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135A -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135A
KR20230077135A KR1020210164070A KR20210164070A KR20230077135A KR 20230077135 A KR20230077135 A KR 20230077135A KR 1020210164070 A KR1020210164070 A KR 1020210164070A KR 20210164070 A KR20210164070 A KR 20210164070A KR 20230077135 A KR20230077135 A KR 2023007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ample
farmland information
farmland
work
type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유신
유용운
송도형
김정수
이제왕
김현우
송승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4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135A/ko
Publication of KR2023007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 G01N2001/005Packages for mailing or similar transport of sam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수용 공간 및 하면에 채취 홀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채취 홀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오거를 구비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오거로부터 채취된 토양시료를 밀어내 탈거시키는 탈거부, 상기 채취 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탈거부에 의해 탈거된 토양시료를 수거하고 임시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몸체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주행부 및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토양시료의 농지정보를 태그하고,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에 의해 채취되는 토양시료의 농지정보를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의 제어부가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 모듈에서 동작 정확도를 보정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작물종류, 재배기간을 포함하는 초기정보 및 토양시료 채취작업에 대한 작업신호를 입력 받는 작업시작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작업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통해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토양시료 채취단계, 상기 토양시료 채취단계 후,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의 작업이 완료되어 생성되는 종료신호를 입력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종료신호 판단단계, 상기 종료신호를 입력 받았을 경우, NFC 모듈에서 상기 초기정보, 상기 작업정보, 상기 GPS 모듈에서 작업위치를 기반으로 생성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농지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농지정보 출력단계, 상기 GPS 모듈에서 상기 위치정보가 정확한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위치정보 보정단계 및 상기 NFC 모듈에서 상기 농지정보를 저장하고, 작업을 종료하는 작업종료단계를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Automatic soil sample collection and packaging machine for farmland information records and the method of recording farmland information using it}
본 발명은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농업 토양으로부터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채취된 토양시료를 포장하며, 포장한 토양시료에 정보를 태그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시간 단축 및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검정은 벼의 경우 수확 후 1개월 이내, 밭 작물 또는 하우스 작물의 경우 수확기나 수확 직후, 과수의 경우는 시비 전에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토양시료 채취는 삽으로 토양을 파내고 0 내지 15cm 깊이까지 채취하는 경우가 있지만 토양시료 채취기에 의해 0 내지 15cm 깊이의 토양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시료 채취기는 토양의 종류와 상태 또는 작업자의 신체 능력에 따라 오거의 헤드 부분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발로 밟아 힘을 더하는 발판이 마련되는 등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토양시료 채취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토양시료 채취기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06566호 '토양 및 오염토양시료 채취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토양시료 채취기는 작업자의 힘에 의해 토양시료를 채취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깊이의 토양시료를 채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긴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많은 노동량을 필요로 한다.
또한, 토양을 대상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토양에 존재하는 돌, 자갈, 뭉쳐서 단단해진 토양 등에 토양시료 채취기가 걸려 작업자는 손목, 팔 허리 등에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토양시료 채취기가 훼손되어 채취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깊이의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작업시간을 줄이며,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토양시료 채취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농업 토양으로부터 자동으로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채취된 토양시료를 탈거하여 탈거된 토양시료를 포장하며, 포장된 토양시료의 정보 태그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는 다수의 수용 공간 및 하면에 채취 홀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채취 홀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오거를 구비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오거로부터 채취된 토양시료를 밀어내 탈거시키는 탈거부, 상기 채취 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탈거부에 의해 탈거된 토양시료를 수거하고 임시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몸체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주행부 및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토양시료의 농지정보를 태그하고,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취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회전 축을 구비하고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 구동기, 상기 회전 구동기의 하면에 판 형태로 형성되어 각 꼭짓점으로부터 내측에 가이드 홀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 축이 관통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축, 상기 회전 축의 하단에 결합되며, 길이를 가진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오거 몸체 및 하단이 뾰족하고, 상기 탈거부가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수용 홀을 형성하는 오거 헤드를 포함하는 오거 및 판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다리가 형성되어 상기 채취부의 각 구성을 지지하되, 상기 오거 몸체가 관통하고, 관통하는 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하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 홀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회동하도록 형성된 선형 구동기 및 상기 선형 구동기 끝 단에 결합되어, 상기 선형 구동기가 수평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 홀에 입출하여 상기 수용 홀 내부에 채취된 토양시료를 밀어내도록 형성된 푸시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부는, 레일의 형태로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회동되는 슬라이딩 유닛, 상기 탈거부로부터 탈거된 토양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의해 회동되는 시료 저장용기, 상기 슬라이딩 유닛 끝 단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스프링 및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에 연결 단홀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 단홀이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1 막대 및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에 연결 장홀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 장홀이 상기 탈거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2 막대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 링크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는, 상기 몸체부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시료가 채취되는 토양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판 형태로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몸체부 측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다수의 수직 구동기, 상기 결합 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되, 하면에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 회전축을 포함하고, 동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 구동기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 구동기와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 구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이 삽입되어 연결되고 내부에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몸체, 상기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인장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 상기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에 위치하되, 탄성부재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 또는 수축에 의해 입출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토양 표면의 이물질을 바깥으로 밀어내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는, 상기 몸체부 전면에 형성되어, 토양시료가 채취되는 토양 표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화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돌출 플레이트,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원기둥의 