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429A - 재생 가능한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가능한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75429A KR20230075429A KR1020237009892A KR20237009892A KR20230075429A KR 20230075429 A KR20230075429 A KR 20230075429A KR 1020237009892 A KR1020237009892 A KR 1020237009892A KR 20237009892 A KR20237009892 A KR 20237009892A KR 20230075429 A KR20230075429 A KR 202300754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itrogen
- catalyst
- zone
- hydrotreating
- pp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06317 iso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0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984 hydro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03294 NiMo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03 rh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808 molecular sie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URGAHOPLAPQHLN-UHFFFAOYSA-N sodium aluminosilicate Chemical compound [Na+].[Al+3].[O-][Si]([O-])=O.[O-][Si]([O-])=O URGAHOPLAPQHL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10 bor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JKWMSGQKBLHBQQ-UHFFFAOYSA-N diboron trioxide Chemical compound O=BOB=O JKWMSGQKBLHBQ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9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8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01868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737 Animal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17464 nitrogen compou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2830 nitr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7 catalytic hydro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Substances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compound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82 Palm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GDTBXPJZTBHREO-UHFFFAOYSA-N bromine Substances BrBr GDTBXPJZTBHR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94 b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722 carb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588 free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40 pal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35 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fatty acid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5842 hetero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01 scrub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24 decarbon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606 decarbon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114 decarbox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356 dehydro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87 fatty acid methyl e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43 intermedi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510 noble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477 organic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LDVVTQMJQSCDMK-UHFFFAOYSA-N 1,3-dihydroxypropan-2-yl formate Chemical compound OCC(CO)OC=O LDVVTQMJQSCD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WSQKOKULIALEW-UHFFFAOYSA-N 2-[2-[4-fluoro-3-(trifluoromethyl)phenyl]-3-[2-(piperidin-3-ylamino)pyrimidin-4-yl]imidazol-4-yl]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FC1=C(C=C(C=C1)C=1N(C(=CN=1)CC#N)C1=NC(=NC=C1)NC1CNCCC1)C(F)(F)F BWSQKOKULIAL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374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28 anim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39 c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1 element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08 fractional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3 liqui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6 meta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43 off-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7 organic nitr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72 poison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07 pois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34 secondary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0 tallo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11 tertiary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5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hydrogen donors or hydrogen generat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02—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02—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 C10G45/04—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45/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containing nickel or cobalt metal, or compounds thereof
- C10G45/08—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containing nickel or cobalt metal, or compounds thereof in combination with 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58—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change the structural skeleton of some of the hydrocarbon content without cracking the other hydrocarbons present, e.g. lowering pour point; Selective hydrocracking of normal paraffins
- C10G45/6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change the structural skeleton of some of the hydrocarbon content without cracking the other hydrocarbons present, e.g. lowering pour point; Selective hydrocracking of normal paraffin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45/62—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change the structural skeleton of some of the hydrocarbon content without cracking the other hydrocarbons present, e.g. lowering pour point; Selective hydrocracking of normal paraffin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containing platinum group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65/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 C10G65/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 C10G65/04—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only refining steps
- C10G65/043—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only refining steps at least one step being a change in the structural skelet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11—Biomass
- C10G2300/1018—Biomass of animal origin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201—Impurities
- C10G2300/202—Heteroatoms content, i.e. S, N, O, P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30—Physical properties of feedstocks or products
- C10G2300/304—Pour point, cloud point, cold flow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06—Tempera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12—Press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18—Spatial velocity, e.g. LHSV, WHSV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25—Yield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81—Recycling aspec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80—Additives
- C10G2300/802—Dilu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8—Jet fue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Catalysts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Abstract
동물성 지방과 같은 많은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공정이 기술된다. 본 공정은 폴리싱 베드의 하류에 배열된 제 1 수소첨가처리 베드에서 산소화된 공급원료를 수소첨가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수소첨가처리 베드 이후에, 가스상이 제거되고 액체 수소첨가처리된 상이 신선한 수소와 함께 제 1 수소첨가처리 베드의 상류에 배열된 폴리싱 베드에 공급되며, 이는 폴리싱된 탄화수소 생성물에 함유된 임의의 질소 불순물을 더욱 감소시킨다. 특정 공정 설정은 생성된 탄화수소 생성물로부터 질소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이성질체화 이후의 운점을 개선시키고, 동시에 특정 배열은 폴리싱을 위해 신선한 수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용존 수소가 풍부한 폴리싱된 탄화수소 생성물을 제공하게끔 하며, 여기서 이러한 생성물의 일부는 하류 수소첨가처리 베드에서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이용될 수 있고/있거나 폴리싱 및 수소첨가처리 베드 사이에서 인출되고 이성질체화 반응기에서 이성질체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방법에서의 수소의 효율적인 활용에 관한 것이다.
화석 오일(예를 들어, 원유) 및 재생 가능한(renewable) 오일(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 또는 동물성 지방)을 운송 연료(예를 들어, 가솔린, 항공 연료 및 디젤)와 같은 가치 있는 제품으로 변환하는 것은 수소를 소비하는 수소첨가처리(hydrotreating) 공정을 수반한다.
중질 원유, 저급 식물성 오일 및 폐 동물성 지방과 같은 동물성 지방의 정제(refining)는 수소첨가처리 공정에서 수소 수요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오일의 수소첨가처리를 위한 수소의 생산, 회수 및 구매는 정제소의 운영 비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화석 및 재생 가능한 오일의 수소첨가처리는 이론적인 소비량에 비해 과량의 수소로 수행된다. 수소첨가처리 단계 이후에 남아 있는 수소는 정화될 수 있고, 수소첨가처리 단계에서 소비된 수소를 보충하기 위한 추가적인 신선한(fresh) 수소와 함께 재순환될 수 있는데, 이는 소위 보충 수소(make-up hydrogen)라 일컬어진다.
수소첨가처리 동안, 공급원료 조성에 따라 여러 반응이 다양한 정도로 발생한다. 수소첨가처리 반응은 이중 결합 수소화(double bond hydrogenation), 수소첨가탈산소화(hydrodeoxygenation; HDO), 수소화첨가탈황화(hydrodesulfurisation; HDS), 수소첨가탈질소화(hydrodenitrification; HDN), 수소첨가탈방향족화(hydrodearomatisation; HDAr), 수소첨가분해(hydrocracking; HC) 및 수소첨가이성질체화(hydroisomerisation)를 포함한다.
수소첨가이성질체화는 전형적으로 금속 탈수소화 기능 및 산성 기능을 모두 갖는 2-기능 촉매, 예를 들어 SAPO-11과 같은 분자체(molecular sieve)와 함께 백금 또는 팔라듐 촉매에서 수행된다. 촉매의 이성질체화 선택성은 중요한데, 수소첨가처리 동안 공급물의 평균 분자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전형적으로 수소첨가이성질체화 동안에 어느 정도 발생하는 수소첨가분해는 억제된다. 여기에는 금속 탈수소화 기능과 산성 기능 사이의 균형이 포함되며, 이는 이 균형을 바꿀 수 있는 요소에 민감하다. 아민은 강한 산성 부위를 중화시켜 낮은 촉매 산도와 활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황은 귀금속 촉매의 금속 탈수소화 기능을 피독(poison)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공급물 불순물 중 하나는 동물성 폐 지방뿐만 아니라, 화석 및 재생 가능한 기원의 오일의 성분으로 잘 알려진 질소를 포함한다. 원유에서 평균 질소 불순물 함량은 940 중량ppm이고 최고 함량은 7500 중량ppm인 것으로 보고되었다(Manrique et al. (1997) Basic Nitrogen Compounds in Crude Oils: Effect on Mineral Dissolution During Acid Stimulation Processes, SPE-37224-MS; https://www.onepetro.org/conference-paper/SPE-37224-MS). 동물성 폐 지방이 1000 ppm 이상의 질소를 함유할 수 있다는 것도 드문 일이 아니다. 공급원료에서 질소 불순물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을 처리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수소첨가처리 이전에 공급원료를 정화(purify)하는 것이다. 탈검(degumming)을 통해 수용성 질소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동물성 지방에서, 질소 화합물의 대부분은 지용성이며, 수용성 질소 화합물보다 제거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
공보(US 2011/0094149 A1)(IFP Energies Nouvelles)는 몰리브데넘 촉매를 사용하여 2개의 촉매 구역들에서 재생 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급물을 수소첨가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수소첨가처리 반응의 발열 특성으로 인해 유입구에서보다 배출구에서 더 높은 온도를 갖는 베드(bed)로부터의 가스 및 액체 유출물은 촉매 구역들로의 신선한 공급물을 가열하기 위한 재순환으로서 직접 사용된다. 공보(US 2011/0094149 A1)는 각각 15 및 23 ppm의 낮은 질소 불순물을 갖는 양질의 팜유 및 대두유를 사용하여 발명을 예시하며, 재생 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급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불순물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1 내지 100 ppm의 질소 불순물 및 심지어 최대 1 중량%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한다고 언급한다.
공보(US 2011/0094149 A1)는 실시 예에서 질소량을 원래의 양의 약 2%로 감소시키고, 1 내지 100 ppm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질소 함량을 갖는 불순한 공급물을 수소첨가처리하지 않는다. 비교예 1은 공보(US 2011/0094149 A1)에 기재된 공정 조건에서 약 1 중량%의 질소 함량을 갖는 동물성 지방을 수소첨가처리 및 이성질체화하는데, 이는 1 내지 100 ppm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질소 함량을 갖는 불순한 공급물을 수소첨가처리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수소첨가탈산소화 스테이지들 이후의 질소 함량은 약 2 내지 5 ppm이며, 이성질체화 이후 항공 연료 컷(cut)의 수율은 항공 연료 요구 사항에 비해 -10 °C의 높은 유동점을 갖는 5 %에 불과했다.
따라서, 1 내지 100 ppm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oxygenated) 탄화수소를 효과적으로 수소첨가처리하고 수소첨가처리된 생성물에서 낮은 질소량을 보장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소첨가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1 내지 100 ppm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로부터 양호한 저온 유동 특성을 갖는 고품질의 항공 연료 컷을 생성할 수 있는 공정이 필요하다.
