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099A -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099A
KR20230074099A KR1020230063998A KR20230063998A KR20230074099A KR 20230074099 A KR20230074099 A KR 20230074099A KR 1020230063998 A KR1020230063998 A KR 1020230063998A KR 20230063998 A KR20230063998 A KR 20230063998A KR 20230074099 A KR20230074099 A KR 20230074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glucose
value
blood sugar
calibration
reference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희
나지선
이다빛
강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23006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4099A/ko
Publication of KR2023007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95Calibrating or testing of in-vivo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 A61B2560/0238Means for recording calibration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연속혈당시스템을 통해 측정한 혈당값과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에 기초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를 상이하게 선택함으로써 교정모드에 따라 정확하게 혈당값을 교정할 수 있으며, 혈당값과 기설정한 임계범위에 기초하여 계산한 기준 혈당값 범위에서만 입력창에 스크롤되도록 활성하거나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난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경우 강제적으로 또는 자동으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사용하는 제2 교정모드로 혈당값을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사용자의 혈당값을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Method for calibrating sensor of CGMS}
본 발명은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연속혈당시스템을 통해 측정한 혈당값과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에 기초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를 상이하게 선택함으로써 정확하게 혈당값을 교정할 수 있으며, 혈당값과 기설정한 임계범위로부터 계산한 기준 혈당값 범위에서만 입력창에 입력할 기준 혈당값이 스크롤되도록 활성하거나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난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경우 강제적으로 또는 자동으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사용하는 제2 교정모드로 혈당값을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사용자의 혈당값을 교정할 수 있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에 이르고 있다.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 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되며,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은 관리를 위해 꾸준하게 혈당을 측정할 필요가 있어 혈당 측정과 관련된 장치는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뇨병 환자가 혈당 조절을 엄격하게 하는 경우, 당뇨병의 합병증 발생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은 각종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을 위해 규칙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채혈식 혈당측정기(finger prick method)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채혈식 혈당측정기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에 도움을 주지만, 측정 당시의 결과만 나타나기 때문에 자주 변화하는 혈당 수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채혈식 혈당측정기는 하루에도 수시로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매번 채혈을 할 필요가 있어, 당뇨병 환자에게 채혈에 대한 부담이 큰 문제가 있다.
당뇨병 환자는, 일반적으로 고혈당 및 저혈당 상태를 오가는데, 응급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발생한다. 저혈당 상태는 당분이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며, 의식을 잃거나 최악의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를 즉각적으로 발견하는 것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측정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채혈식 혈당측정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하여 수분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관리와 응급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어 체액을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트랜스미터는 인체에 센서가 삽입된 상태로 일정기간, 예컨대, 대략 15일 정도 동안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 정보를 생성한다. 센서 트랜스미터는 주기적으로 혈당 정보를 생성하는데, 통신 단말기는 혈당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혈당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출력한다.
위에서 설명한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센서 트랜스미터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삽입시 1시간 내지 3시간의 안정화 단계를 거쳐야 하며, 안정화가 완료되면 통신 단말기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제공한다.
