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193A - 일체형 화분 - Google Patents

일체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193A
KR20230078193A KR1020210165720A KR20210165720A KR20230078193A KR 20230078193 A KR20230078193 A KR 20230078193A KR 1020210165720 A KR1020210165720 A KR 1020210165720A KR 20210165720 A KR20210165720 A KR 20210165720A KR 20230078193 A KR20230078193 A KR 20230078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eating
extension
supporting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룡
Original Assignee
김부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룡 filed Critical 김부룡
Priority to KR102021016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8193A/ko
Publication of KR2023007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며, 저면에 물이 흐를 수 있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배수구에서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안착부에 대해 회동가능한, 일체형 화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화분{ALL IN ONE FLOWERPOT}
본 발명은 일체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물받이가 수용되는 일체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관상용 식물을 기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화단을 꾸밀 수 있는 토지가 필요하나, 근래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공 주택이나 다세대 주택이 증가하면서 화단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가진 가구는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종 식물을 가꾸기 위한 화단의 경우, 실외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내 분위기와는 거의 관계가 없는 바, 화단이 있는 경우에도 실내 분위기를 바꿔주기 위해 화분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화초 등의 식물을 키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분은 통상 점토나 합성수지로 원통형태 또는 사각형태의 용기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흙을 담아 식물(화초나 나무등)을 성장할 수 있도록 식재하고 있다.
다만, 식물의 성장에 따라 화분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화분은 사이즈가 정해져 있으므로 그 높이를 조절하기 어렵고, 아울러 물받이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화분의 전체적인 미관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받이가 내장되어 사용자에게 심미적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다기능으로 사용가능한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며, 저면에 물이 흐를 수 있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배수구에서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안착부에 대해 회동가능한, 일체형 화분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며,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안착부, 연장부 및 받침부에는 중심이 서로 정렬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지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단일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 1 지지부재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 2 지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안착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 연장부 및 받침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상면에는 상기 연장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하부에는 복수개의 이동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화분에서는 물받이가 내장되어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심미적인 안정감을 주며, 베이스부가 안착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물받이가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물갈이가 편리하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연장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사이즈가 큰 새로운 화분을 구입하지 않고, 그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절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화분의 절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절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화분의 절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화분(1)은 베이스부(100), 안착부(200), 물받이부(300), 연장부(400) 및 받침부(5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 및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00)는 내부에 흙 또는 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가진다.
베이스부(100)의 저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배수구(110)를 통해 아래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2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 및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결합하여 베이스부(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아울러, 안착부(200)의 내부에 물받이부(300)가 안착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00)와 안착부(20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착부(200) 상면 일측에는 자석(210)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는 상기 자석(210)과 결합할 수 있는 금속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물받이부(300)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100)의 배수구(110)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해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가진다. 물받이부(300)는 하부면 및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안착부(200)의 수용공간 상에 안착한다.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화분(1)을 화병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수구(110)에는 상기 배수구(110)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마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배수구(110)에는 물받이부(300)의 물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심지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00)에 물을 천천히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수분함량에 민감한 식물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상분과 하분을 심지로 연결하여 하분의 물(수분)을 상분의 흙속으로 공급하는 식물재배화분의 구성이다
연장부(400)는 안착부(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안착부(200)를 지지하며, 받침부(500)에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연장부(400)는 제 1 연장부(410) 및 제 2 연장부(420)로 이루어진다. 제 1 연장부(410) 및 제 2 연장부(42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연장부(420)는 필요에 따라 제 1 연장부(410)의 상부면에 결합하여 연장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 안착부(200), 물받이부(300) 및 연장부(400)의 형상은 상술한 원기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받침부(500)은 바닥에 놓여지는 수평 부재로서, 연장부(400)와 결합하여, 그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00), 안착부(200), 물받이부(300) 및 연장부(400)를 안정되게 수평으로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부(500)의 하부에는 일체형 화분(1)을 쉽게 움직이게 하는 이동부재(510)로서 복수개의 바퀴 또는 볼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부(500)이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화분(1)은 상기 베이스부(100), 안착부(200), 연장부(400) 및 받침부(500)을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100), 안착부(200), 연장부(400) 및 받침부(500)의 수직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101, 201, 202, 301, 302, 411, 412, 421, 422, 501, 502)이 형성되고, 각각의 관통홀(101, 201, 202, 301, 302, 411, 412, 421, 422, 501, 502)에는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부재(600)가 삽입된다.
먼저, 베이스부(100)와 안착부(200)는 제 1 지지부재(610)를 통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지지부재(610)는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611)를 가지는 핀의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안착부(200)의 관통홀(201) 상측에는 상기 플랜지(611)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610)의 일측은 안착부(200)의 관통홀(201)에 삽입되어 플랜지(611)는 홈에 고정되고, 제 1 지지부재(610)의 타측은 베이스부(100)의 관통홀(101)에 삽입되어, 베이스부(100)는 안착부(200)의 상면에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00)는 제 1 지지부재(61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물받이부(300)에 수용된 물을 버리고자 할 때, 베이스부(100)를 제 1 지지부재(610)에 대해 회동시키면 베이스부(100) 하부에 위치하는 물받이부(300)가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착부(200), 연장부(400) 및 받침부(500)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제 2 지지부재(62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지지부재(620)는 수직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되는 한 쌍의 플랜지(621, 622)를 가지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200), 연장부(400) 및 받침부(500)의 관통홀(202, 301, 302, 411, 412, 421, 422, 501, 502)에는 상기 플랜지(621, 622)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핀이 상기 관통홀(202, 301, 302, 411, 412, 421, 422, 501, 502)에 삽입되면 플랜지(621, 622)가 홈에 걸리면서 고정되고, 받침부(500)과 제 1 연장부(410), 제 1 연장부(410)와 제 2 연장부(420), 그리고 안착부(200)와 제 1 연장부(410)는 상기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하여 지지된다. 이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발광부(520)에서 조사되는 빛은 이격되는 공간을 통해 분산되어 실내공간에 은은하면서도 부드러운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지지부재(620)는 받침부(500)과 제 1 연장부(410), 제 1 연장부(410)와 제 2 연장부(420), 그리고 안착부(200)와 제 1 연장부(410)의 사이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은 베이스부(100), 안착부(200) 및 연장부(4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관통되지 않고, 핀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만큼만 함몰형성되어도 좋다.
아울러, 받침부(500)의 중심부에는 연장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5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부(520)는 상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 장치와 상기 LED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부는 일측에 통상의 전력공급이 가능한 전원선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구성하여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가 있고, 상기 통상의 소모성 배터리 및 충전식 배터리를 적용하여 무선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발광부(520)에서 빛이 조사되면, 빛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부(500)과 제 1 연장부(410), 제 1 연장부(410)와 제 2 연장부(420), 그리고 안착부(200)와 제 1 연장부(410)의 이격공간을 통해 분산되고, 이에 실내공간에 은은하면서도 부드러운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광부(520)는 상기 받침부(500)의 일측에 상기 전력부와 연결되는 감지센서(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공간에 사람의 움직임 및 체온 등이 감지될 경우 상기 감지센서(530)가 상기 LED 장치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실내공간에 빛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530)는 열감지센서, 인체감지센서, 동작감지센서, 자동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 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화분(1')에서는, 관통홀(101, 201, 202, 301, 302, 411, 412, 421, 422, 501, 502)에 봉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지지부재(610')는 베이스부(100), 안착부(200), 연장부(400) 및 받침부(500)를 따라 정렬되는 관통홀(101, 201, 411, 421, 501)에 삽입되고, 제 2 지지부재(620')는 안착부(200), 연장부(400) 및 받침부(500)를 따라 정렬되는 관통홀(202, 412, 422, 502)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00)는 제 1 지지부재(61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물받이부(300)에 수용된 물을 버리고자 할 때, 베이스부(100)를 제 1 지지부재(610')에 대해 회동시키면 베이스부(100) 하부에 위치하는 물받이부(300)가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200), 연장부(400) 및 받침부(500)가 이격되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안착부(200)와 연장부(400)를 투명패널로 형성하여, 발광부(520)에서 조사되는 빛을 연장부(400)와 안착부(200)의 측벽을 통해 외부로 발산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화분(1)에서는 물받이부(300)가 내장되어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심미적인 안정감을 주며, 베이스부(100)가 안착부(2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물받이부(300)가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물갈이가 편리하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연장부(4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사이즈가 큰 새로운 화분을 구입하지 않고, 그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일체형 화분
100 베이스부
200 안착부
300 물받이부
400 연장부
500 받침부
600 지지부재

