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907A -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 Google Patents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907A
KR20230075907A KR1020210162572A KR20210162572A KR20230075907A KR 20230075907 A KR20230075907 A KR 20230075907A KR 1020210162572 A KR1020210162572 A KR 1020210162572A KR 20210162572 A KR20210162572 A KR 20210162572A KR 20230075907 A KR20230075907 A KR 2023007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bolt
holding member
elbow
handl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설
유호승
진배동
Original Assignee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비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907A/ko
Priority to PCT/KR2021/017463 priority patent/WO2023095946A1/ko
Publication of KR2023007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일단부에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일단절곡부를 형성하는 파지부재; 및 상기 일단절곡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단절곡부의 단부를 상기 설치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 구조물을 벽면 등의 설치면에 다양한 형태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HANDLE STRUCTURE WITH VARIABLE SHAPE}
본 발명은 벽면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노인과 같은 노약자분들은 집안 내의 공간 등에서 보호자의 도움없이 혼자서 거동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노인과 같은 노약자분들은 집안 내에 배치된 가구 등의 구조물들을 잡으면서 거동하게 되는데, 가구 등은 애초에 거동을 보조하기 위한 파지수단이 아니므로 노약자분들이 가구 등의 구조물을 잡으면서 거동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집안 내의 벽면에 노약자분들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노약자분들의 거동을 보조할 수 있는 손잡이 구조물의 설치가 필요하며, 특히 집안 내의 공간은 다양한 구조를 가지므로, 집안 내의 공간에 다양한 형태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손잡이 구조물에 대한 고안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6260호 (2019.09.23.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벽면 등의 설치면에 다양한 형태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일단부에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일단절곡부를 형성하는 파지부재; 및 상기 일단절곡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단절곡부의 단부를 상기 설치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소정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의 내측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는, 타단부에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타단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타단절곡부는, 단부가 상기 설치면에 맞닿아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엘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엘보부재는,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제1분기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2분기부를 형성하는 엘보본체; 일단부가 상기 제1분기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분기부와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1엘보조인트;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분기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분기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2엘보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엘보부재는,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부가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체에 회전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분기부를 형성하는 엘보본체; 일단부가 상기 분기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분기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엘보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 구조물을 벽면 등의 설치면에 다양한 형태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이 설치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파지부재와 결합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에 구비되는 고정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파지부재 및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도 2의 A-A'에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파지부재와 결합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에 구비되는 고정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고정블럭과 커버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파지부재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도 5의 B-B'에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에 구비되는 엘보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엘보부재 부분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에 구비되는 엘보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 엘보부재 부분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의 엘보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면(2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일단부에 설치면(20) 방향으로 구부러진 일단절곡부(110)를 형성하는 파지부재(100); 및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구비되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를 설치면(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0a, 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벽면 등의 설치면(20)에 설치되어 노인 등과 같은 사용자가 거동시 또는 운동시 등의 상황에서 파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구조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은 기본 구성으로서 일단부가 설치면(20)에 결합하는 파지부재(100) 및 파지부재(100)의 일단부를 설치면(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하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의 구조 형태에 따라 제1실시예(10-1), 제2실시예(10-2) 및 제3실시예(10-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의 각 실시예(10-1, 10-2, 10-3)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파지부재(100) 및 결합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1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면(2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일단부에 설치면(20) 방향으로 구부러진 일단절곡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재(100)는 일정한 길이 및 직경을 가지면서, 내부에 중공홀(105)을 형성하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재(100)의 일단부에는 설치면(20) 방향으로 구부러진 일단절곡부(110)가 형성되며, 일단절곡부(1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져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가 설치면(20)에 결합되었을 때, 파지부재(200)는 설치면(20)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이때 파지부재(100)는 설치면(2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는 후술하는 결합부재(200a, 200b)에 구비되는 고정볼트(250a, 250b)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관통홀(11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파지부재(100)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소정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의 내측절곡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절곡부(130)는 예컨대 설치면(20)의 상부 방향, 하부 방향,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 등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도 2 및 도 5에는 설치면(20)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파지부재(100)의 내측에 좌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내측절곡부(130)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파지부재(100)는 내측절곡부(130)가 구부러진 방향 내지 내측절곡부(130)의 형성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구조물의 각 실시예(10-1, 10-2, 10-3)에 따라 설치면(20) 방향으로 구부러진 타단절곡부(150)가 형성되거나(도 9), 제1고정볼트(440a)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관통홀(160)이 형성되거나(도 11), 내부 중공홀(105)에 연결체(410b)의 나사결합부(411b)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170)이 형성될 수 있다(도 17).
