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133A -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133A
KR20230074133A KR1020237009406A KR20237009406A KR20230074133A KR 20230074133 A KR20230074133 A KR 20230074133A KR 1020237009406 A KR1020237009406 A KR 1020237009406A KR 20237009406 A KR20237009406 A KR 20237009406A KR 20230074133 A KR20230074133 A KR 20230074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region
value
pow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를로스 호라시오 알다나
Original Assignee
메타 플랫폼즈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 플랫폼즈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메타 플랫폼즈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7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은,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채널이 점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정의된 에너지 검출(ED) 문턱치 함수와 비교하는, 채널의 ED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채널에서 검출되는 신호들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채널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측정을, 제1 상수 값을 갖는 제1 영역과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 사이에 경사진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인 값을 갖는 ED 문턱치와 비교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은, 제1 상수 값 또는 제2 상수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의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비교에 응답하여, 채널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통신들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과 같은 인공 현실은 사용자에게 몰입형 경험을 제공한다. 일 예시에서, 머리 착용가능 디스플레이(head wearable display; HWD)를 착용한 사용자는 인공 현실(예를 들어, VR 공간, AR 공간 또는 MR 공간)을 경험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가상 객체의 이미지는 HWD에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로서) 통신적으로 결합되거나 테더링된 콘솔에 의해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로서) 생성된다. 일부 셋업(setup)들에서는, 콘솔이 무선 채널 또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고 HWD는 콘솔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사용자 기기,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는, 채널이 점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정의된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ED) 문턱치 함수(threshold function)와 비교하는, 채널의 ED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문턱치 함수는, 연속 단조 함수를 형성하고 두 개의 평평한 영역 사이에 특정한 경사진 영역을 갖는, 수학적으로 정의된 에너지 검출 문턱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은, (정의된/고정된 문턱값 대신) 적어도 평평한 영역 문턱치 및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 값(들)의 함수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을 선택된 문턱치 함수에 적용하여 ED 문턱치에 대한 값을 결정할 수 있고, ED 문턱치를 채널의 측정된 전력 레벨과 비교하여 채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에서 검출된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채널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상수 값을 갖는 제1 영역과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 사이에 경사진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인 값을 갖는 문턱치를, 측정과 비교하는 단계 - 경사진 영역은 제1 상수 값 또는 제2 상수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의 함수를 포함함 - ; 및 비교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전력 레벨이 문턱치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이 점유되었고 디바이스가 통신들을 위해 액세스하는 데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전력 레벨이 문턱치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이 점유되지 않았고 디바이스가 통신들을 위해 액세스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디바이스에 의해,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경사진 영역의 범위 내에 있을 때, 경사진 영역의 함수에 따라 문턱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디바이스에 의해,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제1 영역의 제1 범위 내에 있을 때, 문턱치가 제1 상수 값이고,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제2 영역의 제2 범위 내에 있을 때, 문턱치가 제2 상수 값이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할 수 있고,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할 수 있으며, 경사진 영역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값은 제1 범위의 상한일 수 있고 제2 값은 제2 범위의 하한일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의 기울기는 상수 값일 수 있다. 연속 단조 함수는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과 제3 상수 값을 갖는 제3 영역 사이에 제2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할 수 있고, 제3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경사진 영역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값은 제1 범위의 상한일 수 있고 제2 값은 제2 범위의 하한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초저전력(very low power; VLP)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는 다른 VLP 디바이스들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방법은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문턱치의 곱 및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문턱치의 곱의 함수로서 문턱치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채널에서 검출된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채널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1 상수 값을 갖는 제1 영역과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 사이에 경사진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인 값을 갖는 문턱치를 측정과 비교하도록 - 경사진 영역은 제1 상수 값 또는 제2 상수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의 함수를 포함함 - ; 그리고 비교에 응답하여, 채널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전력 레벨이 문턱치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채널이 점유되었고 디바이스가 통신들을 위해 액세스하는 데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전력 레벨이 문턱치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채널이 점유되지 않았고 디바이스가 통신들을 위해 액세스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경사진 영역의 범위 내에 있을 때, 경사진 영역의 함수에 따라 문턱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제1 영역의 제1 범위 내에 있을 때, 문턱치가 제1 상수 값이고,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제2 영역의 제2 범위 내에 있을 때, 문턱치가 제2 상수 값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할 수 있고,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할 수 있으며, 경사진 영역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값은 제1 범위의 상한일 수 있고 제2 값은 제2 범위의 하한일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의 기울기는 상수 값일 수 있다. 연속 단조 함수는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과 제3 상수 값을 갖는 제3 영역 사이에 제2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할 수 있고, 제3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경사진 영역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값은 제1 범위의 상한일 수 있고 제2 값은 제2 범위의 하한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 사용자 기기 또는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채널에서 검출된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채널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1 상수 값을 갖는 제1 영역과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 사이에 경사진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인 값을 갖는 문턱치를 측정과 비교하도록 - 경사진 영역은 제1 상수 값 또는 제2 상수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의 함수를 포함함 - ; 그리고 비교에 응답하여, 채널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제1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할 수 있고,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할 수 있으며, 경사진 영역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값은 제1 범위의 상한일 수 있고 제2 값은 제2 범위의 하한일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양태들과 구현들은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된다. 전술한 정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양태들 및 구현들의 예시적인 예시들을 포함하며, 청구된 양태들 및 구현들의 본질 및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도면들은 다양한 양태들 및 구현들의 예시 및 추가의 이해를 제공하며,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비율에 맞게 그려지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과 명칭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명확성을 위해, 모든 도면에서 모든 컴포넌트에 명칭이 붙여질 수는 없다. 도면들에서,
도 1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머리 착용가능 디스플레이의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전력 레벨들의 다수의 범위들을 커버하는 다수의 ED 문턱치 함수들의 제1 그래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전력 레벨들의 다수의 범위들을 커버하는 ED 문턱치 함수의 제2 그래프이다.
도 3c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전력 레벨들의 다수의 범위들을 커버하는 ED 문턱치 함수의 제3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또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컴퓨팅 환경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주제(subject matter)는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사용자 기기,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는, 채널이 점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정의된 에너지 검출(ED) 문턱치 함수와 비교하는, 채널의 ED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문턱치 함수는, 두 개의 평평한 영역들 사이에 특정한 경사진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를 형성하는, 수학적으로 정의된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포함한다. 경사진 영역은 (정의된/고정된 값 대신) 적어도 평평한 영역 문턱치와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 값(들)의 함수일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가변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을 최적으로 어드레싱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 시뮬레이션들이, 적어도 일부 최대 송신 전력 값들에 대한 최적의 문턱치를 지정하고, 그 다음 ED 문턱치 함수의 설계/구성을 구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이러한 양태들은 모바일 단말 측과 기지국 측 모두에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공유된 비면허 스펙트럼(예를 들어, WiFi, 셀룰러/5G, 초광대역 등)에서 모든 무선 프로토콜들에 적용 가능하다.
매년 무선 네트워크들에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증가하는 수요들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시스템 파라미터들 또는 요구사항들에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더 큰 대역폭, 더 낮은 지연 시간, 및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혁신에서의 제한 요인들 중 하나는 스펙트럼의 가용성일 수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비면허 사용을 위한 스펙트럼의 이용 가능성은 매력적인 제안이 될 수 있다. 2020년 4월에, 미국의 FCC는 6GHz 대역(5.925GHz 내지 7.125GHz)에서 1200MHz의 스펙트럼이 이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들을 채택했다. 유럽에서, 6GHz 동작을 위한 규칙들은, 무선 스펙트럼에의 액세스를 위한 Harmonised Standard의 ETSI EN 303687: 6 GHz RLAN에서 찾을 수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은 LTE의 이용 가능성을 확장하기 위한 관심사였다. 예시들에서, 3GPP 릴리즈 13에서의 LTE에 대한 주요 개선 사항들 중 하나는 LAA(Licensed-Assisted Access)를 통해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그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일 수 있고, 이는 LTE-어드밴스드 시스템(LTE-Advanced system)에 의해 도입된 유연한 운반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CA)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시스템 대역폭을 확장한다. 3GPP는 5G NR 릴리즈 15를 출시한 다음,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5G NR 지원을 제공하거나 허용하는 NR-U를 제공하는 릴리즈 16을 출시했다. 3GPP 릴리즈 16에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채널 액세스에 대한 규칙은 3GPP TS 37.213에서 찾을 수 있다.
