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259A -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259A
KR20230076259A KR1020210163034A KR20210163034A KR20230076259A KR 20230076259 A KR20230076259 A KR 20230076259A KR 1020210163034 A KR1020210163034 A KR 1020210163034A KR 20210163034 A KR20210163034 A KR 20210163034A KR 20230076259 A KR20230076259 A KR 2023007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user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118B1 (ko
Inventor
이경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63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1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7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3Multi-level security, e.g. mandatory access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얼굴을 그대로 노출할 필요도 없고 가상세계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및 아바타 인증 서버가 서로 통신 가능한 시스템에서의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 또는 상기 아바타에 고유한 아바타 식별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바타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1차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1차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코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바이스 정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2차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VATA AND USER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웹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또는 로그인 과정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보편화되었다. 예컨대, 인터넷 웹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하기 위해서는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수많은 개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므로, 악의적인 웹사이트 운영자나 해킹에 의해 개인 정보를 도용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이후에 인터넷 웹페이지에 로그인하기 위해서는 회원 가입 과정에서 입력한 회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억하여 두었다가 입력해야 하므로, 다수의 인터넷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 각기 다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일일이 기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얼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많이 사용되기도 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자신의 얼굴을 그대로 제3자에게 노출하기를 꺼려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메타버스 (metaverse)가 화두로 되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 (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 (Universe)'의 합성어로, 사용자가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활동할 수 있는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3차원 가상세계에서 회원 가입, 쇼핑과 같은 활동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자신의 얼굴을 그대로 노출할 필요도 없고 가상세계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및 아바타 인증 서버가 서로 통신 가능한 시스템에서의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 또는 상기 아바타에 고유한 아바타 식별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바타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1차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1차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코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바이스 정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2차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의 의해 복수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1차 인증 코드가 생성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2차 인증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아바타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아바타 정보 및 상기 1차 인증코드를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수신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아바타 정보 및 상기 1차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검증하고, 및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아바타 본인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1차 인증코드에 기반하여 새롭게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아바타 이미지가 스캔되면,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상기 스캔된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스캔된 아바타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에서 상기 아바타 이미지가 생성된 시점과 상기 아마타 이미지를 수신한 시점 간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유효성이 검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및 아바타 인증 서버가 서로 통신 가능한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 또는 상기 아바타에 고유한 아바타 식별 코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아바타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수신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1차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1차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1차 인증코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바이스 정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2차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메타버스와 같은 3차원 가상 세계에서도 자신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회원 가입, 쇼핑과 같은 활동을 위한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의하면, 아바타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인터넷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 각기 다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일일이 기억할 필요도 없고, 자신의 얼굴을 그대로 노출하지 않고도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아바타를 신규로 등록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 아바타 별로 생성되는 식별 코드 및 인증 코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로그인 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으로 사용자 인증을 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아바타 인증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을 위한 관련 정보를 나타나는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사용자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사용자 단말기(100)와 다른 사용자 단말기(100)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등)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 위치정보 모듈(115)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사용자 단말기 내 정보, 사용자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아바타를 신규로 등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아바타를 신규로 등록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 아바타 별로 생성되는 식별 코드 및 인증 코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또는 본인) 인증하거나 사용자 로그인하려는 것을 각각 “아바타 사용자 (또는 본인) 인증” 또는 “아바타 로그인”이라고 호칭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아바타 서비스 제공(SP: Sevice Provider) 웹사이트 (또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바타 서비스는 검색 엔진 등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예를 들면, 네이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게임 플랫폼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예를 들면, 로블록스)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로그인은 사전 회원 가입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아이디/패스워드 입력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접속한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S220].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사전 생성된 아바타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 전송하여 상기 사전 생성된 아바타가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는 3D 아바타일 수 있다. 즉, 상기 아바타는 3D 형태로 입체적인 객체를 구성하여 보여주는 형태일 수 있다. 아바타를 구현할 때 기본적으로 디자인 컨셉에 따라 메쉬 형태의 입체적인 형태를 구성하고 눈, 코 귀, 얼굴 등의 각 구성이 좌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는 실사 아바타일 수도 있다. 실사 아바타 기술은 사용자의 실제 얼굴 모델의 3D 복원과 실시간 표정 재현으로 나누어 설명될 수 있다. 얼굴 모델은 사용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일 중요한 수단이며, 그 모델을 자연스럽게 변형하여 만들어내는 표정도 중요한 정보 전달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3차원으로 복원된 실사 아바타도 동일하게 같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얼굴 포즈를 추정해야 하는 얼굴 포즈 추정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얼굴 영상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추정하는 얼굴 포즈 추정은 일반적으로 얼굴 특징점(landmark) 정보에 기반하여 얼굴의 대략적인 3차원 형태를 가정하고 얼굴 포즈를 계산하게 되는데 딥러닝 기반으로 직접 얼굴 포즈를 추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 3의 (3-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아바타 자산(avartar asset)을 이용하여 각 얼굴 요소를 조립하는 형태로 자신이 희망하는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생성된 아바타에 고유한 아바타 식별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등록 시점에서 상기 생성된 아바타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고, 상기 아바타의 이미지가 스캔되면 인증에 등록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유효한 사용자인지 검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나중에 설명된다.
