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658A -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658A
KR20230073658A KR1020210160272A KR20210160272A KR20230073658A KR 20230073658 A KR20230073658 A KR 20230073658A KR 1020210160272 A KR1020210160272 A KR 1020210160272A KR 20210160272 A KR20210160272 A KR 20210160272A KR 20230073658 A KR20230073658 A KR 20230073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home shopping
organization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7410B1 (ko
Inventor
김원모
황수정
조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6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4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들 별로,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청 정보 및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단일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HOME SHOPPING BROADCASTING}
본 발명은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홈 쇼핑 방송의 편성 및/또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적 편집 및/또는 구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TV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터넷 보급과 함께 IPTV 보급률도 증대되고 있다. IPTV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IPTV를 통해 제공되는 채널들 중에는 홈 쇼핑 (Home Shopping) 채널이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17개의 홈쇼핑 채널이 상용화되어 있다.
홈 쇼핑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 1과 같이 리모컨 (remote controller) 을 조작하여 홈 쇼핑을 방송 중인 채널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검색하여 홈 쇼핑 방송을 확인 및 예약하고, 홈 쇼핑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홈 쇼핑 방송들에 대한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홈 쇼핑 방송의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 (mobile application) 을 사용자 단말 (또는 모바일 폰) 에 설치하여 방송 정보를 파악하고, 홈 쇼핑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앱을 통해서는 IPTV에서 방송되는 홈 쇼핑 방송으로 이동할 수 없고, IPTV에서도 모바일 앱으로 이동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시청 방식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유발한다. 또한 현재 IPTV에서 홈 쇼핑 방송에 대한 편성 및 상품 정보는, 단순 상품 정보로 분류 및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현재 홈 쇼핑에서 제공되는 상품들에 대한 구매 트렌드, 인기 상품, 고객 선호도 등을 반영한 다양한 정보가 IPTV를 통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쉽게 관심 상품에 대한 정보 및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홈 쇼핑을 시청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 사용자 매체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별 상품 추천 방법 및 상품 추천 시스템 (공개특허 10-2017-0021454, 공개일자 2017년 02월 28일) - 서비스 서버가 추천한 복수의 홈쇼핑방송 VOD를 디지털 TV의 화면분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동시에 시청하는 방법 (공개특허 10-2017-0026141, 공개일자 2017년 03월 08일) -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쇼핑 브이오디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특허 10-2011-0007799, 공개일자 2011년 01월 25일) -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상품 추천 방법 및 상품 추천 시스템 (공개특허 10-2019-0093743, 공개일자 2019년 08월 12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에 있어서, 사용자가 홈 쇼핑 방송에 대한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IPTV 홈 쇼핑 방송을 시청하고자 할 때, 홈 쇼핑 방송에 대한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고, 홈 쇼핑 방송을 쉽게 시청 및 구매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는 1) AI를 활용하여 홈쇼핑 사별로 다른 상품 분류 기준 표준화 및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고 2) IPTV 시청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기반의 방송 상품 정보를 추출하며 (인기 홈쇼핑 방송, 최근 본 방송상품 등) 3) 방송상품 구성 관리 기능 제공을 통해 인기상품, 테마상품 등의 실시간 방송 편집/구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4) 셋톱박스(STB)내 구동되는 앱을 통해 IPTV 사용자는 홈쇼핑 방송 편성/상품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필요 시 홈 쇼핑 방송을 시청하며, 상품을 쉽게 구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기술적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IPTV 서비스 환경에서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들 별로,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청 정보 및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단일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동작은: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들 별로,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청 정보 및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단일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은: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들 별로,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청 정보 및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단일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 별로 주기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홈 쇼핑 방송의 방송일, 방송 시간, 홈 쇼핑 방송사의 명칭, 홈 쇼핑 방송의 프로그램 명칭 및 홈 쇼핑 방송의 쇼핑 호스트 이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상품 코드, 상품 이미지, 상품 모델, 상품 원산지, 상품 제조국, 상품 제조사, 상품 가격, 상품 원가, 상품 할인가격, 상품 할인율, 상품 카테고리, 상품 상세 정보 및 상품 브랜드 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배송비, 무료 배송 여부, 상품 평, 상품 