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730A - 자가-록킹 매니폴드 및 필터 - Google Patents

자가-록킹 매니폴드 및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730A
KR20230078730A KR1020237014139A KR20237014139A KR20230078730A KR 20230078730 A KR20230078730 A KR 20230078730A KR 1020237014139 A KR1020237014139 A KR 1020237014139A KR 20237014139 A KR20237014139 A KR 20237014139A KR 20230078730 A KR20230078730 A KR 20230078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lange
manifold
opening
majo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볼드 양
한 이 왕
밥 시에
희 준 양
Original Assignee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3007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2In-lin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5Throw-away typ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필터 매니폴드에 자가-록킹되는 필터가 평면도에서 주축 및 부축을 가지고 부축보다 주축을 따라서 더 긴 플랜지를 포함한다. 필터는 주축 상에서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스토퍼는, 필터가 매니폴드 내로 삽입되고 회전될 대, 필터 매니폴드와 접촉될 수 있다. 필터는 플랜지의 부축의 길이보다 넓고 주축을 따른 길이보다 좁은 폭을 갖는 개구부를 갖춘 슬롯을 가지는 필터 매니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개구부를 지나서, 주축의 길이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플랜지가 삽입 배향에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나, 록킹 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가 슬롯의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Description

자가-록킹 매니폴드 및 필터
본 개시 내용은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 특히 회전될 때 필터 매니폴드와 함께 자가-록킹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필터는 플랜지와 같은 부착부에 의해서 매니폴드 내에 고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충분한 필터 성능을 위해 필터를 규칙적으로 교환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필터의 사용 시에, 필터링되는 유체로부터의 압력이 필터를 매니폴드로부터 이탈시켜, 유출을 유발할 수 있고 필터를 통과하는 유체를 이용하는 프로세스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이는, 필터 오류로 인한 중단 및 배치들(batches)의 폐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는, 반도체 제조, 특정 화학적 프로세스, 및 기타와 같은 고-정밀 제조에서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 특히 회전될 때 필터 매니폴드와 함께 자가-록킹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스토퍼 특징부(stopper feature)의 포함과 함께 길이가 다른 주축 및 부축을 갖는 플랜지 기하형태를 포함하는 필터를 제공함으로써, 필터는 삽입 배향으로 매니폴드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어서 회전될 때, 필터는, 일상적인 동작 중에 매니폴드로부터 이탈될 수 없도록, 매니폴드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필터는 본체, 제1 필터 개구를 갖는 제1 단부, 제1 단부에 위치된 제1 플랜지, 및 제1 단부에 대향되고 제2 필터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는 평면도에서 주축 및 부축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고, 부축을 따른 폭보다 긴 주축을 따른 길이를 갖는다. 제1 플랜지는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는, 제1 플랜지가 필터 매니폴드 내로 삽입되고 록킹 위치로 회전될 때, 필터 매니폴드의 유지 특징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필터는 제1 플랜지에 배치된 밀봉부를 더 포함하고, 밀봉부는 제1 필터 개구를 둘러싼다. 실시형태에서, 밀봉부는 면 밀봉부(face seal)이다. 실시형태에서, 밀봉부는 제1 플랜지 내에 형성된 홈 내에 배치된다.
실시형태에서,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은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제1 플랜지는 직선형 측면들을 향한 모따기부(chamfer)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스토퍼는, 스토퍼의 연부가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동선적(collinear)이 되도록,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된다.
실시형태에서,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 형상의 주축을 따른 각각의 단부는 곡선부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은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스토퍼는, 주축을 따른 일 단부의 곡선부가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된다.
실시형태에서,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이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는 본체, 제1 필터 개구를 갖는 제1 단부, 제1 단부에 위치된 제1 플랜지, 및 제1 단부에 대향되고 제2 필터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는 평면도에서 주축 및 부축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고, 부축을 따른 폭보다 긴 주축을 따른 길이를 갖는다. 제1 플랜지는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매니폴드를 더 포함한다. 매니폴드는, 제1 단부 블록 개구 및 필터의 제1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제1 단부 블록(first end block)을 포함한다. 슬롯은 부축을 따른 폭보다 넓고 주축을 가로지르는 길이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개구부, 그리고 주축을 따른 제1 플랜지의 길이보다 넓은 내부 슬롯 폭을 갖는다. 제1 단부 블록은, 제1 플랜지가 슬롯 내로 삽입되고 필터가 록킹 위치로 회전될 때 필터의 스토퍼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결합 특징부를 더 포함한다. 매니폴드는 또한 제2 단부 블록 개구를 포함하고, 제2 단부 블록은 제2 단부 블록 개구, 및 필터의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필터가 록킹 위치에 있을 때, 유체는 제2 단부 블록 개구로부터 제2 필터 개구를 통해서, 본체를 통해서, 제1 필터 개구를 통해서, 그리고 제1 단부 블록 개구까지 유동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은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스토퍼는, 스토퍼의 연부가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동선적이 되도록,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된다. 실시형태에서, 스토퍼는 스토퍼의 연부에 수직인 단부를 갖는다.
실시형태에서,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 형상의 주축을 따른 각각의 단부는 곡선부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은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스토퍼는, 주축을 따른 일 단부의 곡선부가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된다.
