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848A -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들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848A
KR20230076848A KR1020237014500A KR20237014500A KR20230076848A KR 20230076848 A KR20230076848 A KR 20230076848A KR 1020237014500 A KR1020237014500 A KR 1020237014500A KR 20237014500 A KR20237014500 A KR 20237014500A KR 20230076848 A KR20230076848 A KR 2023007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
reality content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카르도 보스콜로
스티븐 델루어
알로나 코틀리아
진 루오
빈센트 성
애슐리 마이클 웨인
Original Assignee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5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facial parts and geometric relation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이 구매를 위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된 제품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은 개별 제품들에 관련된 정보에 따라 채워질 수 있는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개별 제품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맞춤화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은 각자의 분류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이 각자의 분류에 또한 대응하는 제품들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분류 시스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들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2020년 9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85,284호 및 2021년 8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402,277호에 대한 우선권의 혜택을 주장하며, 이들 출원의 내용은 참조 문헌으로서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은 메시징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미디어 오버레이들, 문서들, 창작물들, 이들의 조합들, 및 그와 유사한 것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상황들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은 또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닌 도면들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기술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요소 또는 액트의 논의를 쉽게 식별하기 위해, 참조 번호의 최상위 숫자 또는 숫자들은 그 요소가 처음 도입되는 도면 번호를 지칭한다. 일부 구현들은 제한이 아니라 예로서 예시된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예를 들어, 메시지들 및 연관된 콘텐츠)를 교환하기 위한 아키텍처의 도식적 표현이다.
도 2는 일부 예들에 따른, 클라이언트 측 및 서버 측 기능성 모두를 가질 수 있는 시스템의 도식적 표현이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서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예시적인 프레임워크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및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식적 표현이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소정 수의 영역들을 나타내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사용자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도 7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도 8의 사용자 콘텐츠의 수정된 버전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도 10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론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형태의 머신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와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산출될 수 있는 사용자 콘텐츠를 수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캡처되는 비디오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또는 오디오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정된 사용자 콘텐츠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신되는 메시지들을 통해 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소셜 네트워킹 기능성을 통해 그런 것처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들은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와 같은 아이템들을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소매상들, 도매상들, 직접 배급자들, 제조자들,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제품들의 판매자들로부터 제품들을 구매할 수 있게 하는 전자상거래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시스템들에서, 제품들 또는 서비스들과 관련된 정보는 통상적으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들에게 광고들로서 디스플레이된다. 광고들은 사용자 콘텐츠와 별도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콘텐츠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분에 제시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광고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추가 부분에 제시될 수 있다. 덧붙여, 사용자 콘텐츠는 소정 시간 기간 동안 하나 이상의 광고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들 또는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콘텐츠에 통합되지 않는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은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엔티티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들 또는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그 결과,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 및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에 통합된 콘텐츠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들을 위한 맞춤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구매를 위한 제품들을 제공하는 많은 엔티티들에 대해,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의 생성은 비효율적인 프로세스일 수 있고, 엔티티들은 엔티티들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통합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제품"은 구매자와 같은 획득자에 의한 획득에 이용 가능한 아이템을 지칭할 수 있다. 제품은 물리적 상품, 전자 아이템, 서비스,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기법들, 명령어 시퀀스들, 아키텍처들, 및 컴퓨팅 머신 프로그램 제품들은 엔티티들이 엔티티들에 의한 취득을 위해 제공된 제품들에 관련된 콘텐츠를 통합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맞춤화된 경험에 관한 것이다. 엔티티들은 하나 이상의 개인, 사업체, 교육 기관, 비영리 조직, 또는 취득을 위한 제품들을 제공하는 임의의 개인 또는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들은 전자상거래 기능성을 사용하여 그런 것처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취득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시나리오들에서, 제품들은 물리적 로케이션에서의 취득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명령어 시퀀스들, 아키텍처들, 및 컴퓨팅 머신 프로그램 제품들은 엔티티들이 엔티티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관련된 정보를 통합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그에 의해 생성할 수 있는 안내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엔티티들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제시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증강 현실 아이템 템플릿들이 엔티티들에게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템플릿들은 그에 대해 정보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에 의해 제시될 수 있는 제품들의 특징들에 관련될 수 있다. 엔티티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템플릿은 엔티티의 특징들 또는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들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템플릿이 주어진 산업 또는 카테고리 내의 엔티티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하나 이상의 제1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소매 엔티티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하나 이상의 제2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식품 및 음료 엔티티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제품의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채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정보는 구매용 제품을 제공하는 엔티티로부터 획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템플릿은 제품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제시될 수 있는 로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덧붙여, 템플릿은 제품명, 슬로건(slogan), 브랜드명, 그래픽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애니메이션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템플릿의 영역에 제시될 수 있는 정보의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템플릿은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에 관한 정보와 관련하여 실행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의 미리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는데 이용되는 정보는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에 관한 정보의 카탈로그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는데 이용되는 정보는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의 특징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트의 정보는 의류 아이템들을 판매하는 소매업자들에 대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2 세트의 정보는 식당들에 대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명령어 시퀀스들, 아키텍처들, 및 컴퓨팅 머신 프로그램 제품들은 엔티티들이 엔티티들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티티를 위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의 선택은 엔티티들의 특징들 또는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에 기초하여 맞춤화된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 결과, 엔티티들에 의해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데 전용된 리소스들이 감소될 수 있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이용가능한 콘텐츠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덧붙여, 엔티티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관련된 콘텐츠를 제시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제공함으로써, 엔티티들의 콘텐츠에 대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작용들 및 인상들이 증가할 가능성이 더 높다.
도 1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예를 들어, 메시지 및 연관된 콘텐츠)를 교환하기 위한 아키텍처(100)의 도식적 표현이다. 아키텍처(100)는 다중의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모바일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팅 디바이스,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울트라북, 넷북,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래머블 소비자 가전 시스템, 게임 콘솔, 셋탑 박스, 차량 내의 컴퓨터, 착용식 디바이스,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또는 사용자가 아키텍처(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액세스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 및 하나 이상의 제3자 애플리케이션(1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할 수 있다. 각자의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사용하여 비디오, 이미지들(예를 들어, 사진들), 오디오, 및 미디어 오버레이들과 같은 사용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은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생성하고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소셜 네트워킹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은 다양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에 의해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인스턴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메시징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사용하여 생성된 메시지들은 비디오, 하나 이상의 이미지, 오디오, 미디어 오버레이, 텍스트, 하나 이상의 창작 도구를 사용하여 생성된 콘텐츠, 주석, 및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은 상호작용 메시지들을 보고 생성하고, 지도 상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다른 사용자들의 로케이션들을 보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다른 사용자들과 채팅하고, 및 등등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사람, 머신,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다른 수단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사용자는 아키텍처(100)의 일부가 아닐 수 있지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아키텍처(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사용자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게 입력(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입력 또는 영숫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입력은 아키텍처(100) 내의 다른 엔티티들에 통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아키텍처(100) 내의 다른 엔티티들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들에게 제시될 정보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를 사용하여 아키텍처(100) 내의 다양한 엔티티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아키텍처(100)는 또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8)은 모바일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팅 디바이스,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울트라북, 넷북,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래머블 소비자 가전 시스템, 게임 콘솔, 셋톱 박스, 차량 내의 컴퓨터, 착용식 디바이스,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또는 사용자가 아키텍처(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액세스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8)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액세스 애플리케이션(114)을 포함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할 수 있다. 콘텐츠 액세스 애플리케이션(114)은 하나 이상의 소스로부터의 콘텐츠에 액세스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콘텐츠 액세스 애플리케이션(들)(114)은 웹 브라우저와 같은 하나 이상의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8)은 구매용 제품들 또는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대표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각각의 인스턴스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또 다른 인스턴스, 하나 이상의 제3자 애플리케이션(106), 또는 서버 시스템(112)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104)의 인스턴스들 사이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 사이에서, 그리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인스턴스들과 서버 시스템(112)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기능들(예컨대, 기능들을 기동시키기 위한 커맨드들) 및 페이로드 데이터(예컨대,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또는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104)의 인스턴스들 사이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 사이에서, 그리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적어도 하나의 인스턴스와 적어도 하나의 제3자 애플리케이션(106)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 및 추가적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로부터 직접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104) 사이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 사이에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과 적어도 하나의 제3자 애플리케이션(106)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로부터 추가적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또 다른 인스턴스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중간 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의 간접 통신에서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서버가 서버 시스템(112)에 포함될 수 있다.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으로부터 분리되고 별개의 것일 수 있다.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과는 별도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다운로드되고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이 다운로드 및 설치되기 전에 또는 후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다운로드 및 설치될 수 있다.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제공하는 엔티티 또는 조직과는 상이한 엔티티 또는 조직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과는 별도의 로그인 자격증명들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즉,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은 제1 사용자 계정을 유지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은 제2 사용자 계정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은 음악, 비디오 청취, 운동 추적, 그래픽 요소(예를 들어, 스티커) 보기,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및 등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 및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예로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은,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탑승 또는 자동차 공유 애플리케이션, 쇼핑 애플리케이션, 거래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촬상 애플리케이션, 음악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운동 추적 애플리케이션, 건강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 그래픽 요소 또는 스티커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12)은 서버 측 기능성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114)를 통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제공한다. 서버 시스템(112)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시스템(112), 및 서버 시스템(112)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서버는,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및 서버 시스템(112)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114)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1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 및 동작들을 지원한다. 그러한 동작들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데이터는, 예로서, 메시지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정보, 지오로케이션 정보, 미디어 주석 및 오버레이, 메시지 콘텐츠 지속 조건, 소셜 네트워크 정보, 및 라이브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키텍처(100) 내에서의 데이터 교환들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UI들)을 통해 이용가능한 기능들을 통해 기동되고 제어된다.
아키텍처(100)의 특정 기능들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또는 서버 시스템(112)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 또는 서버 시스템(112) 내에서의 기능성의 로케이션은 설계 선택 사항이다. 예를 들어, 초기에 서버 시스템(112) 내에 특정 기술 및 기능성을 배치하지만, 나중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충분한 처리 용량을 갖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이 기술 및 기능성을 이주시키는 것이 기술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1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118)에 결합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118)에 프로그램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서버(116)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18)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122)로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122)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8)에 의해 처리된 정보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122)는, 취급되지 않은 미디어 콘텐츠, 사용자로부터의 원본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고품질 미디어 콘텐츠), 처리된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와의 공유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상에서의 시청을 위해 포맷팅된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에 관련된 정황 데이터, 사용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관련된 정황 데이터, 미디어 오버레이, 미디어 오버레이 스마트 위젯 또는 스마트 요소, 사용자 데이터, 사용자 디바이스 정보,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비디오 및 이미지), 미디어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및 이미지와 연관된 데이터), 컴퓨팅 디바이스 정황 데이터, 직렬화된 데이터, 세션 데이터 아이템들, 사용자 디바이스 로케이션 데이터, 매핑 정보, 대화형 메시지 이용 데이터, 대화형 메시지 메트릭 데이터, 및 등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122)는 제3자 서버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104), 사용자들,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06), 및 등등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API 서버(116)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과 애플리케이션 서버(118) 사이에서 데이터(예를 들어, 커맨드들 및 메시지 페이로드들)를 수신하고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서버(116)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8)의 기능성을 기동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호출되거나 질의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루틴들 및 프로토콜들)의 세트를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서버(116)는 계정 등록, 로그인 기능성,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하나의 인스턴스로부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또 다른 인스턴스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118)를 통한 메시지들의 전송,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버(118)로의 미디어 파일들(예를 들어, 이미지들, 오디오, 비디오)의 전송, 및 또 다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한 가능한 액세스를 위해, 미디어 콘텐츠의 컬렉션(예를 들어, 갤러리, 스토리, 메시지 컬렉션, 또는 미디어 컬렉션)의 설정,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의 친구들의 리스트의 검색, 그러한 컬렉션들의 검색, 메시지들 및 콘텐츠의 검색, 소셜 그래프에의 친구들의 추가 및 삭제, 소셜 그래프 내에서의 친구들의 로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이벤트(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관련됨)를 여는 것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8)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노출시킨다.
