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326A -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326A
KR20230077326A KR1020210164485A KR20210164485A KR20230077326A KR 20230077326 A KR20230077326 A KR 20230077326A KR 1020210164485 A KR1020210164485 A KR 1020210164485A KR 20210164485 A KR20210164485 A KR 20210164485A KR 20230077326 A KR20230077326 A KR 2023007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maging
auxiliary device
ray
present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235B1 (ko
Inventor
김광수
정운찬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1016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2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d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를 이용하면 엑스레이 촬영 과정에서 피험자의 자세 변경을 최소화하고 자연스러운 체중부하로 엑스레이 촬영을 할 수 있어, 피험자의 안전사고 예방과 검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켜 피험자와 검사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Auxiliary device for X-ray imaging}
본 발명은 엑스레이(X-ray) 촬영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엑스레이(X-ray) 촬영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부위에 엑스레이를 조사하고 신체 부위를 투과된 엑스레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엑스레이를 기반으로 하여 신체의 뼈(bone), 관절(joint), 인대(ligament) 등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 시스템이다.
의료용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은 환자가 누울 수 있는 검사용 침대 또는 선 자세에서 촬영할 수 있는 스탠드 장치,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조사 장치 및 환자의 검사 부위를 투과한 엑스레이를 검출하는 디텍터로 구성된다.
환자의 발 및/또는 발목(foot or/and ankle)의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방법은, 전후 방향(anterior-posterior, AP), 선자세 전후 방향(standing AP), 측방향(lateral), 선자세 측방향(standing lateral), 후족부(hind foot) 등의 촬영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발 또는 발목의 엑스레이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특정 자세를 취하는 것을 인지한 후에 특정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환자는 발 또는 발목의 통증을 가지고 있으므로, 특정 자세를 취하고 유지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엑스레이 촬영 과정에서, 환자가 특정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환자가 움직이게 되는 경우에는 의료상으로 진단 가능한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게 되고, 재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다시 특정 자세를 취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환자는 필요없는 엑스레이 피폭을 받게 되며, 검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는 발 또는 발목의 엑스레이 촬영을 할 때, 피험자가 높은 발판 위에 올라서야 하거나 여러 검사를 위하여 자세 변경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엑스레이 촬영 중에 낙상위험이 있으며 발 또는 발목에 통증이 있는 피험자의 경우 인위적인 체중부하(weight bearing)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피험자가 특정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영상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재촬영 과정에서 검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 방향에서 엑스레이 촬영이 필요한 경우 피험자의 자세 변경을 최소화 하여 낙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검사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정확한 영상을 얻기 위하여 보조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89423호 (2021.07.16.)
본 발명은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엑스레이(X-ray) 촬영을 하기 위하여 피험자가 올라서는 상판,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부 중앙 홈이 구비되어 엑스레이 디텍터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상판은 상부 후면 홈 및 하부 홈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각 홈에 엑스레이 디텍터(X-ray detector)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는 엑스레이 촬영 과정에서 피험자의 자세 변경을 최소화하고 자연스러운 체중부하로 엑스레이 촬영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피험자의 안전사고 예방과 검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켜 피험자와 검사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사시도이다.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에 구비된 높이 조절 장치(520)가 있는 손잡이(5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상판 후면 홈(22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발 및 발목의 전후 방향(foot & ankle AP) 촬영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상판 하부 홈(23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발 선자세 전후 방향(foot standing AP) 촬영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상판 중앙 홈(21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발 및 발목의 선자세 측방향(foot & ankle lateral) 촬영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상판 중앙 홈(21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후족부(hind foot) 촬영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사시도로서, 상판 지지대(33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에 고정 장치(610)가 있는 바퀴(60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에 뒷판(70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X-ray)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는 상판(100), 몸체(300) 및 손잡이(5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0)은 엑스레이 촬영을 위하여 피험자가 올라서게 된다. 