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169A -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 Google Patents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169A
KR20230077169A KR1020210164130A KR20210164130A KR20230077169A KR 20230077169 A KR20230077169 A KR 20230077169A KR 1020210164130 A KR1020210164130 A KR 1020210164130A KR 20210164130 A KR20210164130 A KR 20210164130A KR 20230077169 A KR20230077169 A KR 20230077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te
module
water pressure
distr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175B1 (ko
Inventor
이주형
김정환
방지환
백승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6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가 개시된다. GPS 신호를 수신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모듈; 상기 GPS 모듈에서 산출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를 생성하는 조난 신호 생성 모듈; 상기 조난 신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조난 신호를 LTE-M 통신망을 통해 e-내비게이션 센터로 실시간 송신하는 LTE-M 통신 모듈;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계; 상기 수압계에서 측정된 수압이 소정 수압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비상 전원을 작동시키는 비상 전원 작동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에 의하면, 해상 100 km까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LTE-M 통신에 기반하여 조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 AIS 신호의 신호 지연이나 신호 유실 등의 문제점없이 신속하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VDR 데이터와 승무원 데이터를 조난 신호에 실어 e-내비게이션 센터로 송신함으로써, 선박의 전복이나 침몰 상황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고, 미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LTE-M COMMUNICATION-BASED VESSEL AUTOMATIC POS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EPRIB(electronic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의 실물 예시도이다.
EPRIB는 선박의 침몰 또는 조난 시에 수면에 부유하면서 위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박의 침몰지 위치를 알려주어 신속하게 구난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EPRIB는 수심 4m에서 자동으로 선박에서 이탈하여 수면에 부유하며, 자동으로 조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위치 신호 이외에는 더 이상 많은 정보를 주변에 알릴 수 없으며, 단지 조난 위치와 침몰만을 알릴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AIS 신호는 그 지연율이 높아 신속하 조난에 한계가 있다.
더군다나, 실제 기존의 EPRIB는 오작동률이 많다는 통계가 있다.
EPRIB의 효과적인 활용도가 낮고, AIS 신호의 한계성으로 인해 충분히 조난을 회피할 수단으로서는 그 기능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014701 등록특허공보 10-1145398
본 발명의 목적은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는, QR 인식기에서 인식되는 승무원 QR 코드를 이용하여 선박에 승선하는 승무원의 승무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등록하여 저장하는 승무원 자동 등록 모듈; 선박 VDR에 저장된 VDR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백업하여 저장하는 VDR 실시간 백업 모듈;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계; 상기 수압계에서 측정된 수압이 소정 수압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비상 전원을 작동시키는 비상 전원 작동 모듈; GPS 신호를 수신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모듈; 상기 승무원 자동 등록 모듈에 저장된 승무원 정보, 상기 VDR 실시간 백업 모듈에 저장된 VDR 데이터 및 상기 GPS 모듈에서 산출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를 생성하는 조난 신호 생성 모듈; 상기 조난 신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조난 신호를 LTE-M 통신망을 통해 e-내비게이션 센터로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e-내비게이션 센터로부터 음성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LTE-M 통신 모듈; 승무원 무전기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전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무전 통신 모듈; 상기 LTE-M 통신 모듈에서 수신되는 e-내비게이션 센터의 음성 신호를 상기 승무원 무전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통신 방식을 변환하여 상기 무전 통신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승무원 무전기의 음성 신호를 상기 e-내비게이션 센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통신 방식을 변환하여 상기 LTE-M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변환 모듈; 상기 통신 변환 모듈에서 통신 방식을 변환하기 위해 상기 e-내비게이션 센터의 음성 신호 및 상기 승무원 무전기의 음성 신호를 입력 순서에 따라 임시 저장하여 상기 통신 변환 모듈로 FIFO 출력하는 통신 변환 버퍼; 상기 통신 변환 버퍼에 임시 저장된 음성 신호의 양에 따라 상기 e-내비게이션 센터와의 LTE-M 통신 대역폭 추가 할당을 상기 e-내비게이션 센터로 자동 요청하고, 상기 e-내비게이션 센터의 LTE-M 통신 대역폭 추가 할당에 따라 상기 LTE-M 통신 모듈의 LTE-M 통신 대역폭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LTE-M 통신 대역폭 자동 조정 모듈; 상기 LTE-M 통신 모듈에서 수신되는 e-내비게이션 센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탄 발사를 제어하는 조명탄 발사 제어 모듈; 상기 조명탄 발사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조명탄을 발사하는 조명탄 발사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에 의하면, 해상 100 km까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LTE-M 통신에 기반하여 조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 AIS 신호의 신호 지연이나 신호 유실 등의 문제점없이 신속하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VDR 데이터와 승무원 데이터를 조난 신호에 실어 e-내비게이션 센터로 송신함으로써, 선박의 전복이나 침몰 상황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고, 미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침몰 후 승무원의 무전기와 e-내비게이션 센터 간에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변환 및 신호 