서버 시스템(112)은 또한 웹 서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124)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들(118)에 결합되고, 웹 기반 인터페이스들을 애플리케이션 서버들(118)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웹 서버(124)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및 여러 다른 관련 프로토콜을 통해 착신 네트워크 요청들을 처리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18)는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 미디어 콘텐츠 처리 시스템(128),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130), 제품 정보 시스템(132), 증강 현실(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 및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을 포함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서브시스템을 호스팅한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은, 특히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다중의 인스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들에 포함된 콘텐츠(예를 들어,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모음 및 다른 처리에 관련된, 다수의 메시지 처리 기술 및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은 전자 메일(이메일), IM(instant messaging), SMS(Short Message Service), 텍스트, 팩시밀리, 또는 음성(예를 들어, VoIP(Voice over I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유선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인터넷),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모바일, 셀룰러, WIFI,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블루투스)을 통해 메시지들을 전달할 수 있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은 다중의 소스로부터의 텍스트 및 미디어 콘텐츠를 콘텐츠의 컬렉션들이 되도록 모을 수 있다. 그 후 이 컬렉션들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에 의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게 이용가능하게 된다. 다른 프로세서 및 메모리 집약적인 데이터의 처리는 그러한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요건들을 고려하여,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에 의해 서버 측에서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처리 시스템(128)은 통상적으로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에서의 메시지 또는 다른 콘텐츠 아이템의 페이로드 내에서 수신된 이미지들, 오디오, 또는 비디오에 대하여,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처리 동작들을 수행하는 데 전용된다. 미디어 콘텐츠 처리 시스템(128)은 미디어 콘텐츠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사용할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된 미디어 콘텐츠의 결과들을 저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들)(122))에 액세스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130)은 다양한 소셜 네트워킹 기능들 및 서비스들을 지원하고, 이러한 기능들 및 서비스들을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에 이용가능하게 만든다. 이를 위해,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130)은 데이터베이스(들)(122) 내에 엔티티 그래프를 유지하고 이것에 액세스한다.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130)에 의해 지원되는 기능들 및 서비스들의 예들은 특정 사용자가 관계들을 갖거나 또는 "팔로우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다른 사용자들의 식별, 및 또한 특정 사용자의 다른 엔티티들 및 관심들의 식별을 포함한다.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130)은 사용자의 친구들 또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 접속들 각각과 연관된 로케이션 정보에 액세스하여 그들이 살고 있거나 현재 지리적으로 위치하는 곳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130)은 사용자의 친구들이 살고 있는 지리적 로케이션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친구들 각각에 대한 로케이션 프로필을 유지할 수 있다.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관련 제품들의 정보를 하나 이상의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준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파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과 관련된 정보를 캡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로고, 브랜드 정보, 연락처 정보, 로케이션 정보, 하나 이상의 엔티티를 설명하는 정보,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구매용 제품들을 제공하는 엔티티들에 대응하는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로부터의 제품들과 관련하여 획득된 정보를 제품 정보(138)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제품 정보(138)는 가격책정 정보, 설명 정보, 식별 정보, 리뷰 정보, 등급 정보, 제품들의 특징들을 표시하는 정보, 제품들에 대응하는 이미지 콘텐츠, 제품들에 대응하는 비디오 콘텐츠, 제품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콘텐츠, 배송 옵션 정보,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및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의 특징들에 따라 제품 정보(138)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각자의 제품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징들과 관련하여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분류들은 하나 이상의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통합할 수 있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에 대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식품 및 음료 산업, 미용 및 개인 제품 산업, 의류 산업, 자동차 산업, 홈 어플라이언스 산업, 전자 디바이스 산업, 스포츠 상품 산업,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제품들에 관련된 산업에 따라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품들의 산업 또는 다른 특징들에 따라 각자의 제품들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138)의 부분들을 저장하는 것은 각자의 제품에 관한 정보가 효율적으로 검색될 수 있게 하고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이 제품에 대해 효율적으로 식별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제품 정보(138)는 하나 이상의 각자의 엔티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제품 카탈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주어진 엔티티에 대해, 하나 이상의 제품 카탈로그는, 하나 이상의 제품 카탈로그에 포함된 제품들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분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품 카탈로그에 포함된 제품들의 특징들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안된 하나 이상의 제품에 관한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제품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제품들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제품들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분류의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식별할 수 있다. 제품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분류의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품을 분류와 연관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품의 분류를 나타내는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품에 대한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의 분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캡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품의 분류를 나타내는 정보는 "건강 및 피트니스"와 같은 분류의 식별자, 또는 "운동", "체육관" 또는 "워크아웃"과 같은 분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품과 관련하여 제공할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결정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140)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1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제품에 관련된 제품 정보(13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를 포함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140)은 또한 각자의 영역들에 디스플레이될 정보의 카테고리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140)은 구매용 제품을 제공하는 엔티티의 식별자를 포함하게 될 영역의 로케이션 및 제품의 식별자를 포함하게 될 추가적인 영역의 로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은 제품에 관련된 그래픽 콘텐츠를 포함하게 될 또 다른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140)에 의해 표시된 각자의 영역에 포함된 콘텐츠는 정적 콘텐츠 또는 동적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의 영역에 포함된 콘텐츠는 이미지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오디오 콘텐츠, 애니메이션 콘텐츠, 또는 텍스트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포함된 콘텐츠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에 대한 오버레이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140)은 제품들의 하나 이상의 분류와 각각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은 제품들의 제1 분류와 연관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은 제품들의 제2 분류와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분류에 관련된 구매용 제품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는 제1 분류에 대응하는 제품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시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1 분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류에 관련된 구매용 제품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는 제2 분류에 대응하는 제품들과 관련된 정보를 제시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분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활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1 분류를 갖는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은 식품 및 음료 제품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시하도록 실행가능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2 분류를 갖는 추가적인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은 소비자 포장 상품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시하도록 실행가능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템플릿 입력 정보(142)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해 엔티티에 제공할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결정할 수 있다. 템플릿 입력 정보(142)는 하나 이상의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8)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액세스 애플리케이션(110)을 이용하여 엔티티에 액세스가능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티티는, 템플릿 입력 정보(142)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콘텐츠 액세스 애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웹사이트와 같은 전자적으로 액세스 가능한 사이트에 액세스하도록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8)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시를 위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엔티티에 대한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템플릿 입력 정보(142)를 캡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템플릿 입력 정보(142)는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제품,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징,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제품의 하나 이상의 분류,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140)에 포함된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에 관련된 정보에 대해 템플릿 입력 정보(142)를 분석할 수 있다. 템플릿 입력 정보(142)의 분석은 그에 대해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이 생성될 제품의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분류에 기초하여 제품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템플릿 입력 정보(142)가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에 대한 분류를 결정하기 위해 제품과 연관되는 제품 정보(138)에 대하여 제품의 식별자를 분석할 수 있다. 그 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분류에 기초하여, 제품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품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기 위해 활용할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결정한 후에,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산출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에 포함된 개별 영역들에 대해 제시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의 식별자가 제품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의 영역에 포함될 것임을 결정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 정보(138)를 분석하여 제품의 식별자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사용하여 제품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고, 여기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식별자를 포함하고, 식별자를 각자의 영역과 연관시키거나, 또는 각자의 영역에 대한 식별자에 대한 저장 로케이션 식별자, 예컨대,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션(uniform resource location)을 포함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에 대한 다른 정보가 제품에 대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에 의해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하여 제품에 관련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의 특정된 영역들과 연관되게 야기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한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된 제품의 식별자를 나타내는 AR 콘텐츠 아이템 정보(144)를 수신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하나 이상의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8)로부터 AR 콘텐츠 아이템 정보(144)를 수신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AR 콘텐츠 아이템 정보(144)에 포함되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품 정보(138)로부터 제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AR 콘텐츠 아이템 정보(144)에 포함된 제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제품이 소비자 포장 상품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제품에 대한 분류에 기초하여,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분류에 대응하는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분류에 기초하여,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품 정보(138)에 포함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의 영역이 구매용 제품을 제공하는 엔티티의 로고에 의해 채워질 것임을 결정할 수 있고,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제품 정보(138)로부터 로고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에 의해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제품에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실행하는 것이 엔티티의 로고가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140)에 표시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게 야기할 수 있도록, 로고 또는 로고의 저장 로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생성 시스템(136)은 또한 제품명, 제품과 관련된 애니메이션 그래픽, 제품에 대응하는 이미지 콘텐츠, 제품과 관련된 슬로건,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및 등등과 같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의 실행에 응답하여 제시될 추가 콘텐츠를 포함하도록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일부 예들에 따른, 서버 시스템(112)에 관한 추가 상세사항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서버 시스템(11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들(11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서버 시스템(112)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그리고 서버 측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들(118)에 의해 지원되는 다수의 서브시스템을 구체화한다. 이러한 서브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단기적 타이머 시스템(202), 컬렉션 관리 시스템(204), 증강 시스템(206), 지도 시스템(208), 게임 시스템(210), 제품 정보 시스템(13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 및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을 포함한다.
단기적 타이머 시스템(20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 및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26)에 의한 콘텐츠에 대한 일시적 또는 시간 제한된 액세스를 시행하는 것을 담당한다. 단기적 타이머 시스템(202)은 메시지, 또는 메시지들의 컬렉션(예를 들어, 스토리)과 연관된 지속기간 및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통해 메시지들 및 연관된 콘텐츠에 대한 (예를 들어, 프레젠테이션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타이머를 포함한다. 단기적 타이머 시스템(202)의 동작에 관한 추가 상세사항들이 아래에 제공된다.
컬렉션 관리 시스템(204)은 미디어의 세트들 또는 컬렉션들(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의 컬렉션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콘텐츠의 컬렉션(예를 들어, 이미지들, 비디오, 텍스트 및 오디오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은 "이벤트 갤러리" 또는 "이벤트 스토리"가 되도록 조직될 수 있다. 이러한 컬렉션은 콘텐츠가 관련된 이벤트의 지속기간과 같은 지정된 시간 기간 동안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콘서트에 관련한 콘텐츠는 그 음악 콘서트의 지속기간 동안 "스토리"로서 이용가능하게 될 수 있다. 컬렉션 관리 시스템(204)은 또한 특정 컬렉션의 존재의 통지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아이콘을 게시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더욱이 컬렉션 관리 시스템(204)은 컬렉션 관리자가 콘텐츠의 특정 컬렉션을 관리 및 큐레이션하는 것을 허용하는 큐레이션 인터페이스(2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큐레이션 인터페이스(212)는 이벤트 조직자가 특정 이벤트에 관련된 콘텐츠의 컬렉션을 큐레이션(예를 들어, 부적절한 콘텐츠 또는 중복 메시지들을 삭제)할 수 있게 한다. 덧붙여, 컬렉션 관리 시스템(204)은 머신 비전(또는 이미지 인식 기술) 및 콘텐츠 규칙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컬렉션을 자동으로 큐레이션한다. 특정 예들에서,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컬렉션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보상이 사용자에게 지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컬렉션 관리 시스템(204)은 이러한 사용자들에게 그들의 콘텐츠의 사용에 대해 자동으로 지불하도록 동작한다.