정확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기 위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는 초기 교정되어야 하며, 이후 센서 트랜스미터의 사용기간 동안 일정 주기로 계속하여 교정되어야 한다. 초기 교정시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을 통신 단말기에 입력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되는 혈당 정보를 기준 혈당값으로 교정하며, 이후 센서 트랜스미터의 사용기간 동안 일정 주기로 계속해서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으로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를 교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연속혈당시스템을 통해 측정한 혈당값과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를 넘는 경우, 1개의 기준 혈당값만을 가지고 혈당값을 교정하기에는 기준 혈당값 또는 혈당값의 신뢰도가 낮으며 이에 기초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 따라서 연속혈당시스템을 통해 측정한 혈당값과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를 넘는 경우 연속혈당시스템을 통해 측정한 혈당값을 교정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1-062335호와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0/0168537호가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의 교정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연속혈당시스템을 통해 측정한 혈당값과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지에 기초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를 상이하게 선택하여 정확하게 혈당값을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혈당값과 기설정한 임계범위에 기초하여 계산한 기준 혈당값 범위에서만 입력창에 스크롤되도록 활성화되어 입력할 기준 혈당값이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 강제적으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사용하는 제2 교정모드로 혈당값을 교정하도록 하는 혈당값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교정주기에 측정한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센서 트랜스미터가 신체에 제대로 부착되어 있는지 알람하거나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여 혈당값을 교정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이 너무 긴 시간 차이로 입력되는 경우 연속하여 측정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도록 알람하는 혈당값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연속혈당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되는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은 교정 주기에 연속혈당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혈당값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교정 주기에 별도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의 차이가 임계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연속혈당측정장치의 혈당값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를 제1 교정모드 및 제2 교정모드 중 어느 하나의 교정모드로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한 교정모드에 따라 기준 혈당값을 이용하여 연속혈당측정장치의 혈당값을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혈당값 정보는 혈당값 또는 혈당 변화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제1 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제1 교정모드를 선택하며 제1 교정모드에서 기준 혈당값으로 연속혈당측정장치의 혈당값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제1 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2 교정모드를 선택하며, 제2 교정모드에서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다수의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으로부터 계산되는 교정값으로 연속혈당측정장치의 혈당값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값 교정 방법은 교정 주기에 연속혈당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혈당값과 제1 임계범위에 기초하여 제1 교정모드로 입력 가능한 기준 혈당값의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한 기준 혈당값의 범위에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 스크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활성화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기준 혈당값은 활성화된 입력창 스크롤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준 혈당값이 활성화된 입력창 스크롤의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2 교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2 교정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서로 다른 시각에 측정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교정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교정 주기에 측정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기준 혈당값에 기초하여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제1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기준 혈당값과 상기 혈당값의 차이가 제1 임계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제1 교정모드로 교정모드를 선택하고 기준 혈당값과 상기 혈당값의 차이가 제1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교정모드로 교정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교정 주기에 입력된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 사이의 차이가 제2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2 교정모드에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시각을 모니터링하며, 다수의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시간 차이가 기설정한 임계시간 차이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값 교정 방법은 연속혈당시스템을 통해 측정한 혈당값과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를 넘는지에 기초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를 상이하게 선택함으로써, 교정모드에 따라 정확하게 혈당값을 교정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값 교정 방법은 혈당값과 기설정한 임계범위로부터 계산한 기준 혈당값 범위에서만 입력할 기준 혈당값이 입력창에 스크롤되도록 활성하거나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난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경우 강제적으로 또는 자동으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사용하는 제2 교정모드로 혈당값을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사용자의 혈당값을 교정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값 교정 방법은 교정주기에서 측정한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센서 트랜스미터가 신체에 제대로 부착되어 있는지 알람하거나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여 혈당값을 교정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이 너무 긴 시간 차이로 입력되는 경우 연속하여 측정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도록 알람함으로써, 사용자의 혈당값을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초기 교정 정보 또는 주기적 교정 정보의 입력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값 교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속혈당측정기의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교정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교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기준 혈당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람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1)은 센서 트랜스미터(10) 및 통신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센서 트랜스미터(10)는 신체에 부착되는데 센서 트랜스미터(10)가 신체에 부착시 센서 트랜스미터(10)의 센서 일단은 피부에 삽입되어 인체의 체액을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한다.
통신 단말기(30)는 센서 트랜스미터(10)로부터 혈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에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센서 트랜스미터(10)와 통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통신 단말기(3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어떤 종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센서 트랜스미터(10)는 통신 단말기(3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설정된 시각마다 주기적으로 측정된 혈당 정보를 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하는데, 센서 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30)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센서 트랜스미터(10)와 통신 단말기(30)는 서로 USB 케이블 등에 의해 유선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또는 적외선 통신, NFC 통신,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의 안정화 후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을 교정 정보로 사용하여 초기 교정이 수행된다. 이후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값은 교정 정보를 이용하여 교정하고 교정한 혈당값을 사용자에 출력 제공한다.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측정된 혈당 정보를 정확하게 교정하기 위하여 센서 트랜스미터의 사용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을 신규 교정 정보로 사용하여 교정이 수행되며 신규 교정 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값을 교정하고 교정한 혈당값을 사용자에 출력 제공한다.
