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568A -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 - Google Patents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568A
KR20230073568A KR1020210160094A KR20210160094A KR20230073568A KR 20230073568 A KR20230073568 A KR 20230073568A KR 1020210160094 A KR1020210160094 A KR 1020210160094A KR 20210160094 A KR20210160094 A KR 20210160094A KR 20230073568 A KR20230073568 A KR 20230073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ntact
length
groove
contac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훈
고동석
박태상
황웅
강윤모
김지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568A/ko
Priority to PCT/KR2022/013181 priority patent/WO2023090600A1/ko
Publication of KR2023007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는 띠형 또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고정자로서, 복수의 티스부; 상기 복수의 티스부 각각의 일단에 배치된 복수의 바디부; 및 상기 복수의 바디부 중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바디부의 제1 측면 및 제2 바디부의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선단부 또는 상기 제2 측면의 선단부에 홈(recess)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Stator And Suction Motor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청소기 본체, 호스, 전기 코드와 같은 구성이 생략된 소위, 스틱형 청소기(또는 무선 청소기)가 주목받고 있다. 스틱형 청소기에는 경량화 및 소형화와 같은 이유로 소형 팬이 장착되어 있다. 스틱형 청소기가 높은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어느 정도 토크를 확보하면서 50,000 rev/min 이상의 고속 회전, 나아가 100,000 rev/min 이상의 초고속 회전을 실현할 수 있는 구동 모터(미니 팬모터)가 요구되고 있다.
미니 팬모터들은, 고속 회전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미니 팬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수와 미니 팬모터의 구성인 고정자의 고유 진동수가 겹치는 경우, 공진에 의해 더 큰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진에 의한 소음을 없애기 위해 고정자의 고유진동수가 미니 팬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수가 겹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만, 고정자의 고유진동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정자의 바디부(또는 요크(yoke))의 두께를 조절해야 하는데, 고정자의 바디부를 두껍게 할 경우 스틱형 청소기의 무게가 증가하고, 고정자의 바디부를 얇게 할 경우 전자기적으로 자기포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흡입 모터의 고정자의 두께를 조절하지 않고도 공진 현상을 회피하기 위한 고유 진동수를 설계할 수 있는 고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는 띠형 또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고정자로서, 복수의 티스부; 상기 복수의 티스부 각각의 일단에 배치된 복수의 바디부; 및 상기 복수의 바디부 중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바디부의 제1 측면 및 제2 바디부의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선단부 또는 상기 제2 측면의 선단부에 홈(recess)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모터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자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티스부 및 상기 복수의 티스부 각각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바디부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부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복수의 바디부 중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바디부의 제1 측면 및 제2 바디부의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선단부 또는 상기 제2 측면의 선단부에 홈(recess)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고정자는 굽힘부에 형성된 홈과 접촉 돌기부를 이용하여, 바디부의 두께를 조절해 고유 진동수를 결정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및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전의 고정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후의 고정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 전의 고정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 후의 고정자의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굽힘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a 내지 도 6e의 고유 진동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촉 돌기부와 접촉 홈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B 평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진공청소기 동작에 따른 주파수 영역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및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전의 고정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곡 후의 고정자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자(10)는 복수의 요소 고정자(1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요소 고정자(100)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요소 고정자(100)들은 물리적인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요소 고정자(100)들 각각은 바디부(110)(예: 요크(yoke)) 또는 티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요소 고정자(100)들은 굽힘부(14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요소 고정자에 포함된 제1 바디부는 원주 방향의 양 측면 각각에서 굽힘부(140)에 의해 인접하는 제2 및 제3 요소 고정자의 제2 및 제3 바디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자(10)는, 다수의 자성 강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자(1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자(10)는, 예를 들어, 띠형의 고정자(10)의 굽힘부(140)를 절곡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고정자(10)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띠형으로 형성된 고정자(10)는 띠형의 고정자(10), 환형으로 변형된 고정자(10)는 환형의 고정자(10)로 지칭한다. 