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969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969A
KR20230078969A KR1020230066022A KR20230066022A KR20230078969A KR 20230078969 A KR20230078969 A KR 20230078969A KR 1020230066022 A KR1020230066022 A KR 1020230066022A KR 20230066022 A KR20230066022 A KR 20230066022A KR 20230078969 A KR20230078969 A KR 20230078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oor
link unit
washing machin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290B1 (ko
Inventor
이진호
김화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2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7Springs; Spring tensioners
    • E05Y2201/484Tor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Abstract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을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내부에 제 1전장품이 구비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내부에 제 2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힌지 어셈블리 및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을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기는 원통 형상의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과, 터브의 후방에 배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에는 드럼으로 연통되는 개구가 마련되고, 도어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장품들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드물다. 그러나, 세탁기의 디자인이 변화함에 따라,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전장품들과 캐비닛 외부에 배치되는 전장품들을 와이어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세탁기의 미관을 헤치지 않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와이어로 하여금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도록 하여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내부에 제 1전장품이 구비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내부에 제 2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힌지 어셈블리 및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와 마주하고, 관통홀이 마련되는 후면을 더 포함하고, 일 단부가 상기 제 2전장품에 연결된 와이어의 다른 단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후,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제 1전장품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제 1브라켓,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제 2브라켓 및 상기 제 1브라켓 및 상기 제 2브라켓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링크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유닛의 일 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유닛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 커버의 일 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링크유닛 커버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와 마주하고, 관통홀이 마련되는 후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브라켓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와이어 인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 커버는 상기 제 2브라켓에 인접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인입구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의 개방된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 1브라켓에 인접한 상기 링크유닛 커버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인입구를 통해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된 와이어가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인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와이어의 단선(斷線)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를 감싼 상태로 상기 와이어 인입구 및 상기 와이어 인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도어와 별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이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전장품은 상기 간이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간이도어의 잠금 여부를 조절하는 도어락 스위치(door rock swi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브라켓 및 상기 링크유닛의 일 단을 연결하는 제 1샤프트 및 상기 제 2브라켓 및 상기 링크유닛의 다른 일 단을 연결하는 제 2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힌지 어셈블리,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간이도어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투입구는 상기 개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일부에 형성되는 간이도어, 상기 간이도어의 잠금 여부를 조절하는 도어락 스위치 및 상기 도어락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양 단부에 각각 제 1샤프트 및 제 2샤프트가 결합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링크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샤프트 및 상기 제 2샤프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링크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유닛에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샤프트에 의해 상기 링크유닛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제 1브라켓 및 상기 제 2샤프트에 의해 상기 링크유닛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는 제 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브라켓 및 상기 제 2브라켓은 각각 상기 캐비닛 및 상기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링크유닛과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가 배치되도록 상기 링크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유닛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와이어로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외부로 크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를 링크유닛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와이어가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에 링크유닛 커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와이어 가이드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링크유닛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를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는 링크유닛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가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되면 링크유닛 커버를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가 와이어 수용공간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간이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전면 프레임의 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전면 프레임의 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를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와 캐비닛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와이어가 힌지 어셈블리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와이어가 도어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간이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연결부재는 힌지 어셈블리(100)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는 도어(20)를 캐비닛(10)에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면 충분하고, 힌지 어셈블리(100)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 때, 와이어(300)는 연결부재를 통과하여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장품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기/전자부품을 의미한다. 또한, 전장품은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장품은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1), 세탁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프레임(12), 세탁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13), 세탁기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 프레임(미도시) 및 세탁기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터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저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드럼(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15)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15)의 벽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5a)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15)은 원통형일 수 있다. 드럼(15)의 전면부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기(1)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개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는 개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에는 도어(20)가 개구(16)를 폐쇄하였을 때 도어(20)와 접촉하는 도어 접촉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 접촉부(17)는 세탁기(1)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고, 개구(16)의 테두리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접촉부(17)는 도어(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가 폐쇄되었을 때, 캐비닛(10)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어 접촉부(17)의 일 측에는 후술할 힌지 어셈블리(100)가 설치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 설치부(19)가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는 급수관(미도시) 및 세제통(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은 터브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터브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관의 일 측은 급수밸브(미도시)와 연결되고, 급수관의 타 측은 세제통(18)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제통(18)은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드럼(15)과 연결되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통(18)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드럼(15) 내부로 공급된다.