도 2는 초기 교정 정보 또는 주기적 교정 정보의 입력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센서 트랜스미터와 통신 단말기가 통신 연결된 시점(T0)부터 설정된 안정화 시간(TS) 동안이 경과할 때까지 센서 트랜스미터를 안정화시킨다.
센서 트랜스미터의 안정화가 완료되면, 초기 교정 정보(I0)가 입력된다. 여기서 초기 교정 정보(I0)는 센서 트랜스미터의 생체 정보를 정확하게 교정하기 위하여 다수번 입력될 수 있다.
센서 트랜스미터의 안정화 완료 후 센서 트랜스미터의 사용기간 만료 시점(TE)까지 주기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2시간, 1일마다 신규 교정 정보(I1, I2, I3, I4....)가 입력되며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를 교정 정보로 교정하여 교정한 혈당값을 사용자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값 교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값 교정 장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로 살펴보면, 교정 관리부(130)는 주기적인 교정 시간을 카운트하여 이전 교정 시각 이후 다음 주기의 교정 시각이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며, 다음 주기의 교정 시각이 도래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교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교정 관리부(130)는 다음 주기의 교정 시각이 도래한 경우 다음 주기의 교정 시각에서 연속혈당측정기의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값을 저장부(150)에서 추출하며 추출한 혈당값과 임계범위를 고려하여 기준 혈당값 범위를 계산하며, 입력창에서 계산한 기준 혈당값 범위에서만 기준혈당값이 스크롤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교정모드 선택부(15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의 차이가 임계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를 제1 교정모드 및 제2 교정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한다. 여기서 제1 교정모드는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의 차이가 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입력된 1개의 기준 혈당값에 기초하여 기준 혈당값을 교정 정보로 사용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를 의미하며, 제2 교정모드는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의 차이가 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입력된 다수의 기준 혈당값에 기초하여 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교정 정보를 사용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를 의미한다.
교정부(159)는 선택된 교정 모드에 따라 1개의 기준 혈당값을 교정 정보로 사용하여 다음 교정 주기까지 혈당값을 교정하여 사용자에 출력 제공하거나, 다수의 기준 혈당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교정 정보를 사용하여 다음 교정 주기까지 혈당값을 교정하여 사용자에 출력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교정 관리부(130)는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 사이의 차이가 제2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 센서 트랜스미터의 동작 상태 또는 배치 상태를 확인 요청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출력하거나,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이용하여 교정 정보를 생성시 기준 혈당값의 입력 시간 차이가 기설정한 임계시간 차이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 연속하여 기준 혈당값을 입력 요청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속혈당측정기의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설정한 교정주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S110). 여기서 교정주기는 12시간, 1일 또는 1주일 등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교정주기는 고정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 가능하다.
설정한 교정주기가 도래하면 해당 교정주기에 센서 트랜스미터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값을 저장부에서 추출한다(S130). 센서 트랜스미터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체액을 추출하고 추출한 체액에 기초하여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값을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데, 사용자 단말기는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값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
교정주기에 추출한 혈당값과 별도의 혈당측정기와 테스트 스트립을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에 기초하여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임계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혈당값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모드로 제1 교정모드를 선택하고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혈당값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모드로 제2 교정모드를 선택한다(S150).