이하에서,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은 고정자(10)가 환형일 때를 기준으로 정한 고정자(10)의 원주 방향 및 고정자(10)의 반경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원주 방향은 굽힘부와 같이 미세한 부분에서는 반경 방향의 수직한 직선 방향을 대신하여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10)에는 티스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110)와 티스부(120)는,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의 원주 방향(②) 폭은 티스부(120)의 원주 방향(②) 폭보다 클 수 있다. 바디부(110)는, 예를 들어,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곡면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티스부(120)는 바디부(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티스부(120)는, 예를 들어, 고정자(10)가 환형일 때 바디부(110)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고정자(10)는, 예를 들어, 티스부(120)의 선단면(121) 내측에 중공부(150)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티스부(120)의 선단면(121)은 바디부(110)측의 반대에 위치한 면을 지칭한다. 중공부(150)에는 회전자(20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의 고정자(10)에서 티스부(120)는 등간격을 이루며 환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10)는, 예를 들어, 6개의 티스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자(10)는 3, 9, 12개와 같은 티스부(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접하는 요소 고정자(100)들의 티스부(120)들 사이에는 슬롯(S)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S)은, 예를 들어, 고정자를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코일이 티스부(120)에 감길 수 있다. 코일은, 예를 들어, 슬롯(S)의 공간을 이용하여 티스부(120)에 감길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자(10)가 소형인 경우에는 슬롯(S)을 이용하여 코일을 권선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고정자(10)가 띠형을 이룰 때 코일을 티스부(120)에 권선시킨 후에 고정자(10)를 환형으로 절곡시킬 수도 있다. 고정자(10)에 권선되는 코일은, 예를 들어, 집중권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티스부(120)의 선단부에는 원주 방향(②) 양측으로 연장되는 티스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티스부(120)는, 예를 들어, 원주 방향(②)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회전자(200)의 외면과 대향하는 내면을 가질 수 있다. 티스부(120)의 선단면(121)에 티스 돌출부(130)가 형성됨으로써 티스부(120)의 선단면(121)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즉, 티스 돌출부(130)의 일부가 티스부(120)의 선단면(121)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티스 돌출부(130)로 인해 티스부(120)의 선단면(121)과 회전자(200)의 외주면이 대향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그 결과, 고정자(10)와 회전자(200)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한 상호작용이 증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부(140)는 연결부(141), 노치부(143) 또는 공간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굽힘부(140)는, 예를 들어, 띠형의 고정부(10)가 환형의 고정부(10)로 변형될 때 절곡되는 부분일 수 있다. 굽힘부(140)는, 예를 들어, 이웃하는 바디부(110)의 측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10)의 측면은 원주 방향(②)을 기준으로 양 끝 면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41)는 양끝단이 서로 다른 바디부(110)의 측면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부(141)는 이웃하는 바디부(110)가 서로 대향하는 측면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41)는, 예를 들어, 바디부(110)의 측면에서 반경 방향(①)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41)는, 예를 들어, 띠형의 고정자(10)가 환형으로 변형될 때 직접적으로 절곡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연결부(141)는, 예를 들어, 양끝단에 연결된 바디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1)는, 예를 들어, 벤딩 가능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치부(143)는 이웃하는 두 바디부(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노치부(143)는, 예를 들어,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치부(143)는, 예를 들어, 연결부(141), 연결부(141)의 일측과 연결된 바디부(이하, 제1 바디부(111)라 함.)의 측면(이하, 제1 측면(111a)이라 함.), 및 연결부(141)의 타측과 연결된 바디부(이하, 제2 바디부(112)라 함.)의 측면(이하, 제2 측면(112a)이라 함.)에 의해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부(111) 및 제2 바디부(112)는 복수의 바디부(110) 중 이웃하는 두 개의 임의의 바디부를 지칭한다. 노치부(143)는, 예를 들어, 연결부(141)의 반대측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즉, 제1 측면(111a)과 제2 측면(112a) 사이에서, 반경 방향(①) 외측은 연결부(141)에 의해 폐쇄되고, 반경 방향(①) 내측은 개구될 수 있다. 