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711A -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711A
KR20230075711A KR1020210162172A KR20210162172A KR20230075711A KR 20230075711 A KR20230075711 A KR 20230075711A KR 1020210162172 A KR1020210162172 A KR 1020210162172A KR 20210162172 A KR20210162172 A KR 20210162172A KR 20230075711 A KR20230075711 A KR 2023007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hannel
mar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195B1 (ko
Inventor
박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엘아이
Priority to KR102021016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1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6Passive matrix structure, i.e. with direct application of both column and row voltages to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ther than LCD or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가 게시된다.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행들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 복수개의 열들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 및 상기 복수개의 행들과 복수개의 열들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상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을 포함하는 발광 어레이로서,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스캔 라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스캔되고,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의 구동 전류값에 따른 발광 세기로 발광되는 상기 발광 어레이; 및 직렬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을 각자의 라인 구동 구간에 따라 순서적으로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되는 스캔 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 각각의 영상 데이터에 따른 상기 구동 전류값으로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을 드라이빙하는 LED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이 순서적으로 활성화되며, LED 발광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가 구동 전류값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외부 입력 클락의 수가 최소화된다.

Description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LED DISPLAY DEVICE FOR MINIMIZING THE NUMBER OF EXTERNAL INPUT CLOCK}
본 발명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형태의 정보(예를 들어, 뉴스, 광고, 스포츠 중계 및/또는 교통 정보 등)를 제공하기 위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어레이 및 LED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발광 어레이에는,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과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는 LED 발광 픽셀들이 포함되며, LED 드라이버는 상기 LED 발광 픽셀들을 자신의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구동 전류값에 따른 발광 세기로 발광시킨다. 그리고, LED 발광 픽셀들 각각의 영상 데이터가 외부 시스템으로 직렬로 제공된다.
그런데, 기존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은 스캔 기준 클락에 따라 순서적으로 활성화되며, LED 발광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는 소정의 채널 기준 클락에 따라 구동 전류값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캔 기준 클락과 채널 기준 클락은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배선외에도, 상기 스캔 기준 클락과 채널 기준 클락을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배선들이 별도로 구비된다.
그 결과, 기존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입력 클락의 수가 증가되어, 제조 비용의 증가, 배선의 복잡성의 증가,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의 발생 가능성의 증가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행들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 복수개의 열들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 및 상기 복수개의 행들과 복수개의 열들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상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을 포함하는 발광 어레이로서,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스캔 라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스캔되고,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의 구동 전류값에 따른 발광 세기로 발광되는 상기 발광 어레이; 및 직렬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을 각자의 라인 구동 구간에 따라 순서적으로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되는 스캔 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 각각의 영상 데이터에 따른 상기 구동 전류값으로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을 드라이빙하는 LED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이 순서적으로 활성화되며, LED 발광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가 구동 전류값으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외부 입력 클락의 수가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LED 발광 픽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클락-데이터 복원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주요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4의 라인 구동 구간을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스캔 구동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채널 구동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와 함께 < >속에 참조부호가 추가된다. 이때, 이들 구성요소들은 참조부호로 통칭한다. 그리고, 이들을 개별적인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참조부호 뒤에 '< >'가 추가된다.
본 발명의 내용을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에 대한 복수의 표현도 생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진 구성일지라도 '신호선들'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고, '신호선'과 같이 단수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는 신호선이 동일한 속성을 가지는 여러 신호선들, 예컨대 데이터 신호들과 같이 다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이를 굳이 단수와 복수로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이러한 기재는 타당하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표현들 역시 명세서 전반에 걸쳐 모두 이와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어레이(100) 및 LED 드라이버(200)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 어레이(100)는 복수개의 스캔 라인(SL)들, 복수개의 채널 라인(CL)들 및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PIX)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SL)들은 복수개의 행들에 대응하여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4개의 스캔 라인(SL<1> 내지 SL<4>)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하지만, 이는 단지 설명의 간략화를 위한 것이며, 2개 이상의 스캔 라인(SL)들이 배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다.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CL)들은 복수개의 열들에 대응하여 배열된다. 도 1에서는, n(여기서, n은 자연수 임)개의 채널 라인(CL<1> 내지 CL<n>)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PIX)들은 상기 복수개의 행들과 복수개의 열들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상에 배열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PIX)들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스캔 라인(SL)의 "L"로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스캔되어 대응하는 상기 채널 라인(CL)의 구동 전류값에 따른 발광 세기로 발광된다.