증강 시스템(206)은 사용자가 메시지와 같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통해 산출된 콘텐츠와 연관된 미디어 콘텐츠를 증강(예를 들어, 주석부기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정 또는 편집)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증강 시스템(206)은 서버 시스템(112)에 의해 처리된 콘텐츠에 대한 미디어 오버레이들의 생성 및 게시와 관련된 기능들을 제공한다. 증강 시스템(206)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지오로케이션에 기초하여 미디어 오버레이 또는 증강(예를 들어, 이미지 필터)을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동작가능하게 공급한다. 또 다른 예에서, 증강 시스템(206)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와 같은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오버레이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동작가능하게 공급한다. 미디어 오버레이는 오디오 및 시각적 콘텐츠 및 시각적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및 비주얼 콘텐츠의 예들은 사진, 텍스트, 로고, 애니메이션, 및 사운드 효과를 포함한다. 시각적 효과의 예는 컬러 오버레이를 포함한다. 오디오 및 시각적 콘텐츠 또는 시각적 효과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있는 미디어 콘텐츠 아이템(예를 들어, 사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오버레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촬영된 사진 위에 오버레이될 수 있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미디어 오버레이는, 로케이션 식별 오버레이(예를 들어, Venice beach), 라이브 이벤트의 이름, 또는 판매자 이름 오버레이(예를 들어, Beach Coffee House)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증강 시스템(206)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지오로케이션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지오로케이션에서의 상인의 이름을 포함하는 미디어 오버레이를 식별한다. 미디어 오버레이는 상인과 연관된 다른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오버레이는 데이터베이스(들)(122)에 저장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들)(116)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증강 시스템(206)은 사용자들이 지도 상에서 지오로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오로케이션과 연관된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기반 게시 플랫폼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또한, 특정 미디어 오버레이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상황을 지정할 수 있다. 증강 시스템(206)은 업로드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미디어 오버레이를 생성하고 업로드된 콘텐츠를 선택된 지오로케이션과 연관시킨다.
다른 예들에서, 증강 시스템(206)은, 상인들이 입찰 프로세스를 통해 지오로케이션과 연관된 특정 미디어 오버레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상인 기반 게시 플랫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증강 시스템(206)은 최고가 입찰 상인의 미디어 오버레이를 미리 정의된 양의 시간 동안 대응하는 지오로케이션과 연관시킨다.
지도 시스템(208)은 다양한 지리적 로케이션 기능들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한 지도 기반 미디어 콘텐츠 및 메시지들의 프레젠테이션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지도 시스템(208)은 지도의 컨텍스트 내에서, 사용자의 "친구들"의 현재 또는 과거 로케이션뿐만 아니라, 그러한 친구들에 의해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예를 들어, 사진들 및 비디오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들의 컬렉션들)를 표시하기 위해 지도 상의 사용자 아이콘들 또는 아바타들(예를 들어, 도 3의 프로필 데이터(308)에 저장됨)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지리적 로케이션으로부터 서버 시스템(112)에게 사용자에 의해 포스팅된 메시지는 그 특정 로케이션에서의 지도의 컨텍스트 내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지도 인터페이스 상의 특정 사용자의 "친구들"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그의 로케이션 및 상태 정보를 (예를 들어, 적절한 상태 아바타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통해 서버 시스템(112)의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고, 이 로케이션 및 상태 정보는 선택된 사용자들에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지도 인터페이스의 컨텍스트 내에 유사하게 디스플레이된다.
게임 시스템(210)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컨텍스트 내에서 다양한 게임 기능들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컨텍스트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론칭되고 서버 시스템(112)의 다른 사용자들과 플레이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게임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서버 시스템(112)은 또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으로부터 다른 사용자들에게 초청들을 발행함으로써, 특정 사용자가 특정한 게임의 플레이에 참여하도록 그런 다른 사용자들을 초청할 수 있게 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은 또한 게임플레이의 컨텍스트 내에서 음성 및 텍스트 메시징(예를 들어, 채팅들) 둘 다를 지원하고, 게임들에 대한 리더보드를 제공하고, 또한 게임 내 보상들(예를 들어, 코인들 및 아이템들)의 제공을 지원한다.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한 구매를 위해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제품 카탈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분류 시스템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분류 시스템은 다수의 분류를 포함할 수 있고, 분류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분류는 각자의 분류에 포함된 제품들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품들에 관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을 식별하기 위한 제품들에 관련된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 및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분류 시스템에 포함된 분류들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그에 대해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이 생성될 각자의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다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특징에 대한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초하여 제품과 연관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 정보 시스템(132)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고 분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에 의해 식별된 템플릿들을 사용하여 그리고 제품 정보 시스템(132)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들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그에 대해 정보가 채워질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 대해,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영역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개별 영역들은 제품의 특징들의 식별자 또는 개별 영역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의 유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품 특징 식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제품 특징 식별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는데 이용될 각자의 제품에 관련된 정보에 대한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를 파싱할 수 있다. 그 후,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영역들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및 정보를 갖는 데이터 패키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데이터 패키지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는데 이용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저장 로케이션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키지에 포함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포함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품과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서버 시스템(112)의 데이터베이스(들)(122)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300)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데이터베이스(들)(122)의 콘텐츠가 다수의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데이터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구조에(예를 들어, 객체 지향형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22)는 메시지 테이블(302) 내에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메시지 데이터는, 임의의 특정한 하나의 메시지에 대해, 적어도 메시지 전송자 데이터, 메시지 수신 측(또는 수신자) 데이터, 및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엔티티 테이블(304)은 엔티티 데이터를 저장하고, 엔티티 그래프(306) 및 프로필 데이터(308)에 (예를 들어, 참조적으로) 링크된다. 그에 대해 레코드들이 엔티티 테이블(304) 내에 유지되는 엔티티들은 개인들, 회사 엔티티들, 조직들, 객체들, 장소들, 이벤트들, 및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엔티티 유형에 관계없이, 그에 관해 서버 시스템(112)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임의의 엔티티는 인식된 엔티티일 수 있다. 각각의 엔티티에는 고유 식별자뿐만 아니라 엔티티 유형 식별자(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엔티티 그래프(306)는 엔티티들 사이의 관계 및 연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관계는, 단지 예로서, 사회적, 전문적(예를 들어, 일반 법인 또는 조직에서의 일) 관심 기반 또는 활동 기반일 수 있다.
프로필 데이터(308)는 특정 엔티티에 관한 다중 유형의 프로필 데이터를 저장한다. 프로필 데이터(308)는 특정 엔티티에 의해 지정된 프라이버시 설정들에 기초하여, 아키텍처(100)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제시될 수 있다. 엔티티가 개인인 경우, 프로필 데이터(308)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전화 번호, 주소, 설정들(예컨대, 통지 및 프라이버시 설정들)은 물론이고, 사용자 선택 아바타 표현(또는 이러한 아바타 표현들의 컬렉션)을 포함한다. 그 후 특정 사용자는, 아키텍처(100)를 통해 통신된 메시지들 또는 다른 데이터의 콘텐츠 내에, 그리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지도 인터페이스들 상에 이들 아바타 표현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 표현들의 컬렉션은 사용자가 특정 시간에 통신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상태 또는 활동의 그래픽 표현을 제시하는 "상태 아바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엔티티가 그룹인 경우, 그룹에 대한 프로필 데이터(308)는, 관련 그룹에 대한 그룹 이름, 멤버들, 및 다양한 설정들(예컨대, 통지들)에 부가하여, 그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아바타 표현을 유사하게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8)는 또한 오버레이들 또는 필터들과 같은 증강 데이터를 증강 테이블(310)에 저장한다. 증강 데이터는 (그에 대해 데이터가 비디오 테이블(314)에 저장되는) 비디오들 및 (그에 대해 데이터가 이미지 테이블(316)에 저장되는) 이미지들과 연관되고 이들에 적용된다.
일 예에서, 필터들은, 수신 측 사용자로의 프레젠테이션 동안에 이미지 또는 비디오 상에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오버레이들이다. 필터들은, 송신 측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을 때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전송 측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필터들의 세트로부터의 사용자 선택 필터들을 비롯한, 다양한 유형들의 것일 수 있다. 다른 유형의 필터들은, 지리적 로케이션에 기초하여 전송 측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는 지오로케이션 필터들(지오-필터들이라고도 알려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웃 또는 특수 로케이션에 특정적인 지오로케이션 필터들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유닛에 의해 결정된 지오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의 필터는, 메시지 생성 프로세스 동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수집된 정보 또는 다른 입력들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전송 측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 데이터 필터이다. 데이터 필터들의 예들은 특정 로케이션에서의 현재 온도, 전송 측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는 현재 속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한 배터리 수명, 또는 현재 시간을 포함한다. 
이미지 테이블(316) 내에 저장될 수 있는 다른 증강 데이터는 (예를 들어, 렌즈들 또는 증강 현실 경험들을 적용하는 것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포함한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이미지 또는 비디오에 추가될 수 있는 실시간 특수 효과 및 사운드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증강 데이터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 오버레이들, 이미지 변환들, AR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유사한 용어들은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들 또는 이미지들)에 적용될 수 있는 수정들을 지칭한다. 이것은, 이미지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디바이스 센서들(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중의 카메라)을 이용하여 캡처됨에 따라 이미지를 수정하고 그 후 수정들과 함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실시간 수정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수정될 수 있는 갤러리 내의 비디오 클립들과 같은,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수정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중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서, 사용자는 다중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갖는 단일 비디오 클립을 이용하여 상이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이 저장된 클립을 어떻게 수정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의사무작위 움직임 모델들을 적용하는 다중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콘텐츠에 대해 상이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선택함으로써 동일한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센서들에 의해 현재 캡처되고 있는 비디오 이미지들이 캡처된 데이터를 어떻게 수정할 것인지를 보여주기 위해 실시간 비디오 캡처가 예시된 수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단순히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및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 센서들에 의해 캡처된 콘텐츠는 수정들과 함께 또는 수정들 없이(또는 둘 다로) 메모리에 기록 및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시스템들에서, 미리보기 특징이 상이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 내의 상이한 윈도우들 내에서 동시에 어떻게 보일 것인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의사무작위 애니메이션들을 갖는 다중 윈도우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동시에 보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사용하는 데이터 및 다양한 시스템들 또는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수정하는 다른 이러한 변환 시스템들은 객체들(예를 들어, 얼굴들, 손들, 몸들, 고양이들, 개들, 표면들, 객체들 등)의 검출, 이들이 비디오 프레임들에서 시야를 떠나고, 시야에 들어가고, 시야 주위로 이동함에 따른 이러한 객체들의 추적, 및 객체들이 추적됨에 따른 이러한 객체들의 수정 또는 변환을 수반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그러한 변환들을 달성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은 객체 또는 객체들의 3차원 메시 모델을 생성하는 것, 및 변환을 달성하기 위해 비디오 내의 모델의 변환들 및 애니메이션된 텍스처들을 사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객체 상의 포인트들의 추적을 이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일 수 있는) 이미지 또는 텍스처를 추적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비디오 프레임들의 신경망 분석은 콘텐츠(예를 들어, 비디오의 이미지들 또는 프레임들) 내에 이미지들, 모델들 또는 텍스처들을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은 콘텐츠에서 변환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미지들, 모델들, 및 텍스처들뿐만 아니라, 객체 검출, 추적, 및 배치로 그러한 변환들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추가적인 모델링 및 분석 정보 둘 다를 지칭한다.