가능한 한 많은 질소를 제거하기 위해 수소화 이전에 공급물을 더 정화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수용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정화 방법은 쉽게 구현되지만, 동물성 지방의 많은 질소 함량은 지용성이어서 제거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
또한, 과량으로 첨가되고 일반적으로 재순환되는 수소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선행 기술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질소 불순물을 함유하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물로부터 수득되는 수소첨가처리된 생성물의 품질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수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게끔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개선된 품질은 적어도, 이성질체화된 생성물의 개선된 저온 유동 특성뿐만 아니라 생성물 내의 적은 양의 질소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공정을 제공하며, 본 공정은 제 2 촉매 구역/수소첨가처리 구역(105)의 상류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폴리싱 구역(102)을 포함하는 반응기(101)를 포함한다.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수소첨가처리 구역으로 공급되고, 제 1 수소첨가처리 구역으로부터의 유출물은 정화되며, 제 1 수소첨가처리 구역(108)으로부터의 정화된 유출물은 폴리싱 구역(102)에서 더 높은 온도에서 수소첨가처리되고, 폴리싱 구역(102)으로의 공급물은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와 혼합되지 않는데, 즉 신선한 공급물과 혼합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 제 2 촉매 구역(105) 위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102)을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 - 여기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104), 수소-부화 가스(120) 및 선택적으로 생성물 재순환 희석제(108, 126)를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이, 제 1 촉매 구역(102)과 제 2 촉매 구역(105) 사이의 유입구에서 제 2 촉매 구역(105)에 유입되어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와 혼합되고, 여기서 제 2 촉매 구역은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105)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이 주로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적어도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온도 및 압력에서 동작되며,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95% 이상의 탄화수소로 전환됨 -; 를 포함하고,
-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적어도 일부가 가스 분획(121) 및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로 분리되는 분리 스테이지(107)를 거치고, 여기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는 95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1 중량ppm 초과의 질소를 함유함;
- 수소-부화 가스(120) 및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의 적어도 일부가,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의 유입구 온도보다 더 높은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 내로 제 1 촉매 구역(102)으로 유입되고;
-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를 함유하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이 제 1 촉매 구역과 제 2 촉매 구역 사이에서 인출되고, 여기서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액체 성분 및 가스 성분을 함유하며, 사이드 스트림의 액체 성분은 99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중량ppm 이하의 질소, 바람직하게는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를 함유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질소 불순물량을 함유하는 산소화된 탄화수소가 반응기 내의 2개의 촉매 구역들에서 효과적으로 수소첨가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서, 암모니아 및 기타의 저-비등점 아민은 가스상 및 액상으로의 분리에 의해 제 2 촉매 구역(105)(수소첨가처리 구역)으로부터의 유출물로부터 제거되고, 이후 이로부터의 액상은 제 1 촉매 구역(102)(폴리싱 구역)에서 수소첨가처리되는데, 이 액상은 다른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물과도 조합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보다 더 높은 질소 함량을 갖는 다른 공급물과도 조합되지 않는다.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적어도 일부는 사이드 스트림으로서 인출되어 가스 스트림 및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되는데, 분리는 탈기 단계일 수 있거나 또는 탈기 단계(114)가 뒤따를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 스트림은 예를 들어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의 질소 함량을 0.3 중량ppm 이하로 낮추기 위해 수소와 같은 탈기 가스로 탈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수소첨가처리 동안 공급물의 질소 불순물로부터 형성되었던 수소-부화 유출 가스에 존재하는 암모니아가, 이러한 암모니아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소-부화 가스가 암모니아 불순물의 사전 제거 없이 폴리싱 단계에서 이용되는 경우, 보다 심도있는 수소첨가탈산소화/수소첨가탈질소화 조건들 동안 생성물 내로 재혼입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소첨가처리 구역(제 2 촉매 구역) 상류의 폴리싱 구역(제 1 촉매 구역)을 이용함으로써, 수소첨가처리 구역 하류에 폴리싱 구역이 있는 반응기에 비해 신선한 수소가 더 잘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제 1 촉매 구역(102)(폴리싱 구역)으로의 공급물이 이미 제 2 촉매 구역(105)(수소첨가처리 구역)으로의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물에 비해 더 적은 양의 질소를 함유하고 있고, 폴리싱 구역에 첨가되는 신선한 수소는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유출물에 존재하는 질소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을 것이며, 동시에 제 1 촉매 구역(102)(폴리싱 구역)으로부터의 유출물에 존재하는 과잉 수소는 제 2 촉매 구역(105)(수소첨가처리 구역)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품질로 남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반응기 설정 및 공정은 보다 효율적인 수소 이용을 야기하는 동시에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적은 양의 질소 불순물을 보장한다.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그 자체로 생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이성질체화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ppm(몰/몰) 이하의 질소를 함유할 수 있는 수소-부화 가스(120)는,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을 생성하도록 적어도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야기하는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촉매 구역 내로 유입되고;
- 이성질체화 반응기로부터의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이 가스 분획(118) 및 이성질체화된 액체(119)로 분리되는 분리 스테이지(117)를 거치고, 여기서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하거나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에 비해 30 중량% 이상 증가된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사이드 스트림은 탈기 스테이지(114)를 거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이드 스트림(116)은 탈기 가스(H2)로 탈기되며, 이로 인해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은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 및 사이드 스트림(116)에 비해 더 적은 질소량을 갖게 되고;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이러한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을 이성질체화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는데, 여기서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ppm(몰/몰) 이상의 질소를 갖는 수소-부화 가스(120) 및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은 제 1 이성질체화 유출물(116)을 생성하도록 적어도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야기하는 온도 및 압력에서 촉매 구역 내로 유입되며; 여기서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로부터의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분리 스테이지를 거치고, 여기서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가스 분획 및 이성질체화된 액체로 분리되며,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하거나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에 비해 30 중량% 이상 증가된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적어도, -40 °C 이하의 빙점, 예를 들어 -47°C 이하의 빙점을 갖는 항공 연료로 분리될 수 있다.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가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1 촉매 구역(102)의 유입구 온도 미만의 온도를 갖는 정도까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분리 스테이지 동안 냉각이 적용될 수 있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2)의 제 1 촉매 구역에, 탄화수소 희석제 및 신선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유입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제 2 촉매 구역(105)에서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의 정도는, 제 1 촉매 구역(102)에서 제 1 촉매 구역의 유입구와 제 1 촉매 구역의 배출구 사이의 온도 상승이 10 °C 이하가 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2 촉매 구역(105)은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1 촉매 구역(102)보다 더 낮은 수소첨가탈산소화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촉매 구역(102)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120)는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5 중량ppm 이하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제 2 촉매 구역(105)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00 내지 400 °C 및 10 내지 150 bar, 예를 들어 250 내지 380 °C 및 20 내지 120 bar, 예를 들어 280 내지 360 °C 및 30 내지 100 bar일 수 있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은 담체 상에 수소화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 예를 들어 Pd, Pt, Ni, Co, Mo, Ru, Rh, W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2 촉매 구역은 담체, 예를 들어 알루미나 담체 상에 CoMo, NiMo, NiW, CoNi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할 수 있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는 0.5 내지 3 h-1 범위의 WHSV 및 350 내지 9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동작될 수 있다.
제 1 촉매 구역(102)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50 내지 450 °C 및 10 내지 150 bar, 예를 들어 300 내지 430 °C 및 20 내지 120 bar, 예를 들어 330 내지 410 °C 및 30 내지 100 bar일 수 있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1 촉매 구역은 담체 상에 수소화 금속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 예를 들어 Pd, Pt, Ni, Co, Mo, Ru, Rh, W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촉매 구역은 담체, 예를 들어 알루미나 담체 상에 CoMo, NiMo, NiW, CoNi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한다.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80 내지 370 °C 및 20 내지 50 bar일 수 있다.
이성질체화 반응기의 촉매 구역은 담체 상에 제 8 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하고, 담체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실리카, 알루미나, 점토, 타이타늄 산화물, 붕소 산화물, 지르코니아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및/또는 알루미나일 수 있다.
이성질체화 반응기의 촉매 구역은 분자체(molecular sieve),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는 0.5 내지 1 h-1 범위의 WHSV 및 300 내지 5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동작될 수 있다.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1 초과, 예를 들어 5 내지 30, 또는 15 내지 30의 i-파라핀 대 n-파라핀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는, 예를 들어 혼합에 의해,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을 가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3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 바람직하게는 5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다.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은 100 내지 5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다.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은 100 내지 500 중량ppm 또는 그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제 2 촉매 구역(105)(수소첨가처리 베드) 위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102)(폴리싱 베드)을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 및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를 갖는 공정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201) 및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203)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 공정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301),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302) 및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303)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 공정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201) 및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203)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 공정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301),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302) 및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303)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 공정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명확성을 위해 특정 용어가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선택된 특정 용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용어는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술적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 제 2 촉매 구역(105) 위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102)을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 - 여기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104), 수소-부화 가스(120) 및 선택적으로 생성물 재순환 희석제(108, 126)를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이, 제 1 촉매 구역(102)과 제 2 촉매 구역(105) 사이의 유입구에서 제 2 촉매 구역(105)에 유입되어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와 혼합되고, 여기서 제 2 촉매 구역은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105)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이 주로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적어도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온도 및 압력에서 동작되며,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95% 이상의 탄화수소로 전환됨 -; 를 포함하고,
-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적어도 일부가 가스 분획(121) 및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로 분리되는 분리 스테이지(107)를 거치고, 여기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는 95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1 중량ppm 초과의 질소를 함유함;
- 수소-부화 가스(120) 및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의 적어도 일부가,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의 유입구 온도보다 더 높은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에 제 1 촉매 구역(102)으로 유입되고;
-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를 함유하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이 제 1 촉매 구역과 제 2 촉매 구역 사이에서 인출되고, 여기서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액체 성분 및 가스 성분을 함유하며, 사이드 스트림의 액체 성분은 99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중량ppm 이하의 질소, 바람직하게는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를 함유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질소 불순물량을 함유하는 산소화된 탄화수소가 반응기 내의 2개의 촉매 구역들에서 효과적으로 수소첨가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서, 암모니아 및 기타의 저-비등점 아민은 가스상 및 액상으로의 분리에 의해 제 2 촉매 구역(105)(수소첨가처리 구역)으로부터의 유출물로부터 제거되고, 이후 이로부터의 액상은 제 1 촉매 구역(102)(폴리싱 구역)에서 수소첨가처리되는데, 이 액상은 다른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물과도 조합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보다 더 높은 질소 함량을 갖는 다른 공급물과도 조합되지 않는다.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적어도 일부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으로서 인출되어 가스 스트림 및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되는데, 분리는 탈기 단계일 수 있거나 또는 탈기 단계(114)가 뒤따를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 스트림은 예를 들어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의 질소 함량을 0.4 중량ppm 이하로,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로 낮추기 위해 수소와 같은 탈기 가스로 탈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수소첨가처리 동안 공급물의 질소 불순물로부터 형성되었던 수소-부화 유출 가스에 존재하는 가스상 암모니아가, 이러한 암모니아 불순물을 함유하는 수소-부화 가스가 암모니아 불순물의 사전 제거 없이 폴리싱 단계에서 이용되는 경우, 보다 심도있는 수소첨가탈산소화/수소첨가탈질소화 조건들 동안 생성물 내로 재혼입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소첨가처리 구역(제 2 촉매 구역) 상류의 폴리싱 구역(제 1 촉매 구역)을 이용함으로써, 수소첨가처리 구역 하류에 폴리싱 구역이 있는 반응기에 비해 신선한 수소가 더 잘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제 1 촉매 구역(102)(폴리싱 구역)으로의 공급물이 이미 제 2 촉매 구역(105)(수소첨가처리 구역)으로의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물에 비해 더 적은 양의 질소를 함유하고 있고, 폴리싱 구역에 첨가되는 신선한 수소는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유출물에 존재하는 질소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을 것이며, 동시에 제 1 촉매 구역(102)(폴리싱 구역)으로부터의 유출물에 존재하는 과잉 수소는 제 2 촉매 구역(105)(수소첨가처리 구역)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품질로 남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반응기 설정 및 공정은 보다 효율적인 수소 이용을 야기하는 동시에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적은 양의 질소 불순물을 보장한다.
본 공정은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탄화수소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예로는,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지방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지방산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가 있다.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지방과 같은 재생 가능한 기원의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본 공정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지방의 대부분은, 유리 지방산으로서 또는 유리 지방산의 에스터(ester)로서, 25 중량% 또는 40 중량% 이상의 지방산으로 구성된다. 유리 지방산의 에스터의 예로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에스터(모노-, 다이- 및/또는 트라이- 글리세라이드) 또는 예를 들어 지방산 메틸 에스터(fatty acid methyl ester; FAME) 또는 지방산 에틸 에스터(fatty acid ethyl ester; FAEE)가 있다. 따라서, 재생 가능한 기원의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40 중량%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터를 함유할 수 있다.
공급원료 및 생성물과 같은 탄소 함유 조성물의 재생 가능 특성은, 공급원료의 14C-동위 원소 함량을 1950년 대기 중의 14C-동위 원소 함량과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14C-동위 원소 함량은 공급원료 또는 생성물의 재생 가능한 기원의 증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재생 가능한 재료의 탄소 원자는 화석 기원의 탄소 원자에 비해 더 많은 수의 불안정한 방사성 탄소(14C) 원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12C 및 14C 동위 원소의 비율을 분석하여 생물학적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탄소 화합물과 화석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탄소 화합물을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위 원소의 특정 비율은 재생 가능한 탄소 화합물을 식별하고 이들을 재생 불가능한 것, 즉 화석 탄소 화합물과 구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동위 원소 비율은 화학 반응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다. 생물학적 공급원으로부터의 탄소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의 예로는 ASTM D6866(2020)이 있다. 연료의 재생 가능한 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ASTM D6866을 적용하는 방법의 예는 문서(Dijs et al., Radiocarbon, 48(3), 2006, pp 315-323)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공급원료 또는 생성물과 같은 탄소 함유 재료는, ASTM D6866을 이용하여 측정할 때, 90% 이상의 현대 탄소(modern carbon), 예를 들어 100%의 현대 탄소를 함유하는 경우 재생 가능한 기원인 것으로 간주된다.