이어서, 결합부재(200a, 200b)는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구비되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를 설치면(20)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때, 결합부재(200a, 200b)는 후술하는 커버부재(300)을 설치면(20)에 배치시키는 기능의 수행 여부에 따라 제1실시예(200a) 및 제2실시예(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00a)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00a)는 일단부는 파지부재(100)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설치면(20)에 결합하는 고정블럭(210a)과, 고정블럭(210a)의 타단부를 설치면(20)에 결합시키는 고정피스(230a)와, 고정블럭(210a)의 일단부를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50a)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210a)은 일단부에 일단절곡부(110) 단부(111)의 중공홀(105)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211a)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삽입돌출부(211a)의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플랜지부(213a)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돌출부(211a)는 일단절곡부(110) 단부(111)의 중공홀(105)에 삽입되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결합한다.
이때, 삽입돌출부(211a)에는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고정볼트(250a)의 단부를 삽입하는 볼트삽입홈(211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삽입돌출부(211a)가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볼트삽입홈(211a-1)은 삽입돌출부(211a)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13a)는 고정블럭(210a)의 타단부에서 삽입돌출부(211a)의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삽입돌출부(211a)를 중공홀(105)에 삽입하였을 때 플랜지부(213a)가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접촉하여 고정블럭(210a)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고정블럭(210a)은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피스(230a)를 관통 삽입시키는 피스삽입홀(215a)를 관통 형성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삽입홀(215a)은 일단부의 직경보다 타단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일단부에서 고정피스(230a)를 관통 삽입시켰을 때 고정피스(230a)의 머리 부분이 단차진 부분에 걸려, 고정피스(230a)가 피스삽입홀(215a)의 타단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고정피스(230a)는 일예로 머리 부분과 나사산 부분으로 이루어진 나사 부재로 구비되어 고정블럭(210a)의 타단부를 설치면(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피스(230a)는 고정블럭(210a)의 피스삽입홀(215a)에 삽입되면, 머리 부분이 피스삽입홀(215a)의 단차진 부분에 걸리면서 나사산 부분이 설치면(20)에 박혀 결합함으로써 고정블럭(210a)의 타단부를 설치면(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고정볼트(250a)는 일예로 머리 부분이 없는 무두볼트 부재로 구비되어 고정블럭(210a)의 삽입돌출부(211a)가 일단절곡부(110) 단부(111)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돌출부(211a)를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는 고정볼트(250a)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관통홀(111-1)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돌출부(211a)에는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고정볼트(250a)의 단부를 삽입하는 볼트삽입홈(211a-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관통홀(111-1)과 볼트삽입홈(211a-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250a)가 볼트관통홀(111-1)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볼트(250a)의 단부가 볼트삽입홈(211a-1)에 삽입되어 고정블럭(210a)을 일단절곡부(110)의 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블럭(210a)의 삽입돌출부(211a)가 일단절곡부(110) 단부(111)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250a)가 고정볼트(250a)가 볼트관통홀(111-1)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볼트(250a)의 단부가 볼트삽입홈(211a-1)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블럭(210a)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도 1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00b)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200b)는 일단부는 파지부재(100)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설치면(20)에 결합하는 고정블럭(210b)과, 고정블럭(210b)의 타단부를 설치면(20)에 결합시키는 고정피스(230b)와, 고정블럭(210b)의 일단부를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50b)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210b)은 일단부에 일단절곡부(110) 단부(111)의 중공홀(105)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211b)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삽입돌출부(211b)의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플랜지부(213b)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돌출부(211b)는 일단절곡부(110) 단부(111)의 중공홀(105)에 삽입되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결합한다.