Claims (7)

  1.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며, 저면에 물이 흐를 수 있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배수구에서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물받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안착부에 대해 회동가능한, 일체형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며,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화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안착부, 연장부 및 받침부에는 중심이 서로 정렬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화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단일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 1 지지부재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 2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화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재를 중심으로 안착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 연장부 및 받침부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화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상면에는 상기 연장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화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하부에는 복수개의 이동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화분.
KR1020210165720A 2021-11-26 2021-11-26 일체형 화분 KR20230078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720A KR20230078193A (ko) 2021-11-26 2021-11-26 일체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720A KR20230078193A (ko) 2021-11-26 2021-11-26 일체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193A true KR20230078193A (ko) 2023-06-02

Family

ID=8675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720A KR20230078193A (ko) 2021-11-26 2021-11-26 일체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81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715B2 (en) Vertical planter
US6516563B1 (en) Plant container
KR101127310B1 (ko) 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US20210228002A1 (en) Furniture
KR101004333B1 (ko) 멀티 재배장치
US6962022B2 (en) Suspended barrier for a plant pot
KR101362925B1 (ko) 채소재배 및 새싹재배 겸용 가정용 다기능 식물재배기
US20220354065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20230078193A (ko) 일체형 화분
US6622638B2 (en) Stand convertible to a table or decorative container
CA1067289A (en) Plant growing receptacle
US20110289837A1 (en) Inverted Planter With Support
KR101379738B1 (ko) 물분사부를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20170004396A (ko) 가정용 채소 재배장치
EP06422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pre-cultivation and ultimate cultivation of plants
KR102486017B1 (ko) 캣 그라스
KR20030094129A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KR101168931B1 (ko) 주방용 광 재배장치
KR890004266Y1 (ko) 무공해 콩나물 재배기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KR200411877Y1 (ko) 다목적 분리식 화분
JPH071958Y2 (ja) 簡易植物栽培装置
JP3196541U (ja) 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