상기 아바타의 이미지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변수값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변수값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데이터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아바타 이미지가 스캔되는 경우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에서 상기 변수 값을 추출하여 사전 인증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처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아바타의 이미지와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생년월일, 사용자 전화 번호 등)가 아바타 인증서버(300)로 제공될 수 있다[S230].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로 본인 인증을 하기 위한 SKT, KT, LG U+, 알뜰폰과 같은 통신사의 인증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먼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인 인증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아바타 정보를 상기 본인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에 연계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응되는 1차 인증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240]. 상기 생성된 1차 인증 코드도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에 상기 사용자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1차 인증 코드는 개별 아바타 별로 부여되는 인증 코드이다.
상기 생성된 1차 인증코드는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발급될 수 있다[S250, S260].
그리고,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아바타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60].
그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1차 인증코드,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바이스 정보(예를 들면, 디바이스 MAC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로 제공할 수 있다[S270].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향후 필요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서만 상기 등록된 아바타를 이용한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상기 아바타 정보가 다운로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아바타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는 상기 아바타의 정보, 상기 1차 인증코드,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바이스 정보(예를 들면, 디바이스 MAC 어드레스 정보)에 더하여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의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S280].
그러면,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전달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2차 인증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290]. 상기 2차 인증 코드는 개별 사용자 별로 부여될 수 있는 인증 코드이다. 즉,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복수의 아바타들에 대해서는 각기 서로 다른 1차 인증 코드가 부여되지만, 공히 동일한 2차 인증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블록체인(400)을 이용하여 분산 데이터 형식으로 등록해둘 수 있다[S300].
상기 생성된 2차 인증코드는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발급될 수 있다[S310, S320].
이상에서는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만을 블록체인(400)을 이용하여 등록하는 것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가 상기 1차 인증 코드도 블록체인(400)을 이용하여 등록해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1차 인증 코드의 생성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4에서는 제 1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1)를 통해 제 1 아바타 및 제 2 아바타가 생성되고, 제 2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2)를 통해 제 3 아바타가 생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제 1 아바타, 제 2 아바타, 및 제 3 아바타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동일한 사용자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이들이 모두 다른 사용자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제 1 아바타, 제 2 아바타, 및 제 3 아바타의 식별 코드가 “N001”, “N002”, “L001”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 1 아바타, 제 2 아바타, 및 제 3 아바타 및 이들의 해당 식별 코드가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는 제 1 아바타, 제 2 아바타, 및 제 3 아바타 각각에 해당하는 1차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 1 아바타, 제 2 아바타, 및 제 3 아바타의 1차 인증코드가 “CertN001”, “CertN002”, “CertL001”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 1 아바타, 제 2 아바타, 및 제 3 아바타의 1차 인증코드도 자격 증명을 위해 블록체인(400)를 통해 등록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로그인 (또는 사용자 인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로그인 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에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시도할 수 있다[S510].
그러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로그인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를 할 수 있다[S520]. 상기 로그인 방법은 예를 들면, 아바타 로그인, 아이디/패스워드 로그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로그인 방법 중에서 상기 아바타 로그인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아바타 로그인이 선택되었음을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에 알릴 수 있다[S530].