상기 상판은(100)은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AFRP (Aramid fiber Reinforced Plastics), DFRP (Dyneema fiber Reinforced Plastics), ZFRP (Zylon fiber Reinforced Plastics), BFRP (Boron fiber Reinforced Plastics)중 어느 하나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510)는 몸체(300)에 결합되어 엑스레이 촬영 시 환자가 손잡이(510)를 잡고 안정된 자세에서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자세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장치(520)는 환자의 키에 맞게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모든 환자가 안전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300)는 상판의 양 측면과 후면에 수직으로 결합하여 높이를 형성하고 상판을 지지한다. 상기 몸체(300)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100)의 상판 전면(110)과 상판 후면(120) 사이에 상부 중앙 홈(210)이 구비되어 엑스레이 디텍터(400)가 삽입될 수 있다. 발 선자세 전후 방향(foot standing AP) 촬영 후 피험자가 옆으로만 돌아서고 상기 상부 중앙 홈(21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면 발 및 발목 측방향(foot & ankle lateral) 촬영이 가능하며, 이후 피험자가 뒤로 돌아서면 후족부(hind foot) 촬영을 할 수 있어, 최소한의 자세 변화로 여러 촬영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0)은 상판 후면(120)의 뒷부분에 상부 후면 홈(22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100)은 상기 상판(100)과 상기 몸체(300)에 부착된 하부 홈 지지대(310 및 320) 사이에 하부 홈(23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0)은 상기 상판(100)의 상판 전면(110)과 상판 후면(120)사이에 상부 중앙 홈(210)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00)은 상판 후면(120)의 뒷부분에 상부 후면 홈(220)이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판(100)과 상기 몸체(300)에 부착된 하부 홈 지지대(310 및 320) 사이에 하부 홈(230)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엑스레이 디텍터(4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중앙 홈(210), 상부 후면 홈(220) 및 하부 홈(230)은 엑스레이 디텍터(X-ray detector)(4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저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100)과 몸체(3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100)과 몸체(300)를 나사 등으로 고정하거나 접착형태로 고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고정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를 사용하여 상부 후면 홈(220), 하부 홈(230), 상부 중앙 홈(21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발 또는 발목의 엑스레이 촬영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상판 후면 홈(22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발 및 발목의 전후 방향(foot & ankle AP)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상판 하부 홈(23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발 선자세 전후 방향(foot standing AP)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상판 중앙 홈(21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발 및 발목의 선자세 측방향(foot & ankle lateral)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상판 중앙 홈(210)에 엑스레이 디텍터(400)를 삽입하고 후족부(hind foot)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400)는 엑스선(X-선)을 전기신호로 바꿔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엑스레이 디텍터는 크게 직접 방식 디텍터와 간접 방식 디텍터 두가지가 있다. 직접 방식은 엑스선을 받아내는 디텍터에 비정질 셀레늄과 같은 광전도체를 이용해 엑스선을 전기 신호로 바꿔 이미지를 나타내는 방식이며, 간접 방식은 신틸레이터(scintillator)라는 형광물질을 이용해 엑스선을 빛으로 전환한 후 전기적 신호로 바꿔 이미지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상기 엑스레이 디텍터(400)는 직접 또는 간접 방식의 디텍터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사시도로서, 상판 지지대(33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100)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부 중앙 홈(210)의 하부까지 부착되어 결합되고, 수직으로 구부러져 지면과 맞닿아 환자가 올라선 경우 환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상판 지지대(33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 지지대(330)의 구조는 환자의 체중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하며 도 8의 도시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상판 지지대(330)는 환자의 체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도가 강한 티타늄 또는 철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상판 지지대(330)는 엑스레이에 감지되는 재질로 제작되므로,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상판 전면(110)에 표식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에 고정 장치(610)가 있는 바퀴(60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에 고정 장치(610)가 있는 바퀴(60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의 운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 장치(610)이 있어 촬영 시에는 고정 장치(610)를 발로 밟아 고정시켜, 영상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환자의 낙상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에 뒷판(70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에 뒷판(700)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뒷판은 엑스레이에 감지되지 않는 재질로서, 환자가 기대서 선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뒷판이 구비됨으로써, 발 또는 발목의 엑스레이 촬영뿐만 아니라, 환자가 선 상태에서 뒤에 위치한 엑스레이 감지 장치가 움직이면서 촬영이 진행되는 무릎이나 장골 검사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환자가 서있는 영역과 엑스레이 감지 장치가 움직이는 영역이 분리되어 환자가 엑스레이 감지장치의 움직임에 의하여 자세를 방해받거나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뒷판이 구비됨으로써, 무릎 검사인 선자세 전후 방향(knee standing AP), 체중부하 후전 방향(knee weight bearing PA), 장골 검사인 롱본 전후 방향(long bone AP), 롱본 측방향(long bone lateral), 전 척추 검사인 전 척추 후전 방향(whole spine PA) 및 전 척추 측방향(whole spine lateral)을 추가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뒷판(700)이 구비된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10)는 기타 검사와 전척추 검사를 함께 시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100: 상판