도 2는 도 1의 LED 발광 픽셀(PIX)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일예에 따르면, 상기 LED 발광 픽셀(PIX)은 Red의 빛으로 발광되는 R-발광 소자(RLED), Green의 빛으로 발광되는 G-발광 소자(GLED), blue의 빛으로 발광되는 B-발광 소자(BLED) 등 3개 이상의 발광 소자들이 캐소오드(cathode)가 공통으로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캔 라인(SL<1> 내지 SL<4>) 각각은 하나의 LED 발광 픽셀(PIX)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의 갯수에 상응하는 갯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도 2의 예에서는, 상기 스캔 라인(SL<1> 내지 SL<4>) 각각은 3개의 스캔 라인들(SLr, SLg, SLb)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캔 라인(SLr, SLg, SLb)이 "L"로 활성화될 때, 대응하는 발광 소자(RLED, GLED, BLED)의 애노드(anode)에는 대응하는 각자의 전원 전압(VDDr, VDDg, VDDb)이 제공되며, 대응하는 발광 소자(RLED, GLED, BLED)가 고유의 빛으로 발광된다.
또한, LED 발광 픽셀(PIX)은 Red의 빛으로 발광되는 R-발광 소자(RLED), Green의 빛으로 발광되는 G-발광 소자(GLED), blue의 빛으로 발광되는 B-발광 소자(BLED) 등 3개 이상의 발광 소자들이 애노드(anode)가 공통으로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채널 라인(CL<1> 내지 CL<n>) 각각은 하나의 LED 발광 픽셀(PIX)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의 갯수에 상응하는 갯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PIX)들 각각은 1개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기술된다.
계속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LED 드라이버(200)는 직렬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PIX)들의 영상 데이터(VDAT)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SL)들을 각자의 라인 구동 구간(도 4 및 도 5의 PLD 참조)에 따라 순서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또한, 상기 LED 드라이버(200)는 활성화되는 스캔 라인(SL)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PIX)들 각각의 영상 데이터(VDAT)에 따른 구동 전류값으로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CL)들을 드라이빙한다.
이에 따라, 상기 LED 발광 픽셀(PIX)들은 각자의 구동 전류값 즉, 영상 데이터(VDAT)에 따른 발광 세기로 발광된다.
상기 LED 드라이버(200)는 구체적으로 클락-데이터 복원기(210), 데이터 계산기(230), 스캔 제어기(250),스캔 구동기(270) 및 채널 구동기(290)를 구비한다.
상기 클락-데이터 복원기(210)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VDAT)들을 이용하여 글로벌 클락 신호(GCLK)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VDAT)들 각각을 복수개의 복원 데이터(RDAT)들로 복원하여 발생한다.
도 3은 도 1의 클락-데이터 복원기(21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락-데이터 복원기(210)는 데이터 샘플링부(211), 위상 비교부(213), 주기 제어부(215) 및 오실레이팅부(217)를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샘플링부(211)는 수신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VDAT)들을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에 동기하여 상기 복수개의 복원 데이터(RDAT)들로 샘플링한다.
상기 데이터 샘플링부(211)는 더욱 구체적으로 샘플링 유닛(211a), 싱크 검출 유닛(211b) 및 락킹 결정 유닛(211c)를 구비한다.
상기 샘플링 유닛(211a)은 직렬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VDAT)를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와 동기하여 복원 데이터(RDAT)로 샘플링할 수 있다.
상기 싱크 검출 유닛(211b)은 상기 복원 데이터(RDAT)와 상기 오실레이팅부(217)에서 제공되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를 비교하여 싱크 확인 신호(XSYN)를 생성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싱크 검출 유닛(211b)은 상기 샘플링 유닛(211a)에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VDAT)의 위상 및 주파수와 일치하는 위상 및 주파수를 가지는 글로벌 클락 신호(GCLK)가 생성되었는지 여부가 검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기화가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상기 락킹 결정 유닛(211c)은 수신되는 상기 복원 데이터(RDAT)에 대한 클록의 위상 및 주파수가 일치하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가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계속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위상 비교부(213)는 수신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VDAT)들과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의 위상을 비교하는 비교 신호(XCOMP)를 발생한다.