그러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는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에 상기 로그인 요청을 있었음을 알릴 수 있다[S540]. 이로써,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로그인 인증을 위한 준비하고 있을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로 상기 아바타의 정보와 상기 1차 인증코드를 전달할 수 있다[S550]. 도 5에서는 상기 아바타의 정보와 상기 1차 인증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로 직접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아바타의 정보와 상기 1차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S560]. 예를 들면, 상기 전송 받은 상기 아바타의 정보 및 상기 1차 인증코드가 상기 사용자와 연계되어 사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로 상기 검증이 행해질 수 있으나, 검증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유효성 검증 결과를 블록체인(400)을 이용하여 등록해둘 수 있다[S570].
그리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유효성 검증 결과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로 전송할 수 있다[S580].
상기 유효성 검증 결과가 긍정적이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아바타 로그인을 승인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에 로그인하여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600].
이상에서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로그인 (또는 사용자 인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으로 사용자 인증 또는 본인 인증을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아바타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으로 사용자 인증을 하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아바타 사용자 인증을 하려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방문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본인 인증을 하려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오프라인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아바타 사용자 인증을 선택할 수 있다[S610].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으로 상기 1차 인증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S620].
그러면,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는 상기 1차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연계되어 저장된 아바타 이미지에 상기 1차 인증 코드가 반영된 아바타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없이 다른 사람의 아바타 이미지를 무단 복제하여 이를 오프라인 사용자 인증에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는 상기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640]. 상기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가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화면을 로딩하고, 상기 로딩된 화면에 상기 전송 받은 아바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650].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아바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시하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이 구비된 아바타 이미지 스캐너(미도시)에 의해 상기 아바타 이미지가 스캔될 수 있다[S660]. 상기 스캔된 아바타 이미지는, 상기 아바타 이미지 스캐너와 통신 중인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로 전달될 수 있다[S660].
그러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는 상기 스캔된 아바타 이미지를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로 전달하면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670].
그러면,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는 상기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아바타 이미지 간에 동일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유효성 및 상기 1차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한꺼번에 검증할 수 있다[S680]. 이에 추가하여,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아바타 이미지가 생성된 시점과 상기 아마타 이미지를 수신한 시점 간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상기 시간 차이가 소정 시간 이내의 경우인 경우에만 상기 유효성을 컨펌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아바타 이미지 간에 동일성이 있더라도, 상기 시간 차가 상기 소정 시간 이내가 아니라면 상기 유효성은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효성이 컨펌되면,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는 사전 등록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아바타 사용자 인증을 하려는 것이 맞는지는 확인 요청하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9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반응하여 또는 상기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700, S710].
그러면,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는 상기 2차 인증 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S720]. 예를 들면, 상기 2차 인증코드가 상기 사용자와 연계되어 사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로 상기 검증이 행해질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유효성 검증 결과를 블록체인(400)을 이용하여 등록해둘 수 있다[S730].
그리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300)는 상기 유효성 검증 결과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로 전송할 수 있다[S740].
이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아바타 본인 인증을 성공할 수 있다[S750].
도 6에서 설명한 아바타 사용자 인증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의류 매장과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활용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가지고,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200)와 통신 가능한 아바타 이미지 스캐너를 구비한 의료 매장을 방문하여 원하는 의류를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자신의 아바타 이미지를 상기 의료 매장에서 보여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아바타 이미지는 상기 의료 매장에 구비된 상기 아바타 이미지 스캐너에 의해 스캔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의류 매장은 도 6과 같이 설명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의류 매장은 상기 구매한 의류에 해당하는 가상 의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위해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 또는 상기 사용자가 가진 모든 아바타의 모든 아바타 가상 옷장에 상기 가상 의류가 반영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아바타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 요청으로 아바타 신규 등록을 진행한 아바타 인증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는 관련 정보에 대해 살펴보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아바타 인증서버에 저장될 수 있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을 위한 관련 정보를 나타나는 표이다.
