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193A - 레이더 간섭하의 셀룰러 통신들 - Google Patents

레이더 간섭하의 셀룰러 통신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193A
KR20230073193A KR1020237008714A KR20237008714A KR20230073193A KR 20230073193 A KR20230073193 A KR 20230073193A KR 1020237008714 A KR1020237008714 A KR 1020237008714A KR 20237008714 A KR20237008714 A KR 20237008714A KR 20230073193 A KR20230073193 A KR 20230073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ar
base station
signals
resources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민 두안
알렉산드로스 마놀라코스
세용 박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03Bistatic radar systems; Multistatic rada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03Transmission of data between radar, sonar or lidar systems and remote stations
    • G01S7/006Transmission of data between radar, sonar or lidar systems and remote stations using shared front-end circuitry, e.g. antenn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01S7/0232Avoidance by frequency multiple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3Interference mitigation, e.g. reducing or avoiding non-intentional interference with other HF-transmitters, base station transmitters for mobile communication or other radar systems, e.g.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reduction techniques
    • G01S7/0235Avoidance by time multi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04W72/51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for low-latency requirements, e.g. URL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10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4K2203/16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5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arget signal or of transmission, e.g.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or fast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무선 시스템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신호들의 간섭들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들이 상이한 라디오 주파수 자원들을 이용해 전송되도록 레이더 신호들과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전송기들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들은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단계 및/또는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간섭하의 셀룰러 통신들
[0001] 셀룰러 통신 시스템(cellular communication system)들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들에서,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들은 데이터 통신과 기타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점점 더 높은 대역폭(bandwidth)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 세대(Fifth Generation: 5G) NR(New Radio), 6 세대(6G), 그리고 그 이상에서 할당된 대역폭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들과 서비스들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들과 레이더 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내 기지국(base station)들은 셀룰러 RF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한 레이더 감지를 위해 레이더 전송기(radar transmitter)들 및/또는 수신기(receiver)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할당된 주파수 대역내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의 공존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 신호(data communication signal)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radar sensing signal)들간에 상당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0002]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시스템(wireless system)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동 무선 통신과 RF 감지를 위한 무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들 간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부품들, 장치들, 방법들, 절차(procedure)들, 명령들, 코드, 컴퓨터 저장 매체(computer storage medium)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발명적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다.
[0003] 소정의 양상들에 따르면,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제2 기지국으로(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radar server)를 통해) UE(user equipment)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 전송(uplink data transmission)을 위한 자원(resource)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단계;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자원들의 목록을 이용해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uplink data)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04] 몇몇 양상들에서, 자원들의 목록은 상이한 슬롯(slot)들, 심볼(symbol)들, 그리고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들과 같은 라디오 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들을 전송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과 시간 도메인(time domain) 자원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방법은 레이더 서버로 자원들의 목록의 각각의 자원과 연관된 개개의 우선순위 레벨(priority level)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개의 우선순위 레벨에 기반하여, 레이더 서버는 제2 기지국을 뮤트하기 위한 스케줄을 결정하고, 제2 기지국으로 제2 기지국을 뮤트하기 위한 스케줄을 송신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는 URLLC(Ultra-Reliable Low- Latency)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UE를 위한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일 수도 있고 또한 제2 기지국을 레이더 전송기로 하는 바이스태틱 레이더(bistatic radar)의 레이더 수신기일 수도 있다. 제1 기지국은 LTE(Long-Term Evolution), 5G NR(New Radio), 또는 6G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을 위한 기지국(base st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0005] 소정의 양상들에 따르면,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레이더 전송기(radar transmitter)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빔(radar beam)에 관한 정보를 레이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빔이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도록 결정되는 수신 빔(receive beam)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수신 빔을 이용해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06] 몇몇 양상들에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boresight direction), 빔 폭(beam width),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방법은 또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디폴트 수신 빔(default receive beam)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폴트 수신 빔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수신 빔을 이용해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 빔을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에 포함될 수 있다.
[0007] 소정의 양상들에 따르면, 방법은, 레이더 전송기와 UE(User Equipment)를 위한 서빙 기지국 둘 다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이용가능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레이더 수신기(radar receiver)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1 기지국에 의해, UE 및 제2 기지국 또는 레이더 타깃(radar target) 중 적어도 하나로 다운링크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08] 몇몇 양상들에서, 기준 신호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TRS(tracking reference 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기준 신호는 RRS(Radar Reference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RRS는 롱-텀 이볼루션(LTE), 5세대(5G) 뉴 라디오(NR), 또는 6세대(6G)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에서 CSI-RS, TRS, DMRA,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를 위한 QCL(Quasi-Colocation)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는 기준 신호의 복호화 ID(descrambling ID), 시퀀스(sequence), 또는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방법은 또한, 제2 기지국에 의해, 조준선 경로(line-of-sight path)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신호들, 그리고 레이더 타깃에 의해 반사된 통신 신호들의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09] 소정의 양상들에 따르면, 방법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QCL)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UE)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QCL) 구성을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UE로 QCL 구성에 기반하여 UE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10] 몇몇 양상들에서, 방법은 또한, UE에 의해,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UE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디폴트 수신 빔(default receive beam)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소정의 양상들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송수신기, 메모리, 그리고 송수신기 및 메모리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2] 소정의 양상들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상기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13] 소정의 양상들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는 매체에 내장된 명령들을 가질 수 있으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processing unit)들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상기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0014] 본 개요는 청구된 요지의 핵심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요지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단독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도 않았다. 요지는 본 개시의 전체 명세서의 적절한 부분들, 임의의 또는 전체 도면들, 그리고 각각의 청구항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내용은, 기타 특징들과 예들과 함께, 이하의 명세서, 청구항들, 그리고 첨부 도면들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0015] 본 개시의 양상들은 예로서 예시된다. 비-제한적이고 비-포괄적인 양상들이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0016] 도 1은 2 개 이상의 기지국들이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바이스태틱(bistatic) 또는 다중-스태틱(multi-static) 레이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시스템(wireless system)의 예의 개략도이다.
[0017]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소정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5G NR(Fifth Generation(5G) New Radio(NR))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0018] 도 3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0019] 도 4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예를 예시한다.
[0020] 도 5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더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의 블록도를 포함한다.
[0021] 도 6은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 간섭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0022] 도 7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는 예를 예시한다.
[0023] 도 8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더 전송기(들)을 구성함으로써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단순 흐름도를 포함한다.
[0024] 도 9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기지국을 구성함으로써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단순 흐름도를 포함한다.
[0025] 도 10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를 예시한다.
[0026] 도 11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기지국(또는 레이더 전송기)을 구성함으로써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단순 흐름도를 포함한다.
[0027] 도 12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UE를 구성함으로써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단순 흐름도를 포함한다.
[0028] 도 13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UE의 예를 예시한다.
[0029] 도 14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기지국의 예를 예시한다.
[0030] 도 15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예의 블록도이다.
[0031]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다양한 도면들에 걸쳐서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한다. 또한, 컴포넌트의 다수의 사례들은 참조 번호 다음에 제2 라벨(예를 들어, 문자 또는 숫자), 또는 대시(dash) 및 제2 라벨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제1 참조 라벨만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제2 라벨에 관계없이 동일한 제1 참조 번호를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컴포넌트에 대해 상세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0032]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공동 무선 통신과 RF 감지를 위한 무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들간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컴포넌트들, 장치들, 방법들, 절차(procedure)들, 명령들, 코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발명적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다.
[0033]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롱-텀 이볼루션(LTE), 5세대(5G) 뉴 라디오(NR), 또는 6세대(6G)와 같은 고 대역폭을 갖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TE, 5G NR, 6G, 그리고 미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새로운 유형들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서비스들이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과 레이더 감지와 같은 포지셔닝 및/또는 라디오 주파수(RF) 감지 둘 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이더 감지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또는 전송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들은 셀룰러 RF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하여 타깃 물체들의 거리, 속도, 각도, 그리고 기타 특성들을 감지하기 위해 모노스태틱, 바이스태틱, 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들을 위한 레이더 전송기들 및/또는 수신기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위한 동일한 할당 스펙트럼내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의 공존은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들간에 상당한 간섭들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서빙 기지국과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에서,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감지 신호들은 UE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은 낮은 신호-대-간섭-및-잡음비(low signal-to-interference-and-noise ratio: SINR)를 가질 수 있어 디코딩이 어려울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레이더 전송기들로서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감지 신호들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UE로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 UE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은 낮은 SINR을 가질 수 있고 디코딩이 어려울 수 있다.
[0034]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신호들의 간섭은 레이더 신호들과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전송기들 및/또는 수신기들을 구성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신호들의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레이더 전송기들이 무선 시스템에서 사용될 때 뮤팅 패턴(muting pattern)에 따라서와 같이 레이더 전송기들은 업링크 데이터 통신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자원들을 이용해 구성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통신과 간섭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빔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서빙 기지국(또한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튜닝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레이더 서버는 서빙 기지국으로 레이더 빔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레이더 빔에 관한 빔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기지국은 스스로 제1 빔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1 빔과 충돌하지 않는 제2 빔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0035]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신호들의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또한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은 LTE 또는 5G NR에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들,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들, 복조 기준 신호(DMRS)들, 또는 트래킹 기준 신호(TRS)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내 기준 신호는 또한 레이더 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한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를 통해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디스크램블링 ID, 시퀀스, 그리고 자원 할당과 같은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레이더 수신기에 통신할 수 있다. 그 다음 레이더 수신기는 스스로 레이더 감지 목적들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데이터 통신들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을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은 레이더 감지를 위한 레이더 기준 신호(Radar Reference Signal: RRS)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은 서빙 기지국의 QCL 소스를 조절하고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빔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UE를 튜닝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0036]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사용자 장비(UE)" 및 "기지국"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특정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로 특정되거나 달리 제한되도록 하기 위함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UE는 무선 통신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이동 전화(mobile phone), 라우터(ro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웨어러블(wearable)(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안경,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헤드셋 등), 차량(예를 들어, 자동차, 모터사이클, 자전거 등),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UE는 이동하거나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UE"는 "액세스 단말기(access terminal)" 또는 "AT", "클라이언트 디바이스(client device)", "무선 디바이스(wireless device)"(또는 UT), "이동 디바이스(mobile device)",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또는 이들의 변형들로서 상호교환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들은 RAN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통신할 수 있으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UE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 및 다른 UE들과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wired access network)들, (예를 들어, IEEE802.11 등에 기반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들 등을 통하는 것과 같이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연결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또한 UE들에 대해 가능하다.
[0037] 기지국은 기지국이 배치되는 네트워크에 종속되는 UE들과 통신시 여러 RAT들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대안으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 NodeB, 이볼브드 NodeB(eNB), 차세대 eNB(ng-eNB), (gNB 또는 gNodeB로서 또한 지칭되는) 뉴 라디오(New Radio: NR) Node B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NR 시스템들에서, 용어 "셀(cell)"과 차세대 NodeB(gNB), 뉴 라디오 기지국(NR BS), 5G NB,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전송 수신 포인트(TRP)는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주로 UE들에 의해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며, 지원된 UE들을 위한 보조 데이터, 음성, 및/또는 시그널링 연결들을 포함한다. 몇몇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은 순수하게 에지 노드 시그널링 기능(edge node signaling function)들을 제공하는 반면에, 다른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은 추가적인 제어 및/또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UE들이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UL) 채널(예를 들어, 리버스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 리버스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로 불리운다. 기지국이 UE들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DL) 또는 포워드 링크 채널(forward link channel)(예를 들어,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제어 채널,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포워드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 등)로 불리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트래픽 채널(TCH)은 업링크/리버스 트래픽 채널 또는 다운링크/포워드 트래픽 채널을 지칭할 수 있다.
[0038] 몇몇 실시예들에서, 용어 "기지국"은 단일 물리적 전송-수신 포인트(single physical 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공존하거나 공존하지 않을 수 있는 다수의 물리적 TRP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어 "기지국"은 단일 물리적 TRP를 지칭하며, 물리적 TRP는 기지국의 셀(또는 여러 셀 섹터(cell sector)들)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일 수 있다. 용어 "기지국"은 다수의 공존 물리적 TRP들을 지칭하며, 물리적 TRP들은 기지국의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서와 같이 또는 기지국이 빔 포밍을 활용하는) 안테나들의 배열일 수 있다. 용어 "기지국"은 다수의 비공존 물리적 TRP들을 지칭하며, 물리적 TRP들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irstributed antenna system: DAS)(전송 매체(transport medium)를 통해 공통 소스에 연결된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들의 네트워크)이거나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 RRH)(서빙 기지국에 연결된 원격 기지국)일 수 있다. 대안으로, 비공존 물리적 TRP들은 UE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서빙 기지국 및 UE가 측정하는 기준 RF 신호들(또는 단순히 "기준 신호들")을 갖는 이웃 기지국일 수 있다. TRP는 기지국이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포인트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 또는 기지국에서 수신에 대한 기준들은 기지국의 특정한 TRP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0039] UE들의 포지셔닝을 지원하는 몇몇 구현들에서, 기지국은 UE들에 의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지만(예를 들어, UE들을 위한 데이터, 음성, 및/또는 시그널링 연결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지만), 대신에 UE들에 의해 측정되어야 할 기준 신호들을 UE들로 전송할 수 있고/있거나, UE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지국은 (예를 들어, UE들로 신호들을 전송할 때) 포지셔닝 비콘(positioning beacon)으로서 지칭되고/되거나 (예를 들어, UE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측정할 때) 위치 측정 유닛(location measurement unit)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0040]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셀(cell)"은 일반적으로 기지국과 통신을 위해 사용된 논리적 통신 엔티티(logical communication entity)를 지칭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상이한 캐리어(carrier)를 통해 동작하는 이웃하는 셀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예를 들어,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 PCID), 가상 셀 식별자(Virtual Cell Identifier: VCID))와 연계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캐리어는 다수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이한 셀들은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타입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이한 프로토콜 타입들(예를 들어, 기계-타입 통신(MTC),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인핸스드 이동 광대역(eMBB), 또는 기타 타입들)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용어 "셀"은 논리적 엔티티가 동작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예를 들어, 섹터)의 일부를 지칭할 수 있다.