리뷰 수, 상품 판매 여부, 상품 매진 여부, ARS 정보, 무료 샘플 제공 여부, 상품 청구 할인 여부, 할인 적용 카드 및 카드 별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AI/빅데이터 서버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AI/빅데이터 서버에 의해 표준화된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청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AI/빅데이터 서버로 전달된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AI/빅데이터 서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는,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내 동일 상품에 대한 상품 카테고리들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상품 카테고리들을 동일 카테고리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청 정보는,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 내 프로그램들 중, 현재 날짜보다 하루 전에 시청된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의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관리자 웹으로부터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 제2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는, 필터 키워드에 의해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후보안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물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유사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인물의 아바타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 키워드는, 무료, 쇼핑 호스트, 인기 프로그램, 방송사명, 채널 번호, 상품 브랜드, 상품 가격, 상품 할인율, 상품 평점, 상품 결제 시 무이자 할부 개월 수 및 상품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시청 정보, 상기 제2 시청 정보,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 상기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관리자 웹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및 장치들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구매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로 상품 구매를 위한 URL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PTV 서비스를 제공 시, 종래 발명과 차별화된 동작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는, IPTV 사용자가 홈 쇼핑 방송에 대한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IPTV 사용자가 현재 방영중인 홈 쇼핑 방송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쉽게 취득하고 특정 홈 쇼핑 방송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홈 쇼핑 방송사의 매출 증대가 유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IPTV 사용자 및 홈 쇼핑 방송사들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는 IPTV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선호도를 이끌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상술된 기술적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기술적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종래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에 따라 장치 별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형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서, "/" 및 ","는 "및/또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는 "A 및/또는 B"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B/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A, B, 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서, "또는"은 "및/또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오직 A", "오직 B", 및/또는 "A 및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또는"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명령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TV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TV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 AI/빅데이터 서버(200), 홈 쇼핑 서버(300), 관리자 웹(400) 및 셋톱박스(set-top box; STB, 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셋톱박스는, TV(800) 등의 디스플레이에 화면이 표시되는 홈쇼핑 앱(501)을 포함할 수 있다. TV(800) 및 셋톱박스(500)는, 리모컨(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모바일 폰 등 사용자 단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 AI/빅데이터 서버(200), 홈 쇼핑 서버(300), 관리자 웹(400), 셋톱박스(500) 및 사용자 단말(700)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통신망(미도시)은 각 장치들 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NR (New Radi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통신망(미도시)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사용자 단말(7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g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미도시)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1의 각 장치들(100, 200, 300, 400, 500, 700, 800)와 연결되며, 각 장치들(100, 200, 300, 400, 500, 700, 8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다른 장치(100, 200, 300, 400, 500, 700, 8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은, IPTV를 통해 방송되는 홈 쇼핑 방송을 운영하는 주체인 홈 쇼핑 방송사가 방송 운영을 위해 사용하는 서버 및/또는 단말을 의미한다. 홈 쇼핑 방송사는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을 통해 홈 쇼핑 방송을 셋톱박스(500)에 제공한다.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은 도 3에서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은 복수 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은 최소한 IPTV에서 제공되는 홈 쇼핑 방송의 채널의 수만큼 존재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은, 홈 쇼핑 방송에 대한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홈 쇼핑 서버(300)로 전달한다.