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032A - 젖힘판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 구조를 강화한 원터치 캡-2 - Google Patents

젖힘판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 구조를 강화한 원터치 캡-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032A
KR20230076032A KR1020210163561A KR20210163561A KR20230076032A KR 20230076032 A KR20230076032 A KR 20230076032A KR 1020210163561 A KR1020210163561 A KR 1020210163561A KR 20210163561 A KR20210163561 A KR 20210163561A KR 20230076032 A KR20230076032 A KR 20230076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ouch cap
container
ring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21016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032A/ko
Publication of KR2023007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신 원터치캡에 설치한 개봉용 젖힘판의 기능을 편리하도록 구조를 보강하는 것과,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하였을 때에 차단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직경이 다른 두 개의 링-가스켓(1,2)을 신 원터치캡의 차단판 하부면에 설치(원형변으로 설치한 링-가스켓1과 링-가스켓2)하고 측면 몸체의 외부면을 기본형으로 정 8각변을 설치는 것과, 두 개의 돌출 부위(1,2)를 용기 입구의 내부면 및 상부면(원형변으로 설치한 돌출 부위1,2)에 설치하고, 외부면에 정8각변을 설치하는 것과, 개봉용 돌출 부위를 쉽게 젖힐 수 있도록 그 상부면에 지지대를 설치한 새로운 구조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젖힘판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 구조를 강화한 원터치 캡-2{One-touch cap-2 with reinforced blocking structure and opening structure using only the flip plate opening handle}
본 발명은, 10-2019-0180213(2019.12.31), 10-2020-0094461(2020.07.27.), 10-2021-0119185(2021.09.06.)에서 본인이 이미 출원한 특허들인 원터치캡들의 개봉 방법 및 차단 구조를 더 수정/보강한 새로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용기 입구(62)와 결합하여 사용 중인 기존의 원터치 캡(01)의 덮개 부위(02)와 몸체 부위(03)의 사이에 설치한 개봉용 벨트(07)는 기존 원터치 캡(01)의 덮개 부위(02)를 개봉하기 위하여 개봉용 벨트 손잡이(07)를 쥐고 덮개 부위(02) 및 몸체 부위(03)로부터 뜯어내어 분리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원터치 캡으로부터 어떠한 부분도 분리시키지 않고 개봉용 젖힘판(27) 만을 이용하여 보다 더 편리하게 개봉하는 원터치 캡의 새로운 구조이다. 또한 신 원터치캡(38)과 결합하는 용기(61)에 보관 중인 내용물(72)을 보다 더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하는 병마개의 링-가스켓1, 2(36, 37)와 용기 입구의 결합 부위인 돌출 부위1, 2(66, 67)의 차단 구조를 새롭게 보강한 발명품으로서, 환경을 침해하는 폐기물(개봉용 벨트)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제품이면서, 내용물을 안전하게 저장하는 새로운 병마개 및 용기의 구조들에 관한 것이다.
