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986A -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 Google Patents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986A
KR20230075986A KR1020210162734A KR20210162734A KR20230075986A KR 20230075986 A KR20230075986 A KR 20230075986A KR 1020210162734 A KR1020210162734 A KR 1020210162734A KR 20210162734 A KR20210162734 A KR 20210162734A KR 20230075986 A KR20230075986 A KR 20230075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upled
plate
rail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석
신동우
Original Assignee
고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현석 filed Critical 고현석
Priority to KR102021016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986A/ko
Publication of KR2023007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앞축이 고정되는 전방부 모듈; 상기 자전거의 뒷축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방부 모듈; 및 상기 전방부 모듈과 상기 후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부 모듈은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된 하판;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과 대응되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된 상기 하판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이 소정거리만큼 왕복운동할수 있게하는 제1 레일부;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상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재; 및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력을 강화하는 결합판재;를 포함하여, 진동흡수 함으로써 층간소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INDOOR BIKE SIMULATOR AND CRADLE MODULE FOR SMART MOBILITY}
본 발명은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공정 및 복합소재를 활용하여 중량을 최소화하고, 3층 구조 중, 중간층을 실리콘 마운트로 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시대로 인해 외부활동이 제한됨에 따라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어학교육, 또는 헬스와 같은 운동 등 각종 자기개발에도 상당한 제약이 가해지고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혼자서 실내외에서 할 수 있는 자전거를 구매하여 운동을 하고 있고, 실제로도 자전거의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파급된 효과로 인해 자전거를 실내에서도 탈 수 있게, 해당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모듈과 같은 각종 악세서리 등에 대한 판매도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실내에서도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종래 자전거 거치대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매트를 까는 수준으로 충간소음을 해소하고 있어 여전히 층간소음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충격흡수 합판이 판매되고 있지만 여전히 층간소음을 해소할 만한 충격흡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독주택과 그 비율이 동등할 만큼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인구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층간소음으로 인해 실내에서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어, 층간소음을 해소할 수 있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이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물론 종래에도 복층구조의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이 있었지만, 이런 종래의 제품들은 소재가 나무로 이루어져 무거운 무게로 인해 모빌리티가 떨어지고, 가격이 비싸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7647호(2017.07.07)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정을 반영하여 본 발명은 사출공정 및 복합소재를 활용하여 중량을 최소화하고, 3층 구조 중, 중간층을 실리콘 마운트로 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앞축이 고정되는 전방부 모듈; 상기 자전거의 뒷축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방부 모듈; 및 상기 전방부 모듈과 상기 후방부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부 모듈은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된 하판;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과 대응되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된 상기 하판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이 소정거리만큼 왕복운동 할 수 있게 하는 제1 레일부;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상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재; 및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충격 흡수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력을 강화하는 결합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은 복층구조 중, 중간층에 개재한 실리콘 마운트로 인해 진동흡수 함으로써 층간소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은 3축 자유도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자전거를 타고 라이딩을 하는 느낌 또는 쾌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은 그 소재가 나무기반이 아닌 사출공정을 통한 플라스틱 또는 복합소재로 구성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하여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은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구매자가 DIY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판매단가를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전거 거치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의 전방부 모듈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의 제1 내지 제3 레일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의 후방부 모듈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의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100)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고, 최상단층에 자전거의 앞바퀴 부분이 고정되고, 뒷부분이 바퀴가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페달을 회전함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100)은 앞쪽으로 앞바퀴 고정부(10)와 뒷쪽으로 뒷바퀴 고정부(20)가 형성되어 자전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100)는 전방부 모듈(110)과 후방부 모듈(120), 그리고 연결부재(130)로 구성되어 있다.
분해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1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 모듈(110)은 하판(111), 상판(112), 제1 레일부(113), 충격 흡수부재(114), 및 결합판재(115)를 포함한다.
상기 하판(111)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육각형 구조로 내측으로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의 무게를 경량화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다른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상판(112)는 상기 하판(111)과 대응되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마찬가지로 무게의 경량화와 결합의 용이함을 위해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은 결합되는 구성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상기 하판(111)과 상이한 위치 및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부(113)는 저부 일측이 상기 하판(111)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결합판재(115)와 결합된다.
상기 제1 레일부(113)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레일부(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13a), 레일(113b), 및 이동부재(113c)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13a)은 직사각형 구조로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부(113)를 지지하고, 상기 하판(111) 및 상판(112)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판(111)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113b)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일(113b)은 막대구조로 상기 지지판(113a)게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13c)가 결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부재(113c)는 상기 레일(113b)의 단면구조와 대응되는 단면 구조의 절개 홈(113d)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113b)와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해당 레일(113b)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운동 한다.
