 규칙 세트의 다운로드가 방지할 수 있도록 암호화 방법에 의해 인증될 수 있다. 처리 설비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의 우선순위는 규칙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임의의 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전 기기와 결합될 수 있다. 광학 출력 장치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공간은 제한되어 있고, 그 결과 출력을 우선순위화함으로써 출력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크게 디스플레이되고, 반면 다른 출력은 가능하게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디스플레이되거나 전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화된 출력이 프로비저닝(provisioning)을 위해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이 제공된다. 달리 말하면, 최고 우선순위를 갖는 출력만이 언제나 제공될 수 있다. 더 낮은 우선순위화된 출력은 자체로 높게 우선순위화될 때까지 디스플레이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출력은 사용자로부터의 확인에 의해 출력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더 낮은 우선순위화된 출력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은 더 높은 우선순위화된 출력에 의해 오버레이된다. 특히, 오버레이는 그래픽일 수 있다. 더 높은 우선순위화된 출력은 예를 들어, 중첩된 윈도우, 모달 다이얼로그(modal dialog) 또는 전경의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규칙 세트는 미리 결정된 구문(statements)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고, 각각의 구문은 리스트의 형태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칙 세트는 그 출력이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없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구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문은 또한 네거티브 리스트(negative list) 또는 블랙리스트(blacklist)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은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와 결합이 설정될 때 결정되고 정보가 전송될 때 반복될 수 있다. 제1 구문에 의해, 예를 들어, 악성으로서 분류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출력 장치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규칙 세트는 그 출력이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2 구문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의 형태에서, 제2 구문은 또한 포지티브 리스트(positive list) 또는 화이트리스트(whitelist)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규칙 세트는 그 출력이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되도록 허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의 제3 구문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3 구문은 기능에 대한 포지티브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한 네거티브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규칙 세트는 출력 장치에 제공되도록 허용되는 콘텐츠의 제4 구문을 포함할 수 있다. 허용된 콘텐츠는 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그래픽과 관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있는 크기, 해상도, 색심도(color depth) 또는 콘텐츠가 결정될 수 있다. 리스트의 형태에서, 제4 구문은 콘텐츠의 포지티브 리스트와 관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없는 콘텐츠의 네거티브 리스트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구문 또는 리스트가 규칙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 경우, 구문은 미리 결정된 순서로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컴퓨터 네트워크를 위한 방화벽의 방식으로 구문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수신된 출력에 적용 가능한 구문은 선택적으로 추가 구문을 체크하지 않고 즉시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포지티브 구문은 출력 장치로의 출력의 즉각적인 제공을 야기할 수 있고, 반면 적용 가능한 네거티브 구문은 출력의 즉각적인 거부로 이어질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이 어떻게 가전 기기로 전송되어 가전 기기에서 제공되는지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가전 기기에서의 입력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전 기기에서 등록된 입력은 또한 규칙 세트에 의해 검증이 실시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처리 설비는 규칙 세트에 기초하여 입력 장치에서의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규칙 세트가 입력 및 출력에 할당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규칙 세트가 입력 및 출력에 대해 정의된다. 거부된 입력 또는 출력은 폐기될 수 있거나, 또는 관련 기능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정보의 전송이 중단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무선 연결 또는 결합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경우 입력을 기록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휴대한 사람이 가전 기기의 범위 내로 이동하면 연결이 중단되거나 단절될 수 있다. 일시적인 중단은 가전 기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그 위에서 각각 실행 중인 기능에 대해 투명할 수 있다. 무선 연결은 이어서 미리 결정된 기간 초과 동안 중단되거나 단절된 경우에만 종료될 수 있다. 이어서, 예를 들어, 가전 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에 의해 점유된 출력 장치 상의 공간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가전 기기 및 서로 무선 결합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가전 기기에서의 입력은 결합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처리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은 가전 기기로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출력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단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는 "비지능형 단말기(단순 단말기)"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기능의 실행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부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가전 기기는 이미 작은 처리 용량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어 출력을 생성하고, 제2 구성요소가 가전 기기 상에서 실행되어 출력 장치에 출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가전 기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구성요소 또는 제2 구성요소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시적으로 중단된 무선 결합을 복원하도록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와 가전 기기는 단지 단기 중단 또는 단절을 통보받도록 가전 기기의 부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부분에서 판독 또는 기입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일시적인 단절의 존재시에도 투명하게 무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무선 결합된 가전 기기의 출력 장치 상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4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수신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규칙 세트를 참조하여, 출력이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체크 결과에 따라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무선 결합된 가전 기기의 입력 장치에서의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제5 방법은 입력 장치에서 입력을 등록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규칙 세트를 참조하여, 입력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체크 결과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및/또는 제5 방법은 각각의 경우에 가전 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전 기기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설비; 출력 장치; 모바일 디바이스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설비;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전 기기와 무선 결합하고 출력 장치 상의 결정된 거리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설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휴대하고 가전 기기의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가전 기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은 출력의 인식이 가전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거리에 적응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을 더 양호하게 등록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그에 더 양호하게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이 가전 기기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면, 사용자는 따라서 기능을 더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설비는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또는 라이다 센서와 같은 전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설비는 통신 설비와 통합된 방식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가전 기기 사이의 거리는 공통 통신 설비가 이미 결정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 또는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의 경우, 이러한 정보가 구체적으로 발생하거나 결정될 수 있다.