해결하려는 과제로서, 본 발명에서는 신 원터치캡(31)에 있어서 개봉용 벨트(06), 개봉용 벨트 손잡이(07), 개봉용 손잡이(08)가 필요 없다. 그 대신, 몸체 부위(22)에 설치한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덮개 부위(21) 방향으로 90°(32) 젖혀서 몸체 부위(22) 하부 부위(34)의 개봉용 돌출 부위(28)에 설치한 결합홈(31)을 덮개 부위(21)의 차단판(53) 상부면(55)에 설치한 결합턱(30)에 결합시킨다.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젖히면 자연적으로 개봉용 젖힘판(27)이 새롭게 생긴다.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젖힐 때에 수월하게 젖혀질 수 있도록 지지대(30)를 개봉용 돌출 부위(28)에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차단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신 원터치캡(38)에 링-가스켓1(36) 및 링-가스켓2(37)를 설치하는 것과, 용기 입구(62)의 내부면(64)에 돌출 부위1(66)을 설치하고, 상부면(63)에 돌출 부위2(67)를 설치한다. 결합하는 부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과제의 해결 수단] 과 여러 도면들을 참조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1) 신 원터치캡(38)에 있어서, 덮개 부위(21)의 차단판(53) 하부면(54)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링-가스켓1(36) 및 링-가스켓2(37)를 각각 원형으로 설치하며, 링-가스켓1(36)의 직경보다 링-가스켓2(37)의 직경은 항상 크다. 이와 결합하는 용기 입구(62)의 내부면(64)에 설치하는 돌출 부위1(66)과 상부면(63)에 설치하는 돌출 부위2(67)도 각각 원형으로 설치한다. 링-가스켓1(36)과 돌출 부위1(66)의 직경은 서로 결합이 가능한 칫수 및 규격이다. 링-가스켓2(37)와 돌출 부위2(67)의 직경은 서로 결합이 가능한 칫수 및 규격이다. 2)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90°(32) 위 방향으로 보다 더 수월하게 젖히기 위하여 개봉용 돌출 부위(28)의 상부면 양쪽에 지지대(30)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젖혔을 때에 고정결합이 가능하도록 몸체 부위(22)의 일정한 위치에 지지대 결합홈(31)을 설치한다. 차단판(53)의 일정한 위치에는 결합홈(31)과 고정 결합할 결합턱(30)을 설치하며,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결합턱(30)에 고정시키면 덮개 부위(21)를 개봉하는 돌출형의 개봉용 젖힘판(27)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는 본래(10-2021-0119185(2021.09.06.)의 구조에 지지대(30)를 보강한 것이다. 구체적인 설명들은 아래에서 도시하는 여러 도면들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1피스 원터치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친환경 효과[기존 제품에 발생하는 사용 흔적 벨트가 병마개 측면 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폐기물로서의 사용 흔적 벨트(환경 쓰레기)가 발생(국내에서만 약 4억 개/년가량 발생 중)하지 않는다.]
2. 기존 원터치캡의 근본적인 문제점인 차단 기능을 보강하여 용기에 저장하는 내용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구조를 갖는다.
3. 개봉용 돌출 부위(28)만을 이용하여 단번에 개봉하므로 소비자에게 개봉의 편의성(개봉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한다.)을 갖도록 한다.
도면 1은, 기존 원터치캡(덮개 + 몸체, 일명 : 듀마캡)과 용기가 결합한 전면 입체도이다.
도면 2는, 기존 원터치캡(덮개 + 몸체, 일명 : 듀마캡)과 용기가 결합한 측면 입체도이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 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전면 입체도이다. (대표도)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45°측면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측면(90°)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45°전면 상부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후면 45°아래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와 결합한 신 원터치캡 에 있어서,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상부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 캡에 있어서, 덮개 부위의 차단판 하부면에 설치한 링-가스켓 1, 2 및 측면 몸체에 대한 하부도이다.
도면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힌 후(사용 후)의 전면 입체도이다.
도면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결합하는 용기 입구의 상부면에 대한 입체도이다.