이때, 삽입돌출부(211b)에는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고정볼트(250b)의 단부를 삽입하는 볼트삽입홈(211b-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삽입돌출부(211b)가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볼트삽입홈(211b-1)은 삽입돌출부(211b)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13b)는 고정블럭(210b)의 타단부에서 삽입돌출부(211b)의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삽입돌출부(211b)를 중공홀(105)에 삽입하였을 때 플랜지부(213b)가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접촉하여 고정블럭(210b)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플랜지부(213b) 상에는 고정피스(230b)를 관통 삽입시키는 피스삽입홀(213b-1)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피스삽입홀(213b-1)은 일단부의 직경보다 타단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일단부에서 고정피스(230b)를 관통 삽입시켰을 때 고정피스(230b)의 머리 부분이 단차진 부분에 걸려, 고정피스(230b)가 피스삽입홀(213b-1)의 타단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플랜지부(213b) 상에는 후술하는 커버부재(300)의 끼움돌기(330)를 관통 삽입시키는 돌기삽입홀(213b-2)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돌기삽입홀(213b-2)은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일단부에서 끼움돌기(330)를 관통 삽입시켰을 때 끼움돌기(330)의 머리 부분이 단차진 부분에 걸려, 끼움돌기(330)가 돌기삽입홀(213b-2)의 일단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고정피스(230b)는 일예로 머리 부분과 나사산 부분으로 이루어진 나사 부재로 구비되어 고정블럭(210b)의 타단부를 설치면(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피스(230b)는 고정블럭(210b)의 피스삽입홀(213b-1)에 삽입되면, 머리 부분이 피스삽입홀(213b-1)의 단차진 부분에 걸리면서 나사산 부분이 설치면(20)에 박혀 결합함으로써 고정블럭(210b)의 타단부를 설치면(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고정볼트(250b)는 일예로 머리 부분이 없는 무두볼트 부재로 구비되어 고정블럭(210b)의 삽입돌출부(211b)가 일단절곡부(110) 단부(111)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돌출부(211b)를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는 고정볼트(250b)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관통홀(111-1)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돌출부(211b)에는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고정볼트(250a)의 단부를 삽입하는 볼트삽입홈(211b-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관통홀(111-1)과 볼트삽입홈(211b-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250b)가 볼트관통홀(111-1)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볼트(250b)의 단부가 볼트삽입홈(211b-1)에 삽입되어 고정블럭(210b)을 일단절곡부(110)의 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블럭(210b)의 삽입돌출부(211b)가 일단절곡부(110) 단부(111)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250b)가 고정볼트(250b)가 볼트관통홀(111-1)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볼트(250b)의 단부가 볼트삽입홈(211b-1)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블럭(210b)이 일단절곡부(110)의 단부(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은, 결합부재(200b)에 결합하여 설치면(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커버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00b)는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구비되거나, 발광 LED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0)는 일예로 판상형으로 형성된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 고정블럭(210b)의 삽입돌출부(211b)를 관통 삽입시키는 돌출부삽입홀(310)과, 고정블럭(210b)의 플랜지부(213b)에 형성된 돌기삽입홀(213b-2)에 끼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330)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돌출부삽입홀(310)에 고정블럭(210b)의 삽입돌출부(211b)를 관통 삽입시키면서, 끼움돌기(330)를 고정블럭(210b)의 플랜지부(213b)에 형성된 돌기삽입홀(213b-2)에 끼움 삽입하여 결합부재(200b)의 고정블럭(210b)에 결합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330)는 일단부 보다 타단부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극을 갖도록 절개되어 외력에 의해 머리 부분의 크기가 탄성적으로 작아지도록 구비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13b) 상에 형성된 돌기삽입홀(213b-2)은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움돌기(330)를 돌기삽입홀(213b-2)의 일단부에서 관통 삽입시킬 때, 끼움돌기(330)의 머리 부분의 크기가 작아졌다가 삽입 완료 후 머리 부분의 크기가 다시 커지면서 단차진 부분에 걸려 끼움돌기(330)가 돌기삽입홀(213b-2)의 일단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의 각 실시예(10-1, 10-2, 10-3)에 공통 적용되는 파지부재(100) 및 결합부재(200)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의 구조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의 각 실시예(10-1, 10-2, 10-3)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설치면(20) 방향으로 구부러진 타단절곡부(150)를 형성하고, 타단절곡부(150)는 단부(151)가 설치면(20)에 맞닿아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타단절곡부(150)의 단부(151)는 전술한 결합부재(200a, 200b)에 의해 설치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1)은 설치면(20)에 결합하는 하나의 파지부재(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2, 10-3)은, 도 10 및 도 1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지부재(100)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엘보부재(400a, 4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2, 10-3)은 설치면(20)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파지부재들(100, 100', 1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파지부재들(100, 100', 100")은 엘보부재(400a, 400b)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2)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제1분기부(411a)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2분기부(413a)를 형성하는 엘보본체(410a); 일단부가 제1분기부(411a)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제1분기부(411a)와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1엘보조인트(430a); 및 일단부가 제2분기부(413a)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제2분기부(413a)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2엘보조인트(450a);를 포함하는 엘보부재(400a)를 구비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본체(410a)는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제1분기부(411a)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2분기부(413a)를 형성한다.