실시간 비디오 처리는 임의 종류의 컴퓨터화된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된 임의 종류의 비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들, 비디오 파일들 등)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디오 파일들을 로드하고 이들을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의 센서들을 사용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임의의 객체들은 인간의 얼굴 및 인체의 부분들, 동물들, 또는 의자들, 자동차들, 또는 다른 객체들과 같은 무생물들과 같은 컴퓨터 애니메이션 모델을 이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변환될 콘텐츠와 함께 특정 수정이 선택될 때, 변환될 요소들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고, 그 후 이들이 비디오의 프레임들에 존재하는 경우 검출되고 추적된다. 객체의 요소들은 수정을 위한 요청에 따라 수정되고,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을 변환한다.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의 변환은 상이한 종류의 변환을 위한 상이한 방법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의 요소들의 형태들을 변경하는 것을 주로 가리키는 프레임들의 변환들에 대해, 객체의 각각의 요소에 대한 특성 포인트들이 (예를 들어, ASM(Active Shape Model)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그 후,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각각에 대해 특성 포인트들에 기초한 메시가 생성된다. 이 메시는 비디오 스트림에서 객체의 요소들을 추적하는 다음 스테이지에서 사용된다. 추적 프로세스에서, 각각의 요소에 대한 언급된 메시는 각각의 요소의 위치와 정렬된다. 그 후, 메시 상에 추가 포인트들이 생성된다. 제1 포인트들의 제1 세트가 수정 요청에 기초하여 각각의 요소에 대해 생성되고, 제2 포인트 세트가 제1 포인트 세트 및 수정 요청에 기초하여 각각의 요소에 대해 생성된다. 그 후,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은 제1 및 제2 포인트들의 세트들 및 메시에 기초하여 객체의 요소들을 수정함으로써 변환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에서, 수정된 객체의 배경은 배경을 추적하고 수정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변경 또는 왜곡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객체의 요소들을 이용하여 객체의 일부 영역들을 변경하는 변환들은 객체의 각각의 요소에 대한 특성 포인트들을 계산하고 계산된 특성 포인트들에 기초하여 메시를 생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포인트들이 메시 상에 생성된 다음, 포인트들에 기초한 다양한 영역들이 생성된다. 객체의 요소들은 그 후 각각의 요소에 대한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요소 각각에 대한 위치와 정렬시킴으로써 추적되고, 영역들의 속성들은 수정을 위한 요청에 기초하여 수정될 수 있고,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을 변환한다. 수정에 대한 특정 요청에 좌우되어 언급된 영역들의 속성들이 상이한 방식들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들은 영역들의 컬러를 변경하는 것;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로부터 영역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것; 수정 요청에 기초하는 영역들 내에 하나 이상의 새로운 객체를 포함시키는 것; 및 영역 또는 객체의 요소들을 수정하거나 왜곡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그러한 수정들 또는 다른 유사한 수정들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애니메이션될 특정 모델들에 대해, 일부 특성 포인트들은 모델 애니메이션에 대한 옵션들의 전체 상태-공간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용될 제어 포인트들로서 선택될 수 있다.
얼굴 검출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변환하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모델의 일부 예들에서, 얼굴은 특정 얼굴 검출 알고리즘(예를 들어, Viola-Jones)을 이용하여 이미지 상에서 검출된다. 그 후, 얼굴 특징 참조 포인트들을 검출하기 위해 이미지의 얼굴 영역에 ASM(Active Shape Model)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얼굴 검출에 적합한 다른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특징들은 고려 중인 이미지들의 대부분에 존재하는 구별가능한 포인트를 나타내는 랜드마크를 사용하여 위치된다. 예를 들어, 얼굴 랜드마크들에 대해, 좌측 눈 동공의 로케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 초기 랜드마크가 식별가능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사람이 안대를 한 경우), 2차 랜드마크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랜드마크 식별 절차들은 임의의 그러한 객체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랜드마크들의 세트가 형상을 형성한다. 형상들은 형상 내의 포인트들의 좌표들을 이용하여 벡터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형상은 형상 포인트들 사이의 평균 유클리드 거리를 최소화하는 유사성(similarity) 변환(병진, 스케일링, 및 회전을 허용함)에 의해 또 다른 형상과 정렬된다. 평균 형상은 정렬된 훈련 형상들의 평균이다. 
다양한 예들에서, 전역적 얼굴 검출기에 의해 결정된 얼굴의 위치 및 크기에 정렬된 평균 형상으로부터의 랜드마크들에 대한 검색이 시작된다. 그 후 이러한 검색은 각각의 포인트 주변의 이미지 텍스처의 템플릿 매칭에 의해 형상 포인트들의 로케이션들을 조정함으로써 임시 형상을 제안하는 단계 및 그 후 수렴이 일어날 때까지 임시 형상을 전역적 형상 모델에 합치(conform)시키는 단계를 반복한다.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서, 개별 템플릿 매칭들은 신뢰할 수 없으며, 형상 모델은 약한 템플릿 매칭들의 결과들을 풀링(pool)하여 더 강한 전체 분류기를 형성한다. 조악한 해상도로부터 미세 해상도까지, 이미지 피라미드 내의 각각의 레벨에서 전체 검색이 반복된다.
변환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상에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스트림을 캡처하고, 적절한 사용자 경험, 계산 시간, 및 전력 소비를 유지하면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상에서 국소적으로 복잡한 이미지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복잡한 이미지 조작은, 크기 및 형상 변화, 감정 전달(예를 들어, 찡그림으로부터 미소로 얼굴을 변경), 상태 전달(예를 들어, 대상의 노후화, 겉보기 나이 감소, 성별 변경), 스타일 전달, 그래픽 요소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상에서 효율적으로 실행되도록 구성된 컨볼루션 신경망에 의해 구현된 기타 임의의 적절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컴퓨터 애니메이션 모델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상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일부로서 동작하는 신경망을 갖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 또는 비디오 스트림(예를 들어, 셀피)을 캡처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 내에서 동작하는 변환 시스템은 이미지 또는 비디오 스트림 내의 얼굴의 존재를 결정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해 컴퓨터 애니메이션 모델과 연관된 수정 아이콘들을 제공하거나, 또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모델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것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수정 아이콘들은 수정 동작의 일부로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스트림 내의 사용자의 얼굴을 수정하기 위한 기초일 수 있는 변경들을 포함한다. 일단 수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변환 시스템은 선택된 수정 아이콘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변환하는 (예를 들어, 사용자 상의 미소짓는 얼굴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수정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스트림은 이미지 또는 비디오 스트림이 캡처되자마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시될 수 있고, 특정된 수정이 선택된다. 변환 시스템은 선택된 수정을 생성하고 적용하기 위해 이미지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일부분에 대한 복잡한 컨볼루션 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 스트림을 캡처할 수 있고, 일단 수정 아이콘이 선택되었다면, 수정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제시받을 수 있다. 또한, 수정은 비디오 스트림이 캡처되고 있는 동안 지속적일 수 있고, 선택된 수정 아이콘은 토글링된 채로 남는다. 이러한 수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머신 교육 신경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변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수정을 제시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부가의 상호작용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들은 특정 컴퓨터 애니메이션 모델의 콘텐츠 캡처 및 선택을 개시(예를 들어, 콘텐츠 생성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에 기초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수정 아이콘의 초기 선택 후에 수정이 지속적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변환 시스템에 의해 수정되고 있는 얼굴을 탭핑(tap)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선택함으로써 수정을 온 또는 오프로 토글링하고, 나중에 보기 위해 이것을 저장하거나 또는 촬상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영역들로 브라우징할 수 있다. 변환 시스템에 의해 다중의 얼굴이 수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수정되고 디스플레이되는 단일 얼굴을 탭핑하거나 선택함으로써 전역적으로 수정을 토글링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다중의 얼굴의 그룹 중에서 개별 얼굴들이 개별적으로 수정될 수 있거나,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된 개별 얼굴 또는 일련의 개별 얼굴들을 탭핑하거나 선택함으로써 그러한 수정들이 개별적으로 토글링될 수 있다.
스토리 테이블(312)은, 컬렉션(예를 들어, 스토리 또는 갤러리)이 되도록 컴파일되는, 메시지들 및 연관된 이미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컬렉션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정 컬렉션의 생성은 특정 사용자(예를 들어, 그에 대해 레코드가 엔티티 테이블(304)에 유지되는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고 전송/브로드캐스팅된 콘텐츠의 컬렉션의 형태로 "개인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송 측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스토리에 특정 콘텐츠를 추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 선택가능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컬렉션은 또한, 수동으로, 자동으로, 또는 수동 및 자동 기법의 조합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다중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의 컬렉션인 "라이브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 스토리"는 다양한 로케이션들 및 이벤트들로부터의 사용자-제출 콘텐츠의 큐레이션된 스트림을 구성할 수 있다. 그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이 로케이션 서비스 가능하고 특정 시간에 공통 로케이션 이벤트에 있는 사용자들에게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라이브 스토리에 콘텐츠를 기여하는 옵션이 제시될 수 있다. 라이브 스토리는, 자신의 로케이션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사용자에게 식별될 수 있다. 최종 결과는 커뮤니티 관점에서 말한 "라이브 스토리"이다.
추가적인 유형의 콘텐츠 컬렉션은, 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특정한 지리적 로케이션(예를 들어, 단과대학 또는 대학 캠퍼스) 내에 위치해 있는 사용자가 특정한 컬렉션에 기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로케이션 스토리"라고 알려져 있다. 일부 예들에서, 로케이션 스토리에 대한 기여는 최종 사용자가 특정 조직 또는 다른 엔티티에 속한다는(예를 들어, 대학 캠퍼스의 학생이라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제2 인증 정도를 요구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비디오 테이블(314)은, 일 예에서, 그에 대해 레코드가 메시지 테이블(302) 내에 유지되는 메시지들과 연관된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유사하게, 이미지 테이블(316)은 그에 대해 메시지 데이터가 엔티티 테이블(304)에 저장되는 메시지들과 연관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엔티티 테이블(304)은 증강 테이블(310)로부터의 다양한 증강들을 이미지 테이블(316) 및 비디오 테이블(314)에 저장된 다양한 이미지들 및 비디오들과 연관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들)(122)는 또한 제품 정보 데이터 테이블(318)을 저장할 수 있다. 제품 정보 데이터 테이블(318)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다수의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제품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품 중 개별 제품에 대해, 제품 정보 데이터 테이블(318)은 제품의 식별자, 제품의 분류, 제품의 가격책정 정보, 제품의 설명, 제품의 리뷰들, 제품의 등급, 제품에 관련된 이미지 콘텐츠, 제품에 관련된 비디오 콘텐츠, 제품에 관련된 텍스트 콘텐츠, 제품에 관련된 오디오 콘텐츠, 제품에 관련된 배송 정보, 제품의 제조자의 식별자,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및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품 정보 데이터 테이블(318)은 제품들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정보 데이터 테이블(318)은 개별 제품에 특정적일 수 있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의 영역들을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구현들에 따른, 콘텐츠(400)에 대한 예시적인 프레임워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콘텐츠(400)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콘텐츠(400)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제1 인스턴스에 의해 생성되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제2 인스턴스 또는 서버 시스템(112)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될 수 있다. 콘텐츠(400)가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황들에서, 콘텐츠(400)는 데이터베이스(들)(122) 내에 저장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118)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시지 테이블(302)을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콘텐츠(40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2)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18) 중 적어도 하나의 "수송중(in-transit)" 또는 "비행중(in-flight)"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콘텐츠(400)는 다음의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 콘텐츠 식별자(402): 콘텐츠(400)를 식별하는 고유 식별자.
· 콘텐츠 텍스트 페이로드(404):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고, 및 콘텐츠(400)에 포함되는 텍스트.
· 콘텐츠 이미지 페이로드(406):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카메라 컴포넌트에 의해 캡처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메모리 컴포넌트로부터 검색되고, 및 콘텐츠(400)에 포함되는 이미지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된 콘텐츠(400)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테이블(316)에 저장될 수 있다.
· 콘텐츠 비디오 페이로드(408): 카메라 컴포넌트에 의해 캡처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메모리 컴포넌트로부터 검색되고, 및 콘텐츠(400)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된 콘텐츠(400)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테이블(314)에 저장될 수 있다.