도면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결합하는 용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가 결합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개봉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 15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에 링-가스켓 3를, 용기 입구 내부면에 돌출 부위 3에 날개 부위1, 2를 각각 장착한 구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기존 병마개 부문(01 ~ 20)
01 : 기존 원터치캡(덮개 + 몸체) 02 : 덮개 부위(기존 원터치 캡)
03 : 몸체 부위(기존 원터치캡) 04 : 외부면(덮개 부위)
05 : 외부면(몸체) 06 : 개봉용 벨트
07 : 개봉용 벨트 손잡이 08 : 개봉용 손잡이
* 신 병마개 부문(신 원터치캡 21 ~ 50)
21 : 덮개 부위 22 : 몸체 부위
23 : 측면 몸체(덮개 부위) 24 : 측면 몸체(몸체 부위)
25 : 외부면(측면 몸체, 덮개 부위) 26 : 내부면(측면 몸체)
27 : 개봉용 젖힘판 28 : 개봉용 돌출 부위
29 : 접힘 부위(개봉용 젖힘판) 30 : 지지대
31 : 젖힘판 몸체 32 : 90°(직각)
33 : 상부 부위(접힘 부위의 상부 부위)
34 : 하부 부위(접힘 부위를 기준하여 상부 부위)
36 : 링-가스켓1(돌출 부위1과 결합)
37 : 링-가스켓2(돌출 부위2와 결합)
38 : 신 원터치캡(신 병마개) 39 : 링-가스켓3(돌출 부위3과 결합)
40 : 개봉 공간(개봉용 돌출 부위 젖혀서 이동 후에 남은 자리)
41 : 결합턱(凸, 덮개부위 측면몸체) 42 : 결합홈(凹, 하부부위에 설치)
43 : 계단형 결합턱(차단판 상부면) 44 : 날개 부위 1(링-가스켓 3)
45 : 경사면 1(링-가스켓 3의 날개 부위))
* 공통 부문(51 ~ 60)
51 : 힌지 52 : 수평 분리 예정선(…)
53 : 차단판 54 : 하부면(차단판)
55 : 상부 언더컷(용기 입구 외부면) 56 : 직선변
57 : 하부 언더컷(용기 입구 외부면) 58 : 언더컷(마개)
59 : 수직 분리선(
Figure pat00001
) 60 : 수평 분리선(
Figure pat00002
)
* 용기 부문(61 ~ 80)
61 : 용기(기존 용기 또는 신 용기) 62 : 용기 입구
63 : 상부면(용기 입구) 64 : 내부면(용기 입구)
65 : 외부면(용기 입구)
66 : 돌출 부위1(용기 입구 내부면에 설치)
67 : 돌출 부위2(용기 입구 상부면에 설치)
68 : 허리 부위 69 : 용기 몸체
70 : 바닥 부위 71 : 저장 공간(내용물)
72 : 내용물 73 : 용기 입구 몸체
74 : 돌출 부위3 75 : 날개 부위2(돌출 부위 3)
76 : 경사면 2(돌출 부위 3의 날개 부위)
* 개봉용 젖힘판(27) 형성 과정 설명 : 개봉용 돌출 부위를 90°위로 접어서 결합홈(42)을 결합턱(41)에 고정 결합시키면 개봉용 돌출 부위는 측면 몸체와 수평을 이루고, 하부 부위의 수직 폭이 자연스럽게 측면 몸체와 90°직각의 돌출형으로 설치됨
* 수평 분리선(
Figure pat00003
) : 덮개부위의 측면 몸체와 몸체 부위의 측면 몸체가 완전히 분리된 부분을 일컬음
* 분리 예정선(…) : 덮개부위의 측면 몸체와 몸체 부위의 측면 몸체가 붙어 있으나,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부위
* 접힘 부위(29) : 개봉용 돌출 부위(28)을 상부 방향으로 90°젖히면, 개봉용 돌출 부위(28)의 하부 부위(34)가 접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형으로 설치한 부위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우선 도면들을 통하여 설명하고, 실시 예를 통하여 사용 순서를 설명한다. 도면 1은, 기존 원터치캡(덮개 + 몸체, 일명 : 듀마캡)과 용기가 결합한 전면 입체도이다. 본 도면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사용 중인 기존 원터치캡(01) 및 이와 결합하는 용기(61)에 대한 전면 입체도이다. 기존 제품(일명 : 원터치캡 또는 듀마캡)인 기존 원터치캡(01)의 몸체 부위(03)의 내부면과 용기 입구(62)의 외부면(65)이 결합하여 완제품을 형성한다. 상기한 기존 원터치캡(01)은 차단판(53), 덮개 부위(02), 몸체 부위(03)를 주요 구조로 한다. 덮개 부위(02)와 몸체 부위(03) 사이는 개봉용 벨트 손잡이(07), 개봉용 벨트(06), 수평 분리 예정선(52), 힌지(51)로 구성한다. 용기(61)는 용기 입구(62), 허리 부위(68), 용기 몸체(69), 바닥 부위(70), 저장 공간(71)으로 구성한다. 도면 2는, 기존 원터치캡(덮개 + 몸체, 일명 : 듀마캡)과 용기가 결합한 측면 입체도이다. 도면 1의 설명을 참고한다. 