중단에 탄성체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하면에 연결되는 탄성체 지지바 및 상기 탄성체 지지바의 하면에 연결되되, 하면에 다수의 돌출 돌기를 형성하는 한 쌍의 평탄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은, GPS 모듈에서 동작 정확도를 보정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작물종류, 재배기간을 포함하는 초기정보 및 토양시료 채취작업에 대한 작업신호를 입력 받는 작업시작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작업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통해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토양시료 채취단계, 상기 토양시료 채취단계 후,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의 작업이 완료되어 생성되는 종료신호를 입력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종료신호 판단단계, 상기 종료신호를 입력 받았을 경우, NFC 모듈에서 상기 초기정보, 상기 작업정보, 상기 GPS 모듈에서 작업위치를 기반으로 생성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농지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농지정보 출력단계, 상기 GPS 모듈에서 상기 위치정보가 정확한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위치정보 보정단계 및 상기 NFC 모듈에서 상기 농지정보를 저장하고, 작업을 종료하는 작업종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은 토양의 토양시료 채취부터 포장에 이르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토양시료 채취 작업 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농가의 고령화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시료 저장용기에 NFC 태그 장착하여 GPS 정보 등 토양시료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에 필요한 노동량을 줄이고 유용하게 토양시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토양시료 채취 대상이 되는 토양 표면을 정리함으로써 토양 표면의 이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의 고장을 방지하고 채취과정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몸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채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채취부 하우징을 제외한 구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탈거부 및 보관부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도 8의 탈거부 및 보관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주행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에 이물질 제거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이물질 제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물질 제거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a) 및 (b)는 도 12의 이물질 제거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에 평탄화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a) 및 (b)는 도 12의 평탄화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 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 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 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등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몸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채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채취부 하우징을 제외한 구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구동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탈거부 및 보관부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의 (a) 및 (b)는 도 8의 탈거부 및 보관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1은 도 1의 주행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는, 토양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하고, 채취한 토양시료을 포장하며, 토양시료를 채취한 농지의 농지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이하,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라 함)는 몸체부(100), 채취부(200), 탈거부(300), 보관부(400), 주행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몸체부(100)는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의 각 구성들을 수용하는 몸체 역할을 하며, 다수의 수용 공간 및 하면에 채취 홀(131)을 형성하여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수용 공간은, 각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몸체부(100)는 시료 저장용기 수용 공간(110), 제어부 수용 공간(120), 채취부 수용 공간(130), 배터리 수용 공간(140) 및 손잡이 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수용 공간은, 구분 판(16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시료 저장용기 수용 공간(110)은, 몸체부(100)의 전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토양시료가 보관된 시료 저장용기(43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시료 저장용기 수용 공간(110)은, 시료 저장용기(430)가 3단이 적층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30 내지 36개의 시료 저장용기(430)를 수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료 저장용기 수용 공간(110)은, 상단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시료 저장용기 수용 공간(110)을 개폐하는 시료 저장용기 수용 공간 도어(1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시료 저장용기 수용 공간 도어(111)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필요 시 분리될 수도 있다.
이에,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는 채취된 다수개의 토양시료를 임시보관 할 수 있어, 토양시료를 옮기는 시간을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어부 수용 공간(120)은, 몸체부(100)의 중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어부(6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 수용 공간(120)은, 제어부(600)가 각 구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선이 관통되는 전선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수용 공간(120)은, 상단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제어부 수용 공간(120)을 개폐하는 제어부 수용 공간 도어(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 수용 공간 도어(121)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필요 시 분리될 수도 있다.
채취부 수용 공간(130)은, 몸체부(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채취부(20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채취부 수용 공간(130)의 하방에는 탈거부(300) 및 보관부(400)도 함께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채취부 수용 공간(130)의 하면에는, 채취부(200)가 관통하는 채취 홀(13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채취부 수용공간(130)은, 하면에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보관부(400)의 링크 바(460)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장홀(13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채취부 수용 공간(130)은, 상단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채취부 수용 공간(130)을 개폐하는 채취부 수용 공간 도어(133)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취부 수용 공간 도어(133)는, 한 쌍의 채취부 수용 공간 도어(133)이 각각 좌 우 측면에 경첩으로 연결되어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되, 중앙이 채취부(200)가 관통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채취부 수용 공간 도어(133)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필요 시 분리될 수도 있다.
배터리 수용 공간(140)은, 제어부 수용 공간(120)의 하방에 마련되는 것으로, 배터리(미도시)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수용 공간(140)은, 배터리가 전력을 공급하는 각 구성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선이 관통되는 배터리 연결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수용 공간(140)은, 측면에 도어 레일(141)을 형성하고, 도어 레일(141)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구조로 배터리 수용 공간(140)을 개폐하는 배터리 수용 공간 도어(142)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 프레임(150)은 몸체부(100) 후방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결합되는 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손잡이 결합체(151), 손잡이 몸체(152), 디스플레이 거치대(153) 및 스위치 거치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결합체(151)는, 판 형태로 형성되되, 한 쌍의 손잡이 결합체(151)가 몸체부(100) 후방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결합체(151)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홀의 형태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 결합 홀(151a)을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 몸체(152)는, 손잡이 결합 홀(151a)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 몸체(152)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높이의 손잡이 결합 홀(151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거치대(153)는 디스플레이(610)가 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손잡이 몸체(15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거치대(153)는, 슬롯형, 부착형, 권취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610)를 거치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스위치 거치대(154)는 스위치(620)가 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손잡이 몸체(1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작업을 하면서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작업정보 및 농지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스위치(620)를 컨트롤할 수 있다.