세탁기(1)는 구동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는 드럼(15)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15)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는 배수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유닛은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세탁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유닛은 배수펌프(미도시)와, 터브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와 배수펌프를 연결하는 연결호스(미도시)와,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컨트롤패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51)과, 사용자가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동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 프레임(21) 및 도어 글라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21)은 도어(2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2)는 도어 프레임(21)의 후방에 결합되어 캐비닛(10)의 개구(16)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2)는 사용자가 세탁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드럼(15)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글라스(22)는 캐비닛(1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기(1)는 힌지 어셈블리(hinge assembly)(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100)는 도어(20)와 캐비닛(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 어셈블리(100)는 도어(20)를 회동 가능하게 캐비닛(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세탁기(1)는 간이도어(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이도어(80)는 도어(20)와 별개로 개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간이도어(80)는 도어(20)와 별개로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간이도어(80)를 이용하여 개구(16)의 일부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20)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82)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82)는 개구(16)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탁물 투입구(82)는 개구(16)가 도어(20)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캐비닛(10)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도어(2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간이도어(80)는 세탁물 투입구(8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이도어(80)는 세탁물 투입구(8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2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간이도어(80)의 일 측은 도어(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간이도어(80)의 좌측 또는 우측이 도어(2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간이도어(80)는 좌우로 개폐 가능하다. 간이도어(80)의 상측 또는 하측이 도어(2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간이도어(80)는 상하로 개폐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간이도어(80)를 하방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간이도어(80)의 하측이 도어(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간이도어(80)의 다른 일 측에는 락킹부(81)가 형성될 수 있다. 간이도어(80)의 락킹부(81)는 도어(20)에 형성되는 고정홀(미도시)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간이도어(80)의 락킹부(81)가 도어(20)의 고정홀에 삽입되면, 간이도어(8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간이도어(80)의 락킹부(81)가 도어(20)의 고정홀에서 분리되면, 간이도어(8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세탁기(1)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제 1전장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캐비닛(10) 외부에 마련되는 제 2전장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전장품이 마련되는 위치의 일 예로써, 제 2전장품은 도어(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전장품은 간이도어(8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210) 및 간이도어(80)의 잠금 여부를 조절하는 도어락 스위치(door rock switch)(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 2전장품의 종류는 간이도어(80)의 개폐동작에 연관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세탁기(1)는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연결하는 와이어(300)(도5a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300)는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세탁기(1)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300)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0)는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 1전장품은 일 예로써, 메인 인쇄회로기판(main PCB)(800), 서브 인쇄회로기판(sub PCB)(미도시), 급수밸브(미도시), 구동모터(미도시),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800)은 컨트롤패널(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800)은 마이컴(microcomputer), 급수밸브, 구동모터 등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인쇄회로기판(800)은 제 2전장품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서브 인쇄회로기판은 메인 인쇄회로기판(800)과 함께 컨트롤패널(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인쇄회로기판은 컨트롤패널(50)에 마련되는 표시창(51), 작동부(52) 등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800) 