아바타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 요청으로 아바타 신규 등록이 진행됨에 따라, 각 등록되는 아바타 별로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300)에는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인증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아바타 정보는 아바타 식별 코드, 아바타 이미지, 및 해당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전화번호, 및 생년월일과 같은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증코드 정보는 전술한 1차 인증코드 및 2차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다른 아바타 신규 등록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각 아바타 별로 다른 1차 인증코드가 부여되지만, 상기 동일한 사용자가 갖는 모든 아바타에 대해서는 동일한 2차 인증코드가 부여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70) 및 원격제어장치의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300: 아바타 인증 서버 400: 블록체인

Claims (12)

  1. 사용자 단말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및 아바타 인증 서버가 서로 통신 가능한 시스템에서의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 또는 상기 아바타에 고유한 아바타 식별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바타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1차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1차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1차 인증코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바이스 정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2차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사용자의 의해 복수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1차 인증 코드가 생성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2차 인증 코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아바타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아바타 정보 및 상기 1차 인증코드를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아바타 정보 및 상기 1차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아바타 본인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1차 인증코드에 기반하여 새롭게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바타 이미지가 스캔되면,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상기 스캔된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스캔된 아바타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에서 상기 아바타 이미지가 생성된 시점과 상기 아마타 이미지를 수신한 시점 간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유효성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방법.
  7. 사용자 단말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및 아바타 인증 서버가 서로 통신 가능한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아바타 이미지 또는 상기 아바타에 고유한 아바타 식별 코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아바타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수신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1차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1차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1차 인증코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바이스 정보,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 정보, 및 상기 아바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2차 인증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블록체인을 통해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동일한 사용자의 의해 복수의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에 대해 각기 서로 다른 1차 인증 코드가 생성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아바타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2차 인증 코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아바타 로그인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아바타 정보 및 상기 1차 인증코드를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수신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아바타 정보 및 상기 1차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아바타 본인 인증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1차 인증코드에 기반하여 새롭게 생성된 아바타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아바타 이미지가 스캔되면, 상기 아바타 인증 서버가 상기 스캔된 아바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스캔된 아바타 이미지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2차 인증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가 상기 2차 인증 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상기 아바타 서비스 제공 웹사이트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인증서버에서 상기 아바타 이미지가 생성된 시점과 상기 아마타 이미지를 수신한 시점 간의 시간 차를 고려하여 상기 아바타 이미지의 유효성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바타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20210163034A 2021-11-24 2021-11-24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KR102586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034A KR102586118B1 (ko) 2021-11-24 2021-11-24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034A KR102586118B1 (ko) 2021-11-24 2021-11-24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259A true KR20230076259A (ko) 2023-05-31
KR102586118B1 KR102586118B1 (ko) 2023-10-06

Family

ID=8654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034A KR102586118B1 (ko) 2021-11-24 2021-11-24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1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132A (ko) * 2006-02-24 2007-08-29 (주)엔도어즈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12314B1 (ko) * 2006-09-20 2008-03-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인터넷 쇼핑몰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132A (ko) * 2006-02-24 2007-08-29 (주)엔도어즈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12314B1 (ko) * 2006-09-20 2008-03-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인터넷 쇼핑몰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118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23104B (zh) 使用个人装置授权共享装置上的交易
US10032008B2 (en) Trust broker authentication method for mobile devices
CN109698856A (zh) 安全的设备到设备通信信道
CN111741011B (zh) 验证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960062B1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3906010B (zh) 多个终端间同步消息的方法、机器可读存储介质和服务器
CN109688147A (zh) 应用登录方法、装置、终端、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KR102042159B1 (ko)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0975A (ko)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49242A (ko)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US20190166499A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communicating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897968B1 (ko) 통역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운용하는 맞춤형 통역 서버 및 시스템
KR102586118B1 (ko)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JP2010066928A (ja) サーバシステム、電子機器、通信端末及び認証方法
US201202333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 of interest-based network service
KR102029671B1 (ko) 디지털 콘텐츠의 개인 보안 열람 플랫폼
JP6554517B2 (ja) サウンドを利用した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369559B1 (ko) 단말기
WO2021014934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8989312A (zh) 基于地理位置的认证方法和设备
US202202725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219886A (ja) 端末装置、投稿情報送信方法、投稿情報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投稿情報表示システム
KR20200016111A (ko) 오디오 정보 수집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2006850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89684A (ko) 게임 내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콘텐츠 서버, 단말기, 기록매체 및 게임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