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650A -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650A
KR20230073650A KR1020210160248A KR20210160248A KR20230073650A KR 20230073650 A KR20230073650 A KR 20230073650A KR 1020210160248 A KR1020210160248 A KR 1020210160248A KR 20210160248 A KR20210160248 A KR 20210160248A KR 20230073650 A KR20230073650 A KR 20230073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ver
quarantine
air conditio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중옥
Original Assignee
차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중옥 filed Critical 차중옥
Priority to KR102021016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650A/ko
Publication of KR2023007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에 관한 것으로, 필터의 표면을 감싸서 필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필터를 세척하거나 청소할 필요없이 청결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표면에 세균이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묻지 않도록 하여 방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COVER FOR PREVENTION OF EPIDEMICS IN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필터의 표면을 감싸서 필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필터를 세척하거나 청소할 필요없이 청결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표면에 세균이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묻지 않도록 하여 방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시스템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가전 기기로써, 그 구조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마련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되며, 설치방식에 따라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로 나뉜다.
이들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갖는 가전 기기인데, 근래에 들어서는 이같은 단순 냉방 기능에서 벗어나 공기를 청정하는 기능을 겸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즉,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컨의 경우, 보통 흡입그릴의 배면에 흡입되는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그물망 필터와 먼지를 집진하는 전기 집진 필터 등을 장착함으로써, 보조적으로 공기 청정기능을 실행하기도 한다.
실내의 공기를 송풍에 의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할 때, 필터는 오염 물질 또는 미세 분진을 걸러주고 청결해진 공기만을 실내에 배출하도록 한다.
필터의 오염 정도에 따라 공기 청정 성능을 발휘하는지의 여부가 판별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데, 필터를 장기간 사용하면 필터의 전면에 먼지층이 쌓이므로 이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해 주어야 한다.
한편, 최근에 국내·외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2019-nCoV)는 2019년 12월부터 사람 간 전염되기 시작한 변종 바이러스로, 해당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우, 인체가 외부에서 침투한 바이러스에 대항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면역력이 증가해 대규모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소위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유도된다. 이에 의해 사이토카인의 과다 분비가 일어나는 경우, 발열로 인해 단백질이 변형되고, 신체조직이 파괴되어 사망에 까지 이르게 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실내를 순환하면서 공기조화기의 필터에 부착되는 경우 실내에 함께 있는 다른 사람들도 감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공기조화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흡입구(12a) 및 토출구(14)가 형성된 캐비닛(10); 토출구(14)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장치(20); 흡입구(12a) 내측에 설치되어 송풍장치(20)에 의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열교환기(30); 열교환기(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열교환기(30)에 생성된 응축수가 모아지는 드레인 팬(32); 캐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그릴(12)에 형성된 흡입구(12a)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하는 필터(40); 로 구성된다.
여기서, 흡입그릴(12)은 캐비닛(110)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기간 공기조화기가 사용되면 필터(40)의 표면에 이물질이 누적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흡입그릴(12)에서 필터(4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필터(40)의 표면에 커버가 덮이지 않기 때문에 필터(40)의 표면에 이물질이 누적되며, 이로 인해 필터(40)를 자주 세척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필터(40)의 표면에 세균이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묻는 경우 단순히 세척을 해도 세균이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방역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 실용등록 제20-0320422호(2003년 07 월07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의 표면을 감싸서 필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필터를 세척하거나 청소할 필요없이 청결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표면에 세균이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묻지 않도록 하여 방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흡입구(12a) 및 토출구(14)가 형성된 캐비닛(10); 토출구(14)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장치(20); 흡입구(12a) 내측에 설치되어 송풍장치(20)에 의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열교환기(30); 및 캐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그릴(12)에 형성된 흡입구(12a)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하는 필터(40); 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및 세균으로부터 상기 필터(4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40)를 감싸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는 상기 필터(40)의 전면을 커버링하고 다중의 방역원단으로 구비되는 커버링부와, 상기 필터(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부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상기 커버링부의 외주면에 신축가능한 밴드로 구성되거나, 벨크로로 구성되거나, 양면 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는 전방에는 방역커버 삽입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필터 삽입구가 형성된 카세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의 표면을 감싸서 필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필터를 세척하거나 청소할 필요없이 청결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표면에 세균이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묻지 않도록 하여 방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가 카셋트 구조 혹은 프레임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커버의 교체가 용이하고 장착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 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일정 공간을 이루고 흡입구(12a) 및 토출구(14)가 형성된 캐비닛(10); 토출구(14)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장치(20); 흡입구(12a) 내측에 설치되어 송풍장치(20)에 의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열교환기(30); 및 캐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그릴(12)에 형성된 흡입구(12a)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하는 필터(40);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100)는 코로나 바이러스 및 세균으로부터 필터(40)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터(40)의 표면을 감싸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100)는 필터(40)의 전면을 커버링하고 다중의 방역원단(예를 들어, 폴리 에스테르 섬유 및 목재 펄프로 만든 부직포 등)으로 구비되는 커버링부(110)와, 필터(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부착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100)는 필터(40)의 전면을 커버링하고 다중의 방역원단으로 구비되는 커버링부(110)와, 그 커버링부(110)의 외주면에 신축가능한 밴드로 구성되는 부착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200)는 필터(40)의 전면을 커버링하고 다중의 방역원단으로 구비되는 커버링부(110)와, 커버링부(1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벨크로로 구성되는 부착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300)는 필터(40)의 전면을 커버링하고 다중의 방역원단으로 구비되는 커버링부(110)와, 커버링부(1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양면 테이프로 구성되는 부착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400)는 전방에 방역커버 삽입부(401)가 형성되고, 후방에 필터 삽입구(402)가 형성된 카세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방역커버 삽입부(410)에는 방역커버 필름(F), 예를 들어 폴리 에스테르 섬유 및 목재 펄프로 만든 부직포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필터 삽입구(402)에는 필터(4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400)는 카셋트 구조 혹은 프레임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커버의 교체가 용이하고 장착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의 표면을 감싸서 필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필터를 세척하거나 청소할 필요없이 청결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표면에 세균이나 코로나 바이러스가 묻지 않도록 하여 방역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가 카셋트 구조 혹은 프레임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커버의 교체가 용이하고 장착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과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물론 차량용 공기조화기, 선박용 공기조화기, 기차나 전철용 공기조화기 등 공기조화기가 필요한 모든 곳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 물과 균등물 및 대체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필터용 방역커버
10: 캐비닛
12: 흡입그릴
12a: 흡입구
14: 토출구
20: 송풍장치
30: 열교환기
40: 필터
110: 커버링부
120: 부착부
401: 방역커버 삽입부
402: 필터 삽입구

