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122A -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컴포넌트에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컴포넌트에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122A
KR20230079122A KR1020237013848A KR20237013848A KR20230079122A KR 20230079122 A KR20230079122 A KR 20230079122A KR 1020237013848 A KR1020237013848 A KR 1020237013848A KR 20237013848 A KR20237013848 A KR 20237013848A KR 20230079122 A KR20230079122 A KR 20230079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mounting
fastener
radio unit
transceiver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540B1 (ko
Inventor
브랜든 레이번
리차드 립
Original Assignee
디쉬 와이어리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쉬 와이어리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디쉬 와이어리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7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21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on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64Adjusting different parts or elements of an aerial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셀룰러 통신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범용 장착 장치가 여기에서 개시된다. 상기 장착 장치는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안테나 구조물에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장치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과 호환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정 가능한 제2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개구부들은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패턴으로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장착 플레이트들을 결합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풀릴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조여질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잠겨진다.

Description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컴포넌트에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본 출원은 2020년 10월 6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 63/087,986 및 2021년 4월 6일에 출원된 미국 정규 출원 17/223,514에 대한 이익을 주장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주제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제1 부품을 제2 부품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기기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장착 장치의 실시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트랜시버(transceiver) 라디오 유닛(RU, Radio Unit)을 다른 부품 또는 지지 구조물에 장착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착 장치의 실시예는 RU가 기지국의 안테나와 같은 부품에 빠르고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다른 판매회사에 의해 제조된 RU와 보편적으로 호환되도록 구성된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지리적 영역 전체에 분산된 기지국(셀 사이트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안테나, 장착 및 지지 구조물,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RUs) 등과 같은 장비를 포함한다. 일부 배치에서, RU는 안테나의 하우징, 프레임 또는 쉘에 장착될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 공급자는 일반적으로 안테나 부품 및 관련 지지 아키텍쳐의 사양과 치수를 제어한다. 그러나, 대조적으로, 셀룰러 시스템 공급자는 다른 판매회사 또는 제조업체들로부터 RU들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시스템 공급자는 공급 RU들의 설계, 구성, 치수, 및/또는 장착 특징부를 거의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서로 다른 RU들은 안테나 부품의 장착 특징부 및 사양과 호환될 수 있으나, 호환될 필요는 없다. 장착 비호환성들은 상당한 문제 발생, 맞춤형 장착 하드웨어 요구, 및/또는 현장에서 추가 설치 시간을 요구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부품에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범용 장착 장치가 여기에 개시된다. 상기 범용 장착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부품의 가이드 레일 시스템과 호환되는 특징부를 가지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특징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 시스템에 정의된 채널 내에서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한 제2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부들; 상기 개구부들은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제1 패턴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가능한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를 수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풀릴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조여질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잠겨진다.
또한 다음을 가지는 시스템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지지 구조물; 및 상기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상기 지지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범용 장착 장치. 상기 범용 장착 장치는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구조물과 호환되는 장착 특징부를 갖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한 제2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개구부들, 상기 개구부들은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제1 패턴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가능한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를 수용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풀릴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조여질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잠겨진다.
또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구조물에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범용 장착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범용 장착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구조물과 호환되는 장착 특징부를 갖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정 가능한 제2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개구부들, 상기 개구부들은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패턴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풀릴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조여질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잠겨진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로 개념들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식별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니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다음의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를 참조함으로써 본 주제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가 도출될 수 있고, 여기서 유사한 참조번호는 도면에 걸쳐 유사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RU, 안테나 구조물, 및 RU를 안테나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RU, 안테나 구조물, 및 RU를 안테나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파스너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RU의 일부분, 지지 구조물, 및 장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안테나 구조물에 장착된 RU의 사시도이다.
도 5는 2개의 장착 레일과의 호환성을 위하여 2 열로 구성된 장착 휠을 가지는 RU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키홀 장착 특징부를 가지는 범용 장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키홀 장착 특징부를 갖는 범용 장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도 7a), 정면도 (도 7b), 측면도(도 7c) 및 후면도(도 7d)를 포함한다.
도 8은 롤러 가이드 장착 특징부를 가지는 범용 장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8a), 정면도(도 8b), 측면도(도 8c) 및 후면도(도 8d)를 포함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범용 장착 장치와 호환되는 가이드 레일(42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9a), 정면도(도 9b), 측면도(도 9c)를 포함한다.