상기 주기 제어부(215)는 주기 제어 신호(XTCON)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주기 제어 신호(XTCON)는 상기 비교 신호(XTCON)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압 레벨을 가진다.
상기 오실레이팅부(217)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의 주기는 상기 주기 제어 신호(XTCON)의 전압 레벨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3과 같은 상기 클락-데이터 복원기(210)에 의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VDAT)의 패턴에 상응하는 주기를 가지는 글로벌 클락 신호(GCLK)가 생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VDAT)들 각각은 복수개의 복원 데이터(RDAT)들로 복원된다. 이때, 글로벌 클락 신호(GCLK)는 연속적인 클락으로 발생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계산기(230)는 상기 클락-데이터 복원기(2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 및 상기 복수개의 복원 데이터(RDAT)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계산기(230)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의 클락을 이용하여 상기 라인 구동 구간(도 4 및 도 5의 PLD 참조) 마다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CL<1> 내지 CL<n>)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들(XCCON<1> 내지 XCCON<n>)과 마진 확인 신호(XMG)를 발생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라인 구동 구간(PLD) 및 이와 관련되는 시간 구간이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상기 라인 구동 구간(PLD)은 하나의 스캔 라인(SL)이 활성화되며, 활성화되는 스캔 라인(SL)에 대응하는 LED 발광 픽셀(PIX)들의 발광에 소요되는 시간 구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위 섹터(U_SEC)는 상기 LED 발광 픽셀(PIX)들 각각에서 하나의 발광 소자가 발광되는 시간 구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어레이(100)에 4개의 스캔 라인(SL)이 배열되므로, 하나의 단위 섹터(U_SEC)는 4개의 라인 구동 구간(PLD<1> 내지 PLD<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LED 발광 픽셀(PIX)들의 발광 소자들 전체가 발광되어 하나의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시간 구간은 '단위 프레임 구간'으로 불릴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LED 발광 픽셀(PIX)이 1개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하나의 프레임 구간은 1개의 단위 섹터(U_SEC)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나의 LED 발광 픽셀(PIX)이 3개의 발광 소자(RLED, GLED, BLED)로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하나의 프레임 구간은 3개의 단위 섹터(U_SEC)들로 이루어진다.
계속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 계산기(230)에서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들(XCCON<1> 내지 XCCON<n>)과 마진 확인 신호(XMG)가 발생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는 상기 클락-데이터 복원기(210)로부터 제공되되며, 연속적인 클락으로 발생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데이터 계산기(230)에서는 미리 셋팅된 값에 의하여, 상기 라인 구동 구간(PLD)들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라인 구동 구간(PLD)들 각각은 미리 셋팅된 값에 의한 계산 간격(PCA)과 마진 간격(TMG)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계산 간격(PCA)은 상기 LED 발광 픽셀(PIX)들의 상기 발광 세기의 뎁스(depth)에 상응하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의 클락수에 상응하는 시간 구간이다.
예로서, 상기 LED 발광 픽셀(PIX)들 각각의 복원 데이터(RDAT)(즉, 영상 데이터(VDAT))가 9 비트(bit)로 구성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LED 발광 픽셀(PIX)들의 상기 발광 세기의 뎁스(depth)는 '512'이다.
이 경우, 상기 계산 간격(PCA)은 '512' 클락과 헤드(head) 클락 '1'을 포함하여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의 '513' 클락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들(XCCON<1> 내지 XCCON<n>)은 대응하는 상기 복원 데이터(RDAT)의 데이터값에 상응하는 활성화폭을 가진다.(도 5의 case<1> 내지 case<3>) 참조)
만약, 상기 복원 데이터(RDAT)의 데이터값이 최대(max)인 경우, 대응하는 상기 채널 제어 신호(XCCON)의 활성화폭은 상기 계산 간격(PCA)의 전체가 된다.(도 5의 case<3>) 참조)
상기 마진 간격(TMG)은 상기 라인 구동 구간(PLD)에서 상기 계산 간격(PCA)을 제외한 시간 구간이다. 이때, 상기 마진 확인 신호(XMG)는 상기 마진 간격(TMG)에서 "H"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마진 확인 신호(XMG)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들(XCCON<1> 내지 XCCON<n>) 모두가 "L"로 비활성화되는 동안에 "H"로 활성화된다.