ETSI EN 303687에서는, 문턱치가 어떻게 선택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모호함이 현재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기법들은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결정, 선택 및 활용하기 위한 다수의 옵션들을 제공한다. 에너지 검출 문턱치는, 채널 측정이 발생하는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 디바이스의 유형(예를 들어, VLP 디바이스, 비-VLP 디바이스) 및/또는 이를 통해 채널이 통신하는 네트워크의 속성의 함수인 가변 값 또는 상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그의 최대 출력 전력에 따라 달라지는 단일 ED 문턱치 계산을 실행한다. 디바이스는 ED 문턱치와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을 사용하여 채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채널에서의 송신들이 에너지 검출 문턱치(energy detection threshold; EDT)보다 큰 전력 레벨에 존재하는 한, 채널은 점유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레벨은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적분하여 결정될 수 있고, 그 다음 MHz당 송신 전력으로 정규화될 수 있다. 수신되는 전력은 기기와 안테나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에너지 검출 문턱치보다 큰 전력 레벨에서 송신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채널은 점유되지 않은 채널로서 지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기법들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들 디바이스들 및 복수의 스테이션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들에 적용되거나 이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AP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STA 디바이스들이 AP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및/또는 STA 디바이스들이 다른 STA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STA 디바이스에 대한 채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에너지 검출 문턱치 기법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증강 현실(AR)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가상 현실(VR)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a를 참조하면,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120)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100)이 묘사된다. 간략한 개요에서,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40)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모바일 단말, 사용자 기기, 스테이션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하는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모바일 단말, 사용자 기기, 스테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전에,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의 에너지 검출 측정(112)을 수행하고, 측정(112)을 정의된 에너지 검출(ED) 문턱치(120) 함수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채널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그의 최대로 구성된 송신 전력에 따라 달라지는 ED 문턱치(120)를 계산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송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채널(142)을 통해 송신들을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모바일 단말, 사용자 기기, 또는 스테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은, 기지국 측 및/또는 모바일 단말 측 모두에 의해 적용되거나 실행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2)는 네트워크(140)를 통한 통신들의 양측에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무선 네트워크(140)를 제공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150)(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들)를 무선 네트워크(140)에 연결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무선 네트워크(140)를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140)에 대한 연결들을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킹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무선 네트워크(140)를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140)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지정된 영역으로 Wi-Fi 신호를 투사할 수 있다. 지정된 영역은, 지정된 이웃, 기본 서비스 영역(basic service area; BSA) 또는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라우터에 연결되거나,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150)를 무선 네트워크(140)에 연결하기 위한 라우터의 컴포넌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4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개인 통신망(Personal Area Network; PAN), 다양한 무선 또는 셀룰러 연결을 통한 회사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40)는 공용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 또는 사설 네트워크와 공용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150)(예를 들어, 머리 착용가능 디스플레이(HWD; 150))에 인공 현실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솔을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검출된 위치 및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인공 현실 공간 내의 뷰(view)를 결정하고, 결정된 뷰를 묘사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렌더링을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150)(예를 들어, HWD)에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시스템(100)은 도 1a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거나,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인공 현실 시스템 환경을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인공 현실 시스템 환경(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기능은 여기에 설명된 것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컴포넌트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50)(예를 들어, 콘솔)의 기능 중 일부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HWD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들(150)(예를 들어, HWD)의 기능 중 일부는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콘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프로세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디바이스(102)에 대한 입력 데이터의 사전 프로세싱 및/또는 디바이스(102)에 대한 출력 데이터의 사후 프로세싱을 위한 임의의 로직, 회로부 및/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4)는 디바이스(102)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구성, 제어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로직, 회로부, 프로세싱 컴포넌트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력 레벨들(110), 측정들(112), ED 문턱치들(120) 및/또는 송신 전력 값들(122)을 포함하는 데이터 및 메트릭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프로세서(10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들 또는 방법들(예를 들어, 방법(4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실행하거나 수행하기 위해 디바이스(102)의 드라이버 또는 호스트 드라이버를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도 5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싱 유닛들(516)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저장 디바이스(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6)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 저장 드라이브 또는 저장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6)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또는 디바이스(102) 내부에 있는 내부 S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저장 디바이스(106)는 디바이스(102)의 집적 회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6)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 메모리 유닛, 저장 디바이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개시에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계층들 및 모듈들을 완료하거나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저장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에 설명된 다양한 활동들 및 정보 구조들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컴포넌트들, 객체 코드 컴포넌트들, 스크립트 컴포넌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정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에 따르면,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를 통해 프로세서(104)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예를 들어, 방법(400))을 실행하기 위한(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저장 디바이스(106)는 도 5의 저장소(518)와 동일하거나, 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회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08)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컴퓨팅 시스템(514)의 컴포넌트이거나 그 일부일 수 있다. 예시들에서, 회로부(108)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렌더링될 콘텐츠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전자 컴포넌트의 조합, 또는 전자 컴포넌트이다. 일 양태에서, 디바이스(102)는 통신 인터페이스(115) 및 콘텐츠 제공자(116)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함께 동작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위치 및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인공 현실의 뷰(예를 들어, 사용자의 FOV)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뷰에 대응하는 인공 현실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도 1a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거나,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일부로서 통합된다. 일부 예시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5)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와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전자 컴포넌트의 조합, 또는 전자 컴포넌트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15)는, 통신 링크(예를 들어, USB 케이블) 또는 통신 채널을 통해 디바이스(102)의 통신 인터페이스(115)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65)에 상응하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115)는 컴퓨팅 디바이스(150)로부터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결정된 위치 및 배향(orientation) 및/또는 사용자의 결정된 시선 방향을 나타내는 센서 측정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115)는 렌더링될 이미지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컴퓨팅 디바이스(150)로 송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116)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위치 및 배향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렌더링될 콘텐츠를 생성하는 컴포넌트이다. 일 양태에서, 콘텐츠 제공자(116)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위치 및 배향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인공 현실의 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116)는 물리적 공간에서의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위치를 인공 현실 공간 내의 위치에 매핑하고, 인공 현실 공간 내의 매핑된 위치로부터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배향 및/또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인공 현실 공간의 뷰를 결정한다. 콘텐츠 제공자(116)는 인공 현실 공간의 결정된 뷰의 이미지를 설명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50)로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콘텐츠 제공자(116)는 이미지와 연관된 모션 벡터 정보, 깊이 정보, 에지 정보, 객체 정보 등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메타데이터를 컴퓨팅 디바이스(150)로 송신한다. 콘텐츠 제공자(116)는 이미지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으며, 인코딩된 데이터를 컴퓨팅 디바이스(150)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콘텐츠 제공자(116)는 이미지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1초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제공한다.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채널(142)의 전력 레벨(110)을 측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측정(112)을 결정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전력 레벨(110)은, 채널(142)을 통해 수신된 전력, 채널(142)을 통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력 레벨 및/또는 채널(142)을 통해 수신된 송신들의 레벨을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전력 레벨(110)은, 채널(142)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고, 메가헤르츠(MHz) 당 전력 값으로 정규화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와 디바이스의 안테나 어셈블리(130) 사이(예를 들어, 수신 기기와 안테나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측정(112)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ED 문턱치(120)를 실행하거나 적용할 수 있다. ED 문턱치(120)는 측정(112)을 수행하는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변화하거나 구성 가능한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ED 문턱치들(120)은, 예를 들어, 고정된 또는 정적인 문턱값을 적용하는 대신에, 채널(142)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ED 문턱치(120)에 대한 가변 값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영역들을 갖는 함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ED 문턱치(120)를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문턱치 함수들(124)을 포함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문턱치 함수들(124)은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 하나 이상의 상수 값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력 문턱치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ED 문턱치(120)를 생성하거나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진 영역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평평한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ED 문턱치(120)에 대한 값을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고, 각각의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을 선택된 문턱치 함수(124)에 적용하여 ED 문턱치(120)에 대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최대 송신 전력(122)(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송신 전력(PH)이라고도 지칭됨)을 포함하는 상이한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최대 송신 전력(122)은 디바이스(102)의 구성된 최대 송신 능력을 나타낼 수 있고, 네트워크(14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102)의 유효 범위에 비례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802.11 프로토콜들을 사용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 스테이션(STA)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모바일 단말, 사용자 기기, 액세스 포인트,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머리 착용가능 디바이스(HWD), 컴퓨팅 시스템 또는 WiFi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예를 들어, 착용가능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가능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다른 휴대 전화, 디바이스(예를 들어, 소비자 디바이스),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가상 현실(VR) 퍽, VR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VR 컴퓨팅 디바이스, 머리 장착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분산 컴퓨팅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머리 장착 디바이스(head mounted device; HMD), 머리 착용가능 디바이스(HWD),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worn display; HWD) 또는 머리 착용 디바이스(head worn device; HWD)로 구현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연결된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VR, 증강 현실(AR) 및/또는 혼합 현실(MR) 경험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프로세서들(104), 저장 디바이스(10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와 같은 통상적인, 특수화된 또는 맞춤형 컴퓨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도 2에 도시된 HWD(150)의 일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152)을 제공하거나 호스팅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152)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가상 현실(VR) 애플리케이션(152), 증강 현실(AR) 애플리케이션(152), 또는 혼합 현실(MR) 애플리케이션(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예를 들어, HWD)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인공 현실 경험을 제시하거나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컴포넌트이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사용자에게 인공 현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렌더링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오디오는, 컴퓨팅 디바이스(150), 디바이스(102) 또는 둘 다로부터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고 오디오 정보에 기반하여 오디오를 제시하는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피커들 및/또는 헤드폰들)를 통해 제시된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센서들(155), 눈 추적기들(164), 통신 인터페이스(165), 이미지 렌더러(170), 전자 디스플레이(175), 렌즈(180) 및 보상기(185)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함께 동작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위치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검출된 위치 및/또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인공 현실 내의 뷰의 이미지를 렌더링할 수 있다. 다른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도 1a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거나,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4)는, 디바이스(102) 및/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150)로의 송신들을 위한 입력 데이터의 사전 프로세싱, 및/또는 디바이스(102)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한 출력 데이터의 사후 프로세싱을 위한 임의의 로직, 회로부 및/또는 프로세싱 컴포넌트(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4)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구성, 제어 및/또는 관리하기 위한 로직, 회로부, 프로세싱 컴포넌트 및/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력 레벨들(110), 측정들(112), ED 문턱치들(120) 및/또는 송신 전력들(122)을 포함하는 데이터 및 메트릭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프로세서들(104)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들 또는 방법들(예를 들어, 방법(4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실행하거나 수행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드라이버 또는 호스트 드라이버를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도 5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싱 유닛들(516)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저장 디바이스(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6)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와 연관된 임의의 유형 또는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 보유 또는 유지하도록 설계 또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전력 레벨들(110), 측정들(112), ED 문턱치들(120) 및/또는 송신 전력 값들(122)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6)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 내부에 있는 내부 S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저장 디바이스(106)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집적 회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06)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 메모리 유닛, 저장 디바이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개시에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계층들 및 모듈들을 완료하거나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저장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에 설명된 다양한 활동들 및 정보 구조들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컴포넌트들, 객체 코드 컴포넌트들, 스크립트 컴포넌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정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에 따르면,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를 통해 프로세서(104)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예를 들어, 방법(400))을 실행하기 위한(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저장 디바이스(106)는 도 5의 저장소(518)와 동일하거나, 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회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08)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컴퓨팅 시스템(514)의 컴포넌트이거나 그 일부일 수 있다. 예시들에서, 회로부(108)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센서들(155)은,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위치 및 배향을 검출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 전자 컴포넌트들의 조합, 또는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센서들(155)의 예시들은, 하나 이상의 이미징 센서,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 하나 이상의 자이로스코프, 하나 이상의 자력계, 또는 모션 및/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는 병진 이동(예를 들어, 전/후, 상/하, 좌/우)을 측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이로스코프는 회전 이동(예를 들어, 피치(pitch), 요(yaw), 롤(roll))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센서들(155)은 병진 이동 및 회전 이동을 검출하고,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배향 및 위치를 결정한다. 일 양태에서, 센서들(155)은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이전 배향 및 위치에 대한 병진 이동 및 회전 이동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병진 이동 및/또는 회전 이동을 누적 또는 통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새로운 배향 및/또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기준 방향으로부터 25도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예시를 가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20도 회전한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센서들(155)은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지금 기준 방향으로부터 45도 방향을 향하고 있거나 그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제1 방향으로 기준점으로부터 2피트 떨어진 곳에 위치된 다른 예시를 가정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제2 방향으로 3피트 이동된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센서들(155)은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지금 제1 방향의 2피트 및 제2 방향의 3피트의 벡터 곱에 위치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눈 추적기들(164)은,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결정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과 전자 컴포넌트들의 조합, 또는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눈 추적기들(164)은 두 개의 눈 추적기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눈 추적기(164)는 대응하는 눈의 이미지를 캡처하고 눈의 시선 방향을 결정한다. 일 예시에서, 눈 추적기(164)는 캡처된 눈의 이미지에 따라 눈의 각도 회전, 눈의 병진 이동, 눈의 비틀림 변화 및/또는 눈의 모양 변화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도 회전, 병진 이동 및 눈의 비틀림 변화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한 상대적인 시선 방향을 결정한다. 하나의 접근법에서, 눈 추적기(164)는 눈의 일부에 대해 미리 결정된 기준 또는 구조화된 패턴을 비추거나 투사할 수 있고, 눈의 이미지를 캡처하여 눈의 일부에 대해 투사된 패턴을 분석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한 눈의 상대적인 시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눈 추적기들(164)은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배향과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한 상대적인 시선 방향을 통합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결정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기준 방향으로부터 30도 방향으로 배향되고,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상대적인 시선 방향이 -10도(또는 350도)인 예시를 가정하면, 눈 추적기들(164)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20도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사용자는 눈 추적기들(164)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들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50)를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사용자는 눈 추적기들(164)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프롬프트된다.