도 10은 키홀 장착 특징부 및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를 갖는 범용 장착 장치의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범용 장착 장치의 평면도 (도 11a), 정면도(도 11b), 후면도(도 11c) 및 측면도(도 11d)를 포함한다.
도 12는 가이드 레일 장착 특징부 및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를 가지는 범용 장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범용 장착 장치의 평면도(도 13a), 정면도(도 13b), 후면도(도 13c) 및 측면도(도 13d)를 포함한다.
도 14는 범용 장착 장치와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조정 가능한 부분이 상승된 위치에 있는 도 14에 도시된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RU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a는 수직 가이드 채널을 갖는 지지 구조물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지지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도 17에 도시된 지지 구조물과 호환가능한 장착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장착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수직 가이드 채널을 이용하는 장착 시스템에 의해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 2개의 RU의 정면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주제의 실시예들 또는 이러한 실시예들의 적용 및 사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 임의의 구현은 반드시 다른 구현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또한, 선행 기술 분야, 배경, 간략한 요약 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제시된 명시적 또는 묵시적 이론에 얽매이려는 의도가 없다.
특정 용어는 참조 목적으로만 다음의 설명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쪽의", "아래쪽의", "위" 및 "아래"와 같은 용어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앞면", "배면", "후면", "측면", "외부" 및 "내부"와 같은 용어는 구성요소 부분의 방향 및/또는 위치를 논의 중인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텍스트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게 하는 일관되지만 임의의 참조 프레임 내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용어에는 위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한 단어,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제2" 용어 및 구조를 지칭하는 다른 그러한 숫자 용어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차례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구체적으로 제시된 배열과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주제는 제1 부품(예를 들어, 장착된 부품)를 제2 부품(예를 들어, 지지 구성요소)에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범용(universal)"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착 장치의 실시예는 지지 구조물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구성요소의 다양한 유형의 장착을 수용하도록 설계 및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제시되고 설명된 비제한적인 예들에 따르면, 장착 장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구조와 같은 적절한 지지 구조물에 대한 트랜시버 RU의 장착을 수용한다. 장착 장치의 실시예들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배치, 장착 가능한 구성요소 및 지지 구조물과의 호환성을 위해 특별히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RU(100), 안테나 구조물(102)의 단면 및 상기 안테나 구조물의 가이드 레일 시스템(104)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 시스템(104)은 RU(100)를 안테나 구조물(102)에 장착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배열된다. 도 1은 설치 동안 초기 위치에 있는 RU(100)를 도시한다. 비록 도 1에서 보이지 않으나, RU(100)는 가이드 레일 시스템(104)의 개별 가이드에 정의된 채널 내에서 슬라이드 하는 롤러 휠(상기 가이드 레일 시스템(104)과 호환되는 임의의 적절한 장치, 고정구 또는 특징부)을 포함하거나 이와 협력한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RU(100)의 롤러 휠은 RU(100)가 최종 장착 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RU(100)가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허락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 시스템(104)은 RU(100)의 무게를 지지하고, RU(100)와 안테나 구조물(102) 사이의 임의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RU(100)를 유지한다. 상기 RU(100)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된 후에, 이는 가이드 레일 시스템(104) 내에서 슬라이드 하지 않도록 제자리에 고정되거나 잠겨질 수 있다.
도 2는 가이드 레일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대안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도 2는 RU(110), 안테나 구조물(112)의 단면, 및 RU(110)를 안테나 구조물(112)에 장착하기 위한 파스너(fastener) 시스템(114)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파스너 시스템(114)은 RU(110)에 형성되거나 RU(110)에 고정된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 슬롯, 키홀, 또는 공동(void)과 정합하는 안테나 구조물(112)의 장착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 볼트 또는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RU(110)가 연장 볼트상에 걸리고, 너트, 러그(lugs), 또는 잠금 장치(locks)를 사용하는 안테나 구조물(112)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파스너 시스템(114)은 RU(110)의 무게를 지지하고, RU(110)와 안테나 구조물(112) 사이에 특정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RU(110)를 유지한다.