실시형태에서, 결합 특징부는 슬롯의 측벽이다. 실시형태에서, 슬롯의 측벽은 슬롯의 개구부에 위치된다.
실시형태에서, 필터는 필터 정렬 마크를 포함하고 매니폴드는 매니폴드 정렬 마크를 포함하며, 필터 정렬 마크와 매니폴드 정렬 마크의 상대적인 위치들은, 필터가 매니폴드에 대한 삽입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도 3a는, 필터가 삽입 배향에 있을 때,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도 3b는, 필터가 록킹 위치에 있을 때, 도 3a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도 4a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매니폴드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매니폴드의 일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의 플랜지의 하부측을 도시한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매니폴드 및 필터를 도시한다.
본 개시 내용은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 특히 회전될 때 필터 매니폴드와 함께 자가-록킹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필터(100)는 필터 본체(102), 플랜지(104), 스토퍼(106), 밀봉부(108), 및 개구(110)를 포함한다.
필터 본체(102)는 필터(100)의 본체이다. 필터 본체(102)는 유체가 필터 본체(102)를 통과할 때 가스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를 필터링하도록 선택된 필터 매체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 본체(102)는 원통형일 수 있다. 필터 본체(102)는 도 1의 상면도에서 보이는 단부로부터 제2 단부(미도시)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필터 본체(102)는 측벽 및 단부 벽, 예를 들어 도 1의 상면도에서 볼 수 있는 단부 벽과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구성요소들은, 이들이 서로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필터 본체(102)가 매니폴드 내에서 사용되고 유체에 의해서 가압될 때 필터(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팽창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104)는 필터 본체(102)의 제1 단부에 제공되는 플랜지이다. 플랜지(104)는 주축 및 주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축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플랜지(104)의 형상에서, 주축(L)을 따른 형상의 길이는 형상의 부축(W)을 따른 형상의 폭보다 길다. 형상은, 필터(100)와 함께 사용되는 매니폴드에 제공된 슬롯과 배향-선택적으로 피팅되도록(fit), 그에 따라 플랜지(104)가 삽입 배향에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으나, 삽입 배향에 대해서 회전된 록킹 위치에 있을 때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없거나 슬롯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도록, 선택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의 길이를 따른 단부들에 위치되는 곡선형 섹션들, 및 각각의 개별적인 단부에 위치되는 곡선형 섹션들 사이의 직선형의 평행 측면들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축(L)을 따른 형상의 길이는 0.2 인치 내지 1 인치이고, 부축(W)을 따른 형상의 폭은 0.1 인치 내지 0.9 인치이며, 길이 및 폭의 각각이 그 각각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때, L > W이다. 주축(L)을 따른 길이가 부축(W)을 따른 폭보다 길기만 하다면, 형상이 임의의 적합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형태에서, 부축(W)을 따른 폭과 주축을 따른 길이 사이의 비율은 0.2 이상 내지 1 미만의 범위이다.
스토퍼(106)는 플랜지(104)에 형성된 돌출부일 수 있다. 스토퍼(106)는, 필터(100)가 록킹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플랜지(104)가 내부에 삽입된 슬롯에 대한 필터(100)의 회전 및/또는 다른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106)는, 플랜지(104)를 수용하는 슬롯과 접촉하기 위한 또는 플랜지(104)를 수용하는 매니폴드 블록에 제공된 임의의 결합 특징부와 접촉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106) 형상의 비제한적인 예는, 예를 들어, 슬롯의 내측부와 접촉되는 직선형 측면을 제공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편평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는 매니폴드의 슬롯 또는 결합 특징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각도형 또는 곡선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06)를 위한 적절한 구조는 필터(100)와 함께 사용되는 매니폴드의 단부 블록의 기하형태, 예를 들어 매니폴드의 단부 블록에 제공된 슬롯 및/또는 유지 특징부의 기하형태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필터(100)가 매니폴드 내에 배치된 후에 필터(100)가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록킹 위치로 배치되도록, 스토퍼(106)가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필터(100)가 매니폴드 내에 배치된 후에 필터(100)가 삽입 위치로부터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록킹 위치로 배치되도록, 스토퍼(106)가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스토퍼(106)는 대체로 삼각형 형상이다. 실시형태에서, 스토퍼(106)의 연부는 플랜지(104)의 직선형 측면과 동선적이다.
밀봉부(108)는 개구(110)와, 필터(100)와 함께 사용되는 매니폴드 내의 유체 채널 사이에서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밀봉부이다. 밀봉부(108)는 개구(110)와 매니폴드의 채널 사이에서 이러한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밀봉부, 예를 들어 O-링, 가스켓, 또는 기타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밀봉부(108)는 개구(110)를 둘러싸는 편평한 가스켓이다. 밀봉부(108)는 플랜지의 표면과 매니폴드 사이에서 면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부(108)는 플랜지(104)의 표면 내에 형성된 홈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110)와 매니폴드 사이에서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밀봉부(108)를 배치 및 유지하기 위한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서 플랜지(104)에 고정될 수 있다.