· 콘텐츠 오디오 페이로드(410):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메모리 컴포넌트로부터 검색되고, 및 콘텐츠(400)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
· 콘텐츠 증강 데이터(412): 콘텐츠(400)의 콘텐츠 이미지 페이로드(406), 콘텐츠 비디오 페이로드(408), 또는 콘텐츠 오디오 페이로드(410)에 적용될 증강들을 나타내는 증강 데이터(예를 들어, 필터들, 스티커들, 또는 다른 주석들 또는 강화들). 전송된 또는 수신된 콘텐츠(400)에 대한 증강 데이터는 증강 테이블(310)에서 저장될 수 있다.
· 콘텐츠 지속기간 파라미터(414): 그에 대해 콘텐츠(4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어, 콘텐츠 이미지 페이로드(406), 콘텐츠 비디오 페이로드(408), 콘텐츠 오디오 페이로드(410))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되거나 액세스 가능하게 되는 시간의 양을 초 단위로 표시하는 파라미터 값.
· 콘텐츠 지오로케이션 파라미터(416): 메시지의 콘텐츠 페이로드와 연관된 지오로케이션 데이터(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좌표). 다중의 콘텐츠 지오로케이션 파라미터(416) 값이 페이로드에 포함될 수 있고, 이들 파라미터 값들 각각은 콘텐츠(예를 들어, 콘텐츠 이미지 페이로드(406) 내의 특정한 이미지, 또는 콘텐츠 비디오 페이로드(408) 내의 특정한 비디오)에 포함된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하여 연관된다.
· 콘텐츠 스토리 식별자(418): 콘텐츠(400)의 콘텐츠 이미지 페이로드(406) 내의 특정한 아이템이 그와 연관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컬렉션(예를 들어, 스토리 테이블(312)에서 식별된 "스토리들")을 식별하는 식별자 값들. 예를 들어, 콘텐츠 이미지 페이로드(406) 내의 다중의 이미지 각각은 식별자 값들을 이용하여 다중의 콘텐츠 컬렉션과 연관될 수 있다.
· 콘텐츠 태그(420): 각각의 콘텐츠(400)는 다중의 태그로 태깅될 수 있고, 태그들 각각은 콘텐츠 페이로드에 포함된 콘텐츠의 주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콘텐츠 이미지 페이로드(406)에 포함된 특정 이미지가 동물(예를 들어, 사자)을 묘사하는 경우, 관련 동물을 나타내는 태그 값이 콘텐츠 태그(4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태그 값들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이미지 인식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 콘텐츠 전송자 식별자(422): 콘텐츠(400)가 그 상에서 생성되었고 콘텐츠(400)가 그로부터 전송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자(예를 들어, 메시징 시스템 식별자, 이메일 주소, 또는 디바이스 식별자).
· 콘텐츠 수신자 식별자(424): 콘텐츠(400)가 어드레싱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자(예를 들어, 메시징 시스템 식별자, 이메일 주소, 또는 디바이스 식별자).
· 제품 정보 식별자(426):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영역들을 채우는데 이용될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콘텐츠에 포함된 식별자. 제품 정보 식별자(426)는 링크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같은 저장 로케이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4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데이터(예를 들어, 값들)는 데이터가 그 내에 저장되는 테이블들 내의 로케이션들에 대한 포인터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이미지 페이로드(406) 내의 이미지 값은 이미지 테이블(316) 내의 로케이션에 대한 포인터(또는 그 주소)일 수 있다. 유사하게, 콘텐츠 비디오 페이로드(408) 내의 값들은 비디오 테이블(314)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리킬 수 있고, 콘텐츠 증강들(412) 내에 저장된 값들은 증강 테이블(3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리킬 수 있고, 콘텐츠 스토리 식별자(418) 내에 저장된 값들은 스토리 테이블(312)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리킬 수 있고, 콘텐츠 전송자 식별자(422) 및 콘텐츠 수신자 식별자(424) 내에 저장된 값들은 엔티티 테이블(304) 내에 저장된 사용자 레코드들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제품 정보 식별자(들)(426)의 값들은 제품 정보 데이터 테이블(318)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가리킬 수 있다. 제품 정보 식별자(426)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기 위해서 제품 정보 데이터 테이블(318)에 의해 저장되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도록 분석될 수 있다.
도 5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및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아키텍처(500)를 예시하는 도식적 표현이다. 아키텍처(500)는 서버 시스템(112)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1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산출, 유지 또는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유지, 관리, 또는 다르게는 제어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1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엔티티들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기 위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112)은 또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을 생성하기 위한 그리고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하기 위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 시스템(112)은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제품들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키텍처(500)는 서버 시스템(112)이 액세스할 수 있는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다수의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에 의해 저장되는 다수의 엔티티로부터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품 정보를 캡처하는 것 또는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에 의해 저장되는 제품 정보를 업로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그에 의해 엔티티가 엔티티의 제품 카탈로그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공할 수 있는 포털을 제공할 수 있다.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엔티티(506)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엔티티 제품 정보(504)를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엔티티(506)로부터 제1 엔티티 제품 정보(504)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엔티티(506)는 하나 이상의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8)를 작동시켜, 제1 엔티티 제품 정보(504)를 제품 정보 시스템(132)에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정보 소스를 파싱하여 제1 엔티티 제품 정보(504)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정보 소스는 엔티티(506)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정보 소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엔티티(506)의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를 파싱하고,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로부터 제품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1 엔티티 제품 정보(504)로서 저장할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키워드 또는 하나 이상의 특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소스를 통해 이용 가능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는 제2 엔티티 제품 정보(508)에서 최대 제N 엔티티 제품 정보(510)까지와 같은, 다수의 다른 엔티티에 대한 제품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에 저장된 정보를 갖는 제품들에 대한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제품의 분류를 표시하는 정보를 캡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품에 대한 분류는 드롭다운 메뉴 또는 분류들의 리스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선택가능한 다수의 분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품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제품의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하나 이상의 분류의 하나 이상의 특성에 대해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과 적어도 하나의 분류의 하나 이상의 특성 간의 유사성의 측도를 결정할 수 있다. 유사성의 측도가 적어도 임계 유사성 측도인 상황들에서, 제품 정보 시스템(132)은 분류가 제품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아키텍처(500)는 또한 서버 시스템(112)이 액세스가능한 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을 포함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품에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은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해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로부터 획득된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은 각자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품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맞춤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은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캡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개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은 다중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상이한 제품에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도 5의 예시적인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은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 최대 제N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8)을 포함한다. 다양한 예들에서, 개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4, 516, 518)은 제품들의 주어진 분류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제품들의 제1 분류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은 제품들의 제2 분류에 대응할 수 있고, 제N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8)은 제품들의 제3 분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제1 분류를 갖는 제품들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은 제2 분류를 갖는 제품들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N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8)은 제3 분류를 갖는 제품들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1 분류는 소비자 포장 상품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분류는 식품 및 음료 제품들에 대응할 수 있고, 제3 분류는 전자 상거래 플랫폼들을 통해 이용가능한 제품들에 대응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4, 516, 518)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이한 제품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소정 수의 제1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은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소정 수의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 수의 제1 영역은 제품에 관한 제1 세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소정 수의 제2 영역은 제품에 관한 제2 세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판매용 제품을 제공하는 엔티티의 로고, 제품의 명칭, 및 제품에 관련된 이미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은 제품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 제품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 및 제품에 관련된 슬로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은 상이한 배열들에 따라 제품 정보를 제시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제1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된 소정 수의 제1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은 제2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된 소정 수의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자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에 포함된 영역들은 텍스트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그래픽 콘텐츠, 애니메이션 콘텐츠,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 및 등등과 같은 상이한 유형들의 콘텐츠에 관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제품에 관련된 정적 이미지 콘텐츠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및 제품에 관련된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은 제품에 관련된 텍스트 콘텐츠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제품에 관련된 비디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예에서, 개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은 상이한 모션 패턴들과 같은, 상이한 애니메이션들에 따라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객체 주위를 돌아다니는 제품의 이미지들을 도시하는 애니메이션 패턴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계를 따라 이동하는 제품의 이미지들을 도시하는 애니메이션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할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입력을 캡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엔티티(506)로부터 엔티티 템플릿 입력(520)을 캡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엔티티 템플릿 입력(520)은 그에 대해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기 위한 제품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는 제품의 이름, 제품의 영숫자(alphanumeric) 식별자,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들에서, 엔티티 템플릿 입력(520)은 제품의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분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선택가능할 수 있는 다수의 분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엔티티 템플릿 입력(520)에 기초하여 엔티티(506)의 제품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엔티티 템플릿 입력(520)에 기초하여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고 분류에 대응하는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2)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분류가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8)를 통해 엔티티(506)가 액세스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다수의 분류 중에서 선택되는 시나리오들에서와 같이, 분류는 엔티티 템플릿 입력(520)에 의해 직접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들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기 위해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예컨대 엔티티 템플릿 입력(520)으로부터 제품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를 파싱하여 제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에 포함된 제품에 관한 정보는 제품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의 분류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에 의해 저장된 제품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결정할 수 있다.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하나 이상의 각자의 분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에 대하여 분석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로부터 획득된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분류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분류의 하나 이상의 특징 사이의 유사성의 측도를 결정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분류의 하나 이상의 특징 사이의 유사성의 측도가 적어도 임계 유사성 측도인 것을 결정하고 그 후 분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을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구매를 위해 엔티티(506)에 의해 제공된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을 결정한 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의 분류에 대응하는 다수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다수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 중에서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선택을 표시하는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하나 이상의 영역의 배열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영역은 제품에 관련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를 파싱하여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해 디스플레이될 제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은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해 디스플레이될 콘텐츠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 하나 이상의 분류자,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로부터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로부터 획득된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에 관한 정보로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움으로써 제품에 대하여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을 사용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의 미리보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리보기는 또한 애니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과 같은,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관련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예에서,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하나 이상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엔티티(506)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제품의 이미지는 엔티티(506)에 의해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에 제공될 수 있고,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시스템(134)은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영역을 이미지로 채울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구매를 위해 엔티티(506)에 의해 제공된 제품들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아이템(522)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 및 제1 제품 정보(526)에 기초하여 제1 제품에 대한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은 정보의 배열 및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의 기능성에 따라 제1 제품 정보(526)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AR 콘텐츠 아이템 생성 시스템(136)은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 및 제2 제품 정보(530)에 기초하여 제2 AR 콘텐츠 아이템(528)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AR 콘텐츠 아이템(528)은 정보의 배열 및 제1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4)의 기능성에 따라 제2 제품 정보(53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 및 제2 AR 콘텐츠 아이템(528)은 AR 콘텐츠 아이템들(524, 528)에 대응하는 각자의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514, 516)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및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패키지를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AR 콘텐츠 아이템들(524, 528)은 제각기 제1 제품 정보(526) 및 제2 제품 정보(530)의 저장 로케이션들을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들에서, 제1 제품 정보(526)는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의 데이터 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제품 정보(530)는 제2 AR 콘텐츠 아이템(528)의 데이터 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다.