여러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지방은 1 내지 100 ppm과 같은 전형적인 양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이들은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하여 수소첨가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정은, 수소첨가처리 공정이 10 중량ppm 이상의 많은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300 중량ppm 내지 25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 또는 그 이상의, 예를 들어 500 중량ppm 이상, 예를 들어 8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전환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최대 15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최대 25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예로는 일부 동물성 지방이 있으며, 이는 약 10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600 내지 1400 중량ppm범위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다면,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상이한 공급원들로부터의 산소화된 탄화수소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3 ppm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팜유 50%와 1000 ppm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동물성 지방 50%를 혼합하여, 512 ppm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식물성 오일, 동물성 지방,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질소 불순물은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다. 원소 질소를 측정하는 방법들 중 하나는 0.3 내지 100 중량ppm 범위에서 이용되는 ASTM D4629이고, 또 다른 방법은 100 중량ppm 초과에서 더 적절할 수 있는 ASTM D572이다. 두 방법들 모두 질소 불순물을 원소 불순물로서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필요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본 공정에서 제 2 촉매 구역(105) 위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102)을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가 이용되며, 본 공정은 제 1 촉매 구역(102)과 제 2 촉매 구역(105) 사이의 유입구에서 제 2 촉매 구역(105)으로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을 흐르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될 수 있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104), 예를 들어 10 중량ppm 이상의 질소, 예를 들어 3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예를 들어 500 내지 1500 중량ppm의 질소를 함유하는 식물성 오일, 동물성 지방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 및 선택적으로 생성물 재순환 희석제(108, 126)와 혼합된다.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를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이것이 용존 수소를 갖는 탄화수소를 함유한다는 관점에서 유리하며, 이는 제 2 촉매 구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수소첨가탈산소화(HDO) 및 수소첨가탈질소화(HDN)를 초래한다. 생성물 재순환(108, 126)을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을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 생성물의 더 큰 부피가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product side stream; 112)으로서 인출(withdrawn)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탄화수소 희석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수소첨가처리 반응(예를 들어, HDO 및 HDN 반응)의 발열 특성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탄화수소 희석제는 효율적인 수소첨가처리에 필요한 용존 수소를 함유할 수도 있는데, 이는 수소첨가처리 반응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촉매가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 및 수소 모두와 접촉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도 1, l)의 일부를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그것이 이미 용존 수소를 함유할 것이기 때문에 유리하며, 이는 제 2 촉매 구역(105)의 유입구를 가열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고온을 갖는다.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도 1, l) 및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생성물 재순환(108, 126) 둘 다의 혼합물(예를 들어, 둘 다의 적어도 10%)을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용존 수소를 함유하는 분획들이 초기 스테이지로부터의 생성물 재순환과 혼합되어 인출될 수 있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도 1, l)만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반응기의 처리량을 증가시킨다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는, 예를 들어 혼합에 의해,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을 가열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화수소 희석제는 생성물 재순환(product recycle; 108, 126)일 수 있거나, 화석 또는 재생 가능한 기원의 탄화수소일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 및/또는 생성물 재순환일 것이다. 탄화수소 희석제는 전형적으로 1:1 내지 4:1 (총 탄화수소 희석제 : 총 산소화된 공급원료) 범위의 양으로 첨가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탄화수소 희석제는 화석 또는 재생 가능한 기원의 것일 수 있다. 화석 기원의 일부 탄화수소 공급물은 다량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화석 기원의 이러한 탄화수소 공급물은, 단독으로 또는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 및/또는 생성물 재순환과 같은 다른 탄화수소 희석제(들)와의 혼합물로, 탄화수소 희석제의 일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 희석제는 생성물 재순환과 화석 탄화수소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 및 생성물 재순환은 이들이 일반적으로 용존 수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유리하며, 이는 액상에서 용해되는 수소에 의존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과 관련이 있다.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은 1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100 내지 5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은 1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100 내지 500 중량ppm 또는 그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은, 수소첨가처리 공정이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의 전체적인 질소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희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많은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전환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이는, 광범위한 희석은 수소첨가처리 공정에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의 처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질소 함량은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에서 측정될 수도 있는데, 이는 1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100 내지 500 중량ppm 또는 그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다.
존재할 수 있는 질소 불순물의 최대량에 관하여.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질소 불순물이 얼마나 많은지 또는 얼마나 많은 불순물량이 실제로 제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제한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 및/또는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은 최대 500 중량ppm 이하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는데, 즉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 및/또는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은 100 내지 5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을 가질 수 있다.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은 수소-부화 가스(hydrogen-rich gas; 120)와 함께, 제 2 촉매 구역(105) 위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102)을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에 유입된다.
수소-부화 가스(120)는 무엇보다도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1 및 제 2 촉매 구역들(102, 105)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HDO) 및 수소첨가탈질소화(HDN)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소-부화 가스는, 예를 들어 수소, 물, 암모니아 및 기타의 경질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 분획(123)으로의 분리(122) 및 후속하는 아민 스크러빙(amine scrubbing) 및/또는 막 분리(membrane separation)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정화 단계(122)에 의해 정화되었던, 공정(123, 118)으로부터의 과잉 수소일 수 있다. 제 2 촉매 구역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의 순도는, 적절하게는 임의의 반응성 질소, 예를 들어 암모니아, 예를 들어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0.3 중량ppm 미만의 질소를 함유하지 않는, 제 1 촉매 구역(102)에 이용되거나 이성질체화 반응기(114) 이전의 탈기(stripping)에 이용되거나 또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의 순도만큼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제 2 촉매 구역에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는 95 mol% 이상의 순도를 갖는 것이 허용되지만, 95 mol% 미만의 수소 순도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보충 수소가 혼합되어 수소-부화 가스를 형성할 수도 있고, 수소-부화 가스는 전체적으로 보충 가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는 적어도 2개의 촉매 구역들(102, 105)을 수용(house)할 수 있는 용기이다. 본 발명에서, 트리클 베드 반응기(trickle-bed reactor)가 매우 적합하다. 트리클 베드 반응기는 평행류(co-current) 또는 대향류(counter-current) 방식으로 수소와 접촉하는 동안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의 하향 이동을 수반한다. 트리클 베드 반응기의 예로는, 단열(adiabatic) 트리클 베드 반응기가 있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는 제 2 촉매 구역(105) 위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102)을 포함한다. 촉매 구역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 촉매 입자들의 고정 베드(fixed bed)일 수 있다. 촉매 구역은 단일 고정 베드를 함유할 수 있거나, 동일하거나 상이한 촉매 입자들을 갖는 다중 고정 베드들을 함유할 수 있고, 또는 활성 및/또는 조성이 상이한 촉매 입자들의 복수의 레이어(layer)들일 수도 있다.
제 1 촉매 구역(102)은 단일 고정 베드일 수 있고/있거나 제 2 촉매 구역(105)은 적어도 3개의 고정 베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은 수소-부화 가스(120)와 함께, 제 1 촉매 구역(102)과 제 2 촉매 구역(105) 사이의 유입구에서 제 2 촉매 구역(105)에 유입된다.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은,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105)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이 주로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적어도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수소-부화 가스(120)와 함께 제 2 촉매 구역 내로 유입된다.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의 많은 상이한 조합들이 있는데, 이는 산소화된 탄화수소로부터 산소가 제거되어 부산물로서 물이 생성되는 정도까지 그리고 산소화된 탄화수소로부터 질소 불순물이 제거되어 부산물로서 암모니아가 생성되는 정도까지, HDO 및 HDN을 야기함으로써 주로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생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촉매 구역(105)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00 내지 400 °C 및 10 내지 150 bar, 예를 들어 250 내지 380 °C 및 20 내지 120 bar, 예를 들어 280 내지 360 °C 및 30 내지 100 bar일 수 있다.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이 주로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적어도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온도 및 압력의 다양한 조합을 선택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작업의 문제이며, 여기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95% 이상의 탄화수소, 적절하게는 98% 이상의 탄화수소로 전환되었으며, 여기서 2% 이하의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존재한다.
당업자가 온도 및 압력의 다양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당업자는 제 2 촉매 구역(105)의 촉매 구역에 대해 하나 이상의 적합한 촉매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은 담체 상에 수소화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 예를 들어 Pd, Pt, Ni, Co, Mo, Ru, Rh, W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 2 촉매 구역은 담체, 예를 들어 알루미나 담체 상에 CoMo, NiMo, NiW, CoNi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한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는 0.5 내지 3 h-1 범위의 WHSV 및 350 내지 9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동작될 수 있다.
제 2 촉매 구역(105)을 위한 보다 일반적인 반응 조건은 제 2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로서의 트리클 베드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촉매 구역은 몰리브데넘을 포함하는 담지된 수소화 촉매를 포함하고, 수소첨가처리는 수소의 존재 하에 200 내지 400 °C의 온도 및 10 내지 15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되며, 여기서 WHSV는 0.5 내지 3 h-1 범위이고, H2 흐름은 300 내지 2100 Nl H2/l 공급물이다.
제 2 촉매 구역은 H2S뿐만 아니라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물에서 카복실산의 탈카복실화/탈카보닐화로부터 생성된 CO 및 CO2, HDO로부터 생성된 수증기, 과잉 수소의 형태의 가스 성분을 함유할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을 생성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HDN 반응으로부터 NH3가 생성될 것이다. 예를 들어 23 ppm의 질소를 가질 수 있는 팜유와 같이 1 내지 100 ppm의 전형적인 양의 질소를 갖는 통상적인 공급물의 수소첨가처리 동안에 그러한 것보다,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3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포함하는 공정에서 훨씬 더 많은 암모니아(NH3)가 생성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이 보충 수소가 첨가된 추가적인 수소첨가처리 단계를 거친 경우, 특히 3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포함하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의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에서의 증가된 암모니아의 양이 질소의 재혼입(reincorporation)을 야기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수소첨가처리 단계로부터의 추가적인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이 수소 가스로 탈기된 이후에도 2 내지 5 ppm의 질소를 함유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즉 이성질체화 촉매와 접촉하기 이전에 가능한 한 완전히 질소를 제거하려 하였더라도, 심지어 탈기 이후에도 질소량을 2 내지 5 ppm 미만으로 얻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는, 보다 심도있는(deeper) HDO 및 HDN 수소첨가처리를 수행하면 제 2 수소첨가처리 유출물로부터 더 광범위하게 산소 및 질소가 제거될 것이라는 특정 기대를 가지고 추가적인 수소첨가처리 단계가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예상치 못한 결과였다. 또한, 추가적인 수소첨가처리 단계의 조건 하에서 아민 또는 아마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암모니아가 반응하여야 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형성된 탄화수소는 암모니아와의 어떠한 반응에도 불활성이어야 하며, 그러한 질소 화합물이 형성될 이론적 가능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 형성된 화합물은 다시 수소첨가탈질소화(HDN)을 겪어 이들로부터 암모니아가 제거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추가적인 수소첨가처리 단계에서의 수소첨가처리 조건 하에서 다시 사라지지 않는 질소화합물이 생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2차 아마이드 및 3차 아마이드를 포함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질소는 이성질체화 촉매를 열화(deactivate)시킬 수 있는데, 이는 이성질체화 반응기로 가는 유출물에 함유된 암모니아가 일반적으로 탈기 가스(stripping gas)로 탈기되어, 임의의 용해된 암모니아가 탈기 가스에 의해 치환(displaced)/탈기되도록 하여 임의의 잔량의 질소를 제거하는 이유이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된 바와 같이,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수소첨가처리할 때, 제 1 및 제 2 수소첨가처리 단계들(제 2 촉매 구역 및 제 1 촉매 구역에 각각 대응됨) 사이에 분리 단계가 없으면, 이성질체화 반응기에 공급될 더 많은 질소 함량이 존재하게 되고, 이는 -40 °C 이하의 운점을 갖는 항공 연료 컷의 낮은 수율을 야기한다.