및 서브 인쇄회로기판의 위치는 캐비닛(10)의 내부이면 충분하고, 컨트롤패널(50)의 내측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제 1전장품의 일 예로써, 메인 인쇄회로기판(8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전장품은 간이도어(8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210) 및 간이도어(80)의 잠금 여부를 조절하는 도어락 스위치(door rock switch)(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 2전장품의 종류는 간이도어(80)의 개폐동작에 연관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제 2전장품의 일 예로써, 간이도어(80)의 개폐감지센서(210) 및 간이도어(80)의 도어락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개폐감지센서(210) 및 도어락 스위치(220)의 작동상태는 메인 인쇄회로기판(8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와이어(300)는 제 1와이어(310), 제 2와이어(320) 및 메인 와이어 하네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와이어(310)는 도어(20) 내부에 마련되는 개폐감지센서(210) 및 도어락 스위치(2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 1와이어(310)는 제 2와이어(3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와이어(310) 및 제 2와이어(320)는 제 1와이어(31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커넥터(311)와 제 2와이어(32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 1커넥터(321)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와이어(310)의 커넥터(311) 및 제 2와이어(320)의 제 1커넥터(321)의 결합은 도어(20)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와이어(310)에 연결된 제 2와이어(320)는 힌지 어셈블리(100)를 통과 내지 관통하여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된 제 2와이어(320)는 캐비닛(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2와이어(32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되는 제 2커넥터(322)는 캐비닛(10)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메인 와이어 하네스(330)의 커넥터(331)에 결합된다. 메인 와이어 하네스(330)는 컨트롤패널(50)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800)에 연결된다. 즉, 제 1와이어(310), 제 2와이어(320) 및 메인 와이어 하네스(330)는 개폐감지센서(210), 도어락 스위치(220) 및 메인 인쇄회로기판(8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메인 와이어 하네스(330)가 메인 인쇄회로기판(800)에 연결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메인 와이어 하네스(330)는 제 1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전면 프레임의 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전면 프레임의 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도어(20) 및 간이도어(80)가 닫힌 상태의 전면 프레임(11) 전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어(20) 및 간이도어(80)가 닫힌 상태의 전면 프레임(11) 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2전장품의 일 예로써 간이도어(80)의 개폐감지센서(210) 및 간이도어(80)의 도어락 스위치(220)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0)는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300)는 힌지 어셈블리(100)를 통과하여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300)는 힌지 어셈블리(100)를 관통하여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30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30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300)는 힌지 어셈블리(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샤프트(140)(도7참고) 및 제 2샤프트(150)(도7참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전장품은 도어(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전장품은 도어 프레임(2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 2전장품은 간이도어(80)의 락킹부(81)가 삽입되는 도어(20)의 고정홀에 인접하도록 도어(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210) 및 도어락 스위치(220)는 고정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도어 프레임(2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210) 및 도어락 스위치(220)는 도어(20)에 힌지 결합되는 간이도어(80)의 일 측과 마주하는 간이도어(80)의 다른 일측에 대응하는 도어 프레임(2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간이도어(80)의 하측이 도어(20)에 힌지 결합되는 경우, 간이도어(80)의 상측에 대응하는 도어 프레임(21)의 내부에 개폐감지센서(210) 및 도어락 스위치(2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20)는 관통홀(23)(도11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23)은 개구(16)와 마주하는 도어(2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통홀(23)은 개구(16)와 마주하는 도어 프레임(21)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210) 및 도어락 스위치(220)에 연결된 와이어(300)는 관통홀(23)을 통과하여 힌지 어셈블리(100)에 도달하고, 힌지 어셈블리(100)에 도달한 와이어(300)는 힌지 어셈블리(100)를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제 1전장품에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300)의 일 단부는 개폐감지센서(210) 및 도어락 스위치(220)에 연결되고, 와이어(300)의 다른 단부는 관통홀(23)을 통과한 후, 힌지 어셈블리(100)를 거쳐 제 1전장품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은 힌지 어셈블리(100)를 통과하는 와이어(3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300)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세탁기(1)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300)가 힌지 어셈블리(100)를 