AR 콘텐츠 아이템들(522)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들에 의해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사용자(532)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사용자(532)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을 산출, 유지, 및 구현하는 서비스 제공자와의 계정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인스턴스를 저장하고 실행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또한 이미지 콘텐츠 또는 비디오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캡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캡처된 콘텐츠는 메시징 기능성 또는 소셜 네트워크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사용자 콘텐츠일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또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 콘텐츠에 대응할 수 있는 오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캡처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콘텐츠 또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액세스가능한 이전에 캡처된 콘텐츠의 라이브 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사용자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분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메모리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사용자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대해 원격으로 위치되고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가 액세스 가능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해 선택가능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콘텐츠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2) 및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502)로부터 획득된 제품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실행하도록 선택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을 실행하도록 선택가능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및 제2 AR 콘텐츠 아이템(528)을 실행하도록 선택가능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적인 예에서, 사용자는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선택할 수 있고, 제1 AR 콘텐츠 아이템 선택(534)은 서버 시스템(112)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AR 콘텐츠 아이템 선택(534)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서버 시스템(112)은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게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는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인스턴스는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16)의 배열에 따라 제1 제품 정보(52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제품 정보(526)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사용자 콘텐츠에 대하여 오버레이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사용자 콘텐츠는 제1 AR 콘텐츠 아이템(524)을 실행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고, 수정된 사용자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수정된 사용자 콘텐츠는 제2 AR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528)의 배열 및 기능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제1 제품 정보(526)에 더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초기 사용자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수정된 사용자 콘텐츠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하나 이상의 창작 도구를 통해 더 수정될 수 있다. 덧붙여, 수정된 사용자 콘텐츠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메시징 기능성 또는 소셜 네트워크 기능성을 이용하여, 사용자(532)의 연락처들과 같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의 하나 이상의 추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들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프로세스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로 구체화될 수 있어서, 프로세스들의 동작들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 또는 서버 시스템(112) 중 적어도 하나의 것의 기능 컴포넌트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아래에 설명되는 프로세스들은 일부 상황들에서, 예를 들어 이를 참조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도 6에 대하여 설명된 프로세스들의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다양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대하여 설명된 프로세스들은 서버 시스템(112) 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컴포넌트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흐름도들이 동작들을 순차적 프로세스로서 도시할 수 있지만, 동작들 중 다수는 병행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작들의 순서는 재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그것의 동작들이 완료될 때 종료된다. 프로세스는 방법, 절차, 알고리즘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방법들의 동작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방법들에서의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와 연계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과 같은 임의 수의 상이한 시스템들, 또는 시스템들 중의 임의의 것 내에 포함된 프로세서와 같은 그 임의의 부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스(600)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동작(602)에서, 프로세스(600)는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하나 이상의 특성은 엔티티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에 의해 캡처된 입력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에서, 하나 이상의 특성은 엔티티의 제품 카탈로그와 같은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제품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제품 정보는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동작(604)에서, 프로세스(600)는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분류 시스템에 따른 제품의 분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분류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들의 다수의 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분류 시스템의 개별 분류들은 제품들의 하나 이상의 특성과 연관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분류 시스템의 각각의 분류는 상이한 세트의 특성들과 연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품의 분류는 분류를 표시하는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의 분류를 표시하는 입력을 캡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분류는 다수의 이용가능한 분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예에서, 제품의 분류는 분류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분류의 하나 이상의 특성에 대해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600)는, 동작(606)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제품의 분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제품의 분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정보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하나 이상의 기준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기준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입들, 데이터의 특징들, 또는 데이터의 식별자들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에서,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준에 대하여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디스플레이할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을 식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엔티티의 로고가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에서, 엔티티의 로고는 제품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동작(608)에서, 프로세스(600)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배열에 대하여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또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한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그로부터 제품에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이 검색될 수 있는 저장 로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또한, 제품 정보가 애니메이션으로서 등장하도록 야기하는 것 또는 제품 정보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의해 표시된 움직임들의 세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야기하는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기능이 제품 정보에 대하여 수행되게 야기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동작(610)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중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은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게 전송되게 야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캡처된 사용자 콘텐츠를 수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사용자 콘텐츠는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의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소정 수의 영역들을 나타내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0)의 예시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는 구매용 제품들을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엔티티와 연관되는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8)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는 제1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제1 영역(702) 및 제2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제2 영역(7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는 제3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제3 영역(706) 및 제4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제4 영역(708)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영역들(702, 704, 706, 708)은 객체(710)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객체(710)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생성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따라 수정될 수 있는 사용자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분의 로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예에서, 영역들(702, 706, 708)은 사용자 인터페이스(700)와의 그 로케이션을 유지하는 제품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70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700) 내의 로케이션을 변경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0)와 함께 제시되는 애니메이션과 관련될 수 있는 제품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2 영역(704)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제품 정보는 제2 영역(704)의 제1 단부(712)로부터 제2 영역(704)의 제2 단부(714)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영역들(702, 704, 706, 708)이 사용자 인터페이스(700) 내의 경계지워진 아이템들에 의해 표현되지만, 영역들(702, 704, 706, 708)에 대해 디스플레이되는 제품 정보의 로케이션은 경계지워진 아이템들 내에 또는 바깥에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영역들(702, 704, 706, 708)은 적어도 일부 구현들에서 제품 정보의 근사 로케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804)에 의해 캡처된 사용자 콘텐츠(802)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예시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메시징 기능성 또는 소셜 네트워킹 기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4)과 같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804)의 시야 내에서 캡처되는 사용자 콘텐츠(8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사용자 콘텐츠(802)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804)에 의해 캡처되고 있는 라이브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806)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806)의 그룹 각각은 각자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실행하도록 선택가능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적인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806)의 그룹은 사용자 콘텐츠(802)와 관련하여 제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해 선택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8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도 7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도 8의 사용자 콘텐츠(802)의 수정된 버전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0)의 예시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품을 제공하는 엔티티의 명칭에 대응하는 제1 제품 정보(902)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또한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2 제품 정보(9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에서, 제2 제품 정보(904)는 제2 제품 정보(904)에 포함된 아이템들이 사용자 콘텐츠(802)에 포함된 개인의 머리와 관련하여 움직이는 애니메이션화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또한 제품과 관련된 슬로건을 나타내는 제3 제품 정보(906) 및 제품과 관련된 정적 이미지 콘텐츠를 나타내는 제4 제품 정보(90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900)는 도 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808)의 선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0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를 판독하고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머신(1000)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은 예시적인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된 머신(1000)의 도식적 표현을 도시하는데, 머신 내에서, 머신(1000)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야기하기 위한 명령어들(1002)(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앱, 또는 기타의 실행가능 코드)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명령어들(1002)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모듈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명령어들(1002)은, 일반적인 비프로그래밍된 머신(1000)을, 설명되고 예시된 기능들을 설명된 방식으로 완수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특정한 머신(1000)으로 변환한다.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머신(1000)은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거나 다른 머신들에 결합(예를 들어, 네트워킹)될 수 있다. 네트워킹된 배치에서, 머신(1000)은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 머신 또는 클라이언트 머신의 자격으로, 또는 피어-투-피어(또는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머신(1000)은, 서버 컴퓨터, 클라이언트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넷북, STB(set-top box),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시스템,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모바일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스마트 홈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어플라이언스),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들, 웹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라우터, 네트워크 스위치, 네트워크 브리지, 또는 머신(1000)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특정하는 명령어들(1002)을 순차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단일 머신(1000)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머신"이라는 용어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1002)을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머신들의 컬렉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머신(1000)은, 예컨대 버스(1010)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프로세서들(1004), 메모리/저장소(1006), 및 I/O 컴포넌트들(100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프로세서들(1004)(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다른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은, 예를 들어, 명령어들(1002)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1012) 및 프로세서(10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명령어들(1002)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독립된 프로세서(때때로 "코어 "로서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는 멀티-코어 프로세서(1004)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도 10은 다중의 프로세서(1004)를 도시하지만, 머신(1000)은 단일 코어를 갖는 단일 프로세서(1012), 다중의 코어를 갖는 단일 프로세서(1012)(예를 들어, 멀티-코어 프로세서), 단일 코어를 갖는 다중의 프로세서(1012, 1014), 다중의 코어를 갖는 다중의 프로세서(1012, 1014),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소(1006)는 메인 메모리(1016), 또는 다른 메모리 저장소와 같은 메모리, 및 저장 유닛(1018)을 포함할 수 있고, 둘 다 예컨대 버스(1010)를 통해 프로세서들(1004)이 액세스 가능하다. 저장 유닛(1018) 및 메인 메모리(101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론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체화하는 명령어들(1002)을 저장한다. 명령어들(1002)은 또한, 머신(1000)에 의한 그 실행 동안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메인 메모리(1016) 내에, 저장 유닛(1018) 내에, 프로세서들(1004) 중 적어도 하나 내에(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 내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메모리(1016), 저장 유닛(1018), 및 프로세서들(1004)의 메모리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이다.
I/O 컴포넌트들(1008)은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을 제공하고, 출력을 산출하고, 정보를 송신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측정들을 캡처하고, 및 등등을 위한 매우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머신(1000)에 포함되는 특정 I/O 컴포넌트들(1008)은 머신의 유형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와 같은 휴대용 머신은 터치 입력 디바이스 또는 기타의 이러한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 한편, 헤드리스 서버 머신(headless server machine)은 이러한 터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가능성이 클 것이다. I/O 컴포넌트들(1008)은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많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I/O 컴포넌트들(1008)은 단지 이하의 논의를 간소화하기 위해 기능성에 따라 그룹화되어 있는데, 이러한 그룹화는 결코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I/O 컴포넌트들(1008)은 사용자 출력 컴포넌트들(1020) 및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들(10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출력 컴포넌트들(1020)은 시각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프로젝터, 또는 음극선관(CRT)과 같은 디스플레이), 음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스피커들), 햅틱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진동 모터, 저항 메커니즘들), 다른 신호 생성기들, 및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들(1022)은 영숫자 입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키보드, 영숫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 포토-광학 키보드, 또는 다른 영숫자 입력 컴포넌트들), 포인트 기반 입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마우스, 터치패드, 트랙볼, 조이스틱, 모션 센서, 또는 다른 포인팅 기구), 촉각 입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터치들 또는 터치 제스처들의 로케이션 또는 힘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또는 다른 촉각 입력 컴포넌트들),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및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I/O 컴포넌트들(1008)은, 특히, 바이오메트릭 컴포넌트들(1024), 모션 컴포넌트들(1026), 환경 컴포넌트들(1028), 또는 위치 컴포넌트들(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메트릭 컴포넌트들(1024)은 표현들(예를 들어, 손 표현, 얼굴 표정, 음성 표현, 신체 제스처, 또는 시선 추적)을 검출하고, 생체신호들(예를 들어, 혈압, 심박수, 체온, 땀, 또는 뇌파)을 측정하고, 사람을 식별(예를 들어, 음성 식별, 망막 식별, 얼굴 식별, 지문 식별, 또는 뇌파계 기반 식별)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컴포넌트들(1026)은 가속도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가속도계), 중력 센서 컴포넌트들, 회전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및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컴포넌트(1028)는, 예를 들어, 조명 센서 컴포넌트(예를 들어, 광도계), 온도 센서 컴포넌트(예를 들어, 주변 온도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계), 습도 센서 컴포넌트, 압력 센서 컴포넌트(예를 들어, 기압계), 음향 센서 컴포넌트(예를 들어, 배경 잡음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근접 센서 컴포넌트(예를 들어, 근처의 물체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가스 센서(예를 들어, 안전을 위해 유해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거나 대기 중의 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가스 검출 센서), 또는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응하는 표시, 측정치, 또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타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컴포넌트들(1030)은, 로케이션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GPS 수신기 컴포넌트), 고도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고도계 또는 고도가 도출될 수 있는 기압을 검출하는 기압계), 오리엔테이션 센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자력계), 및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은 매우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O 컴포넌트들(1008)은 머신(1000)을 네트워크(1034) 또는 디바이스들(1036)에 결합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컴포넌트들(10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들(1032)은 네트워크(1034)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들에서, 통신 컴포넌트들(1032)은 유선 통신 컴포넌트들, 무선 통신 컴포넌트들, 셀룰러 통신 컴포넌트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컴포넌트들, 블루투스®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양상들을 통해 통신을 제공하는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36)은, 또 다른 머신(1000) 또는 임의의 다양한 주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USB를 통해 결합된 주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더욱이, 통신 컴포넌트들(1032)은 식별자들을 검출할 수 있거나 식별자들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들(1032)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판독기 컴포넌트들, NFC 스마트 태그 검출 컴포넌트들, 광학 판독기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UPC(Universal Product Code) 바코드와 같은 1차원 바코드들, QR(Quick Response) 코드, Aztec 코드, Data Matrix, Dataglyph, MaxiCode, PDF417, Ultra Code, UCC RSS-2D 바코드와 같은 다차원 바코드들, 및 다른 광학 코드들을 검출하는 광학 센서), 또는 음향 검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태깅된 오디오 신호들을 식별하는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프로토콜(IP) 지오-로케이션을 통한 로케이션, Wi-Fi® 신호 삼각측량을 통한 로케이션, 특정한 로케이션을 나타낼 수 있는 NFC 비컨 신호 검출을 통한 로케이션, 및 등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통신 컴포넌트(1032)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들과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102)를 포함하는 시스템(11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비제한적인 예이고, 많은 다른 아키텍처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102)는, 특히, 프로세서들(1004), 메모리/저장소(1006), 및 입력/출력(I/O) 컴포넌트들(1008)을 포함하는 도 10의 머신(1000)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대표적인 하드웨어 계층(1104)이 예시되어 있고, 예를 들어, 도 10의 머신(1000)을 나타낼 수 있다. 대표적인 하드웨어 계층(1104)은 연관된 실행가능 명령어들(1108)을 갖는 처리 유닛(1106)을 포함한다. 실행가능 명령어들(110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컴포넌트들, 및 등등의 구현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102)의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나타낸다. 하드웨어 계층(1140)은 또한 메모리 또는 저장 모듈들인 메모리/저장소(11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들도 실행가능 명령어들(1108)을 갖는다. 하드웨어 계층(1104)은 또한 다른 하드웨어(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102)는 각각의 계층이 특정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계층들의 스택으로서 개념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102)는 운영 체제(1114), 라이브러리들(1116), 프레임워크들/미들웨어(1118), 애플리케이션들(1120), 및 프레젠테이션 계층(1122)과 같은 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적으로, 애플리케이션들(1120) 또는 계층들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은 소프트웨어 스택을 통해 API 호출들(1124)을 기동시키고 API 호출들(1124)에 응답하여 메시지들(1126)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된 계층들은 본질적으로 대표적인 것이고 모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들이 모든 계층들을 갖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부 모바일 또는 특수 목적 운영 체제들은 프레임워크들/미들웨어(1118)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한편, 다른 것들은 이러한 계층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들은 추가적인 또는 상이한 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114)는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관리하고 공통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운영 체제(1114)는, 예를 들어, 커널(1128), 서비스들(1130), 및 드라이버들(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128)은 하드웨어와 다른 소프트웨어 계층들 사이의 추상화 계층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널(1128)은 메모리 관리, 프로세서 관리(예를 들어, 스케줄링), 컴포넌트 관리, 네트워킹, 보안 설정, 및 등등을 담당할 수 있다. 서비스들(1130)은 다른 소프트웨어 계층들에 대한 다른 공통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드라이버들(1132)은 그 아래에 있는 하드웨어를 제어하거나 그와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들(1132)은 하드웨어 구성에 좌우되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버, 직렬 통신 드라이버(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전력 관리 드라이버, 및 등등을 포함한다.
