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319A -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319A
KR20020053319A KR1020000082862A KR20000082862A KR20020053319A KR 20020053319 A KR20020053319 A KR 20020053319A KR 1020000082862 A KR1020000082862 A KR 1020000082862A KR 20000082862 A KR20000082862 A KR 20000082862A KR 20020053319 A KR20020053319 A KR 2002005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air conditioner
air
bent portion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3319A/ko
Publication of KR2002005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레인 파이프에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응축수의 역류가 방지되어 공기 조화기의 오작동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는 열교환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일측에 형성된 홀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토록 설치되는 드레인 파이프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일측에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A drain pipe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에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응축수의 역류로 생길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오작동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공기 조화기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된다.
최근의 공기 조화기는 냉난방은 물론 공기 정화기능까지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그 설치 위치가 실내 공간을 소모시키지 않는 천정 등의 공간으로 설치 장소가 확대되어져 열교환기에 흡착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가 도시된 전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의 천정 카세트형 에어컨은 흡입구(2a)와 토출구(2b)가 형성되어 천정의 내부에 설치되는 캐비닛(2)과, 실내 공기를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토출구(2b)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장치(4)와, 상기 흡입구(2a)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 중의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2a)에 설치되는 필터(6)와, 상기 송풍장치(4)에 의해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키는 열교환기(8)와, 상기 열교환기(8)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8)에 흡착된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 팬(12)과, 상기 드레인 팬(1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 홀(12)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파이프(14)는 상기 드레인 팬(10)에 고인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하측 방향의 경사를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송풍장치(4)에 의해 실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6)를 지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며,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8)를 지나면서 열 교환되어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8)를 지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상기 열교환기(8)의 표면에 흡착되어 응축수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열교환기(8)의 빗면을 타고 흘러서 상기 드레인 팬(10)에 고이게 되고, 상기 드레인 파이프(14)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14)가 하측 방향의 경사만을 이루어 자연배수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필터(6)에 불순물이 누적되어 흡입 공기의 양이 작아지고, 공기 조화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드레인 파이프(14) 내부의 압력 또한 증가하여 응축수가 역류하고, 이로써, 공기 조화기내부에 응축수가 누수되어 공기 조화기의 오작동 및 파손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드레인 파이프의 구조가 개선되어 응축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 조화기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가 도시된 전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캐비닛 52a : 흡입구
52b : 토출구 56 : 필터
58 : 열교환기 60 : 드레인 팬
62 : 드레인 홀 64 : 드레인 파이프
66 : 절곡부 66a : 1차 절곡부
66b : 2차 절곡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는 열교환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일측에 형성된 홀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토록 설치되는 드레인 파이프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일측에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 카세트형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52a)와 토출구(52b)가 형성되어 천정 내부에 설치되는 캐비닛(52)과, 상기 토출구(52b) 내측에 설치되어실내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52a) 냉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58)와, 상기 흡입구(52a)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 중의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52a)에 설치되는 필터(56)와, 상기 열교환기의(58)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8) 표면에 흡착되는 응축수가 흘러 모아지는 드레인 팬(60)과, 상기 드레인 팬(6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 홀(62)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레인 파이프(64)는 상기 드레인 팬(6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 홀(62)에 연결되어 상기 드레인 팬(60)에 고인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바, 그 일측에 'U'자 모양으로 절곡된 1차 절곡부(66a)와, 연속적으로 역'U'자 모양으로 절곡된 2차 절곡부(66b)로 구성된 절곡부(66)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66)는 자연배수된 응축수가 공기 조화기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어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드레인 팬(60)에 응축수가 누적되는 것이 방지되어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 팬(60)의 상측으로 흘러 넘쳐 공기 조화기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1차 절곡부(66a)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드레인 팬(60)에 생성된 불순물이 상기 2차 절곡부(66b)로 이동되지 못하고, 한 곳에 모이게 하여 상기 드레인 파이프(64)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모두 동일하나 상기 절곡부(166)가 상기 드레인 파이프(164)의 양단부 중에 실외 측 단부에 가까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의 다른 실시 예는 공간이 협소한 곳에 설치되는 천정 카세트형 공기 조화기 등과 같이 상기 절곡부(166)의 청소를 이루기 용이치 않은 공기 조화기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송풍장치가 구동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흡입하고, 상기 필터(56)를 지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58)를 지나면서 열 교환되어 상기 토출구(52b)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이러한 작동이 장시간 지속되면 상기 필터(56)에 불순물이 누적되어 흡입 공기량이 작아져 공기 조화기 내부에 압력이 상승되고, 동시에 상기 드레인 파이프(64) 내부의 압력 또한 상승되어 응축수의 자연배수가 용이치 않으나 상기 드레인 파이프(64)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부(66)로 인해 응축수의 역류가 억제되어 드레인 파이프(64)를 통한 응축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는 드레인 파이프 일측에 두 차례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공기 조화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으로 생성되는 응축수의 역류를 억제하여 응축수의 누수로 인한 공기 조화기의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열교환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의 일측에 형성된 홀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토록 설치되는 드레인 파이프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일측에는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일측이 'U'자 모양으로 절곡된 1차 절곡부와, 상기 1차 절곡부에 연속되어 역'U'자 모양으로 절곡된 2차 절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양단부 중, 공기 조화기에 연결된 단부와 근접한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실외 측 단부에 근접한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KR1020000082862A 2000-12-27 2000-12-27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KR20020053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62A KR20020053319A (ko) 2000-12-27 2000-12-27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62A KR20020053319A (ko) 2000-12-27 2000-12-27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319A true KR20020053319A (ko) 2002-07-05

Family

ID=2768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862A KR20020053319A (ko) 2000-12-27 2000-12-27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33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813A (ko) 2013-09-24 2015-04-02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처리장치
CN111059619A (zh) * 2019-12-18 2020-04-24 宁波市润桥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空调内机的排水装置
CN115077092A (zh) * 2022-06-30 2022-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积水装置、空调器及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813A (ko) 2013-09-24 2015-04-02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처리장치
CN111059619A (zh) * 2019-12-18 2020-04-24 宁波市润桥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空调内机的排水装置
CN115077092A (zh) * 2022-06-30 2022-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积水装置、空调器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987390U (zh) 一种厨房空气调节系统
CN110360611A (zh) 厨房空气调节系统
WO2021143132A1 (zh) 一种吊顶式新风空调室内机
CN210688678U (zh) 一种工业空调冷凝水排放机构
KR20020053319A (ko) 공기 조화기용 드레인 파이프
CN113847664A (zh) 一种厨房空调一体机
CN2826269Y (zh) 空调器冷凝水处理器
CN216307923U (zh) 一种空调式吸油烟机
JPH0728498Y2 (ja) 空気調和機
KR100624738B1 (ko) 공기조화기
CN212618560U (zh) 一种空调式吸油烟机
CN220506818U (zh) 一种制冷式吸油烟机
CN215216373U (zh) 一种换热器及安装有该换热器的吸油烟机
KR20050064963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배관 지지구조
CN216307921U (zh) 一种空调式吸油烟机
KR100534469B1 (ko) 레인지 후드 겸용 에어컨
CN216203963U (zh) 一种厨房空调一体机
CN212204740U (zh) 厨房空气调节系统
CN217004584U (zh) 一种空调式吸油烟机
KR2009002735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KR200312170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 구조
KR200303719Y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070005172A (ko) 공기조화기의 디스챠지 그릴
KR20050024798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