통과하는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를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와 캐비닛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어셈블리(100)는 제 1브라켓(110), 제 2브라켓(120) 및 링크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브라켓(110)은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브라켓(120)은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은 제 1브라켓(110) 및 제 2브라켓(120) 각각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링크유닛(130)은 제 1브라켓(110)과 제 2브라켓(120) 사이를 연결하여 도어(20)를 캐비닛(10)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브라켓(110)은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에 형성되는 힌지 어셈블리 설치부(19)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 설치부(19)는 도어 접촉부(17)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 설치부(19)는 제 1설치부(19a) 및 제 2설치부(1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설치부(19a)는 링크유닛(130)이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설치부(19b)는 제 1브라켓(110)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설치부(19a)는 링크유닛(130)이 관통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링크유닛(130)의 크기에 대응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설치부(19b)는 제 1브라켓(110)이 전면 프레임(11)에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제 1설치부(19a)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 2설치부(19b)는 홀(hol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브라켓(110)은 조립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설치부(19b) 및 조립홀(111)을 관통하는 스크루(B)는 제 1브라켓(110)을 전면 프레임(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브라켓(110)은 제 1샤프트(140)가 결합되는 제 1샤프트홀(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브라켓(120)은 도어 지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지지부(121)를 도어(20)의 도어 프레임(21)에 결합시킴으로써 제 2브라켓(120)이 도어(20)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브라켓(120)은 제 2샤프트홀(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샤프트홀(122)에는 도어(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2샤프트(150)가 결합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은 제 1결합홀(131) 및 제 2결합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결합홀(131)은 제 1샤프트(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링크유닛(13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결합홀(132)은 제 2샤프트(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링크유닛(13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의 일 단부는 제 1샤프트(140)에 의해 제 1브라켓(110)과 연결되고, 링크유닛(130)의 다른 단부는 제 2샤프트(150)에 의해 제 2브라켓(120)과 연결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은 와이어 가이드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33)는 와이어(300)가 링크유닛(130)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링크유닛(130)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가이드부(133)는 와이어(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링크유닛(130)의 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133)는 링크유닛(130)의 하면(下面)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은 링크유닛 커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링크유닛(130)과의 사이에 와이어(300)가 배치되도록 링크유닛(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링크유닛 커버(190)는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링크유닛 커버(190)는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크유닛(13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링크유닛 커버(190)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300)를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는 링크유닛 커버(190)를 제거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300)가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삽입되면 링크유닛 커버(190)를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300)가 와이어 수용공간(40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함몰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91)는 링크유닛 커버(19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몰부(191)는 와이어 가이드부(133)와 마주하는 링크유닛 커버(19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91)는 링크유닛 커버(190)가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결합되면 와이어 가이드부(133)와 함께 와이어(300)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함몰부(191)는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대응하도록 와이어 가이드부(133)와 마주하는 링크유닛 커버(190)의 일 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결합부(192,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92,193)는 링크유닛 커버(19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92,193)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링크유닛 