일부 예시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65)는, 디바이스(102)와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전자 컴포넌트의 조합, 또는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65)는, 통신 링크 또는 통신 채널을 통해 디바이스(102)의 통신 인터페이스(115)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채널은 무선 링크, 유선 링크,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무선 링크의 예시들은 셀룰러 통신 링크, 근거리 통신 링크, Wi-Fi, 블루투스, 또는 임의의 통신 무선 통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링크의 예시들은 USB, 이더넷, 파이어와이어, HDMI 또는 임의의 유선 통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 및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단일 시스템 상에 구현되는 예시들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65)는 버스 연결 또는 전도성 트레이스를 통해 디바이스(102)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165)는 디바이스(102)로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결정된 위치 및 사용자의 결정된 시선 방향을 나타내는 센서 측정들을 송신할 수 있다. 게다가,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165)는 렌더링될 이미지를 나타내거나 이에 대응하는 센서 측정들을 디바이스(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이미지 렌더러(170)는, 예를 들어, 인공 현실의 공간의 뷰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와 전자 컴포넌트의 조합, 또는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이미지 렌더러(17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또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 processing unit; GPU))로서 구현된다. 이미지 렌더러(170)는, 통신 인터페이스(165)를 통해, 렌더링될 이미지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전자 디스플레이(175)를 통해 이미지를 렌더링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로부터의 데이터가 인코딩될 수 있고, 이미지 렌더러(170)는 이미지를 생성 및 렌더링하기 위해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이미지 렌더러(170)는 디바이스(102)로부터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인코딩된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디바이스(102)와 컴퓨팅 디바이스(150) 사이의 통신 대역폭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양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의해,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위치 및 배향,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고, 디바이스(102)에 의해,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해 검출된 위치 및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이미지(예를 들어, 1920 x 1080 픽셀 또는 2048 x 1152 픽셀)를 생성 및 송신하는 프로세스가, 계산적으로 철저할 수 있고, 프레임 시간(예를 들어, 11ms 또는 8ms 미만) 내에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이미지 렌더러(170)는, 컴퓨팅 디바이스(150)로부터의 이미지가 프레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쉐이딩(shading) 프로세스 및 재투사(reprojection) 프로세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쉐이딩 프로세스 및 재투사 프로세스는 인공 현실의 공간의 뷰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전자 디스플레이(175)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컴포넌트이다. 전자 디스플레이(175)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자 디스플레이(175)는 사용자가 투시(see through)하는 것을 허용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5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 전자 디스플레이(175)는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위치(예를 들어, 3인치 미만)된다. 일 양태에서, 전자 디스플레이(175)는 이미지 렌더러(17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에 따라 사용자의 눈을 향해 광을 방출하거나 투사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렌즈(180)는 전자 디스플레이(175)로부터 수신된 광을 변경하는 기계적 컴포넌트이다. 렌즈(180)는 전자 디스플레이(175)로부터의 광을 확대하고, 광과 연관된 광학적 오류를 정정할 수 있다. 렌즈(180)는 프레넬 렌즈, 볼록 렌즈, 오목 렌즈, 필터, 또는 전자 디스플레이(175)로부터의 광을 변경하는 임의의 적절한 광학 컴포넌트일 수 있다. 렌즈(180)를 통해, 전자 디스플레이(175)의 광이 동공에 도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자 디스플레이(175)가 눈들에 근접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전자 디스플레이(175)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보상기(185)는 임의의 왜곡들 또는 수차들을 보상하기 위해 보상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전자 컴포넌트의 조합, 또는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렌즈(180)는 색수차, 핀-쿠션 왜곡, 배럴 왜곡 등과 같은 광학 수차들을 도입한다. 보상기(185)는 렌즈(180)에 의해 야기된 왜곡들을 보상하기 위해 이미지 렌더러(170)로부터 렌더링될 이미지에 적용할 보상(예를 들어, 사전 왜곡)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보상을 이미지 렌더러(170)로부터의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보상기(185)는 전자 디스플레이(175)에 사전 왜곡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채널들(142)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바이스(102)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1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150) 사이에 확립된 통신 채널, 1차(primary) 링크, 연결(예를 들어, 무선 연결) 및/또는 세션(예를 들어, 사용자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세션)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들(142) 링크들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IEEE 802.11 기반 프로토콜, 블루투스 기반 프로토콜, WiFi 기반 프로토콜,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프로토콜, 또는 셀룰러 기반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채널들(142)은 IEEE 802.11ay 프로토콜 또는 802.11ax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 및 컴퓨팅 디바이스들(150)은 채널들(142)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동작들, 업링크 동작들 및/또는 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150) 또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102) 간의 피어 투 피어 송신들을 위한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 및 컴퓨팅 디바이스들(150)은 채널들(142)을 사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50)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연결된 디바이스(예를 들어, 머리 착용가능 디스플레이)의 사용자에게 완전한 VR 경험, AR 경험 또는 MR 경험을 제공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
이제 도 1b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90)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복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150)(예를 들어, STA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다. 디바이스(102)는 무선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150)에 대한 기지국 역할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결정된 영역, 이웃 및/또는 기본 서비스 영역(BSA)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기본 서비스 세트(BSS)로 지칭되는 통신들을 위해 디바이스(102)를 사용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네트워크(140)는 단일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중앙 AP)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102)(예를 들어, 다수의 AP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들(150)은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고, 및/또는 디바이스(102)와 독립적인(예를 들어, AP 없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102)의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들(15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5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모바일 디바이스, 랩톱, 센서, HWD 및/또는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들(150)은 사용자에게 VR 애플리케이션들, AR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MR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AP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ED 문턱치(120) 및/또는 문턱치 함수(124)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STA 디바이스들(150)이 AP 디바이스(102)와 통신하기 위해 및/또는 STA 디바이스들(`50)이 다른 STA 디바이스들(150)과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STA 디바이스(150)에 대한 채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에너지 검출 문턱치 기법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증강 현실(AR)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가상 현실(VR)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HWD 디바이스(150)의 도면이다. 일부 예시들에서, HWD 디바이스(150)는 전면(front) 강체(205)와 밴드(210)를 포함한다. 전면 강체(205)는 전자 디스플레이(175)(도 2에 도시되지 않음), 렌즈(180)(도 2에 도시되지 않음), 센서들(155), 눈 추적기들(164A, 164B), 통신 인터페이스(165) 및 이미지 렌더러(1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에서, 센서들(155)은 전면 강체(205) 내에 위치되며,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시들에서, HWD 디바이스(15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미지 렌더러(170), 눈 추적기들(164A, 164B) 및/또는 센서들(155)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위치들에 있을 수 있다.