도 2 및 도 3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암모니아가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에서 질소의 재혼입을 야기하고 이러한 질소 화합물은 HDN 조건에 예기치 않게 탄력적이어서 이성질체화 이전의 탈기 단계에서 임의의 잔류 암모니아의 정상적인 제거가 비효율적이었다는 것은, 예기치 못한 발견이었다. 이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이,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적어도 일부가 가스 분획(121) 및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로 분리되는 분리 스테이지(107)를 거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 이후에 분리 스테이지를 포함시킴으로써 수소첨가처리 단계를 수정한 발명자들에게는 놀라운 일이었다.
예를 들어, 분리 스테이지(separation stage; 107)는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을 가스 분획(121) 및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로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하나 이상의 고압 또는 저압 분리기일 수 있다. 수소 탈기는 분리에도 사용될 수 있다(도면에는 미도시). 분리 스테이지는 전적으로 고온 분리 스테이지일 수 있으며, 여기서 유출물은 능동적으로 냉각되지 않는다. 제 1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을 냉각시키지 않으면 제 1 촉매 구역에서 더 적은 가열이 요구된다는 관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분리된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가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희석시키기 위해 생성물 재순환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도 유익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스테이지는 저온 분리를 수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은 예를 들어 열 교환기에 의해 능동적으로 냉각되는데, 이는 가능한 한 많은 암모니아가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로부터 분리된다는 관점에서 유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가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1 촉매 구역(102)의 유입구 온도 미만의 온도, 예를 들어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유입구 온도보다 적어도 100 °C 낮은 온도를 갖는 정도까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분리 스테이지 동안 냉각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의 저온 분리(cold separation)는 예를 들어 120 내지 200 °C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전체 양이 분리될 수 있거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은 2개의 스트림들로 분할될 수 있는데, 여기서 하나의 스트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및 가스 분획(121)으로 분리되고, 다른 하나의 스트림은 어떠한 분리도 없이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이용된다. 이 다른 하나의 스트림은 탄화수소 이외에도 과잉 수소뿐만 아니라 제 2 촉매 구역으로 재유입될 암모니아를 포함하여 모든 가스상 불순물을 포함할 것이다.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전체 양은 제 2 촉매 구역에서의 암모니아 축적을 피하기 위해 또는 제 2 촉매 구역에 추가적인 양의 암모니아를 첨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제 2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이 생성물 재순환으로서 이용되는 경우) 분리될 수도 있으며, 이는 산소화된 탄화수소와 반응하여 추가적인 질소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이후 제 2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에 존재할 수 있다.
분리 스테이지(107)에서,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은 가스 분획(121) 및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로 분리된다. 가스 분획(121)은 H2S뿐만 아니라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물에서 카복실산의 탈카복실화/탈카보닐화로부터 생성된 CO 및 CO2, HDO로부터 생성된 수증기, 과잉 수소를 함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HDN 반응으로부터 NH3가 생성될 것이다.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는 90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를 함유할 것이고, 나머지는 미반응 산소화된 탄화수소와 같은 헤테로원자 함유 탄화수소이다. 수소첨가처리는 가능한 한 완전한 것이 바람직한데, 즉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는 95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예를 들어 98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그러나, 촉매의 코크스화(coking) 및 기타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반응 조건의 심각성을 증가시키지 않고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을 완전히 수소첨가처리하는 것이 항상 실현될 수 있거나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환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가 또한 99 중량% 이하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가 95 내지 99 중량%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수소첨가처리된다.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의 나머지 성분은 산소화된 탄화수소 또는 질소 함유 탄화수소와 같은 헤테로원자 함유 탄화수소일 것이다. 초기 질소 불순물이 매우 많은 경우, 질소는 여전히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에 어느 정도 남아있을 것이며, 이는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중량ppm 초과의 질소, 예를 들어 5 중량ppm 초과 및 최대 100 중량ppm의 질소를 함유할 수 있다.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5 내지 1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하는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또는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의 적어도 일부는 수소-부화 가스(120)와 함께 제 1 촉매 구역(102)에 유입된다.
수소-부화 가스(120)는 무엇보다도 전술한 바와 같은 제 2 촉매 구역(105)에서뿐만 아니라 제 1 촉매 구역(102)에서도 수소첨가탈산소화(HDO) 및 수소첨가탈질소화(HDN)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소-부화 가스는, 예를 들어 물, 암모니아 및 기타의 경질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 분획(123)으로의 분리(122) 및 후속하는 아민 스크러빙 및/또는 막 분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정화 단계(122)에 의해 정화되었던, 공정(123, 118)으로부터의 과잉 수소일 수 있다. 제 2 촉매 구역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의 순도는, 제 1 촉매 구역(102)에 이용되거나 이성질체화 반응기(114) 이전의 탈기에 이용되거나 또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의 순도만큼 중요하지 않다.
제 1 촉매 구역에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는 전형적으로 90 mol%의 순도, 종종 95 mol% 이상의 순도를 가지며, 가스상 탄화수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으로서 인출되는 제 1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에 질소가 재혼입될 위험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제 1 촉매 구역에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는 이상적으로 암모니아와 같은 반응성 질소를 거의 갖지 않거나 전혀 갖지 않는다. 특히, 제 1 촉매 구역(102) 반응기에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120)의 질소 함량은 이상적으로는, 제 1 촉매 구역(102)에 대한 공급물(127+102)을 형성하기 위해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27)와 혼합되는 경우 제 1 촉매 구역(102)을 위한 공급물(127+102)의 액상의 질소 함량의 증가를 야기시키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 1 촉매 구역(102)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120)는 10 중량ppm 이하의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5 중량ppm 이하의 질소 불순물, 예를 들어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중량ppm 이하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수소-부화 가스는, 충분한 품질을 갖는 경우, 소위 수소 재순환이라고 하는, 정화되었던 과잉 수소 가스일 수 있다. 수소-부화 가스는 또한 공정에서 아직 이용되지 않은 신선한 수소일 수 있으며, 수소 재순환과 신선한 수소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질소 불순물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는 수소첨가처리 또는 수소첨가이성질체화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새로운 결합, 즉 비-불활성 또는 반응성 질소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질소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이성질체화 유출물(116),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으로서 인출되는 제 1 수소첨가처리 유출물, 또는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과 같은 본 발명의 생성물 및 중간체에 혼입될 수 있는 질소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불순물인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질소 가스(N2)가 질소 불순물이라는 용어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은 의도되지 않는다. 질소 불순물은 원소 분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유기 질소, 암모니아 및 암모늄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는 제 2 촉매 구역(105) 위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102)을 포함한다. 제 1 촉매 구역(102)은 단일 고정 베드일 수 있다.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127)의 적어도 일부는, 사이드 스트림의 액체 성분이 99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중량ppm 이하의 질소, 바람직하게는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적어도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수소-부화 가스(120)와 함께 제 1 촉매 구역(102)에 유입된다.
특히,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액체 성분의 질소 함량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의 질소 함량보다 낮다.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가 제 1 촉매 구역(102)에서의 수소첨가처리 이전에 또는 그 동안에 탄화수소와 같은 임의의 희석제로 희석되어야 하는 것은 요구되지도 않고 의도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127)가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로의 공급물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127)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127)의 산소 함량보다 더 높은 산소 함량을 갖는 공급물과 혼합되지 않는 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127)가 1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함량을 갖는 공급물과 혼합되지 않으면,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127)를 다른 탄화수소 공급물과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촉매 구역에서의 수소첨가처리 반응의 발열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탄화수소 희석제가 필수적이지는 않다. 따라서, 탄화수소 희석제와 같은 희석제는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데, 즉 탄화수소 희석제는 경우에 따라서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2)의 제 1 촉매 구역에 유입되지 않는다.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의 많은 상이한 조합들이 있는데, 이는 잔류하는 산소화된 탄화수소로부터 산소가 제거되어 부산물로서 물이 생성되는 정도까지 그리고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에 비해 질소 불순물이 더 감소되어 부산물 암모니아 및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보다 더 적은 양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하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액체 성분이 생성되는 정도까지, HDO 및 HDN을 야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촉매 구역(102)의 유입구 온도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2 촉매 구역(105)의 유입구 온도보다 더 높다.
예를 들어, 제 1 촉매 구역(102)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50 내지 450 °C 및 10 내지 150 bar, 예를 들어 300 내지 430 °C 및 20 내지 120 bar, 예를 들어 330 내지 410 °C 및 30 내지 100 bar일 수 있다.
보다 심도있는 HDO 및 HDN 반응을 야기하기 위해, 제 1 촉매 구역(102)의 유입구 온도는 제 2 촉매 구역(105)의 유입구 온도보다 더 높다. 예를 들어, 제 1 촉매 구역(102)의 유입구 온도는 제 2 촉매 구역(105)의 유입구 온도보다 10 내지 15 °C 더 높을 수 있거나, 이보다도 더 높을 수 있다.
산소화된 탄화수소의 양은 제 2 촉매 구역(105)으로의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에 비해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127)에서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 이는 발열 반응이 덜 발생한다는 사실로 인해 제 1 촉매 구역(102)에 걸친 온도 상승이 제 2 촉매 구역(105)에서만큼 높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반응기 유입구와 반응기 배출구 사이의 온도 상승은 35 °C를 초과하지 않는 만큼 작을 수 있거나, 또는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에서의 온도 상승의 50% 이하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촉매 구역(105)에서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의 정도는, 제 1 촉매 구역(102)에서 제 1 촉매 구역의 유입구와 제 1 촉매 구역의 배출구 사이의 온도 상승이 10 °C 이하가 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에서의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물의 충분한 전환을 보장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는데, 이는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에 산소 및 질소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갖는 소량의 탄화수소만을 남기게 되어, 발열 수소첨가처리 반응을 겪는 남아 있는 재료의 양에 기인한 더 적은 온도 상승을 초래할 것이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2 촉매 구역(105)은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1 촉매 구역(102)보다 더 낮은 수소첨가탈산소화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촉매 구역에서의 수소첨가처리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다 광범위한 HDO 및 HDN 반응을 얻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촉매 구역(102)이 제 2 촉매 구역(105)보다 더 높은 수소첨가탈산소화 활성을 갖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수소첨가처리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촉매 활성은 또한, 예를 들어 두 반응기에서 동일한 활성을 갖는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촉매 구역들 모두에서 동일한채로 시작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 2 촉매 구역(105)은 제 1 촉매 구역(102)보다 더 빨리 열화될 것인데, 이는 더 불순한 공급물, 즉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이 제 2 촉매 구역에 제공되는 반면, 보다 순수한 공급물, 즉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 127)가 제 1 촉매 구역(102)에 제공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촉매 구역(105)은 제 1 촉매 구역(102)보다 더 낮은 수소첨가탈산소화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촉매 활성은 신선한 촉매와 비교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당업자가 제 2 촉매 구역에서 온도 및 압력의 다양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당업자는 제 1 촉매 구역에서의 보다 광범위한 HDO 및 HDN 반응을 야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적합한 촉매 및 조건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1 촉매 구역은 담체 상에 수소화 금속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 예를 들어 Pd, Pt, Ni, Co, Mo, Ru, Rh, W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촉매 구역들은 담체, 예를 들어 알루미나 담체 상에 CoMo, NiMo, NiW, CoNi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가 Ni, Co, Mo, Ru, Rh, W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전형적으로 촉매는 황화되고, 황의 공급원은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 및/또는 수소-부화 가스에 첨가되거나 이에 존재한다.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1 촉매 구역은 0.5 내지 3 h-1, 예를 들어 0.5 내지 1.5 h-1 범위의 WHSV 및 350 내지 2100 Nl H2/l 공급물, 예를 들어 500 내지 15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동작될 수 있다.