[0041]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RF 신호"는 전송기(또는 전송 디바이스)와 수신기(또는 수신 디바이스)간 공간을 통해 정보를 운반하는 주어진 주파수 범위의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전송기는 수신기로 단일 "RF 신호" 또는 다수의 "RF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기는 다중 경로 채널들을 통한 RF 신호들의 전파 특성(propagation characteristic)들로 인해 각각의 전송된 RF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RF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전송기와 수신기간 상이한 경로들 상의 동일한 전송된 RF 신호는 "다중경로" RF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RF 신호는 또한 용어 "신호"가 무선 신호 또는 RF 신호를 지칭하는 것이 문맥으로부터 분명한 경우 "무선 신호" 또는 간단히 "신호"로서 지칭될 수 있다.
[0042] 추가적으로, "기준 신호들", "포지셔닝 기준 신호들", "포지셔닝을 위한 기준 신호들" 등에 대한 기준들은 사용자 장비(UE)의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된 신호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신호들은 다양한 신호 타입들 중 임의의 타입을 포함하지만 관련 무선 표준들에 정의된 바와 같은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에 반드시 제한될 필요는 없다.
[0043]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들에 대하여 기술될 것이다.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들)만을 제공하며 본 개시의 범주, 적용가능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다. 오히려, 실시예(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상세한 설명을 제공할 것이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엘리먼트들의 기능과 배열에 있어 다양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몇몇 예들에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구조들, 어셈블리들, 방법들, 그리고 기타 컴포넌트들은 불필요한 상세함으로 예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블록도 형태의 컴포넌트들로서 도시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잘-알려진 디바이스들, 프로세스들, 시스템들, 구조들, 그리고 기법들은 예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사항 없이 도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과 표현들은 상세한 설명의 용어들로서 사용되고 제한의 용어로서 사용되지 않으며, 이와 같은 용어들과 표현들의 사용에 있어서 도시되고 기술된 특징들의 임의의 균등물들 또는 이들의 일부분들 배제하기 위함이 아니다. 단어 "예(example)"는 본 명세서에서 "예, 사례(instance), 또는 예시로서 역할"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들 또는 설계들보다 선호되거나 장점이 있는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0044]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서, 2 개 이상의 기지국들(120)이 하나 이상의 타깃들(106)을 감지하기 위해 바이스태틱 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100)은 UE(105), 기지국들(120), 액세스 포인트들(130), 레이더 서버(160), 네트워크(170), 외부 클라이언트(180),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5] 레이더 서버(160)는 위치 서버(location server)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레이더 서버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100)내에서 레이더 동작들을 조정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위치 서버가 셀룰러 통신 시스템내에서 포지셔닝 동작들을 조정하고 관리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레이더 서버(160)의 보다 상세한 내용들은,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12에 대하여 이하 기술된다.
[0046] 주목해야 할 것은 도 1은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일반화된 예시만을 제공하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고, 각각은 필요에 따라 복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비록 하나의 UE(105)만이 예시된다고 하더라도, 많은 UE들(예를 들어, 수백, 수천, 수백만 등)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100)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셀룰러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예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기지국들(120) 및/또는 AP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100)에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연결하는 예시된 연결들은 추가적인 (중간) 컴포넌트들, 직접 또는 간접적인 물리적 및/또는 무선 연결들, 및/또는 추가적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 연결들을 포함한다. 또한, 컴포넌트들은 원하는 기능에 따라 재배열, 조합, 분리, 치환, 및/또는 생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외부 클라이언트(180)는 레이더 서버(16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당업자는 예시된 컴포넌트들에 대한 많은 변경들을 인식할 것이다.
[0047] 원하는 기능에 따라, 네트워크(170)는 다양한 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들 중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70)는, 예를 들어, 공중 및/또는 사설 네트워크들, 로컬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들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170)는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70)는, 예를 들어, 셀룰러 또는 다른 모바일 네트워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무선 광역 네트워크(wireless wide-area network: WWAN), 및/또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70)의 예들은 롱-텀 이볼루션(LTE) 무선 네트워크, (뉴 라디오(New Radio: NR) 무선 네트워크 또는 5G NR 무선 네트워크로서 또한 지칭되는) 5G 무선 네트워크, Wi-Fi WLAN, 그리고 인터넷을 포함한다. LTE, 5G 및 NR은 3G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의해 정의되거나 정의되고 있는 무선 기술들이다. 네트워크(170)는 또한 하나 보다 많은 네트워크 및/또는 하나 보다 많은 네트워크의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0048] 기지국들(120)과 액세스 포인트들(AP)(130)은 네트워크(17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기지국들(120)은 셀룰러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소유, 유지, 및/또는 운영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무선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170)의 기술에 따라, 기지국(120)은 노드 B(Node B), 이볼브드 노드 B(eNodeB 또는 eNB),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라디오 기지국(radio base station: RBS), NR NodeB(gNB), 차세대 eNB(ng-eN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NB 또는 ng-eNB인 기지국(120)은 네트워크(170)가 5G 네트워크인 경우에 5G 코어 네트워크(5GC)에 연결될 수 있는 차세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NG-RAN)의 일부일 수 있다. AP(130)는, 예를 들어, Wi-Fi AP 또는 Bluetooth® AP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UE(105)는 제1 통신 링크(133)를 이용하는 기지국(120)을 통해 네트워크(170)를 액세스함으로써 레이더 서버(160)와 같은 네트워크-연결 디바이스들과 함께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AP들(130)이 또한 네트워크(170)와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UE(105)는 제2 통신 링크(135)를 이용하는 레이더 서버(160)를 포함하는 인터넷-연결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0049] 도 2는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이는 5G NR을 구현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100)의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기술된 레이더-관련 기능에 더해,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은,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액세스 노드들(210, 214, 216)(이들은 도 1의 기지국들(120)과 액세스 포인트들(130)에 대응할 수 있다)을 이용함으로써 UE(105)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포지셔닝 시스템으로서 동작하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LMF(220)(이는 레이더 서버(160)에 대응할 수 있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서,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은 UE(105), 그리고 차세대(NG)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NG-RAN)(235)와 5G 코어 네트워크(5G CN)(240)를 포함하는 5G NR 네트워크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5G 네트워크는 또한 NR 네트워크로서 지칭될 수 있고; NG-RAN(235)은 5G RAN 또는 NR RAN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그리고 5G CN(240)은 NG 코어 네트워크로서 지칭될 수 있다.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은 포지셔닝 목적들을 위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또는 유사한 시스템(예를 들어, GLONASS, Galileo, Beidou, 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IRNSS))과 같은 GNSS 시스템의 GNSS 위성들(110)로부터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이하 기술된다.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은 추가적이거나 대안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50] 주목해야 할 것은 도 2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일반화된 예시만을 제공하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고, 각각은 필요에 따라 복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비록 하나의 UE(105)만이 예시된다고 하더라도, 많은 UE(예를 들어, 수백, 수천, 수백만 등)들이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은 보다 많은(또는 보다 적은) 수의 GNSS 위성들(110), gNB들(210), ng-eNB(214),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216), 액세스 및 이동성 기능들(Access and Mobility Function: AMF)(215), 외부 클라이언트들(230), 및/또는 기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에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연결하는 예시된 연결들은 추가적인 (중간) 컴포넌트들, 직접 또는 간접적인 물리적 및/또는 무선 연결들, 및/또는 추가적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 연결들을 포함한다. 또한, 컴포넌트들은 원하는 기능에 따라 재배열, 조합, 분리, 치환, 및/또는 생략될 수 있다.
[0051] UE(105)는 디바이스, 이동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이동 단말기, 단말기, 이동국(mobile station: MS), 보안 사용자 평면 위치(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이네이블드 단말기(Enabled Terminal)(SET)를 포함하고/하거나 디바이스, 이동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이동 단말기, 단말기, 이동국(mobile station: MS), 보안 사용자 평면 위치(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이네이블드 단말기(Enabled Terminal)(SET), 또는 몇몇 다른 이름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UE(105)는 셀폰(cellphone), 스마트폰(smartphone), 랩탑(laptop), 태블릿(tablet), 퍼스널 데이터 어시스턴트(personal data assistant: PDA), 트래킹 디바이스(tracking device),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또는 몇몇 다른 휴대용 또는 이동용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UE(105)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Term Evolution), HRPD(High Rate Packet Data), IEEE 802.11 Wi-Fi®, Bluetooth,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예를 들어, NG-RAN(235) 및 5G CN(240)을 이용하는) 5G NR 등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RAT)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UE(105)는 또한 인터넷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들에 연결될 수 있는 (도 1과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RAT들과 유사한) WLAN(216)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RAT들의 사용은 UE(105)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5G CN(240)의 엘리먼트들을 통해, 또는 가능하게는 게이트웨이 이동 위치 센터(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MLC)(225)를 통해) 외부 클라이언트(230)와 통신하고/하거나 외부 클라이언트(230)가 (예를 들어, GMLC(225)를 통해) UE(105)에 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의 외부 클라이언트(230)는, 5G NR 네트워크에서 구현되거나 5G NR과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바와 같이, 도 1의 외부 클라이언트(180)에 대응할 수 있다.
[0052] UE(105)는, 사용자가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I/O 디바이스들, 및/또는 바디 센서(body sensor)들 및 별개의 유선 또는 무선 모뎀을 이용할 수 있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단일 엔티티(single entity)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엔티티(multiple entity)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105)의 위치의 추정은 위치, 위치 추정, 위치 고정(location fix), 고정, 포지션, 포지션 추정, 또는 포지션 고정으로서 지칭될 수 있고, 측지적일 수 있으며, 따라서 UE(105)에 대한 위치 좌표(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들을 제공하고, 이는 고도 성분(altitude component)(예를 들어, 해발 고도(height above sea level), 지상 고도 또는 지하 깊이, 바닥위 높이 또는 지하실 깊이)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UE(105)의 위치는 도시 위치(civic location)(예를 들어, 우편 주소 또는 특정한 방 또는 층과 같이 빌딩내 몇몇 포인트 또는 작은 영역의 지명)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UE(105)의 위치는 또한 UE(105)가 어떠한 확률 또는 신뢰 수준(예를 들어, 67%, 95% 등)으로 위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측지적으로 또는 도시 형태(civic form)로 정의된) 영역 또는 체적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UE(105)의 위치는 또한, 예를 들어, 도시 용어들로, 또는 지도, 평면도 또는 빌딩 평면도에 표시된 포인트, 영역 또는 체적을 참조하여, 측지학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알려진 위치에서 일부 원점에 대해 정의된 거리 및 방향 또는 상대적인 X, Y(및 Z) 좌표들을 포함하는 상대적인 위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위치의 사용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들 변형들 중 임의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UE의 위치를 계산할 때, 로컬 X, Y, 그리고 가능하면 Z 좌표들을 푼 다음에, 필요하다면, 로컬 좌표들을 (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평균 해발 고도 또는 평균 해수면 아래에 대한) 절대 좌표들로 변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0053] 도 2에 도시된 NG-RAN(235)내 기지국들은 도 1의 기지국들(120)에 대응할 수 있으며 (gNB들(210)로서 본 명세서에서 집합적이고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NR NodeB(gNB)(210-1 및 210-2) 및/또는 gNB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NG-RAN(235)내 gNB들(210)의 쌍들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gNB들(210) 통해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들(gNB들(210) 및/또는 ng-eNB(214))간 통신 인터페이스는 Xn 인터페이스(237)로서 지칭될 수 있다. 5G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는 UE(105)와 하나 이상의 gNB들(210)간 무선 통신을 통해 UE(105)에 제공되며, 이는 5G NR을 이용하는 UE(105) 대신에 5G CN(240)에 대해 무선 통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gNB들(210) 및/또는 ng-eNB(214))들과 UE(105)간 무선 인터페이스는 UE 인터페이스(239)로서 지칭될 수 있다. 5G NR 라디오 액세스는 또한 NR 라디오 액세스 또는 5G 라디오 액세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2에서, UR(105)에 대한 서빙 gNB는 gNB(210-1)인 것으로 가정되지만, UE(105)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 다른 gNB(예를 들어, gNB들(210-2))이 서빙 gNB로서 동작하거나 UE(105)에 추가적인 처리량(throughput)과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보조 gNB로서 동작할 수 있다.