선택한 교정모드에 기초하여 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교정 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값을 교정한다(S170). 여기서 제1 교정모드가 교정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측정한 기준 혈당값을 교정 정보로 사용하여 기준 혈당값에 기초하여 혈당값을 교정하며 제2 교정모드가 교정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서로 다른 시각에 측정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도록 하여 다수의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에 기초하여 교정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교정 정보로 혈당값을 교정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제2 교정모드에서 교정 정보를 생성하는 일 예는 아래의 수학식(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여기서 VA는 제2 교정모드에서 사용되는 교정 정보이며, VST1, VST2는 각각 t1시각과 t2 시각에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해 측정한 기준 혈당값이며, Vt1은 t1 시각에 센서 트랜스미터를 통해 측정한 혈당값이며, w1, w2 및 w3는 각각 VST1, VST2, Vt1에 할당되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2개 이상의 기준 혈당값을 이용하여 제2 교정모드에서 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t1 또는 t2 시각이 아닌 시각에서 측정한 혈당값을 이용하여 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을 측정하는 시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교정주기에서 혈당값과 기준혈당값으로부터 계산된 교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교정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수신한 혈당값을 교정하여 사용자에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정주기에서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측정한 혈당값에 기초하여 기준 혈당값 범위를 계산한다(S211). 여기서 기준 혈당값 범위는 혈당값에 소정 임계범위를 합산하여 기준 혈당값 범위의 상한값을 계산하고 혈당값에 소정 임계범위를 차감하여 기준 혈당값 범위의 하한값을 계산한다.
교정주기의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에 계산한 기준 혈당값 범위에서만 입력할 기준 혈당값이 스크롤되도록 입력창을 활성화 제어한다(S213).
입력창을 통해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5), 입력창을 통해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경우 즉, 입력창에서 기준 혈당값 범위를 스크롤하여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경우 혈당값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모드를 제1 교정모드로 선택한다(S217).
그러나 입력창을 통해 기준 혈당값이 입력될 수 없는 경우 즉, 기준 혈당값이 입력창에서 스크롤되는 기준 혈당값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기준 혈당값을 직접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218). 사용자 명령을 통해 기준 혈당값이 다수의 기준 혈당값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경우 혈당값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모드를 제2 교정모드로 선택한다(S219).
이와 같이, 입력창에 기준 혈당값 범위에서만 기준 혈당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스크롤 범위를 활성화 제어하며,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강제적으로 제2 교정모드로 교정하도록 하여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혈당값을 교정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정주기에 별도의 혈당측정기에서 측정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활성화된다.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창은 기준 혈당값 범위에서만 수치가 스크롤되어 기준 혈당값을 입력할 수 있는데 기준 혈당값 범위는 교정주기에 측정한 혈당값(Vt)로부터 임계범위(TH1/2)을 합산하여 기준 혈당값 범위의 상한값을 계산하며 교정주기에 측정한 혈당값(Vt)로부터 임계범위(TH1/2)을 차감하여 기준 혈당값 범위의 하한값을 계산한다. 사용자는 기준 혈당값이 기준 혈당값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입력창의 혈당값 수치를 스크롤하며 기준 혈당값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기준 혈당값 범위의 상한값을 계산하는데 이용되는 임계범위와 기준 혈당값 범위의 하한값을 계산하는데 이용되는 임계범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창에서 스크롤할 수 있는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나 기준 혈당값을 입력할 수 없는 경우, 임계범위를 벗어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창이 활성화되며, 사용자는 별도 활성화된 입력창에 다른 시각에 측정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입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교정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정주기에서 측정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활성화되는 경우, 입력창을 통해 교정주기에 측정한 기준 혈당값이 입력된다(S231).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기준 혈당값(VS)와 혈당값(Vt) 사이의 차이가 제1 임계범위(TH1)에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233), 기준 혈당값(VS)와 혈당값(Vt) 사이의 차이가 제1 임계범위(TH1)에 존재하는 경우 혈당값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모드로 제1 교정모드를 선택한다(S235).
그러나 기준 혈당값(VS)와 혈당값(Vt) 사이의 차이가 제1 임계범위(TH1)를 벗어난 경우, 혈당값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모드로 제2 교정모드를 선택한다(S237). 제2 교정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다른 시각에 각각 측정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창이 활성화된다(S239).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교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정주기에 측정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활성화된다.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창에 입력된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의 차이가 제1 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서로 다른 시각에 측정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창이 활성화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별도의 입력창은 적어도 1개 이상 활성화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시각에 측정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경우, 다수의 기준 혈당값을 이용하여 교정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교정 정보를 이용하여 혈당값을 교정한다.