노치부(143)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띠형의 고정자(10)는, 예를 들어, 노치부(143)가 닫히는 방향으로 연결부(141)가 절곡됨으로써 환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띠형의 고정자(10)가 환형으로 변형되는 경우, 노치부(143)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111a)의 일부 및 제2 측면(112a)의 일부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부(142)는 연결부(141)와 노치부(14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공간부(142)는, 예를 들어, 띠형의 고정자(10)가 환형으로 변형되는 경우, 홀(hole)의 형상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 공간부(142)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111a)의 선단부 또는 제2 측면(112a)의 선단부에 홈(111b)(recess)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단부는 제1 측면(111a) 또는 제2 측면(112a)에서 연결부(141)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를 의미한다. 띠형의 고정자(10)가 환형으로 절곡된 경우, 홈(111b)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제1 바디부(111)와 제2 바디부(112)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홈(111b)에 의해 제1 측면(111a)과 제2 측면(112a)이 접촉하는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고정자(10)는, 바디부(110)의 반경 방향(①)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고유 진동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10)의 반경 방향(①)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 고정자(10)의 고유 진동수는 작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바디부(110)의 반경 방향(①)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고정자(10)의 고유 진동수는 커지게 된다. 하지만, 고유 진동수를 결정하기 위해 바디부(110)의 반경 방향(①) 두께를 얇게 구성할 경우, 전자기적으로 자기 포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바디부(110)의 반경 방향(①) 두께를 두껍게 구성할 경우, 고정자(10)의 무게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이웃하는 바디부(110)가 접하는 부분에 홈(111b)을 형성함으로써, 고정자(10)의 고유 진동수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141)의 절곡에 의해 제1 측면(111a)과 제2 측면(112a)이 접하는 제1 구간(R1)과, 홈(111b)에 의해 이격된 제2 구간(R2)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2 구간(R2)의 길이는 홈(111b)의 제1 길이(D1)(예: 반경 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제1 구간(R1)의 길이와 제2 구간(R2)의 길이는 서로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제1 구간(R1)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2 구간(R2)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홈(111b)의 제1 길이(D1)에 수직한 방향인 제2 길이(D2)는 제2 구간(R2)에서 제1 바디부(111)의 일부와 제2 바디부(112)의 일부가 원주 방향(①)으로 이격된 거리일 수 있다. 홈(111b)의 제2 길이(D2)는 제2 구간(R2)에서 제1 바디부(111)와 제2 바디부(112)가 접촉되지 않을 정도면 족하다. 제2 길이(D2)가 길어지는 경우, 제1 바디부(111)와 제2 바디부(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이 두꺼워져 회전자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고정자(10)의 고유 진동수는, 예를 들어, 홈(111b)의 제1 길이(D1)(또는 제2 구간(R2)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구간(R2)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고정자(10)의 고유 진동수가 작아질 수 있다. 즉, 제2 구간(R2)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1 측면(111a)과 제2 측면(112a)이 접하는 면적이 감소하는 경우, 바디부(110)의 반경 방향(①)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200)는 고정자(10)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에 배치되어 회전 샤프트(예: 도 12의 회전 샤프트(127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자(10)의 내측에 환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티스부(120)의 선단면(121)은 회전자(200)가 회전할 수 있는 중공부(150)를 구획할 수 있다. 회전자(200)는, 예를 들어, 고정자(10)의 중공부(150)에 삽입되어 티스부(120)의 선단면(121)과 대향되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티스부(120)의 선단면(121)과 회전자(200)의 외주면 사이에는 회전자(200)의 회전을 위한 공극(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200)는, 예를 들어, 각각의 티스부(120)와 동일한 간격의 공극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200)는 회전 샤프트 삽입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 삽입홀(210)에는, 예를 들어, 회전 샤프트(예: 도 12의 회전 샤프트(1270))가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회전자(200)는, 예를 들어, 회전 샤프트(예: 도 12의 회전 샤프트(127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200)의 내부에 복수의 영구 자석이 삽입될 수 있다. 회전자(200)의 내부에 수용된 영구 자석은, 고정자(10)에 전류가 인가될 때 형성되는 회전자계와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즉, 영구 자석이 고정자(10)와 척력 및 인력을 형성함으로써 회전자(200)가 회전할 수 있다. 영구 자석은, 예를 들어, 희토류계 자석일 수 있다. 영구 자석의 극수는 2극, 4극 또는 8극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자(10)의 티스부(120)에 권선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면, 각 코일의 극성이 순차적으로 변하면서 티스부(120)에서 회전자계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200)에는 영구 자석에 의해 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티스부(120)에서 발생되는 회전자계의 극성과 영구 자석에 의한 극성이 동일한 경우 발생되는 척력과, 극성이 상이한 경우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회전자(200)에 회전력이 인가된다. 