도 3은, RU(120)의 일부, 지지 구조물(122) 및 장착 브라켓(124)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장착 브라켓(124)은 지지 구조물(122)에 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124)은 RU(120)를 지지 구조물(122)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오프셋 플랜지(126)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플랜지(126)는 지지 구조물(122)의 표면으로부터 오프셋된다. 각각의 플랜지(126)는 지지 구조물(1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식 파스너(128, threaded fastner)를 가진다. 상기 나사식 파스너(128)는 슬롯, 키홀(130), 또는 RU(120)의 하우징에 형성된(또는 RU(120)에 부착되는 장착 플레이트 또는 부재에 형성된) 적절하게 구성된 공동(void) 내부에 끼워진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배치는 도 2의 파스너 시스템(114)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안테나 구조물(142)의 일부분에 장착된 RU(140)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 RU(140)는 가이드 레일 시스템(144)을 사용하는 안테나 구조물(142)에 장착된다. 비록 오직 하나의 RU(140)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가이드 레일 시스템(144)은 안테나 구조물(142) 상에 2개 이상의 RU들의 설치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RU(140)의 배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RU(140)는 RU(140)의 배면에 직접 부착된 2개의 평행한 열(row)의 롤러 휠(146)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 휠(146)은 안테나 구조물(142)의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위치와 호환되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안테나 구조물(142)과 RU(140)는 일관된 사양(specifications)에 따라 협력적으로 설계되고 제조되어야 한다.
여기에 제시된 장착 장치의 실시예는 장착 장치가 상이한 RU 부품(상이한 공급자/판매자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고, 장착 홀, 장착 인서트, 파스너 및/또는 다른 레이아웃, 패턴 또는 방향으로 배열된 장착 특징부를 가질 수 있는)에 부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RU 애그노스틱(RU agnostic)"인 장착 특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범용 장착 장치는 상이한 RU 부품 여러 가지와 호환 가능하고, RU 부품과 그 지지 구조물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 설명은 범용 장착 장치가 지지 구조물과의 정합을 목적으로 하는 단순한 설계를 포함하도록 지지 구조물의 장착 특징부(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 나사 인서트, 나사식 파스너, 키홀, 슬롯 등)가 알려지거나, 특정되거나, 고정되거나 또는 표준화된 레이아웃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 범용 장착 장치는 상이한 지지 구조물 설계 여러 가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범용 장착 장치는 원하는 경우 RU및 지지 구조물 둘 다에 구애 받지 않을(agnostic) 수 있다.
도 6은, 키홀 장착 특징부를 가지는 범용 장착 장치(20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장착 장치(200)의 오직 일부분의 후방/배면을 도시한다. 상기 장착 장치(200)의 후방/배면은 지지 구조물(미도시)를 마주하고; 상기 장착 장치(200)의 전면은 RU(미도시)와 마주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범용 장착 플레이트(202), 오프셋 플랜지(204), 및 상기 오프셋 플랜지(204)에 형성된 키홀(206)을 포함한다. 비록 항상 요구되는 것은 아니나, 각각의 플랜지(204)는 그 내부에 형성된 두 개의 키홀(206)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202)는 반대쪽 단부에 유사한 배열의 플랜지(204)(도 6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 플레이트(202)의 좌측(도 6에서 보이지 않음)은 각각 2개의 키홀(206)들을 가지는 2개의 오프셋 플랜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202)의 전면은 이용 가능한 RU 부품의 상이한 가능한 파스너 위치를 고려하고 호환될 수 있는 패턴 또는 레이아웃으로 배열된 슬롯, 홀, 및/또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슬롯, 홀, 및/또는 개구부의 레이아웃은 상이한 파스너 위치의 다양성과 호환 가능하므로, 이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202)는 RU 애그노스틱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202) 및 플랜지(204)는 한 피스의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부착, 결합, 또는 다른 방법으로 서로 부착되는 두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부품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키홀 장착 특징부를 가지는 범용 장착 장치(300)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7a), 정면도(도 7b), 측면도(도 7c) 및 후면도(도 7d)를 포함한다. 비록 도 7은 후방 사시도를 포함하지 않으나, 도 10이 유사한 장착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 장치(300)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장착 장치(300)의 전면 또는 부분을 정의하는 범용 장착 플레이트(302); 장착 플레이트(302)에 형성된 홀(304); 도 7의 정면도, 측면도, 후면도에서 수직으로 이어지는 오프셋 플랜지(306) 및 오프셋 플랜지(306)에 형성되는 홀(308)(예를 들어, 슬롯 또는 키홀). 상기 홀(3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RU 파스너 위치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적절한 패턴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비록 홀(304)은 장착 플레이트(302)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분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홀(304)은 일반적으로 상부 및 하부 어레이로 배열된다. 