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643A -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643A
KR20230073643A KR1020210160233A KR20210160233A KR20230073643A KR 20230073643 A KR20230073643 A KR 20230073643A KR 1020210160233 A KR1020210160233 A KR 1020210160233A KR 20210160233 A KR20210160233 A KR 20210160233A KR 20230073643 A KR20230073643 A KR 2023007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uel cell
generating unit
stack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철
김대성
Original Assignee
테라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643A/ko
Priority to PCT/KR2022/010458 priority patent/WO2023090572A1/ko
Priority to CN202280004183.7A priority patent/CN116472627A/zh
Priority to JP2022570139A priority patent/JP2023554562A/ja
Publication of KR2023007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택의 냉각을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연료전지 내 반응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하여 블로워의 효율적 작동을 통한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고 연료전지의 보관시 공기극으로 산소, 이물질 등이 공급되어 연료전지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블로워의 공기발생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를 공기발생부의 외부를 향해 분사하도록 하여 공기발생부의 과열을 막고 공기극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An Air Providing Device for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택의 냉각을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연료전지 내 반응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하여 블로워의 효율적 작동을 통한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고 연료전지의 보관시 공기극으로 산소, 이물질 등이 공급되어 연료전지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블로워의 공기발생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를 공기발생부의 외부를 향해 분사하도록 하여 공기발생부의 과열을 막고 공기극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장치로서, 산업용, 가정용 및 차량용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소형의 전기/전자제품, 휴대기기의 전력을 공급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연료전지는 여러 종류가 존재하나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높은 전력 밀도를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안쪽에 막전극접합체(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가 위치하고, 막전극접합체에는 수소이온을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과, 전해질막 양면에 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촉매가 도포된 전극층인 캐소드(Cathode) 및 애노드(Anode)로 구성된다. 이때, 애노드(Anode)에는 수소가 공급되고 캐소드(Cathode)에는 공기가 공급되어 공기에 포함된 산소와 수소의 반응을 통한 전기가 생산된다.
또한, 연료전지에서는 반응에 따라 많은 열이 발생되는바 냉각을 위한 유체가 반드시 공급되어야 한다.
연료전지는 냉각하는 방식에 따라 수냉식, 공냉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공냉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송풍모듈 등을 통해 반응을 위한 공기와 냉각을 위한 공기가 함께 연료전지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가 공급되는 캐소드는 항상 외부에 개방된 상태가 되어 부식의 문제가 발생하고, 외부 환경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펌프, 블로워 등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펌프의 경우에는 장치가 비대하고 소비전력이 과도하게 높다는 문제가 있으며, 블로워의 경우에도 고속회전에 따른 과열로 공기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게 되고, 공기의 상대습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연료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공기극의 손상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897호(2017. 07. 07. 공개)"개방형 유로가 구비된 연료전지 스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택의 냉각을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연료전지 내 반응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하여 블로워의 효율적 작동을 통한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고 연료전지의 보관시 공기극으로 산소, 이물질 등이 공급되어 연료전지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블로워의 공기발생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를 공기발생부의 외부를 향해 분사하도록 하여 공기발생부의 과열을 막고 공기극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돌출단 상에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분사홀을 이용하여 공기발생부를 향한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발생부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공기의 분사 및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공급덕트의 경사부 상에 분사홀을 형성하여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반을을 위한 압축공기의 공급과 공기발생부를 향한 냉각공기의 분사가 모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발생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재를 따라 유동하도록 하여 공기발생부에 대한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발생부 일단에 고정부재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가이드부재를 고정부재와 결합시켜 일체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공기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발생부 주변으로 효율적인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는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스택의 일측에 장착되어 연료전지 내 반응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발생부와, 상기 공기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공기를 스택 내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덕트와, 상기 공기발생부를 스택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공기공급덕트 상에 형성되어 공기발생부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공기공급덕트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 상 관통형성되어 공기발생부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덕트는 압축공기가 스택으로 공급되는 방향으로 확경되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면를 포함하여, 상기 경사부 상에 공기분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공기발생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발생부 둘레를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공기발생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공기발생부를 스택에 고정시키며, 상기 가이드부재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택의 냉각을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연료전지 내 반응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를 별도로 형성하도록 하여 블로워의 효율적 작동을 통한 과열을 방지하도록 하고 연료전지의 보관시 공기극으로 산소, 이물질 등이 공급되어 연료전지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로워의 공기발생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를 공기발생부의 외부를 향해 분사하도록 하여 공기발생부의 과열을 막고 공기극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돌출단 상에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분사홀을 이용하여 공기발생부를 향한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발생부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공기의 분사 및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공급덕트의 경사부 상에 분사홀을 형성하여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반을을 위한 압축공기의 공급과 공기발생부를 향한 냉각공기의 분사가 모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발생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재를 따라 유동하도록 하여 공기발생부에 대한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발생부 일단에 고정부재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가이드부재를 고정부재와 결합시켜 일체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공기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발생부 주변으로 효율적인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가 설치된 연료전지 스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의 블로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공기공급덕트에 공기분사부가 형성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는 연료전지 스택(S)의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1)과, 스택(S)의 일측에 장착되어 연료전지 내 반응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3)를 포함한다.