개구(110)는 유체가 필터 본체(102)의 내외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개구부이다. 개구(110)는 플랜지(104)에 위치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필터(100)가 매니폴드 내에 설치될 때, 개구는 플랜지(104)를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매니폴드의 단부 블록을 통한 유체 채널과 인터페이스한다(interface).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필터(200)는 필터 본체(202), 제1 단부(204), 플랜지(206), 제1 밀봉부(208), 제1 단부 개구(210), 제2 단부(212), 볼(214), 제2 밀봉부(216), 및 제2 단부 개구(218)를 포함한다. 매니폴드(220)는 제1 단부 블록(222)을 포함한다. 제1 단부 블록(222)은 제1 연결부(224), 제1 유체 라인(226), 및 슬롯(228)을 포함한다. 매니폴드(220)는 제2 단부 블록(230)을 또한 포함한다. 제2 단부 블록(230)은 제2 연결부(232), 제2 유체 라인(234), 및 컵(236)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부 블록(222)은 이격부(238)에 의해서 제2 단부 블록(230)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200)는 매니폴드(220) 내로 설치되도록 구성된 필터 유닛이다. 필터(200)는 액체 또는 가스와 같은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필터(200)는, 예를 들어, 필터가 채워 졌을 때, 효율이 떨어졌을 때, 미리 결정된 서비스 기간이 끝날 때, 또는 그러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이유가 있을 때 매니폴드(220)로부터 교체되는, 교체 가능 필터 유닛일 수 있다.
필터 본체(202)는 필터(200)의 본체이다. 필터 본체(202)는 유체가 필터 본체(202)를 통과할 때 가스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를 필터링하도록 선택된 필터 매체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 본체(202)는 원통형일 수 있다. 필터 본체(202)는, 측벽 실린더(202a) 및 단부 벽, 예를 들어 제1 단부 벽(202b) 및 제2 단부 벽(202c)과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구성요소들(202a, 202b, 202c)은, 이들이 서로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필터 본체(102)가 매니폴드 내에서 사용되고 유체에 의해서 가압될 때 필터(200)가 길이방향을 따라 팽창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단부(204)는, 플랜지(206), 제1 밀봉부(208), 및 제1 단부 개구(210)를 포함하는, 필터 본체(202)의 단부이다. 제1 단부(204)는 매니폴드(220)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그에 따라 필터(200)와 매니폴드(220) 사이의 연결 및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플랜지(206)는 필터(200)의 제1 단부(204)에 제공된다. 플랜지(206)는 주축 및 주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축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플랜지(206)의 형상에서, 전술한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플랜지(10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주축을 따른 형상의 길이는 형상의 부축을 따른 형상의 폭보다 길다. 형상은, 필터(200)와 함께 사용되는 매니폴드(220)에 제공된 슬롯(228)과 배향-선택적으로 피팅되도록, 그에 따라 플랜지(206)가 삽입 배향에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으나, 삽입 배향에 대해서 회전된 록킹 위치에 있을 때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없거나 슬롯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도록, 선택될 수 있다. 주축을 따른 길이가 부축을 따른 폭보다 길기만 하다면, 형상이 임의의 적합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플랜지(206)는 전술한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스토퍼(106)와 같은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부(208)는 제1 단부 개구(210)를 둘러싼다. 제1 밀봉부(208)는 제1 단부 개구(210)와 매니폴드(220)에 제공된 제1 유체 채널(226) 사이의 유체 연결을 밀봉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밀봉부일 수 있다. 제1 밀봉부(208)는, 예를 들어, O-링 또는 가스켓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1 밀봉부(208)는 편평한 가스켓이다. 실시형태에서, 제1 밀봉부(208)는 슬롯(228) 및/또는 제1 유체 채널(226)의 일부와 면 밀봉부를 형성한다. 실시형태에서, 제1 밀봉부(208)는 접착제에 의해서 플랜지(206)의 표면에 결합된다. 실시형태에서, 제1 밀봉부(208)는 플랜지(206)의 표면에 형성된 채널 내에 배치된다.
제1 단부 개구(210)는 유체가 필터 본체(202) 내로 또는 그로부터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게 하는 개구이다. 플랜지(206)가 슬롯(228) 내로 삽입되고 필터(200)가 록킹 위치로 회전될 때, 제1 단부 개구(210)가 제1 유체 채널(226)과 유체 연통되도록, 그에 따라 유체가 제1 단부 개구(210)와 제1 유체 채널(226)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단부 개구(210)가 제1 단부(204) 상에 배치된다. 제1 밀봉부(208)는 제1 단부 개구(210)와 제1 유체 채널(226) 사이의 인터페이스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부(212)는 제1 단부(204)에 대향되는 필터 본체(202)의 단부이다. 제2 단부(212)는 매니폴드(220)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다른 연결 지점, 및 제2 단부 개구(218)를 포함한다. 제2 단부(212)는, 제2 단부 개구(218)가 제2 유체 채널(234)과 유체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단부(212)에서 매니폴드(220)에 대한 연결부는 볼(214)이다. 이는 비제한적인 예이고, 제2 단부(212)는, 매니폴드(220)의 제2 단부 블록(2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매니폴드(220)의 특징부에 상응하는 임의의 적합한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부(212)는 제1 단부(204)에 제공된 플랜지(206)와 같은 플랜지, 원형 플랜지, 플러그 연결부, 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볼(214)은 제2 단부(212)와 매니폴드(220)의 제2 단부 블록(230) 사이에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볼(214)은, 매니폴드(220)의 컵(236)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볼(214)이 컵(236) 내로 삽입될 때, 이는 필터(200)의 제2 단부(212)를 매니폴드(220)에 고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볼(214)은 대체로 구형 형상을 갖는다. 실시형태에서, 볼(214)은 비-구형 형상, 예를 들어 컵(236)에 의해서 수용될 수 있는 타원형 프로파일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갖는다. 실시형태에서, 볼(214)은 그 형상을 형성하는 각도형 표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볼(214)은 테이퍼링되는(tapering) 상부 및 하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볼(214)은, 제2 밀봉부(216)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한다.