이제 도 3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2)(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122)(예를 들어, x축, 수평축)과 ED 문턱치(120)에 대해 결정된 값(예를 들어, y축, 수직축)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300)가 제공된다. 그래프(300)는 세 개의 상이한 문턱치 함수들(124)을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변화함에 따라 ED 문턱치(120)의 값의 변화를 예시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그래프(300)는 방법(400)의 동작(420)에 대응하는 제1 ED 문턱치 함수(124), 방법(400)의 동작(422)에 대응하는 제2 ED 문턱치 함수(124) 및 방법(400)의 동작(424)에 대응하는 제3 ED 문턱치 함수(124)를 포함하고 디바이스(102)에 의해 실행되어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하고 채널(142)의 측정들(112)에 적용하여 각각의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ED 문턱치(120)의 값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302)를 커버하는 제1 영역(322),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304)를 커버하는 경사진 영역(324) 및 전력 레벨들의 제3 범위(306)를 커버하는 제2 영역(326)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22)은 제1 전력 문턱치(308)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302)를 포함하거나 이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1 전력 문턱치(308)보다 작은 경우,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ED 문턱치(120)로서 제1 상수 값(312) 및 함수(320)의 제1 영역(322)을 사용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324)은 제1 전력 문턱치(308)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치(310)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304)를 포함하거나 이를 커버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1 전력 문턱치(308)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치(310)보다 작은 경우,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ED 문턱치(120)로서 가변 값(314) 및 함수(320)의 경사진 영역(324)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영역(326)은 제2 전력 문턱치(310)보다 큰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3 범위(306)를 포함하거나 이를 커버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2 전력 문턱치(310)보다 큰 경우,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ED 문턱치(120)로서 제2 상수 값(316) 및 함수(320)의 제2 영역(326)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영역(322)은 제1 상수 값(312)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영역(326)은 제2 상수 값(316)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상수 값(316)은 제1 상수 값(312)과 상이할(예를 들어, 이보다 작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경사진 영역(324)은, 제1 상수 값(312), 제2 상수 값(316), 제1 전력 문턱치(308), 제2 전력 문턱치(310) 및/또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함수인 가변 값(314)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경사진 영역(324)의 기울기는 상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경사진 영역의 기울기는, 제1 상수 값(312)으로부터 제2 상수 값(316)까지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에 기반하여 변화하는 상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에 액세스하는 것을 시도하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을 결정할 수 있고, 채널(142)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송신 전력(122)을 사용하여 적절한 ED 문턱치(120)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1 전력 문턱치(308)보다 작은 경우, 함수(320)의 제1 영역(322)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제1 상수 값(312)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1 전력 문턱치(308)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치(310)보다 작은 경우, 함수(320)의 경사진 영역(324)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는 경사진 영역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값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2 전력 문턱치(310)보다 큰 경우, 함수(320)의 제2 영역(326)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제2 상수 값(316)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제 도 3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2)(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122)(예를 들어, x축, 수평축)과 ED 문턱치(120)에 대해 결정된 값(예를 들어, y축, 수직축)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330)가 제공된다. 그래프(330)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의 상이한 값들에 대한 ED 문턱치(120)의 값의 변화를 도시한다. 예시들에서, 그래프(330)는, 각각의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채널(142)의 측정들(112)에 적용하기 위해 디바이스(102)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턱치 함수(124)(예를 들어, 도 4의 동작(428)로부터의 문턱치 함수(124))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ED 문턱치(120)의 값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332)를 커버하는 제1 영역(350),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334)를 커버하는 경사진 영역(352) 및 전력 레벨들의 제3 범위(336)를 커버하는 제2 영역(354)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3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50)은 제1 전력 문턱치(338)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332)를 포함하거나 이를 커버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324)은 제1 전력 문턱치(338)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치(340)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334)를 포함하거나 이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영역(354)은 제2 전력 문턱치(340)보다 큰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3 범위(336)를 포함하거나 이를 커버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1 영역(350)은 제1 상수 값(342)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영역(354)은 제2 상수 값(346)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상수 값(346)은 제1 상수 값(342)과 상이할(예를 들어, 이보다 작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경사진 영역(352)은, 제1 상수 값(342), 제2 상수 값(346), 제1 전력 문턱치(338), 제2 전력 문턱치(340) 및/또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함수인 가변 값(344)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경사진 영역(352)의 기울기는 상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경사진 영역(352)의 기울기는, 제1 상수 값(342)으로부터 제2 상수 값(346)까지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에 기반하여 변화하는 상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속 단조 함수(348)는 제1 상수 값(342)을 갖는 제1 영역(350)과 제2 상수 값(346)을 갖는 제2 영역(354) 사이의 경사진 영역(352)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352)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제1 값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332)의 상한일 수 있거나 이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값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334)의 하한일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1 전력 문턱치(338)보다 작은 경우, 함수(348)의 제1 영역(350)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제1 상수 값(342)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1 전력 문턱치(338)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치(340)보다 작은 경우, 함수(348)의 경사진 영역(352)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는 경사진 영역(352)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값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2 전력 문턱치(340)보다 큰 경우, 함수(348)의 제2 영역(354)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제2 상수 값(346)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제 도 3c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2)(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122)(예를 들어, x축, 수평축)과 ED 문턱치(120)에 대해 결정된 값(예를 들어, y축, 수직축)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360)가 제공된다. 그래프(360)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의 상이한 값들에 대한 ED 문턱치(120)의 값의 변화들을 도시한다. 예시들에서, 그래프(360)는, 각각의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채널(142)의 측정들(112)에 적용하기 위해 디바이스(102)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턱치 함수(124)(예를 들어, 도 4의 동작(430)로부터의 문턱치 함수(124))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ED 문턱치(120)는 다수의 전력 레벨들의 범위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영역들을 갖는 함수(380)를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함수(380)는, 제1 전력 문턱치(372)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362)를 커버하는 제1 영역(3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82)은 제1 상수 값(342)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될 수 있다. 함수(380)는 제1 전력 문턱치(372)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치(374)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364)를 커버하는 제1 경사진 영역(3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진 영역(384)은, 제1 상수 값(392), 제2 상수 값(396), 제3 상수 값(398), 제1 전력 문턱치(372), 제2 전력 문턱치(374) 및/또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함수인 가변 값(394)을 포함할 수 있다. 함수(380)는, 제2 전력 문턱치(374)보다 크고 제3 전력 문턱치(376)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3 범위(366)를 커버하는 제2 영역(3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386)은 제2 상수 값(396)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될 수 있다.
함수(380)는 제3 전력 문턱치(376)보다 크고 제4 전력 문턱치(378)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4 범위(368)를 커버하는 제2 경사진 영역(3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진 영역(388)은, 제1 상수 값(392), 제2 상수 값(396), 제3 상수 값(398), 제3 전력 문턱치(376), 제4 전력 문턱치(378) 및/또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함수인 가변 값(397)을 포함할 수 있다. 함수(380)는, 제4 전력 문턱치(378)보다 큰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전력 레벨들의 제5 범위(370)를 커버하는 제3 영역(3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390)은 제3 상수 값(398)을 포함하거나, 이에 할당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연속 단조 함수(380)는 제1 상수 값(392)을 갖는 제1 영역(382)과 제2 상수 값(396)을 갖는 제2 영역(386) 사이의 제1 경사진 영역(38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경사진 영역(388)은 제2 상수 값(396)을 갖는 제2 영역(386)과 제3 상수 값(398)을 갖는 제3 영역(390) 사이에 있다. 예시들에서, 제1 경사진 영역(384)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제1 값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362)의 상한일 수 있거나 이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값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364)의 하한일 수 있다. 제2 경사진 영역(388)은 제3 값과 제4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제3 값은 전력 레벨들의 제3 범위(366)의 상한일 수 있거나 이를 나타낼 수 있고, 제4 값은 전력 레벨들의 제4 범위(368)의 하한일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1 전력 문턱치(372)보다 작은 경우, 함수(380)의 제1 영역(382)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제1 상수 값(392)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1 전력 문턱치(372)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치(374)보다 작은 경우, 함수(380)의 제1 경사진 영역(384)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는 제1 경사진 영역(384)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값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2 전력 문턱치(374)보다 크고 제3 전력 문턱치(376)보다 작은 경우, 함수(380)의 제2 영역(386)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제2 상수 값(396)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3 전력 문턱치(376)보다 크고 제4 전력 문턱치(378)보다 작은 경우, 함수(380)의 제2 경사진 영역(388)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는 제2 경사진 영역(388)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값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이 제4 전력 문턱치(378)보다 큰 경우, 함수(380)의 제3 영역(390)이 적용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적절한 ED 문턱치(120)가 제3 상수 값(398)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400)이 제공된다. 간략한 개요에서, 방법(400)은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402), 문턱치 함수를 선택하는 단계(404), 문턱값을 결정하는 단계(406), 제1 문턱치 함수를 실행하는 단계(예를 들어, 적용하는 단계)(420), 제2 문턱치 함수를 실행하는 단계(422), 제3 함수를 실행하는 단계(424), 제4 함수를 실행하는 단계(426), 제5 문턱치 함수를 실행하는 단계(428), 제6 문턱치 함수를 실행하는 단계(430), 제7 문턱치 함수를 실행하는 단계(432), 측정을 문턱치와 비교하는 단계(408), 및 채널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은 디바이스(102)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5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또는 회로부(예를 들어, 프로세서(104), 회로부(1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채널(142)의 상태를 결정하는 디바이스(102)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나, 방법(400)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150)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동작(402)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측정(112)이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에서 검출된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력 레벨(110)을 나타내는 채널(142)의 측정(112)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채널(142)의 전력 레벨들(110)을 측정 또는 결정하여 채널들(142)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 및/또는 둘 이상의 디바이스들(102) 간의 통신들을 위해 이용 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채널(142)에 송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ED 문턱치(120)보다 큰 전력 레벨(110)에서 송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채널(142)은 점유되지 않은 채널로 간주, 라벨링 또는 지칭될 수 있다. ED 문턱치(120)보다 큰 전력 레벨(110)에서 채널(142)에 송신들이 존재하는 경우, 채널(142)은 점유된 채널로 간주, 라벨링 또는 지칭될 수 있다.