상기 충격 흡수부재(114)는 베이스부(114a), 및 충격 흡수체(114b)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114a)는 직사각형 구조로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113c)의 상단면에 결합된다.
상기 충격 흡수체(114b)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114a)의 양단에 결합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14a)에서 기립된 상부가 상기 상판(112)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특히, 상기 충격 흡수체(114b)는 유압방식으로 압축되거나 압축이 해제되는 메커니즘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또는 직경이 상이한 두 개의 하우징 중, 직경이 작은 하우징이 직경이 큰 하우징으로 삽입되되, 그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개재되어 탄성방식으로 압축되거나 압축이 해제되는 메커니즘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결합판재(115)는 상기 제1 레일부(113)의 이동부재(113c)의 상단과 상기 충격 흡수부재(114)의 베이스부(114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레일부(113)와 상기 충격 흡수부재(114)의 결합을 더욱 강화시킨다.
즉, 상기 결합판재(115)는 결합면이 좁은 상기 이동부재(113c)의 상단면을 확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후방부 모듈(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층(121), 중간층(122), 상부층(123), 제2 레일부(124), 및 제3 레일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층(121)은 정사각형 구조로, 꼭지점 부분이 소정 부분만큼 절개되어 전체적으로 팔각형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방부 모듈(110)을 설명하면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층(121)은 내측으로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의 무게를 경량화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다른 구성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중간층(122)은 상기 하부층(121)과 동일한 크기의 구조로, 해당 하부층(121) 상부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중간층(122)에는 복수의 진동흡수 부재(122a)가 형성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흡수 부재(122a)는 원통형 구조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중간층(122)의 중앙에 형성되고, 사방에 각각 형성되어 모두 다섯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흡수 부재(122a)가 다섯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필요에 따라 다섯개 초과 또는 미만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진동흡수 부재(122a)는 실리콘 소재일 수도 있지만, 발포 폼소재와 같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다른 소재들이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고,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감도제어를 위해 다양한 경도의 발포 폼이 개발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3축 자유도 적용을 위해 내측과 외측에 형성되는 상기 진동흡수 부재(122a)는 다른 경도로 제작될 수 있다.
경량화와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홀이 형성된 상기 상부층(123)은 상술한 상기 하부층(121) 및 중간층(122)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단면이 상기 진동흡수 부재(122a)가 형성된 중간층(122)에 결합되고, 상단면에 자전거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방부 모듈(120)은 그 면적이 상기 전방부 모듈(110)보다 넓어 좌우측으로 두 개의 상기 제2 레일부(124)와 제3 레일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레일부(124)와 제3 레일부(125)는 상기 제1 레일부(113)와 연동하여 소정거리만큼 앞뒤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2 레일부(124)와 제3 레일부(125)는 상부로 결합된 상기 중간층(122)과 상부층(123)이 바닥에 고정된 상기 하부층(121)을 기준으로 소정거리만큼 앞뒤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레일부(124)와 상기 제3 레일부(125)는 상술한 제1 레일부(113)의 구조와 동일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2 레일부(124)와 상기 중간층(122) 사이에 결합판재(126)가 개재되고, 상기 제3 레일부(125)와 상기 중간층(122) 사이에도 결합판재(127)가 개재되어 상기 제2 레일부(124)와 상기 중간층(122)의 결합력과 상기 제3 레일부(125)와 상기 중간층(122)의 결합력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전방부 모듈(110)과 후방부 모듈(120)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0)는 막대구조의 연결봉(131)과 연결체(13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131)의 양단 각각에 한 쌍의 연결체(132)가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전방부 모듈(110)에 볼트 너트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부 모듈(120)에 볼트 너트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체(132)는 가로방향으로 상기 연결봉(131)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132a)과 세로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전방부 모듈(110) 또는 후방부 모듈(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결합홀(13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체(132)는 상기 결합홀(132b)에 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전방부 모듈(110) 또는 후방부 모듈(120)에 결합될 때 상기 연결봉(131)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절개부(132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봉(131)은 직경이 상이한 한 쌍의 원통형 파이프 구조로 구성되어, 직경이 작은 원통형 파이프가 직경이 큰 원통형 파이프에 삽입되는 원리로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전방부 모듈(110)과 상기 후방부 모듈(120)의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어, 앞축과 뒷축의 거리가 상이한 다양한 크기의 자전거를 거치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부구성을 갖는 상기 전방부 모듈(110), 후방부 모듈(120), 및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의 전체적인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100 :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110 : 전방부 모듈
111 : 하판 112 : 상판
113 : 제1 레일부 113a : 지지판
113b : 레일 113c : 이동부재
113d : 절개 홈
114 : 충격 흡수부재 114a : 베이스부
114b : 충격 흡수체 115, 126, 127 : 결합판재
120 : 후방부 모듈
121 : 하부층 122 : 중간층