110: 상판 전면
120: 상판 후면
210: 상부 중앙 홈
220: 상부 후면 홈
230: 하부 홈
300: 몸체
310: 하부 홈 지지대
320: 하부 홈 지지대
330: 상판 지지대
400: 엑스레이 디텍터
510: 손잡이
520: 손잡이의 높이 조절 장치
600: 고정 장치가 있는 바퀴
610: 바퀴의 고정 장치
700: 뒷판

Claims (8)

  1. 엑스레이 촬영을 하기 위하여 피험자가 올라서는 상판(100), 상기 상판(100)에 결합되는 몸체(300) 및 상기 몸체(300)에 결합되는 손잡이(510)로 구성된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상부 중앙 홈(210)이 구비되어 엑스레이 디텍터(400)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상부 후면 홈(220)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각 홈에 엑스레이 디텍터(400)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상기 상판(100)과 상기 몸체(300)에 부착된 하부 홈 지지대(310 및 320) 사이에 하부 홈(230)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각 홈에 엑스레이 디텍터(400)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상기 상판(100)과 상기 몸체(300)에 부착된 하부 홈 지지대(310 및 320) 사이에 하부 홈(230)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각 홈에 엑스레이 디텍터(400)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는 상판 지지대(3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10)에 높이 조절 장치(52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는 고정 장치(610)가 있는 바퀴(6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는 뒷판(70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인,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KR1020210164485A 2021-11-25 2021-11-25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KR102618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85A KR102618235B1 (ko) 2021-11-25 2021-11-25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85A KR102618235B1 (ko) 2021-11-25 2021-11-25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326A true KR20230077326A (ko) 2023-06-01
KR102618235B1 KR102618235B1 (ko) 2023-12-27

Family

ID=8677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485A KR102618235B1 (ko) 2021-11-25 2021-11-25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2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0126A (ja) * 2002-09-25 2006-01-05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0483468Y1 (ko) * 2016-02-04 2017-05-29 길종원 입식 엑스선검사 보조기구
KR20180010585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180125191A (ko) * 2017-05-15 2018-11-23 전북대학교병원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KR20210089423A (ko) 2020-01-08 2021-07-16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촬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0126A (ja) * 2002-09-25 2006-01-05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0483468Y1 (ko) * 2016-02-04 2017-05-29 길종원 입식 엑스선검사 보조기구
KR20180010585A (ko) * 2016-07-21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180125191A (ko) * 2017-05-15 2018-11-23 전북대학교병원 영유아 엑스레이 검사용 기립자세 보조기구
KR20210089423A (ko) 2020-01-08 2021-07-16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촬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235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996B1 (en) Dual fluoroscopy systems and methods
US10568580B2 (en) Person bed having a sensing apparatus for body statics for imaging medical examination devices
CN104582578B (zh) 定量校准系统在计算机断层成像扫描仪中的集成
US201603313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Detection And Monitoring Of Osteoarthritis
KR102179353B1 (ko)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US9177681B2 (en) Base for radiographic device
TR201412685A2 (tr) Kalça kırığı cerrahi tespit ameliyatlarında kullanılan ameliyat masası aparatı.
Gross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igid lift and pelvic leveling device method in assessing functional leg length inequality
Lopes et al. Posture and balance control in patients with acromegaly: results of a cross-sectional study
US10782181B2 (en) Radiograph stand with weigh scale
CN108542408A (zh) 一种三维立体股骨头尺寸测量装置
KR101941688B1 (ko) 방사선 촬영용 균형자세 보조장치
KR20230077326A (ko)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Abdel-Raoof et al. Influence of second-degree flatfoot on spinal and pelvic mechanics in young females
US20160157793A1 (en) Device to assist with an examination of the knee
US20200000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he laxity of a joint of a human or an animal
CN206102664U (zh) 一种x线机人体角度定位装置
US20150208980A1 (en) Alignment frame for weight-bearing imaging of knee
KR200483468Y1 (ko) 입식 엑스선검사 보조기구
AU3462493A (en) Apparatus for the antigravity modification of the myotensions adapting the human posture in all of the three planes of the space
CN203244406U (zh) 下肢全长摄片架
CN212592168U (zh) 一种x线摄影辅助装置
US20070242807A1 (en) Direct digital radiograhic combination positioning table and transforming immobilizing stand
Gil et al. Comparison of X-ray Image Quality Between Multi-Function Device (MFD) and Weight Bearing Platforms (WBPs)
US20240081755A1 (en) Weightbearing simul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o image a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