커버(190)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92,193)는 제 1결합부(192) 및 제 2결합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결합부(192) 및 제 2결합부(193)는 와이어 인출구(138)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 1결합부(192) 및 제 2결합부(193)의 상방을 향한 연장 정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 1결합부(192)는 링크유닛(130)의 내벽과 마주할 수 있고, 제 2결합부(193)는 링크유닛(130)의 외벽과 마주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100)가 도어(20) 및 캐비닛(10) 사이에 설치되었을 때, 링크유닛(130)의 외벽은 캐비닛(10)의 내측방향을 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링크유닛(130)의 외벽은 개구(16) 내지 도어 글라스(22)와 마주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100)가 도어(20) 및 캐비닛(10) 사이에 설치되었을 때, 링크유닛(130)의 내벽은 캐비닛(10)의 외측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 1결합부(192)에는 링크유닛(130)의 내벽에 형성되는 제 1고정돌기(134)와 결합 가능한 제 1고정홀(19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결합부(193)에는 링크유닛(130)의 외벽에 형성되는 제 2고정돌기(135)와 결합 가능한 제 2고정홀(195)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결합부(192,193)에 의해 와이어 가이드부(133)를 덮도록 링크유닛(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차적으로 링크유닛(130)의 제 2고정돌기(135)가 제 2결합부(193)의 제 2고정홀(195)에 걸림 결합되고, 이차적으로, 링크유닛(130)의 제 1고정돌기(134)가 제 1결합부(192)의 제 1고정홀(194)에 끼움 결합된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결합돌기(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96)는 링크유닛 커버(190)가 링크유닛(13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돌기(196)는 링크유닛 커버(19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96)는 와이어 인입구(137)에 인접한 링크유닛 커버(19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96)는 링크유닛(130)의 내벽에 형성되는 결합홀(136)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96)는 결합홀(136)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결합돌기(196)와 결합홀(136)의 결합, 제 1고정돌기(134)와 제 1고정홀(194)의 결합 및 제 2고정돌기(135)와 제 2고정홀(195)의 결합에 의해 링크유닛(1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은 와이어 인입구(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37)는 관통홀(23)을 통과한 와이어(300)가 와이어 가이드부(133)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즉,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브라켓(120)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는 제 2브라켓(120)에 인접한 와이어 가이드부(133)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결합될 수 있고, 와이어 인입구(137)는 와이어 가이드부(133)의 개방된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은 와이어 인출구(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38)는 제 1브라켓(110)에 인접한 링크유닛 커버(19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38)는 제 1결합부(192) 및 제 2결합부(19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37)를 통해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삽입된 와이어(300)는 와이어 인출구(138)를 통해 와이어 수용공간(4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어(20)의 도어 프레임(21)에는 제 2브라켓(120)이 설치되기 위한 제 2브라켓 설치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브라켓 설치부(24)는 개구(16)와 마주하는 도어 프레임(21)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샤프트(140,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샤프트(140,150)는 제 1브라켓(110) 및 링크유닛(130)의 일 단을 연결하는 제 1샤프트(140)와, 제 2브라켓(120) 및 링크유닛(130)의 다른 일 단을 연결하는 제 2샤프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유닛(130)은 제 1샤프트(140)가 결합되는 제 1결합홀(131) 및 제 2샤프트(150)가 결합되는 제 2결합홀(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제 1샤프트(140) 및 제 2샤프트(15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어(20)는 힌지 어셈블리(100)의 제 1샤프트(140)를 중심으로 수평 이동하는 링크유닛(130)에 의해 개구(16)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구(16)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힌지 어셈블리(100)는 고정링(181,1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181,182)은 제 1샤프트(140) 및 제 2샤프트(150) 중 적어도 하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샤프트(140) 및 제 2샤프트(15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링(181,182)은 제 1샤프트(140)에 결합되는 제 1고정링(181) 및 제 2샤프트(150)에 결합되는 제 2고정링(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링(181)은 보강부재(170)의 샤프트 결합홀(172), 제 1브라켓(110)의 제 1샤프트홀(112) 및 링크유닛(130)의 제 1결합홀(131)을 관통하는 제 1샤프트(1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샤프트(14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샤프트(14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141) 및 제 1샤프트(14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 1고정링(181)은 제 1샤프트(140)가 보강부재(170)의 샤프트 결합홀(172), 제 1브라켓(110)의 제 1샤프트홀(112) 및 링크유닛(130)의 제 1결합홀(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고정링(182)은 제 2브라켓(120)의 제 2샤프트홀(122) 및 링크유닛(130)의 