상기 오프셋 플랜지(306)는 RU가 설치 후에 지지 구조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30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장착 플레이트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유사한 키홀 플랜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홀(304)의 보편적인 성질은 장착 장치(300)가 예를 들어, 나사식 파스너를 사용하여 RU 부품에 호환적으로 장착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RU 부품은 홀(308)을 사용하여 지지 구조물(예를 들어, 안테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RU 부품은 너트, 클립, 잠금 장치,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지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롤러 가이드 장착 특징부를 가지는 범용 장착 장치(40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8a), 정면도(도 8b), 측면도(도 8c) 및 후면도(도 8d)를 포함한다. 비록 도 8은 후방 사시도를 포함하지 않으나, 도 12가 유사한 장착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 장치(400)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장착 장치(400)의 전면 또는 부분을 정의하는 범용 장착 플레이트(402); 장착 플레이트(402)에 형성된 홀(404); 도 8의 정면도, 평면도, 후면도에서 수평으로 이어지는 오프셋 롤러 조립체(406). 상기 홀(4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RU 파스너 위치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적절한 패턴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비록 상기 홀(404)은 장착 플레이트(402)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분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홀(404)은 일반적으로 상부 및 하부 어레이로 배열된다. 각각의 오프셋 롤러 조립체(406)는 하나 이상의 롤러(408), 바람직하게는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롤러(408)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롤러 조립체(406) 당 5개의 롤러(408)를 사용하나, 5개보다 많거나 적게도 사용될 수 있다. 오프셋 롤러 조립체(406)는 RU가 설치 후에 지지 구조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40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장착 플레이트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유사한 롤러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홀(404)의 보편적인 성질은 장착 장치(400)가 예를 들어, 나사식 파스너를 사용하여 RU 부품에 호환적으로 장착되도록 한다. 그 후, RU 부품은 롤러(408)를 지지 구조물 상에 위치된 호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격된 가이드 레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지지 구조물(예를 들어, 안테나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 참고). 그 후, 상기 RU 부품은 너트, 클립, 잠금 장치, 클램프, 잠금 플레이트, 레버 등을 사용하여 가이드 레일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범용 장착 장치(400)와 호환되는 가이드 레일(42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9a), 정면도(도 9b), 측면도(도 9c)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420)의 두 인스턴스는 지지 구조물에 부착(또는 통합)되고, 상기 롤러 조립체(406)들의 간격과의 호환성을 위하여 원하는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20)은 홀(422), 적어도 하나의 슬롯,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420)을 지지 구조물(예를 들어, 안테나 부품)에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 하드웨어를 수용하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42)은 RU를 지지 구조물에 장착한 후 롤러(408)를 제자리에 잠그기 위한 잠금 부품(424)(각 단부에 하나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 부품(424)은 볼트, 엔드 캡 또는 엔드 플레이트, 래치 등과 같은 파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할 때, 상기 잠금 부품(424)은 롤러 조립체(406)가 가이드 레일(420) 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 부품(424)은 RU를 장착된 위치에 유지한다.
도 10은 키홀 장착 특징부 및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를 갖는 범용 장착 장치(500)의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범용 장착 장치(500)의 평면도 (도 11a), 정면도(도 11b), 후면도(도 11c) 및 측면도(도 11d)를 포함한다. 장착 장치(500)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장착 장치(500)의 전면 또는 부분을 정의하는 조정 가능한 범용 장착 플레이트(502); 상기 장착 플레이트(502)에 형성된 홀(504)들 또는 개구부들;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상부 플랜지(506);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하부 플랜지(508); 및 상기 오프셋 플랜지들(506, 508)에 형성된 홀(510)(예를 들어, 슬롯 또는 키홀). 홀(5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RU 파스너 위치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적절한 패턴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홀(504)들의 상부 어레이는 장착 플레이트(502)의 상부 부분(502A)(예를 들어, 하나의 장착 플레이트 섹션)에 형성되고, 홀(504)들의 하부 어레이는 장착 플레이트의 하부 부분(502B)(예를 들어, 또 다른 장착 플레이트 섹션)에 형성된다. 2개 어레이는 개구부들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오프셋 플랜지들(506, 508)은 RU가 설치 후에 지지 구조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장착 플레이트(50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7에 도시된 장착 장치(300)(고정되거나 정지된 장착 플레이트(302)를 포함하는)와 대조적으로, 장착 장치(500)의 장착 플레이트는 2개의 각각의 장착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정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부분(502A) 및/또는 하부 부분(502B)은 다른 것에 대하여 적어도 1차원적(dimension)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부분(502A)은 하부 부분(502B)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정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부분(502A, 502B)은 유지(retaining) 부재 또는 나사형 파스너, 예를 들어 조정 파스너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크기가 부여된 조정 슬롯(512)을 포함한다. 