좌측 끝에 개봉용 손잡이(08)를 개봉용 벨트(06)와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우측 끝에는 힌지(51)를 설치한다. 덮개 부위(02)와 몸체 부위(03)는 수평 분리 예정선(52) 및 수평 분리선(60)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한다. 용기(61)는 용기 입구(62), 허리 부위(68), 용기 몸체(69), 바닥 부위(70), 저장 공간(71)로 구성한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개봉 전)의 전면 입체도이다.(대표도) 덮개 부위(21)와 몸체 부위(22)가 힌지(51)에 의하여 일체형을 이루는 신 원터치캡(38)과 용기(61)가 결합한 전면 입체도이다. 개봉용 젖힘판(27)은 개봉용 돌출 부위(28) 지지대(30), 결합홈(42), 접힘 부위(29), 결합턱(41), 젖힘판 몸체(31)로 구성한다. 접히는 기능을 갖는 수평으로 요철형인 접힘 부위(29)에 의하여 상부 부위(33)와 하부 부위(34)로 구분하는 젖힘판 몸체(31)는 덮개 부위(21) 및 몸체 부위(22)와 일체형을 이룬다. 몸체 부위(22)의 측면 몸체(24) 외부면(25)의 젖힘판 몸체(31)에는 돌출형인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갖는다. 개봉용 돌출 부위(28)의 상부의 젖힘판 몸체(31)의 중앙에는 일정한 폭과 높이의 결합홈(42)을 설치한다. 일정한 폭과 높이의 결합턱(41)과 결합홈(42)은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차단판(53) 방향으로 접힘 부위(29)를 기준으로 90°(32) 접었을 때에 서로 결합 고정하는 위치 및 구조를 갖도록 설치한다. 젖힘판 몸체(31)는 접힘 부위(29)에 의하여 상부 부위(33)와 하부 부위(34)로 구분한다. 젖힘판 몸체(31)의 상부 부위(33)는 덮개 부위(21)와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하부 부위(34)는 몸체 부위(22)와 수직 분리선(59), 수평 분리 예정선(52), 수평 분리선(60)으로 연결한다. 상부 부위(33)와 하부 부위(34)는 접힘 부위(29)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한다. 개봉용 돌출 부위(28)와 젖힘판 몸체(31)의 수직 평면이 만나는 위치에는 지지대(30)를 하나 이상 설치한다. 개봉용 돌출 부위(28)의 수평 폭은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90°(32) 위로 젖혀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개봉용 젖힘판(27)의 수평 폭보다 항상 크지 않아야 한다. 개봉용 젖힘판(27)의 돌출 높이는 하부부위(34)의 수직 폭과 동일하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45°측면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3의 설명을 참고한다. 차단판(53)의 상부면(55)과 덮개 부위(21) 측면 몸체(23)의 전면이 만나는 위치에 결합턱(41)을 설치한다. 젖힘 부위(29)에 의하여 상부 부위(33)와 하부 부위(34)는 구별되며 일체형으로 연결한다. 하부 부위(34)에는 결합홈(42)을 설치한다. 개봉용 돌출 부위(28)와 하부 부위(34)가 직각으로 만나는 위치에 지지대(30)를 하나 이상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측면(90°)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3과 도면 4의 설명을 참고한다. 개봉용 젖힘판(27)의 반대 위치에는 힌지(51)를 설치한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 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45°전면 상부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3과 도면 4의 설명을 참고한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 캡(38)과 용기 입구(62)가 결합한 상태의 신 원터치캡(38)의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90°젖히기 전(사용 전)의 45°전면 상부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용기 입구가 결합한 상태의 병마개의 후면 45°아래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기본 주요 설명은, 도면 3, 4의 설명을 참고한다. 후면에 설치한 힌지(51)는 덮개 부위(21)와 몸체 부위(22)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며, 그 양쪽으로 수평 분리 예정선(52)을 설치한다. 