도 9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기준 혈당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의 차이가 제2 임계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한다(S310). 여기서 제2 임계범위는 제1 임계범위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기준 혈당값과 혈당값의 차이가 제2 임계범위를 벗어난 경우, 센서 트랜스미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신체에 이탈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한 알람을 사용자에 제공한다(S330). 즉 센서 트랜스미터로부터 측정한 혈당값과 기준 혈당값의 차이가 매우 큰 경우에는 센서 트랜스미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 예를 들어 센서 트랜스미터가 오동작하거나 또는 신체에서 이탈한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센서 트랜스미터의 착용 상태나 동작 상태를 확인시키기 위한 알람을 제공한다.
한편, 제2 교정모드에서 다수의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데 제1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시각(t1)과 제2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시각(t2)의 차이가 임계 시간(THT)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며(S350), 제1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시각(t1)과 제2 기준 혈당값이 입력되는 시각(t2)의 차이가 임계 시간(THT)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임계 시간 범위 이내에서 측정된 기준 혈당값을 연속하여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알람을 사용자에 제공한다(S370). 이러한 알람을 통해 제2 교정모드에서 사용자가 일정 시간범위에서 연속하여 측정된 기준 혈당값을 입력하도록 하여 정확한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 교정 관리부
150: 저장부 170: 교정모드 선택부
190: 교정부

Claims (8)

  1. 혈당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정 주기에 상기 혈당측정장치에서 측정한 측정 혈당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상기 측정 혈당값과 임계 범위로부터 기준 혈당값 범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당값 교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혈당값 범위는
    상기 교정 주기에 측정한 상기 측정 혈당값에 상한 임계범위를 더한 상한 기준 혈당값과
    상기 교정 주기에 측정한 상기 측정 혈당값에 하한 임계범위를 차감한 하한 기준 혈당값으로 계산되는, 혈당값 교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임계 범위와 상기 하한 임계 범위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혈당값 교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값 교정 방법은
    상기 교정 주기에 입력된 기준 혈당값이 상기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입력된 상기 기준 혈당값이 상기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나는지에 따라 교정 모드를 상이하게 선택하여 교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혈당값 교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값 교정 방법은
    입력된 상기 기준 혈당값이 상기 기준 혈당값 범위 이내인 경우, 입력된 상기 기준 혈당값으로부터 생성되는 교정 정보를 사용하는 제1 교정 모드로 교정을 수행하며,
    입력된 상기 기준 혈당값이 상기 기준 혈당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입력된 상기 기준 혈당값과 추가 입력되는 기준 혈당값으로부터 생성되는 교정 정보를 사용하는 제2 교정 모드로 교정을 수행하는, 혈당값 교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기준 혈당값과 추가 입력되는 상기 기준 혈당값은 서로 상이한 시각에 측정한 기준 혈당값인, 혈당값 교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추가 입력되는 상기 기준 혈당값은 서로 상이한 시각에 측정한 적어도 1개 이상의 기준 혈당값인, 혈당값 교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값 교정 방법은
    상기 교정 주기에 입력된 기준 혈당값이 알람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정 주기에 입력된 기준 혈당값이 상기 알람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혈당값 교정 방법.