다음으로, 채취부(200)는 몸체부(10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채취 홀(131)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오거(240)를 구비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채취부(200)는 회전 구동기(210), 가이드 플레이트(220), 가이드 축(230), 오거(240), 고정 프레임(250) 및 채취부 하우징(26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회전 구동기(210)는 제어부(600)로부터 작업정보를 입력 받아 구동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회전 축(213)을 구비하고 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구동기(210)는, 회전 몸체(211), 회전 헤드(212) 및 회전 축(21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몸체(211)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하여 정-역회전의 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회전 헤드(212)는 내부가 비어있는 다면체의 형태로 회전 몸체(211)의 하면에 형성되되, 회전 몸체(211)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높은 출력 토크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회전 축(213)은, 회전 몸체(211)의 하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 헤드(21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몸체(2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회전 구동기(210)의 하면에 판 형태로 형성되어 각 꼭짓점으로부터 내측에 가이드 홀(221)을 형성하되, 회전 축(213)이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축(213)은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회전 헤드(21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축(230)은,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가이드 홀(22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회전 구동기(210)는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고정되어 동작함으로써, 회전 몸체(211)가 회전하지 않고 회전 축(213)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가이드 축(230)을 따라 회전 구동기(210)가 이탈하지 않고 상, 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기(210)는, 가이드 축(230)과 연결된 가이드 플레이트(220)에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오거(240)의 각도가 유지된 채로 토양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오거(240)는 회전 축(213) 하단에 결합되며, 길이를 가진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오거 몸체(241) 및 하단이 뾰족하고, 탈거부(300)가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수용 홀(242a)을 형성하는 오거 헤드(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거 헤드(242)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플레이트가 오거 몸체(24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절곡되어 수용 홀(242a)을 형성하고, 하단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양을 뚫을 수 있으며, 수용 홀(242a)을 형성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거 몸체(241)는, 오거 커플링(243)에 의해 회전 축(213)과 출력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거 커플링(243)은, 회전 축(213)과 오거 몸체(241) 사이에서 발생하는 편감, 편각, 엔드 플레이 등을 흡수하여 장착 조정해 부하를 경감시키며, 과부하가 걸렸을 경우, 파단되어 회전 축(213)과 오거 몸체(241) 간 연결을 분리함으로써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250)은, 판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다리를 형성되어 채취부(200)의 각 구성을 지지하되, 오거 몸체(241)가 관통하고, 관통하는 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2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오거 몸체(2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맞물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프레임(250)의 하면에는 오거 헤드(24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오거(240)는, 회전 구동기(210)의 정-역회전에 의한 회전 시 나사산에 의해 상, 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250)은, 하면에 위치 고정 홈(2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오거(240)는 오거 몸체(241)의 오거 헤드(242)와 인접하는 외주면에 위치 고정 날개(24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고정 날개는 토양을 채취한 오거(24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정해진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탈거부(300)의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여 채취부(200)의 동작을 정리하자면, 도 7의 (a)는 회전 구동기(210)가 구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도 7의 (b)는 회전 구동기(210)가 구동하여, 회전 축(213)의 회전에 의해 회전 동력이 오거 커플링(243)을 통해 오거(240)로 전달된다.
이에, 오거 몸체(241)의 나사산과 고정 프레임(250)의 나사산이 맞물려 오거(240)가 하강하게 되어 오거 헤드(242)가 토양을 뚫고 들어가게 된다.
이에,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는 토양시료 채취를 자동화하여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노동량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깊이의 토양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탈거부(300)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오거(240)로부터 채취된 토양시료를 밀어내 탈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탈거부(300)는, 선형 구동기(310) 및 푸시팁(3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 구동기(310)는 몸체부(100)의 내부 하측면에 형성되되, 수용 홀(242a)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 구동기(310)는, 선형 구동기 브라켓(311)에 의해 몸체부(100)의 내부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푸시팁(320)은, 선형 구동기(310)의 선형 구동기 브라켓(311)이 결합되는 면의 타단에 결합되어, 선형 구동기(310)가 수평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수용 홀(242a)에 입출하여 수용 홀(242a) 내부에 채취된 토양시료를 밀어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시팁(320)은, 수용 홀(242a)의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되되, 수용 홀(242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푸시팁 링커(321)에 부착되며, 푸시팁 링커(321)에 선형 구동기(310)의 끝 단이 삽입되어 푸시팁 고정핀(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보관부(400)는, 채취 홀(131)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거부(300)에 의해 탈거된 토양시료를 수거하고 임시 보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400)는, 슬라이딩 레일(410), 슬라이딩 유닛(420), 시료 저장용기(430),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440), 스프링(450) 및 링크 바(4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슬라이딩 레일(410)은, 레일의 형태로 한 쌍으로 형성되되, 몸체부(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레일(410)은 채취 홀(131)의 둘레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채취부(200)가 채취를 할 경우, 보관부(400)가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슬라이딩 레일(410)은 외측면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 유닛(420)이 회동되면서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슬라이딩 유닛(420)은, 슬라이딩 레일(410)에 형성되어, 슬라이딩 레일(410)을 따라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유닛(420)은 슬라이딩 레일(410)을 따라 회동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롤러(421), 시료 저장용기(430)과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결합체(422) 및 슬라이딩 롤러(421)과 슬라이딩 결합체(422)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연결체(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슬라이딩 유닛(420)은, 슬라이딩 레일(410)을 따라 이탈하지 않고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유닛(420)는 슬라이딩 결합체(422)에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 돌기(424)를 형성할 수 있다.