통신 설비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 또는 간섭으로부터 자유도에 기초하여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의 강도는 또한 RSS("수신 신호 강도")라고도 지칭되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알면 거리의 결정을 허용할 수 있다. 간섭으로부터의 자유도는 신호 대 노이즈비(SNR)로서 명시될 수 있다. 가전 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정보의 전송 오류율이 또한 간섭으로부터의 자유도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의 거리는 비콘(beacon)으로서 알려진 기술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디바이스 중 하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메시지는 전송된 신호의 강도, 송신기의 위치, 송신기의 식별, 또는 추가 구문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최대 대략 20 미터를 포함할 수 있는 범위에서 거리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리가 짧을수록, 결정이 더 정확할 수 있다. 수신기는 비콘까지의 거리와 관련하여 그 위치를 더 양호하게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위치의 정확도는 대략 1 미터 미만일 수 있다.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설비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의 크기, 상세의 레벨 또는 색상 선택은 거리에 따라 제어된다. 이 경우, 제공되는 출력은 예를 들어, 개별 정보 항목의 디스플레이 크기, 배향 또는 배열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설비의 능력에 적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설비가 너무 작아서 미리 결정된 정보를 원하는 크기로 완전히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 정보는 티커(ticker) 스타일로 또는 미리 결정된 순서로 차례로 제공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제어 가능한 음원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의 볼륨은 거리에 따라 제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를 갖는 방에서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오디오 스트림은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항상 동일한 볼륨인 것으로 인지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전 기기에 무선 결합하기 위한 통신 설비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전 기기에 제공될 출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전 기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라인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어느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결정된 가전 기기 또는 가전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에 할당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 기기의 부분의 미리 결정된 통신 파트너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이 더 쉽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에 할당된 기능은 가전 기기가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으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자동으로 시작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어느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지를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라인은 복수의 가전 기기 중 미리 결정된 하나에만 결합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은 단지 한 번에 가장 가까운 가전 기기, 달리 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최단 거리에 있는 가전 기기와만 발생할 수 있다. 이 결정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가정에 할당된 가전 기기의 미리 결정된 그룹 상에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중앙 지점으로부터 가이드라인을 얻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설비를 사용할 수 있다. 중앙 지점은 사용자 또는 가정에 할당된 가전 기기의 양태를 제어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전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거리의 표시를 결정하고; 가전 기기에 거리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이용 가능한 기술을 쉽게 사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부분에서 거리를 결정하는 것으로 인해 가능하다. 특히, 가전 기기 또는 제어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그 거리를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비콘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가전 기기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경우,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중앙 지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가전 기기에 그 위치를 결정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가전 기기는 그 위치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위성 기반 무선 항법 시스템 또는 관성 플랫폼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센서에 기초하여 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는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그 중 하나가 가전 기기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비콘까지의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6 방법은 가전 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 가전 기기를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결합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결정된 거리에 따라 가전 기기에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거리는 가전 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송되는 무선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히, 통신 신호는 WLAN 또는 블루투스(BT 또는 BTLE)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는 거리의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일반적으로 서로 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방법의 일부를 다른 방법의 일부와 병합하여 하나의 방법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여러 방법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일 수 있고, 특히 프로그램 가능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하거나 이와 같이 설계된 처리 설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처리 설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가전 기기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방법의 분산 처리가 상이한 디바이스, 특히 가전 기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배열될 수 있는 상이한 처리 설비 상에서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가전 기기 또는 시스템은 마찬가지로 서로 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 장치, 가전 기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또는 다양한 양태에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장점 또는 특징은 주제 사이에 전달되거나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청구항 카테고리(방법, 장치, 가전 기기,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등)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하나의 청구항 카테고리의 모든 특징은 모든 다른 청구항 카테고리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장치는 설명된 방법 단계를 구현하기 위해 대응 수단을 갖는다. 청구항 카테고리 내에서도, 특징들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추가적인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가전 기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갖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가전 기기 상의 출력의 예시적인 표현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가전 기기 사이의 예시적인 통신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3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4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5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6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105), 모바일 디바이스(110) 및 선택적인 중앙 지점(112)을 갖는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예시적인 가전 기기(105)는 예로서 오븐으로서 예시되어 있고, 제2 가전 기기는 냉장고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스토브, 환기 후드 또는 교반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기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가전 기기(105)는 가정의 주방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주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5)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공동 가정 또는 주방과 같은 공동 룸에서 서로 가깝게 위치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피트니스 워치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휴대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사용자(115)에게 할당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아마존 에코닷 또는 쇼(Amazon Echo Dot or Show) 유형 디바이스와 같은 스마트 스피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할당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기능이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기능은 요리 레시피 모음 관리, 다른 원격 사용자와의 음향 또는 텍스트 통신, 또는 음악의 출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기능은 모바일 디바이스(110) 상의 로컬 출력 장치에 의해, 특히 시각적, 음향적 또는 촉각적 형태로 사용자(115)에게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기능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로컬 입력 장치에서의 사용자(115)의 입력,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공되는 입력을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또한 위치, 가속도 또는 주변 밝기와 같은, 사용자(115)에 의해 간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추가 입력 또는 환경 파라미터를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특히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또한 중앙 지점(112)과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어, WLAN 또는 모바일 통신, 예를 들어 4G 또는 5G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바람직하게는 로컬 기기,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5)에 대한 무선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설비(120)를 포함한다.
