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204A - 인공위성 학습 교구 - Google Patents

인공위성 학습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204A
KR20230076204A KR1020210162913A KR20210162913A KR20230076204A KR 20230076204 A KR20230076204 A KR 20230076204A KR 1020210162913 A KR1020210162913 A KR 1020210162913A KR 20210162913 A KR20210162913 A KR 20210162913A KR 20230076204 A KR20230076204 A KR 2023007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member
sides
artificial satellit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형철
Original Assignee
나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형철 filed Critical 나형철
Priority to KR102021016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204A/ko
Publication of KR2023007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2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industrial processes; of machi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10Artificial satellites; Systems of such satellites; Interplanetary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위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여 조립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학생들이 조립하면서 인공위성에 흥미를 가질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의 개략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고, 학습교구뿐만 아니라 연필꽂이 또는 무드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부재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사각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사각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하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결합되는 내부 측판과,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는 외부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위성 학습 교구{learning device for artificial satellite}
본 발명은 인공위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여 조립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학생들이 조립하면서 인공위성에 흥미를 가질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의 개략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고, 학습교구뿐만 아니라 연필꽂이 또는 무드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구(敎具)는 학습을 구체화하고 직관화하며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이다. 즉 학습지도는 교과과정에 따라서 수행되는데, 교과과정은 단원에 구체적으로 형상화되는 경우가 많다. 이 단원의 내용이 되는 것이 교재이고, 교재를 처리하는 물질적 수단의 체계가 교구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교구란 교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교육수단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교구는 교과의 성질과 학습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특히 시청각 교구나 각종 실험이나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교구의 개량과 발달은 현저하다.
근대에 이르러 학습사항이 계속하여 많아지고, 능률적이고 효과적 학습이 필요하게 되자 직관교수방법에 의한 교구의 발달이 촉구되었다. 이렇게 이루어진 교구의 발달은 교육기술을 크게 진보시켰는데, 이는 실험을 통해 교재가 적당히 교구화되면서 학습능률이 몇 갑절 높아지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학습교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 우주와 관련된 교육은 천문학 위주의 교육으로서 우주와 관련된 학습교구는 많지 않을 뿐더러 특히나 인공위성과 관련된 내용은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그리고, 미래 우주 관련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쪽의 인력도 필요하지만 인공위성 등에도 관심을 가지도록 초,중,고 학생때부터 교육을 하여 어릴때부터 인공위성 쪽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91317호(2020.03.27.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83117호(2015.01.09.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위성을 조립가능한 모형형태로 형성하여 학생들이 조립하면서 인공위성의 개략적인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즐겁게 조립할 수 있어 인공위성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교구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체의 형상을 격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연필꽂이로 활용할 수도 있고,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내측에 조명등을 구비하여 무드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부재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사각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사각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하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결합되는 내부 측판과,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는 외부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일측면의 양측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결합돌부와 제3결합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재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부와 제3결합돌부가 삽입되는 제4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측판의 외측에 착탈되고, 상기 날개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내부 측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날개 결합공에 삽입되는 날개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재가 펼쳐진 상태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부 측판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타측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부와 제4결합돌부가 삽입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측판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5결합돌부가 삽입되는 제3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부부재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 기판부재와, 상기 외측 기판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 기판부재와, 상기 외측 기판부재 및 내측 기판부재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결합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기판부재의 하부 양측에는 기판 결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기판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기판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부재의 외측에는 조명등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안테나 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안테나 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 또는 외부 측판의 하부가 착탈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위성을 조립가능한 모형형태로 형성하여 학생들이 조립하면서 인공위성의 개략적인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즐겁게 조립할 수 있어 인공위성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학습교구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체의 형상을 