라이브러리들(1116)은 애플리케이션들(1120),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계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사용되는 공통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라이브러리들(1116)은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이 그 아래에 있는 운영 체제(1114) 기능성(예를 들어, 커널(1128), 서비스들(1130), 드라이버들(1132))과 직접 인터페이스하는 것보다 더 쉬운 방식으로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라이브러리들(1116)은 메모리 할당 기능들, 문자열 조작 기능들, 수학 기능들,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라이브러리들(1134)(예를 들어, C 표준 라이브러리)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라이브러리들(1116)은 미디어 라이브러리들(예컨대, MPEG4, H.264, MP3, AAC, AMR, JPG, PNG와 같은 다양한 미디어 포맷의 프레젠테이션 및 조작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들), 그래픽 라이브러리들(예컨대, 디스플레이 상의 그래픽 콘텐츠에서 2차원 및 3차원을 렌더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OpenGL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들(예컨대, 다양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SQLite), 웹 라이브러리들(예컨대, 웹 브라우징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WebKit),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API 라이브러리들(1136)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들(1116)은 또한 많은 다른 API들을 애플리케이션들(1120) 및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모듈들에 제공하는 매우 다양한 다른 라이브러리들(113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들/미들웨어(1118)(때때로 미들웨어라고도 지칭됨)는 애플리케이션들(1120) 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모듈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상위 레벨 공통 인프라스트럭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들/미들웨어(1118)는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들, 하이-레벨 리소스 관리, 하이-레벨 로케이션 서비스들, 및 등등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들/미들웨어(1118)는 애플리케이션들(1120) 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모듈들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다른 API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특정 운영 체제(1114) 또는 플랫폼에 특정적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1120)은 빌트인 애플리케이션들(1140) 및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142)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빌트인 애플리케이션들(1140)의 예들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북 리더 애플리케이션, 로케이션 애플리케이션,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142)은 특정 플랫폼의 벤더 이외의 엔티티에 의해 ANDROIDTM 또는 IOSTM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이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IOSTM, ANDROIDTM, WINDOWS® Phone, 또는 다른 모바일 운영 체제들과 같은 모바일 운영 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제3자 애플리케이션들(1142)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바일 운영 체제(예컨대, 운영 체제(1114))에 의해 제공되는 API 호출들(1124)을 기동시킬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1120)은 시스템의 사용자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UI들을 생성하기 위해 빌트인 운영 체제 기능들(예를 들어, 커널(1128), 서비스들(1130), 드라이버들(1132)), 라이브러리들(1116), 및 프레임워크들/미들웨어(1118)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시스템들에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들은 프레젠테이션 계층(1122)과 같은 프레젠테이션 계층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애플리케이션/컴포넌트 "로직"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컴포넌트의 양태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용어집:
이러한 맥락에서, "캐리어 신호(CARRIER SIGNAL)"는 머신(1000)에 의한 실행을 위해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명령어들(1002)을 저장, 인코딩,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무형 매체를 지칭하고, 이러한 명령어들(1002)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또는 다른 무형 매체를 포함한다. 명령어들(1002)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통해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그리고 다수의 공지된 전송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네트워크(114, 1034)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서버 시스템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108)로부터 리소스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114, 1034)에 인터페이스하는 임의의 머신(1000)을 지칭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 108)는 모바일 폰,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PDA들, 스마트폰들, 태블릿들, 울트라 북들, 넷북들, 랩톱들, 멀티-프로세서 시스템들,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래머불 가전 제품들, 게임 콘솔들, 셋톱 박스들, 또는 사용자가 네트워크(114, 1034)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S NETWORK)"는 애드혹 네트워크,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 WAN(wide area network), WWAN(wireless W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인터넷, 인터넷의 일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일부,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네트워크,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또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또는 2개 이상의 이러한 네트워크의 조합일 수 있는 네트워크(114, 1034)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14, 1034) 또는 네트워크의 일부분은 무선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접속,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접속, 또는 다른 유형의 셀룰러 또는 무선 결합일 수 있다. 이 예에서, 결합은 1xRTT(Single Carrier Radio Transmission Technology), EVDO(Evolution-Data Optimized) 기술,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술,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기술, 3G를 포함하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4G(fourth generation wireless) 네트워크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 다양한 표준 설정 조직들에 의해 정의된 다른 것들, 다른 장거리 프로토콜들, 또는 다른 데이터 전송 기술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전송 기술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단기적 메시지(EPHEMERAL MESSAGE)"는 시간 제한된 지속기간 동안 액세스 가능한 메시지를 지칭한다. 단기적 메시지는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및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단기적 메시지에 대한 액세스 시간은 메시지 전송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시간은 디폴트 설정, 또는 수신자에 의해 특정된 설정일 수 있다. 설정 기법에 관계없이, 메시지는 일시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MACHINE-READABLE MEDIUM)"는, 명령어들(1002) 및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컴포넌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유형의 매체를 지칭하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광학 매체, 자기 매체, 캐시 메모리, 다른 유형들의 저장소(예를 들어, E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명령어들(1002)을 저장할 수 있는 단일의 매체 또는 다중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집중형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또는 연관된 캐시 및 서버)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또한, 명령어들(1002)이, 머신(10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1000)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야기하도록, 머신(10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1002)(예를 들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또는 다중의 매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단일 저장 장치 또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다중의 저장 장치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저장 시스템들 또는 저장 네트워크들을 지칭한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신호 그 자체를 배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컴포넌트"는 함수 또는 서브루틴 호출들, 분기 포인트들, API들, 또는 특정 처리 또는 제어 기능들의 파티셔닝 또는 모듈화를 제공하는 다른 기술들에 의해 정의된 경계들을 갖는 디바이스, 물리적 엔티티, 또는 로직을 지칭한다. 컴포넌트들은 그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다른 컴포넌트들과 결합되어 머신 프로세스를 완수할 수 있다.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들 및 보통은 관련 기능들 중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일부와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된 패키징된 기능 하드웨어 유닛일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예컨대, 머신 판독가능 매체 상에 구현된 코드) 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특정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의 유닛이고, 특정 물리적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 또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의 그룹)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로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부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또한, 기계적으로, 전자적으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영구적으로 구성되는 전용 회로 또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또한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범용 프로세서(1004)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면,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은 구성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고유하게 맞춤화된 특정 머신들(또는 머신(1000)의 특정 컴포넌트들)이 되고 더 이상 범용 프로세서들(1004)이 아니다.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기계적으로, 전용의 영구적으로 구성된 회로에, 또는 일시적으로 구성된 회로(예컨대,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됨)에 구현하기로 하는 결정이 비용 및 시간 고려사항들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 컴포넌트"(또는 "하드웨어-구현된 컴포넌트")라는 구문은,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성되거나, 영구적으로 구성되거나(예를 들어, 하드와이어드), 또는 일시적으로 구성된(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된) 유형 엔티티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되는) 구현들을 고려하면,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각각은 임의의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구성되거나 인스턴스화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컴포넌트가 특수 목적 프로세서가 되도록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 범용 프로세서(1004)를 포함하는 경우, 범용 프로세서(1004)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예를 들어, 상이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제각기 상이한 특수 목적 프로세서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는 특정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구성하고 상이한 시간 인스턴스에서는 상이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구성하도록 특정의 프로세서(1012, 1014) 또는 프로세서들(1004)을 구성한다.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은 다른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하드웨어 컴포넌트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은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중의 하드웨어 컴포넌트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중 2개 이상 사이의 또는 그들 사이의 (예를 들어, 적절한 회로들 및 버스들을 통한) 신호 송신을 통해 통신이 달성될 수 있다. 다중의 하드웨어 컴포넌트가 상이한 시간들에 구성되거나 인스턴스화되는 구현들에서, 이러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다중의 하드웨어 컴포넌트가 액세스할 수 있는 메모리 구조들에서의 정보의 저장 및 검색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동작의 출력을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추가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나중에, 메모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출력을 검색 및 처리할 수 있다.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은 또한 입력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개시할 수 있고, 리소스(예컨대, 정보의 컬렉션)에 대해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관련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성되거나 영구적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구성되든 영구적으로 구성되든 간에, 이러한 프로세서들(1004)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프로세서 구현 컴포넌트들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프로세서 구현된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를 이용하여 구현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지칭한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로세서 구현될 수 있고, 특정 프로세서(1012, 1014) 또는 프로세서들(1004)은 하드웨어의 예가 된다. 예를 들어, 방법의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 또는 프로세서-구현된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04)는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또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로서 관련 동작들의 수행을 지원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들(1004)을 포함하는 머신(1000)의 예로서의) 컴퓨터들의 그룹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들 동작들은 네트워크(114)(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해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적절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API)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다. 동작들 중 특정 동작의 수행은 단일 머신(1000) 내에 상주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머신에 걸쳐 배치되는 프로세서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프로세서들(1004) 또는 프로세서-구현 컴포넌트들은 단일의 지리적 로케이션에(예컨대, 가정 환경, 사무실 환경, 또는 서버 팜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프로세서들(1004) 또는 프로세서-구현 컴포넌트들은 다수의 지리적 로케이션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로세서"는 제어 신호들(예를 들어, "커맨드들", "오피코드들", "머신 코드" 등)에 따라 데이터 값들을 조작하고 머신(1000)을 동작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대응하는 출력 신호들을 산출하는 임의의 회로 또는 가상 회로(실제 프로세서(1004) 상에서 실행되는 로직에 의해 에뮬레이트되는 물리 회로)를 지칭한다. 프로세서(1004)는, 예를 들어, CPU, RISC 프로세서, CISC 프로세서, GPU, DSP, ASIC, RFI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1004)는 또한, 명령어들(1002)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때때로 "코어들"이라고 지칭되는) 2개 이상의 독립된 프로세서(1004)를 갖는 멀티-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타임스탬프(TIMESTAMP)"는 특정 이벤트가 언제 발생했는지를 식별하는, 예를 들어, 때때로 1초의 소수 부분까지 정확한 날짜 및 시간을 제공하는 문자들 또는 인코딩된 정보의 시퀀스를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개시된 구현들에 대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경들 또는 수정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주제의 양태들의 번호매겨진 비제한적인 리스트가 아래에 제시된다.