시료 저장용기(430)는 한 쌍의 슬라이딩 유닛(42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유닛(420)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시료 저장용기(430)는, 작업자에 의해 탈부착되어 교체될 수 있으며, 탈착된 시료 저장용기(430)는 몸체부(100)의 시료 저장용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440)는 슬라이딩 유닛(420) 끝 단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440)는, 판의 형태로 형성되되, 시료 저장용기(430)를 바라보는 면에 스프링 걸림 홈(441)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450)은 슬라이딩 유닛(420)과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44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450)은 일단이 슬라이딩 유닛(420)의 걸림 돌기(424)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링 걸림 홈(441)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유닛(420)과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440)를 연결할 수 있다.
링크 바(460)는, 탈거되는 토양시료를 자동으로 보관하기 위해 탈거부(300)와 보관부(4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1 막대(461) 및 제2 막대(4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막대는(451),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에 연결 단홀(461a)이 형성되되 연결 단홀(461a)이 슬라이딩 유닛(420)과 와이어(W)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W)는 슬라이딩 유닛(420)의 슬라이딩 유닛(420)에 형성된 걸림 돌기(42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막대(461)는 중단이 채취부 수용 공간(130)의 하면에 형성되는 장홀(132)과 축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다.
제2 막대(462)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에 연결 장홀(462a)이 형성되되 연결 장홀(462a)이 탈거부(300)와 와이어(W)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막대(462)와 연결되는 와이어(W)는 탈거부(300)의 푸시팁(32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막대(462)는 하단이 채취부 수용 공간(130)의 하면에 형성되는 장홀(132)과 축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다.
연결 막대(463)는, 제1 막대(461)와 제2 막대(46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막대(461)와 제2 막대(46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 막대(463)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보관부(400)는, 탈거부(300)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여 탈거되는 토양시료를 수거하여 자동으로 임시 보관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여 탈거부(300) 및 보관부(400)의 동작을 정리하자면, 도 10의 (a)는 채취부(200)가 동작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한 상태에서 탈거부(300)와 보관부(400)가 동작하기 전 상태이다.
또한, 도 10의 (b)는 탈거부(300)가 동작하여 보관부(400)으로 토양시료를 탈거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탈거부(300)의 선형 구동기(310)가 구동하여 푸시팁(320)이 오거 헤드(242)의 수용 홀(242a) 방향으로 구동하고, 푸시팁(320)이 수용 홀(242a)을 관통하여 토양시료를 밀어내 탈거시킨다.
이때, 푸시팁(32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푸시팁(320)과 와이어(W)로 연결된 제2 막대(462)가 푸시팁(320)으로 회동한다.
이때, 연결 막대(463)으로 연결된 제1 막대(461)가 푸시팁(320)이 회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막대(461)와 와이어(W)로 연결된 슬라이딩 유닛(420)이 와이어(W)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로 인해, 시료 저장용기(430)는, 채취 홀(131) 방향으로 이동되어 탈거된 토양시료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푸시팁(32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경우, 스프링(450)이 압축하여 시료 저장용기(43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에,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는 보관을 자동화하여 작업에 필요한 작업자의 노동량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부(500)는, 몸체부(100) 하부에 형성되어, 몸체부(100)가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주행부(500)는, 전륜 어셈블리(510) 및 후륜 어셈블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륜 어셈블리(510)는, 몸체부(100)의 하면의 전방에 결합되어 전륜 구동모터(515)에 의해 전륜(511)을 구동하여 몸체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륜 어셈블리(510)는, 전륜(511), 전륜 구동 축(512), 전륜 기어(513), 전륜 구동모터(514) 및 전륜 결합 바(5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륜(511)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토양 위를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모든 바퀴로 형성될 수 있다.
전륜 구동 축(512)은, 한 쌍의 전륜(511)을 연결하고, 전륜(511)으로 구동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륜 기어(513)는, 전륜 구동 축(512)의 중단과 연결되어, 전륜 구동모터(514)로부터 구동 동력을 전달하고, 방향 전환 시 동력을 분배할 수 있다.
전륜 구동모터(514)는, 전륜 기어(513)과 연결되어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륜(511)이 토양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륜 결합 바(515)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전측 하면에 결합되되, 전륜 구동 축(512)에 연결되어 전륜 어셈블리(510)를 연결할 수 있다.
후륜 어셈블리(520)는, 몸체부(100)의 하면의 후방에 한 쌍이 결합되어 전륜 어셈블리(510)의 구동에 따라 몸체부(100)를 지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륜 어셈블리(520)는, 후륜(521), 후륜 결합 브라켓(522) 및 후륜 브레이크(523)를 포함할 수 있다.
후륜(521)은 한 쌍으로 형성되되, 토양 위를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모든 바퀴로 형성될 수 있다.
후륜 결합 브라켓(522)은 몸체부(100)의 후측 하면에 결합되되, 하방 대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륜(521)을 관통하여 후륜(521)이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후륜 결합 바(522a)를 형성할 수 있다.