파스너가 느슨해질 때, 상부 부분(502A)은 하부 부분(502B)에 대하여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파스너가 타이트해질 때, 상부 부분(502A)의 위치는 하부 부분(502B)에 대해 잠겨진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는 하부 부분(502B)에 대한 상부 부분(502A)의 슬라이딩 가능한 조정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에 의해 수용된다. 이는 장착 플레이트(502)의 유연성 및 호환성(compatibility)을 증가시킨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여기에 개시된 유형의 범용 장착 장치는 복수의 방향(예를 들어, 수직, 수평, 대각선 등)으로 조정 가능할 수도 있고 임의의 수의 자유도를 가질 수도 있다. 게다가, 장착 장치(500)의 실시예는 홀(510)의 위치가 적어도 1차원적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가이드 레일 장착 특징부(예를 들어, 롤러 가이드) 및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를 가지는 범용 장착 장치(600)의 일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13은 범용 장착 장치(600)의 평면도(도 13a), 정면도(도 13b), 후면도(도 13c) 및 측면도(도 13d)를 포함한다. 장착 장치(600)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장착 장치(600)의 전면 또는 부분을 정의하는 조정 가능한 범용 장착 플레이트(602); 장착 플레이트(602)에 형성된 홀(604)들 또는 개구부들;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상부 플랜지(606);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하부 플랜지(608); 및 오프셋 플랜지들(606, 608)에 형성된 롤러(610) 또는 동등한 글라이딩(gliding) 또는 슬라이딩 특징부. 실제로, 상기 장착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작은 플랜지 대신에 하나의 연장된 상부 플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2개 이상의 롤러(610)는 각각의 열(row)(상부 및 하부)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홀(6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RU 파스너 위치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적절한 패턴 또는 어레이로 배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홀(604)의 상부 어레이는 장착 플레이트(602)의 상부 부분(602A)에 형성되고, 홀(604)의 하부 어레이는 장착 플레이트(602)의 하부 부분(602B)에 형성된다. 2개의 어레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개구부들의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오프셋 플랜지들(606, 608)은 RU가 설치 이후에 지지 구조물로부터 오프셋 될 수 있도록 장착 플레이트(60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8에 도시된 장착 장치(400)(일체형, 고정되거나 정지된 장착 플레이트(402)를 포함하는)와 대조적으로, 장착 장치(600)의 장착 플레이트(602)는 2개의 각각의 장착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정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부분(602A) 및/또는 하부 부분(602B)은 다른 것에 대하여 적어도 1차원적(dimension)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부분(602A)은 하부 부분(602B)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정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부분(602A, 602B)은 유지(retaining) 부재 또는 나사형 파스너, 예를 들어 조정 파스너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되고 크기가 부여된 조정 슬롯(612)을 포함한다. 파스너가 느슨해질 때, 상부 부분(602A)은 하부 부분(602B)에 대하여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파스너가 타이트해질 때, 상부 부분(602A)의 위치는 하부 부분(602B)에 대해 잠겨진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는 하부 부분(602B)에 대한 상부 부분(602A)의 슬라이딩 가능한 조정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에 의해 수용된다. 이는 장착 플레이트(602)의 유연성 및 호환성(compatibility)을 증가시킨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여기에 개시된 유형의 범용 장착 장치는 복수의 방향(예를 들어, 수직, 수평, 대각선 등)으로 조정 가능할 수도 있고 임의의 수의 자유도를 가질 수도 있다. 게다가, 장착 장치(600)의 실시예는 롤러(610)의 위치가 적어도 1차원적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범용 장착 장치와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700)의 (조정 가능한 부분이 하강된 위치에 있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15는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700)의 (조정 가능한 부분이 상승된 위치에 있는) 정면도이다. 장착 플레이트(700)는 슬라이딩 가능한 상부 부분에 있는 홀들의 한 패턴과, 하부 부분에 있는 홀들의 다른 패턴을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홀 패턴은 여기에 개시된 장착 플레이트에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부 부분은 서로에 대해 적어도 1차원적에서 조정 가능한 2개 이상의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섹션(개구부들의 패턴을 갖는)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하부 부분은 서로에 대해 적어도 1차원적에서 조정 가능한 2개 이상의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섹션(개구부들의 패턴을 갖는)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조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700)에 장착되는 RU(708)의 전방 사시도이다. 대응하는 지지 구조물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7은 수직 가이드 채널 및 슬라이딩 가능한 잠금부재를 사용하는 장착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보여준다. 도 17a는 2개의 수직 가이드 레일(802)를 가지는 지지 구조물(804)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7b는 지지 구조물(804)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장착 조립체(810)의 정면도이고, 도 18b는 장착 조립체(810)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수직 가이드 채널을 이용하는 장착 시스템에 의해 지지 구조물에 장착된 2 개의 RU들의 정면도이다.