제2 밀봉부(216)는 제2 단부(212) 상에, 예를 들어 볼(214) 상에 배치된 밀봉부이다. 제2 밀봉부(216)는, 필터(200)가 매니폴드(220) 내로 설치될 때, 제2 단부 개구(218)와 제2 유체 채널(234) 사이의 유체 연결부를 둘러싸는 밀봉부를 형성한다. 제2 밀봉부(216)는, 해당 밀봉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매니폴드(220)의 제2 단부 블록(230) 및 필터(200)의 제2 단부(212)의 기하형태를 기초로 하는, 임의의 적합한 밀봉부일 수 있다. 제2 밀봉부(216)는, 예를 들어, O-링 또는 가스켓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밀봉부(216)는 제2 단부(212)에 위치되는 표면에 형성된 채널 내에 배치된다. 실시형태에서, 밀봉부(216)는 제2 단부(212)에서 볼(214)의 표면 상에 형성된 채널 내에 배치된 O-링이다.
제2 단부 개구(218)는 유체가 필터 본체(202) 내로 또는 그로부터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게 하는 개구부이다. 필터(200)가 매니폴드(220) 내로 설치될 때, 제2 단부 개구(218)가 제2 유체 채널(234)과 유체 연통되도록, 그에 따라 유체가 제2 단부 개구(218)와 제2 유체 채널(234)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2 단부 개구(218)가 제1 단부(212) 상에 배치된다. 제2 밀봉부(216)는 제2 단부 개구(218)와 제2 유체 채널(234) 사이의 인터페이스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매니폴드(220)는, 필터(200)를 통해서 유동하도록 유체를 지향시킬 수 있게 필터(200)를 유지하고 필터(200)를 떠나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수용 유체를 유체 라인 내로 지향시키는 매니폴드이며, 이러한 유체 라인은 유체를 다른 위치로 이송할 수 있고, 이러한 다른 위치에서 유체는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프로세스될 수 있고,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유사하게 처리될 수 있다.
제1 단부 블록(222)은, 유체가 필터(200)에 제공될 수 있게 또는 그로부터 수용될 수 있게 필터(200)의 제1 단부(2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매니폴드(220)의 부분이다.
제1 연결부(224)는 유체 라인이 매니폴드(220)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연결 지점이다. 제1 연결부(224)는 유체 라인을 매니폴드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연결부, 예를 들어 나사산형 연결부, 중단 나사(interrupted screw), 스냅-피팅(snap-fit)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결합 특징부, 하나 이상의 신속-분리 연결부, 또는 기타일 수 있다. 필터(200)가 슬롯(228) 내로 삽입되고 록킹 위치에 있을 때, 필터(200)의 플랜지(206)에 제공된 제1 밀봉부(208)는 제1 연결부(224)와 제1 단부 개구(210) 사이의 유동을 위한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유체 채널(226)은 유체를 제1 연결부(224)를 통해서 필터(200)의 제1 단부 개구(210)로 또는 그로부터 이송한다. 실시형태에서, 제1 유체 채널(226)은 유체를 제1 연결부(224)에 결합된 유체 라인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고, 유체를 필터(200)의 제1 단부 개구(210)를 향해서 지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유체 채널(226)은 제1 단부 개구(210)에서 필터(200)를 빠져 나오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고, 필터링된 유체를 제1 연결부(224)에 결합된 유체 라인 내로 지향시킬 수 있다.
슬롯(228)은 플랜지(20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 블록(222) 내에 형성된 슬롯이다. 슬롯(228)은 비교적 더 좁은 개구부 및 비교적 더 넓은 내부 채널을 포함한다. 비교적 더 좁은 개구부의 폭은, 부축을 따른 플랜지(206)의 길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러나 주축을 따른 플랜지(206)의 길이를 수용할 수 없도록, 선택될 수 있다. 비교적 더 넓은 내부 채널은 주축을 따른 플랜지(206)의 길이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비교적 더 좁은 개구부의 폭 및 비교적 더 넓은 내부 채널의 폭의 각각은, 매니폴드(220)와 함께 사용되는 필터(200)의 플랜지(206)의 치수 및 주축 및 부축을 따른 해당 플랜지(206)의 길이들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하는 임의의 적합한 폭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슬롯(228)의 일부는 전술한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스토퍼(106)와 같은 스토퍼와 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토퍼와 슬롯(228) 사이의 접촉이 슬롯(228)에 대한 필터(200)의 회전 또는 다른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스토퍼는 슬롯(228)의 측벽에서 슬롯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와 접촉되는 슬롯(228)의 측벽은 슬롯(228)의 비교적 더 좁은 개구부에 위치되는 측벽일 수 있다.