격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연필꽂이로 활용할 수도 있고,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내측에 조명등을 구비하여 무드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날개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본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내부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날개부재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날개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본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내부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학습 교구의 날개부재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인공위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부재(150)와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재(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인공위성의 각종 처리 장치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이를 모형화한 것이고, 상기 날개부재(200)는 태양광을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부분을 모형화한 것으로서, 표면에는 태양광 패널을 형성화한 태양광 패널 스티커부재(230)가 부착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인 인공위성 학습 교구를 사용하여 인공위성을 조립하는 학생이 인공위성의 개략적인 구조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게 하며, 이와 더불어 담당 교사의 인공위성에 대한 기술을 설명들을 경우, 모형화한 실물을 보면서 학습하기 때문에 기술에 대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부재(110)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재(110)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하판부재(120)와 본체(100)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판부(부호 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판부는 상기 상판부재(110) 및 하판부재(120)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결합되는 내부 측판(130)과 상기 상판부재(110) 및 하판부재(120)의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는 외부 측판(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재(110) 및 하판부재(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 쌍의 마주보는 면이 있는데, 이 중에서 상기 상판부재(110)의 마주보는 일측면의 양측부에는 제1결합돌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판부재(120)의 마주보는 일측면의 양측부에는 제3결합돌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측판(13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1,3결합돌부(112,222)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1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3결합돌부(112,222)는 상기 제1결합공(13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재(110)의 마주보는 타측면의 양측부에는 제2결합돌부(1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판부재(120)의 마주보는 타측면의 양측부에는 제4결합돌부(1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측판(140)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상기 제2결합돌부(114) 및 제4결합돌부(124)가 삽입되는 제2결합공(14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측판(140)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130)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5결합돌부(136)가 삽입되는 제3결합공(14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상판부재(110), 하판부재(120), 내부 측판(130) 및 외부 측판(140)이 끼움결합을 통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착탈되는 상기 날개부재(200)의 모서리부에는 제4결합공(210)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4결합공(210)에는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상판부재(110)와 하판부재(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돌부(112)와 제3결합돌부(122)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3결합돌부(112,122)는 상기 내부 측판(130)의 제1결합공(132)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날개부재(200)의 제4결합공에 삽입됨으로써, 그 결합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기 날개부재(200)의 일측에는 날개 결합돌부(22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내부 측판(130)의 상부에는 상기 날개 결합돌부(220)가 착탈되는 날개 결합공(1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날개부재(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측판(130)의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재(200)가 펼쳐진 상태로 상기 날개 결합공(134)에 결합될 수도 있어 인공위성의 태양광 패널이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를 표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인공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모형화한 안테나 부재(3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안테나 부재(3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130) 또는 외부 측판(140)의 하부가 착탈되는 결합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10)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130) 또는 외부 측판(140)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12)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착탈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 부재(300)는 그 단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펼쳐진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내부 측판(130) 또는 외부 측판(140)의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부부재(150)는 인공위성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듈 또는 기판 등을 모형화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 기판부재(152)와 상기 외측 기판부재(152)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 기판부재(1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기판부재(152)와 내측 기판부재(154)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데, 상기 외측 기판부재(152) 및 내측 기판부재(154)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결합바(156)가 설치되어 상기 외측 기판부재(152)와 내측 기판부재(154)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바(156)은 하나의 바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부재(부호 미도시)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기판부재(152)의 하부 양측에는 기판 결합돌부(15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판부재(1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기판 결합돌부(153)가 삽입되는 기판 결합공(12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상기 내부부재(150)가 끼움 결합으로 조립되는데, 상기 외측 기판부재(152) 및 내측 기판부재(154)의 표면에는 모듈의 표면 또는 인쇄회로기판을 표면을 형상이 인쇄된 기판 스티커부재(미도시)가 부착되어 실제 인공위성과의 싱크로를 높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상판부재(110), 내부 측판(130) 및 외부 측판(140)은 모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판부재(110)의 통공을 통하여 연필 등의 필기구를 삽입하도록 하여 연필꽂이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부부재(150)의 