채널(142)은 다수의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또는 세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채널(142)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머리 착용가능 디바이스에 인공 현실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콘솔(예를 들어, 디바이스(102))과 하나 이상의 머리 착용가능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50)) 사이의 통신들 세션(예를 들어, 다운링크 송신들, 업링크 송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선택된 ED 문턱치(120)와 비교하기 위한 측정(112)을 수행할 수 있고, ED 문턱치(120)는, 측정될 채널(142), 측정을 수행하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 네트워크(140)의 속성들 및/또는 채널(142)을 통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02)의 속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달라질 수 있고 선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서 채널(142)을 통해 수신된 송신들을 측정하여 송신들의 수신된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수신된 전력은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기기)와 디바이스의 안테나 어셈블리(130)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측정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전력은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기기)의 통신 인터페이스(115)와 디바이스(102)에 연결되거나 디바이스(102)와 통신하는 안테나 어셈블리(130)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측정 또는 결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을 통해 수신된 전력을 통합하고 전력을 메가헤르츠(MHz) 당 전력 값으로 정규화함으로써 전력 레벨(110)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404)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문턱치 함수(124)는 측정된 채널(142) 및 디바이스(102)에 대한 문턱값을 결정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네트워크(140)(예를 들어, 기본 서비스 영역(BSA), WiFi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채널들(142)에 적용하여 각각의 채널들(142)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문턱치 함수들(124)을 포함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문턱치 함수들(124)을 실행하여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예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에 비례하는 ED 문턱치(120)에 대한 값을 생성 또는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 값, 디바이스(102)의 유형(예를 들어, VLP 디바이스, 비-VLP 디바이스), 측정된 전력 레벨(110)의 값 및/또는 네트워크(140)의 속성들(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BSA)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복수의 문턱치 함수들(124)로부터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측정(112)이 수행된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 및/또는 측정 채널(142)을 통해 연결되거나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송신 전력(122)을 사용하여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측정(112)이 수행된 디바이스(102)의 디바이스 유형(예를 들어, VLP 디바이스, 비-VLP 디바이스) 및/또는 측정된 채널(142)을 통해 연결되거나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102)의 디바이스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송신 전력(122) 값은 디바이스 유형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송신 전력(122) 및 디바이스 유형을 사용하여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406)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문턱치(120)에 대한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예를 들어, 선택된 문턱치 함수(124)를 사용하여, 측정된 채널(142)에 적용하기 위한 ED 문턱치(120)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 선택된 문턱치 함수(124)에 송신 전력(122)을 적용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ED 문턱치(120)는 기기(예를 들어, 디바이스, 콘솔, HWD)의 최대 구성된 송신 전력(PH)에 비례하도록 선택되거나 결정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1 문턱치 함수(124)가 선택된 경우, 방법(400)은 (420)으로 이동하여 제1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에 대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2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고, 방법(400)은 (422)로 이동하여 제2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예를 들어, 적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3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고, 방법(400)은 (424)로 이동하여 제3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4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고, 방법(400)은 (426)로 이동하여 제4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5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고, 방법(400)은 (428)로 이동하여 제5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6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고, 방법(400)은 (430)로 이동하여 제6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7 문턱치 함수(124)를 선택할 수 있고, 방법(400)은 (432)로 이동하여 제7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할 수 있다.
동작(420)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제1 문턱치 함수(124)는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이한 값을 갖는 함수인 제1 ED 문턱치 함수(124)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고, 함수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해 결정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다수의 영역들(예를 들어, 3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1 ED 문턱치 함수(124)는 도 3a의 함수(320)와 유사할 수 있지만, 상수 값들 및/또는 전력 문턱치들의 값들은 달라질 수 있다.
제1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1 전력 문턱값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제1 상수 값인 제1 영역, 제1 전력 문턱값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값 이하인 송신 전력(122)에 대한 송신 전력(122)과 제2 상수 값(예를 들어, 음의 제2 상수 값)의 합 또는 차이에 대응하는 경사진 영역 또는 가변 값인 제2 영역, 제2 전력 문턱값보다 큰 송신 전력 값들(122)에 대한 제2 상수 값인 제3 영역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 문턱값은 제2 전력 문턱값과는 상이할 수 있고, 제2 상수 값은 제1 상수 값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경사진 영역은 제2 영역에 걸쳐 제1 상수 값으로부터 제2 상수 값까지 연장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의 값은,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과 선택된 제2 송신 전력(122)의 차이에 더해진, 선택된 제2 상수 값의 합인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진 영역의 값은 각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ED 문턱치 함수(124)의 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영역: PH ≤ 14 dBm의 경우: EDT = -[75] dBm/MHz.
제2 영역: 14 dBm < PH ≤ [24] dBm의 경우: EDT = -85 dBm/MHz + ([24] dBm - PH).
제3 영역: PH≥[24] dBm의 경우: EDT = -85 dBm/MHz.
PH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을 나타내고 EDT는 ED 문턱치(120)를 나타낸다. 디바이스(102)는 제1 ED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방법(400)은 (408)로 이동하여 전력 레벨 측정(112)을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동작(422)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제2 ED 함수(124)가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이한 값을 갖는 함수인 제2 ED 문턱치 함수(124)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고, 다수의 영역들(예를 들어, 3개의 영역들)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2 ED 문턱치 함수(124)는 도 3a의 함수(320)와 유사할 수 있지만, 상수 값들 및/또는 전력 문턱치들의 값들은 달라질 수 있다.
제2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1 전력 문턱값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제1 상수 값인 제1 영역, 제1 전력 문턱값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값 이하인 송신 전력(122)에 대한 송신 전력(122)과 분수(fraction) 값의 곱과, 제2 상수 값(예를 들어, 음의 제2 상수 값)의 합 또는 차이에 대응하는 경사진 영역 또는 가변 값인 제2 영역, 제2 전력 문턱값보다 큰 송신 전력 값(122)에 대한 제2 상수 값인 제3 영역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 문턱값은 제2 전력 문턱값과는 상이할 수 있고, 제2 상수 값은 제1 상수 값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경사진 영역은 제2 영역에 걸쳐 제1 상수 값으로부터 제2 상수 값까지 연장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2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1 ED 문턱치 함수(124)와 유사하지만, 제2 또는 경사진 영역은 상이한 함수를 포함하여, 디바이스(102)의 제공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ED 문턱치(120)에 대한 상이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의 값은, 분수 값(예를 들어, 10/9)과,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과 선택된 제2 송신 전력(122)의 차이의 곱에 더해진, 선택된 제2 상수 값의 합인 함수(예를 들어, B + 10/9 * (Y-PH))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진 영역의 값은 각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2 ED 문턱치 함수(124)의 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영역: PH ≤ 14 dBm의 경우: EDT = -[75] dBm/MHz.
제2 영역: 14 dBm < PH ≤ [23] dBm의 경우: EDT = -85 dBm/MHz + 10/9*([23] dBm - PH).
제3 영역: PH≥[23] dBm의 경우: EDT = -85 dBm/MHz.
디바이스(102)는 제2 ED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방법(400)은 (408)로 이동하여 전력 레벨 측정(112)을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동작(424)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제3 ED 문턱치 함수(124)가 실행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이한 값을 갖는 함수인 제3 ED 문턱치 함수(124)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고, 함수(124)는 다수의 영역들(예를 들어, 3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3 ED 문턱치 함수(124)는 도 3a의 함수(320)와 유사할 수 있지만, 상수 값들 및/또는 전력 문턱치들의 값들은 달라질 수 있다.
제3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1 전력 문턱값보다 작은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제1 상수 값인 제1 영역, 제1 전력 문턱값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값 이하인 송신 전력(122)에 대한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과 제2 전력 문턱치 사이의 차이와, 제2 상수 값(예를 들어, 음의 제2 상수 값)의 합 또는 차이에 대응하는 경사진 영역 또는 가변 값인 제2 영역, 및 제2 전력 문턱값보다 큰 송신 전력 값들(122)에 대한 제2 상수 값인 제3 영역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력 문턱값은 제1 전력 문턱값과는 상이할 수 있고, 제2 상수 값은 제1 상수 값과는 상이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은 제2 영역에 걸쳐 제1 상수 값으로부터 제2 상수 값까지 연장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3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1 ED 문턱치 함수(124)와 유사할 수 있지만, 제3 ED 문턱치 함수(124)의 제2 또는 경사진 영역은 상이한 제2 상수 값 및/또는 상이한 전력 문턱치를 포함하여, 디바이스(102)의 제공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한 ED 문턱치(120)에 대한 상이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의 값은,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과 제2 전력 문턱치 사이의 차이에 더해진, 선택된 제2 상수 값의 합인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진 영역의 값은 각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3 ED 문턱치 함수(124)의 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영역: PH ≤ 14 dBm의 경우: EDT = -[75] dBm/MHz
제2 영역: 14 dBm < PH ≤ [23] dBm의 경우: EDT = -84 dBm/MHz + ([23] dBm - PH)
제3 영역: PH≥[23] dBm의 경우: EDT = -84 dBm/MHz
디바이스(102)는 제3 ED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방법(400)은 (408)로 이동하여 전력 레벨 측정(112)을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동작(426)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제4 ED 문턱치 함수(124)가 실행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이한 값을 갖는 함수인 제4 ED 문턱치 함수(124)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고, 다수의 영역들(예를 들어, 2개의 영역들)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ED 문턱치 함수(124)는, 전력 변수(variable) 이하인 송신 전력 값들(122)에 대한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과 전력 변수 사이의 차이와 상수 값의 차이 또는 합과 동일한 값을 갖는 경사진 영역 또는 가변 값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전력 변수보다 큰 송신 전력 값들(122)에 대한 상수 값과 동일한 제2 영역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또는 경사진 영역의 값은,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과 전력 변수 값 사이의 차이에 더해진, 선택된 상수 값의 합인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 또는 경사진 영역의 값은 각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4 ED 문턱치 함수(124)의 함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영역: PH≤[P1] dBm의 경우: EDT = -85 dBm/MHz + ([P1] dBm - PH).