가전 기기(105)는 바람직하게는 가전 기기(105)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12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25)는 다수의 가전 기기(10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장치(125)는 또한 독립형일 수 있고 가전 기기(105)의 부분으로서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125)와 할당된 가전 기기(105) 사이의 통신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홈 커넥트로서 알려진 기술에 의해 무선이다. 다수의 제어 장치(125)가 또한 가정에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10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125)는 마찬가지로 데이터 기술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장치(125)는 처리 설비(130), 입력 장치(135), 출력 장치(140), 및 무선 통신 설비(145)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입력 장치(135) 및 출력 장치(140)는 터치 감응식 스크린으로서 서로 통합되도록 설계된다. 사용자(115)의 입력은 입력 장치(135)의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고, 입력의 시각적 표시는 출력 장치(140) 상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입력이 콘텍스트 감응(context-sensitive)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25)는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105) 또는 그 환경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되는 센서(14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센서(135)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스위치, 전류 또는 전압 센서, 밝기 센서, 카메라 또는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한다. 센서(142)에 의해 획득된 센서 값은 가전 기기(105)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값은 가전 기기(105)에 대한 동작 상태, 내부 상태, 내부 또는 외부 파라미터, 또는 입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42)는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센서 모듈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주파수 또는 측정 정확도가 조정 가능할 수 있거나, 센서 모듈에서 결정된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측정이 취해질 수 있다. 센서 모듈은 미처리된("날것") 또는 처리된("요리된") 샘플링된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적절한 처리는 예를 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화, 특성 곡선의 선형화, 또는 하나로의 다수의 파라미터의 맵핑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5)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무선 결합을 수행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어서, 가전 기기(105)의 입력 장치(135)에 대한 사용자(115)의 입력이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입력은 기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응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 상에서 실행 중인 기능의 출력은 가전 기기(105)로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출력은 출력 장치(140)에 의해 사용자(115)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입력 장치(135) 또는 센서(142) 또는 대응 센서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위한 로컬 입력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출력 장치(1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위한 로컬 출력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5)의 다수의 간단 또는 조합 설비(135, 140, 142)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조합된 입력/출력 디바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및 출력은 단일 데이터 연결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연결(150)은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데이터 연결(155)은 출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연결(150, 155)은 서로 독립적이고 상이한 프로토콜 또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거나 단지 하나의 양방향 연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연결(150)을 통해, 제어 장치(125)는 사용자(115)의 입력을 등록하고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 또는 블루투스가 데이터 연결(150)을 위한 기본 프로토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연결(155)을 통해, 제어 장치(125)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UI 스트리밍 서버로서, 달리 말하면 사용자(115)에게 유도될 수 있는 출력 데이터의 스트림을 수용하는 디바이스로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라캐스트 또는 에어플레이가 기본 프로토콜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이어서 WLAN 또는 블루투스에 의존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5)와 모바일 디바이스(110) 사이의 거리는 데이터 연결(150, 155) 중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히, 통신 설비(145)는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거리 및 선택적으로 또한 방향을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신호 강도, 신호 대 노이즈비 또는 오류율이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안테나가 이용 가능하면, 대응 파라미터가 거리 결정을 위해 콘텍스트화될 수 있다. 거리는 제어 장치(120)의 부분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서 결정된 거리가 가전 기기(105)에 전송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또한 예를 들어, 위성 기반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수신기, 관성 시스템의 결정 및/또는 가전 기기(105) 중 하나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그 지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전 기기(105)는 무선 신호에 의해 자신의 위치를 제공하는 비콘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이 기술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TLE)에 기초하여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위치는 이어서 무선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가전 기기(105)까지의 거리 및 전송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결정된 위치는 가전 기기(115)로 전송될 수 있고, 가전 기기는 이어서 가전 기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10)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처리 설비(130)는 출력 장치(140)의 특성과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수신된 출력의 요구 사항을 서로 적응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140)의 배향(포트레이트 또는 랜드스케이프), 색상 능력, 그래픽 해상도, 또는 이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대한 특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이들 사양을 따르지 않는 출력을 제공하는 경우, 처리 설비(130)는 이에 따라 출력을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크기 또는 해상도가 서로 변환될 수 있거나, 또는 색상 팔레트가 축소되거나 상이하게 할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출력 장치(140) 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기능을 위해 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이 투명할 수 있거나 출력 장치(140)의 변경된 특성이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보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25)의 처리 설비(130)에 연결된 저장 설비(160)가 제공된다. 