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810A - 필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810A
KR20230077810A KR1020210164692A KR20210164692A KR20230077810A KR 20230077810 A KR20230077810 A KR 20230077810A KR 1020210164692 A KR1020210164692 A KR 1020210164692A KR 20210164692 A KR20210164692 A KR 20210164692A KR 20230077810 A KR20230077810 A KR 2023007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frame
washing water
clea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743B1 (ko
Inventor
최현진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21016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7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필터 세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필터 세척장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와, 본체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건조하여 잔류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세척장치{FILTE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설치되어 오염된 필터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면서 고압수를 분사하고, 고온열기를 공급하여 필터를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공기정화기)는 본체에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되어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걸러주고, 이물질이 걸러진 청정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설정공간을 청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본체에 설치된 다수의 필터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지고 청정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모든 필터는 장시간 사용시 오염되고 필터를 하우징에서 인출하여 소비자가 직접 세척 및 건조하는 작업을 거쳐 본체의 내부에 다시 장착하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특히 필터 중 가장 최종부분에 설치된 미세먼지 필터는 이물질을 최종적으 걸러주는 최종 필터로서, 초미세먼지들이 걸러진다. 초미세먼지는 산업화와 수도권 집중화가 가속될수록 점차 심해지면서 사람들의 기관지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공기청정기는 본체에 내장된 필터를 소비자가 직접 인출하여 세척 및 건조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필터가 손상되어 공기정화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자연 건조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려 공기청정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76931호(2020.02.06, 발명의 명칭: 필터 자동청소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에 설치되어 오염된 필터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면서 분사노즐부로 고압수를 분사하고, 급속건조부에서 고온열기를 공급하여 필터를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필터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건조하여 잔류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에서 왕복 이동하는 왕복작동부; 및 상기 왕복작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배치된 상기 분사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왕복작동부의 승강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분사노즐부를 승강 작동하는 승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왕복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블록;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왕복작동부는 상하이동제한부에 의해 상기 필터의 상측영역과 상기 필터의 하측영역 간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조절하고, 상기 상하이동제한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블록의 상측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상측감지센서;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블록의 하측의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하측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측으로 길게 배치되면서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부; 및 상기 왕복작동부에 마련된 연장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부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필터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상기 승강연결부에 구비된 연결브라켓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분사하우징; 상기 분사하우징의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세척수투입부; 상기 세척수투입부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이송하는 세척수연결관로; 및 상기 세척수연결관로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부에 의해 세척된 상기 필터에서 흘러내린 오수를 포집하여 배출 및 회수하는 오수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포집부는, 상기 필터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프레임,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를 덮어주는 덮개하우징; 상기 덮개하우징의 하부에 오수를 모아주도록 바닥부위가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포집홈부; 및 상기 포집홈부의 중앙부위에서 하부로 인출되는 배출연결관로; 및 상기배출연결관로에 연결되어 오수를 회수하는 오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부에 의해 세척된 상기 필터에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해 고온열기를 공급하여 급속 건조를 수행하는 급속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속건조부는, 상기 분사노즐부에 구비된 분사하우징에 구비되는 공기투입부; 상기 공기투입부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연결관로; 상기 공기연결관로에 연결되고, 작동을 통해 고온의 열기를 고압공기와 함께 공급하거나, 오프를 통해 상온의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에 연결되어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는, 본체에 설치되어 오염된 필터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면서 분사노즐부로 고압수를 분사하고, 급속건조부에서 고온열기를 공급하여 필터를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포집부를 이용하여 필터를 세척하면서 발생한 오수를 하부에서 모아서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후면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후면 조립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중간부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에서, 분사노즐부와 급속건조부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에서, 급속건조부를 보인 부분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에서, 오수포집부가 필터를 감싸는 상태를 보인 전면 및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후면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후면 조립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중간부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에서, 분사노즐부와 급속건조부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에서, 급속건조부를 보인 부분 분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에서, 오수포집부가 필터를 감싸는 상태를 보인 전면 및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는, 본체(100), 필터(200) 및 이물질제거부(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의 외형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는 공기청정기, 공기정화기 등 더러워진 공기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체(100)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청정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필터(200)는 수용공간(110)에 설치되고,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걸러주는 구성이다. 필터(200)는 프리필터, 미디엄필터, 헤파필터, 정전기필터 및 탈취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0)는 본체(100)의 수용공간 내부에서 사각형상으로 배치되고, 공기가 전측에서 후측으로 이동하면서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필터(200)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정화기 등에서 인출하여 오염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에 설치하여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가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정화기 등에 직접 설치되어 오염된 필터(200)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물질제거부(300)는 본체(100)의 수용공간(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필터(200)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건조하여 잔류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이물질제거부(300)는 필터(200)의 적어도 일측면에 고압수를 골고루 분사함으로써, 필터(200)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제거부(300)는, 본체(100)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프레임(400)과, 프레임(400)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500)와, 이동부(500)에 구비되고, 필터(200)의 이면에 설치되어 필터(200)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600)를 포함한다.