전달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승무원과의 음성 교신에 의해 보다 정확한 상황 파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e-내비게이션 센터에서 LTE-M 통신에 의해 조명탄을 발사하도록 원격 제어함으로써, 구조대가 보다 쉽게 조난지를 탐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야간에는 원격 제어에 의해 형광 부유 물질을 수면 상에 방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대가 야간에도 쉽게 침몰지를 찾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EPRIB의 실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100)는 승무원 자동 등록 모듈(101), VDR(voyage data recorder) 실시간 백업 모듈(102), 수압계(103), 비상 전원 작동 모듈(104), GPS 모듈(105), 조난 신호 생성 모듈(106), LTE-M 통신 모듈(107), 무전 통신 모듈(108), 통신 변환 모듈(109), 통신 변환 버퍼(110), LTE-M 통신 대역폭 자동 조정 모듈(111), 조명탄 발사 제어 모듈(112), 조명탄 발사 모듈(1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무원 자동 등록 모듈(101)은 QR 인식기(200)에서 인식되는 승무원 QR 코드를 이용하여 선박에 승선하는 승무원의 승무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등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QR 인식기(200)는 승무원 스마트폰(10)의 QR 코드를 인식하여 어느 승무원이 탑승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그 승무원 정보를 블루투스를 통해 승무원 자동 등록 모듈(101)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VDR 실시간 백업 모듈(102)은 선박 VDR(20)에 저장된 VDR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백업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VDR 데이터는 선박 위치, 속도, 침로, 선교 근무자 음성, 통신기 음성, 레이더 자료, 수심, 타 조작 내역, 엔진 사용 내역, 풍향, 풍속, 선박 자동 식별 장치(AIS) 관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VDR 데이터는 사고 원인 규명 및 상황 파악에 매우 유효하다.
수압계(103)는 수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박의 전복이나 침몰로 인해 수면으로 가라앉으면, 수압계(103)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수압이 되는지 측정할 수 있다.
비상 전원 작동 모듈(104)은 수압계(103)에서 측정된 수압이 소정 수압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비상 전원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평상 시에는 선박의 구동 전원을 이용할 수 있지만, 침몰이나 전복 등의 비상 상황에서는 비상 전원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수면으로 어느 정도 가라앉으면 자동으로 비상 전원이 작동된다.
GPS 모듈(105)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난 신호 생성 모듈(106)은 선박의 MMSI(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난 신호 생성 모듈(106)은 승무원 자동 등록 모듈(101)에 저장된 승무원 정보, VDR 실시간 백업 모듈(102)에 저장된 VDR 데이터 및 GPS 모듈(105)에서 산출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TE-M 통신 모듈(107)은 조난 신호 생성 모듈(106)에서 생성된 조난 신호를 LTE-M 통신망을 통해 e-내비게이션 센터(4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LTE-M 통신 모듈(107)은 승무원 무전기(30)의 음성 신호를 e-내비게이션 센터(40)로 송신하며, e-내비게이션 센터(40)로부터 관제자의 음성 신호 및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전 통신 모듈(108)은 승무원 무전기(30)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전 음성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난 시에는 승무원의 보트와 수면 위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100)가 다소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일정 거리 내에서는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100)와 승무원 무전기(30) 간에는 무전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변환 모듈(109)은 LTE-M 통신 모듈(107)에서 수신되는 e-내비게이션 센터(40)의 음성 신호를 승무원 무전기(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통신 방식을 LTE-M에서 무전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무전 통신 모듈(108)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변환 모듈(109)은 승무원 무전기(30)의 음성 신호를 e-내비게이션 센터(4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통신 방식을 무전 통신 방식에서 LTE-M 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LTE-M 통신 모듈(107)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변환 버퍼(110)는 통신 변환 모듈(109)에서 통신 방식을 변환하기 위해 e-내비게이션 센터(40)의 음성 신호 및 승무원 무전기(30)의 음성 신호를 입력 순서에 따라 임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전기 통신에서와 같이 양방향 싱글밴드(single band)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통신 변환 버퍼(110)는 임시 저장된 음성 신호를 통신 변환 모듈(109)로 FIFO(first-in-first-out)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TE-M 통신 대역폭 자동 조정 모듈(111)은 통신 변환 버퍼(110)에 임시 저장된 음성 신호의 양에 따라 e-내비게이션 센터(40)와의 LTE-M 통신 대역폭 추가 할당을 e-내비게이션 센터(40)로 자동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LTE-M 통신 대역폭 자동 조정 모듈(111)은 통신 변환 버퍼(110)의 버퍼 데이터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버퍼 데이터 양이 많은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LTE-M 통신 대역폭을 일시적으로라도 확장해달라고 자동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LTE-M 통신 대역폭 자동 조정 모듈(111)은 e-내비게이션 센터(40)의 LTE-M 통신 대역폭 추가 할당에 따라 LTE-M 통신 모듈(107)의 LTE-M 통신 대역폭을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탄 발사 제어 모듈(112)은 LTE-M 통신 모듈(107)에서 수신되는 e-내비게이션 센터(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탄 발사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조대가 가까이 갔으나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 유용할 수 있으며, 이는 e-내비게이션 센터(40)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조명탄 발사 모듈(113)은 조명탄 발사 제어 모듈(112)의 제어에 따라 조명탄을 발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 센서(미도시)는 조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도 센서(미도시)는 주야간을 감지할 수 있다.