그 결과, 회전자(200)는 회전 샤프트(예: 도 12의 회전 샤프트(127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되기 전의 고정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된 후의 고정자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자(40)는 복수의 요소 고정자(400) 또는 굽힘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요소 고정자(400) 또는 굽힘부(44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복수의 요소 고정자(100) 또는 굽힘부(14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제3 바디부(411) 및 제4 바디부(412)는 복수의 바디부(410) 중 이웃하는 두 개의 임의의 바디부를 지칭한다. 제3 바디부(411)는 원주 방향(②)의 일측면인 제3 측면(411a)을 포함하고, 제4 바디부(412)는 제3 측면(411a)에 대향하는 제4 측면(41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측면(411a)의 선단부 또는 제4 측면(412a)의 선단부에는 홈(411b)이 형성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대해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측면(411a)은 접촉 돌기부(4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돌기부(411c)는, 예를 들어, 연결부(441)와 제3 측면(411a)의 선단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측면(412a)은 접촉 홈(4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홈(412c)은, 예를 들어, 연결부(441)와 제4 측면(412a)의 선단부 사이에 접촉 돌기부(411c)가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제3 측면(411a)이 접촉 홈(412c)을 포함하고, 제4 측면(412a)이 접촉 돌기부(411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441)가 절곡되어 띠형의 고정자(40)가 환형으로 변형되는 경우, 접촉 돌기부(411c)의 일부와 접촉 홈(412c)의 일부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제3 측면(411a) 중 접촉 돌기부(411c)와 공간부(442) 사이의 부분과 제4 측면(412a) 중 접촉 홈(412c)과 공간부(442) 사이의 부분은 서로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돌기부(411c)의 제3 측면(411a)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H1)는 접촉 홈(412c)의 제4 측면(412a)에 수직한 방향으로 파여진 길이(H2)보다 길 수 있다. 즉,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은 서로 대응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은, 예를 들어, 반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서로 반경이 다른 반원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41)가 절곡될 때, 제3 측면(411a)과 제4 측면(412a)은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 이외에 다른 부분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고정자(40)는 다수의 자성 강판이 적층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데, 제3 측면(411a)과 제4 측면(412a)이 평평하지 않아, 제조되는 고정자(40)마다 제3 측면(411a)과 제4 측면(412a)의 접하는 면이 불규칙하게 되어, 일정 범위 내의 고유 진동수 특성을 유지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고유 진동수값을 가지는 다수의 고정자(40)를 제조하기 위해, 제3 측면(411a)과 제4 측면(412a)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측면(411a)에서 접촉 돌기부(411c)의 단면의 반경 방향(①) 길이(W1)는 제4 측면(412a)에서 접촉 홈(412c)의 단면의 반경 방향(①) 길이(W2)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 간의 접촉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441)의 절곡에 의해,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이 접하는 부분과 공간부(442) 사이의 구간인 제3 구간(R3)과,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이 접하는 부분과 제3 측면(411a)의 선단부 사이의 구간인 제4 구간(R4)이 도시되어 있다. 제3 구간(R3)은, 예를 들어, 제3 측면(411a) 및 제4 측면(412a)이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보는 구간(또는 접촉하는 구간)에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 사이 이격된 부분의 일부를 더한 구간일 수 있다. 즉, 제4 구간(R4)은, 예를 들어, 홈(411b)의 반경 방향(①) 길이에 접촉 돌기부(411c)와 접촉 홈(412c) 사이 이격된 부분의 일부를 더한 구간일 수 있다. 즉, 제4 구간(R4)은 홈(411b)에 의해 이격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간(R3)의 길이와 제4 구간(R4)의 길이는 서로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제3 구간(R3)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4 구간(R4)의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는, 예를 들어, 제4 구간(R4)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4 구간(R4)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가 작아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의 굽힘부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a 내지 도 6e의 고유 진동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고정자(40)는 복수의 요소 고정자(400) 또는 굽힘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복수의 요소 고정자(400) 또는 굽힘부(44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의 복수의 요소 고정자(100 또는 400) 또는 굽힘부(140 또는 44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고정자(40)를 기준으로, 제3 구간(R3) 및 제4 구간(R4)의 길이 차이에 따른 고유 진동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지만, 아래의 설명은 도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고정자(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5의 제3 구간(R3)은 도 3의 제1 구간(R1)에 대응되고, 도 5의 제4 구간(R4)은 도 3의 제2 구간(R2)에 대응될 수 있다.