연료전지는 복수의 단위셀이 적층되어 스택(S)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스택(S) 내의 단위셀에는 냉각을 위한 공기와 반응을 위한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스택(S)이 완전 오픈 형태로 형성되어 송풍모듈 하나로 냉각을 위한 공기와 반응을 위한 공기가 함께 공급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특히 공기극(Cathode)이 완전 개방된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부식 및 외부 환경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연료전지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성능도 빨리 저하되어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반응 및 냉각을 위한 공기를 펌프, 블로워 등을 통해 압축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되었으나, 펌프의 경우 장치가 비대해지고 전력소모가 과도하게 많다는 문제가 있으며, 블로워의 경우에도 냉각 및 반응을 위한 공기를 한꺼번에 공급할 경우 유량확보를 위한 작동정도를 높일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과열이 발생하여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냉각 효과도 좋지 못하고 공기극으로 공급될 경우 높은 온도와 낮은 상대습도로 인해 연료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연료전지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냉각을 위한 공기와 반응을 위한 공기를 송풍팬(1) 및 블로워(3) 각각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기극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블로워(3)를 통해서는 반응을 위한 공기만을 공급하도록 하면 충분하므로 그 작동정도를 낮추어 과열 발생을 방지하고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블로워(3)는 필연적으로 작동에 따라 높은 온도가 발생될 수밖에 없으므로 블로워(3)를 냉각시키기 위한 특유의 구조를 갖도록 하며, 특히 별도의 냉각장치없이 기존 블로워(3)만으로 블로워(3) 자체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연료전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송풍팬(1)은 스택(S)에 연료전지의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S)의 일측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에 따라 외부공기가 스택(S) 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로워(3)는 스택(S)에 반응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연료전지의 공기극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블로워(3)는 스크류의 회전력 등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된 공기를 스택(S)으로 공급하도록 하며, 연료전지의 높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히 높은 압력으로 압축하여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블로워(3)는 스택(S)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스택(S) 내부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며, 특히 스택(S)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일부를 블로워(3) 자체의 외부를 향해 분사하도록 하여 블로워(3)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블로워(3)는 냉각을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도 과열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공기극으로 공급되는 온도를 낮추어 상대습도를 높이고 과도하게 건조된 공기의 공급을 통해 연료전지의 성능이 저하되고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로워(3)는 공기발생부(31), 공기공급덕트(32), 공기분사부(33), 고정프레임(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발생부(31)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스크류 등의 회전에 따라 공기를 압축하여 스택(S)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발생부(31)는 상기 고정프레임(34)에 의해 지지되어 스택(S)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기발생부(31)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덕트(32)를 통해 스택(S) 내부의 공기극으로 공급된다. 더욱 정확하게 상기 공기발생부(3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스택(S) 내 매니폴드를 통해 스택(S) 내 각 단위셀의 공기극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발생부(31)에는 상기 공기분사부(33)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공기발생부(31)가 냉각되어 과열이 방지되고 스택(S)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과도하게 높아지는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공급덕트(32)는 공기발생부(31)와 스택(S) 내부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공기발생부(31)에 의해 압축되는 공기가 스택(S) 내부의 공기극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공기공급덕트(32) 상에는 공기발생부(31) 측으로 공기분사부(33)가 형성되어 공기발생부(31)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덕트(32)는 스택(S)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공기공급덕트(32) 내부가 확경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321)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사면(321) 상에 공기분사부(3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기공급덕트(32)는 경사면(321)에 공기분사부(33)가 형성됨에 따라 스택(S)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공기발생부(31)를 향한 압축공기의 분사도 강한 압력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부(33)는 공기공급덕트(32) 상에 형성되어 공기발생부(31)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상기 경사면(321) 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기분사부(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발생부(31)의 하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기발생부(31) 하측으로 분사되는 공기가 후술할 가이드부재(342)를 따라 공기발생부(31)를 둘러싸며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부(33)는 공기발생부(31)를 향한 효과적인 공기의 분사를 위해 돌출단(331) 및 분사홀(3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단(331)은 상기 경사면(321)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발생부(31)를 향해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단(331) 내에 분사홀(332)이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분사홀(332)을 통과하는 공기가 충분한 압력과 속도를 가지면서 공기발생부(31)를 향해 정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사홀(332)은 상기 돌출단(331) 상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공기발생부(31)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공기공급덕트(32)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분사홀(332)은 그 방향이 공기발생부(31)의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사홀(332)을 통과하는 공기가 정확하게 공기발생부(31)의 하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홀(332)은 돌출단(331) 내에 일정길이를 가진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압축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압력과 속도로 공기발생부(31)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발생부(31)의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4)은 공기발생부(31)를 스택(S)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특히 상기 