양태 1. 방법으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중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은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함 -;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품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 -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함 -; 및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태 2. 양태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카탈로그를 획득하는 단계 - 제품 카탈로그는 하나 이상의 제품 중 개별 제품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제품은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됨 -; 및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품 카탈로그에 포함된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템플릿은 제품의 분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양태 3. 양태 2에 있어서, 분류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되는 제품들의 분류 시스템의 복수의 분류 중 하나의 분류이고; 및 분류 시스템의 개별 분류들은 분류에 포함된 제품들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의 그룹에 대응한다.
양태 4. 양태 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엔티티의 제품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품에 대응하는 제품 카탈로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템플릿은 제품의 분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양태 5. 양태 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아이템 템플릿으로부터의 증강 현실 아이템 템플릿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품 카탈로그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양태 6. 양태 1 내지 양태 5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에 의해 채워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보기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양태 7. 양태 1 내지 양태 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이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야기하도록 실행가능하며 또한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의 저장 로케이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데이터 패키지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양태 8.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동작들은: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된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하는 동작 -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중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은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함 -;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품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함 -; 및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양태 9. 양태 8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및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분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양태 10. 양태 9에 있어서, 분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이용가능한 제품들에 대한 복수의 분류 중 하나의 분류이고; 복수의 분류 중 개별 분류들은 하나 이상의 각자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과 연관된다.
양태 11. 양태 10에 있어서, 제1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복수의 분류 중 제1 분류에 대응하고, 제1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제1 분류를 갖는 복수의 제1 제품의 제1 정보에 의해 채워질 하나 이상의 제1 영역을 포함하고; 및 제2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복수의 분류 중 제2 분류에 대응하고, 제2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제2 파퓰레이션(population)을 갖는 복수의 제2 제품의 제2 정보에 의해 채워질 하나 이상의 제2 영역들을 포함하고, 제2 정보는 제1 정보와 상이하다.
양태 12. 양태 1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추가 동작들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복수의 엔티티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제품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복수의 제1 제품 중 제1 제품 정보의 제1 분석을 수행하여 복수의 제1 제품이 제1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 및 복수의 제2 제품 중 제2 제품 정보의 제2 분석을 수행하여 복수의 제2 제품이 제2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양태 13. 양태 1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추가 동작들은: 복수의 제품에 포함된 제1 제품의 하나 이상의 제1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 제1 분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특징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제1 특성을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제1 특성과 하나 이상의 제1 특징 사이의 제1 유사성 측도를 결정하는 동작; 및 제1 유사성 측도가 적어도 임계 유사성 측도인 것에 기초하여 제1 제품이 제1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양태 14. 양태 13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추가 동작들은: 복수의 제품에 포함된 제2 제품의 하나 이상의 제2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 제2 분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특징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제2 특성을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제2 특성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특징 사이의 제2 유사성 측도를 결정하는 동작; 및 제2 유사성 측도가 적어도 임계 유사성 측도인 것에 기초하여 제2 제품이 제2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제15 양태. 양태 14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추가 동작들은: 제1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제1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제1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제1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제1 제품에 대한 제1 정보를 나타냄 -; 및 제2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제2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제2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제2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제2 제품에 대한 제2 정보를 나타냄 - 을 포함한다.
양태 16. 양태 15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추가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제1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를 파싱하는 동작; 및 제품 카탈로그로부터 제1 정보를 추출하고, 제1 정보를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영역과 연관시키는 동작을 포함한다.
양태 17. 양태 14에 있어서, 제1 제품 및 제2 제품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동일한 엔티티에 의해 제공된다.
양태 18.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동작들은: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된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하는 동작 -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중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은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함 -;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품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함 -; 및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양태 19. 양태 18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추가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가 액세스가능한 포털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품의 제품 정보를 캡처하고 또한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캡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한다.
양태 20. 양태 18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추가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복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복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중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은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응함 -; 및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응하는 각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복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이용가능하게 만드는 동작을 포함한다.

Claims (20)

  1. 방법으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된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중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은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함 -;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품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함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구매를 위해 상기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카탈로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품 카탈로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품 중 개별 제품들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품에 포함됨 -;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품 카탈로그에 포함된 상기 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템플릿은 상기 제품의 분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의 분류 시스템의 복수의 분류 중 하나의 분류이고; 및
    상기 분류 시스템의 개별 분류들은 상기 분류에 포함된 제품들에 대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의 그룹에 대응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엔티티의 제품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 카탈로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템플릿은 상기 제품의 분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아이템 템플릿으로부터의 상기 증강 현실 아이템 템플릿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품 카탈로그로부터 상기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채우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품과 관련된 상기 정보의 일부분에 의해 채워진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보기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이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되게 야기하도록 실행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부분의 저장 로케이션 식별자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및
    상기 데이터 패키지는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방법.
  8.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들은: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된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하는 동작 -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중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은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함 -;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품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함 -; 및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품의 분류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및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상기 분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는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에 이용가능한 제품들에 대한 복수의 분류 중 하나의 분류이고;
    상기 복수의 분류 중 개별 분류들은 하나 이상의 각자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과 연관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상기 복수의 분류 중 제1 분류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상기 제1 분류를 갖는 복수의 제1 제품의 제1 정보에 의해 채워질 하나 이상의 제1 영역을 포함하고; 및
    제2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상기 복수의 분류 중 제2 분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은 제2 파퓰레이션(population)을 갖는 복수의 제2 제품의 제2 정보에 의해 채워질 하나 이상의 제2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상이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동작들은: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복수의 엔티티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제품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복수의 제1 제품 중 제1 제품 정보의 제1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제품이 상기 제1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제2 제품 중 제2 제품 정보의 제2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제품이 상기 제2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동작들은:
    상기 복수의 제품에 포함된 제1 제품의 하나 이상의 제1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1 분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특징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제1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특성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특징 사이의 제1 유사성 측도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유사성 측도가 적어도 임계 유사성 측도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품이 상기 제1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동작들은:
    상기 복수의 제품에 포함된 제2 제품의 하나 이상의 제2 특성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2 분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특징에 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특성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특징 사이의 제2 유사성 측도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유사성 측도가 적어도 상기 임계 유사성 측도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제품이 상기 제2 분류에 대응하는 것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동작들은:
    상기 제1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제1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제1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상기 제1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제1 제품에 대한 상기 제1 정보를 나타냄 -; 및
    상기 제2 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제2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제2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상기 제2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상기 제2 제품에 대한 상기 제2 정보를 나타냄 - 을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동작들은:
    제품 정보 데이터 저장소를 파싱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품 카탈로그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영역과 연관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은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 의한 구매를 위해 동일한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시스템.
  18.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구매를 위해 엔티티에 의해 제공되는 제품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을 결정하는 동작 -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 중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은 구매를 위해 제공된 제품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함 -;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의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제품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실행가능함 -; 및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추가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엔티티가 액세스가능한 포털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생성하는 동작 -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한 구매를 위해 제안된 하나 이상의 제품의 제품 정보를 캡처하고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캡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하여금 추가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추가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추가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템플릿에 기초하여 복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생성하는 동작 -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중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은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응함 -; 및
    상기 개별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에 대응하는 각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복수의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을 상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에게 이용가능하게 만드는 동작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14500A 2020-09-30 2021-09-29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들 KR20230076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5284P 2020-09-30 2020-09-30
US63/085,284 2020-09-30
US17/402,277 2021-08-13
US17/402,277 US20220101416A1 (en) 2020-09-30 2021-08-13 Templates to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s that display product information
PCT/US2021/052684 WO2022072521A1 (en) 2020-09-30 2021-09-29 Templates to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848A true KR20230076848A (ko) 2023-05-31

Family

ID=8082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500A KR20230076848A (ko) 2020-09-30 2021-09-29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들을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01416A1 (ko)
EP (1) EP4222682A1 (ko)
KR (1) KR20230076848A (ko)
CN (1) CN116324853A (ko)
WO (1) WO2022072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6167B2 (en) * 2020-06-29 2023-07-18 Snap Inc. Generating and accessing video content for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23796A1 (en) * 2008-03-03 2009-09-03 David A. Wassmann Product information system for aggregating and classifying information from multiple sources with update ability
US20140325374A1 (en) * 2013-04-30 2014-10-30 Microsoft Corporation Cross-device user interface selection
US9754355B2 (en) * 2015-01-09 2017-09-05 Snap Inc. Object recognition based photo filters
US10529010B2 (en) * 2016-08-17 2020-01-07 Facebook, Inc. Generating custom merchant content interfaces
US10242477B1 (en) * 2017-01-16 2019-03-26 Snap Inc. Coded vision system
US20180210628A1 (en) * 2017-01-23 2018-07-26 Snap Inc.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system
US10685489B2 (en) * 2017-03-02 2020-06-16 Daqri,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and shar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20190043241A1 (en) * 2017-08-03 2019-02-07 Facebook, Inc. Generating animations on a social-networking system
US9980100B1 (en) * 2017-08-31 2018-05-22 Snap Inc. Device loc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s
US10699123B1 (en) * 2018-12-26 2020-06-30 Snap Inc. Dynamic contextual media filter
US11386144B2 (en) * 2019-09-09 2022-07-12 Adobe Inc. Identifying digital attributes from multiple attribute groups within target digital images utilizing a deep cognitive attribution neural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2521A1 (en) 2022-04-07
EP4222682A1 (en) 2023-08-09
CN116324853A (zh) 2023-06-23
US20220101416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269B2 (en)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s including user avatar to share location
US11641403B2 (en) Analyz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age data
US11706167B2 (en) Generating and accessing video content for products
KR20230016670A (ko) 제3자 콘텐츠로부터의 증강 현실 콘텐츠
US11995677B2 (en)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s to track user activity and redeem promotions
US20210409610A1 (en) Third-party modifications for a camera user interface
KR20230078785A (ko) 증강 현실 콘텐츠 아이템 사용 데이터의 분석
US11758264B2 (en) Camera user interface to generate content for third-party applications
KR20230029945A (ko) 제품 데이터에 기초한 증강 현실 콘텐츠
US20210409502A1 (en) Tracking usage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across multiple users
US20220101416A1 (en) Templates to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s that display product information
KR20230122160A (ko)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서드 파티 리소스들의액세스
US20240187819A1 (en) Augmented reality content items including user avatar to share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