[0054] 도 2에 도시된 NG-RAN(235)내 기지국들은 또한 또는 대신에 ng-eNB로 또한 지칭된 차세대 이볼브드 노드 B(214)를 포함할 수 있다. Ng-eNB(214)는 NG-RAN(235)내 하나 이상의 gNB들(210)에-예를 들어, 다른 gNB들(210) 및/또는 다른 ng-eNB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ng-eNB(214)는 UE(105)에 LTE 무선 액세스 및/또는 이볼브드 LTE(eLTE)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몇몇 gNB들(210)(예를 들어, gNB(210-2)) 및/또는 ng-eNB(214)는 신호들(예를 들어,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을 전송할 수 있고/있거나 UE(105)의 포지셔닝을 도와주도록 보조 데이터를 방송하지만 UE(105) 또는 다른 UE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는 포지셔닝-전용 비콘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비록 도 2에 하나의 ng-eNB(214)만이 도시되지만, 몇몇 실시예들은 다수의 ng-eNB들(214)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지국들(210, 214)은 Xn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기지국들(210, 214)은 LMF(220) 및 AMF(215)와 같은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0055]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은 또한 (예를 들어, 신뢰되지 않는 WLAN(216)의 경우에) 5G CN(240)내 Non-3GPP Interworking Function(N3IWF)(250)와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WLAN들(2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216)은 UE(105)를 위해 IEEE 802.11 Wi-Fi 액세스를 지원하며 하나 이상의 Wi-Fi AP들(예를 들어, 도 1의 AP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3IWF(250)는 AMF(215)와 같은 5G CN(240)내 다른 엘리먼트들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WLAN(216)은 블루투스와 같은 다른 RAT를 지원할 수 있다. N3IWF(250)는 5G CN(240)내 다른 엘리먼트들에 대해 UE(105)에 의한 안전한 액세스를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하거나 AMF(215)와 같은 5G CN(240)의 다른 엘리먼트들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에 대해 WLAN(216)과 UE(105)에 의해 사용된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의 연동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3IWF(250)는 UE(105)와 IPSec 터널 설정, UE(105)와 IKEv2/IPSec 프로토콜들의 종료, 각각 N1 인터페이스를 통해 UE(105)와 AMF(215)간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제어 평면(control plane) Non-Access Stratum(NAS) 시그널링을 중계하는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에 대해 5G CN(240)에 대한 N2 및 N3 인터페이스들의 종료를 지원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서, WLAN(216)은 N3IWF(250)를 통하지 않고 5G CN(240)내 엘리먼트들(예들 들어, 도 2에 파선(dashed line)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AMF(215))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216)이 5G CN(240)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WLAN이면 5G CN(240)에 대한 WLAN(216)의 직접적인 연결이 일어날 수 있으며 WLAN(216)내 엘리먼트일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WLAN 연동 기능(Trusted WLAN Interworking Function: TWIF)을 이용해 이네이블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하나의 WLAN(216)만이 도 2에 도시되고, 몇몇 실시예들은 다수의 WLAN들(216)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0056] 액세스 노드들은 UE(105)와 AMF(215)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임의의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gNB들(210), ng-eNB(214), WLAN(216), 및/또는 셀룰러 기지국들의 다른 타입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을 제공하는 액세스 노드들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비-셀룰러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는 도 2에 예시되지 않은 다양한 RAT들 중 임의의 RAT에 대한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액세스 노드"는 gNB(210), ng-eNB(214) 또는 WLAN(216)를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0057] 몇몇 실시예들에서, (단독 또는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조합으로) gNB(210), ng-eNB(214), 또는 WLAN(216)과 같은 액세스 노드는, LMF(220)로부터 위치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105)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들의 위치 측정값들을 획득하고/하거나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로부터 UE(105)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들에 대해 UE(105)에 의해 획득된 UE(105)로부터 다운링크(DL) 위치 측정값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비록 도 2는 각각 5G NR, LTE, 그리고 Wi-Fi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노드들(210, 214, 그리고 216)을 묘사하지만, 예를 들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와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대해 WCDMA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노드 B, 이볼브드 UTRAN(E-UTRAN)에 대해 LTE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eNB, 또는 WLAN에 대해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Bluetooth® 비콘과 같은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노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5)에 LTE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4G 이볼브드 패킷 시스템(4G Evolved Packet System: EPS)에서, RAN은 E-UTRAN을 포함할 수 있으며, E-UTRAN은 LTE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eNB들을 포함하는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EPS를 위한 코어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EPS는 E-UTRAN과 EP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E-UTRAN은 도 2의 NG-RAN(235)에 대응하고, EPC는 5G CN(240)에 대응한다. 공통 또는 일반적인 포지셔닝 절차들을 이용하는 UE(105) 포지셔닝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들과 기법들은 이러한 다른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0058] gNB(210)와 ng-eNB(214)는 AMF(215)와 통신할 수 있으며, AMF(215)는, 포지셔닝 기능을 위해, LMF(220)과 통신한다. AMF(215)는, 제1 RAT의 액세스 노드(210, 214, 또는 216)로부터 제2 RAT의 액세스 노드(210, 214, 또는 216)로 UE(105)의 셀 변경(cell change) 및 핸드오버(handover)를 포함하는, UE(105)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AMF(215)는 또한 UE(105)에 대한 시그널링 연결 및 가능하게는 UE(105)를 위한 데이터 및 음성 베어러(data and voice bearer)들을 지원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LMF(220)는 UE(105)가 NG-RAN(235) 또는 WLAN(216)을 액세스할 때 UE(105)의 포지셔닝을 지원할 수 있으며 A-GNSS(Assisted GNSS),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RTK(Real Time Kinematics),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DGNSS(Differential GNSS), ECID, AOA(angle of arrival), AOD(angle of departure), WLAN 포지셔닝, 및/또는 다른 포지셔닝 절차들과 방법들과 같은 UE 지원/UE 기반 절차들/방법들 및/또는 네트워크 기반 절차들/방법들을 포함하는 포지션 절차들을 지원할 수 있다. LMF(220)는 또한, 예를 들어, AMF(215) 또는 GMLC(225)로부터 수신된 UE(105)에 대한 위치 서비스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LMF(220)는 AMF(215) 및/또는 GMLC(225)에 연결될 수 있다. LMF(220)는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 LM), 위치 기능(Location Function), 상용 LMF(CLMF), 또는 부가 가치 LMF(VLMF)와 같은 다른 이름들로 지칭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LMF(220)을 구현하는 노드/시스템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또는 SLP(Service Location Protocol)와 같은 다른 타입의 위치-지원 모듈들을 구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UE의 위치의 결정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gNB들(210), ng-eNB(214) 및/또는 WLAN(216)과 같은 무선 노드들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PRS(DL-PRS) 신호들을 처리하고/하거나, 예를 들어, LMF(220)에 의해 UE(105)에 제공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UE(105)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0059] 게이트웨이 이동 위치 센터(GMLC)(225)는 외부 클라이언트(230)로부터 수신된 UE(105)에 대한 위치 요청을 지원할 수 있고 AMF(215)에 의해 LMF(220)로 포워드하기 위해 AMF(215)에 이와 같은 위치 요청을 포워드할 수 있거나, 또는 LMF(220)에 직접 위치 요청을 포워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5)에 대한 위치 추정을 포함하는) LMF(220)로부터 위치 응답은 유사하게 직접적으로 또는 AMF(215)를 통해 GMLC(225)로 리턴될 수 있으며, 그 다음 GMLC(225)는 외부 클라이언트(230)로 (예를 들어, 위치 추정을 포함하는) 위치 응답을 리턴할 수 있다. GMLC(225)는 도 2에서 AMF(215)와 LMF(220) 둘 다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몇몇 구현들에서 이들 연결들 중 하나만이 5G CN(240)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0060]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245)이 5G CN(240)에 포함될 수 있다. NEF(245)는 외부 클라이언트(230)에 대한 5G CN(240) 및 UE(105)와 관련한 능력들과 이벤트들의 안전한 노출을 지원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이것은 액세스 기능(Access Function: AF)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며 외부 클라이언트(230)로부터 5G CN(240)으로 정보의 안전한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NEF(245)는 UE(105)의 위치(예를 들어, 도시 위치)을 획득하고 외부 클라이언트(230)에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AMF(215) 및/또는 GMLC(225)에 연결될 수 있다.
[0061] 도 2에 더 예시된 바와 같이, LMF(220)는 3GPP Technical Specification(TS) 38.445에 정의된 바와 같은 LPPa 프로토콜(이는 또한 NEPPa 또는 NPPa로서 지칭될 수 있다)을 이용해 gNB들(210) 및/또는 ng-eNB(214)와 통신할 수 있다. NR에서 LPPa 프로토콜은 (LTE 포지셔닝 프로토콜(LPP)에 관련된) LTE에서 LPPa 프로토콜과 동일, 유사, 또는 확장일 수 있으며, LPPa 메시지들은 AMF(215)를 통해 gNB(210)와 LMF(220), 및/또는 ng-eNB(214)와 LMF(220)간에 전달된다. 도 2에 더 예시된 바와 같이, LMF(220)와 UE(105)는 3GPP TS 37.355에 정의된 바와 같은 LPP 프로토콜을 이용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LPP 메시지들은 UE(105)를 위해 AMF(215) 및 서빙 gNB(210-1) 또는 서빙 ng-eNB(214)를 통해 UE(105)와 LMF(220) 간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PP 및/또는 LLP 메시지들은 (예를 들어 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에 기반한) 서비스-기반 동작들을 위한 메시지들을 이용해 LMF(220)와 AMF(215)간에 전달될 수 있으며 5G NAS 프로토콜을 이용해 AMF(215)와 UE(105) 간에 전달될 수 있다. LPP 및/또는 LPP 프로토콜은 A-GNSS, RTK, ORDOA 및/또는 ECID(Enhanced Cell ID)와 같은 UE 지원 및/또는 UE 기반 포지션 방법들을 이용해 UE(105)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PPa 프로토콜은 ECID, AoA, uplink TDOA(UL-TDOA)와 같은 네트워크 기반 포지션 방법들을 이용해 UE(105)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gNB들(210) 및/또는 ng-eNB(214)로부터 DL-PRS 전송을 정의하는 파라미터들과 같은 위치 관련 정보를 gNB들(210) 및/또는 ng-eNB(214)로부터 획득하기 위해 LMF(2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0062] WLAN(216)에 대한 UE(105) 액세스의 경우에 있어서, LMF(220)는 gNB(210) 또는 ng-eNB(214)에 대한 UE(105) 액세스에 대해 방금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UE(105)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LPPa 및/또는 LPP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LPPa 메시지들은 UE(105)의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을 지원하고/하거나 WLAN(216)으로부터 LMF(220)로 다른 위치 정보의 전달을 위해 AMF(215)와 N3IWF(250)를 통해 WLAN(216)과 LMM(220)간에 전달될 수 있다. 대안으로, LPPa 메시지들은 N3IWF(250)에 대해 알려지거나 액세스가능하고 LPPa를 이용해 N3IWF(250)로부터 LMF(220)로 전달된 위치 관련 정보 및/또는 위치 측정값들에 기반하여 UE(105)의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AMF(215)를 통해 N3IWF(250)와 LMF(220)간에 전달될 수 있다. 유사하게, LPP 및/또는 LPP 메시지들은 LMF(220)에 의한 UE(105)의 UE 지원 또는 UE 기반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UE(105)에 대해 AMF(215), N3IWF(250), 그리고 서빙 WLAN(216)을 통해 UE(105)와 LMF(220)간에 전달될 수 있다.
[0063]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이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셔닝 방법들은 "UE 지원" 또는 "UE 기반"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UE(105)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요청이 어디에서 발생하였는지에 달려있다. 예를 들어, 요청이 UE에서 (예를 들어, UE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app)"으로부터) 발생하였다면, 포지셔닝 방법은 UE 기반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요청이 외부 클라이언트, 또는 AF(230), LMF(220), 또는 5G 네트워크내 다른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로부터 발생하면, 포지셔닝 방법은 UE 지원(또는 "네트워크-기반")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이하 기술된 레이더 통신과 유사하게, 5G NR 셀룰러 통신 시스템(200)을 이용해 수행된 포지셔닝은 레이더 감지보다는 포지션 추정을 위해 기준 신호들 중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0064] UE-지원 포지션 방법에 의해, UE(105)는 위치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UE(105)에 대한 위치 추정의 계산을 위해 위치 서버(예를 들어, LMF(220)로 측정값들을 송신할 수 있다. RAT-종속 포지션 방법들을 위해 위치 측정값들은 gNB들(210), ng-eNB(214)를 위한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왕복 신호 전파 시간(Round Trip propagation Time(RTT), 기준 신호 수신 출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기준 신호 시간 차(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도달 시간(Time of Arrival: TOA), AoA, 수신 시간-전송 시간 차(Receive Time-Transmission Time Difference : Rx-Tx), 미분 AoA(DAoA), AoD, 또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중 하나 이상 및/또는 WLAN(216)을 위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유사한 측정값들은 다른 UE들에 의해 전송된 사이드링크 신호(sidelink signal)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른 UE들의 포지션들이 알려진 경우 UE(105)의 포지셔닝을 위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위치 측정값들은 또한 또는 대신에 GNSS (예를 들어, GNSS 위성들(110)을 위한 GNSS 의사거리(pseudorange), GNSS 코드 위상, 및/또는 GNSS 캐리어 위상), WLAN 등과 같은 RAT-독립 포지셔닝 방법들을 위한 측정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65] UE-기반 포지션 방법에 의해, UE(105)는 (예를 들어, UE 지원 포지션 방법을 위한 위치 측정값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위치 측정값들 획득하고 (LMF(220), SLP, 또는 gNB들(210), ng-eNB(214), 또는 WLAN(216)에 의한 방송과 같은 위치 서버로부터 수신된 보조 데이터의 도움으로) UE(105)의 위치를 더 계산할 수 있다.
[0066] 네트워크 기반 포지션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gNB들(210) 및/또는 ng-eNB(214)), (예를 들어, WLAN(216)내) 하나 이상의 AP들, 또는 N3IWF(250)는 UE(105)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에 대한 위치 측정값들(예를 들어, RSSI, RTT, RSRP, RSRQ, AoA, 또는 TOA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고/있거나, N3IWF(250)의 경우에 WLAN(216)내의 UE(105) 또는 AP에 의해 획득된 측정값들을 수신할 수 있고, UE(105)에 대한 위치 추정의 계산을 위해 위치 서버(예를 들어, LMF(220))로 측정값들을 송신할 수 있다.
[0067] UE(105)의 포지셔닝은 또한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된 신호들의 타입들에 따라 UL, DL, 또는 DL-UL 기반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이 UE(105)에서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다른 UE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만 기반하는 경우, 포지셔닝은 DL 기반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포지셔닝이 UE(105)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예를 들어, 신호들은 기지국 또는 다른 UE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에만 기반하는 경우, 포지셔닝은 UL 기반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DL-UL 기반인 포지셔닝은 UE(105)에 의해 전송되고 수신되는 신호들에 기반하는, RTT-기반 포지셔닝과 같은, 포지셔닝을 포함한다. 사이드링크(SL)-지원 포지셔닝은 UE(105)와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간에 통신된 신호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UL, DL, 또는 DL-UL 포지셔닝은 SL, DL, 또는 DL-UL 시그널링의 보완 또는 대체로서 SL 시그널링을 이용할 수 있다.
[0068] 포지셔닝의 타입(예를 들어, UL, DL, 또는 DL-UL 기반)에 따라, 사용된 기준 신호들의 타입들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기반 포지셔닝에 대해, 이들 신호들은 PRS (예를 들어,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된 DL-PRS 또는 다른 UE들에 의해 전송된 SL-PRS)을 포함할 수 있으며, PRS는 TDOA, AoD, 그리고 RTT 측정값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포지셔닝(UL, DL, 또는 DL-UL)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기준 신호들은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들(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동기화들 신호(Synchronizations Signal: SS)),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신호들은 (예를 들어, 빔 포밍 기법들을 이용해) Tx 빔으로 전송되고/되거나 Rx 빔으로 수신될 수 있으며, 이는 AoD 및/또는 AoA와 같은 각도 측정값(angular measurement)들에 영향을 줄 수 있다.