그리고, 상기 마진 간격(TMG)은 미리 설정된 선행 마진 타이밍(Tb), 후행 마진 타이밍(Ta)과 상기 활성화 타이밍(Td)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마진 간격(TMG)은 상기 선행 마진 타이밍(Tb), 상기 후행 마진 타이밍(Ta)과 상기 활성화 타이밍(Td)의 시간 길이의 합이다.
이때, 상기 선행 마진 타이밍(Tb), 상기 후행 마진 타이밍(Ta) 및 상기 활성화 타이밍(Td)의 시간 길이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GCLK)의 클락수에 의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계산 구간(PCA)은 자신의 상기 라인 구동 구간(PLD)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선행 마진 타이밍(Tb)이 경과함에 따라 시작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캔 제어기(250)는 상기 마진 확인 신호(XMG)의 이용하여 스캔 제어 신호(XSCON)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스캔 제어 신호(XSCON)는 상기 마진 확인 신호(XMG)의 활성화 동안에 하나의 펄스로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캔 제어 신호(XSCON)는 상기 활성화 타이밍(Td) 동안에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스캔 제어 신호(XSCON)는 상기 계산 간격(PCA)의 종료에 "H"로 활성화되며, 다음번의 상기 라인 구동 구간(PLD)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후행 마진 타이밍(Tb) 전에 "L"로 비활성화된다.
상기 스캔 구동기(270)는 상기 스캔 제어 신호(XSCON)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SL)들을 순서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도 6은 도 1의 스캔 구동기(27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캔 구동기(270)는 스캔 카운터(271) 및 멀티플렉서(273)를 구비한다.
상기 스캔 카운터(271)는 스캔 어드레스(SADD)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스캔 어드레스(SADD)는 상기 스캔 제어 신호(XSCON)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플렉서(273)는 상기 스캔 어드레스(SADD)를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SL<1> 내지 SL<n>) 중의 어느 하나를 "L"로 활성화시킨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채널 구동기(290)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CL)들을 각자의 상기 구동 전류값으로 드라이빙하도록 구동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CL)들 각자의 상기 구동 전류값은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XCCON)들 각각의 활성화폭에 상응한다.
도 7은 도 1의 채널 구동기(29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전류 구동 소자들(291<1> 내지 291<n>)을 드라이빙하는 복수개의 전류 구동 소자들(291<1> 내지 291<n>)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전류 구동 소자들(291<1> 내지 291<n>)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CL<1> 내지 CL<n>)들을 드라이빙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CL)들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채널 제어 신호(XCCON)의 활성화폭에 상응하는 상기 구동 전류값으로 드라이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캔 제어 신호 및 채널 제어 신호들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이 순서적으로 활성화되며, LED 발광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가 구동 전류값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외부 입력 클락의 수가 최소화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행들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 복수개의 열들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 및 상기 복수개의 행들과 복수개의 열들로 구성되는 매트릭스 상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을 포함하는 발광 어레이로서,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스캔 라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스캔되고,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의 구동 전류값에 따른 발광 세기로 발광되는 상기 발광 어레이; 및
    직렬로 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을 각자의 라인 구동 구간에 따라 순서적으로 활성화시키며, 활성화되는 스캔 라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LED 발광 픽셀들 각각의 영상 데이터에 따른 상기 구동 전류값으로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을 드라이빙하는 LED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드라이버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글로벌 클락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들 각각을 복수개의 복원 데이터들로 복원하여 발생하는 클락-데이터 복원기;
    상기 클락-데이터 복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 및 상기 복수개의 복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의 클락을 이용하여 상기 라인 구동 구간 마다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들과 마진 확인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계산기로서,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들은 대응하는 상기 복원 데이터의 데이터값에 상응하는 활성화폭을 가지며, 상기 마진 확인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들 모두가 비활성화되는 동안에 활성화되는 상기 데이터 계산기;
    상기 마진 확인 신호의 이용하여 스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스캔 제어기로서, 상기 스캔 제어 신호는 상기 마진 확인 신호의 활성화 동안에 하나의 펄스로 활성화되는 스캔 제어기;
    상기 스캔 제어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을 순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캔 구동기; 및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 각자의 상기 구동 전류값으로 드라이빙하도록 구동되는 채널 구동기로서,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 각자의 상기 구동 전류값은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제어 신호들 각각의 활성화폭에 상응하는 상기 채널 구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락-데이터 복원기는
    수신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들을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복수개의 복원 데이터들로 샘플링하는 데이터 샘플링부;
    수신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데이터들과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발생하는 위상 비교부;