Claims (4)

  1. 일정 공간을 이루고 흡입구(12a) 및 토출구(14)가 형성된 캐비닛(10); 토출구(14)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장치(20); 흡입구(12a) 내측에 설치되어 송풍장치(20)에 의해 유입되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어 쾌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열교환기(30); 및 캐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그릴(12)에 형성된 흡입구(12a)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실내 공기 중의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하는 필터(40); 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및 세균으로부터 상기 필터(40)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40)를 감싸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40)의 전면을 커버링하고 다중의 방역원단으로 구비되는 커버링부(110)와, 상기 필터(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부착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120)는 상기 커버링부(110)의 외주면에 신축가능한 밴드로 구성되거나, 벨크로로 구성되거나, 양면 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전방에는 방역커버 삽입부(40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필터 삽입구(402)가 형성된 카세트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KR1020210160248A 2021-11-19 2021-11-19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KR20230073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48A KR20230073650A (ko) 2021-11-19 2021-11-19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48A KR20230073650A (ko) 2021-11-19 2021-11-19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50A true KR20230073650A (ko) 2023-05-26

Family

ID=8653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48A KR20230073650A (ko) 2021-11-19 2021-11-19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6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22Y1 (ko) 2003-04-01 2003-07-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필터와 흡입그릴의 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22Y1 (ko) 2003-04-01 2003-07-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필터와 흡입그릴의 취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93203B2 (en) Air-conditioning device having dust removing function
KR100934316B1 (ko) 가습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가지는 가정용 제습장치
CN208480812U (zh) 可净化油烟的无烟火锅桌
KR20230073650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용 방역커버
CN210345671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1476372U (zh) 一种适用于住宅公寓的分户式空气源热泵五恒系统
CN209135680U (zh) 一种火锅餐桌
CN210631831U (zh) 一种侧吸式无烟净化器
JPH062904A (ja) クリーン住宅構造
KR100556313B1 (ko) 환기시스템
KR100548985B1 (ko) 에어필터의 회동 장착구조를 갖는 에어컨
CN205208778U (zh) 空调室外机防护装置、空调室外机外壳及空调系统
CN215597491U (zh) 立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0819641B1 (ko) 공기조화기용 드레인 팬의 플랩 고정구조
CN220125757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双侧出风冷风机
CN213066385U (zh) 一种厨卫场所用降温新风换气集成装置
JP2004156797A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CN219656221U (zh) 一种具有冷热交换新风空气净化器通风件
CN210921654U (zh) 一种双进风新风净化机
JPH06137622A (ja) 空調機用フィルター
CN216522156U (zh) 一种窗式空气新风机
WO1997015790A1 (en) Ventilation system
KR20020054758A (ko) 살균필터 조립체
KR100640825B1 (ko) 환기장치
KR20020053319A (ko)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