[0069] 도 3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bistatic radar system)(300)의 동작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전송기(302)와 수신기(304)는 각각 타깃(306)을 감지하기 위해 레이더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록 바이스태틱 레이더 예가 도시되지만, 동작의 동일한 원리들이 다중-스태틱 레이더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중-스태틱 레이더는 2 개 보다 많은 전송기(들) 및/또는 수신기(들)를 활용한다. 예를 들어, 다중-스태틱 레이더는 하나의 전송기와 2 개의 수신기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다중-스태틱 레이더는 2 개의 전송기와 1 개의 수신기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많은 수의 전송기들 및/또는 수신기들이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0070]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에서, 전송기(302)는 타깃(306)에 도달하기 위해 거리(RT)를 횡단하는 전송 신호(308)를 송신할 수 있다. 전송 신호(308)는 타깃(306)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으며 수신기(304)에 도달하기 위해 거리(RT)를 횡단하는 에코 신호(echo signal)(310)가 된다.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에 의해 제공된 주요 기능은 타깃(306)에서 수신기(304)까지의 범위, 또는 거리(RR)를 감지하는 것이다. 시스템은 전송 신호(308)와 에코 신호(310)가 RT와 RR의 합인 총 거리 Rsum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감지하여 기본 범위 RR을 결정합니다.
Figure pct00001
(식 1)
[0071] 총 거리 Rsum은 전송기(302)와 수신기(304)의 위치들에서 각각 초점들을 갖는 (등거리 등고선(iso-range contour)으로서 또한 알려진) 타원체 표면(ellipsoid surface)을 정의한다. 총 거리 Rsum이 주어지면, 타원체 표면은 타깃(306)의 모든 가능한 위치들을 나타낸다.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은 거리 Rsum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기(302)와 수신기(304)가 동기화(이는 이하 기술된 바와 같이 요구되지 않는다)되면, 전송기(302)가 신호(308)를 송신하는 순간과 수신기(304)가 에코 신호(310)를 수신한 순간 사이의 지속 시간(time duration) Tsum이 결정될 수 있다. 지속 시간 Tsum과 자유 공간에서 신호의 속도, 예를 들어, 대략 c = 3 × 108 미터/초를 곱하면 Rsum이 산출된다. 따라서, 타깃(306)의 모든 가능한 위치들의 타원체 표면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신호의 "비행 시간(flight time)" Tsum을 측정함으로써 찾아질 수 있다.
[0072]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리 Rsum은 전송기(302)와 수신기(304)간 타이트한 시간 동기화없이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준선(line-of-sight: LOS) 신호(312)는 전송기(302)가 신호(308)를 타깃(306)을 향해 송신할 때 동시에 전송기(302)로부터 수신기(304)로 송신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전송 신호(308)는 전송기(302)로부터 방출된 전송 안테나 빔 패턴(transmit antenna beam pattern)의 메인 로브(main lobe)에 대응할 수 있는 반면에, LOS 신호(312)는 전송기(302)로부터 방출된 동일한 전송 안테나 빔 패턴의 사이드 로브(side lobe)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전송 신호(308)와 LOS 신호(312)는 다른 방식들로 배열될 수 있다.
[0073] 수신기(304)는 에코 신호(310)와 LOS 신호(312) 둘 다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총 거리 Rsum를 측정하기 위해 이들 두 신호들의 수신의 타이밍을 활용할 수 있으며, Rsum에 대한 표현은 다음의 식과 같다.
Figure pct00002
(식 2)
여기서, TRx_echo는 에코 신호(310)의 수신의 시간이고, TRxLOS는 LOS 신호(312)의 수신의 시간이며, c는 자유 공간에서 신호의 속도이고, L은 전송기(302)와 수신기(304)간의 거리이다. 일단 Rsum이 결정되면, Rsum은 다음의 표현식을 이용해 타깃(306)과 수신기(304)간의 타깃 범위(RR)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 3)
[0074]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은 또한 에코 신호(310)가 수신기(304)에 의해 수신되는 도달각(angle of arrival: AoA)(θR)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방법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수신기(304)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해 θR을 추정하는 것이다.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는 신호가 수신되는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지향성 안테나(programmable directional antenna)로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304)는 에코 신호(310)의 도달각(AoA)을 감지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θR을 추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다변측정(multilateration)을 포함한다. 다변측정은 타깃의 가능한 위치들을 나타내는 2 개 이상의 곡선들 또는 표면들의 교차점(intersection)을 결정하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타깃(306)의 가능한 위치들을 나타내는 제1 타원체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이하게 위치된 전송기 및/또는 수신기는 제2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은 타깃(306)의 가능한 위치들을 또한 나타내는 제2 상이한 타원체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타원체 표면과 제2 타원체 표면의 교차점들은 타깃(306)의 가능한 위치들에 대응할 수 있다. 3-차원 공간에서, 단일 지점(single point)으로 가능한 위치를 감소시키며, 따라서 타깃(306)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4개의 이와 같은 타원체 표면들이 필요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모든 전송기들, 수신기들, 그리고 타깃들이 지상에 있다고 가정하는) 2-차원 공간에서, 단일 지점으로 가능한 위치들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타깃(306)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3개의 이와 같은 타원체 표면들(2차원 공간에 대해, 타원체 표면들은 타원형 곡선들로 감소된다)이 필요할 것이다. 다변측정은 또한 다수의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들 대신에 다중-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을 이용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0075]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은 또한 타깃(306)과 연관된 도플러 주파수(Doppler frequency)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플러 주파수는 수신기(304)의 관점에서 타깃(306)의 상대 속도(타깃(306)이 수신기(304)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속도)를 나타낸다. 고정 전송기(stationary transmitter)(302)와 고정 수신기(stationary receiver)(304)에 대해, 타깃(306)의 도플러 주파수(Doppler frequency)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식 4)
[0076] 식 4에서, fD는 도플러 주파수이고, v는 고정 전송기(302)와 수신기(304)에 의해 정의된 고정 기준 프레임(fixed frame of reference)에 관한 타깃(306)의 속도이다. β는 타깃(306)에서 전송 신호(308)와 에코 신호(310) 사이에 형성된 각도이다. δ는 각도(β)내에 정의된 속도 벡터(v)와 중심 광선(center ray)(반각(half angle)) 사이의 각도이다.
[0077] 도 3에서, 고정 기준 프레임은 고정 전송기(302)와 고정 수신기(304)에 대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길이(L)의 기준선(baseline)은 전송기(302)와 수신기(304) 사이에 그려질 수 있다. 기준선은 전송기(302)와 수신기(304)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법선(normal line)들이 기준선에 수직으로서 그려질 수 있다. 전송각(θT)은 전송기(302)의 위치로부터 그려진 법선에 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앞서 도달각으로서 지칭된 수신각(θR))은 수신기(304)의 위치로부터 그려진 법선에 관하여 정의될 수 있다.
[0078]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은 2-차원 공간 또는 3-차원 공간에서 타깃을 감지하기 위해 동작될 수 있다. 3-차원 공간의 경우에 추가적인 자유도(degree of freedom)가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기본 원리들이 적용되고, 아날로그적인 계산들이 수행될 수 있다.
[0079] 도 4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400)내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의 구현의 예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다수의 TRP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TRP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신호 전송 및/또는 수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내 TRP들의 예들은 기지국(402 및 404)들을 포함하며, 기지국들은 차량들, 무선폰들, 웨어러블 디바이스, 퍼스널 액세스 포인트들, 그리고 무선 데이터 통신들을 할 수 있는 주변의 수많은 다른 유형들의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같은 UE를 위해 무선 통신들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402 및 404)들은 UE 디바이스로 데이터 심볼들을 전송하거나 UE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함으로써 UE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2 및 404)들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400)내 자원들은 무선 통신 동작들뿐만 아니라 바이스태틱 및/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한 "이중 임무(double duty)" 역할을 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0080] 예를 들어, 기지국(402 및 404)들은 각각 도 3에 도시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300)의 전송기(302)와 수신기(304)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지국(402)은 전송 신호(408)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 신호(408)는 타깃(406)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으며 기지국(404)들에 의해 수신된 에코 신호(410)가 된다. 기지국(404)은 또한 기지국(402)으로부터 LOS 신호(412)를 수신할 수 있다. LOS 신호(412)와 에코 신호(410) 둘 다를 수신함으로써, 기지국(404)은 각각 LOS 신호(412)와 에코 신호(410)의 수신과 연관된 수신 시간(TRx_echo 및 TRxLOS)들간의 시간차와 연관된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404)은 시간차(TRx_echo ― TRxLOS)를 나타내는 값을 산출하기 위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로 2 개의 신호들을 혼합하는 것과 같이 수신된 LOS 신호(412)와 수신된 에코 신호(410)를 교차-상관시킬 수 있다. 시간차는 총 거리(Rsum)를 찾아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총 거리(Rsum)는 타원체 표면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타원체 표면은 다른 정보와 함께 도 3에 관하여 상기 논의된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는 타깃(406)과 연관된 타깃 범위(RR), 도달각(AoA(θR), 및/또는 도플러 주파수를 포함하는 타깃(406)의 하나 이상의 속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81] 몇몇 실시예들에서, 타깃(406)은 무선 통신 시스템(400)에 의해 지원되는 UE일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타깃(406)은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기지국들을 이용해 음성, 문자, 및/또는 무선 데이터를 운반하는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UE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타깃(406)은 기지국(402)과 기지국(404)의 바이스태틱 레이더 범위내에 존재하지만 무선 통신 시스템(400)과 통신하지 않을 수 있는 원격 객체(remote object)일 수 있다.
[0082] 도 4에 도시된 바이스태틱 예에서, 전송기는 TX 기지국(402)이고, 수신기는 RX 기지국(404)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TX 기지국(402)은 TX TRP로서 지칭될 수 있고, RX 기지국(404)은 RX TRP로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TX"와 "RX"는 단지 기지국(402)은 레이더 전송 신호(408)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기지국(404)는 레이더 에코 신호(410)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사실을 지칭한다. 본 문맥에서 용어들 "TX"와 "RX"는 다른 기능들, 예를 들어, 다른 바이스태틱 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 동작들에서 수신기 및/또는 전송기로서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정상적인 동작에서 데이터 통신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기지국들로서 역할하도록 기지국(402 및 404)들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는다. 비록 도 4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을 예시한다고 하더라도, 다중-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이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2-차원 공간에서 예를 예시하고, 동일한 동작들이 3-차원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다.
[0083] 본 명세서에 개시된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내 바이스태틱 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은 수많은 이점들을 산출할 수 있다. 하나의 특별한 이점은 무선 통신들을 위해 할당된 대역폭의 유연한 활용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전술한 5세대(5G) 표준을 따를 수 있다. 5G 및 5G 이후를 포함하는 현재 및 미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할당된 계속해서 증가하는 대역폭은 바이스태틱 및 다중-스태틱 레이더 신호들의 전송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주파수(RF) 감지(예를 들어, 레이더)는 이용가능한 무선 RF 스펙트럼 자원을 활용하여 이네이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신호(408), 에코 신호(410), 및/또는 LOS 신호(412) 중 하나 이상이 데이터 통신들을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400)에 할당된 무선 주파수(RF) 스펙트럼의 일부내에서 대역폭을 점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다른 예는 롱-텀 이볼루션(LTE)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400)의 다른 예들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무선 광역 네트워크(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소형 셀-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small cell-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밀리미터파-기반(mmwave-based) 통신 시스템, 그리고 TRP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들의 다른 타입들을 포함한다.
[0084] 또한, 바이스태틱 및 다중-스태틱 레이더 시스템들의 고유한 이점들은, 무선 기지국들의 형태로, 잘 배치된 전송기들과 수신기들의 기존의 광범위한 네트워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모노스태틱 레이더 시스템과 비교하여, 바이스태틱 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전송기 장비와 수신기 장비를 가짐으로써 자체-간섭을 완화한다. 도 4에 도시된 기지국(402 및 404)들과 같은 무선 기지국들은 이미 존재하고 사용자들, 차량들, 그리고 다른 관심 객체(object of interest)들이 출현할 수 있는 광대한 지리적 영역들을 커버한다. 이와 같은 무선 기지국들은 잘-분산되어 있으며, 따라서 바이스태틱 및 다중-스태틱 레이더 동작들을 위한 전송기들과 수신기들로서 역할하도록 적절히 위치된 기지국들의 선택을 위한 기회들을 제공한다.
[0085] 바이스태틱 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개발에서 제기된 중요한 과제는 전송기(들)와 수신기(들)간의 조정이다.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이더 서버"는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서 구현된 하나 이상의 바이스태틱 및/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 시스템들의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더 서버"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내에 상주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자원들의 조합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더 서버는, 예를 들어, 바이스태틱 및/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 동작들에 포함된 TX 및 RX 기지국들에 종속되는 파라미터들을 구성 및/또는 제어하도록 역할을 하는 기능 블록, 설비, 또는 노드로서 정의될 수 있다.
[0086] 도 5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이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500)의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500)은 코어 노드(core node: CN)(510),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520), 그리고 하나 이상의 UE(530)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더 서버(502)는 CN(510)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CN(510)은 인터넷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들에 대한 연결성을 무선 통신 시스템(500)을 제공할 수 있다. CN(510)은 다양한 컴퓨팅 자원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컴퓨팅 자원들은 메모리 및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하고 프로그램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레이더 서버(502)는 CN(510)의 컴퓨팅 자원들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87] 다른 실시예에서, 레이더 서버(522)는 RAN(520)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N(520)은 기지국(524, 526, 그리고 528)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524, 526, 그리고 528)들은 안테나들, 안테나 엘리먼트들, 케이블링, 물리적 타워 구조, 모뎀들, 인코더/디코더들, 네트워킹 장비, 컴퓨팅 자원들, 그리고 다른 컴포넌트들과 같은 전송기 및 수신기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과 연관된 컴퓨팅 자원들은 메모리와 운영 체제를 실행하고 프로그램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레이더 서버(522)는 기지국(524, 526, 그리고 528)들 중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의 컴퓨팅 자원들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88] 레이더 서버(502 또는 522)는 RAN(520), CN(510), 또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500)내 다른 곳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레이더 서버(502 또는 522)는 전용 서버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502 또는 522)는 일반 서버(generic server), 포지셔닝 서버, 지원 드라이버 서버(assisted driver server), 트래커 서버(tracker server), 또는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레이더 서버(502 또는 522)는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동작되거나 소유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레이더 서버(502 또는 522)는 네트워크 독립 서버(network independent server)(예를 들어, 제 3자 서버)일 수 있다.
[0089] 레이더 서버(502 또는 522)가 구현되는 곳이 어디든, 레이더 서버(502 또는 522)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RAN(520)내 전송 수신 포인트(TRP)들, 예를 들어, 기지국(524, 526, 그리고 528)들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은 포인트-투-포인트 인터페이스(point-to-point interfac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인트-투-포인트 인터페이스(point-to-point interface)의 예는 유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백홀(backhaul)"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인터페이스이다.