후륜 브레이크(523)는 후륜(521) 상방에 결합되어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륜 브레이크(523)는 후륜(521)과 접촉하는 면에 접촉 패드(미도시)를 형성하여 후륜(521)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작업 시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를 고정하여 작업 정확도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부(500)로 인해,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는 토양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자의 노동량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보관부(400)에 보관된 토양시료의 농지정보를 태그하고,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610), 스위치(620), 메인 제어장치(미도시), GPS 모듈(미도시) 및 NFC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모듈(미도시) 및 토양 성분 분석용 카메라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10)는, 작업자로부터 채취, 포장, 태깅 등의 작업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작업정보는, 각 구성들에 전달되어 각 구성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610)는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를 이용하는 작업자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PC 외 모바일 단말,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입력수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입력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610)는 작업 시작 전 작업자로부터 토양시료를 채취하는 작업지에서 재배되는 작물종류, 재배기간 등 초기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기존에 입력되어 있던 농지정보를 출력 할 수 있다.
여기서, 농지정보란, 이전 작업자가 입력한 초기정보와 이전 작업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610)의 작업 제어 화면에서는 채취부(200)의 하향 제어 및 상향 제어와 보관부(400)의 작업정보를 입력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일 뿐,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의 모든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610)는, 채취부(200)와 보관부(400)의 채취 횟수 및 보관 횟수를 포함하여 작업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620)는, 손잡이 프레임(150)의 스위치 거치대(154)에 형성되되, 주행부(500)의 전륜 구동모터(514)와 연결되어 전륜 구동모터(514)에 배터리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스위치(620)를 눌러 전륜 구동모터(514)에 전력을 공급하여 주행부(500)를 구동할 수 있으며, 스위치(62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 전륜 구동모터(514)에 전력을 차단하여 주행부(500)의 구동을 멈출 수 있다.
메인 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610) 또는 스위치(620)로부터 전달되는 작업 제어를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의 각 구성에 전달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장치는 현재 작업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작업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장치는, 작업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상상태를 인지하고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작업자에게 출력하여 조치를 받을 수 있다.
GPS 모듈은 수신하는 GPS 정보를 획득하여 채취한 토양시료의 위치정보를 메인 제어장치로 전달한다.
이때, 메인 제어장치는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NFC 모듈은 메인 제어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NFC 태그에 읽기, 쓰기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메인 제어장치는 작업이 종료 되면 초기정보, 마지막으로 수신한 위치정보, 작업자가 작업한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를 사용하여 작업한 작업정보를, NFC모듈을 통해 통합하여 농지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이로 인해, 작업지의 토양시료에 대한 농지정보를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따로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유용하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메인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를 무선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무선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지도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 받거나, 메인 제어장치로 전달된 농지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원격제어 또는 자율주행을 수행 할 수 있는 센서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무선 통신모듈의 상호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목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토양 성분 분석용 카메라 센서는 특정하지 않는 파장 영역을 사용하는 카메라 센서가 될 수 있으며 토양 내 원소 별 특성에 따라 성분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현장에서 일차적인 토양성분 분석을 진행할 수 있고, 채취한 시료의 분석 이후 교차 검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에 이물질 제거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이물질 제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이물질 제거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a) 및 (b)는 도 12의 이물질 제거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는 이물질 제거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700)는, 몸체부(100)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시료가 채취되는 토양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부(700)는, 결합 플레이트(710), 수직 구동기(720), 블레이드 구동기(730), 블레이드 어셈블리(740) 및 이물질 감지 센서(75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71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플레이트(710)는 몸체부(10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구동기(720)는,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단이 몸체부(100) 측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결합 플레이트(710)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구동기(720)는, 몸체부(100)의 배터리 수용 공간(140)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끝 단이 결합 플레이트(710)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수직 구동기(720)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블레이드 구동기(730)는, 결합 플레이트(710) 상면에 형성되되, 하면에 결합 플레이트(7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 회전축(731)을 포함하고, 동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구동기(730)는, 결합 플레이트(710) 상면에 건전지(미도시) 및 구동기 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건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구동기 통신모듈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블레이드 어셈블리(740)는, 결합 플레이트(710) 하면에 형성되되, 블레이드 구동기(730)와 연결되며, 블레이드 구동기(7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어셈블리(740)는, 블레이드 몸체(741), 탄성부재(742), 접촉부재(743) 및 블레이드(74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몸체(741)는 결합 플레이트(710) 하면에 형성되되, 블레이드 회전축(731)이 삽입되어 연결되고 내부에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741a)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몸체(74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원통형의 내부가 상면으로부터 1/5 내지 1/4부분만 채워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빈 공간으로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741a)를 형성하며, 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채워진 부분의 중앙에는 블레이드 회전축(731)이 삽입되는 블레이드 회전축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블레이드 회전축(73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몸체(741)는 개방된 하단에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촉부재 걸림판(741b)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742)는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741a)에 수용되어 인장 또는 수축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742)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일 수 있으나, 원통형 고무패드, 스펀지 볼 등 인장 또는 수축하는 다양한 소재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743)는,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741a)에 수용되되, 탄성부재(742) 하면에 형성되어, 탄성부재(742)의 인장 또는 수축에 의해 입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재(743)는, 하면이 곡률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741a)으로부터 입출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촉부재(743)의 하방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접촉부재(743)의 외부로 밀어내고, 이물질 제거부(700)가 토양 표면에 밀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접촉부재(743)는,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접촉부재 걸림돌기(743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접촉부재 걸림돌기(743a)가 접촉부재 걸림판(741b)에 걸림으로써, 접촉부재(74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744)는 블레이드 몸체(74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어 토양 표면의 이물질을 바깥으로 밀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744)는, 블레이드 몸체(741)의 수평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날개 플레이트(744a)가 수평으로 연장되고, 날개 플레이트(744a)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 플레이트(74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감지 센서(750)는, 몸체부(100)의 전면에 토양 표면을 바라보도록 부착되어,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의 전방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하고, 제어부(600)에 이물질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는 이물질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이물질 제거부(70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여 이물질 제거부(700)의 동작을 정리하자면, 도 15의 (a)는 이물질 제거부(700)가 동작하기 전 상태이다.