덮개 부위(21)와 몸체 부위(22)는 수평 분리 예정선(52)에 의하여 일체형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와 결합한 신 원터치캡 에 있어서,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히기 전(사용 전)의 상부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기본 주요 설명은, 도면 3, 4의 설명을 참고한다. 신 원터치캡(38)의 측면 몸체(23, 24)의 외부면(25)은 정8각의 등거리 직선변(56)으로 설치하는 것이 기본형이다. 정8각변을 대신하여 5각 직선변, 6각 직선변, 등등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개봉용 돌출 부위(28)와 힌지(51)는 원주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위치에 설치한다. 개봉용 돌출 부위(28)의 상부면 양쪽 끝에는 한쌍의 지지대(30)를 설치(기본형)하며, 그 안쪽으로는 결합홈(42)을 설치한다. 결합턱(41)은 개봉용 돌출 부위(28)가 접혔을 때에 고정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며, 차단판(53) 상부면의 전면과 덮개 부위(21)의 측면 몸체(23) 외부면(25) 사이에 설치한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에 있어서, 덮개 부위의 차단판 하부면에 설치한 링-가스켓 1, 2 및 측면 몸체에 대한 하부도이다. 차단판(53)의 하부면(54)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링-가스켓1(36)과 링-가스켓2(37)를 설치한다. 측면 몸체(23, 24)의 내부면(26)에는 언더컷(58)을 원주를 따라 수평 돌출형/일체형으로 설치한다. 도면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의 개봉용 돌출 부위를 젖힌 후(사용 후)의 전면 입체도이다. 개봉용 돌출부위(28)를 90°(32) 위로 젖혀서 결합홈(42)이 결합턱(41)과 고정 결합한 상태의 그림이다. 개봉용 돌출부위(28)를 90°(32) 위로 젖히면, 개봉용 돌출부위(28)를 포함하는 하부 부위(34)의 구조는 개봉용 젖힘판(27)으로 바뀐다. 개봉용 돌출 부위(28)가 있었던 자리는 개봉 공간(40)이 남는다. 도면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 캡과 결합하는 용기 입구의 상부면에 대한 입체도이다. 신 원터치캡(38)과 결합하는 용기 입구(62)에 대한 상부 입체도이다. 용기 입구(69) 외부면(65)의 규격과 형상은 정8각형의 직선변(56)이 기본형이며, 신 원터치캡(38)의 덮개 부위(21)의 측면 몸체(23) 외부면(25)에 설치한 정8각형의 직선변(56)과 결합하는 구조이다. 원주의 중심부로부터 돌출 부위1(66), 돌출 부위2(67), 용기 입구 몸체(73), 언더컷(58)으로 구성한다. 돌출 부위 1, 2(66, 67)는 원형이며, 용기 입구 몸체(73)는 정8각형의 직선변(56)이다. 도면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과 결합하는 용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용기를 정 중앙에서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얇은 선으로 표현한 것이 용기(61)를 수직 단면 몸체이다. 가장 상부 부위는 상부면(63)이며, 그 안쪽으로 돌출 부위2(67)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돌출 부위2(67)의 아래 방향의 내부면(64)이 돌출 부위1(66)이다. 외부면(65)은 위로부터 상부 언더컷(55), 하부 언더컷(57), 허리 부위(68), 용기 몸체(69), 저장 공간(71), 바닥 부위(70)로 구성한다. 저장 공간(71)에는 내용물(72)를 저장한다. 도면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 캡과 용기가 결합한 상태의 수직 단면도이다. 개봉하기 전의 신 원터치캡(38)과 용기 입구(62)가 결합한 상태를 원주의 중심을 기준하여 정 중앙에서 수직으로 자른 수직 단면도이다. 용기의 구조는 도면12의 설명을 참고한다. 링-가스켓1(36)의 외부면과 돌출 부위1(66)은 원주를 따라 서로 결합한다. 링-가스켓2(37)와 돌출 부위2(67)는 원주를 따라 서로 결합하여 차단 기능을 갖는 구조이다. 우측의 가장 상부 쪽에는 결합턱(41)을 설치하며, 그 아래 방향으로 접힘 부위(29), 지지대(30) 및 결합홈(42), 개봉용 돌출 부위(28), 몸체 부위(22)의 측면 몸체(24)의 순으로 설치한다. 덮개부위(21)의 측면 몸체(23)의 내부면(26)에는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언더컷(58)을 설치한다. 