본체(100)에는 이물질제거부(300)의 구성을 점검할 수 있는 도어(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20)는 여닫이 방식으로 힌지에 의해 열리고 닫힐 수 있다. 도어(120)는 본체(100)의 후면에 사각판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본체(100)에서 다양한 형상 및 다른 위치로 변경이 가능하다.
프레임(400)은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400)의 전면부에 분사노즐부(600)가 배치되고, 프레임(400)의 후면부에 이동부(500)가 구비되어 분사노즐부(6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이동부(500)에 튀어서 묻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부(500)는, 프레임(400)에 설치되는 구동부(510)와, 구동부(510)에 연결되고, 프레임(400)에서 왕복 이동하는 왕복작동부(520)와, 왕복작동부(520)에 구비되고, 프레임(400)의 전측에 배치된 분사노즐부(600)와 연결되어 왕복작동부(520)의 승강에 따라 연동하여 분사노즐부(600)를 승강 작동하는 승강연결부(530)를 포함한다.
구동부(51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512)와, 구동모터(512)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14)와, 구동기어(514)에 치합되고, 왕복작동부(520)에 구비된 볼스크류(522)에 결합되는 피동기어(516)를 포함한다.
구동모터(512)는 스텝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512)는 2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1개 또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구동모터(512)를 구비한 이유는 동력을 분산하여 왕복작동부(520)의 볼스크류(522)가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하기 위함이다.
왕복작동부(520)는, 프레임(400)에 배치되어 구동부(510)에 의해 회전하는 볼스크류(522)와, 볼스크류(522)에 나사 결합되고, 볼스크류(522)의 회전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이동블록(524)과, 이동블록(524)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블록(526)과, 프레임(400)에 구비되어 이동블록(52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28)를 포함한다.
볼스크류(522)는 프레임(400)의 이면 중간부위 상하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한다. 이동블록(524)은 상하로 관통 형성된 암나사홀이 형성되어 볼스크류(522)의 수나사산이 체결되어 볼스크류(522)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이동한다.
연장블록(526)는 이동블록(524)의 이면에 볼팅 체결되어 양측으로 벌려지게 형성되어 가이드부(528)의 안내를 통해 상하측으로 승강 이동한다.
가이드부(528)는, 연장블록(526)에 구비되는 가이드슬롯(528a)과, 가이드슬롯(528a)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프레임(400)에 상하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528b)을 포함한다. 가이드슬롯(528a)과 가이드레일(528b)은 한 쌍씩 구비되어 왕복작동부(520)의 상하 이동을 좌우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왕복작동부(520)는 상하이동제한부(540)에 의해 필터(200)의 상측영역과 필터(200)의 하측영역 간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하이동제한부(540)는, 프레임(4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연장블록(526)의 상측 이동을 감지하고, 구동부(51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상측감지센서(542)와, 프레임(4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연장블록(526)의 하측 이동을 감지하고, 구동부(51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하측감지센서(544)를 포함한다.
상측감지센서(542)와 하측감지센서(544)는 리드스위치, 광센서 또는 접촉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측감지센서(542)와 하측감지센서(544)가 연장블록(526)의 상측이동과 하측이동을 각각 감지함에 따라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고, 제어부에서 구동부(510)의 구동모터(512)에 정방향 제어신호 또는 역방향 제어신호를 줌으로써, 왕복작동부(520)를 승강 이동시킨다. 이로써, 왕복작동부(520)의 승강에 의해 승강연결부(530)를 통해 연결된 분사노즐부(600)에서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면서 필터(200)에 묻은 이물질을 상하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거하게 된다.