저장 설비(160)는 바람직하게는 임시 저장 장치(캐시)로서 동작하고 데이터 연결(150)의 장애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될 수 없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입력 장치(135)에 등록된 입력은 필요한 경우, 데이터 연결(150)이 재설정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중단된 데이터 연결(155)로 인해 가전 기기(105)로 전송될 수 없는 출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대응 저장 설비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연결(155)이 재설정될 때까지 전달 불가능할 수 있는 출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대응 임시 저장 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5)는 제1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제2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서로 입력 및/또는 출력을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구성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데이터 연결(150, 155)을 통해 전송을 제공하는 가전 기기(1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10) 각각의 기본 기능에 기초하여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5, 110)가 최대 브리지 가능 범위 밖에 있기 때문에, 안테나가 서로에 대해 부적절하게 배향되기 때문에, 또는 사람(115)과 같은 객체가 안테나의 프레넬 구역에 위치되기 때문에, 데이터 연결(150, 155) 중 하나가 일시적으로 연결 해제되는 경우, 가전 기기(105)의 부분에서 전송될 정보는 저장 설비(160) 및/또는 대응 저장 설비의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연결(150, 155)이 미리 결정된 시간, 예를 들어 대략 10초, 대략 5초 또는 대략 2초 이내에 다시 이용 가능해지면, 저장된 콘텐츠가 전송될 수 있고 저장 설비가 비워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중단되거나 단절된 데이터 연결(150, 155)을 통지받을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부분에서 제공되는 음향 정보의 연속 출력은 가전 기기(105)의 부분에서 보장될 수 있다. 데이터 연결(150, 155)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더 오랫동안 중단되거나 단절되는 경우, 양 데이터 연결(150, 155) 또는 단지 영향을 받은 데이터 연결(150, 155)만이 종료될 수 있다. 데이터 연결(150, 155)을 재설정하는 것은 디바이스(105, 110) 중 하나의 새로운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가전 기기(105)의 출력 장치(140)에 대한 출력은 모바일 디바이스까지의 결정된 거리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115)가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가지고 출력 중인 가전 기기(105)로부터 이격하여 이동하면 음향 데이터 스트림이 증가된 볼륨으로 출력될 수 있다. 시각적 디스플레이는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중앙 지점(112)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가전 기기(105)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1 가능한 기능은 가전 기기(105) 또는 그 위에서 실행 중인 기능의 모바일 디바이스(110) 상에서 실행 중인 기능으로의 할당이다. 달리 말하면, 미리 결정된 가전 기기(105)와 통신이 발생하자마자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앱")이 모바일 디바이스(110) 상에서 런칭될 수 있다. 이것이 어느 애플리케이션인지는 적용 가능한 경우, 가이드라인 뿐만 아니라 경계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 조건은 가전 기기(105)의 기능 상태 또는 능력과 관련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115)의 개인적인 선호도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가전 기기(105)가 동일한 가정에 추가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사용자(115)가 가정에 합류되었기 때문에, 또는 제어 장치(125)가 업데이트되었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이 중앙 지점(112)에 의해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25)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교체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의 제2 가능한 기능은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결합하는 다수의 가전 기기(10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따라서 제1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최단 거리에 있는 가전 기기(105)와만 통신하도록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애플리케이션은 음향 출력 장치(140)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110)와 통신하는 것에 한정될 수 있다. 다른 사양 또는 조합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가이드라인은 또한 어느 출력이 다른 출력보다 우선순위를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기능이 결합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활성인 경우, 어느 출력이 다른 출력보다 우선순위를 갖는지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개별 메시지 또는 정보는 또한 상이하게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 시간의 종료의 통지가 비디오 스트림의 출력보다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별은 또한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가전 기기(105)에 결합되거나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우선순위는 또한 개별 모바일 디바이스(110) 또는 각각의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사용자(115) 사이에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가전 기기(105)용 제어 장치(125)의 출력 장치(140)에서의 출력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205)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10)이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제1 디스플레이 영역(205)은 가전 기기(105)의 제어기에 할당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결합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예시적인 기능의 제어기에 할당된다. 기능은 요리 레시피의 순수 예시적인 표현이라고 가정된다. 예시적인 가전 기기(105)는 또한 오븐인 것으로 가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초과의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이 지원될 수 있다.
도 2a는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이 출력 장치(140) 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05)에는, 온도(200℃), 동작 모드(순환 공기)의 기호 및 현재 시각(12:02)이 예로서 디스플레이된다. 더욱이, 현재 상태에서 온도 올림 또는 내림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요소(215)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10)에는, 요리 레시피에 의해 조리될 음식의 그래픽 표현(220) 및 지시사항 또는 재료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텍스트 영역(225)이 예시된다.
도 2b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10)이 초기에 출력 장치(140)의 전체 영역을 점유하지만, 부분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205)에 의해 오버레이되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 결과, 동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상이한 공간 조건이 제공된다. 본 경우에, 기능의 출력은 확대되고 도 2a의 실시예에 대해서와는 상이하게 배열된다. 부가의 공간이 추가 텍스트 영역(225) 또는 예를 들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기능을 위한 부가의 조작 요소(215)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5)의 제어기의 출력은 도 2a의 실시예에 대해 감소되고 크기가 축소된다. 조작 요소(215)와 시간은 여기서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고, 온도와 동작 모드는 더 작게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0) - 또는 각각의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사용자(115) - 는 각각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에 할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은 인덱스 카드 탭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 중 단지 하나만이 한 번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추가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의 존재는 디스플레이되는 인덱스 카드 탭 상에서 명백할 수 있다. 추가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그에 할당된 콘텐츠가 출력 장치(140)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대응 인덱스 카드 탭이 선택될 수 있다.
