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008A - 관 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관 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008A
KR20230073008A KR1020210159782A KR20210159782A KR20230073008A KR 20230073008 A KR20230073008 A KR 20230073008A KR 1020210159782 A KR1020210159782 A KR 1020210159782A KR 20210159782 A KR20210159782 A KR 20210159782A KR 20230073008 A KR20230073008 A KR 2023007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cap
fitting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Original Assignee
두리화학 주식회사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학 주식회사,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filed Critical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008A/ko
Publication of KR2023007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는, 단부에 삽입관이 끼워지며, 외주면에 체결 슬리브가 형성되는 이음관; 및 상기 체결 슬리브에 결합되는 투시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 이음 장치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관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소방, 가스, 전기, 및 각종 산업 플랜트 등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되어야 할 관들의 단부들을 서로 맞대어 용접하거나, 별도의 이음 장치가 사용된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관 이음부에서 관의 접속이 확실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이 구비된 관 이음 장치가 개시된다.
제시된 선행 기술에 따르면, 투명창을 형성하기 위하여 관이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확관부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뚫고, 상기 구멍에 투명 수지재를 충진하거나, 별도의 투명체 판을 상기 구멍에 부착시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이음관 전체는 투명 재질로 구현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의 소재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투명창을 이음관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사출 시간이 길어지고 사출 인원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제작 단가가 높고 소음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음관 전체를 투명 재질로 구현하는 경우, 투명 제품은 제작이 어렵고 강도가 낮아 고가의 충격 보강재를 투입하여야 하므로, 불투명한 관과 비교하여 단가가 높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5-0002817호(1994년04월1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는, 단부에 삽입관이 끼워지며, 외주면에 체결 슬리브가 형성되는 이음관; 및 상기 체결 슬리브에 결합되는 투시캡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 슬리브는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이음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 캡은, 상기 체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일 단부를 차폐하는 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 슬리브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이음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투명창을 통하여 확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투시캡 전체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투명창만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슬리브의 중심축은 상기 이음관의 파팅 라인을 지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 장치에 따르면, 이음관에 투명창을 형성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투명재질의 수지재를 채우거나 투명한 판을 결합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음관의 기계적 특성과 수밀 성능을 유지하면서 관의 완전한 삽입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사출 작업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병마개형 투시캡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도 간단히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음관 내부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투시캡이 결합되는 개구부가 이음관 내부 청소를 위한 도구의 삽입홀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관 이음 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관 이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10)는, 원통형 체결 슬리브(112)가 돌출 형성되는 이음관(11)과, 상기 체결 슬리브(112)에 결합되는 투시캡(12)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체결 슬리브(112)는 상기 이음관(11)의 위주면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상기 이음관(1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슬리브(11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음관(11)의 내면에는 상기 이음관(11)에 삽입되는 삽입관(20)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1)은 상기 체결 슬리브(112)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확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체결 슬리브(112)를 통하여 상기 삽입관(20)이 상기 이음관(11)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명확하게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투시캡(12)은, 상기 체결 슬리브(112)에 결합되는 원통형 캡 바디(121)와, 상기 캡 바디(121)의 단부에 형성되는 투명창(122)을 포함한다.
상기 투시캡(12)은 전체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투명창(122)만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바디(1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병마개 처럼 돌려서 상기 체결 슬리브(11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투시캡(12)이 상기 체결 슬리브(112)에 결합되면, 작업자는 상기 투명창(122)을 통하여 상기 삽입관(20)이 상기 걸림턱(111)에 닿았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캡(12)을 상기 체결 슬리브(112)에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숙련도가 떨어지는 작업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체결 슬리브(112)는 사출로 제작되는 상기 이음관(11)의 파팅 라인(PL : parting line)에 형성되도록 하여, 금형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슬리브(112)는 상기 파팅 라인에 의하여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고, 제 1 금형에 의하여 상기 체결 슬리브(112)의 절반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금형에 맞닿는 제 2 금형에 의하여 상기 체결 슬리브(112)의 나머지 절반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이음 장치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 장치는, 단부에 삽입관이 끼워지며, 외주면에 체결 슬리브가 형성되는 이음관; 및 상기 체결 슬리브에 결합되는 투시캡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 슬리브는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이음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 캡은, 상기 체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일 단부를 차폐하는 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 슬리브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이음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투명창을 통하여 확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투시캡 전체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투명창만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슬리브의 중심축은 상기 이음관의 파팅 라인을 지난다.

Claims (6)

  1. 단부에 삽입관이 끼워지며, 외주면에 체결 슬리브가 형성되는 이음관; 및
    상기 체결 슬리브에 결합되는 투시 캡을 포함하는 관 이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슬리브는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이음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 슬리브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캡은,
    상기 체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일 단부를 차폐하는 투명창을 포함하고,
    상기 캡 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 슬리브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관의 단부가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투명창을 통하여 확인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캡 전체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투명창만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슬리브의 중심축은 상기 이음관의 파팅 라인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이음 장치.
KR1020210159782A 2021-11-18 2021-11-18 관 이음 장치 KR20230073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782A KR20230073008A (ko) 2021-11-18 2021-11-18 관 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782A KR20230073008A (ko) 2021-11-18 2021-11-18 관 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008A true KR20230073008A (ko) 2023-05-25

Family

ID=8654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782A KR20230073008A (ko) 2021-11-18 2021-11-18 관 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00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817A (ko) 1993-07-21 1995-02-16 케이쓰 와아윅 덴바이 액체 혼합물의 성분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817A (ko) 1993-07-21 1995-02-16 케이쓰 와아윅 덴바이 액체 혼합물의 성분 분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819B1 (ko) 정수라인의 튜브 피팅구조
FI59857C (fi) Foerfarande foer lagning eller eliminering av skador pao roerledningar samt ersaettningsstycke foer utfoerande av foerfarandet
KR102154692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KR20230073008A (ko) 관 이음 장치
KR101708471B1 (ko) 철근연결구
KR20160076598A (ko) 투명창이 구비된 차음성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CN203757223U (zh) 锁紧式管接头
US5193858A (en) Mounted flange for pipework joints
KR201701152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보수용 팩커
KR101432945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160103701A (ko) 체크홀이 구비된 연결관
CN206694692U (zh) 一种单壁波纹管连接器
CN206563154U (zh) 一种抗变形管道
CN205640001U (zh) 用于塑料检查井的弹性密封圈
KR910008126Y1 (ko) 원터치식 유체커플링
CN103791185A (zh) 锁紧式管接头
KR200434272Y1 (ko) 벨로즈 조인트
KR102615159B1 (ko) 연결마킹장치
CN214837752U (zh) 钢构柱脚螺栓保护装置
CN213425673U (zh) 一种方形电缆保护波纹管插环式连接件
CN213021739U (zh) 一种锅炉专用流量喷嘴
CN211550875U (zh) 一种管与其塑料接头的连接结构
KR102508996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의 메인몸체 사출금형
CN210693370U (zh) 用于穿壁管件的密封件
CN209146531U (zh) 一种下水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