제 2결합홀(132)을 관통하는 제 2샤프트(1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샤프트(150)의 중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고정링(182)은 와이어 인입구(137)에 삽입되는 와이어(300)가 제 2고정링(182)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2샤프트(150)의 하단부 대신 제 2샤프트(150)의 중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샤프트(15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151) 및 제 2샤프트(15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제 2고정링(182)은 제 2샤프트(150)가 제 2브라켓(120)의 제 2샤프트홀(122) 및 링크유닛(130)의 제 2결합홀(1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샤프트(140)에 대한 제 1고정링(181)의 결합위치 및 제 2샤프트(150)에 대한 제 2고정링(182)의 결합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힌지 어셈블리(100)는 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제 1샤프트(140)를 감싸도록 제 1샤프트(140)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제 1샤프트(140)와 링크유닛(130) 사이를 지지하여 링크유닛(1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탄성부재(16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100)는 보강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170)는 캐비닛(10)과 힌지 어셈블리(100) 사이를 지지하도록 제 1샤프트(140)에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170)는 힌지 어셈블리(100)의 제 1샤프트(140)에 그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캐비닛(10)의 배면(11a)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보강부재(170)는 바디(171)와, 바디(171)의 일 단부에 제 1샤프트(140)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샤프트 관통홀(23)과, 바디(171)의 타 단부에 캐비닛(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71)의 외측면에는 캐비닛(10)의 배면(11a)과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지리브(174)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174)는 보강부재(17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부재(170)의 고정부(173)는 바디(171)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에 형성된 고정홀(11b)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17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재(170)의 고정부(173)는 고정홀(11b)을 관통하는 고정부재(177)에 의해 캐비닛(10)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고정부(173)의 고정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강부재(170)의 고정부(173)는 스크류, 리벳, 용접, 코킹, 열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170)는 제 1샤프트(140)의 상하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170)의 분리 및 이탈은 제 1샤프트(14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141) 및 제 1샤프트(14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 1고정링(181)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제 1샤프트(140)에 형성되는 스토퍼(141)는 제 1샤프트(140)의 외측방향 내지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2샤프트(150)에 형성되는 스토퍼(151)는 제 2샤프트(150)의 외측방향 내지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탁기(1)는 와이어(300)의 단선(斷線)을 방지하도록 와이어(300)를 감싼 상태로 와이어 인입구(137) 및 와이어 인출구(138)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보호부재(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9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써, 보호부재(90)는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와이어 수용공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수용공간(400)은 와이어(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캐비닛(10) 및 도어(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 수용공간(400)은 힌지 어셈블리(100)에 마련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의 함몰부(191)는 와이어 가이드부(133)와 함께 와이어 수용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와이어가 힌지 어셈블리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와이어가 도어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 1브라켓(110)이 생략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0)는 힌지 어셈블리(100)를 통과하여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300)는 링크유닛(130)을 관통하여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연결할 수 있다.
일 단부가 도어(20)의 내부에 마련된 제 2전장품에 연결된 와이어(300)는 도어(20)의 후면에 형성된 관통홀(23)을 통과하여 힌지 어셈블리(10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관통홀(23)을 통과한 와이어(300)는 링크유닛(130)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부(133)를 거쳐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된 제 1전장품에 연결된다. 와이어 인입구(137)를 통해 와이어 가이드부(133)에 삽입된 와이어(300)는 와이어 인출구(138)를 통해 힌지 어셈블리(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0)는 링크유닛(130) 및 링크유닛 커버(19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300)는 와이어 수용공간(900)에 수용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의 함몰부(191)(도7참고)는 링크유닛(130)의 일 면, 바람직하게는 하면(下面)과 함께 와이어 수용공간(900)을 형성할 수 있다. 