어떤 상황 하에서 출력 장치(140)의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 상에서 기능의 출력이 발생하는지,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이 얼마나 큰지 또는 어떻게 위치되는지, 또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이 출력 장치(140) 상에 어떻게 배열되는지가 정책이라고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규칙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15), 기능, 모바일 디바이스(110)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205, 210) 사이에 우선순위가 형성될 수 있다. 언급된 파라미터는 마찬가지로 규칙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제공될 수 있고, 그 결과 예를 들어 그 우선순위가 제2 기능의 것보다 더 높지만 그 할당된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제2 기능에 할당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10)보다 더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 제1 기능이 그 결과 제2 기능보다 먼저 출력 장치(140)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우선순위는 또한 이벤트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출력이 변경되는 기능의 우선순위는 그 출력이 변경되지 않는 기능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그 출력이 변경될 때 기능의 우선순위가 일시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우선순위 및 규칙은 가전 기기(105)의 제어 가능성이 항상 보장되고 의심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10) 기능의 제어 가능성보다 우선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가전 기기(105) 사이의 통신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예시된 통신은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가전 기기(105)로의 출력의 전송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가전 기기(105)에서의 입력이 또한 대응 방식으로 핸들링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소프트웨어 구성요소(305)는 출력을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제공된다. 출력은 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305)는 예를 들어 ISO-OSI 모델에서 제안된 것과 같은, 통신의 계층 추상화(layered abstraction)를 사용한다. 제1 소프트웨어 구성요소(305)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 제공되고 출력 장치(140)에 출력을 제시할 수 있는 제2 소프트웨어 구성요소(310)에 출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출력의 전송은 구성요소(305, 310) 사이에서 직접 발생하지 않고; 대신에, 제1 소프트웨어 구성요소(305)는 하위 제1 전송 계층(315)으로 출력을 전달하고, 이는 출력을 가전 기기(105)의 부분의 제2 전송 계층(320)으로 전송한다. 전송 계층(315, 320)은 예를 들어, 유동 제어, 확인 또는 오류의 이벤트시 재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송 계층(315, 320) 사이에도, 직접 통신은 추상적인 의미에서만 발생한다. 실제로, 제1 전송 계층(315)은 데이터 연결(155)을 통해 가전 기기(105)의 부분 상의 제2 물리 계층(330)으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제1 물리 계층(325)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전달한다. 물리 계층(325, 330)은 예를 들어, 전력 또는 주파수와 같은 물리 신호로의 비트의 변환을 변환할 수 있다.
3개의 계층(305, 315, 325 또는 310, 320, 330)이 예시적인 방식으로 본 경우에 설명되지만, 원하는 바에 따라 더 많거나 더 적은 계층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5)의 부분에서, 데이터 연결(155)을 통해 수신된 출력이 출력 장치(140)에서 출력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방화벽의 제어 리스트 방식으로 사용되는 규칙 세트(335)가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예로서, 규칙 세트(335)는 전송 계층(320)에서 적용된다. 이 계층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 제1 소프트웨어 구성요소(305),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연관된 사용자, 또는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메타 정보가 규칙 세트(335)에 대해 분석되도록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가전 기기(105)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방법(400)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방법(400)은 가전 기기(1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단계 405에서, 가이드라인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사용자(115)로부터의 입력을 등록하거나, 중앙 지점(112)으로부터 가이드라인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가전 기기(105)는 예를 들어, 데이터 연결(150, 155)을 설정함으로써 서로 통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단계 415에서, 어느 센서(142)가 가전 기기(105)의 부분에서 활성화를 위해 이용 가능한지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결정은 각각의 센서(142)를 임의로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결과와 함께 가이드라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가전 기기(105)에서 활성화되는 센서(142)의 센서 값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상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가상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10) 상에 로컬로 존재하는 실제 디바이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실행 중인 기능 또는 앱에 대해 거동할 수 있다. 단계 425에서, 가상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하나 이상의 기능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또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행해질 수 있고, 그 결과 모든 기능이 센서(142)에 대한 모든 액세스 권한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단계 430에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 435에서, 센서(142)가 구성될 수 있고, 센서(142)의 센서 값이 데이터 연결(150)을 통해 수신되고, 가이드라인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변환, 필터링 또는 소거되고, 기능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가전 기기(105)를 제어하기 위한 제2 방법(500)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할당되는 단계가 좌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고, 가전 기기(105)에 할당되는 단계는 우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방법(500)의 시작시에,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가전 기기(105)로의 데이터 연결(155)이 이미 존재하고, 특히 2개의 디바이스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결합은 필요한 경우 방법(500)의 임의의 지점에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방법(500)은 특히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방법(400)과 조합될 수 있다.