제2 단부 블록(230)은, 유체가 제2 단부 블록(230)에서 필터(200)로부터 수용될 수 있게 또는 그에 제공될 수 있게 필터(200)의 제2 단부(2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매니폴드(220)의 부분이다. 제2 단부 블록(230)은 매니폴드(220)와 함께 사용되는 필터(200)의 크기를 기초로 하는 거리만큼 제1 단부 블록(22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필터(200)는 매니폴드(220)에 적절히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32)는 유체 라인이 매니폴드(220)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연결 지점이다. 제2 연결부(232)는 유체 라인을 매니폴드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연결부, 예를 들어 나사산형 연결부, 중단 나사, 스냅-피팅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결합 특징부, 하나 이상의 신속-분리 연결부, 또는 기타일 수 있다.
제2 유체 채널(234)은 유체를 제2 연결부(232)를 통해서 필터(200)의 제2 단부 개구(218)로 또는 그로부터 이송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2 유체 채널(234)은 제2 단부 개구(218)에서 필터(200)를 빠져 나오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고, 필터링된 유체를 제2 연결부에 결합된 유체 라인 내로 지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유체 채널(234)은 유체를 제2 연결부(232)에 결합된 유체 라인으로부터 수용할 수 있고, 유체를 필터(200)의 제2 단부 개구(218)를 향해서 지향시킬 수 있다.
컵(236)은 필터(200)의 볼(21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매니폴드 블록(220)의 일부이다. 컵(236)은 필터(200)의 제2 단부(212)를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계적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예를 들어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특징부에 의해서 대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컵(236)은 필터 설치 프로세스의 초기 단계로서 볼(214)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실시형태에서, 컵(236) 또는 캔은 필터(200)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필터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고 후술되는 것과 같은 삽입 위치와 록킹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볼(214)이 컵(236) 내에 있을 때, 필터(200)는, 플랜지(206)가 제1 단부 블록(222) 내의 슬롯(228)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이동 범위를 통해서 이동될 수 있다. 컵(236)은, 볼(214)이 컵(236) 내에 있고 플랜지(206)가 슬롯(228) 내에 있을 때 제2 밀봉부(216)가 볼(214)과 컵(236) 사이에서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격부(238)가 제1 단부 블록(222)과 제2 단부 블록(230) 사이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격부(238)는, 예를 들어 단부 블록들(222, 230)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여 필터가 적절히 설치될 수 있도록, 단부 블록들(222, 230)을 연결하는 단편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단부 블록(222) 및 제2 단부 블록(230)은, 예를 들어 단부 블록들(222, 230)이 장착되는 벽과 같은 표면에 각각 연결되는, 별도의 단편들일 수 있다.
도 3a는, 필터가 삽입 배향에 있을 때,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필터(300)는, 플랜지(302)의 부축이 슬롯(308)의 개구부(306)의 폭 방향일 때 플랜지(302)가 매니폴드 블록(304) 내로 삽입되도록, 배향된다. 이러한 것은 플랜지(302)가 개구부(306)의 양 측면 상의 블록들(310)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블록들(310)이 부축을 따른 플랜지의 폭보다 먼 거리(D)만큼 이격되기 때문이다. 주축이 개구부(306)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은 플랜지(302)의 폭이 되도록 필터(300)가 정렬된 경우, 블록들(310)은 필터(300)의 삽입을 방지할 것인데, 이는 거리(D)가 플랜지(302)의 주축을 따른 거리보다 짧기 때문이다.
도 3b는, 필터가 록킹 위치에 있을 때, 도 3a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및 필터 매니폴드를 도시한다. 도 3b에서, 플랜지(302)는 도 3a에 도시된 삽입 배향으로 매니폴드 블록(304) 내로 삽입되었고, 이어서 플랜지(302)가 블록들(310) 사이의 개구부(306)를 통과하면, 필터(300)가 록킹 위치로 회전된다. 도 3b에 도시된 록킹 위치에서, 플랜지(302)의 주축은 이제 슬롯(308)에 대한 폭 방향으로 위치되며, 블록들(310)을 지나서 슬롯(308)의 추가적인 폭 내에 수용된다. 블록들(310)은 필터가 록킹 위치에서 개구부(306)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b에 도시된 록킹 위치에서, 록킹 스토퍼(312)가, 예를 들어 블록들(310) 중 하나에서 또는 슬롯(308)의 벽을 따라서, 매니폴드 블록(304)과 접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필터(300)의 회전을 방지하고/하거나 플랜지(302)가 개구부(306)를 통과할 수 없도록 플랜지(302)를 추가적으로 고정한다.
도 4a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매니폴드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필터 매니폴드(400)의 일부는 필터 매니폴드의 상부 단부 블록, 예를 들어 전술한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제1 단부 블록(222)일 수 있다. 도 4a의 단면도에서, 슬롯(402)을 볼 수 있고, 블록(404)은 슬롯(402)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연결부(406) 및 유체 채널(408)을 또한 볼 수 있고, 장착 개구(410)도 볼 수 있다.