제1분기부(411a)는 내부에 제1엘보조인트(430a)의 엘보결합부(431a)가 삽입되는 제1분기홀(411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분기홀(411a-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엘보결합부(431a)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2분기부(413a)는 내부에 제2엘보조인트(450a)의 엘보결합부(451a)가 삽입되는 제2분기홀(413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분기홀(413a-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엘보결합부(451a)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엘보본체(410a)는 제2분기부(413a)의 형성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 제1분기부(411a) 및 3개의 제2분기부(413a)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십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제1엘보조인트(430a)는 일단부가 제1분기부(411a)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제1분기부(411a)와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엘보조인트(430a)는 일단부에 제1분기부(411a)의 제1분기홀(411a-1)에 결합하는 엘보결합부(431a)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433a)를 형성할 수 있다.
엘보결합부(431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제1분기홀(411a-1)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삽입돌출부(433a)에는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제1고정볼트(440a)의 단부를 삽입하는 볼트삽입홈(433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삽입돌출부(433a)가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볼트삽입홈(433a-1)은 삽입돌출부(433a)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볼트(440a)는 일예로 머리 부분이 없는 무두볼트 부재로 구비되어 제1엘보조인트(430a)의 삽입돌출부(433a)가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돌출부(433a)를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는 제1고정볼트(440a)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관통홀(16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관통홀(160)과 볼트삽입홈(433a-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제1고정볼트(440a)가 볼트관통홀(16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제1고정볼트(440a)의 단부가 볼트삽입홈(433a-1)에 삽입되어 제1엘보조인트(430a)를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엘보조인트(430a)의 삽입돌출부(433a)가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고정볼트(440a)가 볼트관통홀(16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제1고정볼트(440a)의 단부가 볼트삽입홈(433a-1)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엘보조인트(430a)가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제2엘보조인트(450a)는 일단부가 제2분기부(413a)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제2분기부(413a)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엘보조인트(450a)는 일단부에 제2분기부(413a)의 제2분기홀(413a-1)에 결합하는 엘보결합부(451a)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453a)를 형성할 수 있다.
엘보결합부(451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제2분기홀(413a-1)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삽입돌출부(453a)에는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제2고정볼트(460a)의 단부를 삽입하는 볼트삽입홈(453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삽입돌출부(453a)가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볼트삽입홈(453a-1)은 삽입돌출부(453a)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볼트(460a)는 일예로 머리 부분이 없는 무두볼트 부재로 구비되어 제2엘보조인트(450a)의 삽입돌출부(453a)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돌출부(453a)를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는 제2고정볼트(460a)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관통홀(16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관통홀(160')과 볼트삽입홈(453a-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제2고정볼트(460a)가 볼트관통홀(16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제2고정볼트(460a)의 단부가 볼트삽입홈(453a-1)에 삽입되어 제2엘보조인트(450a)를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엘보조인트(450a)의 삽입돌출부(453a)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고정볼트(460a)가 볼트관통홀(16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제2고정볼트(460a)의 단부가 볼트삽입홈(453a-1)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엘보조인트(450a)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2)은, 복수개의 파지부재들(100, 100')을 서로 연결하는 엘보부재(400a)를 포함하여, 엘보부재(400a)에 의한 복수개의 파지부재들(100, 100')의 연결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2)은,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부가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연결체(410b); 연결체(410b)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연결체(410b)에 회전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분기부(433b)를 형성하는 엘보본체(430b); 일단부가 분기부(433b)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분기부(433b)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엘보조인트(450b);를 포함하는 엘보부재(400b)를 구비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410b)는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부가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410b)의 일단부에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나사결합부(411b)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는 나사산(170)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410b)의 나사결합부(411b)는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형성된 나사산(170)에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체(410b)의 타단부에는 또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볼트결합부(413b)가 형성된다.