제 1 촉매 구역을 위한 보다 일반적인 반응 조건은 제 1 및 제 2 촉매 구역들을 포함하는 트리클 베드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촉매 구역은 몰리브데넘을 포함하는 담지된 수소화 촉매를 포함하고, 수소첨가처리는 수소의 존재 하에 250 내지 400 °C의 온도 및 10 내지 15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되며, 여기서 WHSV는 0.5 내지 3 h-1 범위이고, H2 흐름은 500 내지 2100 Nl H2/l 공급물이다.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를 함유하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제 1 및 제 2 촉매 구역들 사이에서 인출(taken out)된다.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은 예를 들어, 유출 가스(도 1, g)가 제 2 촉매 구역(105)을 향해 하류로 통과하도록 그리고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오버플로우(도 1, l)가 제 2 촉매 구역을 향해 하류로 통과하도록,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둑(weir) 또는 굴뚝(chimney)을 갖는 트레이에 수집될 수 있다.
액체 성분 및 선택적으로 가스 성분을 함유하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제 1 촉매 구역과 제 2 촉매 구역 사이에서 인출될 수 있다. 사이드 스트림의 액체 성분은 99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중량ppm 이하의 질소, 바람직하게는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을 액체 분획 및 가스 분획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하나 이상의 고압 또는 저압 분리기를 거칠 수 있다. 분리 스테이지는 전적으로 고온 분리 스테이지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능동적으로 냉각되지 않는다.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을 냉각시키지 않으면 이성질체화 단계와 같은 임의의 후속 단계에서 더 적은 가열이 요구된다는 관점에서 유익하다.
분리 스테이지(114)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 또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액체 성분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가스, 일반적으로 수소를 이용하는 탈기 장치(stripper)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가 탈기 가스로서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탈기 스테이지가 불순물을 제거하는 목적을 달성할뿐만 아니라 소정량의 수소가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액체 성분 및/또는 탈기된 액체 사이드 스트림(115)에 용해되는 것을 보장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때문이며, 이는 이들 액체들이 예를 들어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와 같은 수소첨가이성질체화 스테이지에 처해지는 경우에 유용하다. 탈기가 이용되는 경우,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액체 성분 및 탈기된 액체 사이드 스트림(115)의 질소 함량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의 질소 함량보다 낮다.
따라서,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12)은 탈기 스테이지(114)에 적용된 탈기 가스(예를 들어, 수소)로 탈기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탈기된 액체 사이드 스트림(115)은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 한계)를 갖게 된다.
수소를 이용하는 탈기 스테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량의 수소가 액상에 용해되는 것을 보장할뿐만 아니라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 유익하다. 탈기 스테이지는 특히, 액체가 예를 들어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와 같은 수소첨가이성질체화 스테이지에 처해지는 경우에 유용하다.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그 자체로 생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이성질체화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제될 수 있다.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이성질체화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ppm(몰/몰) 이하의 질소를 함유할 수 있는 수소-부화 가스(120)는,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을 생성하도록 적어도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야기하는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촉매 구역 내로 유입된다.
수소-부화 가스(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촉매 구역들(102, 105)에서의 수소첨가탈산소화(HDO) 및 수소첨가탈질소화(HDN)를 수행하는데에도 필요하지만, 또한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소-부화 가스는, 예를 들어 물, 암모니아 및 기타의 경질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 분획(123)으로의 분리(122) 및 후속하는 아민 스크러빙 및/또는 막 분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정화 단계(122)에 의해 정화되었던, 공정(123, 118)으로부터의 과잉 수소일 수 있다. 이성질체화 반응기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의 순도는 중요하다.
이성질체화 반응기에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는 95% 이상의 순도를 갖는다. 이는 이성질체화 반응기의 촉매 구역(들)을 피독시킬 위험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에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는 이상적으로는 암모니아와 같은 반응성 질소를 거의 갖지 않거나 전혀 갖지 않는다.
따라서,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120)는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ppm(몰/몰) 이하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수소-부화 가스는, 충분한 품질을 갖는 경우, 소위 수소 재순환이라고 하는, 정화되었던 과잉 수소 가스일 수 있다. 수소-부화 가스는 또한 공정에서 아직 이용되지 않은 신선한 수소일 수 있으며, 수소 재순환과 신선한 수소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질소 불순물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는 수소첨가처리 또는 수소첨가이성질체화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새로운 결합, 즉 비-불활성 또는 반응성 질소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질소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제 1 이성질체화 유출물, 또는 제 1 또는 제 2 수소첨가처리 유출물과 같은 본 발명의 생성물 및 중간체에 혼입될 수 있는 질소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 불순물인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질소 가스(N2)가 질소 불순물이라는 용어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은 의도되지 않는다. 이성질체화 촉매가 Pd 또는 Pt를 함유하는 촉매와 같은 귀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경우, 황 불순물(존재하는 경우) 또한 낮아야 한다.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는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이다. 본 발명에서, 트리클 베드 반응기가 매우 적합하다. 트리클 베드 반응기는 평행류 또는 대향류 방식으로 수소와 접촉하는 동안 공급물의 하향 이동을 수반한다. 트리클 베드 반응기의 예로는, 단열 트리클 베드 반응기가 있다.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는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촉매 구역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 촉매 입자들의 고정 베드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한 촉매 입자들을 갖는 다중 고정 베드들일 수도 있고, 또는 활성 및/또는 조성이 상이한 촉매 입자들의 복수의 레이어들일 수도 있다.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는 단일 촉매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 스트림(112)의 액체 성분 또는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은 수소-부화 가스(120)와 함께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 유입되고, 여기서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의 액체 부분(119)이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하거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에 비해 30 중량% 이상 증가된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이성질체화 유출물(116)을 생성하도록 적어도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야기하는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과 접촉하게 된다.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의 많은 상이한 조합들이 있는데, 이는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이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하거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에 비해 30 중량% 이상 증가된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50 내지 400 °C 및 20 내지 50 bar, 예를 들어 280 내지 370 °C 및 20 내지 50 bar, 또는 295 내지 370 °C 및 20 내지 50 bar일 수 있다.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의 촉매 구역들은 담체 상에 제 8 족 금속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실리카, 알루미나, 점토, 타이타늄 산화물, 붕소 산화물, 지르코니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는 실리카 및/또는 알루미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8 족 금속은 Pd 또는 Pt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촉매(들)는 제올라이트와 같은 분자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는 0.5 내지 3 h-1 범위의 WHSV 및 150 내지 8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 예를 들어 0.5 내지 1 h-1 및 300 내지 5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동작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제 1 이성질체화 유출물(116)의 액체 부분(119)이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액체 성분에 비해 더 많은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수소첨가이성질체화의 정도를 얻기 위해 전술한 조건을 조작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정도는 제 1 이성질체화 유출물(116)의 액체 부분(119)이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하거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에 비해 30 중량% 이상 증가된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이다.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또한 아이소-파라핀 대 n-파라핀 비율이 1 초과, 예를 들어 5 내지 30, 또는 15 내지 30인 정도까지 이성질체화되었을 수 있다.
이성질체화의 정도는 종종 공급물과 생성물의 운점 간의 차이로, 여기서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의 액체 성분과 이성질체화 유출물의 액체 부분(119) 사이의 차이로 측정되는데, 여기서 운점 감소의 크기는 수소첨가이성질체화가 얼마나 광범위했는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로부터 제 1 이성질체화 유출물의 액체 부분(119)까지의 운점의 감소가 10 °C 이상이 되는 정도까지 이성질체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점이 낮을수록 우수한 저온 유동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운점이 낮을수록 더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수소첨가이성질체화 조건 동안에는 수소첨가분해도 어느 정도 발생한다. 당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소첨가분해가 너무 광범위 해져서 액체 생성물의 손실이 보다 낮은 운점의 잠재력을 능가하는 지점이 있다. 촉매 및 그 내에 함유된 임의의 불순물, 및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위한 조건은 수소첨가이성질체화 및 수소첨가분해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라미터들 중 하나이다. 비교예 1 및 예 1를 참조하면, 이성질체화 반응기에 들어가기 이전의 질소 불순물은 예 1(0.3 중량ppm 이하)에 비해 비교예 1(0.6 내지 2.9 중량ppm)에서 훨씬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성질체화 반응기로의 이러한 질소 함량의 차이는 특정 연료 컷의 수율뿐만 아니라 이의 저온 유동 특성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사이드 스트림은 탈기 스테이지(114)를 거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이드 스트림(116)은 탈기 가스(H2)로 탈기되며, 이로 인해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은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 및 사이드 스트림(116)에 비해 더 적은 질소량을 갖게 되고;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이러한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을 이성질체화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는데, 여기서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ASTM D4629 검출)를 갖는 수소-부화 가스(120) 및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은 제 1 이성질체화 유출물(116)을 생성하도록 적어도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야기하는 온도 및 압력에서 촉매 구역 내로 유입되며; 여기서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로부터의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분리 스테이지를 거치고, 여기서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가스 분획 및 이성질체화된 액체로 분리되며,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하거나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에 비해 30 중량% 이상 증가된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이성질체화 단계를 위한 보다 일반적인 반응 조건은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이성질체화 반응기로서의 트리클 베드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촉매 구역은 제올라이트 및 W 또는 Pt 또는 Pd를 포함하는 담지된 수소화 촉매를 포함하고, 수소첨가이성질체화는 수소의 존재 하에 295 내지 370 °C의 온도 및 20 내지 50 bar의 압력에서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로부터 제 1 이성질체화 유출물의 액체 부분(119)까지의 운점의 감소가 10 °C 이상 감소되는 정도까지 수행되며, 여기서 WHSV는 0.5 내지 1.5 h-1 범위이고, H2 흐름은 150 내지 800 Nl H2/l 공급물이다.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로부터의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은 분리 스테이지(117)를 거치는데, 여기서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은 가스 분획(118) 및 이성질체화된 액체(119)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분리 스테이지(117)는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을 가스 분획(118) 및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119)로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하나 이상의 고압 또는 저압 분리기일 수 있다. 분리 스테이지(117)는 증류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증류 이전에 액체 분획으로부터 가스 분획을 분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하거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에 비해 30 중량% 이상 증가된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 또는 이성질체화된 액체(119)는 하나 이상의 생성물 분획을 생성하도록 증류 스테이지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분별 증류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공정은 특정 조건이 높은 품질의 항공 연료의 많은 분획을 생성한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기 때문에 유익하다(예 1 참조). 항공 연료 분획에는 C8 내지 C16 탄화수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대부분의 항공 연료에는 C9 내지 C12 탄화수소가 포함되어 있다. 항공 연료 분획은 또한 증류 범위, 예를 들어 150 내지 250 °C 사이의 증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적어도, -25 °C 이하의 운점, 예를 들어 -30 °C 이하, 예를 들어 -40 °C 이하, 예를 들어 -47 °C 이하의 운점을 갖는 항공 연료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생성물 재순환 형태의 탄화수소 희석제(126) 및 수소-부화 가스(120)와 혼합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104)를 제 2 촉매 구역(105) 상류에 제 1 촉매 구역(102)을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2 촉매 구역(105)에 공급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은 분리기(107)에서 가스 분획(121) 및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로 분리된다. 가스 분획(121)은 분리기(122)에서 가스 분획(123), 물-부화 분획(125) 및 탄화수소-부화 분획(124)으로 더 낮은 온도에서 다시 플래싱(flashing)될 수 있다.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는 가열(109, 111)되고 재압축(110)되고 수소-부화 가스(120)와 혼합되어,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이 인출될 수 있는 제 1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이 수득되도록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가 야기되는 제 1 촉매 구역(102)을 위한 공급물(110)을 형성할 수 있다.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탈기 장치(114)에서 수소-부화 가스(120)로 탈기되어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15)를 형성하고, 이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는 수소-부화 가스(120)와 혼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 공급되는데, 여기서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15)는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이 수득되도록 이성질체화되며,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분리기(117)에서 가스 분획(118) 및 이성질체화된 액체(119)로 분리된다. 이 특정 배열은 제 1 촉매 구역에서의 폴리싱(polishing)을 위해 신선한 수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용존 수소가 풍부한 폴리싱된 탄화수소 생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이러한 생성물(도 1, l (액체 오버플로우)) 및 과잉 수소 가스(도 1, g)의 일부는 제 2 촉매 구역에서의 하류 수소첨가처리에서 탄화수소 희석제 및 보충 수소로서 이용될 수 있고/있거나 폴리싱 및 수소첨가처리 베드 사이에서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으로서 인출되어 이성질체화 반응기에서 이성질체화될 수 있다.