링크유닛 커버(190)의 함몰부(191)와 함께 와이어 수용공간(900)을 형성하는 링크유닛(130)의 일 면은 평평한 면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링크유닛 커버(190)의 함몰부(191)와 함께 와이어 수용공간(900)을 형성하는 링크유닛(130)의 일 면에는 와이어 가이드부(133)(도8참고)와 같은 홈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 수용공간(900)에 수용되는 와이어(300)는 링크유닛 커버(190)의 함몰부(191)에 안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캐비닛(10) 외부에 위치하는 제 2전장품과 캐비닛(10) 내부에 위치하는 제 1전장품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300)가 힌지 어셈블리(100)의 링크유닛(130)을 통과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와이어(300)가 힌지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통과하여 제 1전장품과 제 2전장품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10: 캐비닛
11: 전면 프레임 11a: 배면
11b: 고정홀 12: 상면 프레임
13: 측면 프레임 15: 드럼
16: 개구 17: 도어 접촉부
18: 세제통 19: 힌지 어셈블리 설치부
19a: 제 1설치부 19b: 제 2설치부
20: 도어 21: 도어 프레임
22: 도어 글라스 23: 관통홀
24: 제 2브라켓 설치부 50: 컨트롤패널
51: 표시창 52: 작동부
80: 간이도어 81: 락킹부
90: 보호부재 100: 힌지 어셈블리
110: 제 1브라켓 111: 조립홀
112: 제 1샤프트홀 120: 제 2브라켓
121: 도어 지지부 122: 제 2샤프트홀
130: 링크유닛 131: 제 1결합홀
132: 제 2결합홀 133: 와이어 가이드부
134: 제 1고정돌기 135: 제 2고정돌기
136: 결합홀 137: 와이어 인입구
138: 와이어 인출구 140: 제 1샤프트
141: 스토퍼 150: 제 2샤프트
151: 스토퍼 160: 탄성부재
170: 보강부재 171: 바디
172: 샤프트 결합홀 173: 고정부
174: 지지리브 177: 고정부재
181: 제 1고정링 182: 제 2고정링
190: 링크유닛 커버 191: 함몰부
192: 제 1결합부 193: 제 2결합부
194: 제 1고정홀 195: 제 2고정홀
196: 결합돌기 210: 개폐감지센서
220: 도어락 스위치 300: 와이어
15a: 탈수공 400: 와이어 수용공간
82: 세탁물 투입구 800: 메인 인쇄회로기판
900: 와이어 수용공간 310: 제 1와이어
320: 제 2와이어 330: 메인 와이어 하네스
311: 커넥터 321: 제 1커넥터
322: 제 2커넥터 331: 커넥터

Claims (8)

  1.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와, 제 1 전장품을 갖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제 2 전장품을 갖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힌지 어셈블리; 및
    상기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전장품과 상기 제 2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유닛;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링크유닛의 일면을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 및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유닛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 커버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유닛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 커버는 상기 링크유닛 커버를 상기 링크유닛에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링크유닛 커버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링크유닛에 결합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 커버의 상기 내측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링크유닛 커버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와이어 수용부를 형성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출입구에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가 상기 와이어 출입구에 결합된 때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와이어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세탁기.
KR1020230066022A 2015-07-22 2023-05-23 세탁기 KR10264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022A KR102642290B1 (ko) 2015-07-22 2023-05-23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626A KR102415396B1 (ko) 2015-07-22 2015-07-22 세탁기
KR1020220078321A KR102537237B1 (ko) 2015-07-22 2022-06-27 세탁기
KR1020230066022A KR102642290B1 (ko) 2015-07-22 2023-05-23 세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321A Division KR102537237B1 (ko) 2015-07-22 2022-06-27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969A true KR20230078969A (ko) 2023-06-05
KR102642290B1 KR102642290B1 (ko) 2024-03-04

Family

ID=5783417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626A KR102415396B1 (ko) 2015-07-22 2015-07-22 세탁기
KR1020220078321A KR102537237B1 (ko) 2015-07-22 2022-06-27 세탁기
KR1020230066022A KR102642290B1 (ko) 2015-07-22 2023-05-23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626A KR102415396B1 (ko) 2015-07-22 2015-07-22 세탁기
KR1020220078321A KR102537237B1 (ko) 2015-07-22 2022-06-27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80216381A1 (ko)
EP (2) EP3879027A1 (ko)
KR (3) KR102415396B1 (ko)
CN (2) CN112921598B (ko)
WO (1) WO2017014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8762B2 (en) 2015-07-20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closure element with touch interface
KR101880083B1 (ko) 2015-07-29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0294712B2 (en) * 2016-11-14 2019-05-21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door assembly
KR102368505B1 (ko) * 2017-06-14 2022-02-28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CN110042630B (zh) * 2018-01-16 2021-07-02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门铰链及具有所述门铰链的衣物处理装置