볼트결합부(413b)에는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고정볼트(420b)의 단부를 삽입하는 볼트삽입홈(413b-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볼트결합부(413b)가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볼트삽입홈(413b-1)은 볼트결합부(413b)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420b)는 일예로 머리 부분이 없는 무두볼트 부재로 구비되어 연결체(410b)의 볼트결합부(413b)가 또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결합부(413b)를 또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또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는 고정볼트(420b)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관통홀(16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관통홀(160")과 볼트삽입홈(413b-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420b)가 볼트관통홀(16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볼트(420b)의 단부가 볼트삽입홈(413b-1)에 삽입되어 볼트결합부(413b)를 또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체(410b)의 볼트결합부(413b)가 또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20b)가 볼트관통홀(16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볼트(420b)의 단부가 볼트삽입홈(413b-1)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볼트결합부(413b)가 또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본체(430b)는 연결체(410b)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연결체(410b)에 회전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분기부(433b)를 형성한다.
엘보본체(430b)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관통홀(431b)을 관통 형성하고, 삽입관통홀(431b)에 연결체(410b)를 관통 삽입시킴으로써 연결체(410b)의 외주면에 회전 결합한다.
이때, 삽입관통홀(431b)의 양 단부에는 링 형상의 부시(bush)(440b)가 일종의 베어링 부재로서 결합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본체(430b)는 삽입관통홀(431b)의 양 단부에 부시(440b)가 결합한 상태에서, 삽입관통홀(431b)에 연결체(410b)를 관통 삽입시킴으로써 연결체(410b)의 외주면에 회전 결합한다.
연결체(410b)의 외주면에 회전 결합한 엘보본체(430b)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410b)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엘보본체(430b)의 측면 부분에는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분기부(433b)가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부(433b)는 내부에 엘보조인트(450b)의 엘보결합부(451b)가 삽입되는 분기홀(433b-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기홀(433b-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엘보조인트(450b)의 엘보결합부(451b)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조인트(450b)는 일단부가 분기부(433b)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분기부(433b)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조인트(450b)는 일단부에 분기부(433b)의 분기홀(433b-1)에 결합하는 엘보결합부(451b)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453b)를 형성할 수 있다.