예시된 구현을 위하여, 2개의 수직 가이드 레일(802)은 지지 구조물(804)에 부착(또는 통합)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802)들은 RU(808)들 상에 위치한 대응 장착 고정구(806)들의 간격과의 호환성을 위하여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802)은 장착 고정구(806)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슬롯 또는 채널을 정의한다. 상기 장착 고정구(806)는, 예를 들어, 잠금 해제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래칭(latching), 잠금 가능(lockable), 또는 그 반대로 이동 가능한 볼트 헤드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장착 고정구(806)들이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들은 가이드 레일(802)의 채널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할 수 있다. 이는 설치자에게 가이드 레일의 상단으로부터 가이드 레일로 RU(808)를 위치시키고 "떨어뜨리는(drop)" 것을 허용한다. 그런 다음 상기 RU(808)는 원하는 수직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가이드 레일(802) 내에서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때에, 장착 고정구(806)는 가이드 레일(802) 내의 제 위치에 그들을 고정하고, 결과적으로 RU(808)를 원하는 수직 위치로 고정하기 위하여 래칭되거나, 조작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그들의 잠금 위치로 작동될 수 있다. 도 18은 적어도 2개의 장착 고정구(806)를 포함하는 장착 조립체(810)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장착 조립체(810)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는 RU(808)에 부착(또는 통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장착 조립체(810)의 적어도 2개의 인스턴스는 RU(808)에 부착된다: 가이드 레일(802)에 대해 RU(808)를 제자리에 잠그도록 작동되는 4개의 장착 고정 기구(806)를 야기하는 상부 장착 조립체(810) 및 하부 장착 조립체(810).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고정구(806)는 상이한 RU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술한 유형의 범용 장착 플레이트에 통합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시되었으나, 방대한 수의 변형이 존재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은 청구된 주제의 범위, 적용 가능성 또는 구성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편리한 로드맵을 당업자에게 제공할 것이다. 본 특허 출원 당시 공지된 등가물 및 예측 가능한 등가물을 포함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배열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부품에 장착하기 위한 범용 장착 장치로서,
    상기 부품의 가이드 레일 시스템과 호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시스템에 정의된 채널 내에서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된 특징부를 가지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한 제2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제1 패턴으로 배열되는 개구부들; 및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가능한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를 수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풀릴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조여질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추가 개구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개구부들은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제2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개구부들의 상기 제1 패턴은 개구부들의 상기 제2 패턴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해 적어도 1차원적으로 조정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상부 장착 플레이트 섹션 및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하부 장착 플레이트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부품의 파스너 구성과 호환되는 고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장착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는 복수의 나사식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부품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플랜지는 상기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이 설치 후에 상기 부품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10.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지지 구조물; 및
    상기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상기 지지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범용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범용 장착 장치는,
    상기 지지 구조물과 호환되는 장착 특징부를 갖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한 제2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제1 패턴으로 배열되는 개구부들; 및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가능한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슬롯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를 수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풀릴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조여질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추가 개구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개구부들은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제2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개구부들의 상기 제1 패턴은 개구부들의 상기 제2 패턴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서로에 대해 적어도 1차원적으로 조정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상부 장착 플레이트 섹션 및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하부 장착 플레이트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구조물의 파스너 구성과 호환되는 고정된 패턴으로 배열된 장착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구조물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플랜지는 상기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이 설치 후에 상기 지지 구조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구조물에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범용 장착 장치로서,
    상기 범용 장착 장치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과 호환되는 장착 특징부를 갖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정 가능한 제2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되며,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위한 다른 가능한 장착 파스너 위치들과 호환되는 패턴으로 배열되는 개구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를 함께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풀릴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 파스너가 조여질 때,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위치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대하여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안테나 구조물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플랜지는 상기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이 설치 후에 상기 안테나 구조물로부터 오프셋되도록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장착 장치.