바디부(410)의 반경 방향(①)의 두께를 기준으로 제4 구간(R4)이 차지하는 비율은,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고정자(40)에서 12.5%, 도 6b에 도시된 고정자(40)에서 25%, 도 6c에 도시된 고정자(40)에서 37.5%, 도 6d에 도시된 고정자(40)에서 50%, 또는 도 6e에 도시된 고정자(40)에서 62.5%일 수 있다. 이처럼, 제3 바디부(411)의 제3 측면(411a) 및 제4 바디부(412)의 제4 측면(412a) 내에서 접촉 돌기부(411c) 및 접촉 홈(412c)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제4 구간(R4)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접촉 돌기부(411c) 및 접촉 홈(412c)은, 예를 들어, 제4 구간(R4)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할수록 연결부(441) 또는 공간부(442)에 가까운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구간(R4)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홈(411b)의 반경 방향(①) 길이 또한 길어질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4 구간(R4)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가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에서 x축은 바디부(410)의 반경 방향 두께 대비 제4 구간(R4)의 길이의 비율(이하, 제1 비율이라 함.)이고, y축은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이다. 제4 구간(R4)의 길이에 따라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는 비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제1 비율에 따른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의 변화량은, 예를 들어, 2차 함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비율이 0% 내지 25%인 구간에서는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의 변화량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비율이 25% 이상인 경우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의 변화량이 유의미하게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자(40)의 고유 진동수를 결정할 때 제1 비율이 25% 이상인 구간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제1 비율은 연결부(441) 및 공간부(442)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인해, 일정 비율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없다. 제4 구간(R4)의 제1 비율은, 예를 들어, 최대 약 62.5%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441) 및 공간부(442)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촉 돌기부와 접촉 홈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고정자(80a 또는 80b)는 복수의 바디부(810), 굽힘부(840), 접촉 돌기부(예: 제2 접촉 돌기부(811c) 또는 제3 접촉 돌기부(811d)) 또는 접촉 홈(예: 제2 접촉 홈(812c) 또는 제3 접촉 홈(812d))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복수의 바디부(810), 굽힘부(840), 접촉 돌기부(예: 제2 접촉 돌기부(811c) 또는 제3 접촉 돌기부(811d)) 또는 접촉 홈(예: 제2 접촉 홈(812c) 또는 제3 접촉 홈(812d))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의 복수의 바디부(410), 굽힘부(440), 접촉 돌기부(411c) 또는 접촉 홈(412c)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촉 돌기부(811c)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접촉 홈(812c) 또한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파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촉 돌기부(811c)의 제3 측면(811a)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H3)는 제2 접촉 홈(812c)의 제4 측면(812a)에 수직한 방향으로 파여진 길이(H4)보다 길 수 있다. 즉, 제2 접촉 돌기부(811c)와 제2 접촉 홈(812c)은 서로 대응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측면(811a)에서 제2 접촉 돌기부(811c)의 단면의 반경 방향 길이(W3)는 제4 측면(812a)에서 제2 접촉 홈(812c)의 단면의 반경 방향 길이(W4)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접촉 돌기부(811d)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3 접촉 홈(812d) 또한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파여질 수 있다. 제3 접촉 돌기부(811d)는, 예를 들어, 제3 측면(811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드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3 접촉 홈(812d)은, 예를 들어, 제4 측면(812a)에서 파여질수록 폭이 줄어드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제3 접촉 돌기부(811d)의 제3 측면(811a)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H5)는, 예를 들어 제3 접촉 홈(812d)의 제4 측면(812a)에 수직한 방향으로 파여진 길이(H6)보다 길 수 있다. 제3 측면(811a)에서 제3 접촉 돌기부(811d)의 단면의 반경 방향 길이(W5)는, 예를 들어, 제4 측면(812a)에서 제3 접촉 홈(812d)의 단면의 반경 방향 길이(W6)보다 짧을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000)는 청소기 본체(1100), 흡입 모터(1200), 집진 장치(1300), 손잡이부(1600), 스틱(1400), 흡입헤드(1500), 배터리(1110) 또는 제어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터(1200)는 진공 청소기(1000) 외에 다양한 가전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흡입 모터(1200)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00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진공 청소기(1000)는, 도1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자들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1100)의 내부에는 흡입 모터(1200), 배터리(1110), 또는 제어부(1120)가 수용될 수 있다. 흡입 모터(1200)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100)의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배터리(1110)는, 예를 들어, 흡입 모터(1200)에 전원은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120)는, 예를 들어, 흡입 모터(1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흡입 모터(1200)의 구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본체(1100)는 스틱(1400)에 의해 흡입헤드(1500)와 연결될 수 있다. 