제2 영역: PH>[P1] dBm의 경우: EDT = -85 dBm/MHz.
일부 예시들에서, 변수(P1)의 값은 24 dBm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4 ED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방법(400)은 (408)로 이동하여 전력 레벨 측정(112)을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동작(428)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제5 ED 문턱치 함수(124)가 실행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이한 값을 갖는 함수인 제5 ED 문턱치 함수(124)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고, 다수의 영역들(예를 들어, 3개의 영역들)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5 ED 문턱치 함수(124)는 도 3b의 함수(348)와 유사할 수 있지만, 상수 값들 및/또는 전력 문턱치들의 값들은 달라질 수 있다.
제5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2 전력 변수(예를 들어, 제4 ED 문턱치 함수(124)와는 상이한 전력 변수인, 제2 전력 변수) 이하인 송신 전력 값들(122)에 대한 제1 상수 값과 동일한 제1 영역, 및 제2 상수 값, 전력 변수, 제1 상수 값, 제2 전력 변수, 및 제2 전력 변수보다 크고 제1 전력 변수 이하인 송신 전력 변수(122)에 대한 각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 (122)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경사진 영역 또는 가변 값을 갖는 제2 영역, 및 제1 전력 변수보다 큰 송신 전력 값(122)에 대한 제2 상수 값과 동일한 제3 영역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2 영역은 가변 값 또는 경사진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의해 곱해진 제2 전력 변수와 제1 전력 변수 사이의 차이로 나눈 제1 상수 값과 제2 상수 값 사이의 차이에 더해진 제2 전력 변수와 제1 전력 변수 사이의 차이로 나눈 제1 상수 값과 제2 상수 값 사이의 차이에 의해 곱해진 제1 전력 변수와 제2 상수 값 사이의 차이와 동일하다. 제5 ED 문턱치 함수(124)의 제2 영역의 값은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 선택된 상수 값들 및/또는 선택된 전력 변수들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1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할 수 있고,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할 수 있으며, 경사진 영역은 제1 값(예를 들어, 제1 상수 값)과 제2 값(예를 들어, 제2 상수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값은 제1 범위의 상한일 수 있고 제2 값은 제2 범위의 하한일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의 기울기는 상수 값을 포함하거나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이 경사진 영역의 범위 내에 있을 때, 경사진 영역의 함수에 따라 ED 문턱치(120)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을 ED 문턱치 함수(124)에 의해 나타내거나 이에 대응하는 전력 레벨들 또는 값들의 범위들에 적용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이 ED 문턱치 함수(124)의 경사진 영역에 의해 커버되는 전력 레벨들의 범위 내에 속하거나 포함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은 제1 전력 문턱값보다 크고 제2 전력 문턱값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전력 레벨들의 범위는, ED 문턱치 함수(124)의 경사진 영역에 의해 커버되는 전력 레벨들의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전력 문턱값으로부터 제2 전력 문턱값까지이다.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을 ED 문턱치 함수(124)의 경사진 영역에 적용하여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에 대응하는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이 ED 문턱치 함수(124)에 의해 커버되는 전력 레벨들의 제1 영역의 제1 범위 내에 있을 때, ED 문턱치(120)가 제1 상수 값일 수 있고,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이 ED 문턱치 함수(124)에 의해 커버되는 전력 레벨들의 제2 영역의 제2 범위 내에 있을 때, 문턱치가 제2 상수 값일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을 ED 문턱치(120)에 의해 나타내거나 이에 대응하는 전력 레벨들의 범위들에 적용할 수 있고,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이 제1 상수 값 또는 제2 상수 값에 대응하는 전력 레벨들의 범위 내에 속하거나 이에 포함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은 ED 문턱치(120)의 전력 레벨들의 제1 영역에 할당되는 제1 전력 문턱값보다 작을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ED 문턱치(120)가 제1 상수 값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은 ED 문턱치(120)의 전력 레벨들의 제2 영역에 할당된 제2 전력 문턱값보다 클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ED 문턱치(120)가 제2 상수 값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5 ED 문턱치 함수(124)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영역: PH ≤ P2 dBm의 경우: EDT = [ED1] dBm/MHz.
제2 영역: P2 dBm < PH ≤ [P1] dBm의 경우: EDT = -85-P1* (-85-ED1)/(P1-P2)+ (-85-ED1)/(P1-P2)*PH.
제3 영역: PH > [P1] dBm의 경우: EDT = -85 dBm/MHz
P1 및 P2는 각각 제1 및 제2 전력 변수들을 나타내고, ED1은 선택된 상수 값을 나타낸다. 디바이스(102)는 제5 ED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방법(400)은 (408)로 이동하여 전력 레벨 측정(112)을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동작(430)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제6 ED 문턱치 함수(124)가 실행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이한 값을 갖는 함수인 제6 ED 문턱치(120)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제6 문턱치 함수(124)는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해 결정된 송신 전력(122)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다수의 영역들(예를 들어, 5개 영역들)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6 ED 문턱치 함수(124)는 도 3c의 함수(380)와 유사할 수 있지만, 상수 값들 및/또는 전력 문턱치들의 값들은 달라질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제6 ED 문턱치 함수(120)는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과 제3 상수 값을 갖는 제3 영역 사이에 제2 경사진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할 수 있고, 제3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경사진 영역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값은 제1 범위의 상한일 수 있고 제2 값은 제2 범위의 하한일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제6 ED 문턱치 함수(124)는 적어도 2개의 경사진 영역들을 포함하는 전력 레벨들의 5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ED 문턱치 함수는,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포함할 수 있는 제1 영역,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하는 제1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영역, 전력 레벨들의 제3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제3 영역, 전력 레벨들의 제4 범위를 커버하는 제2 경사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제4 영역, 및 전력 레벨들의 제5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제5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최대 송신 전력(122)을 제6 ED 문턱치 함수(124)에 적용하여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이 속하는 ED 문턱치(120)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대응하는 영역을 사용하여, 제1 경사진 영역 또는 제2 경사진 영역에 대응하는 상수 값 또는 변화하는 값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에 대한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6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4 전력 변수 이하인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제2 상수 값과 동일한 제1 영역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2 상수 값, 제4 전력 변수, 제1 상수 값, 제3 전력 변수 및 제4 전력 변수보다 크고 제3 전력 변수 이하인 송신 전력 값들(122)에 대한 각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경사진 영역 또는 가변 값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2 영역은,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에 의해 곱해진 제3 전력 변수와 제4 전력 변수의 차이로 나눈 제1 상수 값과 제2 상수 값의 차이에 더해진 제3 전력 변수와 제4 전력 변수의 차이로 나눈 제1 상수 값과 제2 상수 값의 차이에 의해 곱해진 제4 전력 변수를 뺀 제2 상수 값과 동일한 값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3 전력 변수보다 크고 제2 전력 변수 이하인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제1 상수 값과 동일한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3 상수 값, 제1 전력 변수, 제1 상수 값, 제2 전력 변수 및 제2 전력 변수보다 크고 제1 전력 변수 이하인 송신 전력 값들(122)에 대한 각각의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경사진 영역 또는 가변 값을 갖는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4 영역은, 각각의 디바이스(102)에 대한 송신 전력(122)에 의해 곱해진 제2 전력 변수와 제1 전력 변수의 차이로 나눈 제1 상수 값과 제3 상수 값의 차이에 더해진 제2 전력 변수와 제1 전력 변수의 차이로 나눈 제1 상수 값과 제3 상수 값의 차이에 의해 곱해진 제1 전력 변수를 뺀 제3 상수 값과 동일한 값을 갖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1 전력 변수보다 큰 송신 전력(122)에 대한 제3 상수 값과 동일한 제5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6 ED 문턱치 함수(124)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1 영역: PH ≤ P4 dBm의 경우: EDT = [ED2] dBm/MHz.
제2 영역: P4 dBm < PH ≤ P3 dBm의 경우: EDT = ED2-P4* (ED2-ED1)/(P4-P3)+ (ED2-ED1)/(P4-P3)*PH.
제3 영역: P3 dBm < PH ≤ [P2] dBm의 경우: EDT = [ED1] dBm/MHz.
제4 영역: P2 dBm < PH ≤ [P1] dBm의 경우: EDT = -85-P1* (-85-ED1)/(P1-P2)+ (-85-ED1)/(P1-P2)*PH.
제5 영역: PH > [P1] dBm의 경우: EDT = -85 dBm/MHz.