123 : 상부층 124 : 제2 레일부
125 : 제3 레일부
130 : 연결부재 131 : 연결봉
132 : 연결체 132a : 체결홀
132b : 결합홀 132c : 절개부

Claims (7)

  1. 자전거의 앞축이 고정되는 전방부 모듈(110);
    상기 자전거의 뒷축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방부 모듈(120); 및
    상기 전방부 모듈(110)과 상기 후방부 모듈(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모듈(110)은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된 하판(11);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111)과 대응되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판(112);
    상기 하판(111)과 상기 상판(112)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된 상기 하판(111)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112)이 소정거리만큼 왕복운동 할 수 있게 하는 제1 레일부(113);
    상기 제1 레일부(113)와 상기 상판(11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1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재(114); 및
    상기 제1 레일부(113)와 상기 충격 흡수부재(114)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력을 강화하는 결합판재(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113)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판(111)에 결합되는 지지판(113a);
    막대구조로 상기 지지판(113a)에 길게 형성된 레일(113b); 및
    상기 레일(113b)의 단면구조와 대응되는 단면 구조의 절개 홈(113d)이 형성되어 해당 레일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운동 하는 이동부재(11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재(114)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113c)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14a); 및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부가 상기 베이스부(114a)의 양단에 결합되게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상판(112)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어 결합된 충격 흡수체(1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모듈(120)은
    복수의 천공된 홀이 형성된 하부층(121);
    상기 하부층(121)과 동일한 크기의 구조로, 해당 하부층 상부로 결합되고, 복수의 진동흡수 부재가 형성된 중간층(122);
    상기 하부층(121) 및 중간층(122)과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단면이 상기 진동흡수 부재가 형성된 중간층(122)에 결합되고, 상단면에 자전거의 뒷축이 결합되는 상부층(123); 및
    상기 제1 레일부(11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층(121)과 중간층(122) 사이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레일부(124) 및 제3 레일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복수개가 상기 전방부 모듈(110)과 후방부 모듈(12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막대구조의 연결봉(131); 및
    상기 연결봉(131)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전방부 모듈(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부 모듈(1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체(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132)는
    가로방향으로 상기 연결봉(131)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132a);
    세로방향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전방부 모듈(110) 또는 후방부 모듈(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결합홀(132b); 및
    상기 결합홀(132b)에 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전방부 모듈(110) 또는 후방부 모듈(120)에 결합될 때 상기 연결봉(131)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개부(13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KR1020210162734A 2021-11-23 2021-11-23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KR20230075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734A KR20230075986A (ko) 2021-11-23 2021-11-23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734A KR20230075986A (ko) 2021-11-23 2021-11-23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986A true KR20230075986A (ko) 2023-05-31

Family

ID=8654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734A KR20230075986A (ko) 2021-11-23 2021-11-23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9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647B1 (ko) 2016-03-03 2017-07-14 조민수 스마트 사이클링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647B1 (ko) 2016-03-03 2017-07-14 조민수 스마트 사이클링 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134B2 (en) Toy vehicle convertible between two use configurations
US9327163B2 (en) Swingable exercise bike
US7670230B2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balance training apparatus
TW504395B (en) An exercise treadmill
US11033775B2 (en) Swingable exercise bicycle mechanism
KR100859413B1 (ko) 스케이트 보드
US3591173A (en) Head stand support
WO2009091136A2 (en) Tricycle kick board
TW201321044A (zh) 跑步機之跑步板
US20090189419A1 (en) Folding Chair
US20140148312A1 (en) Swing exerciser
US20100320717A1 (en) Tricycle with driving units
CN111001139A (zh) 一种用于健美操的训练装置
KR20230075986A (ko) 스마트 모빌리티용 실내 자전거 시뮬레이터 및 거치대 모듈
EP1609509A1 (en) Modular foam implement
KR20080004092A (ko) 스케이트보드
US10039384B1 (en) Anti-noise spring chair
US11413493B2 (en) Treadmill having auxiliary cushioning
JPH07231831A (ja) ダンボール製ソファー
TWM539361U (zh) 健身車的桌子接合構造
KR101640575B1 (ko) 평행봉 운동기구
US8235397B2 (en) Exercise bicycle with an eccentric wheel
EP2417010A1 (en) Foot propelled vehicle
CN110733594A (zh) 具有减震功能的儿童滑板车
CN209392708U (zh) 一种可适应重心防倾倒的儿童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