스틱(1400)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청소기 본체(1100)의 내부 또는 주변에는 이물질을 모으는 집진 장치(1300)가 마련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00)는, 예를 들어, 흡입 모터(1200)가 구동되면 흡입헤드(1500)와 접하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된 이물질은 스틱(1400)을 지나서 집진 장치(1300)에 수용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진공 청소기(1000)를 조작하도록 구비된 손잡이부(16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B 평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흡입 모터(1200)는 하우징(1210), 모터 모듈(1230), 임펠러(1220), 디퓨저(1241), 또는 회전 샤프트(1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흡입 모터(1200)는 도 9의 흡입 모터(1200)와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시된 흡입 모터(1200)의 고정자(1250) 및 회전자(1260)는 도 1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자들 중 어느 하나의 고정자일 수 있다. 이하, 고정자(1250) 및 회전자(1260)에 대한 설명 중 도 1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된 내용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모터(1200)는 하우징(1210) 및 하우징(1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듈(1230)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210)은 제1 하우징(1211), 제1 하우징(1211)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제2 하우징(1212), 및 제2 하우징(1212)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제3 하우징(12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0)은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11) 및 제2 하우징(1212)은, 예를 들어, 회전 샤프트(1270)의 축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12) 및 제3 하우징(1213)은, 예를 들어, 회전 샤프트(1270)의 축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11)은, 예를 들어, 모터 모듈(123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하우징(12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12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1213)은, 예를 들어, 흡입구(1211a)를 통해 하우징(1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출구(1213a)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11), 제2 하우징(1212) 및 제3 하우징이 결합하여 흡입구(1211a)로부터 배출구(1213a)로 이어지는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210)은, 예를 들어, 내부에 모터 모듈(1230), 임펠러(1220), 및 디퓨저(1241)와 같은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펠러(1220)는, 허브(1223), 샤프트 결합 부재(1221) 또는 복수의 날개(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220)는,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211)의 흡입구(1211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임펠러(1220)는, 예를 들어, 샤프트 결합 부재(1221)에 의해 모터 모듈(1230)의 회전 샤프트(1270)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 결합 부재(1221)와 회전 샤프트(1270)의 결합에 의해, 임펠러(1220)는 회전자(126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 결합 부재(1221)는, 예를 들어, 허브(1223)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허브(1223)는, 예를 들어, 흡입구(12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허브(1223)는, 예를 들어, 흡입구(1211a)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 샤프트(1270)의 반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222)는, 예를 들어, 허브(1223)의 외면(또는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222)는 회전자(1260)에 의해 임펠러(1220)가 회전할 때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퓨저(1241)는 하우징(1210)(예: 제2 하우징(121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디퓨저(1241)는, 예를 들어, 하우징(1210)(예: 제2 하우징(1212))의 내주면을 따라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저(1241)는, 예를 들어, 복수의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저(1241)는, 예를 들어, 임펠러(122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면서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모듈(1230)은 모터 프레임(1240a, 1240b), 고정자(1250) 및 회전자(126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모듈(1230)은 하우징(12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은, 상부 모터 프레임(1240a, 1240b) 및 하부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터 프레임(1240a, 1240b) 및 하우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은 사이에 고정자(1250) 및 회전자(1260)를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즉,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의 내부에 고정자(1250) 및 회전자(1260)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모터 프레임(1240a, 1240b) 및 하부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은 결합 부재(124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242)는 스크류일 수 있다. 모터 프레임(1240a, 1240b)(예: 상부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은 임펠러(12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 프레임(1240a, 1240b)(예: 상부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은 외주면이 디퓨저(1241)의 내주면과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디퓨저(1241)는 제2 하우징(1212)과 모터 프레임(1240a, 124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자(125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자(1250)의 중공부에는 회전자(1260)가 위치할 수 있다. 