승강연결부(530)는, 프레임(400)의 상하측으로 길게 배치되면서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부(532)와, 왕복작동부(520)에 마련된 연장블록(526)에 구비되고, 관통홀부(532)를 통해 분사노즐부(600)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534)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분사노즐부(600)는, 필터(200)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승강연결부(530)에 구비된 연결브라켓(534)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분사하우징(610)과, 분사하우징(610)의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세척수투입부(620)와, 세척수투입부(620)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이송하는 세척수연결관로(630)와, 세척수연결관로(630)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640)를 포함한다.
분사하우징(610)은 필터(200)의 너비를 포괄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에 세척수 및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분사하우징(610)의 전면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공이 다수개 형성된다.
세척수투입부(620)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분사하우징(610)의 하부에 3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분사하우징(610)의 내부공간은 3구역으로 나뉘어진다. 그 이유는 분사하우징(610)의 내부공간이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 노즐공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세척수연결관로(630)는 3가닥으로 연결되다가 하나로 합쳐져서 세척수공급부(640)에 연결된다. 세척수공급부(640)는 수도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부(600)에 의해 세척된 필터(200)에서 흘러내린 오수를 포집하여 배출 및 회수하는 오수포집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오수포집부(700)는, 필터(200)의 둘레를 감싸면서 프레임(400), 이동부(500) 및 분사노즐부(600)를 덮어주는 덮개하우징(710)과, 덮개하우징(710)의 하부에 오수를 모아주도록 바닥부위가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포집홈부(720)와, 포집홈부(720)의 하부로 인출되는 배출연결관로(830)와, 배출연결관로(830)에 연결되어 오수를 회수하는 오수회수부(740)를 포함한다.
포집홈부(720)는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오수의 포집에 유리하고 좋다. 오수회수부(740)는 본체(100)의 바닥에서 수납되는 트레이일 수 있으며, 오수회수부(740)는 경우에 따라 오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저장하고 정화 처리한 후,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는, 분사노즐부(600)에 의해 세척된 필터(200)에 분사노즐부(600)를 통해 고온열기를 공급하여 급속 건조를 수행하는 급속건조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속건조부(800)는, 분사노즐부(600)에 구비된 분사하우징(610)에 구비되는 공기투입부(810)와, 공기투입부(810)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연결관로(820)와, 공기연결관로(820)에 연결되고, 작동(ON)을 통해 고온의 열기를 고압공기와 함께 공급하거나, 오프(OFF)를 통해 상온의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히터(830)와, 히터(830)에 연결되어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830)에는 고압공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일체로 형성되어 히터(830)의 작동에 의해 데워진 고온의 고압공기 또는 오프에 의해 상온의 고압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히터(830)의 온/오프는 미도시된 제어부에서 감지하여 급속건조모드로 작동시 온(ON)하고, 급속건조모드로 작동하지 않을 때, 오프(OFF)한다.
본체(100)에는 히터(830)를 보관하도록 히터케이스(850)가 마련될 수 있다. 히터케이스(850)는 히터(830)를 보호하여 사용자가 뜨거워진 히터(83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사노즐부(600)를 통해 필터(200)에 세척수를 공급할 때, 히터(830)를 오프(OFF)한 후, 고압공기공급부(840)를 통해 상온의 고압공기를 공급하므로 분사하우징(6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분사노즐부(600)를 통해 필터(200)에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할 때, 히터(830)를 작동(ON)하여 분사하우징(610)에서 고온의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필터(200)를 급속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척장치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에 설치되어 오염된 필터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면서 분사노즐부로 고압수를 분사하고, 급속건조부에서 고온열기를 공급하여 필터를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포집부를 이용하여 필터를 세척하면서 발생한 오수를 하부에서 모아서 간편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수용공간
200: 필터 300: 이물질제거부
400: 프레임 500: 이동부
510: 구동부 512: 구동모터
514: 구동기어 516: 피동기어
520: 왕복작동부 522: 볼스크류
524: 이동블록 526: 연장블록
528: 가이드부 528a: 가이드슬롯
528b: 가이드레일 530: 승강연결부
532: 관통홀부 534: 연결브라켓
600: 분사노즐부 610: 분사하우징
620: 세척수투입부 630: 세척수연결관로
640: 세척수공급부 700: 오수포집부
710: 덮개하우징 720: 포집홈부
730: 배출연결관로 740: 오수회수부
800: 급속건조부 810: 공기주입부
820: 공기연결관로 830: 히터
840: 고압공기공급부 850: 히터케이스

Claims (10)

  1.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고 건조하여 잔류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에서 왕복 이동하는 왕복작동부; 및
    상기 왕복작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배치된 상기 분사노즐부와 연결되어 상기 왕복작동부의 승강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분사노즐부를 승강 작동하는 승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블록;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작동부는 상하이동제한부에 의해 상기 필터의 상측영역과 상기 필터의 하측영역 간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조절하고,
    상기 상하이동제한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블록의 상측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상측감지센서;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블록의 하측 이동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하측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하측으로 길게 배치되면서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부; 및