또한, 도 15의 (b)는 이물질 제거부(700)가 동작하는 상태로, 이물질 감지 센서(750)에서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 전방의 이물질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이물질 감지 정보를 전달하고, 제어부(600)는 이물질 제거부(700)를 구동하게 된다.
먼저, 수직 구동기(720)가 하강함으로써, 결합 플레이트(710)가 하강하게 되고, 블레이드 구동기(730)이 구동하여 블레이드 어셈블리(740)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블레이드 어셈블리(740)의 접촉부재(743)가 접촉부재(743) 하방에 있는 이물질을 밀어낼 수 있다.
이때, 이물질은 돌, 자갈, 뭉쳐서 단단해진 토양, 곤충 사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접촉부재(743)가 토양에 밀접하여 블레이드 몸체(741)로 인입되고, 다수의 블레이드(744)가 토양에 밀접하여 접촉부재(743)가 밀어낸 이물질을 포함한 이물질을 작업하는 토양으로부터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700)는 이물질을 모두 밀어내고 초기 위치로 복귀할 경우, 접촉부재(743)는, 탄성부재(742)의 인장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는 토양시료 채취 대상이 되는 토양 표면을 정리함으로써 토양 표면의 이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의 고장을 방지하고 채취과정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에 평탄화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며, 도 18은 (a) 및 (b)는 도 12의 평탄화부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는 평탄화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부(800)는, 몸체부(100) 전면에 형성되어, 토양시료가 채취되는 토양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탄화부(800)는, 돌출 플레이트(810), 탄성체 지지바(820) 및 평탄화 플레이트(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플레이트(810)는, 몸체부(100)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플레이트(810)는, 한 쌍이 각각 몸체부(100) 좌, 우 측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전면의 중심으로 대각선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탄성체 지지바(82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중간에 탄성체(821)가 형성되는 형태로 돌출 플레이트(81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탄성체(821)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탄성체 지지바(820)는, 탄성체(821)가 인장 또는 수축되어 토양 표면의 상태에 따라 다방향, 다각도로 움직일 수 있다.
평탄화 플레이트(830)는, 탄성체 지지바(820)의 하면에 연결되되, 하면에 다수의 돌출 돌기(8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돌출 돌기(831)는 끝 단이 전방을 바라보는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토양 표면에 박혀있는 이물질을 드러낼 수 있다.
또한, 평탄화 플레이트(83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라봤을 때, 한 쌍이 '∧'모양을 이루는 형태로,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 전방의 토양 표면을 고르게 평탄화 할 수 있다.
도 18의 (a) 및 (b)를 참조하여 평탄화부(800)의 동작을 정리하자면, 도 18의 (a)는 평탄화부(800)는 탄성체 지지바(820)가 동작하기 전 상태이지만, 탄성체 지지바(82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평탄화부(800)는 토양 표면을 평탄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b)는 탄성체 지지바(820)가 동작하는 상태로,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 전방의 토양 표면이 언덕진 상태일 경우, 평탄화부(800)의 탄성체 지지바(820)가 수축 또는 인장하여 토양 표면의 형태에 따라 각도와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평탄화부(800)는 토양 표면에 언덕진 부분을 지나 다시 평평한 토양 표면으로 이동할 경우, 탄성체 지지바(820)의 탄성체(821)가 수축, 인장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는 토양시료 채취 대상이 되는 토양 표면을 정리함으로써 토양 표면의 이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의 고장을 방지하고 채취과정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 19를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S1)은, 상기에서 설명한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에 의해 채취되는 토양시료의 농지정보를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의 제어부(600)가 기록하는 방법으로, 작업시작단계(S100), 토양시료 채취단계(S200), 종료신호 판단단계(S300), 농지정보 출력단계(S400), 위치정보 보정단계(S500) 및 작업종료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작업시작단계(S100)는, GPS 모듈에서 동작 정확도를 보정하고, 디스플레이(610)에서 작물종류, 재배기간을 포함하는 초기정보 및 토양시료 채취작업에 대한 작업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610)는 토양시료 채취 포장기(1)를 이용하는 작업자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PC 외 모바일 단말,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입력수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입력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PS 모듈의 동작 정확도 보정은, GPS 모듈이 다수의 정지궤도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위치신호를 통해 각각의 위치신호를 비교하여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시작단계(S100)는, 디스플레이(610)에서 작업자로부터 토양 시료를 채취하는 토양에서 자라는 작물의 종류, 작물의 재배기간을 포함하는 토양과 관련된 초기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작업시작단계(S100)는, 디스플레이(610)에서 작업자로부터 토양 시료 채취, 토양 시료 탈거, 토양 시료 보관 등을 포함하는 토양시료 채취작업과 관련된 작업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토양시료 채취단계(S200)는 디스플레이(610)에서 작업신호를 입력 받아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를 통해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작업정보는, 채취 횟수 및 보관 횟수 등 토양시료 채취작업과 관련된 모든 작업에 대한 작업정보일 수 있다.