고정자(1250)와 회전자(1260)는 전류가 가해지면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샤프트(1270)는, 회전자(1260)의 회전 샤프트 삽입 홀을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270)의 흡입구(1211a)에 인접한 단부에는, 예를 들어, 임펠러(12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샤프트(1270)는 회전자(1260)의 회전력을 임펠러(1220)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270)에는 회전을 위해 제1 베어링(1291) 및 제2 베어링(129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어링(1291)은, 예를 들어,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의 상부에서 회전 샤프트(127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베어링(1291)은 모터 프레임(1240a, 1240b)과 임펠러(1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어링(1292)은, 예를 들어, 모터 프레임(1240a, 1240b)의 하부에서 회전 샤프트(127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진공청소기 동작에 따른 주파수 영역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의 진동 영역(V)이 도시되어 있다. 진공 청소기(1000)는 흡입 세기에 따른 복수의 동작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청소기(1000)의 제어부(1120)는 흡입 세기에 따라 흡입 모터(1200)의 회전자(126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00)의 흡입 세기가 증가할수록 진공 청소기(1000)에서 발생되는 진동수는 증가할 수 있다.
진동 영역(V)은 제1 진동 영역(V1) 및 제2 진동 영역(V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진동 영역(V1)은 회전자(1260)의 회전속도에 해당하는 진동 영역일 수 있다. 흡입 모터(1200)의 회전자(1260)에서는 흡입 세기에 따라 제1 진동 영역(V1) 내의 진동수가 발생될 수 있다. 제2 진동 영역(V2)은 모터 모듈(1230) 내의 영구 자석의 극수에 따라 가변하는 진동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모듈(1230) 내의 영구 자석의 극수가 4극인 경우, 제2 진동 영역(V2)은 제1 진동 영역(V1)의 주파수 범위에 4배에 해당하는 진동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영구 자석의 극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수는 회전자(126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수보다 4배 큰 진동수(4극을 예로 들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진동 영역(V2)의 범위는 제1 진동 영역(V1)의 범위보다 4배 넓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00)는, 모터 모듈(1230)의 고정자(1250)의 고유 진동수가 제1 진동 영역(V1) 및 제2 진동 영역(V2)을 제외한 다른 진동수 영역(예: 타겟 영역(T))을 갖도록 설계하여 동작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자(1250)는 고유 진동수가 제1 진동 영역(V1) 및 제2 진동 영역(V2) 사이에 해당하는 값을 갖도록 하는 도 1 내지 도 8b에 따른 고정자를 설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설계된,'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또는 '~를 할 수 있는' 등과 적절히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이,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장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장치일 수도 있고, 해당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상측”,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전술한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개시가 그러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7)

  1. 띠형 또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고정자로서,
    복수의 티스부;
    상기 복수의 티스부 각각의 일단에 배치된 복수의 바디부; 및
    상기 복수의 바디부 중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바디부의 제1 측면 및 제2 바디부의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선단부 또는 상기 제2 측면의 선단부에 홈(recess)이 형성된, 고정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절곡시켜 상기 복수의 티스부가 내측 방향을 향하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어 상기 고정자가 환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공간부와 상기 홈 사이의 부분이 접하는, 고정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어 상기 고정자가 환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홈의 반경 방향 깊이는,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바디부의 반경 방향 폭의 25%보다 큰, 고정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측면의 선단부 사이에 돌출된 접촉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접촉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촉 돌기부가 인입되도록 형성된 접촉 홈을 포함하는, 고정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어 상기 고정자가 환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접촉 돌기부의 일부와 상기 접촉 홈의 일부만 접하도록 구성된, 고정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부의 상기 제1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접촉 홈의 상기 제2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파여진 길이보다 긴, 고정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접촉 돌기부의 단면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접촉 홈의 단면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짧은, 고정자.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어 상기 고정자가 환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접촉 돌기부 및 상기 접촉 홈이 접하는 부분과 상기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의 선단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바디부의 반경 방향 폭의 25%보다 큰, 고정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바디부 중 이웃하는 바디부의 사이마다 마련된, 고정자.