    상기 왕복작동부에 마련된 연장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부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필터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상기 승강연결부에 구비된 연결브라켓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분사하우징;
    상기 분사하우징의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세척수투입부;
    상기 세척수투입부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이송하는 세척수연결관로; 및
    상기 세척수연결관로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에 의해 세척된 상기 필터에서 흘러내린 오수를 포집하여 배출 및 회수하는 오수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포집부는,
    상기 필터의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프레임,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를 덮어주는 덮개하우징;
    상기 덮개하우징의 하부에 오수를 모아주도록 바닥부위가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포집홈부; 및
    상기 포집홈부의 중앙부위에서 하부로 인출되는 배출연결관로; 및
    상기배출연결관로에 연결되어 오수를 회수하는 오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에 의해 세척된 상기 필터에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해 고온열기를 공급하여 급속 건조를 수행하는 급속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건조부는,
    상기 분사노즐부에 구비된 분사하우징에 구비되는 공기투입부;
    상기 공기투입부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연결관로;
    상기 공기연결관로에 연결되고, 작동을 통해 고온의 열기를 고압공기와 함께 공급하거나, 오프를 통해 상온의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에 연결되어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고압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세척장치.
KR1020210164692A 2021-11-25 2021-11-25 필터 세척장치 KR102552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692A KR102552743B1 (ko) 2021-11-25 2021-11-25 필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692A KR102552743B1 (ko) 2021-11-25 2021-11-25 필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810A true KR20230077810A (ko) 2023-06-02
KR102552743B1 KR102552743B1 (ko) 2023-07-07

Family

ID=8675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692A KR102552743B1 (ko) 2021-11-25 2021-11-25 필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3643A (zh) * 2023-08-10 2023-09-15 广州市耀华冷暖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低温热泵的制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638Y1 (ko) * 2005-12-07 2006-02-24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세정식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의 건조장치
KR200409639Y1 (ko) * 2005-12-07 2006-03-03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세정식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의 건조장치
KR100921921B1 (ko) * 2009-04-22 2009-10-16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습식 필터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130063688A (ko) *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리트코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638Y1 (ko) * 2005-12-07 2006-02-24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세정식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의 건조장치
KR200409639Y1 (ko) * 2005-12-07 2006-03-03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세정식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의 건조장치
KR100921921B1 (ko) * 2009-04-22 2009-10-16 주식회사 태하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습식 필터세척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130063688A (ko) *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리트코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3643A (zh) * 2023-08-10 2023-09-15 广州市耀华冷暖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低温热泵的制热装置
CN116753643B (zh) * 2023-08-10 2023-11-28 广州市耀华冷暖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低温热泵的制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743B1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360B1 (ko)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US20140237763A1 (en) Backflush Fil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1744567B (zh) 清洁设备
JP2011025065A (ja) 電気掃除機用フィルタ清掃システム
CN210871310U (zh) 一种自涮洗清洁机器人
KR200402524Y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KR102552743B1 (ko) 필터 세척장치
KR100888043B1 (ko) 필터의 연속재생이 가능한 집진시스템
CN109847482B (zh) 一种用于工业废气净化处理的高效型袋式除尘器
CN212790335U (zh) 一种纺织车间纺织尘除尘装置
CN111346868A (zh) 一种具有清洗除尘结构的齿轮零件加工设备
KR100563301B1 (ko)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의 이물질 제거장치
US6725499B2 (en) Hose cleanout for vacuum cleaner
KR100676283B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KR200410348Y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KR102481848B1 (ko) 공기 청정 장치
KR20060001976A (ko) 증기복합 전기청소기
KR0138317Y1 (ko) 공기정화기
KR20090082732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593685B2 (ja) 空気清浄装置
JP2009226132A (ja) 電気掃除機
CN108815949A (zh) 用于纺织车间的除尘装置
CN216020852U (zh) 一种吸尘装置
CN215685723U (zh) 多功能收纳系统
KR100789224B1 (ko) 다기능 가정용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