단계 50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지는 단지 외부 지점(112)에서 이용 가능한 메시지에 응답하여 수신된다. 단계 510에서, 메시지의 표시 또는 통지가 생성되어 가전 기기(105)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515에서, 가전 기기(105)는 표시를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출력 장치(140)에 의해 사용자(115)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의 출력 또는 제시는, 미리 결정되고, 외부 지점(112)으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사용자(115)에 의해 적응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에 대해 가전 기기(10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방법(500)의 계속에서, 사용자(115)의 입력은 가전 기기(105)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되었던 메시지를 사용자가 수신하기를 원할 것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 520에서 등록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가전 기기(105)는 단계 52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메시지를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단계 530에서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535에서 가전 기기(105)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메시지에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메시지는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폐기, 적응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메시지는 예를 들어, 출력 장치(140)에 의해, 가전 기기(105)에 의해 사용자(115)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 이전에, 가전 기기(105)는 마찬가지로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과 관련하여 메시지에 체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가전 기기(105)를 제어하기 위한 제3 방법(600)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 60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5)는 가전 기기(105) 주위의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등록될 수 있거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영역은 사용되는 통신 기술의 범위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 단계는 가전 기기(105)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150)을 통해 가전 기기(105) 또는 제어 장치(125)를 입력 장치로 결합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기능에 대한 입력을 위한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기능의 출력을 위한 연결은 예를 들어, UI 스트리밍 서버로서의 제어 장치(125)를 WLAN 연결(155)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결합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연결(150, 155)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원격 출력 및 입력에 대해 이미 정립된 표준을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장된 시간 기간 동안 실질적으로 변경되거나 비호환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공개적으로 문서화된 표준이 사용된다. 이 시간은 예를 들어 대략 10 내지 30년과 같은, 가전 기기의 예상 사용 가능 수명을 커버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전 기기(105)가 오류 없이 미리 결정된 버전으로 선택된 표준을 구현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존재한다. 테스트 준수가 증명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연결(150, 155)은 서로 분리되고 독립적일 수 있거나, 하나의 데이터 연결(150, 155)이 입력을 위해 뿐만 아니라 출력을 위해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가전 기기(105)와 모바일 디바이스(110) 사이의 거리는, 특히 데이터 연결(150, 155) 중 하나의 전송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625에서, 기능에 대한 입력 및/또는 출력이 가전 기기(105)에 제공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확인이 요청될 수 있다. 결정된 거리가 리다이렉션(redirection)이 발생해야 하는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리다이렉션이 현재 사용자(115)에 이용 가능할 수 없는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115)의 입력 또는 출력이 현재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고 또한 결정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5)의 기기 상태가 설비(135, 140)에 의해 가전 기기의 직접적이고 배타적인 동작을 요구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과잉 온도 또는 다른 방식의 임박한 위험이 검출되었기 때문에, 리다이렉션이 또한 이용 불가능할 수 있다. 리다이렉션이 발생하면, 방법(600)이 따라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입력이 가전 기기(105)에서 등록될 수 있다. 단계 635에서,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가전 기기(105)에 결합될 수 있는 경우, 입력에 할당된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다수의 기능이 가전 기기(105)의 입력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할당된 기능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645에서, 기능의 결정된 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단계 6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기능의 출력이 등록될 수 있다. 단계 655에서, 기능에 할당된 출력 장치(140)의 출력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어떠한 출력 영역도 현재 기능에 할당되지 않은 경우, 기존 출력 영역이 재할당될 수 있거나 새로운 출력 영역이 기능에 대해 설계될 수 있다. 단계 660에서, 기능의 출력이 할당된 출력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가전 기기(105)가 무선 데이터 연결(155)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가전 기기(105)를 제어하기 위한 제4 방법(700)을 도시하고 있다.
단계 70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출력이 수신될 수 있다. 출력은 일반적으로 결합의 부재시에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유도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의 도움으로, 가전 기기(105) 또는 가전 기기가 포함하는 제어 장치(125)는 원격 출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가전 기기(105)와 모바일 디바이스(110) 사이의 결합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는 데이터 연결(150, 155)이 사용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105)와 모바일 디바이스(110) 사이의 미리 결정된 거리가 초과되면 결합은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가 제2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만 결합이 발생한다. 제2 임계값은 제1 임계값 미만일 수 있고, 그 결과 결합이 설정되고 미리 결정된 히스테리시스로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깜박임 설정 및 결합의 종료가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히스테리시스는 하나의 가전 기기(105)로부터 다른 가전 기기(105)로 결합을 전달하기 위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전 기기(105)와의 결합이 수행되기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통과해야 하는 체크포인트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다른 체크포인트를 통과할 때, 할당된 가전 기기(105)와의 기존 결합이 종료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규칙 세트(335)가 수신된 출력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출력의 콘텐츠, 출력의 포맷 또는 출력을 전송할 때 마주치는 메타 정보가 출력이 출력 장치(140) 상에 제공될 수 있게 할 수 있거나 제공될 수 있게 할 수 없다.
출력이 출력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이는 단계 715에서 폐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데이터 연결(155)은 중단되거나 종료될 수 있다. 출력에 대응하는 입력이 또한 폐기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710에서 출력이 출력 장치(140) 상에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면, 출력은 단계 7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결합된 가전 기기(105) 상에서 마찬가지로 실행될 수 있는 제5 방법(800)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제5 방법(800)은 설명된 임의의 다른 방법과 병렬로 또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단계 805에서, 입력이 가전 기기(105)의 입력 장치(135)에서 등록될 수 있다. 단계 810에서, 규칙 세트(335)가 등록된 입력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입력의 콘텐츠와 콘텍스트가 검증될 수 있다. 특히, 입력은 모바일 디바이스(110), 소프트웨어 구성요소(205),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련될 수 있다.