P1, P2, P3 및 P4는 각각 제1, 제2, 제3 및 제4 전력 변수들을 나타내고, ED1 및 ED2는 각각 상이한 선택된 상수 값들을 나타낸다. 디바이스(102)는 제6 ED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방법(400)은 (408)로 이동하여 전력 레벨 측정(112)을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동작(432)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제7 ED 문턱치 함수(124)가 실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VLP 디바이스들(102)의 수 및/또는 이용 가능한 VLP 디바이스들(150)에 부분적으로 기초하거나, 디바이스(102)의 영역 또는 결정된 범위 내에서 제7 ED 문턱치 함수(124)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결정된 범위 또는 네트워크(140)(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BSA, 이웃)에서 저전력(예를 들어, VLP) 디바이스들(102)의 수 및/또는 이용 가능한 VLP 디바이스들(150)에 대응하거나, 부분적으로 이에 기반하거나, 이에 따라 달라지도록, ED 문턱치(120)를 결정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ED 문턱치 함수(124)는, 채널 측정이 발생한 디바이스(102)의 결정된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102) 및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102)의 디바이스 유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초저전력(VLP)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다른 VLP 디바이스들(102)(또는 디바이스들(15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과 제1 문턱치의 곱, 및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과 제2 문턱치의 곱의 함수로서 ED 문턱치(120)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문턱치는 제2 문턱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들에서, 저전력 디바이스들(102)(또는 디바이스들(150))은 14dBm 이하인 송신 전력 값을 갖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 디바이스)는 결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저전력 디바이스들(102) 및/또는 디바이스들(150)의 백분율(p)을 어나운스(announce)할 수 있다. 저전력 디바이스들(102)(예를 들어, VLP DUT)에 의한 낮은 송신들(예를 들어, 낮은 변조 및 코딩 선택(modulation and coding selection; MCS) 송신들)에 대한 예시들에서, 제7 ED 문턱치 함수(124)는 2개 또는 다수의 ED 문턱치들(120)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ED 문턱치 함수(124)는, 제1 ED 문턱치(120)(예를 들어, ED_low)에 의해 곱해진 전력 변수와 상수 값(예를 들어, 1)에서 전력 변수를 뺀 것을 제2 ED 문턱치(120)(예를 들어, ED_high)로 곱한 것의 합과 동일한 값을 갖는 함수이도록 결정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7 ED 문턱치 함수(124)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D 문턱치 = p*(ED_low) + (1-p)*(ED_high).
제1 ED 문턱치 및 제2 ED 문턱치(120)는 송신들의 전력 레벨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20 MHz 송신들에 대한 하나의 예시에서, 제1 ED 문턱치(120)(예를 들어 ED_low)는 -72 dBm과 동일할 수 있고, 제2 ED 문턱치(120)(예를 들어, ED_high)는 -52 dBm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20MHz 송신들을 위한 제1 ED 문턱치(120)(예를 들어, ED_low)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D_low는 공식: -85 dBm + 10*log10(20) = -72 dBm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20MHz 송신들을 위한 제2 ED 문턱치(120)(예를 들어, ED_high)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D_high는 공식 -65 dBm + 10*log10(20) = 52 dBm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제7 ED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방법(400)은 (408)로 이동하여 전력 레벨 측정(112)을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동작(408)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측정(112)이 문턱치(120)와 비교될 수 있다. 디바이스(402)는, 측정(112)을, 예를 들어, 선택된 문턱치 함수(124)를 사용하여 결정된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선택된 ED 문턱치 함수(124)를 실행하여 ED 문턱치(120)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문턱치 함수들(124)은, 상이한 송신 전력(122) 또는 상이한 범위의 송신 전력(122) 값들에 할당되거나 이에 대응하는 상이한 ED 문턱치(120) 각각을 갖는 다수의 ED 문턱치(120) 값들을 제공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 문턱치(120)는 송신 전력(122) 값들의 제1 범위(예를 들어, 제1 전력 문턱값보다 작은 PH)에 대한 제1 값, 송신 전력(122) 값들의 제2 범위(예를 들어, 제1 전력 문턱값과 제2 전력 문턱값 사이의 PH)에 대한 제2 값 및 송신 전력(122) 값들의 제3 범위(예를 들어, 제2 전력 문턱값보다 큰 PH)에 대한 제3 값을 가질 수 있다. ED 문턱치(120)에 포함된 송신 전력(122) 값들의 수 및 범위들은, 선택된 문턱치 함수(124)에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달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단일 값, 2개 이상의 값들, 3개의 값들, 5개의 값들).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122)을 사용하여 적절한 ED 문턱치(120)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채널(142)의 전력 레벨(110)의 측정(112)을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측정(112)을, 제1 상수 값을 갖는 제1 영역과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 사이에 경사진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인 값을 갖는 ED 문턱치(120)와 비교할 수 있다. 경사진 영역은, 디바이스(102)의 최대 송신 전력(122)과 제1 상수 값 또는 제2 상수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410)에서, 그리고 일부 예시들에서, 채널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각각의 채널(142)의 채널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디바이스(102)는, 비교에 응답하여, 채널(142)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전력 레벨(110)이 ED 문턱치(120)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채널(142)이 점유되었고 디바이스(102)가 통신들을 위해 액세스하는 데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채널이 점유되었거나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102)는 다음 채널(142)을 선택하여 디바이스(102)를 통한 통신들을 위한 사용 및 그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방법(400)은 (402)로 돌아가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전력 레벨(110)이 ED 문턱치(120)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채널(142)이 점유되지 않았고 디바이스(102)가 통신들을 위해 액세스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채널(142)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2)를 통해 통신들(예를 들어, 송신, 수신)을 개시, 활성화 또는 허용할 수 있다. 예시들에서, 방법(400)은, (402)로 돌아가서, 디바이스(102) 및/또는 네트워크(140)의 상이한 디바이스(102)에 대한 다음 채널(142)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은 컴퓨터 시스템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컴퓨팅 시스템(514)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부 예시들에서, 도 1a 내지 도 1b의 디바이스(102), 컴퓨팅 디바이스(150) 또는 둘 다는, 컴퓨팅 시스템(514)에 의해 구현된다. 컴퓨팅 시스템(514)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다른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착용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안경, 머리 착용가능 디스플레이),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와 같은 소비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분산 컴퓨팅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514)은 VR, AR, MR 경험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시들에서, 컴퓨팅 시스템(514)은, 프로세서들(516), 저장 디바이스(51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0),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522) 및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524)와 같은 통상적인 컴퓨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0)는 원격 서버 시스템의 WAN 인터페이스 또한 연결되는 광역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에 대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0)는 유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이더넷), 및/또는 Wi-Fi, 블루투스 또는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 표준들(예를 들어, 3G, 4G, 5G, 60 GHz, LTE 등)과 같은 다양한 RF 데이터 통신 표준들을 구현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522)는,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514)에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팅 시스템(514)은 신호들을 특정 사용자 요청들 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522)는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 스크롤 휠, 클릭 휠, 다이얼, 버튼, 스위치, 키패드, 마이크, 센서들(예를 들어, 모션 센서, 시선 추적 센서 등) 등 중에서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524)는 이를 통해 컴퓨팅 시스템(514)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524)는 컴퓨팅 시스템(514)에 의해 생성되거나 컴퓨팅 시스템(514)으로 전달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이미지 생성 기술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프로젝션 시스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등을, 지원 전자 기기들(예를 들어, 디지털-아날로그 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 신호 프로세서들 등)과 함께 통합할 수 있다.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로 둘 다로 기능하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들(524)은 디스플레이에 추가적으로 또는 디스플레이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 예시들은, 표시등들, 스피커들, 촉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프린터들 등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저장소 및 메모리와 같은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많은 피처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인코딩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세트로서 지정된 프로세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이들은 프로세서들이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표시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프로그램 명령어들 또는 컴퓨터 코드의 예시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되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및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 전자 컴포넌트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상위 레벨 코드를 포함하는 파일들을 포함한다. 적절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프로세서(516)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또는 메시지 관리 서비스들과 연관된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514)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514)은 예시적인 것이며, 변형들 및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들은 여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다른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514)은 특정 블록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이러한 블록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된 것이며, 컴포넌트 부품들의 특정 물리적 배열을 암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블록들은 동일한 시설에, 동일한 서버 랙에, 또는 동일한 마더보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블록들이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컴포넌트들에 대응할 필요는 없다. 블록들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거나 적절한 제어 회로부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블록들은 초기 구성이 어떻게 얻어지는지에 따라 재구성 가능하거나 재구성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구현들은, 회로부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서 실현될 수 있다.
이제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을 설명하였으므로, 전술한 내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예시하는 방식으로 제시되었음이 명백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시들 중 다수는 방법 행위들 또는 시스템 요소들의 특정 조합들을 수반하지만, 이러한 행위들 및 요소들은 동일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과 관련하여 논의된 행위들, 요소들 및 피처들은 다른 구현들 또는 구현들에서 유사한 역할이 배제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들 및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동작들,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데이터 프로세싱 컴포넌트들은, 범용 단일 또는 멀티 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통상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기계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시들 및 실시예들에서, 특정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은 주어진 기능에 특유한 회로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 메모리 유닛, 저장 디바이스 등)는 본 개시에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계층들 및 모듈들을 완료하거나 용이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저장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본 개시에 설명된 다양한 활동들 및 정보 구조들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컴포넌트들, 객체 코드 컴포넌트들, 스크립트 컴포넌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정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에 따르면, 메모리는 프로세싱 회로를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동작들을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기계 판독 가능 매체 상의 방법들, 시스템들 및 프로그램 제품들을 고려한다. 본 개시의 예시들 및 실시예들은 기존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이러한 목적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통합된, 적절한 시스템을 위한 특수 목적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하드와이어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예시들 및 실시예들은 기계 실행 가능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기 위한 또는 이를 전달하기 위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를 갖춘 다른 기계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시로서, 이러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기계 실행 가능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를 갖춘 다른 기계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조합들은 또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기계 실행 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싱 기계들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들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는(comprising)" "갖는" "함유하는" "수반하는" "특징으로 하는" "특징인" 및 이의 변형들의 사용은, 이후에 나열된 항목들, 이의 균등물들 및 추가 항목들뿐만 아니라, 이후에 나열된 항목들로만 배타적으로 구성된 대체 구현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하나의 구현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설명된 요소들, 행위들, 또는 컴포넌트들 중 하나, 하나보다 많은 것들의 각 조합, 또는 이들 전부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구현들 또는 요소들 또는 행위들에 대한 단수로 된 임의의 언급들은 또한, 복수의 이러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구현들을 포괄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구현 또는 요소 또는 행위에 대한 복수로 된 임의의 언급들 또한 단 하나의 요소만을 포함하는 구현들을 포괄할 수 있다. 단수 또는 복수 형태의 언급들은, 현재 개시된 시스템들 또는 방법들, 그들의 컴포넌트들, 행위들 또는 요소들을, 단일 또는 복수 구성들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임의의 행위 또는 요소가 임의의 정보, 행위 또는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는 언급들은, 행위 또는 요소가 임의의 정보, 행위 또는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는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은, 임의의 다른 구현, 예시 또는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으며, "구현", "일부 구현들", "하나의 구현" 등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구현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피처,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구현, 예시 또는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그러한 용어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구현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구현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 및 구현들과 일치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임의의 다른 구현과 포괄적으로 또는 배타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면들, 상세한 설명 또는 임의의 청구항에서의 기술적 피처들 뒤에 참조 부호들이 붙는 경우, 참조 부호들은 도면들,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의 명료함을 높이기 위해 포함되었다. 따라서, 참조 부호들의 유무는, 임의의 청구항 요소들의 범위에 대해 어떠한 제한하는 효과도 갖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그 특성들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다. "대략", "약", "실질적으로" 또는 정도에 대한 다른 용어들에 대한 언급들은, 명시적으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주어진 측정, 단위 또는 범위로부터 +/-10%의 변동들을 포함한다. 결합된 요소들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물리적으로 서로 직접 또는 중간 요소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범위는, 이에 따라, 전술한 설명이 아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표시되며, 청구항들의 의미 및 균등 범위 내에 있는 변화들은 그 안에 포괄된다.