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로부터 홈 쇼핑 서버(300)로 전달되는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AI/빅데이터 서버(200)는, 홈 쇼핑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수집 및 가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I/빅데이터 서버(400)는, 홈 쇼핑 서버(300)로부터 각 홈 쇼핑 방송사들 별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표준화할 수 있다. 표준화는,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내 동일 상품에 대한 상품 카테고리들이 서로 다른 경우, AI/빅데이터 서버(400)가 상기 서로 다른 상품 카테고리들을 동일 카테고리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이 표준화되어 생성된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AI/빅데이터 서버(200)는, 표준화된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홈 쇼핑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AI/빅데이터 서버(400)는 셋톱박스(500)로부터 사용자의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를 수신하고, 수신한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에 기반하여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I/빅데이터 서버(400)는, 생성된 제1 시청 정보를 홈 쇼핑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홈 쇼핑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가공된 홈 쇼핑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500)로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홈 쇼핑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서버(300)는, 복수의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100)로부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여, AI/빅데이터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홈 쇼핑 서버(300)는 AI/빅데이터 서버(200)로부터 제2 방송 편성 및 상품 정보와 제1 시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홈 쇼핑 서버(300)는 제2 방송 편성 및 상품 정보, 제1 시청 정보에 기반하여,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홈 쇼핑 서버(300)는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500)로 전달할 수 있다. 홈 쇼핑 서버(300)는 관리자 웹 (admin web) 으로부터 홈 쇼핑 방송 편성 및 상품 정보, 시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자 웹으로부터 수신되는 홈 쇼핑 방송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관리자 웹으로부터 수신되는 시청 정보는, 제2 시청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가 재구성될 때,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 및 제2 시청 정보가 더 이용될 수 있다. 홈 쇼핑 서버(300)는 셋톱박스(500)로부터 사용자의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700)로 상품 구매를 위한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을 전달할 수 있다. URL은, 예를 들어, 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모바일 폰이나 PC를 위한 인스턴트 메신저 (instant messenger)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관리자 웹(400)은 홈 쇼핑 서버(300)의 관리를 위해 제공되는 웹 페이지 및/또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를 의미한다. 관리자 웹(400)은 홈 쇼핑 서버(300)로부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며,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 제2 시청 정보를 홈 쇼핑 서버(300)로 송신한다. 관리자 웹(400)은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함에 있어, 필터 키워드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는, 홈 쇼핑 서버(30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홈 쇼핑 서버(300)와 관리자 웹(400)이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장치에 홈 쇼핑 서버(300)와 AI/빅데이터 서버(200)가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홈 쇼핑 서버(300), 관리자 웹(400), AI/빅데이터 서버(200)가 모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셋톱박스(500)는 IPTV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을 TV(8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셋톱박스(500)는 TV(800)의 디스플레이에 홈 쇼핑 방송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홈 쇼핑 앱(501)을 포함한다. 셋톱박스(500)는 홈 쇼핑 서버(300)로부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홈 쇼핑 서버(300)로 사용자의 상품 구매 정보를 전송한다. 셋톱박스(500)는, AI/빅데이터 서버(200)로 사용자의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7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홈 쇼핑 방송의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 프로그램을 다운 및 설치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들은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장치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시스템 내 각 장치들의 동작을 선후 관계를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홈 쇼핑 방송사의 서버 및/또는 단말(100)로부터 홈 쇼핑 방송에 대한 편성 및 상품 정보가 홈 쇼핑 서버(300)로 전달된다(F1).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F1 단계에서 홈 쇼핑 서버(300)가 수신하는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는 복수의 홈 쇼핑 방송사들의 서버 및/또는 단말(100)들로부터 홈 쇼핑 서버(300)로 수신된다. 홈 쇼핑 방송사들 별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은, 복수의 홈 쇼핑 방송사들의 서버 및/또는 단말(100)들 별로 독립적인 주기를 가지고 홈 쇼핑 서버(300)로 수신될 수 있다.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은 복수의 홈 쇼핑 방송사들의 서버 및/또는 단말(100)들에 대해 동일한 주기를 가지고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홈 쇼핑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쇼핑 방송사들은 17개가 존재한다.