좌측 반대편에는 힌지(51)를 설치한다. 도면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개봉전)의 수직 단면도이다. 신 원터치캡(38)은 덮개 부위(21)와 몸체 부위(22)로 구성한다. 덮개 부위(21)의 측면 몸체(23) 외부면(25)의 일정한 위치에 개봉을 위한 개봉용 돌출 부위(28) 등을 가지며 그 반대편에 힌지(51)를 설치한다. 개봉 전의 개봉용 부위들은, 밑에서부터 개봉용 돌출 부위(28), 그 상부면에 지지대(30) 및 결합홈(4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접힘 부위(29)를 설치한다. 접힘 부위(29)를 기준으로 개봉용 돌출 부위(28)를 90°위 방향으로 접었을 때에 결합홈(42)이 고정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턱(41)을 설치한다. 개봉용 부위들을 설치한 그 반대편에 힌지(51)를 설치한다. 차단판(53)의 하부면(54)에는 링-가스켓1(36)과 링-가스켓2(37)를 설치한다. 링-가스켓1(36)의 수직 높이는 링-가스켓2(37)의 높이보다 더 길게 설치하며, 모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직경은 링-가스켓1(36)보다 링-가스켓2(37)가 항상 길다. 측면 몸체(23, 24)의 내부면(26)에는 언더컷(58)을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도면 15는, 본 발명에 의한 신 원터치캡에 링-가스켓3를, 용기 입구 내부면에 돌출 부위3에 날개부위1, 2를 각각 장착한 구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15-1은 신 원터치캡(38)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신 원터치캡(38)의 차단판(53) 하부면(54)에 원주를 따라 설치하는 링-가스켓3(39)의 외부면(용기 입구 내부면 방향)에는 날개부위1(44)을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날개 부위1(44)의 외부면에는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1(45)을 설치한다. 15-2는 용기 입구(62)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용기 입구(62)의 내부면(64)에 원주를 따라 설치하는 돌출 부위3(74)의 외부면(원주 중심 방향)에는 날개 부위2(75)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날개 부위2(75)의 외부면에는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2(76)를 설치한다. 신 원터치캡(38)과 용기(61)를 결합시키면, 경사면1(45)과 경사면2(76)는 서로 탄력있게 밀착 결합하여 차단 기능을 보더 더 강화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구조들이다. 본 발명품의 구조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본 발명품에만 적용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기구들[특히, 2피스 원터치캡(힌지에 의하여 덮개 부위와 몸체 부위가 일체형인 병마개, 예 : 간장 및 식초 제품들)도 포함] 및 시설물들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이용 및 응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덮개 부위, 몸체 부위, 개봉용 젖힘판 몸체(상부 부위+접힘 부위+하부 부위), 힌지를 주요 구성원으로 하는 1피스 신 원터치캡(덮개 부위와 몸체 부위가 완전 분리된 상태로 힌지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연결한 구조인 2 피스 원터치 캡도 포함)의 구조 및 이와 결합하는 용기의 용기 입구의 구조에 있어서,
    링-가스켓1과 링-가스켓2의 구조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돌출 부위1과 돌출 부위2의 구조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과;
    신 원터치캡과 용기가 결합할 때에,
    링-가스켓1과 돌출 부위1이 서로 결합하도록 각각(마개 및 용기)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과;
    링-가스켓2와 돌출 부위2가 서로 결합하도록 각각(마개 및 용기)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과;
    링-가스켓2를 링-가스켓1과 측면 몸체의 내부면 사이의 위치의 차단판 하부면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과;