엘보결합부(451b)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분기홀(433b-1)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삽입돌출부(453b)에는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고정볼트(460b)의 단부를 삽입하는 볼트삽입홈(453b-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삽입돌출부(453b)가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볼트삽입홈(453b-1)은 삽입돌출부(453b)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460b)는 일예로 머리 부분이 없는 무두볼트 부재로 구비되어 엘보조인트(450b)의 삽입돌출부(453b)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돌출부(453b)를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의 타단부에는 고정볼트(460b)가 관통 삽입되는 볼트관통홀(16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관통홀(160')과 볼트삽입홈(453b-1)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볼트(460b)가 볼트관통홀(16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볼트(460b)의 단부가 볼트삽입홈(453b-1)에 삽입되어 엘보조인트(450b)를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보조인트(450b)의 삽입돌출부(453b)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의 중공홀(105')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60b)가 볼트관통홀(160')을 관통하여 삽입되면서 고정볼트(460b)의 단부가 볼트삽입홈(453b-1)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보조인트(450b)가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100') 타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체(410b) 상에는 복수개의 엘보부재들(400b, 400b')이 회전 결합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엘보부재em들(400b, 400b') 사이에는 중공형의 중간부재(470b)가 연결체(410b)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구조물(10-3)은, 복수개의 파지부재들(100, 100', 100")을 서로 연결하는 엘보부재(400b)를 포함하여, 엘보부재(400b)에 의한 복수개의 파지부재들(100, 100', 100")의 연결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 구조물을 벽면 등의 설치면에 다양한 형태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1. 10-2, 10-3 : 손잡이 구조물
20 : 설치면
100, 100', 100" : 파지부재
200a, 200b : 결합부재
300 : 커버부재
400a ,400b : 엘보부재

Claims (6)

  1.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설치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일단부에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일단절곡부를 형성하는 파지부재; 및
    상기 일단절곡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일단절곡부의 단부를 상기 설치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소정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하나 이상의 내측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타단부에 상기 설치면 방향으로 구부러진 타단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타단절곡부는,
    단부가 상기 설치면에 맞닿아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엘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부재는,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제1분기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제2분기부를 형성하는 엘보본체;
    일단부가 상기 제1분기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분기부와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1엘보조인트; 및
    일단부가 상기 제2분기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2분기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2엘보조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부재는,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부가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를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체에 회전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분기부를 형성하는 엘보본체;
    일단부가 상기 분기부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분기부와 다른 하나의 상기 파지부재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엘보조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KR1020210162572A 2021-11-23 2021-11-23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KR20230075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572A KR20230075907A (ko) 2021-11-23 2021-11-23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PCT/KR2021/017463 WO2023095946A1 (ko) 2021-11-23 2021-11-25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572A KR20230075907A (ko) 2021-11-23 2021-11-23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907A true KR20230075907A (ko) 2023-05-31

Family

ID=8653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572A KR20230075907A (ko) 2021-11-23 2021-11-23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5907A (ko)
WO (1) WO202309594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260B1 (ko) 2019-04-22 2019-11-26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시공성 및 보수 편의성이 향상된 난간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114A (ja) * 2003-10-10 2005-04-28 Sekisui Chem Co Ltd 補助手摺
JP4785792B2 (ja) * 2007-06-07 2011-10-05 大建工業株式会社 手摺り用接続部材及び手摺りの接続構造
KR100966268B1 (ko) * 2009-01-21 2010-06-28 이상윤 벽체 고정용 파이프 핸들의 제조방법
KR20120005636U (ko) * 2011-01-28 2012-08-07 이재춘 장애인용 양변기 손잡이 조립체
KR20150081215A (ko) * 2014-01-03 2015-07-13 최병현 장애인용 보조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260B1 (ko) 2019-04-22 2019-11-26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시공성 및 보수 편의성이 향상된 난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5946A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101B2 (en) Handle of a glass door
US5219449A (en) Pipe connector
US20020118536A1 (en) Structure multi-cut type lamp pipe connector componentry
US6334733B1 (en) Pipe connector
KR20230075907A (ko) 가변적 형상을 갖는 손잡이 구조물
US4915532A (en) Connector for 3-dimensional frame structures
US6811346B2 (en) Rod assembly
US4984407A (en) Framework
KR20030073767A (ko)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부재
KR101978630B1 (ko) 사무가구용 체결장치
KR100931627B1 (ko) 테이퍼형 강관전주
KR20040025274A (ko) 철근 이음장치
CN216450533U (zh) 一种穿墙式开关盒
KR101637991B1 (ko) 배선 파이프용 고정부재
KR200377753Y1 (ko) 프레임 연결구조
US20230006370A1 (en)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KR102011332B1 (ko) 욕실용 수건걸이
KR200455866Y1 (ko) 조립구를 구비한 수건 걸이대
KR100633526B1 (ko) 프레임 연결구조
KR960001298Y1 (ko) 조명기구 취부장치
KR20230114070A (ko) 고추지지대
KR200188581Y1 (ko) 패널조립용 고정기구
US20050186025A1 (en) Tube conjoinment structure
KR20020082723A (ko) 벽체용 안전손잡이
JPH07145879A (ja) 型枠への貫通スリーブ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