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이 수신될 때, 각 방송사들 별로 다른 형태의 정보들이 특정 형태로 변환되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방송사 별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은 REST (with json) API 형태로 통일되어 홈 쇼핑 서버(30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사들 별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은, 홈 쇼핑 방송의 편성에 대한 정보, 홈 쇼핑 방송의 상품에 대한 정보, 기타 홈 쇼핑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의 편성에 대한 정보는, 홈 쇼핑 방송의 방송일, 방송 시간, 홈 쇼핑 방송사의 명칭, 홈 쇼핑 방송의 프로그램 명칭 및 홈 쇼핑 방송의 쇼핑 호스트 이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의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품 코드, 상품 이미지, 상품 모델, 상품 원산지, 상품 제조국, 상품 제조사, 상품 가격, 상품 원가, 상품 할인가격, 상품 할인율, 상품 카테고리, 상품 상세 정보 및 상품 브랜드 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홈 쇼핑 관련 정보는, 배송비, 무료 배송 여부, 상품 평, 상품 리뷰 수, 상품 판매 여부, 상품 매진 여부, ARS 정보, 무료 샘플 제공 여부, 상품 청구 할인 여부, 할인 적용 카드 및 카드 별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한 홈 쇼핑 서버(300)는,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 쇼핑 서버(300)는, 수신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AI/빅데이터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F2).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은 서로 다른 홈 쇼핑 방송사에 의해 생성된 정보들이므로, 동일한 상품에 대해 서로 다른 상품 카테고리가 적용된 상태일 수 있다. 동일한 상품에 대해 동일한 카테고리로의 재분류를 위해, AI/빅데이터 서버(200)는 표준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준 카테고리 정보에는 홈 쇼핑 방송사 별 카테고리보다 세분화된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쇼핑 방송사가 사용하는 기준이 레벨 3의 카테고리 분류 기준이라면, 표준화된 카테고리 분류 기준은 레벨 4의 카테고리 분류 기준일 수 있다. 레벨 1의 분류 기준은, 예를 들어, 패션의류, 패션잡화, 화장품/미용, 디지털/가전, 생활/건강, 식품, 가구/인테리어, 여가/생활편의, 출산/육아, 도서, 스포츠/레저와 같이 큰 틀의 분류 기준일 수 있다. 분류 기준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카테고리가 세분화된다. 예를 들어, 식품은 레벨 2 분류 기준에서 신선식품, 간편/가공식품, 건강식품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신선식품은 레벨 3 분류 기준에서 과일, 채소, 육류, 유제품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과일 등은 레벨 4 분류 기준에서 구체적인 과일 명, 산지, 계절 등을 고려하여 세분화될 수 있으며, 레벨 4의 분류 기준이 표준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본 단락의 카테고리에 대한 내용은 예시로, 구체적인 카테고리 명칭이나 분류 기준은 본 단락의 기재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AI/빅데이터 서버(200)에 의해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이 표준화되면, 홈 쇼핑 서버(300)는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에 기초하여 표준화된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3). F3단계에서, 홈 쇼핑 서버(300)는 AI/빅데이터 서버(200)가 생성한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F3 단계에서, 홈 쇼핑 서버(300)는 AI/빅데이터 서버로부터 표준 카테고리 정보를 수신하고, 직접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홈 쇼핑 서버(300)는, AI/빅데이터 서버(200)로부터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F4). 제1 시청 정보는, AI/빅데이터 서버(200)가 셋톱박스(500)로부터 미리 수신한,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청 정보는, 제1 시청 정보가 생성되는 현재 날짜로부터 하루 이전의 시청 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시청 정보는, 제1 시청 정보가 생성되는 현재 날짜로부터 하루 이전의 시청 로그에 기반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 내에서 앞으로 방송될 홈 쇼핑 프로그램들 중, 시청된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에 대한 추천 정보(또는 유사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의 목록)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PTV 사용자의 최근 관심사가 반영될 수 있다.
홈 쇼핑 서버(300)는, 관리자 웹(admin web, 400)에 의해 수집된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 및/또는 제2 시청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F5). 관리자 웹으로부터 수신되는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 및 제2 시청 정보는, 관리자 웹(400) 및/또는 웹 관리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는 필터 키워드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 키워드는 관리자에 의해 특정 키워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필터 키워드는 홈 쇼핑 방송사들 별 편성 및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자 웹(400)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일 수 있다.
필터 키워드는, 예를 들어, 무료, 쇼핑 호스트, 인기 프로그램, 방송사명, 채널 번호, 상품 브랜드, 상품 가격, 상품 할인율, 상품 평점, 상품 결제 시 무이자 할부 개월 수, 상품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쇼핑 서버(300)는, 표준화된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 AI/빅데이터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1 시청 정보, 관리자 웹(400)으로부터 수신한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 제2 시청 정보에 기반하여,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구성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관리자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자 웹(400)으로 전송될 수 있다(F6), 또한, 구성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셋톱박스(500)로도 전송될 수 있다(F7).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800(a)와 같이, 셋톱박스(500)의 홈 쇼핑 앱(501)에 의해 TV(800)에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때, 단일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웹(400)에서 관리자가 필터 키워드를 설정하지 않는 등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 제2 시청 정보가 구성되지 않은 경우, 홈쇼핑 서버(300)는 F5 및/또는 F6 단계의 수행 없이,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 제2 시청 정보를 기반으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하고, 셋톱박스(500)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F7).