KR1020230063998A 2019-11-26 2023-05-17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KR20230074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998A KR20230074099A (ko) 2019-11-26 2023-05-17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96A KR102445697B1 (ko) 2019-11-26 2019-11-26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KR1020220116356A KR102535394B1 (ko) 2019-11-26 2022-09-15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KR1020230063998A KR20230074099A (ko) 2019-11-26 2023-05-17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356A Division KR102535394B1 (ko) 2019-11-26 2022-09-15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099A true KR20230074099A (ko) 2023-05-26

Family

ID=7612973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096A KR102445697B1 (ko) 2019-11-26 2019-11-26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KR1020220116356A KR102535394B1 (ko) 2019-11-26 2022-09-15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KR1020230063998A KR20230074099A (ko) 2019-11-26 2023-05-17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096A KR102445697B1 (ko) 2019-11-26 2019-11-26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KR1020220116356A KR102535394B1 (ko) 2019-11-26 2022-09-15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60266A1 (ko)
EP (1) EP3932310A4 (ko)
JP (2) JP7247370B2 (ko)
KR (3) KR102445697B1 (ko)
AU (2) AU2020393447B2 (ko)
WO (1) WO2021107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798B1 (ko) 2021-12-22 2022-09-01 제일기술(주) 연속혈당측정장치
KR20230100948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아이센스 교정 알람 방법
KR20230103396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아이센스 교정 알람 방법
KR20230110987A (ko) *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아이센스 연속생체 정보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신호를 교정하는 방법
KR20230165066A (ko) *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아이센스 생체 정보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값의 안정화 여부에 따라 생체값을 교정하는 방법
CN115670448B (zh) * 2022-10-13 2023-09-19 安徽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血糖连续监测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6762B2 (ja) 1999-08-31 2011-02-23 シーエムイー テレメトリックス インク. 分光装置を較正する方法
US6931327B2 (en) 2003-08-01 2005-08-16 Dexcom,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alyte sensor data
US8323195B2 (en) * 2008-12-31 2012-12-04 Panasonic Corporation Blood glucose measurement system
US8744783B2 (en) * 2009-08-27 2014-06-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generated during legged locomotion
JP2011062335A (ja) * 2009-09-17 2011-03-3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血糖値モニタリング装置
JP5462776B2 (ja) 2010-01-19 2014-04-02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WO2012170000A1 (en) 2010-01-22 2012-12-13 Abbott Diabetes Care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nalyte sensor calibration
US9241631B2 (en) 2010-10-27 2016-01-26 Dexcom, Inc. Continuous analyte monitor data recording device operable in a blinded mode
US9492118B1 (en) * 2013-06-28 2016-11-15 Life Sciences Llc Pre-treatment process for electrochemical amperometric sensor
CA2953577A1 (en) * 2014-09-22 2016-03-31 Dex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mode switching
KR102381045B1 (ko) * 2017-03-17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5198B1 (ko) * 2017-07-24 2019-08-28 최규동 하이브리드 연속혈당측정 시스템
KR102430437B1 (ko) * 2017-11-20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혈당 측정기, 혈당 측정 시스템 및 그 혈당 측정기를 이용한 혈당의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32310A1 (en) 2022-01-05
KR102445697B1 (ko) 2022-09-23
AU2020393447A1 (en) 2021-10-14
KR20210064651A (ko) 2021-06-03
JP7247370B2 (ja) 2023-03-28
JP2022530511A (ja) 2022-06-29
KR20220130646A (ko) 2022-09-27
JP7471486B2 (ja) 2024-04-19
AU2020393447B2 (en) 2022-10-13
US20220160266A1 (en) 2022-05-26
JP2023063494A (ja) 2023-05-09
AU2022291652A1 (en) 2023-02-02
KR102535394B1 (ko) 2023-05-26
EP3932310A4 (en) 2022-12-14
WO2021107335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394B1 (ko) 연속혈당측정시스템에서 혈당값을 교정하는 방법
US20200337607A1 (en) Advanced calibration for analyte sensors
US9913619B2 (en) Model based variable risk false glucose threshold alarm prevention mechanism
US10573413B2 (en) Method for the detection and handling of hypoglycemia
US11607180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 portable device for analyzing glucose monitoring data indicative of a glucose level in a bodily flui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JP6986007B2 (ja) 生理学的パラメータに対する動的グルコースプロファイル応答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KR102475913B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서 교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EP4098194A1 (en) Method for calculating calibration sensitivity of sensor for insertion into body
KR101591072B1 (ko) 개인화된 저혈당 수치를 이용한 혈당 관리 방법
CA3231415A1 (en) Calibration alarm method
KR20230100948A (ko) 교정 알람 방법
KR20230110987A (ko) 연속생체 정보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 신호를 교정하는 방법
KR20230123794A (ko) 교정 인자를 보상하는 방법
CN117222356A (zh) 用于传感器过渡的数据流桥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