외측에는 조명등(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하판부재(120)의 하면에는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공위성 학습 교구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학습이 끝난 후, 학생들의 필수품인 연필꽂이나 야간이 사용할 수 있는 스텐드 또는 무드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측판(14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도록 지지돌부(146)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돌부(146)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가 바닥과 이격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위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위성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여 조립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학생들이 조립하면서 인공위성에 흥미를 가질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의 개략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고, 학습교구뿐만 아니라 연필꽂이 또는 무드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에 관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상판부재
120 : 하판부재 130 : 내부 측판
140 : 외부 측판 150 : 내부부재
200 : 날개부재 210 : 제4결합공
220 : 날개 결합돌부 230 : 태양광 패널 스티커부재
300 : 안테나 부재 310 : 결합부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부재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각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사각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하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결합되는 내부 측판과,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타측면에 결합되는 외부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일측면의 양측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제1결합돌부와 제3결합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재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부와 제3결합돌부가 삽입되는 제4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측판의 외측에 착탈되고,
    상기 날개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내부 측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날개 결합공에 삽입되는 날개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재가 펼쳐진 상태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측판의 상부와 하부 양측에는 상기 상판부재 및 하판부재의 마주보는 타측면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돌부와 제4결합돌부가 삽입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측판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5결합돌부가 삽입되는 제3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 기판부재와,
    상기 외측 기판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 기판부재와,
    상기 외측 기판부재 및 내측 기판부재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결합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기판부재의 하부 양측에는 기판 결합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기판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기판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재의 외측에는 조명등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안테나 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안테나 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상기 내부 측판 또는 외부 측판의 하부가 착탈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학습 교구.
KR1020210162913A 2021-11-24 2021-11-24 인공위성 학습 교구 KR20230076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13A KR20230076204A (ko) 2021-11-24 2021-11-24 인공위성 학습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13A KR20230076204A (ko) 2021-11-24 2021-11-24 인공위성 학습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204A true KR20230076204A (ko) 2023-05-31

Family

ID=8654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913A KR20230076204A (ko) 2021-11-24 2021-11-24 인공위성 학습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20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117B1 (ko) 2013-12-20 2015-01-16 김도진 비행놀이용 학습교구
KR102091317B1 (ko) 2018-03-28 2020-04-02 강성기 인력을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교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117B1 (ko) 2013-12-20 2015-01-16 김도진 비행놀이용 학습교구
KR102091317B1 (ko) 2018-03-28 2020-04-02 강성기 인력을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6204A (ko) 인공위성 학습 교구
Ahwee et al. The Hidden and Null Curriculums: An Experiment in Collective Educational Biography.
Nugroho Preparing prospective physics teachers to teach integrated science in junior high school
CN203204898U (zh) 一种电路教学板
KR100602590B1 (ko) 블록완구
CN213634894U (zh) 一种基于磁吸附模块阵列与多点触控的操作平台
CN203982646U (zh) 教学做一体化电子实训平台
CN211319554U (zh) 一种太空望远镜学习套件
Gonge et al. Education technology used for improving learning skills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Gruhler et al. Active learning in engineering-mexle, an open source lab-in-a-box system for students in electrical engineering, electronics, signal processing and programming classes
Yamazaki Space systems engineering education by providing hands-on practices using pico-satellite training kit
CN210777375U (zh) 一种具有互动趣味性的儿童英语教学仪器
US9017077B2 (en) Block learning game
Allen Joining up the thinking: how science'learning progressions' could address problems inherent in primary–secondary transition
KONG et al. A Pedagogy in STEM Classrooms for Primary Students to Develop Knowledge of Electric Circuits and Problem-Solving Skills
Fislake Adapting technikcamps a robotics summer school project for Rwanda
Schwarz Elementary/middle school science methods course at Michigan State University
KR200379519Y1 (ko) 블록완구
يوسف عيادات The Degree of Using Smart board in Teaching from the point view of teachers of Kasbat Irbid Directorate of Education and Teachers and Students' Attitude Towards it
Kamsar What is Science Series: What is Physics?
Baurzhanovna et al. THE CONCEPT OF INTEGRATION OF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Hrbacek et al. Step by Step to the World of Science and Technology
Fierro Popularization as an Aid for Formal Education
Neubert et al. Integrating Materials Science into the High School Chemistry Curriculum
Ortleb Don't teach sc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