규칙 세트(335)에 기초하여 그 임의의 양태로 인해 입력이 수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입력은 따라서 단계 815에서 폐기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방법 중 하나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대응 출력이 마찬가지로 폐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10)로의 데이터 연결(155)은 종료되거나 중단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810에서 입력이 수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되면, 이는 단계 8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제6 방법(900)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방법(900)은 상이한 구성요소, 특히 가전 기기(1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10)에서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할당되는 예시적인 단계가 좌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105)에 할당되는 단계는 우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905에서, 가전 기기(105)는 단계 910에서 가전 기기(9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무선 신호, 특히 전자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들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가 수신하는 신호를 가전 기기(105)가 전송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역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송 디바이스(105, 110)는 수신 디바이스(105, 110)가 송신기까지의 그 거리를 더 양호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비콘의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거리의 결정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10)와 가전 기기(105) 사이의 물리적 전송 또는 비트 전송의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단계 91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가전 기기(105)를 식별하고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그와 통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미리 결정되거나 외부 지점(112)으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통신이 발생해야 하면,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어느 기능 또는 앱이 현재 가전 기기(105)와의 통신을 위해 의도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정된 기능 또는 앱은 수신되는 정보를 시작하거나 통지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서 가전 기기(105)와의 결합이 수행되고, 이는 대응 단계 925에서 결합을 수행한다. 결합은 전송 파라미터의 교환, 인증 또는 통신 파트너의 증명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후에,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양방향으로 쉽게 교환될 수 있다.
단계 9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가전 기기(105)까지의 그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이 결정은 RSS 또는 SNR과 같은 통신의 기초를 형성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또한 그 지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신의 파라미터로 폴백(fall back)하거나 폴백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935에서, 결정된 거리 및/또는 결정된 위치는 가전 기기(105)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940에서, 가전 기기(105)는 모바일 디바이스(110)까지의 그 거리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부분에서 결정되는 이전에 수신된 거리에 기초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가전 기기(105)는 가전 기기가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이전에 수신할 수 있었던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위치 및 그 자신의 위치와 관련하여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전 기기(105)는 예를 들어 RSS 또는 SNR과 같은, 전술된 바와 같이 통신의 기초를 형성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전용 센서가 제공된다. 다수의 정보 소스가 또한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단계 945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5)는 설정된 데이터 연결(150, 155)을 통해 가전 기기(105)에 출력을 전송할 수 있다. 후자는 단계 950에서 출력을 수신하고 결정된 거리에 따라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출력의 크기, 주파수, 색상 또는 배향은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거리가 클수록, 출력이 더 명백하고 더 눈에 띌 수 있다. 음향 출력은 거리에 따라, 사용되는 그 볼륨 또는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적응될 수 있다. 처리된 출력은 이어서 출력 장치(14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된 설명은 순수히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본 발명의 보호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자유롭게 조합되어 따라서 의도된 용례에 최적화된 다른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시스템 105: 가전 기기
110: 모바일 디바이스 112: 중앙 지점
115: 사용자 120: 통신 설비
125: 제어 장치 130: 처리 설비
135: 입력 장치 140: 출력 장치
142: 센서 145: 무선 통신 설비
150: 제1 데이터 연결(입력) 155: 제2 데이터 연결(출력)
160: 저장 장치 205: 제1 디스플레이 영역
210: 제2 디스플레이 영역 215: 조작 요소
220: 그래픽 표현 225: 텍스트 영역
305: 제1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310: 제2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315: 제1 전송 계층 320: 제2 전송 계층
325: 제1 물리 계층 330: 제2 물리 계층
335: 규칙 세트 400: 방법
405: 가이드라인 결정
410: 가전 기기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결합
415: 이용 가능한 센서 결정 420: 가상 디바이스 형성
425: 가상 디바이스 제공 430: 기능 실행
435: 센서 구성, 센서 값 제공 500: 방법
505: 푸시 메시지 수신 510: 표시 생성, 전송
515: 표시 수신, 디스플레이 520: 사용자 입력 결정
525: 콘텐츠 요청 530: 요청 수신
535: 메시지 전송 540: 콘텐츠 제공
600: 방법 605: 모바일 디바이스 등록
610: 입력을 위한 연결 설정 615: 출력을 위한 연결 설정
620: 거리 결정 625: 입력/출력 로컬?