도 2는 비교예 1 및 표 7에서 언급된 비교 반응기 설정이다. 이는 도 1과 유사하지만,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가 생략되었다. 도 2는 수소-부화 가스(220) 및 탄화수소 희석제(226)와 혼합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204)를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205)을 포함하는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201)에 공급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206)은 분리기(207)에서 가스 분획(221) 및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208)로 분리된다. 가스 분획(221)은 분리기(222)에서 가스 분획(223), 물-부화 분획(225) 및 탄화수소-부화 분획(224)으로 더 낮은 온도에서 다시 플래싱될 수 있다.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액체(208)는 탈기 장치(214)에서 수소-부화 가스(220)로 탈기되어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215)를 형성하고, 이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는 수소-부화 가스(220)와 혼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203)에 공급되는데, 여기서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215)는 제 1 이성질체화된 유출물(216)이 수득되도록 이성질체화되며, 제 1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분리기(217)에서 가스 분획(218) 및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219)로 분리된다.
도 3은 비교예 2 및 표 7에서 언급된 비교 반응기 설정이다. 이는 도 1과 유사하지만, 제 1 및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 사이의 분리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3은 생성물 재순환 형태의 탄화수소 희석제(326) 및 수소-부화 가스(320)와 혼합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304)를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305)을 포함하는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301)에 공급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306)은 수소-부화 가스(320)와 혼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제 2 수소첨가처리 반응기(302)를 위한 공급물을 형성하는데, 여기서 제 2 수소첨가처리 유출물(330)이 수득되도록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가 야기되며, 제 2 수소첨가처리 유출물은 분리기(307)에서 가스 분획(321) 및 제 2 수소첨가처리 액체(312)로 분리된다. 가스 분획(321)은 분리기(322)에서 가스 분획(323), 물-부화 분획(325) 및 탄화수소-부화 분획(324)으로 더 낮은 온도에서 다시 플래싱될 수 있다. 제 2 수소첨가처리 액체(312)는 탈기 장치(314)에서 수소-부화 가스(320)로 탈기되어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315)를 형성하고, 이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는 수소-부화 가스(320)와 혼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303)에 공급되는데, 여기서 탈기된 수소첨가처리된 액체(315)는 제 1 이성질체화된 유출물(316)이 수득되록 이성질체화되며, 제 1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분리기(317)에서 가스 분획(318) 및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319)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모든 가능한 실시 예들의 조합들 및 치환들이 명시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수단들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서 기술되거나 상이한 실시 예들에서 기술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러한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 및 치환들을 염두에 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들 "포함하는" 및 "포함한다"는 발명자들이 모든 경우에 각각 "구성되는" 및 "구성된다"로 임의로 대체할 수 있도록 의도된다.
예들
예 1
우지, 돼지고기 기름 및 닭고기 지방을 함유하는 녹인(rendered) 동물성 지방 폐기물로부터 유래된 저품질 폐기물을 재생 가능한 연료 처리를 위한 공급원료로 사용하였다. 수소첨가처리 공정으로 보내기 이전에 공급원료를 표백에 의한 전처리를 이용하여 정화하였다. 표 1은 ISO 15304M에 따라 GC로 측정된 전처리 이전에 사용된 저품질 동물성 지방 공급원료의 탄소수 분포를 나타낸다.
표 1. GC로 분석된 전처리 이전의 저품질 동물성 지방 공급원료의 탄소수 분포
지방산 분포 | 중량% | 지방산 분포 | 중량% |
C14:0 | 2.32 | C18:2 | 4.68 |
C14:1 | 0.36 | C18:3 | 0.59 |
C15:0 | 0.17 | C19:0 | 0.28 |
C16:0 | 25.47 | C19:1 | 0.14 |
C16:1 | 2.29 | C20:0 | 0.27 |
C16:2 | 0.1 | C20:1 | 0.57 |
C16:3 | 1.68 | C20:2 | 0.17 |
C17:0 | 0.48 | C20:3 | 0 |
C17:1 | 0 | C22:0 | 0.04 |
C18:0 | 23.55 | 불분명 | 1.9 |
계 | 100 |
표 2. 전처리 이전의 공급원료의 특성
방법 | 특성 | 동물성 지방 폐기물 |
EN ISO 12185 | 밀도 15 °C | 913.4 kg/m3 |
EN ISO 12185 | 밀도 50 °C | 883.4 kg/m3 |
EN ISO 20846 | 황 | 71.5 ppm |
ASTM D4629 / D5762 | 질소 | 1120 ppm |
ASTM D2710 | 브로민 지수 | 24 g / 100 g |
ISO 3961 | 아이오딘 값 | 58 |
ASTM D3242 | 유리 지방산(TAN) | 1.00 mg KOH/g |
ENISO12937 | 물 | 0.05 % |
성분 | 양(중량%) |
올리고머 | 0.4 |
트라이글리세라이드 | 75.3 |
다이글리세라이드 | 15.4 |
모노글리세라이드 | 0.4 |
카복실산 | 11.1 |
수소첨가처리 공정의 공급원료로서 사용하기 이전에 공급원료를 표백에 의해 전처리하였고, 이에 따라 총 원소 질소로서 계산된 질소의 양은 1000 중량ppm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수소첨가처리 공정에 투입할 때의 공급물 스트림의 질소 불순물 수준이었다(표 4의 "HDO로의 공급물 중 N 함량" 참조).
수소첨가처리에 의해 처리될 공급원료는 무기 질소 불순물 및 유기 질소 불순물을 함유하였으며, 유기 불순물은 공급물로부터 분석했을 때 주로 아마이드 및 아민과 같은 유기 질소 화합물의 형태였다. Ca, Co, Fe, Mg, Mn, Ni 및 Zn과 같은 금속 불순물의 양은 사용된 특정 ICP 결정에 대한 분석 검출 정확도 한계인 1 중량ppm 미만이었다. 마찬가지로, Al 및 Na 불순물의 양은 2 중량ppm 미만이었고, P 함량은 1 중량ppm 미만이었다.
다양한 양의 질소로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이 전처리된 공급원료를 18 중량ppm의 질소 함량을 갖는 팜유와 혼합하여 본 예의 실행(run) 1 내지 6에서 이용되는 질소의 6가지의 상이한 농도(25, 75, 150, 300, 500, 1000 중량ppm)를 수득하였다.
다양한 양의 질소를 함유하는 전처리된 공급원료들(신선한 공급물)을 도 1에 따른 수소첨가탈산소화(HDO) 고정 베드 트리클 베드 반응기 설정에 6개의 별도 실행들로서 도입하였다. HDO 반응은 알루미나 담체 상에 45000 kg의 황화(sulphided) NiMo(신선한 HDO 촉매 활성에 비해 상대적인 HDO 활성을 갖는 신선한 촉매)를 함유하는 촉매 베드(105)의 존재 하에서, 50 bar의 압력, 48000 kg/h의 HDO 반응기로의 공급 속도, 촉매 베드(105)에 대한 1.1 h-1의 총 공급 속도 WHSV 하에서, 약 5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그리고 HDO 반응기 유입구(TIN)에서 측정된 약 309 °C의 반응 온도에서 수행되었으며, HDO 반응기 배출구(TOUT)에서 약 340 °C의 온도가 되었다. 반응기로의 신선한 수소 공급은 28700 m3/h (NTP)이었고 저품질 동물성 지방 폐기물 공급량은 57 m3/h 이었다. 액체 HDO 생성물은 희석제(126)로서 재순환되었으며, 생성물 재순환 대 신선한 공급물의 비율은 약 6:1 이었다.
HDO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은 HDO 베드의 상류에 위치하는 폴리싱 베드(102)에 공급되기 이전에 고온 분리기에서 액상 및 가스상으로 분리되었다. 폴리싱 베드는 HDO 베드와 동일한 알루미나 담체 상의 황화 NiMo 촉매(신선한 HDO 촉매 활성에 비해 상대적인 HDO 활성을 갖는 신선한 촉매)를 함유하는 고정 베드이고, 촉매 재료의 양은 15000 kg 이었다. 폴리싱 베드는 총 액체 공급물을 기준으로 계산된 공급 속도 WHSV가 약 8.2 h-1인 50 bar의 압력 하에서 동작되었고, 폴리싱 베드의 유입구 온도(TIN)는 약 340 °C 였는데, 즉 HDO 유입구 온도보다 31 °C 더 높았다. 사용된 수소량은 HDO 촉매 베드에서 사용된 수소량의 약 25 부피% 였다.
표 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을 이용한 테스트 실행들(실행 1 내지 6)의 결과를 보여주며, 여기서 조합형 HDO 반응기 및 폴리싱 베드가 이용되고, 질소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스 부산물은 두 베드들 사이에서 제거된다.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신선한 공급물의 매우 높은 질소 함량에도 불구하고 폴리싱 단계 이후의 질소 함량이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낮은 질소량은 다양한 이유로 생성물에서 바람직한데, 이는 특히 낮은 질소량이 이성질체화 반응에 영향을 미쳐, 이성질체화 이전에 더 높은 질소량을 갖는 생성물에 비해, 동일한 이성질체화 조건 하에서 보다 나은 저온 유동 특성을 야기하기 때문이다(데이터가 표시되지는 않음).
질소 함량은 공정 조건을 변경시킴으로써, 특히 폴리싱 베드의 공정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0.4 중량ppm 이하까지 감소될 수 있다. 최종 질소 불순물은 모든 실행들(1 내지 6)에서 0.3 중량ppm 이하였다. HDO 베드의 온도를 높이면 일반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반응이 일어나 최종 이성질체화된 생성물에서 저온 특성이 저하된다.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폴리싱 이후, 최종 액상 파라핀계(paraffinic) 유출물은 이성질체화 반응기에서 수소첨가이성질체화되었다. 이성질체화는 Pt-SAPO-촉매의 존재하에 40 bar의 압력 하에서, 1.5 h-1의 WHSV 및 328 °C의 반응 온도로, 고정층 트리클 베드 반응기에서 수행되었다. 공급물에 대한 수소의 비율은 공급물 1리터 당 H2 300 노르말 리터였다.
모든 실험에서 매우 낮은 질소 함량은 우수한 저온 특성을 갖는 생성물을 초래하였다. 이성질체화 및 증류에 의한 분리 이후, 772 kg/m3 미만의 밀도(ASTM 4052(2018)에 따라 측정됨) 및 -40 °C 미만의 빙점(IP529에 따라 측정됨)을 갖는, ASTM D7566(2016) Annex A2 규격을 만족하는, 185 내지 205의 T10(°C) 컷오프 온도, 270 내지 295 °C의 T90(°C) 컷오프 온도 및 275 내지 300 °C의 최종 비등점(°C)을 갖는, 항공 연료 컷이 수득되었다. 수득된 항공 연료 성분은 추가적으로 약 60 중량%의 우수한 수율로 -30°C보다 낮은 탁도점(ASTM D5771(2017)에 따라 측정됨)을 가졌다.