슬롯(402)은 폭(W1)을 갖는다. 폭(W1)이 슬롯(402) 내로 삽입되는 플랜지의 주축을 따른 길이보다 넓도록, 슬롯(402)의 크기가 결정된다. 슬롯이 W1 보다 좁은 그리고 슬롯(402) 내로 삽입되는 플랜지의 주축을 따른 길이보다 좁은 폭(W2)을 갖도록, 블록(404)이 슬롯(402)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폭(W2)은 슬롯(402) 내로 삽입되는 플랜지의 부축을 따른 길이보다 넓고, 그에 따라 플랜지가 삽입 위치로 배향될 때, 플랜지는 개구부에 진입할 수 있으나, 록킹 위치로 배향될 때, 플랜지는 블록(404)으로 인해서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다. 슬롯(402) 및/또는 블록(404)은, 슬롯(402) 내로 삽입되는 플랜지 상에 형성된 스토퍼와 접촉되는 접촉 표면 또는 결합 지점을 더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토퍼와의 접촉은 플랜지를 포함하는 필터가 슬롯(402)에 대해서 이동하는 것, 예를 들어 필터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연결부(406)는, 전술한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제1 연결부(224)와 같은, 유체 라인을 부착할 수 있게 하는 연결부이다. 유체 채널(408)은, 연결부(406)에 결합된 유체 라인과 슬롯(402) 내로 삽입된 필터 사이에서 유체를 이송할 수 있는 채널이다. 유체 채널(408)은, 예를 들어, 전술한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제1 유체 채널(226)일 수 있다.
장착 개구(410)는, 단부 블록을 해당 표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단부 블록이 표면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단부 블록 내의 개구부일 수 있다. 장착 개구(410)는 기계적 연결을 위한 임의의 적합한 개구부, 예를 들어 핀을 수용하기 위한 드릴 가공된 홀, 제 위치로 나사 체결되게 하는 나사산형 홀, 탭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 또는 기타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장착 개구(410)는 단부 블록을 전술한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이격부(238)와 같은 이격부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4b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매니폴드의 일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블록(404)에 의한 슬롯(402)의 개구부의 협소화(constriction)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정면도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의 폭(W2)은 블록(404)에 의해서 형성되는 폭이다. 연결부(406)를 또한 도 4b에서 제공된 정면도에서 볼 수 있고, 이는 유체 라인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406)의 나사산을 보여 준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의 플랜지의 하부측을 도시한다. 플랜지(500)는, 하부 기부 표면(502)과 측면 연부(506) 사이의 모따기부(504)와 함께, 하부 기부 표면(502)을 포함한다. 측면 연부(506)는 부축 또는 폭 방향을 따른 플랜지(500)의 단부일 수 있다. 모따기부는, 상단 표면(미도시)으로부터 하부 기부 표면(502)까지의 두께에 비해서, 측면 연부(506)에서의 플랜지(5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매니폴드 및 필터 시스템(600)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매니폴드(602)는, 제1 정렬 마크(604)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블록(604)을 포함한다. 필터(608)는 제2 정렬 마크(610)를 포함한다.
매니폴드 블록(604)은 전술한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매니폴드(220)의 제1 단부 블록(222)과 같은 매니폴드 블록일 수 있다. 제1 정렬 마크(606)는 매니폴드 블록(604) 내에 형성될 슬롯(612)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정렬 마크(606)는 슬롯(612)에 센터링되나, 제1 정렬 마크(606)는 사용자가 필터(608)를 매니폴드 블록(604)과 정렬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1 정렬 마크(606)는 색소 침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시각적 식별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제1 정렬 마크(606)는 매니폴드 블록(604)으로부터 외측으로의 돌출부 또는 매니폴드 블록(604) 내의 오목부와 같은 물리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1 정렬 마크(606)는 사용자에 의해서 이해되는 시각적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1 정렬 마크(606)는 자동화와 함께 사용되는 기계적 또는 기계 시야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필터(608)는, 예를 들어 전술한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한 필터(100 또는 200)와 같은, 매니폴드(602)와 함께 사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필터일 수 있다. 필터(608)는 제2 정렬 마크(610)를 포함한다. 제2 정렬 마크(610)는 필터(608)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필터(608)를 매니폴드(602)와 정렬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정렬 마크는, 플랜지의 주축과 일치되게, 필터(608)의 플랜지의 부축에 대해서 필터(608) 상에서 센터링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정렬 마크(610)가 필터(608) 상의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어, 필터(608)를 매니폴드(602)와 정렬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2 정렬 마크(610)는 색소 침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시각적 식별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제2 정렬 마크(610)는 필터(608)로부터 외측으로의 돌출부 또는 필터(608) 내의 오목부와 같은 물리적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2 정렬 마크(6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이해되는 시각적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2 정렬 마크(610)는 자동화와 함께 사용되는 기계적 또는 기계 시야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사용 시에, 제1 정렬 마크(606) 및 제2 정렬 마크(610)는 서로에 대한 미리 결정된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배향은 매니폴드(602)에 대한 필터(608)의 삽입 배향과 연관된다. 이는, 필터(608)가 슬롯(612)에 진입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이어서 미리 결정된 방향을 따른 회전에 의해서 록킹 위치로 이동되게 적절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필터(608)를 슬롯(612) 내로 적절히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필터(608)가 록킹 위치로 완전히 회전될 때 제1 정렬 마크(606)에 대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을 수 있는 제3 정렬 마크(미도시)와 같은, 부가적인 마킹을 포함하여, 매니폴드(602)에 대한 필터(608)의 위치와 관련된 추가적인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양태:
양태 1 내지 양태 12 중 임의의 양태가 양태 13 내지 양태 18 중 임의의 양태와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양태 1. 필터이며:
본체;
제1 필터 개구를 갖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에 위치된 제1 플랜지;
상기 제1 단부에 대향되고 제2 필터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평면도에서 주축 및 부축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축을 따른 폭보다 긴 상기 주축을 따른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플랜지가 필터 매니폴드 내로 삽입되고 록킹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필터 매니폴드의 유지 특징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필터.