    돌출 부위2를 용기 입구의 상부면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과;
    개봉용 돌출 부위의 상부면에 한 개 이상의 지지대를 설치하는 것과;
    원형의 링-가스켓1, 2를 갖는 신 원터치캡의 측면 몸체를 정 8각 변으로 설치하는 것과;
    원형의 돌출 부위1, 2를 갖는 용기 입구의 외부면을 정 8각 변으로 설치하는 것과;
    몸체의 형상이 원형인 용기 몸체와;
    개봉용 돌출 부위를 90°상부 방향으로 젖혔을 때에 개봉용 돌출 부위의 결합홈이 결합턱과 고정 결하면서 개봉용 젖힘판을 형성하도록 하는 모든 구조들에 관한 것
  2.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 부위, 몸체 부위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서 힌지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2 피스 원터치캡에 링-가스켓1 및 링-가스켓2를 덮개 부위의 차단판 하부면에 설치하고, 돌출 부위1과 돌출 부위2를 몸체 부위의 차단판과 측면 몸체 상부면에 설치하는 것과;
    2피스 원터치캡에 개봉용 돌출 부위의 제반 구조를 덮개 부위에 설치하고, 그와 맞물리는 몸체 부위의 일정한 위치에 개봉용 돌출 부위의 몸체와 결합하는 다양한 구조를 설치하는 것과;
    2 피스 원터치캡의 덮개 부위와 몸체 부위가 서로 결합하여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개봉용 구조를 갖도록 하는 모든 것
  3. 덮개 부위, 몸체 부위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서 힌지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2피스 원터치캡에 있어서,
    덮개 부위의 차단판 하부면에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링- 가스켓을 설치하는 것과;
    몸체 부위의 측면 몸체 상부면 및 내부면과 차단판 상부면에 돌출 부위를 두 개 이상 설치하는 것과;
    몸체의 형상이 원형인 용기 몸체와;
    몸체 부위의 측면 몸체 외부면에 개봉용 젖힘 구조 및 기능을 갖는 개봉용 젖힘판을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과;
    몸체 부위의 측면 몸체 외부면에 '개봉용 젖힘판'과 결합하여 미 개봉 상태를 유지하는 '결합 구조'를 일체형으로 갖는 것과;
    '개봉용 젖힘판'을 90°상부 또는 좌우 또는 다양한 방향으로 젖혀서 '결합 구조'와 분리되면서 덮개 부위의 개봉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과;
    '개봉용 젖힘판'과 '결합 구조'가 서로 결합하여 1차적으로 밀봉이 가능한 구조와 2차적으로 '개봉용 젖힘판'을 젖혀서 '결합 구조'와 분리된 후에는 개봉이 가능한 모든 구조들에 관한 것
  4. 덮개 부위, 몸체 부위, 개봉용 젖힘판 몸체(상부 부위+접힘 부위+하부 부위), 힌지를 주요 구성원으로 하는 1피스 원터치캡(덮개 부위와 몸체 부위가 완전 분리된 상태로 힌지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연결한 구조인 2 피스 원터치캡도 포함)의 구조 및 이와 결합하는 용기의 용기 입구의 구조에 있어서,
    차단판 하부면의 일정한 위치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링-가스켓3의 외부면(용기 입구 내부면 방향)에 날개부위1을 설치하고 날개 부위 1의 외부면에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1을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원터치 캡과;
    용기 입구 내부면의 일정한 위치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돌출 부위3의 내부면(원주 중심 방향)에 날개 부위2를 설치하고 날개 부위2의 외부면에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2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과;
    날개부위1과 날개부위2가 서로 결합하여 차단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경사면1과 경사면2의 밀착 결합이 가능한 위치 설정 및 구조들을 갖도록 하는 모든 것
  5. 덮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주요 구성원으로 하는 1피스 원터치캡의 구조 및 이와 결합하는 용기의 용기 입구의 구조에 있어서,
    차단판 하부면의 일정한 위치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링-가스켓3의 외부면(용기 입구 내부면 방향)에 날개부위1을 설치하고 날개 부위 1의 외부면에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1을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원터치 캡과;