CN110387720A (zh) * 2018-04-23 2019-10-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连接机构及衣物处理设备
CN109402953A (zh) * 2018-12-25 2019-03-01 重庆市涵越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门体及滚筒洗衣机
CN111979722B (zh) * 2019-05-23 2023-03-24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门体结构及滚筒洗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351U (ko) * 1997-06-19 1999-01-15 엄길용 원형 화소를 갖는 전계방출 표시소자
KR20090096948A (ko) * 2008-03-10 2009-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201598481U (zh) * 2009-12-17 2010-10-0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洗衣机门与前面板的铰链结构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2471A (en) * 1959-11-16 1962-07-03 Gen Motors Corp Flexible conduit hinge for domestic appliances
DE2244751A1 (de) * 1972-09-08 1974-03-14 Siemens Elektrogeraete Gmbh Trommelwaschmaschine
IT969759B (it) * 1972-10-20 1974-04-10 San Giorgio Elettrodomesti Macchina per trattare bianchepia sul cui portello di carico e mon tato un componente a comando elet trico
KR200174159Y1 (ko) * 1997-09-26 2000-03-02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히터 고정장치
AU2003202154B8 (en) * 2002-01-09 2006-05-25 Lg Electronics Inc. Door for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washing machine and dryer having the same
DE60334955D1 (de) * 2002-05-14 2010-12-30 Honda Motor Co Ltd Kabelbaumschutz
ATE463605T1 (de) * 2003-08-11 2010-04-15 Arcelik As Waschtrockner
US7617570B2 (en) * 2006-03-22 2009-11-17 Whirlpool Corporation Double-pivot, constrained kinematic hinge for a front-loading laundry machine
CN101086109A (zh) * 2006-06-06 2007-12-12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衣机
DE102007052073B3 (de) * 2007-10-31 2009-0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KR101643633B1 (ko) * 2009-07-30 2016-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8820861B2 (en) * 2010-12-23 2014-09-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ITTO20121072A1 (it) * 2012-12-13 2014-06-14 Indesit Co Spa Macchina lavabiancheria a carica frontale di uso domestico, in particolare lavatrice o lavasciuga
CN104372575B (zh) * 2013-08-16 2018-05-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的开门指示装置及其开门控制方法
KR102158689B1 (ko) * 2013-11-04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197861B1 (ko) * 2014-01-29 2021-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터브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2219934B1 (ko) * 2014-03-28 202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2202721B1 (ko) * 2015-02-25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6192302B (zh) * 2015-04-30 2020-01-1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带呼吸灯组的洗衣机
KR101880083B1 (ko) * 2015-07-29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6012440B (zh) * 2015-11-02 2018-09-1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US10294712B2 (en) * 2016-11-14 2019-05-21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doo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351U (ko) * 1997-06-19 1999-01-15 엄길용 원형 화소를 갖는 전계방출 표시소자
KR20090096948A (ko) * 2008-03-10 2009-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201598481U (zh) * 2009-12-17 2010-10-0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洗衣机门与前面板的铰链结构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9027A1 (en) 2021-09-15
CN107849780B (zh) 2021-02-09
CN112921598B (zh) 2023-01-03
CN107849780A (zh) 2018-03-27
KR20170011275A (ko) 2017-02-02
EP3327194A1 (en) 2018-05-30
KR20220098331A (ko) 2022-07-12
WO2017014492A1 (ko) 2017-01-26
KR102642290B1 (ko) 2024-03-04
EP3327194B1 (en) 2021-05-05
EP3327194A4 (en) 2018-05-30
KR102537237B1 (ko) 2023-05-30
US20180216381A1 (en) 2018-08-02
US20220259906A1 (en) 2022-08-18
CN112921598A (zh) 2021-06-08
KR102415396B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237B1 (ko) 세탁기
KR101880083B1 (ko) 세탁기
KR102040791B1 (ko) 세탁기
CN108239844B (zh) 洗衣机
KR102471461B1 (ko) 세탁기
EP3124669B1 (en) Drum washing machine
KR102482469B1 (ko) 세탁기
CN108239847B (zh) 洗衣机
KR102521489B1 (ko) 세탁기
KR102320194B1 (ko) 세탁기
KR102514106B1 (ko) 세탁기
KR101963249B1 (ko) 세탁기
JP7422307B2 (ja) 洗濯機
KR20100065590A (ko) 컨트롤패널을 구비한 드럼세탁기
CN117157442A (zh) 洗衣机
KR20060119437A (ko) 드럼세탁기
KR20110088955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