“결합"이라는 용어 및 그 변형들은 두 개의 부재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접합하는(join)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합은 움직이지 않는(예를 들어, 영구적인 또는 고정된) 또는 이동 가능한(예를 들어, 제거 가능한 또는 해제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접합은, 두 부재들이 서로 또는 서로에 대해 직접 결합되거나, 두 부재들이 서로 결합된 별도의 중간 부재 및 임의의 추가 중간 부재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두 부재들이 두 부재들 중 하나와 단일 통합 바디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중간 부재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합된" 또는 그 변형들이 추가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경우(예를 들어, 직접 결합된), 위에 제공된 "결합된"의 일반적인 정의는, 추가 용어의 평이한 언어 의미에 의해 수정되어(예를 들어, "직접 결합된"은 임의의 별도의 중간 부재 없이 두 부재들이 접합되는 것을 의미함), 위에 제공된 "결합된"의 일반적인 정의보다 더 좁은 정의를 초래한다. 이러한 결합은 기계적, 전기적 또는 유체적인 것일 수 있다.
"또는"에 대한 언급들은 포괄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또는"을 사용하여 설명된 임의의 용어들은. 설명된 용어들 중 하나, 하나보다 많은 것, 그리고 전부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A'와 '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언급은, 오직 'A’, 오직 'B'뿐만 아니라,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하는" 또는 다른 개방형 용어와 함께 사용되는 이러한 언급들은, 추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요소들의 크기들, 치수들, 구조들, 형상들 및 비율들, 파라미터들의 값들, 장착 배열들, 재료들의 사용, 색상들, 배향들에 있어서의 변형들과 같은, 설명된 요소들 및 행위들의 수정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의 교시(teaching)들 및 이점들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도시된 요소들은 다수의 부품들 또는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고, 요소들의 위치가 뒤바뀌거나 그렇지 않으면 달라질 수 있으며, 개별 요소들의 본질 또는 개수 또는 위치들이 변경되거나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요소들 및 동작들의 설계, 동작 조건들 및 배열들에서, 다른 대체들, 수정들, 변화들 및 생략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요소들의 위치들(예를 들어, "상부", "하부", "위", "아래")에 대한 언급들은, 단지 도면들에서의 다양한 요소들의 배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요소들의 배향은 다른 예시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들은 본 개시에 의해 포괄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3)

  1.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의해, 채널에서 검출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상기 채널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측정을, 제1 상수 값을 갖는 제1 영역과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 사이에 경사진 영역을 갖는 연속 단조 함수(continuous monotonic function)인 값을 갖는 문턱치(threshold)와 비교하는 단계 - 상기 경사진 영역은 상기 제1 상수 값 또는 상기 제2 상수 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의 함수를 포함함 - ; 및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비교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이 점유되었는지 또는 점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력 레벨이 상기 문턱치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은 점유되었고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들을 위해 액세스하는 데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력 레벨이 상기 문턱치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은 점유되지 않았고 상기 디바이스가 통신들을 위해 액세스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상기 경사진 영역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경사진 영역의 함수에 따라 상기 문턱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상기 제1 영역의 제1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문턱치가 상기 제1 상수 값이고, 상기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이 상기 제2 영역의 제2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문턱치가 상기 제2 상수 값이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하고, 상기 경사진 영역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gradient)를 가지며,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1 범위의 상한이고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2 범위의 하한인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영역의 기울기는 상수 값인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단조 함수는, 상기 제2 상수 값을 갖는 제2 영역과 제3 상수 값을 갖는 제3 영역 사이에 제2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1 범위를 커버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전력 레벨들의 제2 범위를 커버하고, 상기 제2 경사진 영역은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차이에 반비례하는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제1 값은 상기 제1 범위의 상한이고 상기 제2 값은 상기 제2 범위의 하한인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초저전력(very low power; VLP)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다른 VLP 디바이스들의 범위 내에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문턱치의 곱 및 상기 디바이스의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문턱치의 곱의 함수로서 상기 문턱치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 사용자 기기 또는 디바이스,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13.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37009406A 2020-09-23 2021-07-30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230074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2285P 2020-09-23 2020-09-23
US63/082,285 2020-09-23
US17/135,226 US11671189B2 (en) 2020-09-23 2020-12-28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nergy detection thresholds
US17/135,226 2020-12-28
PCT/US2021/044084 WO2022066285A1 (en) 2020-09-23 2021-07-30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nergy detection threshol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133A true KR20230074133A (ko) 2023-05-26

Family

ID=8074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406A KR20230074133A (ko) 2020-09-23 2021-07-30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671189B2 (ko)
EP (1) EP4218344A1 (ko)
JP (1) JP2023541570A (ko)
KR (1) KR20230074133A (ko)
CN (1) CN116250357A (ko)
TW (1) TW202228412A (ko)
WO (1) WO20220662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4070B4 (de) * 2008-10-31 2012-03-29 Innovationszentrum für Telekommunikationstechnik GmbH IZ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requenzselektiven Belegungserfassung
US8301139B2 (en) * 2009-11-23 2012-10-30 Xilinx, Inc. Femtocell configuration using spectrum sensing
JP6607540B2 (ja) * 2014-07-25 2019-11-20 ソニー株式会社 共有チャネルの占有レベルを推定するための方法、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回路
EP3340725B1 (en) * 2015-08-21 2020-05-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US10375702B2 (en) * 2015-09-18 2019-08-06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ed adaptive spatial re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0206227B2 (en) * 2015-09-22 2019-02-12 Mediatek Inc.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clear channel assessment threshold
US10257859B1 (en) * 2016-05-17 2019-04-09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 channel assessment
US10104692B2 (en) * 2016-06-03 2018-10-16 Nokia Technologies Oy Adaptive energy detection threshold for clear channel assessment
US10849077B2 (en) * 2017-01-27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new radio-spectrum sharing (NR-SS)
US10251125B2 (en) * 2017-04-26 2019-04-02 Intel IP Corporation Power restriction period for high efficiency WiFi
US11290190B2 (en) * 2017-11-30 2022-03-29 Adva Optical Networking S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ignal gain setting
US11075721B2 (en) * 2019-04-29 2021-07-27 Itron, Inc. Channel plan management in a radio network
US10624041B1 (en) * 2019-04-29 2020-04-14 Itron, Inc. Packet error rate estimator for a radio
US11477803B2 (en) * 2019-07-12 2022-10-18 Arista Networks, Inc. Accommoda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hannel
US20210067976A1 (en) * 2019-11-12 2021-03-04 Laurent Cariou Signaling to avoid in-channel and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US11470642B2 (en) * 2020-03-27 2022-10-1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ccess with variable energy detection threshol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4454A1 (en) 2022-03-24
CN116250357A (zh) 2023-06-09
TW202228412A (zh) 2022-07-16
JP2023541570A (ja) 2023-10-03
EP4218344A1 (en) 2023-08-02
WO2022066285A1 (en) 2022-03-31
US20230261770A1 (en) 2023-08-17
US11671189B2 (en)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27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wideband radio
US1199092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exposure control with wireless links
US11723003B2 (en) Latency reduction for artificial reality
US202201919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cheduling
KR20230074133A (ko) 에너지 검출 문턱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1638172B2 (en) Intralink based session negotiation and media bit rate adaptation
CN113557674A (zh) 用于波束成形的系统和方法
KR20210137126A (ko) Ar/vr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2차 링크
US11711829B2 (en) Context aware mode switching of wireless device
US202400320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wideband frequency band allocation
US2023029231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upplemental uplink
US1184341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existence of Wi-Fi communication and narrowband communication
US2024006384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figuring uwb physical layer headers
US2024007295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figuring reduced repetitions for uwb physical layer headers
WO202318345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signaling information for holographic communications
US2024009801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qos management of wlan devices
US2023003803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 triggering buffer status reporting for transmission streams
US20220061047A1 (en) Systems and method of describing slot information
US2023002242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uffer status reporting for transmission streams
US20230045725A1 (en) Coordinating communication links for artificial reality
US20240080848A1 (en) Uplink configured grant management
US20220039120A1 (en) Extension of soft ap capabilities based on trigger frame
KR20230104929A (ko) 스펙트럼 마스크를 구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317765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upplemental uplink
WO2022256278A1 (en) Intralink based session negotiation and media bit rate 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