양태 2. 양태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에 배치된 밀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1 필터 개구를 둘러싸는, 필터.
양태 3. 양태 2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 면 밀봉부인, 필터.
양태 4. 양태 2 또는 양태 3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형성된 홈 내에 배치되는, 필터.
양태 5. 양태 1 내지 양태 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상기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포함하는, 필터.
양태 6. 양태 5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직선형 측면들을 향한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필터.
양태 7. 양태 5 또는 양태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의 연부가 상기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동선적이 되도록,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필터.
양태 8. 양태 1 내지 양태 7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 상기 형상의 주축을 따른 각각의 단부가 곡선부를 포함하는, 필터.
양태 9. 양태 8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상기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더 포함하는, 필터.
양태 10. 양태 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주축을 따른 일 단부의 곡선부가 상기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필터.
양태 11.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이며:
필터로서:
본체;
제1 필터 개구를 갖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에 위치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되고 제2 필터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평면도에서 주축 및 부축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축을 따른 폭보다 긴 상기 주축을 따른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로서:
제1 단부 블록 개구 및 상기 필터의 제1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 그리고 결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1 단부 블록으로서, 상기 슬롯은 상기 부축을 따른 폭보다 넓고 상기 주축을 가로지르는 길이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개구부, 그리고 상기 주축을 따른 상기 제1 플랜지의 길이보다 넓은 내부 슬롯 폭을 가지며, 상기 결합 특징부는 상기 제1 플랜지가 상기 슬롯 내로 삽입되고 상기 필터가 록킹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필터의 스토퍼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1 단부 블록;
제2 단부 블록 개구 및 상기 필터의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단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가 록킹 위치에 있을 때, 유체가 상기 제2 단부 블록 개구로부터 상기 제2 필터 개구를 통해서, 상기 본체를 통해서, 상기 제1 필터 개구를 통해서, 그리고 상기 제1 단부 블록 개구까지 유동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12. 양태 1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상기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13. 양태 1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의 연부가 상기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동선적이 되도록,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14. 양태 1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의 연부에 수직인 단부를 가지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15. 양태 11 내지 양태 1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 상기 형상의 주축을 따른 각각의 단부가 곡선부를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16. 양태 15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상기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더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17. 양태 1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주축을 따른 일 단부의 곡선부가 상기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18. 양태 11 내지 양태 17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 특징부가 상기 슬롯의 측벽인,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19. 양태 18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측벽이 상기 슬롯의 개구부에 위치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양태 20. 양태 11 내지 양태 19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필터 정렬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는 매니폴드 정렬 마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정렬 마크와 매니폴드 정렬 마크의 상대적인 위치들은, 상기 필터가 상기 매니폴드에 대한 삽입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본원에서 개시된 예는 모든 측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그리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결정되고, 청구항의 의미 내의 그리고 균등론 범위 내의 모든 변화가 그에 따라 포함될 것이다.

Claims (20)

  1. 필터이며:
    본체;
    제1 필터 개구를 갖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에 위치된 제1 플랜지;
    상기 제1 단부에 대향되고 제2 필터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평면도에서 주축 및 부축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축을 따른 폭보다 긴 상기 주축을 따른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제1 플랜지는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는, 제1 플랜지가 필터 매니폴드 내로 삽입되고 록킹 위치로 회전될 때, 필터 매니폴드의 유지 특징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에 배치된 밀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1 필터 개구를 둘러싸는,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 면 밀봉부인, 필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 상기 제1 플랜지 내에 형성된 홈 내에 배치되는, 필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상기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포함하는, 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가 직선형 측면들을 향한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필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의 연부가 상기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동선적이 되도록,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필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 상기 형상의 주축을 따른 각각의 단부가 곡선부를 포함하는,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상기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더 포함하는,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주축을 따른 일 단부의 곡선부가 상기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필터.