공기분사부(33)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발생부(31) 둘레를 둘러싸면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발생부(31)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34)은 고정부재(341) 및 가이드부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41)는 공기발생부(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스택(S)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후단에는 가이드부재(342)가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41)는 공기발생부(31)의 일측면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고정부재(341)의 후단에 일체로 결합하는 가이드부재(342)에 의해 공기발생부(31)의 후측이 차단되어 공기분사부(33)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가이드부재(342)를 따라 공기발생부(31) 주변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후측이란 상기 공기분사부(33)의 반대측을 의미하며, 공기분사부(33)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발생부(31) 후측의 가이드부재(342)에 부딪히면서 가이드부재(34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42)는 상기 공기발생부(3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공기발생부(31)의 후측에서부터 전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분사부(33)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342)는 공기발생부(31)의 후측에서 상기 고정부재(341)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분사부(33)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가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재(342)에 부딪혀 가이드부재(342)를 따라 이동하며 공기발생부(31)의 전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분사부(33)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는 공기발생부(31)의 후단에서 공기발생부(31)의 전측으로 공기발생부(31)를 감싸며 유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분사부(33)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를 통한 공기발생부(31)의 효과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송풍팬 3: 블로워
31: 공기발생부 32: 공기공급덕트
321: 경사면 33: 공기분사부
331: 돌출단 332: 분사홀
34: 고정프레임 341: 고정부재
342: 가이드부재 S: 스택

Claims (7)

  1.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스택의 일측에 장착되어 연료전지 내 반응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발생부와, 상기 공기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공기를 스택 내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덕트와, 상기 공기발생부를 스택 일측에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공기공급덕트 상에 형성되어 공기발생부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공기공급덕트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 상 관통형성되어 공기발생부를 향해 공기가 분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덕트는
    압축공기가 스택으로 공급되는 방향으로 확경되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면를 포함하여, 상기 경사부 상에 공기분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공기발생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발생부 둘레를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공기발생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공기발생부를 스택에 고정시키며, 상기 가이드부재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KR1020210160233A 2021-11-19 2021-11-19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KR20230073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33A KR20230073643A (ko) 2021-11-19 2021-11-19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PCT/KR2022/010458 WO2023090572A1 (ko) 2021-11-19 2022-07-18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CN202280004183.7A CN116472627A (zh) 2021-11-19 2022-07-18 燃料电池用空气供应装置
JP2022570139A JP2023554562A (ja) 2021-11-19 2022-07-18 燃料電池用空気供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33A KR20230073643A (ko) 2021-11-19 2021-11-19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643A true KR20230073643A (ko) 2023-05-26

Family

ID=8639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33A KR20230073643A (ko) 2021-11-19 2021-11-19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54562A (ko)
KR (1) KR20230073643A (ko)
CN (1) CN116472627A (ko)
WO (1) WO20230905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153A (ko) * 2009-11-19 2011-05-25 주식회사 효성 연료전지 시스템
JP5942620B2 (ja) * 2012-06-15 2016-06-29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燃料電池装置
KR101737154B1 (ko) * 2013-01-24 2017-05-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워
KR101526662B1 (ko) * 2013-05-16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워
KR20200072201A (ko) * 2018-12-12 2020-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냉식 연료전지 스택 및 이를 포함한 공기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4562A (ja) 2023-12-28
WO2023090572A1 (ko) 2023-05-25
CN116472627A (zh)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4318B2 (en) Coolant manifold and method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coolant
CA2600817C (en) Air-cooled fuel cell system
KR101807015B1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CN108292764B (zh) 用于燃料电池的阴极再循环的组件以及用于阴极再循环的方法
KR102335975B1 (ko) 연료전지 시스템
JP200724228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23859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00279189A1 (en) Fuel cell system
KR101610063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US20190115605A1 (en) Fuel cell system
KR20230073643A (ko) 연료전지용 공기공급장치
KR102226304B1 (ko) 연료전지 차량용 이젝터
KR20150062508A (ko) 연료전지 냉각장치와 이를 이용한 냉각방법
JP535494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87944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KR20200069944A (ko) 연료전지용 가습기
JP2011194954A (ja) 燃料電池車両
KR20220104374A (ko) 발전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배기 장치
KR102447771B1 (ko)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KR20190111231A (ko) 가습기 겸용 공기 블로워
KR102442303B1 (ko) 연료전지용 가습장치
CN218062839U (zh) 用于燃料电池系统的引射泵以及相应的燃料电池系统
KR20200020517A (ko) 연료전지 차량의 물 재순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1256072B1 (ko) 연료 전지 스택
KR101820294B1 (ko) 물분사 과급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