또한, 토양시료 채취단계(S300)는 토양 시료 채취, 토양 시료 탈거, 토양 시료 보관 등 토양시료 채취작업과 관련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작업들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종료신호 판단단계(S300)는, 토양시료 채취단계(S200) 후, 디스플레이에서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1)의 작업이 완료되어 생성되는 종료신호를 입력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종료신호는, 한번 이상의 토양시료 채취단계(S200) 후 디스플레이(610)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종료신호 판단단계(S300)에서 종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토양시료 채취단계(S200)를 수행하며, 종료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농지정보 출력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농지정보 출력단계(S400)는, 종료신호를 입력 받았을 경우, NFC 모듈에서 초기정보, 작업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농지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농지정보 출력단계(S400)는, NFC 모듈에서 농지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610)로 전달하여 농지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농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정보 보정단계(S500)는, GPS 모듈에서 위치정보가 정확한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 보정은, 상기에서 서술한 동작 정확도 보정과 같이 GPS 모듈이 다수의 정지궤도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수의 위치신호를 통해 각각의 위치신호를 비교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위치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보정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정보 보정단계(S530)에서 위치정보가 정확하지 않아 위치정보 보정이 이루어졌을 경우, 농지정보 출력단계(S400)로 돌아가 보정된 위치정보를 포함한 농지정보를 출력하며, 위치정보가 정확할 경우, 작업종료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작업종료단계(S600)는, NFC 모듈에서 농지정보를 저장하고,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이다.
이에, 작업자는 토양시료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에 필요한 시간과 노동량을 줄이고, 토양시료와 관련된 정보를 유용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 그 장치에 포함된 구성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100 : 몸체부
110 : 시료 저장용기 수용공간
111 : 시료 저장용기 수용공간 도어
120 : 제어부 수용 공간
121 : 제어부 수용 공간 도어
130 : 채취부 수용 공간
131 : 채취 홀
132 : 장홀
133 : 채취부 수용 공간 도어
140 : 배터리 수용 공간
141 : 도어 레일
142 : 배터리 수용 공간 도어
150 : 손잡이 프레임
151 : 손잡이 결합체
151a : 손잡이 결합 홀
152 : 손잡이 몸체
153 : 디스플레이 거치대
154 : 스위치 거치대
160 : 구분 판
200 : 채취부
210 : 회전 구동기
211 : 회전 몸체
212 : 회전 헤드
213 : 회전 축
220 : 가이드 플레이트
221 : 가이드 홀
230 : 가이드 축
240 : 오거
241 : 오거 몸체
242 : 오거 헤드
242a : 수용 홀
243 : 오거 커플링
244 : 위치 고정 날개
250 : 고정 프레임
251 : 위치 고정 홈
260 : 채취부 하우징
300 : 탈거부
310 : 선형 구동기
311 선형 구동기 브라켓
320 : 푸시팁
321 : 푸시팁 링커
400 : 보관부
410 : 슬라이딩 레일
420 : 슬라이딩 유닛
421 : 슬라이딩 롤러
422 : 슬라이딩 결합체
423 : 슬라이딩 연결체
424 : 걸림 돌기
430 : 시료 저장용기
440 :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
441 : 스프링 걸림 홈
450 : 스프링
460 : 링크 바
461 : 제1 막대
461a : 연결 단홀
462 : 제2 막대
462a : 연결 장홀
463 : 연결 막대
500 : 주행부
510 : 전륜 어셈블리
511 : 전륜
512 : 전륜 구동 축
513 : 전륜 기어
514 : 전륜 구동모터
515 : 전륜 결합 바
520 : 후륜 어셈블리
521 : 후륜
522 : 후륜 결합 브라켓
522a : 후륜 결합 바
523 : 후륜 브레이크
600 : 제어부
610 : 디스플레이
620 : 스위치
700 : 이물질 제거부
710 : 결합 플레이트
720 : 수직 구동기
730 : 블레이드 구동기
731 : 블레이드 회전축
740 : 블레이드 어셈블리
741 : 블레이드 몸체
741a :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
741b : 접촉부재 걸림판
742 : 탄성부재
743 : 접촉부재
743a : 접촉부재 걸림돌기
744 : 블레이드
744a : 날개 플레이트
744b : 수직 플레이트
750 : 이물질 감지 센서
800 : 평탄화부
810 : 돌출 플레이트
820 : 탄성체 지지바
821 : 탄성체
830 : 평탄화 플레이트
831 : 돌출 돌기
W : 와이어

Claims (7)

  1. 다수의 수용 공간 및 하면에 채취 홀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채취 홀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는 오거를 구비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하는 채취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오거로부터 채취된 토양시료를 밀어내 탈거시키는 탈거부;
    상기 채취 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탈거부에 의해 탈거된 토양시료를 수거하고 임시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몸체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주행부 및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토양시료의 농지정보를 태그하고,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회전 축을 구비하고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 구동기;
    상기 회전 구동기의 하면에 판 형태로 형성되어 각 꼭짓점으로부터 내측에 가이드 홀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 축이 관통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축;
    상기 회전 축의 하단에 결합되며, 길이를 가진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오거 몸체 및 하단이 뾰족하고, 상기 탈거부가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수용 홀을 형성하는 오거 헤드를 포함하는 오거 및
    판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다리가 형성되어 상기 채취부의 각 구성을 지지하되, 상기 오거 몸체가 관통하고, 관통하는 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하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용 홀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회동하도록 형성된 선형 구동기 및
    상기 선형 구동기 끝 단에 결합되어, 상기 선형 구동기가 수평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 홀에 입출하여 상기 수용 홀 내부에 채취된 토양시료를 밀어내도록 형성된 푸시팁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는,
    레일의 형태로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회동되는 슬라이딩 유닛;
    상기 탈거부로부터 탈거된 토양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의해 회동되는 시료 저장용기;
    상기 슬라이딩 유닛 끝 단에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스프링 연결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스프링 및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에 연결 단홀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 단홀이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1 막대 및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에 연결 장홀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 장홀이 상기 탈거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제2 막대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 링크 바를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는,