[0090]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500)은 5G 표준들을 따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서, CN(510)은 5G 코어 노드(5G CN)일 수 있고, RAN(520)은 5GPP 차세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NG RAN)일 수 있으며, 기지국(524, 526, 그리고 528)들의 각각은 GNodeB 또는 gNB일 수 있다. 따라서, CN(510)은 도 2의 5G CN(240)에 대응할 수 있고 RAN(520)은 NG-RAN(235)에 대응할 수 있다.
[0091] 무선 통신 시스템(400)과 무선 통신 시스템(500)과 같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할당된 주파수 대역내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의 공존은 데이터 신호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들간에 상당한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를 위한 서빙 기지국과 레이더 수신기 둘 다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에서,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감지 신호들은 UE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은 낮은 신호-대-간섭-및-잡음비(signal-to-interference-and-noise ratio: SINR)을 가질 수 있으므로 디코드가 어려울 수 있다. 레이더 전송기들로서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감지 신호들은 또한 UE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따라서 UE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은 낮은 SINR을 가질 수 있으며 디코드가 어려울 수 있다.
[0092] 도 6은 무선 시스템(600)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무선 시스템(600)은 다중 TRP들을 포함하는 전술한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무선 시스템(600)은 2 개 이상의 기지국(610, 620)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610, 620)들은 LTE, 5G NR, 6G, 그리고 미래 세대의 RAT들과 같은 다양한 RAT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UE(640)들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어진 시간에 UE(640)의 위치에 기반하여, 기지국(610 또는 620)은 UE(640)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빙 셀(serving cell)의 서빙 기지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610 또는 620))은 UE(640)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으며, UE(640)는 서빙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610 또는 620))으로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0093] 또한, 무선 시스템(600)에서 기지국(610 및 620)들 및 다른 기지국들은 도 3 내지 도 5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스태틱 또는 다중-스태틱 레이더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기지국(610)은 기지국 전송기(TX 기지국)로서 역할을 하고 기지국(620)은 객체(63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타깃 객체들을 감지하기 위한 바이스태틱 레이더의 레이더 수신기(RX 기지국)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610)은 객체(630)로 레이더 감지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으며, 객체(630)는 기지국(620)으로 레이더 감지 신호들을 반사할 수 있다. 기지국(610)은 또한 LOS 신호들을 기지국(6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LOS 신호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들은 동일한 빔(예를 들어, 동일한 빔의 상이한 로브들) 또는 상이한 빔들내에 존재할 수 있다.
[0094] UL/DL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들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한 할당 주파수 대역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시간, 주파수, 그리고 공간 영역에서 동일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레이더 감지 신호들간에 상당한 간섭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640)를 위한 서빙 기지국과 바이스태틱 수신기를 위한 레이더 수신기 둘 다로서 역할을 하는 기지국(620)에서,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기지국(610)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감지 신호들은 UE(640)에 의해 기지국(620)으로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서, 기지국(620)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은 낮은 SINR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디코드가 어려울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기지국(610)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감지 신호들은 서빙 기지국(610 또는 620)에 의해 UE(640)로 전송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따라서 UE(640)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은 낮은 SINR을 가지며 디코드가 어려울 수 있다.
[0095]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간섭은 레이더 신호들과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전송기들 및/또는 수신기들을 구성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레이더 전송기들은 다수의 레이더 전송기들이 무선 시스템내에 존재할 때 뮤팅 패턴(muting pattern)을 따르는 것과 같은 업링크 데이터 통신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 통신과의 간섭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빔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레이더 수신기로서 또한 역할을 하는) 서빙 기지국을 튜닝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0096] 도 7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시스템(700)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예를 예시한다. 무선 시스템(700)은 무선 시스템(600)의 예일 수 있으며, 여기서 기지국(720)은 UE(740)를 위한 서빙 기지국이고 UE(740)로부터 업링크 통신들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720)은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의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기지국(720)은 (바이스태틱 레이더의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기지국(710)으로부터 LO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객체/타깃(730)으로부터 반사된 레이더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LOS 신호 및 반사된 레이더 감지 신호는 UE(740)로부터 기지국(720)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0097] (LOS 신호와 반사된 레이더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720))은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된 자원들의 목록을 결정하고 자원들의 목록을 레이더 서버(750)로 송신할 수 있으며, 레이더 서버(750)는 자원들의 목록을 레이더 전송기(예를 들어, 기지국(710))로 보낸다. 그 다음 레이더 전송기는 레이더 서버(750)로부터 수신된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들의 목록은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트래픽과 같은 업링크 데이터 통신들을 위해 예약될 수 있다.
[0098]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시스템내에 다수의 레이더 전송기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레이더 서버는 다수의 레이더 전송기들에 대한 뮤팅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레이더 서버는 소정의 슬롯/심볼들에서 자신의 레이더 신호를 뮤트하도록 각각의 레이더 전송기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높은 우선순위의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이 UE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고작 하나의 레이더 전송기가 소정의 슬롯들/심볼들에서 레이더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모든 레이더 전송기들은 URLLC 트래픽과 같은 몇몇 높은 우선순위의 UL 통신들을 위해 뮤트될 수 있다.
[0099] 몇몇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뮤팅 패턴 구성을 위해 레이더 서버를 지원하도록 자원들의 우선순위 라벨들을 표시하는 라벨들과 함께 높은 우선순위의 UL 전송을 위한 자원들의 목록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RLLC 업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자원은 가장 높은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것으로서 라벨이 붙을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레이더 전송기들은 URLLC 업링크 전송을 위해 슬롯들/심볼들에서 그들의 레이더 전송들을 뮤트하도록 레이더 서버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0100] 도 8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레이더 전송기(들)을 구성함으로써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는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단순 흐름도(800)를 포함한다. 블록(810)에서, 제1 기지국은, 레이더 서버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의 UE를 위한 서빙 기지국일 수 있으며 따라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된 자원들을 결정하거나 승인하기 위해 소정의 보조 데이터를 통해 UE와 통신할 수 있으며, 레이더 서버(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750))로 목록을 송신할 수 있다. 자원들의 목록은 주파수 영역(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들), 시간 영역(예를 들어, 슬롯들/심볼들), 공간 영역(예를 들어, 빔 각도들) 등에서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빙 기지국은 또한 그들의 대응하는 우선순위 레벨들을 갖는 자원들에 라벨을 붙일 수 있다.
[0101] 레이더 서버는 자원들의 목록 또는 자원들의 목록의 예약을 표시하는 다른 정보(예를 들어, 피해야 할 자원들을 표시하는 뮤팅 패턴)를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는 제2 기지국과 같은 이웃 셀(neighbor cell)들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레이더 서버는, 자원들의 목록에 기반하여, 레이더 전송기들로서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대한 뮤팅 패턴을 구성하고, 각각의 레이더 전송기에 대한 뮤팅 패턴 또는 뮤팅 패턴의 각각의 부분을 레이더 전송기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는 자원들의 목록 또는 뮤팅 패턴을 보조 데이터로 송신할 수 있다.
[0102] 블록(820)에서, 제1 기지국은, (자원들의 목록내 자원들이 보다 높은 우선순위의 업링크 데이터 통신들을 위해 예약되기 때문에)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해,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레이더 서버로부터 수신된 자원들의 목록 또는 뮤팅 패턴에 따라서 높은-우선순위 업링크 데이터 통신들을 위해 사용된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해 레이더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된 슬롯들, 심볼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과 상이한 슬롯들, 심볼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 레이더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된 슬롯들, 심볼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과 상이한 슬롯들, 심볼들, 및/또는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해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0103] 블록(830)에서, 제1 기지국이 레이더 신호를 수신할 때, 제1 기지국은 자원들의 목록내 자원들을 이용해 UE로 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은 자원의 목록을 이용해 UE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와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해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신호들 둘 다를 수신할 수 있다. 업링크 데이터와 레이더 신호들은 상이한(예를 들어, 직교(orthogonal)) 자원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간섭은 상당히 감소되거나 실질적으로 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데이터는 높은 SINR을 가질 수 있다.
[0104]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이더 신호에 의한 업링크 데이터 통신과 간섭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기지국(720)과 같은 (또한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서빙 기지국을 튜닝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750))는 전송된 레이더 빔에 관한 레이더 빔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빔 정보는 전송된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예를 들어, 방위각 및/또는 앙각(azimuth and/or elevation angle)들), 빔 폭(예를 들어, 3dB 빔 폭), 빔 폭의 불확실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준 방향은 레이더 전송기(예를 들어, 기지국(710))의 출발각(Angle of Departure: AoD)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더 전송기는 조준 방향 및 빔 폭을 설정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안테나 엘리먼트들(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시간/위상 지연들, 출력들, 온/오프 상태들 등)을 갖는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전송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기지국은 자체적으로 제1 빔(또는 도달각)으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1 빔과 충돌하지 않는 제2 빔(또는 도달각)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레이더 전송기와 마찬가지로, 레이더 수신기는 또한 업링크 데이터 통신 빔 또는 레이더 빔을 위한 수신각와 빔 폭을 설정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에코 신호보다 높은 출력을 가질 수 있는 LOS 신호로부터의 레이더 간섭이 적어도 완화될 수 있다.
[0105] 몇몇 실시예들에서, 레이더 빔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디폴트 빔(default beam)을 결정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빙 기지국은 자신의 수신을 위해 임의의 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은 디폴트 수신 빔이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도록 디폴트 수신 빔을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시나리오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레이더 빔에 대한 채널과 간섭 정보를 갖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디폴트 빔이 사전-구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0106] 도 9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서빙 기지국을 구성함으로써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업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단순 흐름도(900)이다. 블록(910)에서, 제1 기지국은,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1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전송된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예를 들어, 방위각 및/또는 앙각 또는 천정각(zenith angle)들), 빔 폭(예를 들어, 3dB 빔 폭), 빔 폭의 불확실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107] 블록(920)에서, 제1 기지국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수신 빔(예를 들어, 디폴트 수신 빔(default receive beam))을 이용해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1 기지국은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UE와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지국은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시간/위상 지연들, 출력 레벨들, 그리고 안테나 엘리먼트의 온/오프 상태들은 업링크 데이터 통신 또는 레이더 신호를 위해 수신 빔에 대한 원하는 수신각 및 빔 폭을 설정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다.
[0108] 블록(930)에서, 제1 기지국은, 수신 빔을 이용해, UE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블록(940)에서, 제1 기지국은 현재, 상이한 수신 빔을 이용해, 레이더 전송기로부터 레이더 빔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상이한 수신 빔들로 인해, 레이더 신호들에 의한 업링크 데이터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0109] 예를 들어, 도 6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더 감지를 위한 레이더 신호들은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레이더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또한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서빙 기지국은 LTE 또는 5G NR에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SSI-RS)들,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들, 복조 기준 신호(DMR)들, 또는 트래킹 기준 신호(TRS)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내 기준 신호는 또한 레이더 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한 빔일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디스크램블링 ID, 시퀀스, 그리고 자원 할당과 같은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를 통해 레이더 수신기에 통신할 수 있다. 그 다음 레이더 수신기는 자체적으로 레이더 감지 목적들 위해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10] 몇몇 실시예들에서, 기준 신호는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일부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은 데이터 통신들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을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은 레이더 감지를 위한 레이더 기준 신호(Radar Reference Signal: RRS)를 포함할 수 있다. RRS는 CSI-RS, TRS, DMRS,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등을 위해 QCL(Quasi Co-Location)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RRS를 포함하는 레이더 빔이 갱신될 때, 서빙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해 갱신된 QCL 소스를 UE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된 레이더 빔이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빔 둘 다를 위해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이면, 갱신된 레이더 빔은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채널들을 위한 QCL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갱신된 레이더 빔이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이 아니면, 서빙 기지국은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채널들을 위한 UE의 갱신된 QCL 소스로서 다른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기준 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0111]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속성들이 다른 안테나 포트에 대한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면 2 개의 안테나 포트들은 외견상 함께 위치된다. 따라서, QCL은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로부터의 심볼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5G NR에서, 4개 타입의 QCL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 주어진 타입의 QCL 관계는 제2 (타깃) 빔에 대한 제2 (타깃) 기준 RF 신호에 관한 소정의 파라미터들이 제1 (소스) 빔에 대한 제1 (소스) 기준 RF 신호에 관한 정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여기서 타깃 빔과 소스 빔은 유사한 채널 조건들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소스) 기준 RF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추정된 채널 정보는 제2 (타깃) 기준 RF 신호를 검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스 기준 RF 신호가 QCL 타입 A이면, 수신기는 도플러 시프트(Doppler shift),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평균 지연, 그리고 소스 기준 RF 신호를 위한 라디오 채널처럼 공통 속성들을 갖는 라디오 채널에 대한 제2 (타깃) 기준 RF 신호의 지연 확산(delay spread)을 추정하기 위해 소스 기준 RF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소스 기준 RF 신호가 QCL 타입 B이면, 수신기는 라디오 채널을 통해 전송된 제2 기준 RF 신호의 도플러 시프트 및 도플러 확산을 추정하기 위해 소스 기준 RF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소스 기준 RF 신호가 QCL 타입 C이면, 수신기는 라디오 채널을 통해 전송된 제2 기준 RF 신호의 도플러 시프트 및 평균 지연을 추정하기 위해 소스 기준 RF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소스 기준 RF 신호가 QCL 타입 D이면, 수신기는 라디오 채널을 통해 전송된 제2 기준 RF 신호의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해 소스 기준 RF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공간 수신 파라미터는 UE에서 지배적인 AOA 및 평균 AOA와 같은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들의 빔 포밍 속성들을 지칭할 수 있다.