형광 부유 물질 방사 모듈(미도시)은 조도 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조도가 소정 기준 이하인 경우 즉, 야간이거나 매우 어두운 날씨인 경우, e-내비게이션 센터(40)의 제어 신호가 있으면 형광 부유 물질을 수면 위로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면 위의 형광 부유 물질이 계속 방사되면 그 위치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또한, 형광 부유 물질 방사 모듈(미도시)은 LTE-M 통신 모듈(107)에서 수신되는 e-내비게이션 센터(40)의 제어 신호가 있는 경우 형광 부유 물질을 수면 위로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e-내비게이션 센터(40)의 관제자는 언제든지 원격으로 형광 부유 물질의 방사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승무원 자동 등록 모듈
102: VDR 실시간 백업 모듈
103: 수압계
104: 비상 전원 작동 모듈
105: GPS 모듈
106: 조난 신호 생성 모듈
107: LTE-M 통신 모듈
108: 무전 통신 모듈
109: 통신 변환 모듈
110: 통신 변환 버퍼
111: LTE-M 통신 대역폭 자동 조정 모듈
112: 조명탄 발사 제어 모듈
113: 조명탄 발사 모듈

Claims (3)

  1. GPS 신호를 수신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모듈;
    상기 GPS 모듈에서 산출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난 신호를 생성하는 조난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 신호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조난 신호를 LTE-M 통신망을 통해 e-내비게이션 센터로 실시간 송신하는 LTE-M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계;
    상기 수압계에서 측정된 수압이 소정 수압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비상 전원을 작동시키는 비상 전원 작동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KR1020210164130A 2021-11-25 2021-11-25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KR10263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130A KR102633175B1 (ko) 2021-11-25 2021-11-25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130A KR102633175B1 (ko) 2021-11-25 2021-11-25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169A true KR20230077169A (ko) 2023-06-01
KR102633175B1 KR102633175B1 (ko) 2024-02-02

Family

ID=8677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130A KR102633175B1 (ko) 2021-11-25 2021-11-25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579B1 (ko) 2023-06-20 2023-11-16 (주)오투컴퍼니 스마트 선박 실시간 위치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15735B1 (ko) 2023-07-17 2023-12-20 (주)오투컴퍼니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선박 항적을 분석하는 모니터링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398B1 (ko) 2009-10-22 2012-05-2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조난신호 발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14701A (ko) 2011-07-26 2013-02-0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해수 센싱 방법의 개선에 의한 epirb 오동작의 최소화 방법
KR20170016586A (ko) * 2015-08-04 2017-02-14 주식회사 에이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200047993A (ko) * 2018-10-29 2020-05-08 (주)케이웍스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398B1 (ko) 2009-10-22 2012-05-2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조난신호 발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14701A (ko) 2011-07-26 2013-02-0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해수 센싱 방법의 개선에 의한 epirb 오동작의 최소화 방법
KR20170016586A (ko) * 2015-08-04 2017-02-14 주식회사 에이요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200047993A (ko) * 2018-10-29 2020-05-08 (주)케이웍스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579B1 (ko) 2023-06-20 2023-11-16 (주)오투컴퍼니 스마트 선박 실시간 위치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15735B1 (ko) 2023-07-17 2023-12-20 (주)오투컴퍼니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선박 항적을 분석하는 모니터링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175B1 (ko)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7169A (ko) Lte-m 통신 기반의 선박 자동 위치 발신 장치
US8659439B2 (en) Signal device for offshore wind farm
KR100860616B1 (ko)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FR2829100B1 (fr) Procede, dispositif et balise de localisation de sinistre pour former un appareillage de sauvetage en mer
US20120072038A1 (en) Onboard management of movable asset for asset protection
KR101633347B1 (ko)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
CN102109595A (zh) 利用个人定位终端的搜救系统及搜救方法
JP6892116B2 (ja) 作業船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戒船支援システム
GB2452414A (en) Vessel instrument network
KR102334171B1 (ko) 해양 오염물질 모사를 위한 소형 부이의 관제플랫폼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CN102291338B (zh) 船舶灯光信号的自动获取和识别系统
US11738835B2 (en) Distributed decision making
KR102012879B1 (ko) 자동 사고 탐지 키트 및 이를 이용한 해난사고 대응 관제 시스템
KR20100016840A (ko) 선박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1221240B (zh) 主动发射本身航行信息的船只防撞系统和相应方法
KR101866283B1 (ko) 와이파이통신을 이용한 ais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소형선박용 무선중계시스템
KR101457169B1 (ko) 소형선박용 재난속보장치 및 재난자동속보 시스템
NO331880B1 (no) Fender, samt forvaltningssystem for fender
KR101869748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승선 신고 방법
US20200128353A1 (en) Smart Mooring Beacon Reserv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669108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50022069A (ko) 선박에 구비된 통합정보 관리 시스템
KR101942020B1 (ko) 군집통신 기반의 부표용 riu 시스템
GB255098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oys and/or SARTs
JP2009271628A (ja) 安全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