    상기 몸체부 하부에 형성되어, 토양시료가 채취되는 토양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판 형태로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몸체부 측면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다수의 수직 구동기;
    상기 결합 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되, 하면에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 회전축을 포함하고, 동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된 블레이드 구동기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 구동기와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 구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 회전축이 삽입되어 연결되고 내부에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몸체;
    상기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인장 또는 수축하는 탄성부재;
    상기 블레이드 몸체 수용공간에 위치하되, 탄성부재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 또는 수축에 의해 입출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토양 표면의 이물질을 바깥으로 밀어내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는,
    상기 몸체부 전면에 형성되어, 토양시료가 채취되는 토양 표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돌출 플레이트;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원기둥의 중단에 탄성체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하면에 연결되는 탄성체 지지바 및
    상기 탄성체 지지바의 하면에 연결되되, 하면에 다수의 돌출 돌기를 형성하는 한 쌍의 평탄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7.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에 의해 채취되는 토양시료의 농지정보를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의 제어부가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GPS 모듈에서 동작 정확도를 보정하고, 디스플레이에서 작물종류, 재배기간을 포함하는 초기정보 및 토양시료 채취작업에 대한 작업신호를 입력 받는 작업시작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작업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통해 토양시료를 채취하고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토양시료 채취단계;
    상기 토양시료 채취단계 후,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의 작업이 완료되어 생성되는 종료신호를 입력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종료신호 판단단계;
    상기 종료신호를 입력 받았을 경우, NFC 모듈에서 상기 초기정보, 상기 작업정보, 상기 GPS 모듈에서 작업위치를 기반으로 생성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농지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농지정보 출력단계;
    상기 GPS 모듈에서 상기 위치정보가 정확한지를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위치정보 보정단계 및
    상기 NFC 모듈에서 상기 농지정보를 저장하고, 작업을 종료하는 작업종료단계를 포함하는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
KR1020210164070A 2021-11-25 2021-11-25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 KR20230077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070A KR20230077135A (ko) 2021-11-25 2021-11-25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070A KR20230077135A (ko) 2021-11-25 2021-11-25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135A true KR20230077135A (ko) 2023-06-01

Family

ID=8677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070A KR20230077135A (ko) 2021-11-25 2021-11-25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1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2892A (zh) * 2023-11-10 2023-12-15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土壤自动取样机器人
CN117848763A (zh) * 2024-03-05 2024-04-09 云南农业大学 一种草原蝗虫卵智能调查采样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2892A (zh) * 2023-11-10 2023-12-15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土壤自动取样机器人
CN117232892B (zh) * 2023-11-10 2024-01-19 北京建工环境修复股份有限公司 一种土壤自动取样机器人
CN117848763A (zh) * 2024-03-05 2024-04-09 云南农业大学 一种草原蝗虫卵智能调查采样装置
CN117848763B (zh) * 2024-03-05 2024-05-14 云南农业大学 一种草原蝗虫卵智能调查采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7135A (ko) 농지정보 기록형 자동 토양시료 채취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농지정보 기록방법
EP3434092B1 (de) Im aussenbereich selbsttätig verfahrbares arbeitsgerät
US10721857B2 (en) Autonomous integrated farming system
EP3434090B1 (de) System zur erfassung von dreidimensionalen umgebungsdaten, insbesondere zur pflanzenpflege sowie sensormodul
US8051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il sampling
RU260577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документирования ситуаций при полевых работах
US20080046130A1 (en) Agricultural automation system with field robot
US20060213167A1 (en) Agricultural robot system and method
US11402835B2 (en) Radio-controlled seed planter
US20220272900A1 (en) Agricultural robot
EP1830624A2 (en) Agricultural robot system and method
KR102261087B1 (ko) 영상기반 감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5547360A (zh) 基于情景感知的作物冠层图像采集方法
US20120109520A1 (en) Method for processing agricultural data
CN109068572B (zh) 自主的结合农作系统
EP3381254A1 (de) Vorrichtung zum aussähen von waldsamen mit einer bewegbaren saatmaschine
CN115791263A (zh) 一种便于操作的根际土原位收集装置及方法
US20220030756A1 (en) Retrofitting kit to be mounted on an agricultural implement
KR20210026505A (ko) 무선 조종식 파종기 제어용 모니터링시스템
CN113692854A (zh) 西红柿采摘机及其控制方法
CN112857442B (zh) 一种多源数据融合的山地作物病虫害信息检测装置
BR102020025168A2 (pt) Dispositivo e sistema automático de aquisição de imagens para monitoramento de culturas de grãos
LU100070B1 (fr) Methode et dispositif de prelevements d'echantillons de terre en prairie et terre de culture via drone
KR101993182B1 (ko) 자동이식기 이식호퍼 성능 평가를 위한 토양저항 측정장치
KR102389539B1 (ko) 농업용 로봇을 이용한 농작물 재배 및 영농 지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