    주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주기 제어부로서, 상기 주기 제어 신호는 상기 비교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압 레벨을 가지는 상기 주기 제어부; 및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를 발생하는 오실레이팅부로서,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는 상기 주기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에 의하여 제어되는 주기를 가지는 상기 오실레이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구동 구간은
    계산 간격과 마진 간격으로 구성되며,
    상기 계산 간격은
    상기 LED 발광 픽셀들의 상기 발광 세기의 뎁스(depth)에 상응하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의 클락수에 의존되는 시간 구간이며,
    상기 마진 간격은
    상기 라인 구동 구간에서 상기 계산 간격을 제외한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확인 신호는
    상기 마진 간격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제어 신호는
    활성화 타이밍 동안에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활성화 타이밍의 길이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의 클락수에 의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간격은
    선행 마진 타이밍, 후행 마진 타이밍 및 상기 활성화 타이밍으로 구성되며,
    상기 계산 구간은
    자신의 상기 라인 구동 구간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선행 마진 타이밍이 경과함에 따라 시작되며,
    상기 스캔 제어 신호는
    상기 계산 간격의 종료에 따라 활성화되며, 다음번의 상기 라인 구동 구간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상기 후행 마진 타이밍 전에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마진 타이밍 및 상기 후행 마진 타이밍의 시간 길이는
    상기 글로벌 클락 신호의 클락수에 의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구동기는
    스캔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스캔 카운터로서, 상기 스캔 어드레스는 상기 스캔 제어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증가하는 상기 스캔 카운터; 및
    상기 스캔 어드레스를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캔 라인들 중의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구동기는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을 드라이빙하는 복수개의 전류 구동 소자들로서, 상기 복수개의 채널 라인들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채널 제어 신호의 활성화폭에 상응하는 상기 구동 전류값으로 드라이빙되는 상기 복수개의 전류 구동 소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62172A 2021-11-23 2021-11-23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72A KR102589195B1 (ko) 2021-11-23 2021-11-23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72A KR102589195B1 (ko) 2021-11-23 2021-11-23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711A true KR20230075711A (ko) 2023-05-31
KR102589195B1 KR102589195B1 (ko) 2023-10-13

Family

ID=8654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172A KR102589195B1 (ko) 2021-11-23 2021-11-23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1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555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200114142A (ko) * 2019-03-27 2020-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116063A (ko) * 2019-03-28 2020-10-08 매크로블록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구동 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555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200114142A (ko) * 2019-03-27 2020-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116063A (ko) * 2019-03-28 2020-10-08 매크로블록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구동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195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103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10115351B2 (en)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7285923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puls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93410B1 (ko) 전류 센서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070009376A (ko) 표시장치
US200900858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ed dot matrix
US20200161377A1 (en) Display, Circuit Arrangement for a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CN113963649A (zh) 显示装置
CN110428773B (zh) 显示控制方法、电路及其显示面板
KR102589195B1 (ko) 외부 입력 클락의 수를 최소화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9942B1 (ko) 휘도 선형성을 유지하면서 플리커 현상을 저감시키는 pmo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pmoled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0273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d display
KR20220026752A (ko) 전원 공급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6665582A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装置和显示装置
JPS6225790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パネルを異つたライン表示モ−ドで作動する回路
JP4075423B2 (ja) マトリクス型有機el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KR100602066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1307023B1 (ko) 대형 led 전광판용 디밍데이터 생성장치
KR102232870B1 (ko) 터널등 제어 회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232865B1 (ko) 터널등 및 상기 터널등을 제어하기 위한 터널등 컨트롤러
JPH0373371A (ja) 端面発光型elプリンタ
JP2005156960A (ja) 単純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並びに単純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を利用した表示システム
KR100649578B1 (ko) 발광상태측정용 패널구동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0528B1 (ko) 발광 편차를 저감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0943B1 (ko) 변환 마진을 증가시키는 마이크로 led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