KR1020237013848A 2020-10-06 2021-10-04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컴포넌트에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KR102640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7986P 2020-10-06 2020-10-06
US63/087,986 2020-10-06
US17/223,514 2021-04-06
US17/223,514 US11626655B2 (en) 2020-10-06 2021-04-06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ceiver radio unit to a component of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PCT/US2021/071696 WO2022076976A1 (en) 2020-10-06 2021-10-04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ceiver radio unit to a component of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122A true KR20230079122A (ko) 2023-06-05
KR102640540B1 KR102640540B1 (ko) 2024-02-27

Family

ID=8093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848A KR102640540B1 (ko) 2020-10-06 2021-10-04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컴포넌트에 트랜시버 라디오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26655B2 (ko)
EP (1) EP4226462A4 (ko)
JP (1) JP2023545995A (ko)
KR (1) KR102640540B1 (ko)
WO (1) WO2022076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16A1 (ja) 2021-01-08 2022-07-14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ネフロン前駆細胞を拡大培養するための培地、ネフロン前駆細胞を拡大培養する方法、腎臓オルガノイドの製造方法
US11721879B2 (en) * 2021-10-27 2023-08-08 Dish Wireless L.L.C.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ceiver to an antenna structur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08978A1 (en) * 2016-10-18 2018-04-19 Gregory Gonsowski Cellular Radio Shrou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6019A (en) * 1969-02-06 1971-09-20 Robert J Dubiel Mounting pan for electrical panel board
US4050663A (en) * 1976-03-05 1977-09-27 Modesett Engineering & Mfg. Mounting bracket
US7106273B1 (en) 1998-12-21 2006-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mounting apparatus
US9217534B2 (en) * 2010-03-22 2015-12-22 Ericsson Inc. Bracket
WO2018111480A2 (en) 2016-12-16 2018-06-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grated cell site sector module
WO2019036175A1 (en) 2017-08-15 2019-02-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ANTENNA MOUNTING BRACKET ASSEMBLY
WO2020072880A1 (en) * 2018-10-05 2020-04-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Reconfigurable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self-contained sub-modu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08978A1 (en) * 2016-10-18 2018-04-19 Gregory Gonsowski Cellular Radio Shrou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6976A1 (en) 2022-04-14
EP4226462A1 (en) 2023-08-16
EP4226462A4 (en) 2024-01-31
US11626655B2 (en) 2023-04-11
US20220109223A1 (en) 2022-04-07
JP2023545995A (ja) 2023-11-01
US20230307815A1 (en) 2023-09-28
KR102640540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7815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ceiver radio unit to a component of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6659577B2 (en) Dual flat springs for tool-less slide installation
US20030106863A1 (en) Flat spring clip for tool-less slide installation
US6342870B1 (en) Antenna frame structure mounting and alignment
US8047474B2 (en) Cable pathway system
US6497395B1 (en) Mounting bracket
US20100110621A1 (en) Rack with vertical mounting providing room for rack pdu
US20130206944A1 (en) Bracket
WO2005032016A2 (en) Rapid exchange mounting system for testing wireless networks
CN107614305B (zh) 车辆顶蓬
US10461394B1 (en) Antenna enclosure, brackets, and DAS system
GB2314012A (en) Removable seat for vehicle
US5339744A (en) Baggage rack under flap for the passenger space of a rail vehicle
CN210630090U (zh) 模块化组件的安装结构及电气设备
CN109494655B (zh) 一种新能源设备线缆固定装置
CN208497524U (zh) 一种单边导柱模架
CN110915080B (zh) 开关柜底座和其上安装的开关柜机架的布置以及相应的开关柜列
US11721879B2 (en)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ceiver to an antenna structur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212501066U (zh) 一种适用于在飞机机舱内固定装置的安装支架
US20220029276A1 (en) Mounting device and base station antenna system
CN212750169U (zh) 轻模块安装组件
CN212485547U (zh) 安装装置和基站天线系统
KR200487148Y1 (ko) 판넬형 통신 장비 취부대
CN115402231A (zh) 集成式电气组合支架及车辆
WO2017101986A1 (en)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