사용자는 리모컨(600)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800(b)와 같이 특정 채널의 홈 쇼핑 방송을 시청 중,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셋톱박스(500)는,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TV(800)에 도 5의 800(a)의 예시와 같은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컨(600)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800(a)의 예시와 같은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홈 쇼핑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홈 쇼핑 채널로 이동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 시청 중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가 요청될 수 있도록, 리모컨(600)에 특정 버튼이 포함되거나, TV(800) 화면에 EPG가 표시될 수 있다. 셋톱박스(500)에 포함된 홈 쇼핑 앱(501)은, 본 단락을 통해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박스(500)는, F3 단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를 AI/빅데이터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는, 사용자가 시청한 홈 쇼핑 방송의 편성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시청한 홈 쇼핑 방송의 상품에 대한 정보, 기타 사용자가 시청한 홈 쇼핑 방송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는, 사용자가 시청한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에 포함되는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AI/빅데이터 서버(200)로 전송된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는, AI/빅데이터 서버(200)가 제1 시청 정보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의 800(a)의 예시와 같이 도시된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홈 쇼핑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홈 쇼핑 채널을 시청 중 리모컨(600)을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품 구매 정보가 셋톱박스(500)로부터 홈 쇼핑 서버(300)로 송신될 수 있다(F9).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신호는, 리모컨(600)의 특정 버튼을 통해, 또는 TV(800) 화면의 EPG에 표현된 아이콘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한 홈 쇼핑 서버(300)는, SMS, MMS 및/또는 인스턴스 메신저 등을 통해 상품 구매를 위한 URL 및/도는 상품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7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의 모바일 폰, 데스크탑/랩탑/태블릿 등의 PC, 스마트 워치 등 전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 시, 사용자가 복수의 홈 쇼핑 방송사들의 홈 쇼핑 편성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홈 쇼핑 편의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홈 쇼핑 방송사들의 매출에 기여하고 IPTV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선호도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통해 관련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홈 쇼핑 방송사 서버 및/또는 단말
200: AI/빅데이터 서버
300: 홈 쇼핑 서버
400: 관리자 웹
500: 셋톱박스
600: 리모컨
700: 사용자 단말
800: TV

Claims (22)

  1.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들 별로,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청 정보 및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단일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 별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홈 쇼핑 방송의 방송일, 방송 시간, 홈 쇼핑 방송사의 명칭, 홈 쇼핑 방송의 프로그램 명칭 및 홈 쇼핑 방송의 쇼핑 호스트 이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상품 코드, 상품 이미지, 상품 모델, 상품 원산지, 상품 제조국, 상품 제조사, 상품 가격, 상품 원가, 상품 할인가격, 상품 할인율, 상품 카테고리, 상품 상세 정보 및 상품 브랜드 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배송비, 무료 배송 여부, 상품 평, 상품 리뷰 수, 상품 판매 여부, 상품 매진 여부, ARS 정보, 무료 샘플 제공 여부, 상품 청구 할인 여부, 할인 적용 카드 및 카드 별 할인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AI/빅데이터 서버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AI/빅데이터 서버에 의해 표준화된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청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AI/빅데이터 서버로 전달된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AI/빅데이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는,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내 동일 상품에 대한 상품 카테고리들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상품 카테고리들을 동일 카테고리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청 정보는,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 내 프로그램들 중, 현재 날짜보다 하루 전에 시청된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의 목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 웹으로부터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 제2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는, 필터 키워드에 의해 기반하여 구성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키워드는, 무료, 쇼핑 호스트, 인기 프로그램, 방송사명, 채널 번호, 상품 브랜드, 상품 가격, 상품 할인율, 상품 평점, 상품 결제 시 무이자 할부 개월 수 및 상품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제1 시청 정보, 상기 제2 시청 정보,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 상기 제4 편성 및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관리자 웹으로 송신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구매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로 상품 구매를 위한 URL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6.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동작은: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들 별로,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청 정보 및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단일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 별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AI/빅데이터 서버로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AI/빅데이터 서버에 의해 표준화된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청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AI/빅데이터 서버로 전달된 홈 쇼핑 방송 시청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AI/빅데이터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는,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 내 동일 상품에 대한 상품 카테고리들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상품 카테고리들을 동일 카테고리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은: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구매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로 상품 구매를 위한 URL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장치.