[0112] 도 10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시스템(1000)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는 예를 예시한다. 무선 시스템(1000)은 무선 시스템(600)의 예일 수 있으며, 여기서 기지국(1010) 및 기지국(1020)은 UE(1060)를 위한 서빙 기지국일 수 있으며 UE(1060)로 다운링크 통신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1010) 또는 기지국(1020)은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의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며, 여기서 기지국(1040)은 바이스태틱 레이더의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기지국(1010 또는 1020)은 (예를 들어, 객체/타깃(1030)을 검출하기 위한) 레이더 감지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 둘 다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UE(1060)에서, 레이더 전송기들로부터의 레이더 신호들은 서빙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1010 또는 1020))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0113] (LOS 신호와 반사된 레이더 감지 신호를 포함하는) 레이더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의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또한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서빙 기지국(1020)은 LTE 또는 5G NR에서 CSI-RS, PRS, DMRA, 또는 TRP 신호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내 기준 신호는 또한 레이더 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한 빔일 수 있다. 서빙 기지국(1020)은, 예를 들어, 레이더 서버(1050)를 통해,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디스크램블링 ID, 시퀀스, 그리고 자원 할당과 같은 다운링크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레이더 수신기(예를 들어, 기지국(1040))에 통신할 수 있다. 그 다음 레이더 수신기는 자체적으로 레이더 감지 목적들을 위한 다운링크 기준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서빙 기지국(1010 또는 1020)은 데이터 통신들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을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은 레이더 감지를 위한 레이더 기준 신호(RRS)를 포함할 수 있다. RRS는 또한 CSI-RS, TRS, DMRS, PDSCH, 그리고 다른 기준 신호 채널들을 위한 QCL 소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0114] 도 11은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빙 기지국(또는 레이더 전송기)를 구성함으로써 무선 시스템에서 레이더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단순 흐름도(1100)를 포함한다. 레이더 전송기와 서빙 기지국 둘 다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은 초기에 레이더 신호와 잠재적으로 충돌하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충돌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제1 기지국은 레이더 신호를 떨어뜨릴 수 있고, 떨어진 레이더 신호 대신에, 레이더 감지 및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들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와 같은 기준 신호들은 LTE 또는 5G NR에서 CSI-RS, PRS, DMRS, 또는 TRS 신호, 또는 레이더 감지를 위한 RRS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1110)에서, 제1 기지국은, 제1 기지국에 의한 전송을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준 신호(예를 들어, CSI-RS, PRS, DMRS, TRS, 또는 RRS)는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예를 들어,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타깃에서 반사될 수 있는 신호 또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수신될 LOS 신호로서) 레이더 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은 공동으로 최적화된 빔으로 전송될 수 있다.
[0115] 선택적으로, 블록(1120)에서, 제1 기지국은 레이더 서버로, 또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레이더 감지를 위해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디코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16] 블록(1130)에서, 제1 기지국은 UE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통신 신호들은 타깃 객체 및/또는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0117] 선택적으로, 블록(1140)에서, UE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통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UE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하기 위해 CSI-RS, TRS, DMRS, PDSCH 등을 위한 QCL 소스로서 RRS를 사용할 수 있다. RRS를 포함하는 레이더 빔이 갱신될 때, 제1 기지국은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해 갱신된 QCL 소스를 UE에 통지할 수 있다.
[0118] 선택적으로, 블록(1150)에서,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은 (예를 들어, LOS 신호들로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및/또는 레이더 감지를 위해 (예를 들어, 에코 신호들로서) 타깃 객체로부터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0119]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과의 간섭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빔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의 QCL 소스를 조정하고 UE를 튜닝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빙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1010 또는 1020))은 레이더 서버(1050) 또는 레이더 전송기로부터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전송된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예를 들어, 방위각 및/또는 앙각들), 빔 폭(예를 들어, 3dB 빔 폭), 빔 폭의 불확실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서빙 기지국은 수신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본래의 QCL을 조정할 수 있다.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또한 서빙 기지국에 의해 UE(예를 들어, UE(1060))와 통신될 수 있어서, UE가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로부터 QCL 구성을 수신하고 QCL 구성에 기반하여 튜닝하기에 앞서 UE는 자체적으로 사용될 자신의 디폴트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0120] 도 12는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 UE를 구성함으로써 레이더 신호들과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 신호들간의 간섭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예시하는 단순 흐름도(1200)를 포함한다. 블록(1210)에서, 서빙 기지국(그리고, 선택적으로, UE)은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도 10의 기지국(101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레이더 빔은 기지국(1020)에 의해 전송된 LOS 신호 또는 기지국(1010)에 의해 전송된 LOS 신호에 대응할 수 있고, 다운링크 데이터는 기지국(1010)이나 기지국(102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일 수 있다.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전송된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예를 들어, 방위각 및/또는 앙각들), 빔 폭(예를 들어, 3dB 빔 폭), 빔 폭의 불확실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E가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UE는,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디폴트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디폴트 수신 빔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블록(1220)에서, 서빙 기지국은 레이더 빔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QCL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QCL 구성은 UE에 의해 발생될 수신 빔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운링크 데이터의 공간 수신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QCL 타입 D를 위한 빔 포밍 속성들)을 추정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은 QCL 구성을 결정할 수 있어서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수신 빔을 이용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QCL 구성에 기반하여 UE가 구성될 수 있다. 레이더 빔이 다른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빔이면, 몇몇 구현들에서, 서빙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제2 레이더 빔을 또한 고려할 수 있어서, 서빙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 QCL 구성은 UE가 제2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을 수 있는 수신 빔을 발생할 수 있게 한다. 서빙 기지국이 제2 레이더 빔을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서빙 기지국은 이미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 할 수 있어서 레이더 서버로부터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이 추후에 서빙 기지국이 될 때 나중에 (도 12에 도시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는)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을 위해 레이더 서버로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0122] 블록(1230)에서, 서빙 기지국은 UE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 구성을 송신할 수 있다. 그 다음 UE는 QCL 구성에 기반하여 자체적으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23] 블록(1240)에서, 서빙 기지국은 UE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 데이터는 UE가 QCL 구성(예를 들어, QCL 타입 및 소스)을 이용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0124] 주목해야 할 것은 도 8, 9, 11, 그리고 12에 예시된 동작들은 특정한 간섭 감소 기법들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다른 동작들의 시퀀스들이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상이한 순서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도 8, 9, 11, 그리고 12에 예시된 개별적인 동작들은 개별적인 동작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시퀀스들로 수행될 수 있는 다수의 하위-동작(multiple sub-opera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동작들이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2 개 이상의 동작들이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는 많은 변형들, 수정들, 그리고 대안들을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8, 9, 11, 그리고 12에 예시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UE, 기지국(예를 들어, TRP), 및/또는 레이더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예를 들어, 송수신기들과 프로세서들)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9, 11, 그리고 12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0), 무선 통신 안테나(1332)(들), 버스(1305),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1320), 프로세싱 유닛(1310)(들), 메모리(1360), 및/또는 UE(105)의 다른 컴포넌트들,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1410)(들), DSP(142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30), 버스(1405), 메모리(14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80),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안테나(1432)(들) 등과 같은 기지국(TRP) 또는 UE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125] 도 13은 본 명세서에 전술한 바와 같이 활용될 수 있는 UE(105)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UE(105)는 앞서의 도면들 중 임의의 도면내 UE(105)의 구현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방법의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도 13은 단지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일반적인 예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의미하며,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전부는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주목될 수 있는 것은 도 13에 의해 예시된 컴포넌트들은 단일 물리적 디바이스로 로컬화되고/되거나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앞서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논의된 UE의 기능은 도 13에 예시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0126] UE(105)는 버스(1305)를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적절하게 통신될 수 있는)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은 제한없이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들, (DSP 칩들, 그래픽 가속 프로세서들,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수-목적 프로세서들, 및/또는 다른 프로세싱 구조들 또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유닛(들)(1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은 원하는 기능에 따라 별도의 DSP(1320)를 가질 수 있다. 유선 통신에 기반한 위치 결정 및/또는 다른 결정들은 (이하 논의된) 프로세싱 유닛(1310)(들)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0)에서 제공될 수 있다. UE(105)는 또한 제한없이 하나 이상의 키보드들, 터치 스크린들, 터치 패드들, 마이크로폰들, 버튼들, 다이얼들, 스위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1370)들; 그리고 제한없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들), 발광 다이오드(LED)들, 스피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13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0127] UE(105)는 또한 제한없이 (Bluetooth® 디바이스, IEEE 802.11 디바이스, IEEE 802.15. 4 디바이스, WiFi 디바이스, WiMAX 디바이스, WAN 디바이스, 및/또는 다양한 셀룰러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모뎀, 네트워크 카드, 적외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칩셋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들에 기술된 바와 같이 UE(105)가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능동 BWP(active BWP)와 PRS 신호들을 위해 사용된 하나 이상의 FL들을 갖는 하나 또는 추가적인 대역들간에 튜닝될 수 있는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예를 들어, eNB들, gNB들, ng-eNB들, 액세스 포인트들, 다양한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액세스 노드 타입들,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TRP들과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통해 네트워크의 TRP들과 통신되도록 (예를 들어, 전송되고 수신되도록) 데이터와 시그널링을 허용할 수 있다. 통신은 무선 신호(1334)들을 송신하고/하거나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안테나(1332)(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안테나(1332)들은 복수의 이산 안테나(discrete antenna)들,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128] 원하는 기능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0)는 기지국들(예를 들어, ng-eNB들과 gNB들) 및 무선 디바이스들과 액세스 포인트들과 같은 다른 지상파 송수신기들과 통신하기 위해 별도의 수신기와 전송기, 또는 송수신기들, 전송기들, 및/또는 수신기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UE(105)는 다양한 네트워크 타입들을 포함할 수 있는 상이한 데이터 네트워크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는 CDMA 네트워크, 시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네트워크,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네트워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네트워크, 싱글-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네트워크, WiMAX(IEEE 802.16) 네트워크 등일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CDMA2000, WCDMA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RAT들을 구현할 수 있다. CDMA2000은 IS-95, IS-2000 및/또는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 디지털 첨단 이동 전화 시스템(Digital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D-AMPS), 몇몇 다른 RAT를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LTE, LTE Advanced, 5G NR 등을 활용할 수 있다. 5G NR, LTE, LTE Advanced, GSM, 그리고 WCDMA는 3GPP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 3GPP2)"로 명명된 컨소시엄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3GPP 및 3GPP2 문서들은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WLAN은 또한 IEEE 802.11x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은 Bluetooth network, IEEE 802.15x, 또는 몇몇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은 또한 WWAN, WLAN 및/또는 WPAN의 임의의 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129] UE(105)는 센서(134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40)들은, 제한없이,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및/또는 다른 센서들(예를 들어, 가속도계(accelerometer)(들), 자이로스코프(gyroscope)(들), 카메라(들), 자력계(magnetometer)(들), 고도계(altimeter)(들), 마이크로폰(들),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들), 광 센서(들), 기압계(barometer)(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몇몇은 포지션-관련 측정값들 및/또는 다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130] UE(105)의 실시예들은 또한 (무선 통신 안테나(1332)와 동일할 수 있는) 안테나(1382)를 이용해 하나 이상의 GNSS 위성들로부터 신호(1384)들을 수신할 수 있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수신기(1380)를 포함할 수 있다. GNSS 신호 측정값에 기반한 포지셔닝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을 보완 및/또는 통합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GNSS 수신기(1380)는, 종래의 기법들을 이용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 일본 상공의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인도 상공의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중국 상공의 BDS(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과 같은 GNSS 시스템의 GNSS 위성들(110)로부터 UE(105)의 포지션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GNSS 수신기(1380)는, 예를 들어, 광역 증강 시스템(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WAAS), 유럽 정지 내비게이션 오버레이 서비스(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Overlay Service: EGNOS), 다중-기능 위성 증강 시스템(Multi-functional Satellite Augmentation System: MSAS), 및 지리 증강 내비게이션 시스템(Geo Augmented Navigation system: GAGAN)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글로벌 및/또는 지역적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들과 연관될 수 있거나 아니면 사용가능하게 될 수 있는 다양한 증강 시스템들(예를 들어, 위성 기반 증강 시스템(예를 들어,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0131] 주목해야 할 것은, 비록 GNSS 수신기(1380)가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도 13에 예시된다고 하더라도,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GNSS 수신기"는 GNSS 측정값들(GNSS 위성들로부터의 측정값들)을 획득하기 위해 구성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GNSS 수신기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330)(예를 들어, 모뎀)내 프로세싱 유닛들(1310), DSP(1320),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소프트웨어로서) 실행된 측정 엔진(measurement engine)을 포함할 수 있다. GNSS 수신기는 또한 선택적으로 확장형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 EKF), 가중 최소 제곱(Weighted Least Squares), 해치 필터(hatch filter), 입자 필터(particle filter) 등을 이용해 GNSS 수신기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측정 엔진으로부터 GNSS 측정값들을 이용할 수 있는 포지셔닝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엔진은 또한 프로세싱 유닛들(1310) 또는 DSP(13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0132] UE(105)는 메모리(1360)를 더 포함하고/하거나 메모리(1360)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1360)는, 제한없이, 프로그램가능하고, 플래시-갱신가능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및/또는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등과 같은 로컬 및/또는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스토리지(local and/or accessible storage), 디스크 드라이브(disk drive), 드라이브 어레이(drive array), 광 스토리지 디바이스(optical storage device), 솔리드-스테이트 스토리지 디바이스(solid-state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들은 제한없이 다양한 파일 시스템들, 데이터베이스 구조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스토어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33]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UE(105)의 메모리(1360)는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하거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방법 및/또는 구성 시스템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과 같은 운영 체제, 디바이스 드라이버들, 실행가능 라이브러리들, 및/또는 다른 코드를 포함하는 (도 13에 도시되지 않은)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상기 논의된 방법(들)에 관하여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절차들은 UE(105) (및/또는 UE(105)내 프로세싱 유닛들(1310) 또는 DSP(1320))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1360)내 코드 및/또는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그 다음 이와 같은 코드 및/또는 명령들은 기술된 방법들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범용 컴퓨터(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구성하고/하거나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134] 도 14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활용될 수 있는 TRP(140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도 14는 단지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일반적인 예시를 제공하며, 이들 중 임의의 또는 전부는 적절히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0135] TRP(1400)는 버스(1405)를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또는 적절하게 통신할 수 있는)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은 제한없이 (DSP 칩들, 그래픽 가속 프로세서들, ASIC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특수-목적용 프로세서들, 및/또는 다른 프로세싱 구조 또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유닛들(14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기능에 따라 별도의 DSP(1420)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서, 무선 통신에 기반한 위치 결정 및/또는 결정들은 (이하 논의된) 프로세싱 유닛들(1410)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30)에 제공될 수 있다. TRP(1400)는 또한 제한없이 키보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마이크로폰, 버튼(들), 다이얼(들), 스위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 그리고 제한없이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ED), 스피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0136] TRP(1400)는 또한 제한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TRP(1400)를 통신가능하게 할 수 있는 (Bluetooth® 디바이스, IEEE 802.11 디바이스, IEEE 802.15.4 디바이스, Wi-Fi 디바이스, WiMAX 디바이스, 셀룰러 통신 설비들 등과 같은) 모뎀, 네트워크 카드, 적외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칩셋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43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UE들, 기지국들/TRP들(예를 들어, eNB들, gNB들, 그리고 ng-eNB들),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로 통신(예를 들어, 전송 및 수신)되도록 데이터와 시그널링을 허용할 수 있다. 통신은 무선 신호(1434)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안테나들(1432)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0137] TRP(1400)는 또한 유선 통신 기술들의 지원을 포함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8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80)는 모뎀, 네트워크 카드, 칩셋(chips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8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네트워크, 통신 네트워크 서버들,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과 교환되도록 데이터를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및/또는 출력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0138] 많은 실시예들에서, TRP(1400)는 메모리(1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60)는, 제한없이, 프로그램가능하고, 플래시-갱신가능할 수 있는 RAM, 및/또는 ROM 등과 같은 로컬 및/또는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스토리지, 디스크 드라이브, 드라이브 어레이, 광 스토리지 디바이스, 솔리드-스테이트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들은, 제한없이, 다양한 파일 시스템들, 데이터베이스 구조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스토어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39]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TRP(1400)의 메모리(1460)는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방법들, 및/또는 구성 시스템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과 같은 운영 체제, 디바이스 드라이버들, 실행가능한 라이브러리들, 및/또는 다른 코드를 포함하는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상기 논의된 방법(들)에 관하여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절차들은 TRP(1400)(및/또는 TRP(1400)는 프로세싱 유닛들(1410) 또는 DAP(14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메모리(1460)내 코드 및/또는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그 다음 이와 같은 코드 및/또는 명령들은 기술된 방법들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범용 컴퓨터(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구성 및/또는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140]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도 1의 레이더 서버(160), 도 2의 LMF(220) 등)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1500)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도 15는 단지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일반적인 예시만을 제공하며, 이들의 임의의 또는 전부가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15는 어떻게 개별적인 시스템 엘리먼트들이 상대적으로 분리되거나 상대적으로 보다 통합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를 광범위하게 예시한다. 또한, 도 15에 예시된 컴포넌트들은 단일 디바이스로 로컬화되고/되거나 상이한 지리적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될 수 있다.