  11. 회전자;
    상기 회전자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자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티스부 및 상기 복수의 티스부 각각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바디부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부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자는,
    상기 복수의 바디부 중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바디부의 제1 측면 및 제2 바디부의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선단부 또는 상기 제2 측면의 선단부에 홈(recess)이 형성된,
    흡입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어 상기 고정자가 환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홈의 반경 방향 깊이는,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바디부의 반경 방향 폭의 25%보다 큰, 흡입 모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측면의 선단부 사이에 돌출된 접촉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접촉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촉 돌기부가 인입되도록 형성된 접촉 홈을 포함하는, 흡입 모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돌기부의 상기 제1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접촉 홈의 상기 제2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파여진 길이보다 긴, 흡입 모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접촉 돌기부의 단면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접촉 홈의 단면의 반경 방향 길이보다 짧은, 흡입 모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어 상기 고정자가 환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접촉 돌기부 및 상기 접촉 홈이 접하는 부분과 상기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의 선단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바디부의 반경 방향 폭의 25%보다 큰, 흡입 모터.
  17.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흡입헤드;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1항 내지 제16항에 따른 흡입 모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210160094A 2021-11-19 2021-11-19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 KR20230073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094A KR20230073568A (ko) 2021-11-19 2021-11-19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
PCT/KR2022/013181 WO2023090600A1 (ko) 2021-11-19 2022-09-02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094A KR20230073568A (ko) 2021-11-19 2021-11-19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568A true KR20230073568A (ko) 2023-05-26

Family

ID=8639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094A KR20230073568A (ko) 2021-11-19 2021-11-19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3568A (ko)
WO (1) WO20230906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4599B2 (ja) * 2002-05-02 2005-07-20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電動機鉄心、電動機及び電動機鉄心の製造方法
JP4753011B2 (ja) * 2005-07-28 2011-08-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機子コア及びモータ
KR101317892B1 (ko) * 2011-01-24 2013-10-16 주식회사 아모텍 비정질 스테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5859112B2 (ja) * 2012-03-15 2016-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電機子、及び回転電機の電機子の製造方法
CN109412284A (zh) * 2018-11-20 2019-03-01 卧龙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铰链式定子及其成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600A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0306B2 (en) Brushless DC motor
JP5957767B2 (ja) モータの回転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ァン駆動用モータ
JP7090767B2 (ja) モータ、送風機、電気掃除機および手乾燥装置
US20170338715A1 (en) Motor
JP7265997B2 (ja) モータ
CN113228477A (zh) 马达组件、制造马达组件的方法及具有马达组件的清洁器
US20120219438A1 (en) Fuel pump motor
EP3760878B1 (en) Electric blowe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yer
JP6390647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US20170222501A1 (en) Blower
KR20230073568A (ko) 고정자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모터
US11245293B2 (en) Motor stator with dovetail or rectangular mount structure and stator teeth airgap width ratio
US11502561B2 (en) Stator, motor, fan, vacuum cleaner, and hand dryer
KR101781877B1 (ko) 스포크 타입 로터와 이를 이용한 모터 및 식기세척기
KR20100068871A (ko) 평각선을 이용한 전동기용 고정자
KR20090019627A (ko)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CN216312775U (zh) 一种定子冲片及应用该定子冲片的电泵
WO2019167152A1 (ja) モータ、電動送風機、電気掃除機および手乾燥装置
JP7368207B2 (ja) フラックススイッチングモータ、ファンモータ、およびスティック型の掃除機
KR102546981B1 (ko) 소음저감성능을 개선시킨 bldc 모터의 로터하우징
KR101448647B1 (ko) 모터
KR20100005890A (ko) 모터
JP2014107951A (ja) モータ
KR102486345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용 모터
KR102390035B1 (ko) 자속 집중형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