  2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은:
    복수의 홈쇼핑 방송사들 별로,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표준화하여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홈쇼핑 방송에 대한 제1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청 정보 및 상기 제2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를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편성 및 상품 정보는, 상기 셋톱박스에 의해 단일 화면에 표시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210160272A 2021-11-19 2021-11-19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1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72A KR102617410B1 (ko) 2021-11-19 2021-11-19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72A KR102617410B1 (ko) 2021-11-19 2021-11-19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58A true KR20230073658A (ko) 2023-05-26
KR102617410B1 KR102617410B1 (ko) 2023-12-27

Family

ID=8653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72A KR102617410B1 (ko) 2021-11-19 2021-11-19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41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799A (ko) 2009-07-17 2011-01-25 케이티커머스 주식회사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쇼핑 브이오디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9668A (ko) * 2011-07-27 2011-09-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방송 편성표 출력 방법과 방송 편성표 출력장치
KR20150059279A (ko) * 2013-11-22 2015-06-0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39182B1 (ko) * 2014-09-29 2015-07-29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KR20160041437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케이티 가변형 홈쇼핑 채널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20170021454A (ko)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엠젠플러스 사용자 매체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별 상품 추천 방법 및 상품 추천 시스템
KR20170026141A (ko) 2016-08-18 2017-03-08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서비스 서버가 추천한 복수의 홈쇼핑방송 vod를 디지털 tv의 화면분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동시에 시청하는 방법
KR20190093743A (ko) 2018-01-10 2019-08-12 주식회사 에이켓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상품 추천 방법 및 상품 추천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799A (ko) 2009-07-17 2011-01-25 케이티커머스 주식회사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한 쇼핑 브이오디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9668A (ko) * 2011-07-27 2011-09-0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방송 편성표 출력 방법과 방송 편성표 출력장치
KR20150059279A (ko) * 2013-11-22 2015-06-01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39182B1 (ko) * 2014-09-29 2015-07-29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의 id별 시청이력을 이용한 tv 데이터방송 홈쇼핑에서의 상품 추천 방법
KR20160041437A (ko) *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케이티 가변형 홈쇼핑 채널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20170021454A (ko)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엠젠플러스 사용자 매체의 이용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별 상품 추천 방법 및 상품 추천 시스템
KR20170026141A (ko) 2016-08-18 2017-03-08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서비스 서버가 추천한 복수의 홈쇼핑방송 vod를 디지털 tv의 화면분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동시에 시청하는 방법
KR20190093743A (ko) 2018-01-10 2019-08-12 주식회사 에이켓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상품 추천 방법 및 상품 추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410B1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2242B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11423435B2 (en) Advertisement feedback and customization
US201200596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to user devices using an advertisement gateway
US111784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agged items represented in video stream content
KR101818827B1 (ko) 컨텐츠 선호도 기반의 광고 경쟁 유도 장치
KR101921621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간 비디오 가상화를 이용한 커머스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화 서버
US114556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nd performing services and functionalities across device types and service providers within a communication device
US2010022208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in a broadcast signal
EP276021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ent recommendation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server and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KR20160041437A (ko) 가변형 홈쇼핑 채널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20100092248A (ko) 채널전환시간동안 광고영상을 보여주는 방송수신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210390210A1 (en) Privacy-aware content recommendations
CN104602043A (zh) 内容提供装置和方法
KR20150065365A (ko) 추천 콘텐츠 제공 방법, 추천 콘텐츠 표시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100062524A (ko) 타겟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01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analyzing audience information of audio/video program
KR102617410B1 (ko) 홈 쇼핑 방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686406A (zh) 一种数字电视控制智能终端进行信息显示的方法及设备
US20180176645A1 (en)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television advertisements
CN103796077B (zh) 实现在线购物的方法和装置以及系统
CN112150186A (zh) 广告投放方法、客户端装置、服务器及系统
US20220078520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for providing review content for commerce content
KR20070087383A (ko) 홈쇼핑 데이터 방송의 카테고리별 상품 분류 방법
CN110401841B (zh) 一种直播间消息的解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308926B1 (ko) 인기 어플리케이션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