  11.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이며:
    필터로서:
    본체;
    제1 필터 개구를 갖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에 위치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단부에 대향되고 제2 필터 개구를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평면도에서 주축 및 부축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축을 따른 폭보다 긴 상기 주축을 따른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로서:
    제1 단부 블록 개구 및 상기 필터의 제1 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 그리고 결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제1 단부 블록으로서, 상기 슬롯은 상기 부축을 따른 폭보다 넓고 상기 주축을 가로지르는 길이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개구부, 그리고 상기 주축을 따른 상기 제1 플랜지의 길이보다 넓은 내부 슬롯 폭을 가지며, 상기 결합 특징부는 상기 제1 플랜지가 상기 슬롯 내로 삽입되고 상기 필터가 록킹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필터의 스토퍼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1 단부 블록;
    제2 단부 블록 개구 및 상기 필터의 제2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2 단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가 록킹 위치에 있을 때, 유체가 상기 제2 단부 블록 개구로부터 상기 제2 필터 개구를 통해서, 상기 본체를 통해서, 상기 제1 필터 개구를 통해서, 그리고 상기 제1 단부 블록 개구까지 유동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상기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의 연부가 상기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동선적이 되도록,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의 연부에 수직인 단부를 가지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 상기 형상의 주축을 따른 각각의 단부가 곡선부를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평면도에서의 형상이 상기 주축에 평행한 직선형 측면들을 더 포함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주축을 따른 일 단부의 곡선부가 상기 직선형 측면들 중 하나와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특징부가 상기 슬롯의 측벽인,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측벽이 상기 슬롯의 개구부에 위치되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필터 정렬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는 매니폴드 정렬 마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정렬 마크와 매니폴드 정렬 마크의 상대적인 위치들은, 상기 필터가 상기 매니폴드에 대한 삽입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필터 및 매니폴드 시스템.
KR1020237014139A 2020-09-30 2021-09-27 자가-록킹 매니폴드 및 필터 KR202300787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5639P 2020-09-30 2020-09-30
US63/085,639 2020-09-30
PCT/US2021/052188 WO2022072276A1 (en) 2020-09-30 2021-09-27 Self-locking manifold and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730A true KR20230078730A (ko) 2023-06-02

Family

ID=8082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139A KR20230078730A (ko) 2020-09-30 2021-09-27 자가-록킹 매니폴드 및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96984A1 (ko)
EP (1) EP4221863A1 (ko)
JP (1) JP2023543884A (ko)
KR (1) KR20230078730A (ko)
CN (2) CN114307354A (ko)
WO (1) WO20220722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716A (en) * 1986-01-27 1988-04-05 Cuno Corporated Quick-change filter cartridge and head therefor
US4904382A (en) * 1987-11-23 1990-02-27 Everpure, Inc. Filter cartridge security for locking between operating and non-operating positions
US5336406A (en) * 1993-01-26 1994-08-09 Elkay Manufacturing Company Replaceable filter cartridge and head assembly with safety shut-off valve
US6120685A (en) * 1999-02-26 2000-09-19 Maytag Corporation Water filtering system with replaceable cartridge for a refrigerator
CN103209756B (zh) * 2010-11-19 2016-05-18 3M创新有限公司 过滤系统
US10087085B2 (en) * 2014-04-23 2018-10-02 Michael T. Baird Water filter cartridge and manifold head seal
US9901854B1 (en) * 2015-01-22 2018-02-27 Michael T. Baird Water filter cartridge with improved leak indicator
US10071326B2 (en) * 2015-09-11 2018-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Inc. Filter cartridge for translational insertion and rotational engagement of a mani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2276A1 (en) 2022-04-07
CN114307354A (zh) 2022-04-12
TW202231331A (zh) 2022-08-16
JP2023543884A (ja) 2023-10-18
US20220096984A1 (en) 2022-03-31
CN216418582U (zh) 2022-05-03
EP4221863A1 (en)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3501A1 (en) Pipe coupling
TWI738653B (zh) 交換單元及使用其的流動回路系統
US7559256B2 (en) Flow rate measuring device
CA2971388C (en) A pressure transmitter coupling
CN213253359U (zh) 过滤器单元、过滤器歧管系统及歧管块
US11313365B2 (en) Reciprocating pump designed for preventing valves from being assembled erroneously
CN110198773B (zh) 过滤容器装卸系统
KR20230078730A (ko) 자가-록킹 매니폴드 및 필터
CN103674154A (zh) 可移除的传感器端口插入装置
US8365765B2 (en) Flow restrictor cartridge for fluid flow measurements
TWI836270B (zh) 自鎖歧管與過濾器
US11940066B2 (en) Flow passage joint structure
CN110274640B (zh) 电磁流量计
TWI681141B (zh) 轉換接頭、具有此轉換接頭的整合型流體供給裝置以及流體零件的安裝方法
CN110132366B (zh) 流量计及其孔板承载件组件
US20210031127A1 (en) Adaptor plug for a spin-on filter
CN210600597U (zh) 整体浮动式快插自密封流体接头
US8567269B1 (en) Sensor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JP4959799B2 (ja) 分離した係止具を有するモジュール型回転式連結システム
EP4033138A1 (en) Quick connector with modular flow control insert
CN220512728U (zh) 投料装置及烹饪设备
EP1010932A2 (en) Quick-coupling with built in check valves
JP2008241622A (ja) ユニオン継手間上下相対位置測定用治具
KR100193731B1 (ko) 화학용액 관리센서의 하우징
JP2009532667A (ja) 流体分配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使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