[0141] 컴퓨터 시스템(1500)은 버스(1505)를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 (또는 적절하게 통신할 수 있는)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하드웨어 엘리먼트들은 제한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칩들, 그래픽 가속 프로세서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특수-목적용 프로세서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다른 프로세싱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싱 유닛들(1510)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500)은 또한 제한없이 마우스, 키보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1515)들; 그리고 제한없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1520)을 포함할 수 있다.
[0142] 컴퓨터 시스템(1500)은, 제한없이, 로컬 및/또는 네트워크 액세스가능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 스토리지 디바이스들(1525)을 더 포함(및/또는 통신)할 수 있고/있거나, 제한없이, 프로그램가능하고, 플래시-갱신가능할 수 있는 RAM 및/또는 ROM 등과 같은 디스크 드라이브, 드라이브 어레이, 광 스토리지 디바이스, 솔리드-스테이트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들은, 제한없이, 다양한 파일 시스템들, 데이터베이스 구조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스토어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데이터 스토어들은 메시지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들) 및/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들 및/또는 허브(hub)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 송신될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143] 컴퓨터 시스템(1500)은 또한 (이더넷(Ethernet), 동축 통신(coaxial communication)들, 범용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등과 같은) 유선 기술들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33)에 의해 관리되고 제어된 무선 통신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는 통신 서브시스템(153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533)는 무선 안테나들(1550)을 통해 무선 신호들(1555)(예를 들어, 5G NR 또는 LTE에 따른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서브시스템(1530)은 모뎀, 네트워크 카드(무선 또는 유선), 적외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칩셋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사용자 장비(UE),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TRP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네트워크를 통해 임의의 디바이스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통신 네트워크들 중 임의의 또는 전부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1500)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서브시스템(153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기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144] 많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1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RAM 또는 ROM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작업 메모리(working memory)(1535)를 더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작업 메모리(1535)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된 방법들, 및/또는 구성 시스템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1545)과 같은 운영 체제(1540), 디바이스 드라이버들, 실행가능한 라이브러리들, 및/또는 다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상기 논의된 방법(들)에 관하여 기술된 하나 이상의 절차들은 컴퓨터 (및/또는 컴퓨터내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 및/또는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일 양상에서, 이와 같은 코드 및/또는 명령들은 기술된 방법들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범용 컴퓨터(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구성 및/또는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145] 이들 명령들 및/또는 코드의 세트는 상기 기술된 스토리지 디바이스들(1525)과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스토리지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1500)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내에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광 디스크와 같은 이동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고/되거나 예시 패키지에 제공될 수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는 스토리지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코드에 의해 범용 컴퓨터를 프로그램, 구성, 및/또는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명령들은 컴퓨터 시스템(1500)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있거나 그 다음 (예를 들어, 다양한 일반적으로 활용가능한 컴파일러(compiler)들, 설치 프로그램들, 압축/압축해제 유틸리티들 등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1500)상에 컴파일 및/또는 설치시 실행가능한 코드의 형태를 취하는 소스 및/또는 설치가능한 코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0146] 실질적인 변형들이 특정 요건들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맞춤형 하드웨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특정 엘리먼트들은 하드웨어, (애플릿(applet)들 등과 같은 휴대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둘 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력/출력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대한 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
[0147]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은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특정 방식으로 기계가 작동하도록 야기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참여하는 임의의 스토리지 매체를 지칭한다. 상기 본 명세서에 제공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싱 유닛들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로 명령들/코드를 제공하는 것이 관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이와 같은 명령들/코드를 저장 및/또는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많은 구현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물리적 및/또는 유형의 스토리지 매체이다. 이와 같은 매체는 비휘발성 매체들, 휘발성 매체들, 그리고 전송 매체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많은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공통 형태들은 이후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자기 및/또는 광 매체들, 홀들의 패턴들을 갖는 임의의 다른 물리적 매체, RA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삭제가능 PROM(EPROM), FLASH-EPROM, 임의의 다른 메모리 칩 또는 카트리지,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컴퓨터가 명령들 및/또는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한다.
[0148]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방법들, 시스템들, 그리고 디바이스들은 예들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절하게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기술된 특징들은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상이한 양상들과 엘리먼트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도면들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기술은 진화하고, 따라서 많은 엘리먼트들은 그들의 특정한 예들로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예들이다.
[0149] 비트들, 정보, 값들, 엘리먼트들, 심볼들, 문자들, 변수들, 용어들, 번호들, 숫자들 등과 같은 신호들을 지칭하는 것이 주로 일반적인 사용의 이유들로 때때로 편리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들 또는 유사한 용어들의 전부는 적절한 물리량들과 연관될 것이며 단지 편의상 라벨들을 붙인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한, 상기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프로세싱", "컴퓨팅', "계산", "결정", "확인", "식별", "연관", "측정", "수행" 등과 같은 용어들을 활용하는 논의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용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특정 장치의 행위들 또는 처리들을 지칭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특수 목적용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용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특수 목적용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용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전송 디바이스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내 물리적인 전자, 전기, 또는 자기량들로서 표현된 신호들을 조작 또는 변환할 수 있다.
[0150]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그리고" 및 "또는"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와 같은 용어들이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예상될 수 있는 다양한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 B, C와 같은 목록을 연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A, B, 또는 C와 같은 목록을 연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또는"은 여기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A, B 및 C뿐만 아니라 여기서 배타적 의미로 사용되는 A, B, 또는 C를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하나 이상은" 단수로 임의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의 몇몇 조합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것은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예이며 청구된 요지는 이러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A, B, 또는 C와 같은 목록을 연관시키기 위해 사용되면 용어 "중 적어도 하나"는 A, AB, AA, AAB, AABBCCC 등과 같은 A, B, 및/또는 C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0151] 여러 실시예들이 기술되었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수정들, 대안적인 구성들, 및 등가물들이 본 개시의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엘리먼트들은 단지 보다 큰 시스템의 컴포넌트일 수 있으며, 여기서 다른 규칙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어플리케이션 보다 우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계들이 상기 엘리먼트들이 고려되기 전, 고려되는 동안, 또는 고려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0152] 이러한 설명의 관점에서, 실시예들은 특징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들은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조항들에 기술된다:
조항 1. 제1 기지국에 의해, 제2 기지국으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단계;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을 이용해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2. 조항 1의 방법에 있어서, 자원들의 목록은 업링크 데이터를 운반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의 목록을 포함한다.
조항 3. 조항 1 또는 조항 2의 방법에 있어서, 제2 기지국으로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단계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4. 조항 3의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서버로 자원들의 목록의 각각의 자원과 관련된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조항 5. 조항 4의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에 기반하여 레이더 서버에 의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의 전송을 뮤팅하기 위한 스케줄을 결정하고; 레이더 서버에 의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레이더 신호들의 전송을 뮤팅하기 위한 스케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조항 6. 조항 1 내지 5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는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7. 조항 1 내지 6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은 UE를 위한 서빙 기지국이며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수신기이고, 제2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기이다.
조항 8. 조항 1 내지 7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은 롱-텀 이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5세대(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6세대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조항 9. 조항 1 내지 8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과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은 슬롯들, 심볼들, 또는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다르다.
조항 10. 데이터를 운반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고 레이더 타깃의 속성들이 결정될 수 있는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그리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제2 기지국으로,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고;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하고 레이더 타깃의 속성들이 결정될 수 있는 레이더 신호들의 일부로서,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며; 그리고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하는 제1 기지국.
조항 11. 조항 10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자원들의 목록은 업링크 데이터를 운반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 자원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조항 12. 조항 10 또는 조항 11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자원들의 목록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조항 13. 조항 12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레이더 서버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자원들의 목록의 각각의 자원과 관련된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14. 조항 13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의 전송을 뮤팅하기 위한 스케줄에 따라서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며, 여기서 스케줄은 레이더 서버에 의해 결정된다.
조항 15. 조항 10 내지 14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는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데이터를 포함한다.
조항 16. 조항 10 내지 15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은 UE를 위한 서빙 기지국이며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수신기이고, 상기 제2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기이다.
조항 17. 조항 10 내지 16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롱-텀 이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5세대(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6세대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18. 조항 10 내지 17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과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은 슬롯들, 심볼들, 또는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다르다.
조항 19.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원들의 목록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을 이용해,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조항 20. 조항 19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자원들의 목록은 업링크 데이터를 운반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 자원들의 목록을 포함한다.
조항 21. 조항 19 또는 조항 20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2 기지국으로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단계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22. 조항 21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레이더 서버의 자원들의 목록의 각각의 자원과 연관된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을 더 송신하도록 한다.
조항 23. 조항 22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의 전송을 뮤팅하기 위한 스케줄에 따라서 수신되고, 스케줄은 레이더 서버에 의해 결정된다.
조항 24. 조항 19 내지 23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는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데이터를 포함한다.
조항 25. 조항 19 내지 24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은 UE를 위한 서빙 기지국이며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수신기이고, 제2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이다.
조항 26. 조항 19 내지 25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은 롱-텀 이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5세대(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6세대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27. 조항 19 내지 26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과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은 슬롯들, 심볼들, 또는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다르다.
조항 28. 데이터를 운반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고 레이더 타깃의 속성들이 결정될 수 있는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시스템으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원들의 목록을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하고 레이더 타깃의 속성들이 결정될 수 있는 레이더 신호들의 일부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을 이용해,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조항 29. 조항 28의 시스템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과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은 슬롯들, 심볼들, 또는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다르다.
조항 30. 조항 28 또는 조항 29의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UE를 위한 서빙 기지국의 일부이며, 서빙 기지국은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수신기이고, 레이더 신호들이 수신되는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이다.
조항 31. 제1 기지국에 의해,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레이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빔이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도록 결정되는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수신 빔을 이용해,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32. 조항 31의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33. 조항 31 또는 32의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 디폴트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디폴트 수신 빔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다.
조항 34. 조항 31 내지 33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수신 빔을 이용해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 빔을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35. 조항 34의 방법에 있어서,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 빔의 수신각 또는 빔 폭을 설정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내 안테나 엘리먼트의 시간 지연, 위상 지연, 출력 레벨, 또는 온/오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36. 조항 31 내지 35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서버로부터 보조 데이터로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조항 37. 조항 31 내지 36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 및 레이더 빔은 동시에 수신된다.
조항 38. 조항 31 내지 37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빔은 조준선(LOS) 신호에 대응한다.
조항 39. 조항 38의 방법에 있어서,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고 레이더 타깃에 의해 반사된 레이더 신호인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레이더 타깃의 하나 이상의 속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LOS 신호와 에코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조항 40. 안테나 어레이; 안테나 어레이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그리고 레이더 서버로부터 그리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며 ― 파라미터들은 수신 빔이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도록 결정됨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와 수신 빔을 이용해,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빔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하는 제1 기지국.
조항 41. 조항 40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42. 조항 40 또는 조항 41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디폴트 수신 빔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며, 디폴트 수신 빔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다.
조항 43. 조항 40 내지 42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수신 빔을 형성하도록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한다.
조항 44. 조항 43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수신 빔의 수신각 또는 빔 폭을 설정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내 안테나 엘리먼트의 시간 지연, 위상 지연, 출력 레벨, 또는 온/오프 상태를 결정한다.
조항 45. 조항 40 내지 44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서버로부터 보조 데이터로서 수신된다.
조항 46. 조항 40 내지 45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 및 레이더 빔은 동시에 수신된다.
조항 47. 조항 40 내지 46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레이더 빔은 조준선(LOS) 신호에 대응한다.
조항 48. 조항 47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고 레이더 타깃으로부터 반사된 레이더 신호인 에코 신호를 수신하며; 그리고 레이더 타깃의 하나 이상의 속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LOS 신호와 에코 신호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된다.
조항 49.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레이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빔이 레이더 빔에 충돌하지 않도록 결정되는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수신 빔을 이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빔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조항 50. 조항 49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51. 조항 49 또는 조항 50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명령들은,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한 디폴트 수신 빔을 더 결정하도록 하며, 디폴트 수신 빔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다.
조항 52. 조항 49 내지 51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수신 빔을 이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 빔을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53. 조항 52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 빔의 수신각 또는 빔을 설정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내 안테나 엘리먼트의 시간 지연, 위상 지연, 출력 레벨, 또는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54. 조항 49 내지 53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서버로부터 보조 데이터로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다.