표 4. HDO 반응기 및 폴리싱 베드 - 신선한 촉매 - 도 1
실행 1 | 실행 2 | 실행 3 | 실행 4 | 실행 5 | 실행 6 | ||
폴리싱 베드로의 유입에서 미반응 공급물 대 파라핀 함량 (127) | 중량% | 0.4 | 0.5 | 0.6 | 0.7 | 0.8 | 0.9 |
이성질체화 반응기로의 유입에서 미반응 공급물 대 파라핀 함량 (115) | 중량% | <0.1 | <0.1 | <0.1 | <0.1 | <0.1 | <0.1 |
HDO로의 공급물중 N 함량 (104) | 중량ppm | 25 | 75 | 150 | 300 | 500 | 1000 |
HDO 재순환으로 1:6 희석된 HDO로의 공급물 중 N 함량 | 중량ppm | 5 | 15 | 28 | 56 | 92 | 183 |
폴리싱 촉매 베드로의 유입 이전의 HDO 촉매 베드로부터의 액체 유출물 중 N 함량 (108) | 중량ppm | 3 | 7 | 13 | 25 | 42 | 81 |
이성질체화 반응기로의 유입 이전의 N 함량 (115) | 중량ppm | <0.3 | <0.3 | <0.3 | <0.3 | <0.3 | <0.3 |
브로민 지수 (115) | mg / 100 g | <20 | <20 | <20 | <20 | <20 | <20 |
비교예 1
바람직하지 않은 산소 및 질소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 2에 따른 반응기 설정이 테스트되었다. 도 2의 설정에서, 예 1과 동일한 공급물 조성이 적용되었고, 이 반응기 설정에서 HDO 반응기의 하류에 폴리싱 베드(102)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예 1과 동일한 동작 조건(온도, 압력, 촉매 등)이 이용되었다. 오히려, 이 예에서는 신선한 촉매의 전체 촉매량(60000 kg)이 단일 HDO 반응기에 있었다. HDO 반응은 50 bar의 압력, 48000 kg/h의 HDO 반응기로의 공급 속도, 0.8 h-1의 총 공급 속도 하에서, 약 59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그리고 HDO 반응기 유입구(TIN)에서 측정된 약 308 °C의 반응 온도에서 수행되었으며, HDO 반응기 배출구(TOUT)에서 약 340 °C의 온도가 되었다. 반응기로의 신선한 수소 공급은 33400 m3/h (NTP)이었고 저품질 동물성 지방 폐기물 공급량은 57 m3/h 이었다. 액체 HDO 생성물은 희석제로서 재순환되었으며, 생성물 재순환 대 신선한 공급물의 비율은 약 6:1 이었다.
표 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HDO 반응기에서의 실행들의 결과를 보여주며, 여기서 질소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스 부산물은 액상 파라핀계 유출물이 이성질체화 스테이지로 유입되기 이전에 HDO 반응기 이후에 제거된다.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실행들(7 내지 12)의 이성질체화 반응기 이전의 질소 함량은 예 1의 질소 함량에 비해 더 높았다. 비교예 1에서는 예 1과 비교하여 동일한 양의 촉매가 사용되었지만, 여기서는 단일 반응기 내에서 사용되었다. 이 비교는, 단일 반응기가, 촉매 부피를 2 개의 별개의 반응기들로 분할하고 이들 2 개의 반응기들 사이에서 가스상을 제거하는 경우와 유사한 효율적인 방식으로 질소를 제거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공급물 중의 증가된 질소 함량은 필연적으로 이성질체화로 향하는 최종 액상 파라핀계 유출물 스트림에서 질소의 증가를 초래하였고 따라서 이성질체화 이후 분리 증류로부터 회수된 항공 연료 성분에 대한 저온 특성 및 수율을 저하시켰다. 질소 초기 함량이 1000 ppm인 실행 12에서 5 중량%의 항공 연료 수율로 약 -10 °C의 탁도점이 얻어졌다.
표 5. 오직 단일 HDO 반응기 - 새로운 촉매 - 도 2
실행 7 | 실행 8 | 실행 9 | 실행 10 | 실행 11 | 실행 12 | ||
이성질체화 반응기로의 유입에서 미반응 공급물 대 파라핀 함량 (215) | 중량% | 0.1 | 0.1 | 0.1 | 0.1 | 0.2 | 0.3 |
HDO로의 공급물 중 N 함량 (204) | ppm | 25 | 75 | 150 | 300 | 500 | 1000 |
HDO 재순환으로 1:6 희석된 HDO로의 공급물 중 N 함량 | 중량ppm | 5 | 14 | 28 | 55 | 90 | 180 |
액체 유출물 중 N 함량 (208) | ppm | 2.5 | 6.8 | 13 | 25 | 42 | 83 |
이성질체화 반응기 이전의 N 함량 (215) | ppm | 0.6 | 0.9 | 1.1 | 1.5 | 2.0 | 2.9 |
브로민 지수 (215) | mg / 100 g | 87 | 113 | 134 | 159 | 183 | 219 |
비교예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응 설정은, 직렬로 연결된 2개의 HDO 반응기들이 이용되었고 공급물(306)이 제 1 HDO 반응기(301) 하류의 제 2 HDO 반응기(302) 내로 유입되기 이전에 제 1 HDO 반응기 이후에 가스 제거가 없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예 1과 유사하다. 제 2 HDO 반응기(302)의 내부에는 도 1의 폴리싱 베드와 유사한 촉매 베드가 설치되었다. 제 1 HDO 반응기로부터의 액상 파라핀계 유출물(306)은, 액상 파라핀계 유출물이 제 2 HDO 반응기로 유입되기 이전에 제 1 HDO 반응기 이후에 질소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스 부산물의 제거 없이, 제 2 HDO 반응기로 직접 향하도록 하였다. 제 2 HDO 반응기(302) 이후에 수득된 최종 액상 파라핀계 유출물 스트림(312)은 가스상 불순물의 제거를 위해 탈기 장치(314)로 향하게 했고 후속하여 이성질체화 반응기로 향하게 했다. 촉매 및 반응 조건은 예 1과 동일하였다.
이 반응기 설정은 공보(US 2011/0094149 A1)에 설명된 선행 기술의 반응기 설정과 유사하였다.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실행들(13 내지 18)의 질소 함량은 예 1의 질소 함량에 비해 훨씬 더 높은 질소 함량을 야기하였다.
도 3에 따른 설정은 초기 공급물 중의 더 적은 양의 질소 함량, 예를 들어 약 25 ppm 이하의 질소 함량에서, 더 적은 양의 질소 불순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신선한 공급물에서 질소량이 150 중량ppm 이상으로 증가되면, HDO 및 폴리싱 이후에 남는 질소는 0.8 ppm 이상의 값으로 증가되었다. 이성질체화에서 질소 함량의 증가는 이성질체화 이후 분리 증류로부터 회수된 항공 연료 성분에 대한 저온 특성 및 수율을 저하시켰고, 질소 초기 함량이 1000 ppm인 실행 18에서 10 중량%의 항공 연료 수율로 약 -15 °C의 탁도점이 얻어졌다.
표 6 - 2개의 HDO 반응기들 - 신선한 촉매 - 도 3
실행 13 | 실행 14 | 실행 15 | 실행 16 | 실행 17 | 실행 18 | ||
제 2 HDO 반응기로의 유입에서 미반응 공급물 대 파라핀 함량 (액상) | % | 0.3 | 0.4 | 0.5 | 0.6 | 0.7 | 0.8 |
이성질체화 반응기로의 유입에서 미반응 공급물 대 파라핀 함량 (315) | % | 0.1 | 0.1 | 0.1 | 0.1 | 0.1 | 0.2 |
HDO로의 공급물 중 N 함량 (304) | 중량ppm | 25 | 75 | 150 | 300 | 500 | 1000 |
HDO 재순환으로 1:6 희석된 HDO로의 공급물 중 N 함량 | 중량ppm | 5 | 14 | 27 | 53 | 88 | 198 |
폴리싱으로의 유입 이전의 N 함량 | 중량ppm | 4.4 | 13 | 25 | 50 | 83 | 166 |
이성질체화 반응기로의 유입 이전의 N 함량 (315) | 중량ppm | 0.4 | 0.6 | 0.8 | 1.2 | 1.6 | 2.3 |
브로민 지수 (315) | mg / 100 g | 79 | 103 | 120 | 143 | 165 | 198 |
Claims (22)
-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제 2 촉매 구역(105) 위에 배열된 제 1 촉매 구역(102)을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 - 여기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104), 수소-부화 가스(120) 및 선택적으로 생성물 재순환 희석제(108, 126)를 포함하는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이, 제 1 촉매 구역(102)과 제 2 촉매 구역(105) 사이의 유입구에서 제 2 촉매 구역(105)에 유입되어 제 1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와 혼합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상기 일부는 용존 수소가 있는 액체 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촉매 구역은 상기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105)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이 주로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정도까지 적어도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온도 및 압력에서 동작되며, 상기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95% 이상의 탄화수소로 전환됨 -; 를 포함하고,
- 상기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은, 상기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적어도 일부가 가스 분획(121) 및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로 분리되는 분리 스테이지(107)를 거치고, 여기서 상기 수소첨가처리된 액체는 95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1 중량ppm 초과의 질소를 함유함;
- 수소-부화 가스(120) 및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의 적어도 일부가,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를 야기하는 상기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의 유입구 온도보다 더 높은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에서 제 1 촉매 구역(102)으로 유입되고;
-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를 함유하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이 제 1 촉매 구역과 제 2 촉매 구역 사이에서 인출되고, 여기서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액체 성분 및 가스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사이드 스트림의 액체 성분은 99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중량ppm 이하의 질소, 바람직하게는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를 함유함;
-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상기 사이드 스트림을 선택적으로 이성질체화하고, 여기서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ppm(몰/몰) 이하의 질소를 함유하는 수소-부화 가스(120)는,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을 생성하도록 적어도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야기하는 유입구 온도 및 압력에서 촉매 구역 내로 유입됨;
- 상기 이성질체화 반응기로부터의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상기 이성질체화된 유출물(116)이 가스 분획(118) 및 이성질체화된 액체(119)로 분리되는 분리 스테이지(117)를 거치고, 여기서 상기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하거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에 비해 30 중량% 이상 증가된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가 상기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을 가열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트림은 탈기 스테이지(114)를 거치고, 여기서 사이드 스트림(112)은 탈기 가스(H2)로 탈기되어,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이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0.4 중량ppm 이하의 질소, 예를 들어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 및 사이드 스트림(116)에 비해 더 적은 질소량을 갖게됨;
- 적어도 하나의 촉매 구역을 포함하는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에서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을 이성질체화하고, 여기서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1 ppm(몰/몰) 이하의 질소를 갖는 수소-부화 가스(120) 및 탈기된 사이드 스트림(115)은 제 1 이성질체화 유출물(116)을 생성하도록 적어도 수소첨가이성질체화를 야기하는 온도 및 압력에서 촉매 구역 내로 유입됨;
- 제 1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로부터의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분리 스테이지를 거치고, 여기서 상기 이성질체화된 유출물은 가스 분획 및 이성질체화된 액체로 분리되며, 제 1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30 중량% 이상의 분지형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적어도, -40 °C 이하의 빙점, 예를 들어 -47°C 이하의 빙점을 갖는 항공 연료로 분리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액체(108)가 제 1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1 촉매 구역의 유입구 온도 미만의 온도를 갖는 정도까지,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의 분리 스테이지 동안 냉각이 적용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2)의 제 1 촉매 구역에, 탄화수소 희석제 및 신선한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유입되지 않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 2 촉매 구역(105)에서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첨가탈질소화의 정도는, 제 1 촉매 구역(102)에서 제 1 촉매 구역의 유입구와 제 1 촉매 구역의 배출구 사이의 온도 상승이 10 °C 이하가 되는 방식으로 제어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2 촉매 구역(105)은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의 제 1 촉매 구역(102)보다 더 낮은 수소첨가탈산소화 활성을 갖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 1 촉매 구역(102)에서 이용되는 수소-부화 가스(120)는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5 중량ppm 이하의 질소 불순물을 함유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 2 촉매 구역(105)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00 내지 400 °C 및 10 내지 150 bar, 예를 들어 250 내지 380 °C 및 20 내지 120 bar, 예를 들어 280 내지 360 °C 및 30 내지 100 bar인,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2 촉매 구역은 담체 상에 수소화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 예를 들어 Pd, Pt, Ni, Co, Mo, Ru, Rh, W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2 촉매 구역은 담체, 예를 들어 알루미나 담체 상에 CoMo, NiMo, NiW, CoNi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수소첨가처리 반응기(101)는 0.5 내지 3 h-1 범위의 WHSV 및 350 내지 9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동작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 1 촉매 구역(102)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50 내지 450 °C 및 10 내지 150 bar, 예를 들어 300 내지 430 °C 및 20 내지 120 bar, 예를 들어 330 내지 410 °C 및 30 내지 100 bar인,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첨가처리 반응기의 제 1 촉매 구역은 담체 상에 수소화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 예를 들어 Pd, Pt, Ni, Co, Mo, Ru, Rh, W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촉매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촉매 구역은 담체, 예를 들어 알루미나 담체 상에 CoMo, NiMo, NiW, CoNiM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성질체화 반응기(103)의 유입구 온도 및 압력은 280 내지 370 °C 및 20 내지 50 bar인,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질체화 반응기의 촉매 구역들은 담체 상에 제 8 족 금속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촉매(들)를 포함하고, 상기 담체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실리카, 알루미나, 점토, 타이타늄 산화물, 붕소 산화물, 지르코니아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및/또는 알루미나인,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촉매(들)는 분자체(molecular sieve),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이성질체화 반응기(103)는 0.5 내지 1 h-1 범위의 WHSV 및 300 내지 5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동작되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질체화된 액체는 1 초과, 예를 들어 5 내지 30, 또는 15 내지 30의 아이소-파라핀 대 n-파라핀 비율을 갖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화된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3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 바람직하게는 500 중량ppm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첨가처리 유입 스트림은 100 내지 500 중량ppm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촉매 구역으로부터의 제 2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106)은 100 내지 500 중량ppm 또는 그 이상의 질소 불순물을 갖는,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 1 촉매 구역(102)으로부터의 제 1 수소첨가처리된 유출물의 일부를 함유하는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이 제 1 촉매 구역과 제 2 촉매 구역 사이에서 인출되고, 생성물 사이드 스트림(112)은 액체 성분 및 가스 성분을 함유하며, 상기 사이드 스트림의 액체 성분은 99 중량% 이상의 탄화수소 및 원소 질소로서 측정된 0.3 중량ppm 이하의 질소를 함유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20205953 | 2020-09-30 | ||