    용기 입구 내부면의 일정한 위치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돌출 부위3의 내부면(원주 중심 방향)에 날개 부위2를 설치하고 날개 부위2의 외부면에 다양한 각도의 경사면2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과;
    날개부위1과 날개부위2가 서로 결합하여 차단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경사면1과 경사면2의 밀착 결합이 가능한 위치 설정 및 구조들을 갖도록 하는 모든 것
KR1020210163561A 2021-11-23 2021-11-23 젖힘판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 구조를 강화한 원터치 캡-2 KR20230076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561A KR20230076032A (ko) 2021-11-23 2021-11-23 젖힘판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 구조를 강화한 원터치 캡-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561A KR20230076032A (ko) 2021-11-23 2021-11-23 젖힘판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 구조를 강화한 원터치 캡-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032A true KR20230076032A (ko) 2023-05-31

Family

ID=8654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561A KR20230076032A (ko) 2021-11-23 2021-11-23 젖힘판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 구조를 강화한 원터치 캡-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0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17506B (zh) 用于容器的包装件
EP0928271B1 (en) Gusseted bag
US7819582B2 (en) Container blank and container made thereof
CN109533633B (zh) 具有触发打开机构的显窃启塑料食物容器
AU2013265174B2 (en)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restricting spillage
US20070075124A1 (en) Combo bin bag catch and method of use
US5372301A (en) Biodegradable packaging with pouring spout
CN107000917A (zh) 用于可重新闭合的容器的坯件
KR20130087451A (ko) 콘테이너, 특히 음식물 보관용 콘테이너 및 특히 음료수 백을 위한 삼킴 방지 폐쇄 마개
JP2022552688A (ja) カップ、カップ用ブランク、及びカップを形成する方法
CN109476398B (zh) 具有限制溢出的闭合装置的容器
KR20230076032A (ko) 젖힘판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 구조를 강화한 원터치 캡-2
JPS62251340A (ja) 把手付き液体パツク容器
US3743165A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RU2676808C2 (ru)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JPH04327154A (ja) 液体または粉末状製品用の包装
US2138718A (en) Bottle or container of paper, wood pulp, or the like
US20100102114A1 (en) Carton with Pour Spout
EP3564143A1 (en) A package
WO2024014198A1 (ja) パウチ
KR20230080246A (ko) 링-가스켓을 설치하지 않고, 차단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신 원터치캡
KR102268899B1 (ko) 내부구획이 분리되는 햄버거 딜리버리 포장상자
KR20230118002A (ko) 젖힘형 개봉용 손잡이만을 90° 젖혀서 개봉하는 구조 및 차단성 기능을 강화하는 구조의 1피스 원터치 캡
KR20230036019A (ko) 개봉용 손잡이만을 이용하여 개봉하는 원터치캡의 새로운 구조들
CN208856124U (zh) 流体密封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