조항 55. 조항 49 내지 54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 및 레이더 빔은 동시에 수신된다.
조항 56. 조항 49 내지 55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레이더 빔은 조준선(LOS) 신호에 대응한다.
조항 57. 조항 56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고 레이더 타깃으로부터 반사된 레이더 신호인 에코 신호를 수신하며; 그리고 레이더 타깃의 하나 이상의 속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LOS 신호와 에코 신호를 더 처리하도록 한다.
조항 58.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파라미터들은 수신 빔이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도록 결정됨 ―; 그리고, 수신 빔을 이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데이터;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빔을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조항 59. 조항 58의 시스템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60. 조항 58 또는 조항 59의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수신 빔의 수신각 또는 빔 폭을 설정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내 안테나 엘리먼트의 시간 지연, 위상 지연, 출력 레벨, 또는 온/오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61.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레이더 전송기와 서빙 기지국 둘 다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이용가능한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1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UE와 제2 기지국 또는 레이더 타깃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62. 조항 61의 방법에 있어서,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트래킹 기준 신호(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63. 조항 61 또는 조항 62의 방법에 있어서, 기준 신호는 레이더 기준 신호(Radar Reference Signal : RRS)를 포함한다.
조항 64. 조항 63의 방법에 있어서, RRS는 롱-텀 이볼루션(LTE), 5세대(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6세대(6G)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들에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트래킹 기준 신호(TRS),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소스로서 사용된다.
조항 65. 조항 61 내지 64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는 기준 신호의 디스크램블링 ID, 시퀀스, 또는 자원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66. 조항 61 내지 65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67. 조항 61 내지 66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통신 신호들은 조준선(LOS) 신호로서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레이더 타깃으로부터 반사를 위해 레이더 타깃으로 전송된다.
조항 68.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그리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스케줄하고;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며; 그리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UE와 제2 기지국 또는 레이더 타깃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하는 레이더 전송기와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서빙 기지국으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
조항 69. 조항 68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트래킹 기준 신호(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70. 조항 68 또는 조항 69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기준 신호는 레이더 기준 신호(Radar Reference Signal : RRS)를 포함한다.
조항 71. 조항 70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RRS는 롱-텀 이볼루션(LTE), 5세대(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6세대(6G)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들에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트래킹 기준 신호(TRS),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소스로서 사용된다.
조항 72. 조항 68 내지 71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는 기준 신호의 디스크램블링 ID, 시퀀스, 또는 자원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73. 조항 68 내지 72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레이더 서버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74. 조항 68 내지 73 중 임의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은 조준선(LOS) 신호로서 제2 기지국으로 그리고 레이더 타깃으로부터 반사를 위해 레이더 타깃으로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75. 레이더 전송기와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서빙 기지국 둘 다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다운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다운링크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UE와 제2 기지국 또는 레이더 타깃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조항 76. 조항 75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트래킹 기준 신호(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77. 조항 75 또는 조항 76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기준 신호는 레이더 기준 신호(Radar Reference Signal : RRS)를 포함한다.
조항 78. 조항 77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RRS는 롱-텀 이볼루션(LTE), 5세대(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6세대(6G)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들에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트래킹 기준 신호(TRS),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소스로서 사용된다.
조항 79. 조항 75 내지 78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는 기준 신호의 디스크램블링 ID, 시퀀스, 또는 자원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80. 조항 75 내지 79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81. 조항 75 내지 80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조준선(LOS) 신호로서 제2 기지국으로 그리고 레이더 타깃으로부터 반사를 위해 레이더 타깃으로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한다.
조항 82. 다운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신호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으로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다운링크 데이터와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은 UE와 제2 기지국 또는 레이더 타깃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조항 83. 조항 82의 시스템에 있어서,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트래킹 기준 신호(T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84. 조항 82 또는 조항 83의 시스템에 있어서, 기준 신호는 레이더 기준 신호(Radar Reference Signal : RRS)를 포함한다.
조항 85. 조항 84의 시스템에 있어서, RRS는 롱-텀 이볼루션(LTE), 5세대(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또는 6세대(6G)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들에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트래킹 기준 신호(TRS),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소스로서 사용된다.
조항 86. 서빙 기지국에 의해,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UE)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 구성을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UE로 QCL에 기반하여 UE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조항 87. 조항 86의 방법에 있어서, UE에 의해,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UE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디폴트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조항 88. 조항 86 또는 조항 87의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89. 조항 86 내지 88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QCL 구성은 빔 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조항 90. 조항 86 내지 89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QCL 구성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수신 빔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표시한다.
조항 91. 조항 86 내지 90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빔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조항 92. 조항 91의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수신기이며, 제2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기이다.
조항 93. 조항 86 내지 92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에 의해, 레이더 서버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UE를 위해 제2 QCL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항 94. 조항 86 내지 92 중 임의의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QCL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조항 95.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그리고,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구성을 결정하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비(UE)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 구성을 송신하고; 그리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UE로 QCL에 기반하여 UE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조항 96. 조항 95의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97. 조항 95 또는 조항 96의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QCL 구성은 빔 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조항 98. 조항 95 내지 97 중 임의의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QCL 구성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수신 빔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표시한다.
조항 99. 조항 95 내지 98 중 임의의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레이더 빔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조항 100. 조항 99의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시스템의 레이더 수신기이며, 제2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기이다.
조항 101. 조항 95 내지 100 중 임의의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레이더 서버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UE를 위한 제2 QCL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항 102. 조항 95 내지 100 중 임의의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QCL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2 레이더 빔은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다.
조항 103.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E)를 위해 레이더 전송기와 서빙 기지국 둘 다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에 의해 실행될 때,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Quasi-Colocation)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UE)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 구성을 송신하는 단계; 그리고 UE로 QCL 구성에 기반하여 UE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조항 104. 조항 103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105. 조항 103 또는 조항 104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QCL 구성은 빔 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조항 106. 조항 103 내지 105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QCL 구성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수신 빔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표시한다.
조항 107. 조항 103 내지 106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레이더 빔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조항 108. 조항 107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시스템의 레이더 수신이며, 제2 기지국은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기이다.
조항 109. 조항 103 내지 108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레이더 서버로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더 송신하도록 하며,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UE를 위한 제2 QCL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항 110. 조항 103 내지 108 중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이 서빙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QCL 구성을 더 결정하도록 한다.
조항 111.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Quasi-Colocation) 구성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 장비(UE)로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QCL 구성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UE로 QCL 구성에 기반하여 UE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조항 112. 조항 111의 시스템에 있어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는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 빔 폭, 또는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항 113. 조항 111 또는 조항 112의 시스템에 있어서, QCL 구성은 빔 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조항 114. 조항 111 내지 113 중 임의의 시스템에 있어서, QCL 구성은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수신 빔을 위한 파라미터를 표시한다.

Claims (30)

  1.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에 의해:
    UE(user equipment)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들의 목록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UE로부터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들의 목록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운반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 자원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단계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서버로 상기 자원들의 목록의 각각의 자원과 연관된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레이더 서버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레이더 신호들의 전송을 뮤팅하기 위한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더 서버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레이더 신호들의 전송을 뮤팅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장비(UE)를 위한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이며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bistatic radar system)의 레이더 수신기이며, 그리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기인,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LTE(Long-Term Evolution), 5세대(5G) NR(New Radio), 또는 6세대(6G) RAT들(Radio Access Technologies)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과 상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은 슬롯들, 심볼들, 또는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이한, 방법.
  10. 제1 기지국으로서,
    데이터를 운반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수신하고 레이더 타깃의 속성들이 결정될 수 있는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UE(user equipment)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들의 목록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게 하고;
    상기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 이외의 자원들과 상기 레이더 타깃의 상기 속성들이 결정될 수 있는 상기 레이더 신호들의 일부로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자원들의 목록에 포함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UE로부터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기지국.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들의 목록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운반하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주파수 도메인과 시간 도메인 자원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제1 기지국.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자원들의 목록을 송신하는, 제1 기지국.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은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가 상기 레이더 서버로 상기 자원들의 목록의 각각의 자원과 연관된 각각의 우선순위 레벨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기지국.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레이더 신호들의 전송을 뮤팅하기 위한 스케줄에 따라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며, 상기 스케줄은 상기 레이더 서버에 의해 결정되는, 제1 기지국.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는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UE를 위한 서빙 기지국이고 또한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수신기이며, 그리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바이스태틱 레이더 시스템의 레이더 전송기인, 제1 기지국.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LTE(Long-Term Evolution), 5세대(5G) NR(New Radio), 또는 6세대(6G) RAT들(Radio Access Technologies)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기지국.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과 상기 레이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자원들은 슬롯들, 심볼들, 또는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이한, 제1 기지국.
  19.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레이더 서버로부터, 레이더 전송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이더 빔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UE(User Equipment)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파라미터들은 상기 수신 빔이 상기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도록 결정됨 ―;
    상기 수신 빔을 이용하여, 상기 UE로부터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레이더 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빔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레이더 빔의 조준 방향(boresight direction), 빔 폭, 또는 상기 빔 폭의 불확실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빔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업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레이더 빔과 충돌하지 않는 디폴트 수신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빔을 이용하여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빔을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빔의 상기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빔의 수신각 또는 빔 폭을 설정하기 위해 안테나 어레이내 안테나 엘리먼트의 시간 지연, 위상 지연, 출력 레벨, 또는 온/오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빔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레이더 서버로부터 보조 데이터로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
  24.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와 상기 레이더 빔이 동시에 수신되는, 방법.
  25.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빔은 LOS(line of sight) 신호에 대응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고 레이더 타깃으로부터 반사된 레이더 신호인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더 타깃의 하나 이상의 속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LOS 신호와 상기 에코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방법으로서,
    UE(User Equipment)를 위한 레이더 전송기와 서빙 기지국 둘 다로서 역할을 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와 다운링크 데이터 통신과 레이더 감지 둘 다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레이더 수신기로서 역할을 하는 제2 기지국으로 상기 기준 신호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UE와 상기 제2 기지국 또는 레이더 타깃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와 상기 기준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TRS(tracking reference 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RRS(Radar 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기준 신호의 디스크램블링(descrambling) ID, 시퀀스, 또는 자원 할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기준 신호에 관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레이더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기준 신호에 관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08714A 2020-09-21 2021-08-25 레이더 간섭하의 셀룰러 통신들 KR20230073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1191P 2020-09-21 2020-09-21
US63/081,191 2020-09-21
US17/410,753 2021-08-24
US17/410,753 US20220095319A1 (en) 2020-09-21 2021-08-24 Cellular communications under radar interference
PCT/US2021/047470 WO2022060541A1 (en) 2020-09-21 2021-08-25 Cellular communications under radar interfer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193A true KR20230073193A (ko) 2023-05-25

Family

ID=8074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714A KR20230073193A (ko) 2020-09-21 2021-08-25 레이더 간섭하의 셀룰러 통신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95319A1 (ko)
EP (1) EP4214945A1 (ko)
KR (1) KR20230073193A (ko)
CN (1) CN116348785A (ko)
WO (1) WO2022060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0711B2 (ja) * 2013-04-17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264266A1 (en) * 2019-02-06 2020-08-20 US Gov't represented by Secretary of the Air Force Uplink Signaling and Receive Beamforming for Dual-Function Radar Communications
KR20210050811A (ko) *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45509B1 (en) * 2021-04-30 2022-09-1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beam management using a configurable deflector
US20230324533A1 (en) * 2022-04-11 2023-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device bistatic sensing
EP4270806A1 (en) * 2022-04-29 2023-11-01 Imec VZW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adar sensing, corresponding method and device
US20230362898A1 (en) * 2022-05-03 2023-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ing resource configuration and coexistence handling in cellular systems
WO2023222997A1 (en) * 2022-05-18 2023-11-23 Focal Point Position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channel operation of independent radio systems
WO2023221083A1 (en) * 2022-05-20 2023-11-23 Qualcomm Incorporated Multi-trp base station for radar sensing
US20230422301A1 (en) * 2022-06-22 2023-12-28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collisions between bundled radar reference signals and communication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20240056248A1 (en) * 2022-08-11 2024-02-15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s for joint communication and sensing
WO2024040493A1 (en) * 2022-08-25 2024-02-29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ization between sensing reference signals and communication reference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6744B2 (ja) * 2016-05-27 2022-03-15 ロンバス システムズ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空飛行の無人航空機及び物体を追跡するレーダ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4945A1 (en) 2023-07-26
WO2022060541A1 (en) 2022-03-24
CN116348785A (zh) 2023-06-27
US20220095319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5319A1 (en) Cellular communications under radar interference
US20230269694A1 (en) Association between nr prs and lte crs in dynamic spectrum sharing
KR20230131867A (ko) 사이드링크(sl)-보조 포지셔닝의 측정 갭(mg) 고려
WO2022272194A1 (en) Determining position information
US20230269048A1 (en) Method to improve downlink prs positioning performance in presence of slot misalignment
KR20240064644A (ko) 초점 섭동을 사용한 각도 관계 결정
US20240162940A1 (e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for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aided positioning
US11924802B2 (en) Frequency dependent beam patterns for positioning
WO2022221795A1 (en) Antenna hopping for reference signal measurements in user equipment (ue) positioning
WO2023225994A1 (en) Feasibility of sensing in a sensing-communication system
US20230319507A1 (en) Ue positioning in the presence of an 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irs)
US20240073644A1 (en) Location indication for uplink resources for positioning
WO2023097138A1 (en) Allocating resources for radar reference signals
WO2023114589A1 (en) Resource allocation in data communications systems
WO2023154141A1 (en) Rf sensing for ue positioning using uplink and downlink signals
KR20230124580A (ko) 사이드링크 보조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포지셔닝
TW202412546A (zh) 偵測非視距無線信號路徑
KR20230156321A (ko) 저전력 모바일 디바이스 포지셔닝을 위한 차동 AOA(Angle of Arrival)
CN118020264A (zh) 用于定位的处理窗口设计
JP2024518691A (ja) 複数のソースからの基準信号の並列処理のための受信チェーンの分配
WO2022187773A1 (en) 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assisted timing error calibration for mobile device positioning
CN117916614A (zh) 接收点定位测量
WO2023196067A1 (en) Predicting wireless measurements based on virtual access points
TW202412542A (zh) 偵測非視距無線信號路徑
CN117981266A (zh) 处理窗口中的测量行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