FI20205953A FI129530B (en) | 2020-09-30 | 2020-09-30 | Method for producing renewable fuel |
FI20205954A FI129664B (en) | 2020-09-30 | 2020-09-30 | Method for making renewable fuel |
FI20205954 | 2020-09-30 | ||
PCT/EP2021/076885 WO2022069601A1 (en) | 2020-09-30 | 2021-09-29 | Method for producing renewable fu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5429A true KR20230075429A (ko) | 2023-05-31 |
Family
ID=780856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9892A KR20230075429A (ko) | 2020-09-30 | 2021-09-29 | 재생 가능한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 |
KR1020237009334A KR20230075418A (ko) | 2020-09-30 | 2021-09-29 | 재생 가능한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09334A KR20230075418A (ko) | 2020-09-30 | 2021-09-29 | 재생 가능한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4) | US11970666B2 (ko) |
EP (2) | EP4222234A1 (ko) |
JP (2) | JP2023547592A (ko) |
KR (2) | KR20230075429A (ko) |
CN (2) | CN116209735A (ko) |
AU (2) | AU2021353986A1 (ko) |
BR (1) | BR112023005605A2 (ko) |
CA (2) | CA3191202A1 (ko) |
ES (1) | ES2972174T3 (ko) |
WO (2) | WO20220696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69601A1 (en) * | 2020-09-30 | 2022-04-07 | Neste Oyj | Method for producing renewable fuel |
US11952541B2 (en) * | 2021-10-12 | 2024-04-09 | Uop Llc | Process for hydrotreating a feed stream comprising a biorenewable feedstock with treatment of an off-gas stream |
WO2023091805A1 (en) * | 2021-11-22 | 2023-05-25 |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 Integrat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renewable diesel |
WO2024003469A1 (en) * | 2022-06-30 | 2024-01-04 | Neste Oyj | A process for producing a liquid transportation fuel component |
FI130833B1 (en) * | 2022-10-14 | 2024-04-16 | Neste Oyj | Process for making a jet fuel component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05052A (en) | 1996-12-31 | 1998-01-06 |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 Multi-stage hydroprocessing in a single reaction vessel |
DE60312446T3 (de) | 2002-09-06 | 2017-04-27 | Neste Oil Oyj | Ve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hlenwasserstoffkomponente biologischer Herkunft |
US7232935B2 (en) * | 2002-09-06 | 2007-06-19 | Fortum Oyj | Process for producing a hydrocarbon component of biological origin |
US8022258B2 (en) * | 2005-07-05 | 2011-09-20 | Neste Oil Oyj |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diesel range hydrocarbons |
FR2910485B1 (fr) | 2006-12-22 | 2009-03-06 | Inst Francais Du Petrole | Procedes d'hydrotraitement d'un melange constitue d'huiles d'origine animale ou vegetale et de coupes petrolieres avec stripage intermediaire |
MY150287A (en) | 2008-04-06 | 2013-12-31 | Uop Llc | Fuel and fuel blending components from biomass derived pyrolysis oil |
US8686203B2 (en) * | 2009-06-12 | 2014-04-01 |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 Process for preparing diesel fuels using vegetable oils or fatty acid derivatives |
CN102762694A (zh) | 2009-08-28 | 2012-10-31 | 埃克森美孚研究工程公司 | 降低生物组分进料加氢处理中的氢消耗量 |
FR2951733B1 (fr) | 2009-10-27 | 2012-08-10 | Inst Francais Du Petrole | Procede d'hydrotraitement de charges issues de sources renouvelables avec chauffe indirecte mettant en oeuvre un catalyseur a base de molybdene |
AU2010328373B2 (en) | 2009-12-08 | 2015-07-16 |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 Hydroprocessing of high nitrogen feed using bulk catalyst |
US9096804B2 (en) * | 2011-01-19 | 2015-08-04 | P.D. Technology Development, Llc | Process for hydroprocessing of non-petroleum feedstocks |
AU2012287066A1 (en) * | 2011-07-27 | 2014-01-30 | The Lubrizol Corporation | Improved hydroprocessing of biorenewable feedstocks |
FR2982270B1 (fr) | 2011-11-08 | 2013-11-08 | IFP Energies Nouvelles | Production de carburants paraffiniques a partir de matieres renouvelables par un procede d'hydrotraitement en continu comprenant une etape de pretraitement |
US20130261362A1 (en) | 2012-03-30 | 2013-10-03 |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 Coprocessing of biofeeds with bulk mixed metal catalysts |
US9139783B2 (en) | 2012-11-06 | 2015-09-22 | E I Du Pont Nemours And Company | Hydroprocessing light cycle oil in liquid-full reactors |
FR3013722B1 (fr) | 2013-11-28 | 2015-12-04 | Ifp Energies Now | Procede d'hydrotraitement d'un gazole dans des reacteurs en serie avec recyclage d'hydrogene. |
BR102016016757B1 (pt) * | 2016-07-20 | 2021-08-03 | Petróleo Brasileiro S.A. - Petrobras | Processo de beneficiamento de carga altamente (poli)aromática e nitrogenada |
EP3802747A1 (en) * | 2018-05-30 | 2021-04-14 | Total Research & Technology Feluy | Process for hydrotreating a diesel fuel feedstock with a feedstock of natural occurring oil(s), hydrotreating uni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aid process, and corresponding hydrorefining unit |
EP3870674A1 (en) | 2018-10-24 | 2021-09-01 | Haldor Topsøe A/S | Method for co-production of aviation fuel and diesel |
US10876050B2 (en) * | 2019-03-01 | 2020-12-29 | Uop Llc | Process for producing diesel fuel from a biorenewable feed |
WO2022069601A1 (en) * | 2020-09-30 | 2022-04-07 | Neste Oyj | Method for producing renewable fuel |
-
2021
- 2021-09-29 WO PCT/EP2021/076885 patent/WO2022069601A1/en unknown
- 2021-09-29 AU AU2021353986A patent/AU2021353986A1/en active Pending
- 2021-09-29 EP EP21787326.4A patent/EP4222234A1/en active Pending
- 2021-09-29 CA CA3191202A patent/CA3191202A1/en active Pending
- 2021-09-29 US US18/027,757 patent/US11970666B2/en active Active
- 2021-09-29 JP JP2023518316A patent/JP2023547592A/ja active Pending
- 2021-09-29 AU AU2021353043A patent/AU2021353043A1/en active Pending
- 2021-09-29 JP JP2023518315A patent/JP2023548646A/ja active Pending
- 2021-09-29 CN CN202180064079.2A patent/CN116209735A/zh active Pending
- 2021-09-29 EP EP21787327.2A patent/EP4192925B1/en active Active
- 2021-09-29 CN CN202180064308.0A patent/CN116209736A/zh active Pending
- 2021-09-29 CA CA3189259A patent/CA3189259A1/en active Pending
- 2021-09-29 ES ES21787327T patent/ES2972174T3/es active Active
- 2021-09-29 KR KR1020237009892A patent/KR2023007542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29 KR KR1020237009334A patent/KR2023007541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29 BR BR112023005605A patent/BR112023005605A2/pt unknown
- 2021-09-29 WO PCT/EP2021/076884 patent/WO2022069600A1/en unknown
- 2021-09-30 US US17/490,746 patent/US11713425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5-19 US US18/320,481 patent/US20230287281A1/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3-19 US US18/608,992 patent/US20240294838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972174T3 (es) | 2024-06-11 |
JP2023547592A (ja) | 2023-11-13 |
EP4192925A1 (en) | 2023-06-14 |
US20230323223A1 (en) | 2023-10-12 |
WO2022069601A1 (en) | 2022-04-07 |
US20230287281A1 (en) | 2023-09-14 |
AU2021353986A1 (en) | 2023-04-20 |
CA3191202A1 (en) | 2022-04-07 |
CN116209736A (zh) | 2023-06-02 |
EP4222234A1 (en) | 2023-08-09 |
US11713425B2 (en) | 2023-08-01 |
EP4192925C0 (en) | 2023-12-27 |
BR112023005605A2 (pt) | 2023-05-09 |
EP4192925B1 (en) | 2023-12-27 |
US11970666B2 (en) | 2024-04-30 |
US20220098500A1 (en) | 2022-03-31 |
WO2022069600A1 (en) | 2022-04-07 |
BR112023005706A2 (pt) | 2023-05-02 |
AU2021353043A1 (en) | 2023-04-20 |
CA3189259A1 (en) | 2022-04-07 |
JP2023548646A (ja) | 2023-11-20 |
CN116209735A (zh) | 2023-06-02 |
KR20230075418A (ko) | 2023-05-31 |
US20240294838A1 (en) | 202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75429A (ko) | 재생 가능한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 | |
EP2643431B2 (en) | Process for producing fuel components | |
EP1396531B2 (en) | Process for producing a hydrocarbon component of biological origin | |
EP2838978B1 (en) | Process for producing biofuel and biofuel components | |
AU2008343829B2 (en) | Staged co-processing of biofeeds for manufacture of diesel range hydrocarbons | |
US8822744B2 (en) | Multi-stage co-processing of biofeeds for manufacturing of diesel range hydrocarbons | |
US8632675B2 (en) | Co-processing of diesel biofeed and heavy oil | |
EP2576731B1 (en) | Process for producing fuel from a biological origin through a single hydroprocessing step in the presence of a niw catalyst | |
EP3050940A1 (en) | Process for producing hydrocarbons | |
US20120167454A1 (en) | Pretreatment of fats and oils in the production of biofuels | |
CN105462610B (zh) | 一种蒽油加氢方法 | |
MX2014011755A (es) | Metodos y aparatos para el procesamiento de materias primas renovables. | |
FI129664B (en) | Method for making renewable fuel | |
CN116075579A (zh) | 烃产品生产方法中的杂质去除 | |
CN114437804B (zh) | 一种高氮原料油的加氢裂化方法 | |
FI20205953A1 (en) | Method for producing renewable fuel | |
BR112023005706B1 (pt) | Processo para o preparo de hidrocarboneto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