630: 입력 등록 635: 할당된 모바일 디바이스 결정
640: 할당된 기능 결정 645: 입력 제공
650: 출력 캡처 655: 할당된 출력 영역 결정
660: 출력 제공 700: 방법
705: 출력 수신 710: 규칙 세트 적용
715: 출력 폐기 720: 출력 출력
800: 방법 805: 입력 캡처
810: 규칙 세트 적용 815: 입력 폐기
820: 입력 전송 900: 방법
905: 무선 신호 전송/수신 910: 무선 신호 전송/수신
915: 가이드라인 체크, 앱 시작 920: 결합
925: 결합 930: 위치/거리 결정
935: 위치/거리 전송 940: 거리 결정
945: 출력 전송 950: 출력 제공

Claims (13)

  1. 방법(400; 500)이며, 방법(400)은 이하의 단계:
    - 가전 기기(105)와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무선 결합하는 단계(410);
    - 모바일 디바이스(110) 상에서 실행 중인 기능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로컬 기기로서 가전 기기(105)의 센서(142)를 제공(425)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400; 500).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142)는 가전 기기(105)의 영역을 샘플링하고 센서 값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센서 값은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되고 기능에 제공되는(435), 방법(400; 5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142)는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되는, 방법(400; 500).
  4. 제3항에 있어서, 기능으로의 센서(142)의 제공은 모바일 디바이스(110)의 사용자(1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방법(400; 500).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은 중앙 지점(112)으로부터 얻어지는, 방법(400; 5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에 의해 센서(142)의 샘플링 기준을 제어하는 단계(435)를 더 포함하는, 방법(400; 5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는 메시지를 수신(505)하고; 수신된 메시지의 표시가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가전 기기(105)로 전송되고(510); 가전 기기(105)는 사용자(115)에게 표시를 제공하는(515), 방법(400; 500).
  8. 제7항에 있어서, 전송(510)은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400; 50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전송되는 콘텐츠는 미리 결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적응되는(510, 515), 방법(400; 500).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가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결합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방법(400; 500).
  11. 가전 기기(105)이며,
    - 센서(142);
    -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설비(145);
    - 처리 설비(130)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가전 기기(105)에 무선 결합하고
    센서(142)에 의해 획득된 센서 값을 모바일 디바이스(1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설비(130)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105).
  12. 모바일 디바이스(110)이며,
    -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설비(120);
    - 처리 설비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센서(142)를 갖는 가전 기기(105)에 무선 결합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10) 상에서 실행 중인 기능에 로컬 기기로서 센서(142)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설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10).
  13. 제11항에 따른 가전 기기(105) 및 제12항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1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
KR1020237014160A 2020-11-02 2021-10-11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가전 기기 결합 KR202300794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13757.9A DE102020213757A1 (de) 2020-11-02 2020-11-02 Kopplung eines Haushaltsgeräts mit einem Mobilgerät
DE102020213757.9 2020-11-02
PCT/EP2021/078021 WO2022089926A1 (de) 2020-11-02 2021-10-11 Kopplung eines haushaltsgeräts mit einem mobil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400A true KR20230079400A (ko) 2023-06-07

Family

ID=7808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160A KR20230079400A (ko) 2020-11-02 2021-10-11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가전 기기 결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91800A1 (ko)
EP (1) EP4238300A1 (ko)
KR (1) KR20230079400A (ko)
CN (1) CN116491111A (ko)
DE (1) DE102020213757A1 (ko)
WO (1) WO20220899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650A1 (de) * 2009-11-25 2011-05-26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US9547509B2 (en) * 2012-02-2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acquisi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data as cloud based service
KR20160010785A (ko) 2014-07-18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7068511A (ja) 2015-09-29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機器管理方法及び機器管理装置
US10848338B2 (en) 2015-11-11 2020-1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a smart home manager
US10713922B1 (en) * 2017-05-10 2020-07-14 Katerr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messages with users of a real proper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10754987B2 (en) * 2018-09-24 2020-08-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micro-service data and service provisioning for IoT platforms
US10789826B2 (en) * 2018-10-12 2020-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safety detection and alerting
US10992752B2 (en) * 2019-03-28 2021-04-27 Intel Corporation Sensor network configuration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9926A1 (de) 2022-05-05
CN116491111A (zh) 2023-07-25
DE102020213757A1 (de) 2022-05-05
US20230291800A1 (en) 2023-09-14
EP4238300A1 (de)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6395B2 (en) Grouping of network devices
RU2662362C2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группировки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10110723B2 (en) Controller, unit control system, uni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661058B2 (en) Grouping of network devices
US9426118B2 (en) Remote grant of network access
US9204291B2 (en)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US9602172B2 (en)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US113747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0460243B2 (en) Network device predictive modeling
KR101885723B1 (ko)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 접근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US9911321B2 (en) Simplified adaptable controller
CN109072666A (zh) 电光窗户控制系统
WO2014136268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8032655A (ja) 制御端末及び機器制御方法
CN105125088A (zh) 智能提示电饭锅信息的方法及装置
US20160004231A1 (en)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device, managing system, electrical device, operation terminal, and program
CN110677330A (zh) 用于促进计算设备和非计算设备的基于代理用户界面的远程管理和控制的机制
JP2016136779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20230079400A (ko)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가전 기기 결합
EP2950548B1 (en)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CN114446036A (zh) 家用器具与移动设备的联接
KR20160050963A (ko) 지능형 홈 에코 시스템의 제어기기 등록용 스마트 단말장치와 그 등록 방법
JP2019175311A (ja) 通信機器、通信機器の作動方法、通信機器の作動プログラム
KR20190109627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7204897A (ja) コントローラ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